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하고천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 경상북도 [편] 인기도
발행사항
안동 : 경상북도, 2016
청구기호
627.12 -16-8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면수복잡) : 삽화, 지도, 표 ; 30 cm
총서사항
경상북도고시 ; 제2016-229호
도보 ; 제6062호
제어번호
MONO1201642497
주기사항
[연구기관]: (주)한국종합기술, (주)한도엔지니어링, (주)반석엔지니어링, (주)동진이엔시
참고문헌 수록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하고천 하천기본계획

목차

1.0. 과업개요 29

1.1. 과업의 목적 30

1.2. 과업의 범위 30

1.3. 과업의 내용 32

2.0. 하천측량 34

2.1. 일반 사항 35

2.2. 지형 측량 36

2.3. 거리표의 설치 37

2.4. 측량 내용 37

2.4.1. 수준 및 종단측량 37

2.4.2. 하천 횡단측량 39

2.4.3. 홍수흔적측량 39

3.0. 유역 및 하천특성 조사 40

3.1. 일반현황 41

3.1.1. 유역의 일반현황 41

3.1.2. 유역의 자연현황 50

3.1.3. 유역의 사회·역사·문화적 현황 56

3.1.4. 유역현황의 분석 59

3.2. 수문 조사 60

3.2.1. 수문관측 현황 60

3.2.2. 수문관측 기록 63

3.2.3. 기상 77

3.3. 하도특성 조사 79

3.3.1. 하도현황 조사 79

3.3.2. 하도특성량(하도수리량)조사 87

3.3.3. 하상변동량 조사 90

3.4. 하천사업의 연혁 및 피해현황 97

3.4.1. 하천개수 현황 97

3.4.2. 제방공사 연혁 97

3.4.3. 댐(저수지), 하구둑, 배수펌프장 연혁 98

3.4.4. 수해 및 가뭄피해 현황 98

3.5. 하천의 이용현황 117

3.5.1. 유수이용실태 조사 117

3.5.2. 관광·위락 등 공간이용 조사 124

3.6. 하천의 환경현황 125

3.6.1. 유역의 오염원 조사 126

3.6.2. 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137

3.6.3. 하천의 생태 환경 146

3.7. 타 계획과의 조정 226

3.7.1. 치수관련계획 226

3.7.2. 이수관련계획 234

4.0.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238

4.1.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239

4.1.1. 기본방향 239

4.1.2. 홍수량 산정지점 241

4.1.3. 강우분석 243

4.1.4. 확률강우량 산정 263

4.1.5. 강우의 시간분포 결정 272

4.1.6. 유효우량 분석 277

4.1.7. 홍수량 산정 281

4.2. 홍수위 산정 291

4.2.1. 계산방법의 선정 291

4.2.2. 홍수위 산정을 위한 자료의 선정 291

4.2.3. 기점홍수위의 결정 298

4.2.4. 홍수위 계산 300

5.0. 하상변동 분석 317

5.1. 하상재료 조사 318

5.1.1. 조사지점과 시료 채취 318

5.2. 하천 유사량 조사 321

5.2.1. 유사량 산정공식의 선정 321

5.2.2. 실측에 의한 유사량 산정 328

5.2.3. 유사량 산정 결과 330

5.2.4 유량-유사량 관계 332

5.3. 하상변동 및 하도안정 분석 334

5.3.1. 평형하상경사 산정방법 334

5.3.2. 평형하상경사의 결정 337

5.3.3. 계획하상고의 결정 338

5.3.4. 안정하도 유지대책 348

6.0. 용수수요량 예측 및 물수지 분석 350

6.1. 수자원부존량 산정 351

6.1.1. 강우량 산정 351

6.1.2. 유출량 결정 352

6.1.3. 수자원부존량 352

6.2. 용수수요량 예측 353

6.2.1. 용수수요량 지구구분 및 위치 353

6.2.2. 용수이용현황 355

6.2.3. 용수수요량 예측 및 산정 357

6.2.4. 용수수요 총괄 369

6.3. 물수지 분석 370

6.4. 용수수급 계획 376

6.4.1. 용수수급 방안 376

6.4.2. 갈수대책 377

7.0.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방향 설정 379

7.1.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 및 이용에 관한 기본방향 380

7.1.1. 치수측면의 기본방향 382

7.1.2. 이수측면의 기본방향 383

7.1.3. 환경측면 383

7.2. 바람직한 하천모습의 설정 384

7.2.1. 과거 및 현재의 하천 384

7.2.2. 미래의 하천 384

7.2.3. 과업하천의 미래상 385

7.3. 홍수처리계획의 기본방향 386

7.4. 유수의 합리적인 이용에 관한 기본방향 391

7.5. 하천환경관리에 관한 기본방향 392

7.5.1. 하고천의 장·단기적인 하천환경과 관련한 청사진 제시 392

7.5.2. 하고천의 하천환경정비목표는 다음세대에 두어야 함 393

7.5.3.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 393

7.5.4. 하고천 고유의 자연과 공간적 특성을 보존 및 향상 393

7.5.5. 지역사회의 역사, 문화적 특성과 조화 393

7.5.6. 수량관리 기본방향 393

7.5.7. 수질관리 기본방향 394

7.5.8. 공간환경관리 기본방향 395

8.0. 하천의 정비·이용·보전에 관한 사항 398

8.1. 하천의 지구별 관리계획 수립 399

8.1.1. 하천의 지구별 관리계획 수립 399

8.1.2. 기능공간별 도입시설물계획 416

8.1.3. 주요 하천공간 요소별 관리계획 421

8.2. 하도계획 426

8.2.1. 일반사항 426

8.2.2. 평면계획 429

8.2.3. 종단계획 431

8.2.4. 횡단계획 432

8.2.5. 특이 구간에 대한 대책 434

8.3. 하천시설물 계획 434

8.3.1. 하천종단 시설물의 능력검토 및 설치방향 434

8.3.2. 하천횡단 시설물의 관리계획 수립 469

8.3.3. 사방시설 계획 494

8.3.4. 하천시설물의 유지관리계획 502

8.4. 경제성 분석 507

8.4.1. 목적과 범위 507

8.4.2. 피해액 조사 510

8.4.3. 치수경제성 분석 521

9.0. 하천의 환경에 관한 사항 535

9.1. 수환경 보전계획 536

9.1.1. 기본 방향 536

9.1.2. 수환경 보전 계획의 목표설정 536

9.1.3. 수량확보 대책 541

9.1.4. 장래수질 예측 549

9.1.5. 하천수질 개선대책 558

9.2. 환경영향 검토 568

9.2.1.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대책 569

9.2.2.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대책 578

9.2.3. 기타 환경성 검토에 필요한 당해 유역의 특성 583

10.0. 하천의 유지관리에 관한 사항 589

10.1. 고수부지, 폐천부지 현황 및 이용방안 590

10.1.1. 고수부지 현황 및 활용방안 590

10.1.2. 폐천부지 현황 및 활용방안 590

10.1.3. 하천구역 설정방법 591

10.1.4. 홍수관리구역 설정방법 592

10.2. 하도유지관리계획 592

10.2.1. 퇴적토 준설계획 592

10.2.2. 하도 유지관리계획 593

10.3. 기타 600

10.3.1. 하천 고시현황 600

10.3.2. 하천연장 조정 601

11.0. 효과분석 및 결론 602

11.1. 효과분석 603

11.1.1. 기본사항 603

11.1.2. 효과분석 603

11.2. 결론 및 건의사항 604

11.2.1. 결론 604

11.2.2. 건의사항 605

부도 607

계획평면도 608

종단면도 624

횡단면도 632

관련자료 686

공공측량 성과심사 687

관계기관협의 조치결과 702

자문의견 조치결과 709

지방하천관리위원회 심의의견 조치결과 729

주민설명회 791

전략환경영향검토 협의 및 조치결과 827

관련공문 834

참고문헌 860

과업 참여자 명단 864

【표 1.2-1】과업의 범위 30

【표 2.1-1】하천기본계획 조사측량 계획 35

【표 2.1-2】하천기본계획 조사측량 범위 35

【표 2.2-1】기준 삼각점 현황 37

【표 2.4-1】기준 수준점 현황 37

【표 2.4-2】표석성과 38

【표 3.1-1】수계 현황 42

【표 3.1-2】유역의 평균적 특성 45

【표 3.1-3】유역의 평균경사 및 평균고도 46

【표 3.1-4】표고별 누가 면적 및 구성비 47

【표 3.1-5】유역의 경사 분포 48

【표 3.1-6】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49

【표 3.1-7】지질현황 52

【표 3.1-8】토양군 비율 53

【표 3.1-9】소유권별 임야면적 54

【표 3.1-10】임목별 임야면적 54

【표 3.1-11】토지이용 현황 55

【표 3.1-12】안동시 연도별 인구변화 56

【표 3.1-13】행정구역 및 인문현황 56

【표 3.1-14】문화재 지정현황 58

【표 3.2-1】강우관측소 현황 60

【표 3.2-2】우량관측기록 보유현황 61

【표 3.2-3】수위관측소 및 현황 61

【표 3.2-4】수위관측기록 보유현황 62

【표 3.2-5】기상관측소 현황 62

【표 3.2-6】풍산관측소 지속기간별 최대 강우기록 64

【표 3.2-7】일직2관측소 지속기간별 최대 강우기록 65

【표 3.2-8】안동관측소 지속기간별 최대 강우기록 66

【표 3.2-9】운산수위관측소 일평균 수위 최근 10개년(2005~2014) 68

【표 3.2-10】구담수위관측소 일평균 수위 최근 10개년(2005~2014) 68

【표 3.2-11】안동댐수위관측소 일평균 수위 최근 10개년(2005~2014) 68

【표 3.2-12】안동수위관측소 일평균 수위 최근 10개년(2005~2014) 69

【표 3.2-13】검암수위관측소 일평균 수위 최근 10개년(2005~2014) 69

【표 3.2-14】구담 수위관측소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69

【표 3.2-15】운산 수위관측소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70

【표 3.2-16】Tank 모형의 매개변수 71

【표 3.2-17】월평균 유출고 및 유출률 72

【표 3.2-18】안동지역의 손실(증발산량) 산정 73

【표 3.2-19】유황분석 74

【표 3.2-20】하고천 유역의 평균갈수량 및 기준갈수량 76

【표 3.2-21】하고천 갈수량계열 빈도해석 결과 77

【표 3.2-22】월별 기상현황(안동 기상관측소) 78

【표 3.3-1】하도의 사행특성 81

【표 3.3-2】주요지점별 하천현황 82

【표 3.3-3】주요지점별 하상경사 84

【표 3.3-4】하상재료 구성비 86

【표 3.3-5】하도구간별 유로특성 88

【표 3.3-6】계획홍수량에 따른 하도수리량 89

【표 3.3-7】단면별 현하폭 및 저수로폭 현황 91

【표 3.3-8】최심하상고 및 평균하상고 현황 93

【표 3.3-9】하고천 합류부 낙동강 하상변화 조사 96

【표 3.4-1】하천개수 현황 97

【표 3.4-2】제방공사 연혁 98

【표 3.4-3】최근 10년간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피해 98

【표 3.4-4】과거 주요호우 및 태풍피해현황의 우선순위(1위~10위) 99

【표 3.4-5】침수피해 면적 103

【표 3.4-6】피해시설별 복구사업 현황 104

【표 3.4-7】주요 가뭄발생 년도 105

【표 3.4-8】과거 봄 가뭄의 피해이력 107

【표 3.4-9】가뭄발생현황과 가뭄대책 108

【표 3.4-10】우리나라 5대 가뭄 109

【표 3.4-11】주요 가뭄 발생 현황 110

【표 3.4-12】우리나라 주요 가뭄 발생년도 및 유역, 해갈 직전의 월 110

【표 3.4-13】최근 10년간의 가뭄 사례 110

【표 3.4-14】2012년 전국 강수량 현황 112

【표 3.4-15】2012년 경북지역 강수량 현황 112

【표 3.4-16】2012년 전국 저수율 현황 114

【표 3.4-17】2012년 경북지역 저수율 현황 114

【표 3.4-18】2012년 6월 용수부족 면적 115

【표 3.4-19】가뭄 대책 115

【표 3.5-1】취수장 현황 118

【표 3.5-2】정수장 현황 118

【표 3.5-3】상수도 시설집계 119

【표 3.5-4】간이 급수시설 현황 119

【표 3.5-5】상수도 보급율 120

【표 3.5-6】자유입지업체 현황 121

【표 3.5-7】농업용 저수지 현황 122

【표 3.5-8】농업용 보 현황 122

【표 3.5-9】수리권현황 124

【표 3.5-10】관광지 지정현황 125

【표 3.6-1】하천수질 조사지점 127

【표 3.6-2】하천수질 조사결과 128

【표 3.6-3】생활환경기준 129

【표 3.6-4】하천저질 측정결과 133

【표 3.6-5】퇴적물 오염 평가기준 134

【표 3.6-6】국내 하천 및 호소 퇴적물 준설 기준 134

【표 3.6-7】생활계 인구 현황 136

【표 3.6-8】축산계 현황 136

【표 3.6-9】산업계 현황 136

【표 3.6-10】토지계 현황 137

【표 3.6-11】발생부하 원단위 및 분뇨발생부하비 137

【표 3.6-12】생활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138

【표 3.6-13】생활계 분뇨발생유량원단위, 분뇨발생유량비 및 잡배수오수전환율 138

【표 3.6-14】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수질기준 139

【표 3.6-15】개인하수처리시설 방류수수질기준 139

【표 3.6-16】생활계 배출원 개별삭감비 140

【표 3.6-17】생활계 배출부하량 산정결과 140

【표 3.6-18】축산 분뇨 발생부하원단위 141

【표 3.6-19】축산계 발생부하량 산정결과 141

【표 3.6-20】축산폐수처리, 자원화 및 농지유출비 142

【표 3.6-21】축산계 배출부하량 산정결과 143

【표 3.6-22】산업계 발생부하량 및 배출부하량 총괄 143

【표 3.6-23】토지계 지목별 연평균 발생부하 원단위 144

【표 3.6-24】토지계 발생부하량 및 배출부하량 144

【표 3.6-25】오염별 부하량 산정결과 145

【표 3.6-26】유달부하량 및 유달률 146

【표 3.6-27】조사항목 146

【표 3.6-28】조사항목별 조사시기 147

【표 3.6-29】조사항목별 조사범위 및 위치 148

【표 3.6-30】도시화지수 및 귀화율 산정 150

【표 3.6-31】녹지자연도 등급별 사정기준 152

【표 3.6-32】식생보전등급 평가 및 분류기준 153

【표 3.6-33】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등급체계 154

【표 3.6-34】생태·자연도 등급구분 155

【표 3.6-35】포유류 조사방법 156

【표 3.6-36】양서·파충류 조사방법 157

【표 3.6-37】조류 조사 및 분석방법 158

【표 3.6-38】육상 및 육수동물상의 생태분석을 위한 산출식 160

【표 3.6-39】ESB지수 산정방식 160

【표 3.6-40】조망점별 현황 162

【표 3.6-41】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상 165

【표 3.6-42】조사지역의 보호식물 목록 166

【표 3.6-43】조사지역의 귀화식물 목록 166

【표 3.6-44】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상의 생활형 Spectrum 분석 168

【표 3.6-45】하천 현황 171

【표 3.6-46】식생별 분포면적 173

【표 3.6-47】제 1 조사지점의 특성표(A-A') 178

【표 3.6-48】제 2 조사지점의 특성표(B-B') 179

【표 3.6-49】제 3 조사지점의 특성표(C-C') 180

【표 3.6-50】보호수 및 노거수 현황 182

【표 3.6-51】조사지역의 육상 식물상 목록 183

【표 3.6-52】조사지역의 포유류 목록 195

【표 3.6-53】조사지역의 양서·파충류 목록 197

【표 3.6-54】현지조사에서 관찰된 조류의 주요 우점종 현황 200

【표 3.6-55】조사지역의 조류 목록 201

【표 3.6-56】종별 출현현황 204

【표 3.6-57】조사지역의 곤충류 목록 204

【표 3.6-58】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 현황 218

【표 3.6-59】지점별 종수 및 개체수 219

【표 3.6-60】군집분석결과 220

【표 3.6-61】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220

【표 3.6-62】ESB지수 분석결과 220

【표 3.6-63】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현황 221

【표 3.6-64】어류 출현 현황 224

【표 3.7-1】낙동강유역종합치수계획 과업 대상하천 현황 227

【표 3.7-2】낙동강유역종합치수계획 구조적 홍수방어대안 비교 227

【표 3.7-3】낙동강('09) 하천기본계획(상류) 과업의 범위 229

【표 3.7-4】낙동강('09)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229

【표 3.7-5】풍수해 위험지구 및 저감대책 232

【표 4.1-1】홍수량 산정지점 241

【표 4.1-2】관측소별 강우자료 검토결과 245

【표 4.1-3】우량관측소 현황 246

【표 4.1-4】홍수량 산정지점별 Thiessen 계수 247

【표 4.1-5】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량(고정시간) 249

【표 4.1-6】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량(임의시간) 252

【표 4.1-7】기본적인 통계량 255

【표 4.1-8】무작위성 검정 257

【표 4.1-9】확률분포형의 변수범위 및 매개변수 적합성 조건 259

【표 4.1-10】지점 확률강우량(임의시간) 비교 261

【표 4.1-11】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 계수값 264

【표 4.1-12】확률강우강도식에 의한 확률강우량 267

【표 4.1-13】강우 지속기간별-재현기간별 ARF 관계곡선식의 매개변수 270

【표 4.1-14】분위별 무차원 누가강우분포 273

【표 4.1-15】HUFF 누가분포의 회귀식 계수 274

【표 4.1-16】토양의 분류 278

【표 4.1-17】선행토양함수조건의 분류 279

【표 4.1-18】토지이용현황별 유출곡선지수(AMC-II 조건) 280

【표 4.1-19】소유역별 유출곡선지수(Curve Number) 281

【표 4.1-20】HEC-1 모형의 입력인자 281

【표 4.1-21】도달시간 및 저류상수 산정결과 282

【표 4.1-22】산정지점별 임계지속기간 283

【표 4.1-23】빈도별 홍수량 284

【표 4.1-24】홍수량 산정방법 비교 285

【표 4.1-25】지역홍수 빈도 분석 경험식 286

【표 4.1-26】지역홍수 빈도 분석과의 비교 286

【표 4.1-27】인근 하천 홍수량 비교 287

【표 4.1-28】과거 주요 호우사상을 이용한 홍수량 검토 288

【표 4.1-29】기본 및 계획홍수량 289

【표 4.2-1】HEC-RAS 모형의 입력인자 291

【표 4.2-2】하천 및 수로의 조도계수 292

【표 4.2-3】조도계수의 기본값 294

【표 4.2-4】n값에 대한 식생의 영향 294

【표 4.2-5】n값에 대한 수로 단면 불규칙성의 영향 295

【표 4.2-6】n값에 대한 수로 표면 불규칙성의 영향 295

【표 4.2-7】장애물의 n값에 대한 영향 295

【표 4.2-8】수로선형 불규칙성의 n값에 대한 영향 295

【표 4.2-9】구간별 조도계수 297

【표 4.2-10】조도계수 결정 297

【표 4.2-11】기점 홍수위 299

【표 4.2-12】유량규모에 따른 계획하폭 300

【표 4.2-13】하상경사에 따른 계수값 α 301

【표 4.2-14】주요지점별 계획하폭 302

【표 4.2-15】빈도별 홍수위 303

【표 4.2-16】계획홍수위, 하폭, 기설 제방고 310

【표 5.1-1】입도분석 결과(I) 320

【표 5.1-2】입도분석 결과(II) 320

【표 5.2-1】각 유사량 공식의 적정적용 한계 322

【표 5.2-2】댐별 비유사량 328

【표 5.2-3】낙동강 유역내 12개 주요 하천에 대한 유사량 329

【표 5.2-4】낙동강 유역 주요 하천별 유량-유사량 곡선식 329

【표 5.2-5】반변천 지점별 유량-총유사량 곡선식 329

【표 5.2-6】경험공식에 의한 유사량 산정 매개변수 331

【표 5.2-7】하고천 유역의 년간 비유사량 비교표 332

【표 5.2-8】하고천 유역의 유량-유사량 관계 334

【표 5.3-1】평형하상경사 산정 방법 335

【표 5.3-2】평형하상 및 하상변동 현황 338

【표 5.3-3】하상보호공법 형식별 장단점 검토 349

【표 6.1-1】평균 강우량 351

【표 6.1-2】월별 유출량 352

【표 6.1-3】수자원 총량 352

【표 6.2-1】용수수요량 산정지구 353

【표 6.2-2】생활용수 이용현황 355

【표 6.2-3】공업용수 이용현황 356

【표 6.2-4】농업용수 이용현황(I) 356

【표 6.2-5】농업용수 이용현황(II) 356

【표 6.2-6】인구추정 359

【표 6.2-7】목표년도별 인구추정(유역내) 359

【표 6.2-8】목표년도별 급수보급률 및 단위급수량 360

【표 6.2-9】목표년도별 장래 생활용수 수요량 361

【표 6.2-10】공업용수 원단위 362

【표 6.2-11】목표년도별 장래 공업용수 수요량 363

【표 6.2-12】목표년도별 경지면적 변화(유역내) 364

【표 6.2-13】단위용수량 367

【표 6.2-14】양축용수의 축종별 원단위 367

【표 6.2-15】목표년도별 장래 축산용수 수요량 368

【표 6.2-16】목표년도별 농업용수 수요량 추정 368

【표 6.2-17】장래 용수수요량 총괄 369

【표 6.3-1】갈수량과 물수지분석(2016년) 372

【표 6.3-2】갈수량과 물수지분석(2020년) 372

【표 6.3-3】갈수량과 물수지분석(2025년) 373

【표 6.3-4】갈수량과 물수지분석(2030년) 373

【표 7.1-1】하천유역 계획의 구성 381

【표 8.1-1】하천변 자연도 평가지 400

【표 8.1-2】하천자연도 등급 구분(안) 402

【표 8.1-3】지구구분 형태 403

【표 8.1-4】하고천 지구구분 형태 403

【표 8.1-5】하고천 하천자연도 세부평가결과 404

【표 8.1-6】지구별 공간관리계획 415

【표 8.1-7】기능공간 배치기준 418

【표 8.2-1】하도계획 결정시 기술적 결정사항 및 기본방향 427

【표 8.3-1】기존 시설물 현황 434

【표 8.3-2】제방고 검토 435

【표 8.3-3】둑마루폭 및 비탈경사 검토 442

【표 8.3-4】기성 호안 소류력 검토 443

【표 8.3-5】기설제방 보강계획 445

【표 8.3-6】호안정비 계획 445

【표 8.3-7】신설제방 계획 446

【표 8.3-8】계획홍수량에 따른 둑마루 폭 447

【표 8.3-9】계획홍수량에 따른 여유고 448

【표 8.3-10】소류력에 따른 호안설계기준 450

【표 8.3-11】하도분류별 수리특성 450

【표 8.3-12】유속에 따른 밑다짐폭 기준 451

【표 8.3-13】홍수시 일시적 세굴깊이 451

【표 8.3-14】주요 개수지구 계획 현황 452

【표 8.3-15】하천배수 시설물 현황 463

【표 8.3-16】배수시설 능력검토 463

【표 8.3-17】계획 배수구조물 465

【표 8.3-18】하천횡단 시설물 현황 469

【표 8.3-19】교량 능력 검토 472

【표 8.3-20】교량 세굴심 산정결과 474

【표 8.3-21】사석직경 결정 475

【표 8.3-22】사석보호공 설치범위 및 설치두께 475

【표 8.3-23】취수보 및 낙차공 검토 477

【표 8.3-24】Bligh 계수 478

【표 8.3-25】물받이 및 바닥보호공 길이 검토 479

【표 8.3-26】보 현황 481

【표 8.3-27】어도의 설치목적별 분류 487

【표 8.3-28】어도의 구조적 형식별 분류 488

【표 8.3-29】어도 형식별 장단점 검토 489

【표 8.3-30】주요어족의 생태적 요구조건 491

【표 8.3-31】주요어종의 서식처 수리조건 492

【표 8.3-32】어도 설치계획 492

【표 8.3-33】토사유출량 산정 499

【표 8.3-34】사방댐 규모검토 500

【표 8.4-1】경제성 분석 대상지구 현황 507

【표 8.4-2】지구별 및 유량 규모별 범람면적 510

【표 8.4-3】단위 침수면적당 손실 인명수 514

【표 8.4-4】손실(사망, 부상, 심리적비용) 원단위 514

【표 8.4-5】단위 침수면적당 발생 이재민수 515

【표 8.4-6】직접피해의 대상자산과 피해액 산정방법 515

【표 8.4-7】행정구역별 건물 및 건물내용물 자산 516

【표 8.4-8】행정구역별 농작물 자산 516

【표 8.4-9】행정구역별 사업소 유형·재고 자산 516

【표 8.4-10】침수심별 건물 피해율 517

【표 8.4-11】침수심별 건물내용물 피해율 517

【표 8.4-12】침수심별 농경지 피해율 517

【표 8.4-13】침수심별 농작물 피해율 517

【표 8.4-14】침수심별 사업체 유형고정자산·재고자산의 피해율 518

【표 8.4-15】일반자산피해액에 대한 공공시설물의 피해액 비율(한국) 518

【표 8.4-16】빈도규모별 총 피해액 519

【표 8.4-17】연평균 피해경감기대액의 산정방법 522

【표 8.4-18】빈도별 연평균 피해경감 기대액 522

【표 8.4-19】지구별 총공사비(총투자액) 523

【표 8.4-20】지구별 유량규모별 경제성 평가지표 525

【표 8.4-21】생태자연도 등급기준 530

【표 8.4-22】지역낙후도 선정지표 531

【표 8.4-23】사업투자 우선순위 533

【표 9.1-1】수질등급별 특성과 지표어종 537

【표 9.1-2】유기물질에 따른 수생 동·식물과 수질오염의 정도 538

【표 9.1-3】경관측면 목표수질 538

【표 9.1-4】위탁용수 수질기준 539

【표 9.1-5】하천 이미지에 대한 수질 539

【표 9.1-6】수환경 관리 차원에서의 수질 540

【표 9.1-7】중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기준과 달성기간 540

【표 9.1-8】목표수질 설정 541

【표 9.1-9】유황분석 결과 542

【표 9.1-10】대표어종과 대리어종 일람표 542

【표 9.1-11】대표어종의 서식처 수리조건 543

【표 9.1-12】생태계 측면의 필요유량 545

【표 9.1-13】유속에 따른 흐름의 느낌 상태 546

【표 9.1-14】경관측면을 고려한 평가기준 546

【표 9.1-15】친수활동과의 관련사항 547

【표 9.1-16】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1) 547

【표 9.1-17】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2) 547

【표 9.1-18】친수활동을 고려한 평가기준 548

【표 9.1-19】하천유지유량 549

【표 9.1-20】배출부하량 총괄 551

【표 9.1-21】구역별 수리학적계수(개수전) 555

【표 9.1-22】민감도분석 및 실제 적용계수 556

【표 9.1-23】구역별 수리학적계수(개수후) 557

【표 9.1-24】거리별 장래수질 예측결과 558

【표 9.1-25】퇴비액비화 기준 561

【표 9.1-26】액비살포에 필요한 초지 또는 농경지의 면적 561

【표 9.1-27】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적 수질 영향 565

【표 9.1-28】기후변화가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및 가능성 567

【표 9.2-1】생태계교란 생물(식물)의 관리방안 572

【표 9.2-2】공간별 식재방향(안) 573

【표 9.2-3】환경관련 지구·지역 검토 583

【표 9.2-4】야생생물 보호구역 현황 583

【표 9.2-5】수변구역 지정현황 584

【표 9.2-6】자연공원 지정현황 584

【표 9.2-7】상수원보호구역 지정현황 584

【표 9.2-8】저유황유 공급 및 사용지역 585

【표 9.2-9】배출허용기준(폐수) 지정현황 585

【표 9.2-10】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현황 586

【표 9.2-11】산업 및 농공단지 현황 586

【표 9.2-12】취수장 현황 586

【표 9.2-13】정수장 현황 587

【표 9.2-14】문화재 현황 587

【표 9.2-15】공공하수처리시설 현황(시설용량 500㎥/일 이상) 587

【표 9.2-16】분뇨수거 현황 588

【표 9.2-17】생활폐기물 매립지 현황 588

【표 10.1-1】하천법에 따른 하천구역 결정방법 591

【표 10.3-1】하천 고시현황 601

【표 10.3-2】지방하천 구간조정 601

【표 11.1-1】계획 시설물에 의한 효과 603

【그림 1.2-1】과업위치도 31

【그림 3.1-1】하천수계 구성도 42

【그림 3.1-2】소유역 분할 현황도 44

【그림 3.1-3】유역의 고도 및 경사분포도 46

【그림 3.1-4】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도 49

【그림 3.1-5】면적-고도 곡선(Hypsometric-Curve) 51

【그림 3.1-6】지질도 52

【그림 3.1-7】토양도 및 수문학적 토양군 분포도 53

【그림 3.1-8】토지이용현황도 55

【그림 3.1-9】안동시 연도별 인구변화 57

【그림 3.1-10】행정구역도 57

【그림 3.2-1】수문관측소 위치도 63

【그림 3.2-2】유황곡선 75

【그림 3.2-3】안동관측소 월별 기상 분포도 79

【그림 3.3-1】하도의 사행특성 81

【그림 3.3-2】하천종단도 85

【그림 3.3-3】유로의 곡률변화 92

【그림 3.3-4】최심하상고 및 평균하상고 현황 95

【그림 3.3-5】낙동강 본류 하상변화 96

【그림 3.4-1】태풍경로도 및 강수량 분포 102

【그림 3.4-2】침수피해 위치 103

【그림 3.6-1】조사지점도 127

【그림 3.6-2】BOD 현황도 130

【그림 3.6-3】COD 현황도 130

【그림 3.6-4】TOC 현황도 131

【그림 3.6-5】TOC 상관관계 분석 131

【그림 3.6-6】SS 현황도 132

【그림 3.6-7】T-P 현황도 132

【그림 3.6-8】오염원 분류 135

【그림 3.6-9】발생원별 배출부하량 145

【그림 3.6-10】식생구성종의 우점도와 군도 판정기준 모식도 151

【그림 3.6-11】육상곤충류 채집방법 158

【그림 3.6-12】주변경관 현황 분포 및 조망점 위치도 161

【그림 3.6-13】한반도 식생구계 164

【그림 3.6-14】조사지역의 귀화율 현황 167

【그림 3.6-15】식물상 출현현황 - 2차 조사 168

【그림 3.6-16】식물상 출현현황 - 3차 조사 169

【그림 3.6-17】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식생보전등급) 174

【그림 3.6-18】식생단면도 조사지점 177

【그림 3.6-19】생태·자연도 현황 181

【그림 3.6-20】보호수 및 노거수 현황 182

【그림 3.6-21】조사지역의 육상동물상 현황 - 1차 조사 212

【그림 3.6-22】조사지역의 육상동물상 현황 - 2차 조사 213

【그림 3.6-23】조사지역의 육상동물상 현황 - 3차 조사 214

【그림 3.6-24】육상동물 분포도 216

【그림 3.6-25】목별 종수 및 개체수 현황 218

【그림 3.6-26】조사지역의 육수동물상 - 2차 조사 224

【그림 3.6-27】조사지역의 육수동물상 - 3차 조사 225

【그림 3.7-1】낙동강유역종합치수계획 홍수방어대안 228

【그림 3.7-2】낙동강 하천기본계획(상류) 과업위치도 230

【그림 3.7-3】하상유지공 계획위치도 234

【그림 4.1-1】홍수량 산정 모식도 240

【그림 4.1-2】홍수량 산정지점도 242

【그림 4.1-3】확률강우량 산정 절차 243

【그림 4.1-4】확률강우량 산정방법 244

【그림 4.1-5】Thiessen Network 247

【그림 4.1-6】국내 강우자료의 지속기간별 관계 248

【그림 4.1-7】I-D-F 곡선(풍산) 266

【그림 4.1-8】I-D-F 곡선(일직2) 266

【그림 4.1-9】I-D-F 곡선(안동) 267

【그림 4.1-10】면적우량환산계수(ARF)-유역면적(AREA)관계곡선 269

【그림 4.1-11】Huff의 무차원 누가곡선(풍산) 275

【그림 4.1-12】Huff의 무차원 누가곡선(일직2) 276

【그림 4.1-13】Huff의 무차원 누가곡선(안동) 276

【그림 4.1-14】하고천 종점 지속기간별 첨두홍수량 변화 283

【그림 4.1-15】하고천 종점 수문곡선(임계지속기간) 284

【그림 4.1-16】낙동강 주요 관측소와의 확률강우량 비교 287

【그림 4.1-17】인근 홍수량 비교 288

【그림 4.1-18】홍수량 배분도 290

【그림 4.2-1】계획하폭 산정도 301

【그림 5.1-1】하상재료 조사 지점 319

【그림 5.2-1】유사량 산정지점 330

【그림 5.2-2】하고천 유역의 유량-유사량 관계곡선 추정 333

【그림 5.3-1】최심하상고 및 평형하상고 344

【그림 6.1-1】년평균강우량 경년변화 351

【그림 6.1-2】수자원총량의 구성 353

【그림 6.2-1】용수수요량 추정을 위한 지구 분할도 354

【그림 6.2-2】생활용수 추정 흐름도 358

【그림 6.3-1】물수지모식도(2016) 374

【그림 6.3-2】물수지모식도(2020) 374

【그림 6.3-3】물수지모식도(2025) 375

【그림 6.3-4】물수지모식도(2030) 375

【그림 7.1-1】하천의 기능별 고려사항 380

【그림 7.3-1】홍수처리계획 387

【그림 7.3-2】홍수처리계획의 기본방향(하고천 하구 ~ 집앞보) 388

【그림 7.3-3】홍수처리계획의 기본방향(집앞보 ~ 고상6보) 389

【그림 7.3-4】홍수처리계획의 기본방향(고상6보 ~ 하천시점) 390

【그림 8.1-1】하고천 하천자연도 409

【그림 8.1-2】하고천 공간관리계획도 412

【그림 8.1-3】추이대개선 422

【그림 8.1-4】생태이동 통로 및 서식지 개선 사례 423

【그림 8.1-5】생물서식처 조성방향 423

【그림 8.1-6】여울과 소 424

【그림 8.1-7】하중도 및 습지 425

【그림 8.2-1】하도계획 수립 흐름도 428

【그림 8.3-1】제방표준단면도 457

【그림 8.3-2】배수구조물 유역도 468

【그림 8.3-3】하천횡단 시설물 현황도 470

【그림 8.3-4】세굴보호공 형상 475

【그림 8.3-5】자연형 보 및 낙차공 예시도 486

【그림 8.3-6】사방댐의 종류 495

【그림 8.3-7】산사태 위험지구 분석도 498

【그림 8.3-8】계획 사방댐 설치위치(HG01) 500

【그림 8.3-9】계획 사방댐 설치위치(HG02, HG03) 500

【그림 8.3-10】계획 사방댐 설치위치(HG04) 501

【그림 8.4-1】경제성 분석 대상지구 위치도 509

【그림 8.4-2】다차원법의 개념도(일반자산 피해액의 산정방법) 513

【그림 8.4-3】통합지표 도출절차 533

【그림 9.1-1】모델의 구조 552

【그림 9.1-2】수체내의 물질변화 과정 및 상호반응 관계 552

【그림 9.1-3】수질모델링을 위한 과업하천 수계 모식도 554

【그림 9.1-4】실측치에 의한 보정 및 검증 556

【그림 9.1-5】하천수질 관리방안 559

【그림 9.1-6】하천 내 도입 정수식물(예시) 564

【그림 9.1-7】기후변화에 따른 수생태계 영향 567

【그림 9.2-1】식재종 선정(안) 573

【그림 9.2-2】교량에 조성된 수달의 보금자리 종·횡단면도(예시) 577

【그림 9.2-3】교량에 조성된 수달의 보금자리 조성사례(돌쌓기) 577

【그림 9.2-4】보호수 주변 방진망 설치 사례 577

【그림 9.2-5】비산먼지 저감대책 579

【그림 9.2-6】토사유출 저감방안 예시 580

【그림 10.1-1】하천법에 따른 하천구역 및 홍수관리구역 결정 59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08027 627.12 -16-8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28 627.12 -16-8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66946 627.12 -16-82 전자자료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