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농촌기반 코호트 사업 [전자자료] : 정책연구용역사업 최종결과보고서 / 질병관리본부 인기도
발행사항
청주 : 질병관리본부, 2015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464
제어번호
MONO1201643185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책임연구원: 최보율
영문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결과 요약문 7

보고서 요약문 7

Summary 8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9

제1장 최종 목표 9

1.1. 목표 9

1.2.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13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15

2.1. 코호트 기반 유전체 역학연구 현황 15

2.2. 외국의 심혈관 질환 코호트 구축 사업 16

제3장 최종 연구내용 및 방법 18

3.1. 조사 대상 18

3.2. 조사항목과 방법 20

3.3. 코호트 유지 관리 및 추적조사 22

3.4. 조사의 질관리와 표준화된 측정 24

3.5. 조사 결과의 자료 입력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28

제4장 최종 연구결과 34

4.1. 연구설계, 내용 개발 및 추진 경과 34

4.2. 조사 질관리 활동 결과 36

4.3. 반복조사 주요 항목별 결과 42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64

5.1. 연구결과 요약 64

5.2. 고찰 65

5.3. 지역사회 코호트의 다기관 수행의 함의 67

5.4. 제언 68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69

6.1. 연구성과 69

6.2. 활용계획(연구사업 종료 후) 72

제7장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74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75

제9장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원 분담표 76

9.1. 연구비 사용 내역 76

9.2. 연구분담표 84

제10장 참고문헌 89

제11장 첨부서류 93

제1세부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94

제1장 제1세부과제의 최종 목표 94

1.1. 목표 94

1.2.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95

제2장 제1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내용 및 방법 97

2.1. 연구수행체계 97

2.2. 조사 대상 99

2.3. 윤리적 연구 수행 101

2.4. 조사방법과 조사항목 103

2.5. 코호트 유지 및 관리, 추적조사 104

제3장 제1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결과 107

3.1. 제1세부과제 양평코호트 기반 및 반복조사자의 4기(2014년-2015년) 연구 반복추적조사 주요 항목 결과 107

3.2. 제1세부과제 양평코호트 기반 및 반복조사자의 연구참여시점에 따른 특성 108

제4장 제1세부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16

4.1. 연구결과 요약 116

4.2. 고찰 117

제5장 제1세부과제의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121

5.1. 연구성과 121

5.2. 활용계획(연구사업 종료 후) 123

제6장 제1세부과제의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 정보 125

제7장 제1세부과제의 기타 중요변경사항 126

제8장 제1세부과제의 연구비 사용 내역 127

제9장 제1세부과제의 참고문헌 128

제10장 제1세부과제의 첨부서류 129

제2세부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130

제1장 제2세부과제의 최종 목표 130

1.1. 목표 130

1.2.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131

제2장 제2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내용 및 방법 133

2.1. 연구수행체계 133

2.2. 조사 대상 134

2.3. 윤리적 연구 수행 136

2.4. 조사방법과 조사항목 138

2.5. 코호트 유지 및 관리, 추적조사 139

제3장 제2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결과 141

3.1. 제2세부과제 남원코호트 기반 및 반복조사자의 4기(2014년-2015년) 연구 반복추적조사 주요 항목 결과 141

3.2. 제2세부과제 남원코호트 기반 및 반복조사자의 연구참여시점에 따른 특성 142

제4장 제2세부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50

4.1. 연구결과 요약 150

4.2. 고찰 151

제5장 제2세부과제의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153

5.1. 연구성과(당해연도) 153

5.2. 활용계획(연구사업 종료 후) 155

제6장 제2세부과제의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 정보 156

제7장 제2세부과제의 기타 중요변경사항 157

제8장 제2세부과제의 연구비 사용 내역 158

제9장 제2세부과제의 참고문헌 159

제10장 제2세부과제의 첨부서류 160

제3세부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161

제1장 제3세부과제의 최종 목표 161

1.1. 목표 161

1.2.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162

제2장 제3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내용 및 방법 164

2.1. 연구수행체계 164

2.2. 조사 대상 166

2.3. 윤리적 연구 수행 169

2.4. 조사방법과 조사항목 171

2.5. 코호트 유지 및 관리, 추적조사 175

제3장 제3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결과 176

3.1. 제3세부과제 고령코호트 기반 및 반복조사자의 4기(2014년-2015년) 연구 반복추적조사 주요 항목 결과 176

3.2. 제3세부과제 고령코호트 기반 및 반복조사자의 연구참여시점에 따른 특성 177

제4장 제3세부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85

4.1. 연구결과 요약 185

4.2. 고찰 186

제5장 제3세부과제의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188

5.1. 연구성과 188

5.2. 활용계획(연구사업 종료 후) 189

제6장 제3세부과제의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 정보 190

제7장 제3세부과제의 기타 중요변경사항 191

제8장 제3세부과제의 연구비 사용 내역 192

제9장 제3세부과제의 참고문헌 193

제10장 제3세부과제의 첨부서류 194

제4세부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195

제1장 제4세부과제의 최종 목표 195

1.1. 목표 195

1.2.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196

제2장 제4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내용 및 방법 198

2.1. 연구수행체계 198

2.2. 조사 대상 199

2.3. 윤리적 연구 수행 201

2.4. 조사방법과 조사항목 203

2.5. 코호트 유지 및 관리, 추적조사 204

제3장 제4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결과 205

3.1. 제4세부과제 원주코호트 기반 및 반복조사자의 4기(2014년-2015년) 연구 반복추적조사 주요 항목 결과 205

3.2. 제4세부과제 원주코호트 기반 및 반복조사자의 연구참여시점에 따른 특성 206

제4장 제4세부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214

4.1. 연구결과 요약 214

4.2. 고찰 215

제5장 제4세부과제의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216

5.1. 연구성과(당해연도) 216

5.2. 활용계획(연구사업 종료 후) 217

제6장 제4세부과제의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 정보 219

제7장 제4세부과제의 기타 중요변경사항 220

제8장 제4세부과제의 연구비 사용 내역 221

제9장 제4세부과제의 참고문헌 222

제10장 제4세부과제의 첨부서류 223

제5세부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224

제1장 제5세부과제의 최종 목표 224

1.1. 목표 224

1.2.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225

제2장 제5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내용 및 방법 227

2.1. 연구수행체계 227

2.2. 조사 대상 228

2.3. 윤리적 연구 수행 230

2.4. 조사방법과 조사항목 232

2.5. 코호트 유지 및 관리, 추적조사 233

제3장 제5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결과 234

3.1. 제5세부과제 원주코호트 기반 및 반복조사자의 4기(2014년-2015년) 연구 반복추적조사 주요 항목 결과 234

3.2. 제5세부과제 평창코호트 기반 및 반복조사자의 연구참여시점에 따른 특성 235

제4장 제5세부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243

4.1. 연구결과 요약 243

4.2. 고찰 244

제5장 제5세부과제의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245

5.1. 연구성과(당해연도) 245

5.2. 활용계획(연구사업 종료 후) 246

제6장 제5세부과제의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 정보 248

제7장 제5세부과제의 기타 중요변경사항 249

제8장 제5세부과제의 연구비 사용 내역 250

제9장 제5세부과제의 참고문헌 251

제10장 제5세부과제의 첨부서류 252

제6세부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253

제1장 제6세부과제의 최종 목표 253

1.1. 목표 253

1.2.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254

제2장 제6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내용 및 방법 256

2.1. 연구수행체계 256

2.2. 조사 대상 257

2.3. 윤리적 연구 수행 259

2.4. 조사방법과 조사항목 261

2.5. 코호트 유지 및 관리, 추적조사 264

제3장 제6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결과 265

3.1. 제6세부과제 강화코호트 기반 및 반복조사자의 4기(2014년-2015년) 연구 반복추적조사 주요 항목 결과 265

3.2. 제6세부과제 강화코호트 기반 및 반복조사자의 연구참여시점에 따른 특성 266

제4장 제6세부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274

4.1. 연구결과 요약 274

4.2. 고찰 275

제5장 제6세부과제의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276

5.1. 연구성과(당해연도) 276

5.2. 활용계획(연구사업 종료 후) 278

제6장 제6세부과제의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 정보 280

제7장 제6세부과제의 기타 중요변경사항 281

제8장 제6세부과제의 연구비 사용 내역 282

제9장 제6세부과제의 참고문헌 283

제10장 제6세부과제의 첨부서류 284

제7세부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285

제1장 제7세부과제의 최종 목표 285

1.1. 목표 285

1.2.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 대한 기여도 286

제2장 제7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내용 및 방법 287

2.1. 연구수행체계 287

2.2. 윤리적 연구 수행 289

2.3/2.4. 조사방법과 조사항목 291

제3장 제7세부과제의 최종 정책연구용역사업 결과 298

제4장 제7세부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311

4.1. 연구결과 요약 311

4.2. 고찰 313

제5장 제7세부과제의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316

5.1. 연구성과(당해연도) 316

5.2. 활용계획(연구사업 종료 후) 318

제6장 제7세부과제의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 정보 319

제7장 제7세부과제의 기타 중요변경사항 320

제8장 제7세부과제의 연구비 사용 내역 321

제9장 제7세부과제의 참고문헌 322

제10장 제7세부과제의 첨부서류 323

[부록 1] 2015년 당해연도 연구성과 목록 324

Dietary Patterns Derived by Cluster Analysis are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325

The cross-s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calcium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men and women aged 40 or older in rural areas of Korea 341

A Prospective Study of Serum Adiponectin and Regression of Metabolic Syndrome: The ARIRANG study 349

Incremental Predictive Value of Serum AST-to-ALT Ratio for Incident Metabolic Syndrome: The ARIRANG Study 371

The association between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ratios of human hair and metabolic syndrome 398

A prospective study of fatty liver index and incident hypertension: The ARIRANG study 404

Research: Epidemiology Performance of HbA1c for the prediction of diabetes in a rural community in Korea 422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depression among Korean women 431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depression among Korean women 439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n chronic periodontitis in Korean population: results from the Yangpyeong health cohort 457

표 1. 주요 심혈관질환 코호트 연구 예시 17

표 2. 2014년-2015년도 세부과제별 반복 추적조사자 목표 구성 19

표 3. 2014년-2015년도 세부과제별 능동 추적조사(가구방문설문조사)자 목표 구성 19

표 4. 지역사회 중심 코호트 유지 관리 전략 23

표 5. 연구 내용 개괄 31

표 6. 당해연도(2015년) 사업의 총괄 연구팀 활동 34

표 7. 4기(2014년도-2015년) 사업의 운영위원회 활동 35

표 8. 표준화와 질 관리 활동 36

표 9. 조사 단계별 질관리 활동 37

표 10/표 12. 당해연도(2015년) 사업의 각 세부별 조사원 교육 40

표 11/표 13. 설문 질관리를 위한 면접원 모니터링 평가 기준 41

표 12/표 14. 2014년-2015년도 연구의 1-6세부 코호트별 반복추적조사 목표 달성도 43

표 13/표 15. 2014년-2015년도 연구의 7세부 치주질환조사의 목표 달성도 43

표 14/표 16. 2014년-2015년도 연구의 1-6세부 코호트별 능동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2월 기준) 45

표 15/표 17. 2004년-2015년도 연구의 1-6세부 코호트별 반복추적조사 구축현황(2015년 12월 기준) 46

표 16/표 18. 2004년-2015년도 연구의 1-6세부 코호트별 반복추적조사 구축현황(2015년 11월 기준) 46

표 17/표 19. 2004년-2015년도 연구 참여자의 중간질환발생(incidence density) 47

표 18/표 20. 4기 1차(2014년) 연구 참여자의 성별ㆍ연령별 분포 48

표 19/표 21. 4기 2차(2015년) 연구 참여자의 성별ㆍ연령별 분포 49

표 20/표 22. 4기(2014-2015년) 연구 참여자의 성별ㆍ연령별 분포 49

표 21/표 23. 4기 1차(2014년) 연구 참여자의 흡연상태 50

표 22/표 24. 4기 2차(2015년) 연구 참여자의 흡연상태 50

표 23/표 25. 4기(2014-2015년) 연구 참여자의 흡연상태 51

표 24/표 26. 4기 1차(2014년) 연구 참여자의 음주상태 51

표 25/표 27. 4기 2차(2015년) 연구 참여자의 음주상태 52

표 26/표 28. 4기(2014-2015년) 연구 참여자의 음주상태 52

표 27/표 29. 4기 1차(2014년) 연구 참여자의 운동여부 53

표 28/표 30. 4기 2차(2015년) 연구 참여자의 운동여부 53

표 29/표 31. 4기 4기(2014년-2015년) 연구 참여자의 운동여부 53

표 30/표 32. 4기 1차(2014년) 연구 참여자의 고혈압 유병률 54

표 31/표 33. 4기 2차(2015년) 연구 참여자의 고혈압 유병률 55

표 32/표 34. 4기(2014년-2015년) 연구 참여자의 고혈압 유병률 55

표 33/표 35. 4기 1차(2014년) 연구 참여자의 당뇨병 유병률 56

표 34/표 36. 4기 2차(2015년) 연구 참여자의 당뇨병 유병률 57

표 35/표 37. 4기(2014년-2015년) 연구 참여자의 당뇨병 유병률 57

표 36/표 38. 4기 1차(2014년) 연구 참여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58

표 37/표 39. 4기 2차(2015년) 연구 참여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59

표 38/표 40. 4기(2014년-2015년) 연구 참여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59

표 39/표 41. 4기 1차(2014년) 연구 참여자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 60

표 40/표 42. 4기 2차(2015년) 연구 참여자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 61

표 41/표 43. 4기(2014년-2015년) 연구 참여자의 이상지질혈증 유병률 61

표 42/표 44. 4기 1차(2014년) 연구 참여자의 비만 유병률 62

표 43/표 45. 4기 2차(2015년) 연구 참여자의 비만 유병률 63

표 44/표 46. 4기(2014년-2015년) 연구 참여자의 비만 유병률 63

표 1-1. 2014년-2015년도 연구의 1세부 반복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2월 기준) 95

표 1-2. 2014년-2015년도 연구의 1세부 능동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2월 기준) 95

표 1-3. 2004년-2015년도 연구의 1세부 반복추적조사 구축현황(2015년 12월 기준) 96

표 1-4. 제1세부과제(양평군) 지역 특성 99

표 1-5. 제1세부과제(양평) 기반조사 및 반복조사 수행 건수 100

표 1-6. 1차 이상 반복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기반 자료의 특성 비교(2015년 11월 기준) 108

표 1-7.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110

표 1-8.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111

표 1-9.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113

표 1-10.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114

표 1-11. 4기(2014-2015년) 사업 연구 참여 대상자의 중간질환발생 115

표 2-1. 2014년-2015년도 연구의 2세부 반복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2월 기준) 131

표 2-2. 2014년-2015년도 연구의 2세부 능동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2월 기준) 131

표 2-3. 2004년-2015년도 연구의 2세부 반복추적조사 구축현황(2015년 12월 기준) 132

표 2-4. 제2세부(남원)의 지역 특성 134

표 2-5. 남원 코호트 연구 대상자 135

표 2-6. 1차 이상 반복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기반 자료의 특성 비교(2015년 12월 기준) 142

표 2-7.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추세(2015년 12월 기준) 144

표 2-8.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추세(2015년 12월 기준) 145

표 2-9.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추세(2015년 12월 기준) 147

표 2-10.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추세(2015년 12월 기준) 148

표 2-11. 4기(2014-2015년) 사업 연구 참여 대상자의 중간질환발생 149

표 3-1. 2014년-2015년도 연구의 3세부 반복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2월 기준) 162

표 3-2. 2014년-2015년도 연구의 3세부 능동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2월 기준) 162

표 3-3. 2004년-2015년도 연구의 3세부 반복추적조사 구축현황(2015년 12월 기준) 163

표 3-4. 제3세부과제(양평군) 지역 특성 166

표 3-5/표 3-3. 고령군 고령읍 행정구역 166

표 3-6/표 3-4. 고령군 고령읍 면적 166

표 3-7/표 3-5. 고령군 고령읍 인구분포 167

표 3-8/표 3-6. 1차 이상 반복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기반 자료의 특성 비교(2015년 11월 기준) 177

표 3-9/표 3-7.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179

표 3-10/표 3-8.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180

표 3-11/표 3-9.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182

표 3-12/표 3-10.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183

표 3-13/표 3-11. 4기(2014-2015년) 사업 연구 참여 대상자의 중간질환발생 184

표 4-1. 2014년-2015년도 연구의 4세부 반복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2월 기준) 196

표 4-2. 2014년-2015년도 연구의 4세부 능동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2월 기준) 196

표 4-3. 2004년-2015년도 연구의 4세부 반복추적조사 구축현황(2015년 12월 기준) 197

표 4-4. 제 4세부(원주) 지역 특성 199

표 4-5. 4세부과제(원주) 기반조사 및 반복조사 수행 건수 200

표 4-6. 1차 이상 반복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기반 자료의 특성 비교(2015년 11월 기준) 206

표 4-7.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208

표 4-8.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209

표 4-9.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211

표 4-10.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212

표 4-11. 4기(2014-2015년) 사업 연구 참여 대상자의 중간질환발생 213

표 5-1. 2014년-2015년도 연구의 5세부 반복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2월 기준) 225

표 5-2. 2014년-2015년도 연구의 5세부 능동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2월 기준) 225

표 5-3. 2004년-2015년도 연구의 5세부 반복추적조사 구축현황(2015년 12월 기준) 226

표 5-4. 제 5세부(평창) 지역 특성 228

표 5-5. 5세부과제(평창) 기반조사 및 반복조사 수행 건수 229

표 5-6. 1차 이상 반복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기반 자료의 특성 비교(2015년 11월 기준) 235

표 5-7.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237

표 5-8.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238

표 5-9.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240

표 5-10.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추세(2015년 11월 기준) 241

표 5-11. 4기(2014-2015년) 사업 연구 참여 대상자의 중간질환발생 242

표 6-1. 2014년-2015년도 연구의 6세부 반복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2월 기준) 254

표 6-2. 2014년-2015년도 연구의 6세부 능동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2월 기준) 255

표 6-3. 2006년-2015년도 연구의 6세부 반복추적조사 구축현황 (2015년 12월 기준) 255

표 6-4. 제 6세부(강화)의 지역적 특성(2013) 257

표 6-5. 제1세부과제(강화) 기반조사 및 반복조사1) 수행 건수 258

표 6-6. 농촌 지역사회 기반 다기관 코호트 사업 제6세부 연구내용개괄 263

표 6-7. 1차 이상 반복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기반 자료의 특성 비교 (2015년 11월 기준) 266

표 6-8.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추세 (2015년 11월 기준) 268

표 6-9.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추세 (2015년 11월 기준) 269

표 6-10.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추세 (2015년 11월 기준) 271

표 6-11. 대상자들의 연구 참여 시점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 추세 (2015년 11월 기준) 272

표 6-12. 4기(2014-2015년) 사업 연구 참여 대상자의 중간질환발생 273

표 7-1. 2014년-2015년도 연구의 7세부 반복추적조사 목표 달성도(2015년 11월 기준) 286

표 7-2.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299

표 7-3. Subjective periodont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300

표 7-4. Subjective drymouth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301

표 7-5. Subjective foul odor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302

표 7-6.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14)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303

표 7-7. Recent dental visi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304

표 7-8. Periodontal statu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305

표 7-9. Existing permanent teeth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306

표 7-10. Functional teeth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s 307

표 7-11. Periodontal status according to the visit number 308

표 7-12. Adjusted association between severe periodontitis and subclinical atherosclerosis 310

그림 1. 심혈관질환과 호흡기질환 등의 만성질환의 유전 요인 구명과 다른 질환 연구에의 활용 전략 12

그림 2. 연구대상 지역 18

그림 3. 현장 조사 수행 절차 21

그림 4. 질관리를 위한 활동 요약 24

그림 5. 신장과 체중 측정의 calibration 양식 27

그림 6. DB 구축의 흐름 28

그림 7. 데이터 관리 질관리 지침 28

그림 8. 4기 연구(2014-2015) 2개년 조사 별 목표 대상자수 29

그림 9. 농촌 기반 코호트 연구의 사업 흐름도 30

그림 10. 농촌 기반 코호트 연구의 가구방문조사 수행체계 33

그림 11. 2014년 연구수행기관 및 코호트 구축 체계 33

그림 12.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자료 개발 38

그림 13. 신장 및 체중계 영점조정 점검 39

그림 1-1. 제 1세부과제 연구 조직도 97

그림 1-2. 제1세부과제 역할 분담 98

그림 1-3. 연령별 인구분포 현황 (자료출처: 양평군 홈페이지, 2011년 통계연보자료) 99

그림 1-4. 제1세부과제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s) 심의통지서 101

그림 1-5. 제1세부과제 현장 조사 진행 과정 103

그림 1-6. 지역 주민 배포용 홍보물 105

그림 1-7. 검진 주요 분석별 필요 항목 119

그림 1-8. 방문간이검진 조사 진행방법 및 소요시간 120

그림 2-1. 남원지역 코호트 연구를 위한 연구수행체계 133

그림 2-2. 제2세부과제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s) 심의통지서 136

그림 2-3. 제2세부과제 현장 조사 진행 과정 138

그림 2-4. 지역 주민 배포용 홍보물 140

그림 3-1. 제 3 세부과제 (고령)의 연구수행체계 164

그림 3-2. 제3세부과제 역할 분담 165

그림 3-3/그림 3-2. 제3세부과제 (고령) 코호트 지역 행정지도 167

그림 3-4. 제3세부과제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s) 심의통지서 169

그림 3-5/그림 3-3. 제 3 세부과제 (고령) 진행 과정 172

그림 3-6/그림 3-4. 제 3 세부과제 (고령) 반복조사 및 추적조사 체계 173

그림 3-7/그림 3-5. 제 3 세부과제 (고령) 추적조사 및 코호트 유지 흐름도 174

그림 4-1. 제4세부과제 연구 조직도 198

그림 4-2. 제4세부과제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s) 심의통지서 201

그림 5-1. 제5세부과제 연구 조직도 227

그림 5-2. 제5세부과제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s) 심의통지서 230

그림 6-1. 농촌 기반 코호트 사업 제 6 세부 연구수행체계(2015) 256

그림 6-2. 농촌기반 코호트 사업 제6세부 연구조직도(2016) 257

그림 6-3. 제6세부과제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s) 심의통지서 259

그림 7-1. 7세부 치주질환 연구의 수행체계 287

그림 7-2. 제7세부과제 역할 분담 288

그림 7-3. 제7세부과제 IRB(Institutional Review Boards) 심의통지서 289

그림 7-4. 치주질환 연구 검진조사 흐름도 291

그림 7-5/그림 7-2.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293

그림 7-6/그림 7-5. 치조골소실 측정 293

그림 7-7/그림 7-6. 치은열구액의 수집 294

그림 7-8/그림 7-7. 인체자원은행 295

그림 7-9/그림 7-8. 질병관리본부 데이터베이스에 자료입력 296

그림 7-10/그림 7-9. Periodontitis prevalence according to survey years 308

그림 7-11/그림 7-10. Change of periodontitis prevalence at follow-up examination in 2014 and 2015 309

Dietary Patterns Derived by Cluster Analysis are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329

Table 1. Means of food and food groups intakes in the two dietary patterns 329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 the two dietary patterns 330

Table 3. Nutrient intake of participants in the two dietary patterns 332

Table 4. Odds ratio with 95% confidence interval for cognitive impairment according to dietary patterns 333

The cross-s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calcium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men and women aged 40 or older in rural areas of Korea 343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343

Table 2. Age-adjusted characteristics of selected factors according to quartiles of dietary calcium intake from foods 344

Table 3. ORs and 95% CI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according to quartiles of dietary calcium intake from foods 344

Table 4. ORs and 95% CI of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according to quartiles of dietary calcium intake from foods among calcium and multinutrient non-users 345

A Prospective Study of Serum Adiponectin and Regression of Metabolic Syndrome: The ARIRANG study 368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 by presence of metabolic syndrome on follow-up 368

Table 2. Odds ratios for regression of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according to baseline serum adiponectin 369

Table 3. Odds ratios for regression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baseline serum adiponectin 370

Incremental Predictive Value of Serum AST-to-ALT Ratio for Incident Metabolic Syndrome: The ARIRANG Study 393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d subjects stratified by incident metabolic syndrome, and evaluation of the AST-to-ALT ratio in relation to the number of metabolic parameters used to define metabolic syndrome at follow-up 393

Table 2. Odds ratio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for new-onset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different quartiles of AST-to-ALT ratios 394

Table 3. Odds ratios for individual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baseline AST-to-ALT ratio 395

Table 4. Comparison of areas under the ROC curve of each component of metabolic syndrome and additional AST-to-ALT ratio model 396

The association between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ratios of human hair and metabolic syndrome 400

Table 1.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400

Table 2. δ13C, δ15N values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400

Table 3. Correlations between δ13C, δ15N values and other factors 401

Table 4. Odds ratios for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δ13C, δ15N quartiles 402

Research: Epidemiology Performance of HbA1c for the prediction of diabetes in a rural community in Korea 425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according to diabetes status 425

Table 2. Baseline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iabetes at follow-up 426

Table 3. Predictive values of HbA1c thresholds for incident diabetes at follow-up 427

Table 4. The relative risk of incident diabetes at follow-up based on baseline HbA1c 428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depression among Korean women 433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by exposure to ETS 433

Table 2. Characteristics by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depression 434

Table 3.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BDI score 435

Table 4.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and depression 437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depression among Korean women 452

Table 1.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by cognitive impairment cases and controls 452

Table 2. Adjusted association of non-rehabilitated tooth with cognitive impairment using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454

Table 3. Adjusted association of functional teeth status with cognitive impairment using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455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n chronic periodontitis in Korean population: results from the Yangpyeong health cohort 459

Table 1. Characteristics of chronic periodontitis cases and controls 459

Table 2. Adjusted association of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for chronic periodontitis cases and control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top signal single-nucleotide polymor phisms(SNPs) (p-value〈1×10-5), nonsynonymous SNPs (p-value〈0.01), association study of selected SNPs (p-value〈0.05) 460

List of Appendix Figures

Dietary Patterns Derived by Cluster Analysis are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332

Figure 1. Means of the total MMSE-KC, orientation, and memory scores across the two dietary patterns. MFDF: Multigrain rice, Fish, Dairy products, and Fruits & fruit juices; WNC: White rice, Noodles, and Coffee... 332

Incremental Predictive Value of Serum AST-to-ALT Ratio for Incident Metabolic Syndrome: The ARIRANG Study 392

Figure 1. Description of the study population 392

Figure 2. The additional contribution of the AST-to-ALT ratio to predicting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397

The association between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ratios of human hair and metabolic syndrome 401

Fig. 1. Relation of δ13C and δ15N values to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present. (A) δ13C. (B) δ15N. The scatter plots are shown with regression lines(black solid lines)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s (gray areas) 401

Fig. 2. Odds ratios for the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according to δ13C andδ15Nvalues. (A) δ13C. (B) δ15N. ORs are calculated after adjusting for age, gender, smoking, regular exercise. HDL indicates high-density lipoprotein 402

Research: Epidemiology Performance of HbA1c for the prediction of diabetes in a rural community in Korea 429

FIGURE 1. ROC curves for incident diabetes after 4 years of follow-up(Total). (A) Normal and IFG at baseline. (B) Normal at baseline. (C) IFG at baseline 429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depression among Korean women 436

Figure 1.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core by the exposure to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436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depression among Korean women 456

Fig. 1. Interaction effect of functional teeth and denture on cognitive impairment. Odds ratios were adjusted for all variables in Table 2 except denture. High with/without denture denotes functional teeth more than 25,... 462

Fig. 1. Manhattan plots of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s) for chronic periodontitis cases and controls. (a) Moderate plus severe cases results, (b) moderate cases results,... 462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