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통일기반구축을 위한 방송·통신분야 단계별 전략 및 추진방안 연구 [전자자료] : 방송 콘텐츠의 통일지향성 평가 척도 및 단계적 개발 방안을 중심으로 / 방송통신위원회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방송통신위원회, 2015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방통융합정책연구 ; KCC-2015-06
면수
348
제어번호
MONO1201642222
주기사항
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책임자: 윤석민, 참여연구원: 홍종윤, 정영주
영문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16

SUMMARY 32

제1장 서론 37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37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1

1.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의 개념적 구성 41

2. 연구 방법 44

제2장 북한 및 통일 관련 방송 콘텐츠 개관 46

제1절 북한 및 통일 관련 방송 콘텐츠 현황 46

1. 통일 및 북한 관련 방송 프로그램 현황 47

2. 소결 75

제2절 북한 및 통일 관련 방송 콘텐츠 연구 동향 77

1. 북한 관련 방송 보도에 대한 기존 연구 77

2. 북한 및 통일 관련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기존 연구 84

3. 북한 및 통일 관련 콘텐츠 수용자 연구 85

제3장 통일 과정에서 방송의 역할 :독일 사례 88

제1절 통일 독일과 방송 88

1. 동서독 방송의 특수 상황 90

2. 통일방송 의무 96

제2절 독일 통일 방송의 역할에 대한 논의 100

1. 독일의 통일방송 정책 100

2. 서독방송의 영향 및 역할 116

3. 독일 통일 과정에서 방송의 역할에 대한 함의 121

제4장 방송프로그램 평화통일지향성 평가 논의 124

제1절 북한 및 통일 관련 보도준칙 및 제작 가이드라인 검토 124

제2절 방송프로그램 평가 관련 기존 논의 검토 129

1. 보도 프로그램의 저널리즘 품질 129

2. 예능 프로그램 품질 평가 138

제3절 방송평가지수 검토 144

1. 방송통신위원회 KI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Index) 144

2. KBS PSI (Public Service Index) 145

3. MBC QI (Quality Index) 149

4. SBS ASI (Audience Satisfaction Index) 150

5. EBS EPEI (EBS Program Evaluation Index) 152

6. 기존 방송평가지수의 함의 153

제4절 전문가 심층인터뷰 155

1. 보도 장르 155

2. 예능 장르 175

제5장 방송의 평화통일 지향성 측정 항목의 구성 193

제1절 뉴스 보도 프로그램의 평화통일 지향성 평가 항목 193

1. 평화통일 가치 추구 차원 195

2. 남북 상호 존중 차원 200

3. 보도 정확성ㆍ신뢰성 추구 차원 203

4. 보도 독창성ㆍ심층성 추구 차원 212

제2절 예능 프로그램의 평화통일 지향성 평가 항목 216

1. 평화통일 가치 추구 차원 218

2. 남북 상호 존중 차원 220

3. 정서적 공감ㆍ즐거움 차원 224

4. 유익성ㆍ정보성 차원 226

제3절 시사 토크 프로그램의 평화통일 지향성 평가 항목 228

1. 평화통일 가치 추구 차원 230

2. 남북 상호 존중 차원 233

3. 정확성ㆍ신뢰성 추구 차원 235

4. 심층성ㆍ유익성 추구 차원 237

제6장 방송의 평화통일 지향성의 시안적 평가 조사 239

제1절 조사 개요 239

제2절 조사 결과 240

1. 뉴스 프로그램의 평화통일 지향성 평가 240

2. 예능 프로그램의 평화통일 지향성 평가 264

3. 시사토크 프로그램의 평화통일 지향성 평가 278

제7장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의 지수화 방향 293

제1절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화 방식(안) 293

제2절 뉴스 프로그램의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 298

1. 평화통일 가치 추구 차원 298

2. 남북 상호 존중 차원 300

3. 보도 정확성ㆍ신뢰성 추구 차원 301

4. 보도 독창성ㆍ심층성 추구 차원 303

5.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화ㆍ시각화 종합 : 보도 장르 304

제3절 예능 프로그램의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 307

1. 평화통일 가치 추구 차원 307

2. 남북 상호 존중 차원 308

3. 정서적 공감ㆍ즐거움 차원 309

4. 유익성ㆍ정보성 추구 차원 311

5.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화ㆍ시각화 종합 : 예능 장르 312

제4절 시사토크 프로그램의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 314

1. 평화통일 가치 추구 차원 314

2. 남북 상호 존중 차원 315

3. 정확성ㆍ신뢰성 추구 차원 316

4. 심층성ㆍ유익성 추구 차원 318

5.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화ㆍ시각화 종합 : 시사토크 장르 319

제5절 소결 :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화 종합 321

제8장 결론 및 제언 324

제1절 통일 기반 구축을 위한 방송 콘텐츠 개발의 중요성 324

제2절 통일 기반 구축을 위한 방송 콘텐츠 개발 정책 제언 327

1. 통일 기반 구축을 위한 방송 콘텐츠 개발의 단기적 지원 방안 327

2. 통일 기반 구축을 위한 방송 콘텐츠 개발의 중장기적 법제도 개선 방안 334

참고문헌 337

판권기 348

〈표 2-1〉 2015년 북한 전문 프로그램 편성 현황 49

〈표 2-2〉 2015년 9월 [남북의 창] 코너별 아이템 50

〈표 2-3〉 2015년 9월 [통일전망대] 코너별 아이템 51

〈표 2-4〉 지상파 종합뉴스 북한/통일 관련 아이템 (2015.5.1~6.30) 53

〈표 2-5〉 종합편성채널(채널A, TV조선) 종합뉴스 북한/통일 관련 아이템 (2015.5.1~6.30) 56

〈표 2-6〉 종합편성채널(MBN, JTBC) 종합뉴스 북한/통일 관련 아이템 (2015.5.1-6.30) 60

〈표 2-7〉 지상파 & 종합편성채널 주요 시사토크쇼 북한/통일 관련 아이템 (2015.5.1-6.30) 64

〈표 2-8〉 지상파 & 종편 시사다큐 프로그램 북한/통일 관련 아이템 (2014.10.1-2015.9.30) 67

〈표 2-9〉 지상파 & 종편 토론 프로그램 북한/통일 관련 아이템 (2014.10.1-2015.9.30) 68

〈표 2-10〉 북한/통일 전문 예능 프로그램 (2014.10.1-2015.9.30) 71

〈표 2-11〉 예능/드라마 프로그램 북한/통일 코너 및 아이템 (2014.10.1-2015.9.30) 72

〈표 2-12〉 북한/통일 관련 특집 프로그램 (2014.10.1-2015.9.30) 74

〈표 2-13〉 이화행ㆍ정성호ㆍ강경수ㆍ이정기(2014) 연구의 분석 유목 79

〈표 2-14〉 설진아(2007) 연구의 분석 유목 81

〈표 2-15〉 이우승ㆍ영선(2006) 연구의 분석 유목 82

〈표 3-1〉 서독에서의 동독 TV 수신 가능성 (이우승, 2004, 116쪽) 92

〈표 3-2〉 서독시청자들의 동독 TV 시청빈도 (이우승, 2004, 117쪽) 92

〈표 3-3〉 가장 선호한 TV 프로그램, 시청빈도 (통일부, 1993, 697쪽) 94

〈표 3-4〉 1980년대 동독지역에서 서독 TV 수신 상태 95

〈표 3-5〉 헤세와 인프라테스트 조사에 나타난 동독주민의 서독방송 시청빈도 95

〈표 3-6〉 WDR/NDR 공동제작 라디오 프로그램 명칭변화 (한국방송학회, 2014, 96쪽) 101

〈표 3-7〉 Drüben(건너편) 프로그램의 코너 구성 (한국방송학회, 2014, 97쪽) 102

〈표 3-8〉 서독 TV의 전파월경에 대한 동독정부의 대응적 방송정책 (이우승, 2004) 105

〈표 3-9〉 서독의 ARD가 동독에서 수입한 프로그램의 장르별 분류 (이우승, 2004, 179쪽) 109

〈표 3-10〉 동독에서 수입한 ARD 프로그램 편수 (이우승, 2004, 183쪽) 110

〈표 3-11〉 1970년대 동독의 DFF에서 수입한 서독 프로그램의 분류 (이우승, 2004, 188쪽) 111

〈표 3-12〉 1970년대동독의DFF가수입한서독ARD 프로그램의장르별분류(이우승, 2004, 187쪽) 111

〈표 3-13〉 1970년대 교류된 ARD와 DFF의 영상물 규모 비교 (이우승, 2004, 189쪽) 112

〈표 3-14〉 동독 DFF가 수입한 서독 ARD 프로그램 방영 빈도수 (이우승, 2004, 189쪽) 112

〈표 3-15〉 서독의 ARD가 동독에서 수입한 프로그램의 장르별 분류 (이우승, 2004, 215쪽) 114

〈표 3-16〉 1980년대 교류된 ARD와 DFF의 영상물 규모 비교 (이우승, 2004) 115

〈표 4-1〉 저널리즘 생산물 품질 기준 129

〈표 4-2〉 PEJ의 보도 지수 131

〈표 4-3〉 박재영ㆍ이완수(2010) 연구의 뉴스 평가 지수 분석 유목 132

〈표 4-4〉 국제기자협회의 갈등보도 체크리스트 135

〈표 4-5〉 황치성(2008) 연구의 분석 유목 및 측정 방법 136

〈표 4-6〉 질적 평가요인/기준에 대한 논의 139

〈표 4-7〉 방송통신위원회 KI 주요 내용 145

〈표 4-8〉 KBS PSI 주요 내용 146

〈표 4-9〉 KBS 시청자 프로그램 품질평가 장르별 항목 147

〈표 4-10〉 MBC QI 개요 149

〈표 4-11〉 SBS ASI 개요 150

〈표 4-12〉 EBS EPEI 개요 152

〈표 5-1〉 보도 장르의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제고 차원과 조사항목 195

〈표 5-2〉 평화 가치 지향 조사 196

〈표 5-3〉 남북긴장 해소 노력 조사 198

〈표 5-4〉 인물 호칭 직책 존중 조사 200

〈표 5-5〉 북한 주민 고려 조사 201

〈표 5-6〉 북한 지배계층 고려 조사 202

〈표 5-7〉 사진 화면 사용 절제 조사 202

〈표 5-8〉 희화적인 소재 지양 조사 203

〈표 5-9〉 관급자료 보도 유의 조사 204

〈표 5-10〉 외신보도 신중 인용 조사 205

〈표 5-11〉 1차 자료 적극 활용 조사 206

〈표 5-12〉 추측보도 지양 조사 207

〈표 5-13〉 망명자 증언 취사 조사 208

〈표 5-14〉 취재원 투명성 확보 조사 210

〈표 5-15〉 주관적 표현 자제 조사 211

〈표 5-16〉 독자적 기사 생산 조사 213

〈표 5-17〉 독창적 통일 의제 설정 조사 214

〈표 5-18〉 심층적 보도 조사 215

〈표 5-19〉 예능 장르의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제고 차원과 조사항목 218

〈표 5-20〉 평화 가치 지향 조사 219

〈표 5-21〉 남북화해 지향 조사 220

〈표 5-22〉 남북 상호 존중 차원 조사 223

〈표 5-23〉 정서적 공감ㆍ즐거움 차원 조사 226

〈표 5-24〉 유익성ㆍ정보성 차원 조사 227

〈표 5-25〉 시사토크 장르의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제고 차원과 조사항목 230

〈표 5-26〉 평화통일 가치 추구 차원 조사 232

〈표 5-27〉 남북 상호 존중 차원 조사 234

〈표 5-28〉 정확성ㆍ신뢰성 추구 차원 조사 236

〈표 5-29〉 심층성ㆍ유익성 추구 차원 조사 238

〈표 7-1〉 평가 항목의 속성 부여 방식 (보도 장르) 295

〈표 7-2〉 평가 항목의 속성 부여 방식 (예능 장르) 296

〈표 7-3〉 평가 항목의 속성 부여 방식 (시사토크 장르) 297

〈표 7-4〉 평화통일 가치 추구 차원 지수화(예) : 보도 장르 298

〈표 7-5〉 남북 상호 존중 차원 지수화(예) : 보도 장르 300

〈표 7-6〉 보도 정확성ㆍ신뢰성 추구 차원 지수화(예) : 보도 장르 302

〈표 7-7〉 보도 독창성ㆍ심층성 추구 차원 지수화(예) : 보도 장르 304

〈표 7-8〉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화(예) : 보도 장르 305

〈표 7-9〉 평화통일 가치 추구 차원 지수화(예) : 예능 장르 307

〈표 7-10〉 남북 상호 존중 차원 지수화(예) : 예능 장르 308

〈표 7-11〉 보도 정확성ㆍ신뢰성 추구 차원 지수화(예) : 예능 장르 310

〈표 7-12〉 유익성ㆍ정보성 추구 차원 지수화(예) : 예능 장르 311

〈표 7-13〉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화(예) : 예능 장르 312

〈표 7-14〉 평화통일 가치 추구 차원 지수화(예) : 시사토크 장르 314

〈표 7-15〉 남북 상호 존중 차원 지수화(예) : 시사토크 장르 316

〈표 7-16〉 정확성ㆍ신뢰성 추구 차원 지수화(예) : 시사토크 장르 317

〈표 7-17〉 심층성ㆍ유익성 추구 차원 지수화(예) : 시사토크 장르 318

〈표 7-18〉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화(예) : 시사토크 장르 319

〈표 7-19〉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화(예) : 전체 장르 322

〈표 8-1〉 통일 관련 방송 프로그램 평가 차원 및 항목 324

〈표 8-2〉 통일 관련 방송 제작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한 주요 가치 개념 330

[그림 3-1] 독일의 행정자치구역 (이정춘, 1992, 424쪽) 91

[그림 3-2] 무지의 계곡 (김영욱 & 심영섭, 2011, 79쪽) 119

[그림 4-1] 오락프로그램 평가 항목 체계 140

[그림 6-1] 사건 성격 241

[그림 6-2] 보도 관점 (뉴스) 242

[그림 6-3] 사건 유형별 보도 관점 (뉴스) 243

[그림 6-4] 갈등 사안 여부 (뉴스) 244

[그림 6-5] 남북 갈등시 관점 제시 (뉴스) 245

[그림 6-6] 남남 갈등시 관점 제시 (뉴스) 246

[그림 6-7] 최고지도자 직책 표기 (뉴스) 247

[그림 6-8] 관료 직책 표기 (뉴스) 247

[그림 6-9] 북한 주민 고려 (뉴스) 248

[그림 6-10] 북한 지배계층 고려 (뉴스) 249

[그림 6-11] 사진 화면 사용 절제 (뉴스) 250

[그림 6-12] 희화적 소재 지양 (뉴스) 251

[그림 6-13] 관급자료 보도 유의 (뉴스) 252

[그림 6-14] 외신보도 신중 인용 (뉴스) 253

[그림 6-15] 차 자료 적극 활용 (뉴스) 254

[그림 6-16] 1차 자료 활용시 사건 성격 (뉴스) 255

[그림 6-17] 추측 보도 지양 (뉴스) 255

[그림 6-18] 망명자 증언 검증(복수 취재원) (뉴스) 256

[그림 6-19] 망명자 증언 추정 명기 여부 (뉴스) 257

[그림 6-20] 취재원 투명성 여부 (뉴스) 258

[그림 6-21] 투명 취재원 유형 (뉴스) 259

[그림 6-22] 익명 취재원 유형 (뉴스) 259

[그림 6-23] 인용문의 주관적 표현 사용 여부 (뉴스) 260

[그림 6-24] 무주체 주관적 표현 사용 (뉴스) 260

[그림 6-25] 독자적 기사생산 여부 (뉴스) 262

[그림 6-26] 독창적 의제 설정 여부 (뉴스) 263

[그림 6-27] 심층적 보도 여부 (뉴스) 264

[그림 6-28] 기획 의도 (예능) 265

[그림 6-29] 아이템 성격 (예능) 266

[그림 6-30] 출연자 관점 (예능) 267

[그림 6-31] 갈등사안 여부 (예능) 267

[그림 6-32] 북한 인물 존중 (예능) 268

[그림 6-33] 북한 지배계층 고려 (예능) 269

[그림 6-34] 북한 인물 이미지 (예능) 270

[그림 6-35] 사진ㆍ화면 사용 (예능) 270

[그림 6-36] 희화적 소재 (예능) 271

[그림 6-37] 북한 출연진 선호도 (예능) 272

[그림 6-38] 구성의 흥미도 (예능) 272

[그림 6-39] 포맷의 독창성 (예능) 273

[그림 6-40] 재미 여부 (예능) 274

[그림 6-41] 감동 여부 (예능) 274

[그림 6-42] 내용적 공감 여부 (예능) 275

[그림 6-43] 유익성 여부 (예능) 276

[그림 6-44] 내용의 독창성 (예능) 277

[그림 6-45] 추천 의향 (예능) 277

[그림 6-46] 사건 성격 (시사토크) 278

[그림 6-47] 출연자 발언 프레임 (시사토크) 279

[그림 6-48] 사건유형별 출연자 발언 프레임 (시사토크) 280

[그림 6-49] 갈등사안 여부 (시사토크) 280

[그림 6-50] 남북 갈등시 관점 제시 (시사토크) 281

[그림 6-51] 남남 갈등시 관점 제시 (시사토크) 282

[그림 6-52] 최고지도자 직책 표기 (시사토크) 283

[그림 6-53] 관료 직책 표기 (시사토크) 283

[그림 6-54] 북한 주민 고려 (시사토크) 284

[그림 6-55] 북한 지배계층 고려 (시사토크) 285

[그림 6-56] 사진 화면 사용 절제 (시사토크) 286

[그림 6-57] 희화적 소재 지양 (시사토크) 287

[그림 6-58] 관급자료 보도 유의 (시사토크) 288

[그림 6-59] 1차 자료 적극 활용 (시사토크) 288

[그림 6-60] 1차 자료 활용시 사건 성격 (시사토크) 289

[그림 6-61] 추측 보도 지양 (시사토크) 290

[그림 6-62] 심층성 여부 (시사토크) 291

[그림 6-63] 유익성 여부 (시사토크) 291

[그림 6-64] 추천 의향 (시사토크) 292

[그림 7-1] 평화통일 가치 추구 시각화(예) : 보도 장르 299

[그림 7-2] 남북 상호 존중 차원 시각화(예) : 보도 장르 301

[그림 7-3] 보도 정확성ㆍ신뢰성 추구 차원 시각화(예) : 보도 장르 303

[그림 7-4] 보도 독창성ㆍ심층성 추구 차원 시각화(예) : 보도 장르 304

[그림 7-5]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시각화(예) : 보도 장르 306

[그림 7-6] 평화통일 가치 추구 시각화(예) : 예능 장르 307

[그림 7-7] 남북 상호 존중 차원 시각화(예) : 예능 장르 309

[그림 7-8] 정서적 공감ㆍ즐거움 차원 시각화(예) : 예능 장르 310

[그림 7-9] 유익성ㆍ정보성 추구 차원 시각화(예) : 예능 장르 311

[그림 7-10]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시각화(예) : 예능 장르 313

[그림 7-11] 평화통일 가치 추구 시각화(예) : 시사토크 장르 315

[그림 7-12] 남북 상호 존중 차원 시각화(예) : 시사토크 장르 316

[그림 7-13] 정확성ㆍ신뢰성 추구 차원 시각화(예) : 시사토크 장르 317

[그림 7-14] 심층성ㆍ유익성 추구 차원 시각화(예) : 시사토크 장르 318

[그림 7-15]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시각화(예) : 시사토크 장르 320

[그림 7-16]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시각화(예) : 전체 장르 323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