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壬辰亂衛勳緑 : 壬辰亂7周甲紀念. 1-7 /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경상북도, 안동시 ; 주관: 壬辰亂精神文化宣揚會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문화체육관광부 ; 안동 : 경상북도, 2016
청구기호
951.5211 -16-1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7책 : 삽화 ; 25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5125883(전7권)
제어번호
MONO1201643943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공동발행: 안동시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일러두기

발간사 / 김종덕

발간사 / 柳漢晟

축간사 / 金寬容

축간사 / 權寧世

위훈록(偉勳錄) 교정 감수를 마치고 / 노승석(盧承奭)

壬辰亂, 7周甲 記念 文化·學術 大祭典 槪要

목차

강옥상(姜玉祥) : 자신의 목숨을 도외시하고 왜군 격퇴에 힘쓰다 전사한 강옥상(姜玉祥) 선생 / 이은영(李恩英) 28

1. 머리말 28

2. 가계와 생애 29

1) 가계 29

2) 생애 31

3. 임란시 활동 사항 32

1) 호가와 영등포 해전 32

2) 온라도 해전(칠천량 해전) 33

4. 맺음말(공신녹훈) 35

강인상(姜麟祥) : 자신과 두 아들의 목숨을 왜군 격퇴에 바친 강인상(姜麟祥) 선생 / 이은영(李恩英) 38

1. 머리말 38

2. 가계와 생애 39

1) 가계 39

2) 생애 40

3. 임란시 활동 사항 41

1) 창의와 단성 전투 41

2) 진주성으로 보낸 두 아들 전사 43

3) 남원 전투에서 순절 48

4. 맺음말 49

강희보(姜希輔) : 나라를 지키고 강토를 지키다 진주성에서 전사한 강희보(姜希輔) 장군 / 이은영(李恩英) 52

1. 머리말 52

2. 가계와 생애 53

1) 가계 53

2) 생애 54

3. 임란시 활동 사항 57

1) 창의 후 단성에서 동생과 백부 구출 57

2)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전사 60

4. 맺음말 67

강희열(姜希悅) : 도원수와 방어사도 회피한 진주성으로 달려가 순절한 강희열(姜希悅) 장군 / 이은영(李恩英) 70

1. 머리말 70

2. 가계와 생애 71

1) 가계 71

2) 생애 72

3. 임란시 활동 사항 74

1) 금산 전투와 단성 전투 74

2)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 76

4. 맺음말 85

견천지(堅川至) : 경주 의병장 송고(松皐) 견천지(堅川至) 장군 / 이준락(李俊落) 88

1. 머리말 88

2. 임진왜란의 발발(勃發) 89

1)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 국내 상황 89

2) 임진왜란 89

3. 창의(倡義)를 꿈꾸는 견천지 92

1) 불국사 범영루(汎影樓) 우국시회(憂國詩會)에 참석하다 92

2) 유정(柳汀)에게 편지를 보내다 93

4) 표형(表兄) 이태립의 영향 93

4. 의병장 견천지의 의병활동 94

1) 창의(倡義) 거병(擧兵) 94

2) 의병장으로써의 첫 출전(병영성 기습전) 95

3) 문천회맹과 서천대전 95

4) 반야월 전투의 승리 96

5) 제2차 문천회맹 96

6) 구강회맹(鷗江會盟)에서 동고록(同苦錄)을 작성하다 97

7) 동해안 전투 97

8) 팔공산 전투 97

9) 정유재란(丁酉再亂) 98

10) 도산성(島山城) 전투와 견천지의 전사 99

5. 맺음말 100

고경명(髙敬命) : 충렬공(忠烈公)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 선생의 세독충정(世篤忠貞) / 김장수(金長洙) 104

1. 들어가는 말 104

2. 임진왜란 발발전의 상황 105

3. 왜란, 7년 전란이 시작되었다 108

4. 제봉선생의 가계와 의병의 성군 기반 109

5. 제봉선생의 생애와 관직생활 111

6. 고경명 의병의 영향 116

7. 제봉선생의 저술 118

유서석록(遊瑞石錄) 119

격제도서(檄諸道書) 119

정기록(正氣錄) 120

호안국진회불식론(胡安國秦檜不識論) 120

불이재명(不已齋銘) 121

8. 학문과 사상 121

9. 후대의 칭송과 나라의 포숭(褒崇) 122

곳곳에 사우가 건립되다 122

증직을 내리고 부조를 명하다 123

정려를 내리고 후손을 서용하다 124

비문과 행장 등을 짓다 124

나라에서 제사드리다 124

고상안(髙尙顔) : 공적인물(功績人物) 고상안(高尙顔) 선생 / 고영조(高榮照) 126

1. 머리말 126

2. 출생과 가계 127

3. 임란활동공적(壬亂活動功績) 129

4. 임란이후 활동 134

5. 학문활동 134

1) 농가월령(農家月令) 134

2) 효빈잡기(效嚬雜記) 138

고상증(髙尙曾) : 성재 고상증(高尙曾) 선생 / 고만진(高晩鎭) 142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정유재란(丁酉再亂)기의 의병활동(義兵活動) 142

성재집(省齋集)의 간행(刊行)과 내용(內容) 147

고언백(髙彦伯) : 왕릉(王陵)을 지켜낸 선무공신(宣武功臣) 고언백(高彦伯) 장군 / 이은영(李恩英) 152

1. 머리말 152

2. 가계와 생애 153

1) 가계 153

2) 생애 155

3. 임란시 활동 사항 159

1) 왕릉을 지킴 159

2) 제1차 울산전투 164

4. 선무공신(宣武功臣) 3등에 녹훈 166

5. 임진왜란 후의 삶 167

고인계(髙仁繼) : 월봉 고인계(高仁繼) 선생 / 고재하(高在夏) 172

1. 머리말 172

2. 가계(家系) 172

3. 임진란 공적 173

4. 관적(官績) 175

5. 선비精神 177

곽율(郭𧺝) : 예곡(禮谷) 곽율(郭𧺝)선생의 사상과 임란창의 / 김해영(金海榮) 180

1. 머리말 180

2. 가계와 생애 181

3. 학문적 연원 182

4. 위민치적과 선비정신 182

5. 임란창의(壬亂倡義) 183

6. 맺는 말 185

곽재겸(郭再謙) : 괴헌(槐軒) 곽재겸(郭再謙) 선생의 생애와 임란창의 / 김해영(金海榮) 188

곽재우(郭再祐) : 망우당(忘憂堂) 곽재우(郭再祐) 장군의 생애와 행적 / 김해영(金海榮) 192

1. 출생과 가계 192

2. 임진왜란과 의병 활동 194

1) 의거 194

2) 기병 초기의 의병 활동 195

3) 격서 사건 197

4) 이후의 의병 활동 198

3. 임란 이후의 행적 200

1) 벼슬살이와 유배 200

2) 벽곡찬송(辟穀餐松) 202

3) 광해조 203

4. 괴오기위(魁梧奇偉)한 선비의 삶 205

곽준(郭䞭) : 안음현감 곽준(郭䞭)선생의 황석산성 혈전(血戰) / 김해영(金海榮) 208

1. 머리말 208

2. 신도비명(神道碑銘) 209

구회신(具懷愼) : 계암공(溪巖) 구회신(具懷愼)의 생애와 임진란 창의 / 구본욱(具本旭) 216

1. 서론 216

2. 가계 및 생애 216

3. 임진왜란과 창의 221

4. 강학과 교유 224

5. 표절사 배향 228

6. 결론 229

권극(權극) : 유생(儒生) 신분으로 구국(救國)에 투신한 권극(權극) 선생 / 이은영(李恩英) 230

1. 머리말 230

2. 가계와 생애 231

1) 가계 231

2) 생애 234

3. 임란시 활동 사항 235

4. 맺음말 237

권덕무(權德武) : 싸우면 반드시 이기고 죽어서는 용맹으로 이름난 권덕무(權德武) 선생 / 이은영(李恩英) 240

1. 머리말 240

2. 가계와 생애 241

1) 가계 241

2) 생애 244

3. 임란시 활동 사항 245

1) 한천 전투와 토적 평정 245

2) 영천성 수복전 247

3) 구담 전투와 형산강 전투 249

4) 군비 충당, 그리고 도산 전투에서 전사 250

4. 맺음말(공신녹훈) 251

권덕시(權德時) : 의리를 위해 목숨을 바칠 것을 맹서했던 권덕시(權德時) 장군 / 이은영(李恩英) 254

1. 머리말 254

2. 가계와 생애 255

1) 가계 255

2) 생애 258

3. 임란시 활동 사항 260

1) 임란 최초의 승전인 한천 전투와 토적 평정 260

2) 영천성 수복전 262

3) 서악 전투와 서악동고록, 그리고 형산강 전투 264

4) 군비 충당과 도산성 포위 267

4. 맺음말(공신녹훈) 268

권복시(權復始) : 7년간 전공을 세우고도 보상을 바라지 않은 권복시(權復始) 선생 / 이은영(李恩英) 272

1. 머리말 272

2. 가계와 생애 273

1) 가계 273

2) 생애 275

3. 임란시 활동 사항 277

1) 추평 전투와 영천성 수복전 277

2) 노곡 전투와 경주성 탈환전 280

3) 안강 전투 283

4) 팔공산회맹과 팔공산 전투 283

5) 화왕산회맹과 화왕산성 방어 285

4. 맺음말 287

권복흥(權復興) : 병든 다리로 구국 항전을 외면할 수 없었던 오모재(五慕齋) 권복흥(權復興) 선생 / 이은영(李恩英) 290

1. 머리말 290

2. 가계와 생애 291

1) 가계 291

2) 생애 293

3. 다대포 전투에서 전사 295

1) 다대포 전투에서 전사 295

2) 부인 류씨의 순절 296

3) 『일성록』에 실린 자료 296

4) 권복흥유허비 298

4. 맺음말 301

권사민(權士敏) : 충군순국(忠君殉國)을 결의하고 왜군 격퇴에 힘쓴 권사민(權士敏) 선생 / 이은영(李恩英) 304

1. 머리말 304

2. 가계와 생애 305

1) 가계 305

2) 생애 307

3. 임란시 활동 사항 309

1) 영천성 수복전 309

2) 제2차 경주성 탈환전 312

3) 당교회맹과 당교 전투 313

4) 약암 전투와 정진 전투 314

5) 팔공산회맹 315

6) 화왕산성 방어 316

4. 임진왜란 후의 삶 318

5. 맺음말 318

권사악(權士諤) : 7년간 수차례 맹서한대로 종회무진 왜군 격퇴에 힘쓴 권사악(權士諤) 선생 / 이은영(李恩英) 322

1. 머리말 322

2. 가계와 생애 323

1) 가계 323

2) 생애 325

3. 임란시 활동 사항 328

1) 강무회와 창의 328

2) 문천회맹 328

3) 선도산 전투와 형산강 전투 331

4) 영천성 수복전 332

5) 개운포 전투 334

6) 구강회맹 334

7) 팔공산회맹 336

8) 화왕산성 방어 337

4. 맺음말(공신녹훈) 339

권삼변(權三變) : 학산(鶴山) 권삼변(權三變) 선생 공적(功績) / 권기덕(權奇德) 342

1. 머리말 342

2. 鶴山(학산) 선생의 生涯(생애) 343

1) 가계(家系)와 효심(孝心) 343

2) 日本(일본)에서의 捕虜生活(포로생활) 345

3) 귀국 후 孝道(효도)와 後學養成(후학양성) 346

3. 맺는말 353

권설(權契) : 화왕산성 방어에 힘쓴 영남 충의사(忠義士) 권설(權契) 선생 / 이은영(李恩英) 356

1. 머리말 356

2. 가계와 생애 357

1) 가계 357

2) 생애 360

3. 화왕산성 방어 361

4. 맺음말 365

권여정(權汝精) : 7년간 종횡무진 왜군 격퇴에 힘쓴 영일 의병장 권여정(權汝精) 선생 / 이은영(李恩英) 368

1. 머리말 368

2. 가계와 생애 369

1) 가계 369

2) 생애 372

3. 임란시 활동 사항 374

1) 안강전투와 문천회맹 374

2) 영천성 수복전과 경주성 탈환전 376

3) 당교회맹과 당교전투 379

4) 안강전투 380

5) 팔공산회맹 381

6) 화왕산회맹과 화왕산성 방어 382

7) 도산성전투 384

4. 맺음말 385

권열(權說) : 임란 호국에 공을 세운 영남 충의사(忠義士) 권열(權說) 선생 / 이은영(李恩英) 388

1. 머리말 388

2. 가계와 생애 389

1) 가계 389

2) 생애 391

3. 화왕산성 방어 392

4. 맺음말 396

권율(權慄) : 권율(權慄)도원수(都元帥)의 생애(生涯)와 치적(治績) / 권오섭(權五燮) 398

1. 출생(出生)과 가계(家系) 399

2. 성품(性品) 400

1) 기질(氣質) 400

2) 충성심(忠誠心) 401

3) 용맹(勇猛) 401

4) 선견지명(先見之明) 401

3. 왜란의 발발(勃發)과 승전(勝戰) 402

4. 광주목사 시절 403

1) 약법 十조(約法 十條) 403

2) 곰치재 전투 404

3) 배치재 전투 406

5. 전라감사(全羅監使) 시절 406

1) 수원독성(水原禿城) 전투 406

2) 행주대첩(幸州大捷) 406

3) 서울탈환 408

6. 도원수(都元帥) 시절 411

1) 도원수의 애로(隘路) 411

2) 도원수의 활동(活動) 412

7. 정유재란(丁酉再亂)과 활동 413

1) 서울수호 413

2) 한강 수비(守備) 413

3) 정유재란의 대비책(對備策) 414

4) 소사(素砂)대첩 414

5) 울산 싸움 415

8. 왜란의 종결(終結)과 서거(逝去) 416

권응기(權應箕) : 형을 그림자처럼 도우며 의병활동을 전개한 권응기(權應箕) 선생 / 이은영(李恩英) 426

1. 머리말 426

2. 가계와 생애 427

1) 가계 427

2) 생애 430

3. 임란시 활동 사항 431

1) 한천 전투와 박연 전투 431

2) 영천성 수복전 433

3) 형산강 전투 437

4) 정유재란과 도산 전투 438

4. 맺음말(공신녹훈) 440

권응생(權應生) : 7년간 왜군 격퇴에 힘쓰고 아무런 보상도 못 받은 권응생(權應生) 선생 / 이은영(李恩英) 442

1. 머리말 442

2. 가계와 생애 443

1) 가계 443

2) 생애 445

3. 임란시 활동 사항 447

1) 창의 447

2) 문천회맹 448

3) 영천성 수복전 450

4) 노곡 전투 452

5) 경주성 탈환전 453

6) 당교회맹과 당교 전투 454

7) 팔공산회맹 456

8) 화왕회맹과 화왕산성 방어 458

4. 맺음말 459

5. 임진왜란 후의 삶 460

권응수(權應銖) : 권응수(權應銖) 장군의 임진왜란기 전공 / 노승석(盧承奭) 464

1. 출생과 장년기 464

2. 임진왜란과 의병봉기 467

1) 한천승첩(漢川勝捷) 468

2) 영천성의 복성 469

3) 경주성 수복 473

3. 선조의 유지(有旨)와 작전활동 477

4. 전공과 포상 481

권응심(權應心) : 나랏일에 죽는 것을 뜻으로 삼고 활약하다 전사한 권응심(權應心) 장군 / 이은영(李恩英) 488

1. 머리말 488

2. 가계와 생애 489

1) 가계 489

2) 생애 492

3. 임란시 활동 사항 494

1) 한천 전투와 박연 전투 494

2) 영천성 수복전 496

3) 형산강 전투와 팔공산 회맹 499

4) 정유재란과 도산 전투 502

4. 맺음말(공신녹훈) 505

권응전(權應銓) : 모든 공을 형에게 돌린 선무원종공신 2등 권응전(權應銓) 장군 / 이은영(李恩英) 508

1. 머리말 508

2. 가계와 생애 509

1) 가계 509

2) 생애 512

3. 임란시 활동 사항 513

1) 임란 최초의 승전인 한천 전투 513

2) 영천성 수복전과 형산강 전투 514

3) 팔공산 회맹과 정유재란 517

4. 맺음말(공신녹훈) 519

권응평(權應平) : 조선 중흥을 위해 노력한 선무원종공신 1등 권응평(權應平) 장군 / 이은영(李恩英) 522

1. 머리말 522

2. 가계와 생애 523

1) 가계 523

2) 생애 525

3. 임란시 활동 사항 527

1) 임란 최초의 승전인 한천 전투 527

2) 영천성 수복전 529

3) 팔공산 회맹과 정유재란 535

4. 맺음말(공신 녹훈) 538

권전(權詮) : 이순신과 함께 역전동사(力戰同死)한 권전(權銓) 장군 / 이은영(李恩英) 540

1. 머리말 540

2. 가계와 생애 541

1) 가계 541

2) 생애 546

3. 활동 사항 548

1) 정유재란 전의 활약 548

2) 명량 대첩 553

3) 노량 해전 554

4. 맺음말(공신녹훈) 557

권준(權俊) : 선봉에서 해전을 연승으로 이끈 명장 권준(權俊) 장군 / 이은영(李恩英) 560

1. 머리말 560

2. 가계와 생애 561

1) 가계 561

2) 생애 564

3. 임란시 활동 사항 565

1) 이순신에게 출격 촉구 566

2) 옥포해전 567

3) 사천해전 568

4) 당포해전 569

5) 한산대첩 570

6) 부산포해전 572

7) 경상우수사에 재임용 573

8) 정유재란 후의 활약 573

4. 임란 후의 삶 575

1) 명나라 군사 철수에 대한 의견 개진 575

2) 왜군 토벌자에 대한 시상을 청함 575

3) 수원 지역 방비 책임 576

4) 남북 무장 10인 가운데 1인 577

5) 선무공신에 녹훈 578

5. 맺음말 581

권직(權稷) : 약관의 나이로 의병에 참여한 영남 충의사(忠義士) 권직(權稷) 선생 / 이은영(李恩英) 584

1. 머리말 584

2. 가계와 생애 585

1) 가계 585

2) 생애 587

3. 화왕산성 방어 589

4. 맺음말 592

권치렴(權致濂) : 선무원종공신 2등에 녹훈된 권치렴(權致濂) 선생 / 이은영(李恩英) 594

1. 머리말 594

2. 가계와 생애 595

1) 가계 595

2) 생애 598

3. 임란시 활동 사항 599

1) 임란 최초의 승전인 한천 전투 599

2) 영천성 수복전과 경주성 탈환전 600

3) 서악 전투와 서악동고록 600

4) 울산 전투 601

4. 맺음말(공신녹훈) 603

권협(權悏) :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나라를 구(救)한 명신(名臣) 권협(權悏) 선생 606

1. 가계 606

2. 임진왜란(壬辰倭亂) 이전의 삶 610

3. 임진왜란 당시의 활동 611

4. 임진왜란 이후의 생애 616

5. 평가 617

금응훈(琴應壎) : 의병을 일으켜 왜군에 대항했던 면진재(勉進齋) 금응훈(琴應壎)선생 / 정은주(鄭恩周) 620

1. 머리말 620

2. 가계와 생애 621

1) 금응훈의 가계 621

2) 금응훈의 생애 622

3. 임란 시 활동사항 625

4. 맺음말 630

기효증(奇孝曾) : 고난을 무릅쓰고 의주 행재소에 의병과 의곡을 운송한 기효증(奇孝曾) 선생 / 이은영(李恩英) 634

1. 머리말 634

2. 가계와 생애 635

1) 가계 635

2) 생애 636

3. 임란시 활동 사항 640

1) 의병과 의곡을 모아 행재소로 향하다 640

2) 김덕령 의병진에서의 활약 644

4. 맺음말 645

김각(金覺) : 상의군(尙義軍) 의병장(義兵將) 석천(石川) 김각(金覺) 선생 / 김정찬(金鄭瓚) 648

1. 석천 김각의 가계와 생애 648

2. 창의사실 650

1) 교서 650

2) 장계 651

3) 일기초략 651

4) 진창의토적전말 잉사상직소 657

5) 근서석천김선생 창의사실후 661

6) 격도내체진문 662

7) 재격도내문 663

8) 창의사실 진영 기록 664

3. 맺는말 664

김개국(金盖國) : 만취당(晩翠堂) 김개국(金盖國) 선생 / 이욱(李旭) 666

1. 머리말 666

2. 만취당의 가계(家系)와 학통(學統) 667

3. 만취당의 의병 활동 670

1) 일본군의 죽령 진출 저지 670

2) 당교(唐橋) 전투 참전 673

4. 만취당의 관직 생활 675

5. 맺음말 680

김건(金睷) : 십대의 나이로 수륙(水陸)에서 충과 효를 모두 이룬 김건(金睷) 선생 / 이은영(李恩英) 684

1. 머리말 684

2. 가계와 생애 685

1) 가계 685

2) 생애 686

3. 임란시 활동 사항 687

1) 팔공산 전투 687

2) 화왕산성 방어 688

3) 노량해전 689

4. 맺음말 692

김겸(金謙) : 소헌(素軒) 김겸(金謙) 선생의 의병활동 / 김용만(金容晩) 694

1. 머리말 694

2. 선대 세계(先代 世系) 695

3. 임진왜란 초기 전투양상과 상주 북천전투 695

4. 찰방공 김종무를 통해 본 소헌 행적 697

5. 묘갈명에 나타난 소헌공 위상 699

6. 맺는말 700

김경수(金景壽) : 임진란 장성남문창의 맹주(壬辰亂 長成南門倡義 盟主) 오천(鰲川) 김경수(金景壽) 선생의 생애와 공적 / 김정수(金正洙) 702

1. 머리말 702

2. 출생·가계(家系) 703

3. 수학(修學) 704

4. 누차의 천수(薦授)·불취(不就) 705

5. 임진왜란 발발 706

1) 남문에 의병도청(義兵都廳) 설치 707

2) 군(軍) 편성 708

3) 북으로 진군(進軍) 709

4) 해남에서 구전대파(九戰大破) 710

5) 진주성의 옥쇄(玉碎) 710

6) 소사(素沙)의 승전고(勝戰鼓) 711

6. 여생(餘生) 712

7. 몰후(歿後) 712

김광두(金光斗) : 임란창의(壬亂倡義) 일묵재(一黙齋) 김광두(金光斗) 선생 716

1. 머리말 716

2. 공의 가계(家系)와 성장기(成長期) 717

3. 임진란 관련사항 718

1) 초기의 활동 719

2) 일묵재공과 창의군의 활동 721

3) 상의군의 조직과 활동 723

4) 충보군의 조직 및 활동 725

5) 상주성의 탈환 726

4. 임란이후의 활동사항 726

1) 존애원(存愛院) 창건 726

2) 도남서원 창건 728

3) 기타활동 729

5. 맺는글 732

김난서(金鸞瑞) : 선정을 베푸는 중에도 왜군 격퇴에 힘쓴 경모재(敬慕齋) 김난서(金鸞瑞) 선생 / 이은영(李恩英) 734

1. 머리말 734

2. 가계와 생애 735

3. 임란시 활동 사항 737

1) 제1차 진주성 전투 738

2) 대구 파잠재 전투 739

3) 팔공산회맹과 화왕산성회맹 및 화왕산성 방어에 대한 논란 740

4) 제1차 도산 전투 741

4. 맺음말(공신녹훈) 746

김대수(金大壽) : 이순신 휘하에서 막좌로 활약한 선무원공신 김대수(金大壽) 장군 / 이은영(李恩英) 748

1. 머리말 748

2. 가계와 생애 749

1) 가계 749

2) 생애 751

3. 임란시 활동 사항 752

1) 옥포해전 752

2) 이순신의 장계를 갖고 임금의 행재소로 떠남 753

4. 맺음말(공신녹훈) 755

김대해(金大海) : 소곡[召谷] 김대해(金大海) 선생의 임란 의병활동 - 견위수명(見危授命)의 치열한 실천 - / 김학수(金鶴洙) 758

1. 경주김씨 소곡가문(召谷家門)의 연원 758

1) 김자양(金自養)의 영천 이거와 경주김씨의 새로운 도약 758

2) 북안(北安) 정착과 선비가문으로의 발전 760

3) 소곡(召谷) 김대해(金大海)의 인적 연계망 761

2. 소곡(召谷) 김대해(金大海)의 임란 활동과 순국 : 견위수명(見危授命)의 실천 763

1) 비범한 성장 763

2) 임진왜란과 견위수명(見危授命)의 치열한 실천 764

3. 충현론(忠賢論)에 바탕한 현양사업 : 고천서원(古川書院) 제향을 중심으로 769

4. 소곡가문(召谷家門)의 역사적 전개 : 충(忠)·효(孝)·학(學)에 바탕한 유교적 가치의 계승과 발전 770

김대현(金大賢) : 유연당(悠然堂) 김대현(金大賢) 선생 / 김창현(金昌鉉) 774

1. 머리말 774

2. 가계(家系)와 문중의 중흥 777

3. 임진왜란과 살신성인(殺身成人) 실천 779

4. 죽음을 무릅쓴 상소 780

「척화소(斥和所)」 780

「회복하여 난국을 구원하기를 청하는 소請恢復救難疏」 784

5. 임란후 활동과 팔연오계(八蓮五桂) 796

김덕령(金德齡) : 비운의 의병장 충장공(忠壯公) 김덕령(金德齡) 장군의 생애 / 김양균(金亮均) 802

일본의 독도(獨島) 야욕 종군 위안부 망언 802

의향(義鄕)과 의인(義人) 802

광산김씨 낭장공파(光山金氏 郎將公派) 803

유가(儒家)의 학문수업 803

광산김씨 5대 종파 804

김덕령 장군의 효심 804

전설과 설화 804

전라도에 대한 홀대와 차별 805

훈요십조(訓要十條) 805

정여립(鄭汝立)의 모반과 반역지향(叛逆之鄕) 806

형(덕홍:德弘)과 함께 기병(起兵) 출정(出征) 806

묵최(墨縗)를 입고 모병 806

초승군(超乘軍)·익호장군(翼虎將軍)·충용장(忠勇將) 807

최담령(崔聃齡)발탁 별장(別將) 기용 808

노문(路文) 808

무등산 주검동(鑄劍洞)과 월아산(月牙山) 제무소(製武所) 808

월아산 아래 둔전(屯田) 조성 808

이격영남문(移檄嶺南文) 809

곽재우(郭再祐) 장군과 긴밀 협조 서찰 810

고성(固城)과 창원(昌原)에서의 전승 810

진주성(晋州城)에서 순절장병 추모제 810

조선 8도 의병의 총수 811

이순신(李舜臣) 장군과 수륙연합작전[장문포 작전(長文浦 作戰)] 수행 811

의령(宜寧) 정암(鼎巖) 전투 811

선제공격 주청 : 이우섭(李雨燮) 선생 작성의 비문 812

적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는 김 장군의 화상(畵像)만 보고도 맞서 싸우기를 기피 812

김덕령 장군의 영웅관 813

군기(軍紀)의 엄정한 확립 813

이몽학(李夢鶴)의 모반과 김 장군에 대한 참소 813

춘산곡(春山曲) 814

김장군의 여타의 시작품 815

이정암의 애도시 815

선조의 용렬함과 당파싸움 815

김덕령 장군의 원사(寃死)와 낭장공파의 몰락 816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라도는 초토화됨 816

의승(醫僧) 게이넨(慶念)의 『조선일일기(朝鮮日日記)』 817

정유재란 때 모병의 어려움 817

이정암의 상소 818

김덕령 장군에 대한 신원(伸寃) 818

『어제사제문(御製賜祭文)』 819

『윤음(綸音)』 820

『어제 김충장유사 서(御製 金忠壯遺事 序)』 821

충장사(忠壯祠)의 건립과 김 장군의 유해(遺骸) 이장 822

김두남(金斗南) : 충효를 다한 덕탄(德灘) 김두남(金斗南) 선생 / 김태균(金泰均) 824

1. 유소년 시기 824

2. 청년 시기 825

3. 임진왜란시 의병활동 825

4. 효자 정려 표창(孝子 旌閭 表彰) 826

5. 공적(功績)을 기리다 828

김득기(金得器) : 죽음을 각오하고 순국(殉國)한 김득기(金得器) 선생 / 이은영(李恩英) 832

1. 머리말 832

2. 가계와 생애 833

1) 가계 833

2) 생애 834

3. 임란시 활동 사항 837

1) 김해성 전투에서 순국 837

2) 찾지 못한 시신 840

4. 맺음말 841

김득복(金得福) : 충의로써 분발하여 몸을 돌보지 않고 활약한 김득복(金得福) 선생 / 이은영(李恩英) 844

1. 머리말 844

2. 가계와 생애 845

1) 가계 845

2) 생애 846

3. 임란시 활동 사항 848

1) 창의 848

2) 문천회맹 850

3) 나아 전투와 석읍 전투, 그리고 문천 전투 852

4) 영천성 수복전 854

5) 제2차 경주성 탈환전 855

6) 우산 전투 857

7) 구휼과 둔전 858

8) 구강회맹 859

9) 영지 전투와 열박산 전투 859

10) 달현 전투 861

11) 제2차 팔공산회맹 861

12) 정유재란 발발 후 이순신 휘하에서 활약, 그리고 한산도 해전 863

4. 임진왜란 후의 삶 864

5. 맺음말(공신녹훈) 864

김득추(金得秋) : 7년 내내 강개한 기개와 절조를 드러낸 구재(懼齋) 김득추(金得秋) 선생 / 이은영(李恩英) 868

1. 머리말 868

2. 가계와 생애 869

1) 가계 869

2) 생애 870

3. 임란시 활동 사항 872

1) 문천 회맹과 문천 전투 872

2) 영천성 수복전과 경주성 탈환전 874

3) 영지 전투 877

4) 금장대 전투 878

5) 화왕산성 방어 879

4. 맺음말(공신녹훈) 880

판권기 882

표제지

일러두기

목차

김륵(金玏) : 민절공(敏節公) 백암(栢巖) 김륵(金玏) 선생 / 김태곤(金兌坤) 892

1. 머리말 892

2. 출생과 가계 893

3. 학문의 시작, 퇴계(退溪)의 제자가 되다 895

용호방(龍虎榜)에 들다 896

4. 출사(出仕), 조정(朝廷)에 나아가다 896

영월(寧越)의 목민관 897

5. 임진왜란, 경상좌도 안집사(慶尙左道 安集使) 898

안집사(安集使)의 명을 받다 898

초모문(招募文)을 포고하다 899

수령을 임명하다 900

의병을 일으키다 902

왜적 격퇴, 안동부사를 겸하다 904

명군(明軍)의 군량미를 조달하다 908

경상우도 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 순찰사가 되다 909

6. 조정(朝廷)에 돌아가다 909

시무16조(時務16條)를 올리다 910

체찰부사가 되다 910

또 다시 안집사(安集使)의 명을 받다 910

파직과 귀향, 천운정(天雲亭) 시절 911

왜란의 수습, 명나라를 설득하다 912

안동 대도호부사가 되다 912

7. 오현(五賢)의 문묘 배향, 직언과 삭탈관직 913

기축옥사(己丑獄事)의 신원 913

오현(五賢)의 문묘 배향을 이루다 913

직언과 삭탈관직 913

8. 생을 마치다 914

증직(贈職)과 시호(諡號) 914

문집 간행 915

9. 출처관과 선비정신 916

출처관 916

학문과 선비정신 917

10. 백암의 후예들 918

김면(金沔) : 송암(松菴) 김면(金沔) 선생의 생애와 의병운동 / 김강식(金康植) 922

1. 머리말 922

2. 출생과 가계 923

3. 임진왜란 시기의 활동 927

1) 임진왜란 중의 전투 927

2) 임진왜란 중 경상우도 의병의 조정과 통솔 930

4. 임진왜란 이후 활동 934

5. 학문 활동과 기타 936

6. 맺음말 939

김명원(金命元) : 충익공(忠翼公) 김명원(金命元) 선생 / 김정헌(金正憲) 942

1. 인물 기본 정보 942

2. 출사(出仕) 943

3. 임진왜란 당시의 활동 946

4. 임란 이후의 활동 952

5. 학문(學問) 958

6. 품성(稟性) 961

7. 풍모/일화(風貌/逸話) 962

8. 비명(碑銘)[우계 이정귀(李廷龜) 지음] 964

김모(金毛) : 시신을 찾지 못해 초혼장(招魂葬)을 지낸 김모(金毛) 선생 / 이은영(李恩英) 968

1. 머리말 968

2. 가계와 생애 969

1) 가계 969

2) 생애 970

3. 임란시 활동 사항 973

1) 날아다니는 장군, 하늘에서 내려온 신 973

2) 조령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 진영 격퇴 975

3) 노량포에서 전사 975

4. 맺음말 977

김몽구(金夢龜) : 화서공(華棲公) 김몽구(金夢龜) 선생의 임란(壬亂) 의병사(義兵史) / 김효술(金孝述) 980

1. 화서공(華棲公)의 가계(家系) 980

2. 퇴계학파 화서공(退溪學派 華棲公) 981

3. 임진왜란 982

4. 일본군의 침탈 983

5. 한천(漢川)전투 984

6. 영천성 전투 987

7. 경주성 탈환 991

8. 임진왜란 화서공(華棲公) 992

9. 임진왜란 後記 994

김사원(金士元) : 안동의진 의성 정제장 김사원(金士元) 선생 / 김항회(金杭會) 996

1. 출신과 생애 996

2. 학업의 길에서 997

3. 안동 의병진에서 의성 정제장 999

완의약조(完議約條) 1000

4. 임란이후 활동과 흔적을 찾아서 1001

묘갈명 2수 1002

월란정사 1002

김사정(金士貞) : 곽재우 화앙산성 의진의 김사정(金士貞) 선생 / 김항회(金杭會) 1004

1. 출신과 생애 1004

2. 학문의 길에서 1005

3. 임진왜란 의진에서 1006

4. 임란이후 활동 1008

김사준(金士俊) : 시신조차 찾지 못해 초혼장을 치른 김사준(金士俊) 선생 / 이은영(李恩英) 1012

1. 머리말 1012

2. 가계와 생애 1013

1) 가계 1013

2) 생애 1014

3. 임란시 활동 사항 1015

1) 나아 전투 1016

2) 우산 전투 1018

3) 태화강 전투 1019

4) 석읍 전투 1020

5) 주사산 전투 1020

6) 정유재란 때 도산 전투에서 전사 1020

4. 맺음말 1022

김석견(金石堅) : 충효열(忠孝烈)을 다 바쳐 살신보국(殺身報國)한 김석견(金石堅) 선생 / 이은영(李恩英) 1024

1. 머리말 1024

2. 가계와 생애 1025

1) 가계 1025

2) 생애 1026

3. 임란시 활동 사항 1030

1) 강무회와 창의 1030

2) 영천성 수복전 1031

3) 경주성 탈환전 1034

4) 유포 전투 1035

5) 휴항퇴 전투 1036

6) 팔공산회맹 1037

7) 곽천 전투에서 둘재 아들 전사 1038

8) 창암 전투 1039

9) 작산 전투 1041

10) 겸양의 사표 1042

4. 맺음말(공신녹훈) 1043

김선계(金善繼) : 팔공산회맹의 맹세대로 화왕산성 방어에 나선 김선계(金善繼) / 이은영(李恩英) 1046

1. 머리말 1046

2. 가계와 생애 1047

1) 가계 1047

2) 생애 1048

3. 임란시 활동 사항 1049

1) 임진왜란 초 1049

2) 제1차 팔공산회맹 1050

3) 화왕산성 방어 1051

4. 맺음말 1054

김성률(金聲律) : 어모장군(禦侮將軍) 김성률(金聲律) 장군의 의병사 / 김형규(金亨圭) 1056

1. 가계 및 성장 과정 1056

2. 임진왜란과 무계전투(茂溪戰鬪) 1057

1) 무계리(茂溪里)의 위치 1057

2) 무계전투와 삼형제(金聲律 金聲振 金聲徹)의 참전 1057

3) 곽재우 장군과의 교류 1059

3. 기타 1059

김성일(金誠一) : 문춘공 학봉 김성일(金誠一) 선생 / 김명준(金明俊) 1060

1. 머리말 1060

2. 출생과 가계 1061

3. 임진왜란 전 행적 1062

1) 애민과 직간의 전상호 1062

2) 군정 개혁과 대동법 시행을 건의하고 목민의 뜻을 펴다 1063

3) 일본 통신부사에 차임되다 1064

4) 풍신수길을 만나기 전의 사행 1065

5) 풍신수길과의 만남과 두 나라의 국서 1066

6) 일본 정세에 대한 논란 ; 귀국보고 1067

7) 왕의 특명으로 확인한 왜의 침략계획 ; 귀국보고 한 달 후 1069

8) 세 번의 차자 ; 군정 개혁과 한겨울 축성 정지 등 건의 1071

4. 의병창기의 진주대첩 1072

1) 임진왜란 최초의 승전과 초유사 임명 1072

2) 초유격문과 의병 창기 1073

3) 진주의 중요성과 학봉의 방어 대책 1075

4) 진주성 내외 병력배치와 장병들의 공적 1077

5) 진주대첩 ; 조선의 목숨을 구한 위대한 승리 1078

6) 학봉의 순국 1079

5. 학문 1081

1) 퇴계 선생으로부터 최고의 찬사와 병명과 천거를 받다 1081

2) 영남 학맥의 연원 1081

김성진(金聲振) : 참봉공 김성진(金聲振) 선생의 의병사 / 김형규(金亨圭) 1084

1. 가계 및 성장 과정 1084

2. 임진왜란과 무계전투(茂溪戰鬪) 1085

1) 무계리(茂溪里)의 위치 1085

2) 무계전투와 삼형제(金聲律, 金聲振, 金聲徹)의 참전 1085

3. 기타 1087

김성철(金聲徹) : 참봉공 김성철(金聲徹) 선생의 의병사 / 김형규(金亨圭) 1088

1. 가계 및 성장 과정 1088

2. 임진왜란과 무계전투(茂溪戰鬪) 1089

1) 무계리(茂溪里)의 위치 1089

2) 무계전투와 삼형제(金聲律 金聲振 金聲徹)의 참전 1089

3. 기타 1091

김성하(金成夏) : 7년간 왜군 격퇴에 분전한 김성하(金成夏) 장군 / 이은영(李恩英) 1092

1. 머리말 1092

2. 가계와 생애 1093

1) 가계 1093

2) 생애 1094

3. 임란시 활동 사항 1095

1) 문천회맹 1095

2) 경주성 탈환전 1096

3) 도산 전투 1099

4. 맺음말(공신녹훈) 1103

김수(金守) : 월봉(月峰) 김수(金守) 선생 / 정은주(鄭恩周) 1106

1. 머리말 1106

2. 가계와 생애 1107

1) 김수의 가계 1107

2) 김수의 생애 1109

3. 임란 시 활동사항 1110

1) 순천 부근과 사천 전투 1110

2) 제2차 울산성 전투 1114

4. 맺음말 1115

김수리(金秀理) : 부인(婦人)과 함께 충의(忠義)를 이룬 김수리(金秀理) 선생 / 이은영(李恩英) 1118

1. 머리말 1118

2. 가계와 생애 1119

1) 가계 1119

2) 생애 1121

3. 임란시 활동 사항 1123

1) 하늘과 산신에게 제사 지냄 1123

2) 창의 1124

3) 우산(牛山) 전투 1125

4) 석읍(石邑) 전투 1125

5) 부족한 사료 1126

6) 부인 박씨의 활약 1127

4. 맺음말(공신녹훈) 1127

김시민(金時敏) : 충무공(忠武公) 김시민(金時敏) 장군 / 조영임(曺永任) 1136

1. 충무공의 연원(淵源)과 가계(家系) 1136

2. 호협한 유소년시절과 환로(宦路) 1139

3. 임진왜란의 활약과 진주대첩 1142

4. 사후 추숭과 제향 1146

1) 선무공신교서·시호교지·제문 1146

2) 전성각적비·촉석루 정충단비·창렬사·충민사 1152

김연(金連) : 후세에 부끄럽지 않도록 나라 사랑에 충성을 다한 김연(金連) 선생 / 이은영(李恩英) 1156

1. 머리말 1156

2. 가계와 생애 1157

1) 가계 1157

2) 생애 1158

3. 임란시 활동 사항 1159

1) 기강 전투와 정암진 전투 1159

2) 현풍의 왜군 퇴각과 영산 전투 1161

3) 제1차 진주성 전투 1163

4) 화왕산성 방어 1165

4. 맺음말 1167

김연(金演) : 노항(魯巷) 김연(金演) 선생의 임란 행적과 경주김씨 노항가문(魯巷家門)의 역사적 전개 / 김학수(金鶴洙) 1168

1. 경주김씨 노항가문(魯巷家門)의 연원 1168

1) 15세기 초반 영천 이거와 세거 기반의 확보 1168

2) 노항리(魯巷里) 정착과 사회적 기반의 강화 1169

3) 퇴계학(退溪學)의 수용 : 영천지역 퇴계학파의 구심점 1170

2. 노항(魯巷) 김연(金演)의 선비적 삶과 임란 순국 1172

1) 김연의 생애와 선비적 삶 1172

2) 임란 순국과 선비정신의 실현 1175

3. 조선후기 노항가문의 역사적 전개와 그 자취 1182

1) 지산(芝山)·여헌학(旅軒學)의 계승과 학자집안으로의 성장 1182

2) 노항가문의 300년 터전 : 황강(黃岡) 1184

3) 노항가문의 중흥 : 우담(愚潭) 김준희(金俊熙)를 중심으로 1185

4. 결어 1186

김용(金涌) : 운천공(雲川公) 김용(金涌) 선생 1190

1. 운천공(雲川公) 김용(金涌)의 세계(世系) 1190

2. 운천공(雲川公) 김용(金涌)의 생애(生涯) 1191

3. 운천공(雲川公) 김용(金涌)의 임진년 모병문(募兵文) 1197

4. 운천공(雲川公) 김용(金涌)의 주요 유물(遺物) 1198

1) 『호종일기(扈從日記)』 : 보물 제484호 1198

2) 『승정원일기초(承政院日記草)』 : 一名 경연주대(經筵奏對) 1199

5. 운천공(雲川公) 김용(金涌)의 묘명(墓銘) 1200

6. 운천공(雲川公) 김 용(金 涌)의 후예(後裔)들의 행적 1204

김우련(金遇鍊) : 송재(松齋) 김우련(金遇鍊) 선생의 壬亂功績 / 김팔영(金八永) 1214

1. 머리말 1214

2. 임란 창의과정 1215

3. 문천회맹 참가 1216

4. 경주읍성 서천전투 1217

5. 당교지역전투(唐橋地域戰鬪) 1218

6. 八公會盟 1219

7. 火旺山 會盟 1220

8. 임란 후의 行績 1221

1) 丙子胡亂 倡義 1221

2) 자인현의 복현운동 1222

김우옹(金宇顒) : 아낌없는 진언으로 국가를 위한 계책들을 내놓은 문정공(文貞公) 김우옹(金宇顒) 선생 / 이은영(李恩英) 1226

1. 머리말 1226

2. 가계와 생애 1227

1) 가계 1227

2) 생애 1228

3. 끊임없이 시무책과 방어책에 대해 고심함 1231

4. 임진왜란 후의 삶 1247

5. 맺음말 1248

김우용(金遇鎔) : 송정(松亭) 김우용(金遇鎔) 선생의 임란공적(壬亂功績) / 김상조(金相助) 1250

1. 머리말 1250

2. 임란 창의과정 1251

3. 문천회맹(蚊川會盟) 참가 1252

4. 경주읍성(慶州邑城) 서천전투(西天戰鬪) 1253

5. 당교지역전투(唐橋地域戰鬪) 1254

6. 팔공회맹(八公會盟) 1255

7. 화왕산회맹(火旺山會盟) 1256

8. 임란후의 행적 1257

김윤룡(金潤龍) : 축적해둔 충성과 의리를 힘껏 발휘한 이우(二憂) 김윤룡(金潤龍) / 이은영(李恩英) 1260

1. 머리말 1260

2. 가계와 생애 1261

1) 가계 1261

2) 생애 1262

3. 임란시 활동 사항 1265

1) 창의 1265

2) 망우당 곽재우 진영에서의 활약 1265

3) 임진왜란 후의 삶과 공신녹훈 과정 1267

4) 도정 김윤룡과의 공적 논란 1269

4. 맺음말(공신녹훈) 1273

김윤명(金允明) : 송간공(松磵公) 김윤명(金允明) 선생 / 이종희(李宗熙) 1276

1. 머리말 1276

2. 가계(家系) 1277

3. 성장과정 1278

4. 과환(科宦) 1278

5. 임란시 활동 1279

6. 기타 사회 활동 1281

김융(金隆) : 물암(勿巖) 김융(金隆) 선생의 처사적(處士的) 삶과 학행(學行) / 안병걸(安秉杰) 1286

국문초록 1286

1. 물암 김융 1287

1) 출생 및 성장 1287

2) 소고선생, 퇴계선생과의 만남 1288

2. 학문 활동과 교유 1293

1) 퇴계선생 추모와 서원 활동 1293

2) 사우(士友)들 간의 교유와 강학 활동 1294

3. 임진왜란과 김융의 죽음 1298

1) 임진왜란 초기의 활동 1298

2) 갑작스러운 죽음 1299

4. 김융의 저술 1301

1) 『물암집』 1301

2) 『삼서강록』 1301

5. 맺음말 1304

김응일(金應一) : 창의의사 삼락당(三樂堂) 김응일(金應一) 선생 / 김태균(金泰均) 1306

1. 삼락당공 선계(先系) 1306

2. 유소년 시기 1307

3. 청장년 시기 1307

4. 임란 창의활동 1308

5. 공적을 기리다 1309

김응춘(金應春) : 여러 전투에 참전해 전공을 이룬 선무원종공신 1등 경암(敬菴) 김응춘(金應春) 선생 / 이은영(李恩英) 1310

1. 머리말 1310

2. 가계와 생애 1311

1) 가계 1311

2) 생애 1313

3. 임란시 활동 사항 1315

1) 양산 화제강 전투 1316

2) 서천 전투 1316

3) 경주 백률산 전투 1318

4) 동래 기장에서의 혈전 1319

4. 맺음말(공신녹훈) 1320

김응택(金應澤) : 포의처사(布衣處士)에서 의병장(義兵將)으로 순국한 백암(栢巖) 선생 / 김경림(金璟林) 1322

1. 머리말 1322

2. 출생과 가계 1324

3. 생애(生涯) 1327

1) 경주 서북쪽 외진 산촌(山村)에서 태어나다 1327

2) 인품(人品)과 자질(資質) 1327

3) 임진왜란이 터지자 용감무쌍한 의병장으로 분기하다 1329

4) 울산 서생포 전투에서 장렬하게 전사하다 1336

5) 고향인 경주 장동으로 초혼(招魂)하여 장례하다 1336

6) 의병활동을 함께 하며 생사고락을 함께 한 의병장 및 의사들 1337

7) 의병장 백암에 대한 동료 의병장들의 평가 1338

4. 관작(官爵)과 포상(褒賞) 1339

1) 훈련원의 부정(副正)과 정(正)을 제수(除授)받다 1339

2) 순국후에도 선무원종 2등공신에 서훈되고 이조판서로 증직되다 1340

5. 맺는말 1341

김응택(金應澤) : 뜨거운 정열과 담략으로 경주부 동해안을 지킨 송고(松皐) 김응택(金應澤) 선생 / 이은영(李恩英) 1346

1. 머리말 1346

2. 가계와 생애 1348

1) 가계 1348

2) 생애 1349

3. 임란시 활동 사항 1350

1) 공암에서 구국을 맹약함 1350

2) 나아 전투 1352

3) 우산 전투 1354

4) 태화강 전투 1355

5) 석읍 전투 1357

6) 주사산 전투 1358

7) 팔공산 회맹 1359

8) 정유재란과 도산 전투에서 전사 1360

4. 맺음말(공신녹훈) 1363

김응현(金應賢) : 목숨을 아까워하지 않고 의병활동에 전념한 김응현(金應賢) 선생 / 이은영(李恩英) 1366

1. 머리말 1366

2. 가계와 생애 1367

1) 가계 1367

2) 생애 1369

3. 임란시 활동 사항 1369

1) 현풍에서 창의 1369

2) 제1차 팔공산 회맹 1370

3) 화왕산성 방어 1371

4. 맺음말 1373

김인상(金麟祥) : 죽음을 마주한 순간까지 왜군에게 저항한 김인상(金麟祥) 선생 / 이은영(李恩英) 1376

1. 머리말 1376

2 가계와 생애 1377

1) 가계 1377

2) 생애 1378

3. 임란시 활동 사항 1380

1) 소천 전투에서 전사(戰死) 1380

2) 임진왜란 때의 행적이 실린 자료 1387

4. 맺음말 1391

김정민(金廷敏) : 결의한 망신순국과 맹서한 결사항전을 실천한 신와(愼窩) 김정민(金廷敏) 선생 / 이은영(李恩英) 1394

1. 머리말 1394

2. 가계와 생애 1395

1) 가계 1395

2) 생애 1397

3. 임란시 활동 사항 1398

1) 영천성 수복전 1398

2) 당교 회맹과 당교 전투 1402

3) 화왕산 회맹과 화왕산성 방어 1404

4. 맺음말(공신녹훈) 1406

김정서(金廷瑞) : 백취(栢翠) 김정서(金廷瑞) 의병장 공훈 / 김대래(金大來) 1408

1. 들어가는 말 1408

2. 가계와 생애 1408

3. 소산고개 전투와 의병 활동 1411

1) 동래성 함락과 소산고개 전투 1411

2) 언양과 창녕에서의 활동 1416

4. 기억과 추존 1418

김제민(金齊閔) : 순국의 의(義)를 다한 호남 창의사 김제민(金齊閔) 선생 / 이은영(李恩英) 1426

1. 머리말 1426

2. 가계와 생애 1427

1) 가계 1427

2) 생애 1429

3. 임란시 활동 사항 1432

1) 창의 후 웅치 전투 1432

2) 의곡 수송 및 호남 지역 방어 1434

4. 맺음말(공신녹훈) 1436

김종무(金宗武) : 상주(尙州) 북천전투(北川戰鬪)에 참전한 유일한 경상도 관원, 사근도(沙斤道) 찰발 김종무(金宗武) 선생 / 김성우(金盛宇) 1440

1. 충무공의 연원(淵源)과 가계(家系) 1440

2. 임진왜란의 발발과 조선 관군의 대응 1442

1) 일본군의 파죽지세 1442

2) 조선 관군의 대응 1442

3. 순변사(巡邊使) 이일(李鎰)의 경상도 파견과 상주 북천전투 1444

1) 제승방략(制勝方略) 전법(戰法)에 따른 군대 이동 1444

2) 상주 북천전투 1446

3. 김종무(金宗武)의 가계와 가족들 1451

김중원(金仲元) : 오위부장(五衛部將) 우천공(愚泉公) 김중원(金仲元) 가계(家系) 및 사적(事蹟) 1458

1. 출생 및 성장배경 1458

1) 출생 1458

2) 성장배경 1459

2. 의병활동사항 1459

1) 과정 1459

2) 울산연포전투 1460

3) 대구팔공산전투 1461

4) 殉節 1462

3. 家系 1463

4. 마무리 1466

5. 愚泉金公墓碣銘 1466

6. 사진자료 1467

김중청(金中淸) : 구전(苟全) 김중청(金中淸) 선생의 임란(壬亂) 의병활동 / 김세현(金世顯) 1470

1. 서언(序言) 1470

2. 구전(苟全)선생의 임란(壬亂)활동 1471

1) 가계(家系) 1471

2) 학맥(學脈) 1471

3) 임란 의병활동 1472

4) 임란 이후 1478

5) 의병장들과의 학맥(學脈) 관계 1479

3. 맺음말 1479

김천설(金天渫) : 용기를 진작시켜 전투력 향상에 도움을 준 계봉(溪峰) 김천설(金天渫) 선생 / 이은영(李恩英) 1482

1. 머리말 1482

2. 가계와 생애 1483

1) 가계 1483

2) 생애 1484

3. 화왕산성 방어 1486

4. 맺음말 1489

김천일(金千鎰) : 호남 최초의 의병, 문열공(文烈公) 김천일(金千鎰) 선생 / 박제광(朴䀸㿠) 1490

1. 머리말 1490

2. 출생과 가계 1490

3. 관직생활 1491

4. 임진왜란 당시의 활동 1493

5. 학문·사상 1504

6. 사후 평가 1506

김천택(金天澤) : 세 가지 대한(大恨)을 남기고 순절한 사봉(沙峰) 김천택(金天澤) 선택 / 이은영(李恩英) 1510

1. 머리말 1510

2. 가계와 생애 1511

1) 가계 1511

2) 생애 1512

3. 제1차 진주성 전투 1514

4. 맺음말 1516

김천호(金天灝) : 17세의 나이에도 충성스런 마음이 지대했던 동천(東泉) 김천호(金天灝) 선생 / 이은영(李恩英) 1518

1. 머리말 1518

2. 가계와 생애 1519

1) 가계 1519

2) 생애 1520

3. 화왕산성 방위 1521

4. 맺음말 1524

김치중(金致中) : 의사(義士) 김치중(金致中) 선생의 의병활동과 그 일문(一門)의 삼강정신(三綱精神) / 강석근(姜錫瑾) 1526

1. 서(序) 1526

2. 생장(生長) 1527

3. 의병활동(義兵活動) 1530

4. 일문(一門)의 삼강정신(三綱精神) 1532

5. 결어(結語) 1535

김택룡(金澤龍) : 예안의 역사인물 청난공신 조성당 김택룡 선생 / 김한구(金漢九) 1544

가. 가족관계 및 교유관계 1552

나. 경제활동 1553

다. 장례, 제사 및 회합 1554

라. 교육 1555

마. 여가 활동 및 산수의 유람 1555

바. 풍속 1556

사. 역사적 사건의 기록 1557

아. 질병과 의약 1558

차. 문학 작품의 창작 1559

김해(金垓) : 경상좌도 의병대장 김해(金垓)선생의 의병활동 / 김용한(金龍漢) 1564

1. 머리말(임진왜란의 개요) 1564

2. 김해(金垓)선생의 가계와 생애 1565

3. 임진왜란 초기 예안(禮安)지역의 의병 조직 1568

4. 안동(安東) 열읍향병(列邑鄕兵) 편성 1571

5. 맺음말(사후의 논공행상0 1579

김현룡(金見龍) : 수월재(水月齋) 김현룡( 金見龍) 의병장(義兵將)의 선비정신 / 배용일(裴勇一) 1582

1. 왜구의 동해안 침략의 사례와 대응 1582

2. 임진왜란의 발발 1583

3. 영일만권의 창의 1583

4. 수월재의 출생과 성장 1586

5. 수월재의 창의와 활동 1588

6. 수월재의 선비정신 구현과 여생(餘生) 1590

김호(金虎) : 월암(月菴) 김호(金虎) 선생 / 김상일(金相逸) 1596

김홍한(金弘漢) : 선봉장(先鋒將) 의재(義齋公) 김홍한(金弘漢) 장군 / 김성호(金成鎬) 1606

1. 머리말 1606

2. 선봉자 의재의 의병도대장 김면 군(軍)의 후기 의병 조직표 1607

3. 사료(史料) 1609

4. 송암(松菴)의 시(詩)와 만사(輓詞) 1617

(1) 祭 從叔父 斗文(제 종숙부 두문) 1618

(2) 挽 從叔父 斗文(만 종숙부 두문) 1618

(3) 忠順衛公諱沃祭文 再從兄 沔 松菴(충순위공휘옥제문 재종형 면 송암) 1619

(4) 挽 再從弟 沃(만 재종제 옥) 1619

(5) 送侄(송질) 1620

5. 의재 휘 홍한 묘갈명(義齋公 諱 弘漢 墓碣銘) 1620

6. 임란구국공신 의재(義齋公) 할아버지 환향송(還鄕頌) 1621

7. 결어(結語) 1623

남경훈(南慶薰) : 임란(壬亂) 영해의장(寧海義將) 난고(蘭皐) 남경훈(南慶薰) 선생 / 남석헌(南錫憲) 1626

1. 머리말 1626

2. 임란 전후의 동아시아 관계 1627

1) 임란 전후의 조선 1627

2) 임란 전후의 명과 청 1628

3) 임란 전후 무신 정권의 풍신수길 1629

3. 아버지 판관공 휘 의록(義祿) 1630

1) 유일재 김언기 선생의 제자가 되다 1630

2) 21살 맏아들을 대리고 임란에 참전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이 되다 1630

3) 불의에 항거하는 정신을 심다 - 농민항거에 수괴의 죄명을 쓰다 1631

4) 자손을 위한 계책을 세우다 1632

4. 난고 선생의 생애와 활동 1633

1) 《효경(孝經)》을 실천하다 : 20세 이전의 생애 1633

2) 忠의 길로 나서다 : 21세에서 28세까지의 생애 1634

3) 사장학의 길로 나아가다 : 29세에서 35세까지 1635

4) 敎學 成孝의 길로 나아가다 : 35세에서 40세까지 1635

5) 효(孝)의 완성 : 40세에서 41세까지 1637

5. 후대에 끼친 영향과 평가 1637

1) 가학의 계승과 과환 1637

2) 외손 5흥의 출현 1638

3) 대명천지(大明天地)의 한 축 1638

4) 해상삼정(海上三亭)의 한 축 1639

5) 삼불차(三不借) 가문이란 평가 1639

6. 후대의 추숭 1639

1) 유림(儒林)의 결의로 불천위(不遷位)가 되다 1639

2) 유림(儒林)의 결의로 서원을 세우다 1640

남율(南慄) : 약관의 나이로 의병에 참여한 영해부의 충절 남율(南慄) 선생 / 이은영(李恩英) 1648

1. 머리말 1648

2. 가계와 생애 1649

1) 남율의 가계 1649

2) 생애 1650

3. 하왕산성 방위 1652

4. 맺음말(공신 녹훈) 1653

노경건(盧景健) : 왜군의 총탄에 맞아 전사한 노경건(盧景建) 선생 / 이은영(李恩英) 1656

1. 머리말 1656

2. 가계와 생애 1657

1) 가계 1657

2) 생애 1658

3. 백화산에서 전사 1659

4. 맺음말 1662

노경륜(盧景倫) : 구국충절(救國忠節)을 이룬 노경륜(盧景倫) 선생 / 이은영(李恩英) 1664

1. 머리말 1664

2. 가계와 생애 1665

1) 가계 1665

2) 생애 1666

3. 선산(善山)을 지킴 1671

4. 맺음말 1675

노경인(盧景仁) : 충의정신(忠義精神)으로 임무를 수행하다 순절한 노경인(盧景仁) 선생 / 이은영(李恩英) 1678

1. 머리말 1678

2. 가계와 생애 1679

1) 가계 1679

2) 생애 1680

3. 임란시 활동 사항 1682

1) 선산지역에서 왜적에 대항함 1682

2) 금오산에 저장해둔 군량미를 운반함 1683

4. 맺음말 1685

노경임(盧景任) : 유학자로서의 본분에 충실했던 노경임(盧景任) 선생 / 이은영(李恩英) 1688

1. 머리말 1688

2. 가계와 생애 1689

1) 가계 1689

2) 생애 1690

3. 선산(善山)을 지킴 1693

4. 맺음말(공신 녹훈) 1696

노경전(盧景全)·노경동(盧景仝) : 북천전투에서 전사한 노경전(盧景全)·노경동(盧景仝) 선생 형제 / 이은영(李恩英) 1700

1. 머리말 1700

2. 가계와 생애 1701

1) 가계 1701

2) 노경전의 생애 1702

3) 노경동의 생애 1703

3. 북천전투에서 전사 1704

4. 맺음말 1707

노경필(盧景佖) : 미덕과 겸양을 지닌 노경필(盧景佖) 선생 / 이은영(李恩英) 1708

1. 머리말 1708

2. 가계와 생애 1709

1) 가계 1709

2) 생애 1710

3. 선산(善山)을 지킴 1714

4. 맺음말 1717

노극홍(盧克弘) : 절의(節義)의 선비 정신 실천한 노극홍(盧克弘) 선생 / 이은영(李恩英) 1720

1. 머리말 1720

2. 가계와 생애 1721

1) 가계 1721

2) 생애 1723

3. 화왕산성 방어 1725

4. 맺음말 1728

5. 임진왜란 후의 삶 1729

노대기(盧大器) : 언행일치를 보여준 노대기(盧大器) 선생 / 이은영(李恩英) 1730

1. 머리말 1730

2. 가계와 생애 1731

1) 가계 1731

2) 생애 1732

3. 선산(善山)을 지킴 1734

4. 맺음말(공신 녹훈) 1736

노상건(盧尙健) : 벼슬을 거절한 훈장(訓長) 출신의 노상건(盧尙健) 선생 / 이은영(李恩英) 1738

1. 머리말 1738

2. 가계와 생애 1739

1) 가계 1739

2) 생애 1740

3. 가사일과 의병활동을 병행함 1741

4. 맺음말 1742

노인(魯認) : 피랍 후 명나라를 거쳐 환국한 뒤 대왜복수책을 펼친 노인(盧認) 선생 / 이은영(李恩英) 1744

1. 머리말 1744

2. 가계와 생애 1745

1) 가계 1745

2) 생애 1746

3. 임란시 활동 사항 1749

1) 이치전투와 금산전투 1749

2) 행주대첩 1750

3) 제2차 진주성 전투 1752

4) 남원성 전투와 포로 1755

5) 포로 생활 1757

4. 임진왜란 후의 삶 1759

1) 환국 1759

2) 서계십조와 대왜복수책(對倭復讐策) 1760

3) 1604년 일어난 당포해전 1763

5. 맺음말(공신녹훈) 1765

도응운(都應雲) : 국난에 분발하여 역전(力戰)한 선비 도응운(都應雲) 선생 / 장영희(張英姬) 1768

1. 머리말 1768

2. 가계와 생애 1769

1) 가계 1769

2) 생애 1770

3. 임란시 활동사항 1771

1) 독서인이 분연히 일어난다 1771

2) 화왕산성에서의 力戰 1772

4. 맺음말 1773

도현종(都現宗)·흥종(興宗) : 임란공신 도현종(都現宗)·흥종(興宗) 형제의 의병 활동 / 도재욱(都在旭) 1776

1. 원고를 쓰면서 1776

2. 임진란 이전의 조선과 일본의 역사적 상황 1777

3. 임진왜란 당시의 상황과 기록 1779

1) 당시의 조선과 일본의 시대적 상황 1779

2) 대구 인근지역의 임진란 기록과 전란의 대치 1779

3) 임진란의 경과와 명군의 개입 1781

4) 대구지역의 임진란과 의병활동 1782

4. 성주도씨의 소개와 임란 공신 형제의 수훈 1783

1) 대구지역 토성(土姓)인 성주도씨 소개 1783

2) 임란 공신의 가계와 생애 1785

3) 임란 공신 형제의 활동 1787

5. 임란 공신 형제의 수훈과 선양 1789

판권기 1794

표제지

일러두기

목차

류기(柳裿) : 효와 충을 동시에 이루어낸 부휴산인(浮休散人) 류기(柳䄎) 선생 / 이은영(李恩英) 1804

1. 머리말 1804

2. 가계와 생애 1805

1) 가계 1805

2) 생애 1807

3. 임란시 활동 사항 1809

1) 선조를 호종함 1809

2) 전쟁의 상흔 씻기에 전력함 1810

4. 맺음말(공신녹훈) 1811

류백춘(柳伯春) : 제호(霽湖) 류백춘(柳伯春) 선생의 생애(生涯)와 사의(死義) / 조동영(趙東永) 1814

1. 머리말 1814

2. 가계(家系) 및 생애(生涯) 1815

3. 사의(死義)의 배경 1818

4. 유문(遺文)의 특징 1820

5. 맺음말 1826

류복기(柳復起) : 의병장 기봉(岐峯) 류복기(柳復起) 선생과 기도유업(岐陶遺業) / 류중영(柳仲榮) 1828

1. 한양에서 안동 수곡으로 낙남(落南) 1828

2. 불운했으나 훌륭하게 성장한 소년(少年) 1829

3. 기봉의 초행 이야기 1830

4. 임란 때 안동에서 창의하여 크게 충성함 1831

4-1. 창의록에 나타난 기봉의 주요활동 1832

5. 슬픔이 겹쳐도 굽히지 않는 충성 1835

6. 정유재란에 6부자의 창의 1836

7. 굶주린 백성의 목숨을 구한 적선(積善) 1838

8. 권문 출입을 삼가고 조상 일에 힘씀 1838

9. 참다운 선비의 모습으로 일생을 마침 1839

10. 후손들에게 영향을 끼친 공의 업적 1840

류사온(柳思溫) : 귀정선생(龜亭先生)의 임란 의병 활동에 대한 연구 / 류을곤(柳乙坤) 1844

1. 머리말 1844

2. 출생과 가계 1845

3. 임란관련사항 1847

4. 임란이후의 활동사항 1848

5. 학문 활동 및 기타 1852

6. 결론 1855

류성룡(柳成龍) : 시대(時代)를 품은 경세가(經世家), 문충공(文忠公) 류성룡(柳成龍) 선생 / 김시덕(金時德) 1856

1. 들어가며 1856

2. 임진왜란 이전의 삶과 세계관 1857

3. 비상한 시국에 빛을 발한 국정 운영 능력 1862

4. 임진왜란 이후의 류성룡과 『징비록』 1870

5. 평가 1873

류식(柳湜) : 주장(主將)도 달아나버린 김해성으로 들어가 순국한 류식(柳湜) 선생 / 이은영(李恩英) 1878

1. 머리말 1878

2. 가계와 생애 1879

1) 가계 1879

2) 생애 1880

3. 김해성 전투에서 전사 1882

4. 맺음말 1885

류심(柳襑) : 류심(柳襑) 선생 효를 실천하는 동안 충까지 이루다 / 이은영(李恩英) 1888

1. 머리말 1888

2. 가계와 생애 1889

1) 가계 1889

2) 생애 1891

3. 임란시 활동 사항 1893

4. 제1차 팔공산 회맹 1894

5. 맺음말(공신녹훈) 1896

류요신(柳堯臣) : 연정(蓮亭) 류요신(柳堯臣) 선생의 생애와 학문 및 임진란 팔공산 창의 / 구본욱(具本旭) 1898

1. 머리말 1898

2. 생애 1898

3. 임진왜란과 팔공산 창의(倡義) 1904

4. 학문과 강학 및 교유 1908

5. 결론 1913

류운룡(柳雲龍) : 초지일관 충(忠)을 이룬 문경공(文敬公) 류운룡(柳雲龍) 선생 / 이은영(李恩英) 1916

1. 머리말 1916

2. 가계와 생애 1917

1) 가계 1917

2) 생애 1919

3. 임란시 활동 사항 1923

1) 동생에게 '충'을 이루도록 함 1923

2) 행재소에 진봉리를 보냄 1924

3) 문화 보존 의식이 강렬해짐 1925

4. 맺음말(공신녹훈) 1926

류정(柳汀) : 송호(松壕) 류정(柳汀) 선생의 삶과 충의정신(忠義精神) / 조동영(趙東永) 1928

1. 머리말 1928

2. 가계(家系) 및 생애(生涯) 1929

3. 일고(逸稿)에 나타난 사의(死義) 1933

4. 시문(詩文)을 통해본 충정(忠貞) 1937

5. 맺음말 1942

류종개(柳宗介) : 죽음을 마주한 순간에도 왜군을 꾸짖은 류종개(柳宗介) 선생 / 이은영(李恩英) 1944

1. 머리말 1944

2. 가계와 생애 1945

1) 가계 1945

2) 생애 1947

3. 소천전투에서 전사(戰死) 1948

4. 맺음말 1960

류진(柳轸) : 11세에 피란 생활을 체험한 뒤 화왕산성 방어에 나선 류진(柳袗) 선생 / 이은영 1962

1. 머리말 1962

2. 가계와 생애 1963

1) 가계 1963

2) 생애 1965

3. 임란시 활동 사항 1969

1) 피란 생활 1969

2) 화왕산 화맹과 화왕산성 방어 1970

4. 공신녹훈 1973

5. 임진왜란 후의 삶 1974

6. 『임진록(壬辰錄)』 1978

류초(柳初) : 9세의 나이로 조모 곁을 지키며 학업을 중단하지 않은 류초(柳初) 선생 / 이은영(李恩英) 1980

1. 머리말 1980

2. 가계와 생애 1981

1) 가계 1981

2) 생애 1983

3. 조모 곁을 지키며 학업에도 열중함 1985

4. 맺음말(공신녹훈) 1986

류팽로(柳彭老) : 외눈으로 의병활동에 나선 호남의 절사신(節死臣) 류팽로(柳彭老) 선생 / 이은영(李恩英) 1990

1. 머리말 1990

2. 가계와 생애 1991

1) 가계 1991

2) 생애 1992

3. 임란시 활동 사항 1995

1) 세 차례의 상소 1995

2) 1차 금산 전투에서 전사 2002

4. 맺음말 2007

문위세(文緯世) : 문위세(文緯世) 선생의 절의와 그 일가의 의병운동 / 조원래(趙援來) 2010

1. 머리말 2010

2. 문위세의 절의와 사상적 기반 2011

3. 전라좌의병의 성군과 장흥의 남평문씨일가 2017

4. 전라좌의병의 활동과 호남운량관 문위세의 역할 2022

5. 맺음말 2029

박걸남(朴杰男) : 의병장 의암(依岩) 박걸남(朴杰男)장군 / 김태수(金泰洙) 2032

1. 머리말 2032

박경신(朴慶新) : 밀양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겸 청도조전장(淸道助戰將) 박경신(朴慶新) 선생 / 박희상(朴熙相) 2040

1. 머리말 2040

2. 선생과 생애 2041

1) 성장과정 2041

2) 벼슬 관계 2041

3) 관직에서 휴가를 얻어 귀향 2042

3. 임진왜란과 선생의 창의일록(倡義日錄) 2043

1) 임란초기 청도 지역 전황 2043

2) 창의(倡義)준비 2044

3) 의병창의 및 대오편성 2045

4. 임금의 피난길 호송 2046

5. 청도조전장으로 소임 복귀 후 전공 2047

6. 의병일기를 정리하라는 선생의 유언 2049

7. 선생의 장례식에 답지한 만장 2050

1) 경상도병사 박진(朴晋)의 만사(요약) 2050

2) 병조판서 이항복(李恒福)의 만사(중요내용 요약 게재) 2050

3) 좌의정 윤두수(尹斗壽)의 만사(전문 게재) 2050

8. 삼우정(三友亭) 박경신(朴慶新) 선생(先生)과 경의계(景義契) 2051

9. 국가보물로 지정된 삼우정(三友亭)선생의 유적 2052

10. 맺음말 2053

박경윤(朴慶胤) : 임란(壬亂)의병아익장(義兵亞翼長)국헌(菊軒)박경윤(朴慶胤)선생 2062

1. 머리말 - 선생연보와 가계 2062

2. 의병 창의과정 2065

3. 의병군(義兵軍) 편제조직(編制組織) 2066

4. 요처삼분주둔(要處三分駐屯) 2066

5. 창의시맹약문(倡義時盟約文) 2066

6. 창의시 격문(倡義時 檄文) 2067

7. 후기 2067

박경전(朴慶傳) : 임란(壬亂) 의병장(義兵將) 박경전(朴慶傳) 장군 2070

1. 머리말 - 선생연보와 가계 2070

2. 의병 창의과정 2071

3. 의병군(義兵軍) 편제조직(編制組織) 2072

4. 요처삼분주둔(要處三分駐屯) 2072

5. 창의시 맹약문(倡義時 盟約文) 2073

6. 창의시 격문(倡義時 檄文) 2073

7. 후기 2074

8. 지역적으로 본 청도(淸道)의 특성 2074

9. 서사원문집(徐思遠文集) 2075

10. 임란동고록(壬亂同苦錄) 2075

11. 의병장과 관련된 시 2076

12. 최의장(崔義將)에게 보내는 글 2078

13. 답(答) 박의장(朴義將) 경전(慶傳) 서(書) 최문병(崔文炳) 2079

14. 거관계(居官誡(관리도를 훈계함)) 2079

15. 계사(戒辭(훈계하는 말)) 2080

16. 유훈(遺訓(자손에게 남기는 교훈)) 2081

17. 창의시 일기 장서기(掌書記) 김후생(金後生) 찬(撰) 의병군활동과 전투사항 2082

18. 실기(實記) 2091

19. 유장(儒狀) 2096

박곤(朴混) : 하나 뿐인 목숨을 아까워하지 않고 의병활동에 힘쓴 송설(松雪) 박곤(朴混) 선생 / 이은영(李恩英) 2102

1. 머리말 2102

2. 가계와 생애 2103

1) 가계 2103

2) 생애 2105

3. 임란시 활동 사항 2106

1) 정암진 전투 2106

2) 화왕산성 방어 2108

4. 맺음말 2110

박광전(朴光前) :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 선생과 전라 좌의병(全羅 左義兵) 2112

1. 죽천 선생의 학문 형성 2112

2. 죽천 선생의 학문 본령 2114

3. 죽천 선생의 관료 생활 2115

4. 선생 졸후의 추숭 2116

5. 죽천 박광전 선생에 대한 석학들의 평가 2118

6. 전라 좌의병의 활동과 죽천일가(竹川一家)의 역할 2120

1) 박광전의 거의(擧義)와 전라 좌의병(全羅左義兵)의 성군 2120

2) 전라 좌의병의 활동과 전과 2124

7. 죽천선생약력 2130

박광춘(朴光春) : 도성이 함락되던 날 순절한 박광춘(朴光春) 선생 / 이은영(李恩英) 2132

1. 머리말 2132

2. 가계와 생애 2133

1) 가계 2133

2) 생애 2136

3. 도성에서 순절 2136

4. 맺음말(공신녹훈) 2142

박대복(朴大福) : 병조참판(兵曹參判) 운암(雲庵) 박대복(朴大福) 선생 / 박병립(朴炳立) 2144

박동량(朴東亮) : 충익공(忠翼公) 박동량(朴東亮) 선생 2148

1. 가문(家門)의 형성(形成) 2148

2. 연보 2152

3. 생애 2153

4. 금계군(錦溪君) 겸 판의금부사(兼判義禁府事) 신도비명 2159

박록(朴漉) : 영주(榮州) 향병(鄕兵)에 앞장서며 충(忠)을 이룬 박록(朴漉) 선생 / 이은영(李恩英) 2174

1. 머리말 2174

2. 가계와 생애 2175

1) 가계 2175

2) 생애 2178

3. 임란시 활동 사항 2180

1) 영주에서 향병을 일으킴 2180

2) 정유재란 후의 활약 2182

4. 맺음말 2183

박명윤(朴明胤) : 왜장도 감탄하게 마든 효성으로 왜군 토벌에도 앞장선 사옹(槎翁) 박명윤(朴明胤) 선생 / 이은영(李恩英) 2186

1. 머리말 2186

2. 가계와 생애 2187

1) 가계 2187

2) 생애 2189

3. 임란시 활동 사항 2190

1) 왜장도 감탄한 효성 2190

2) 정암진 전투 2191

3) 화왕산성 방어 2193

4. 맺음말 2195

박몽량(朴夢亮) : 죽음을 무릅쓰고 화왕산성 방어에 힘쓴 박몽량(朴夢亮) 선생 / 이은영(李恩英) 2198

1. 머리말 2198

2. 가계와 생애 2199

1) 가계 2199

2) 생애 2201

3. 화왕산 회맹과 화왕산성 방어 2202

4. 맺음말 2206

박문부(朴文富) : 운곡(雲谷) 박문부(朴文富) 선생 / 김시황(金時晃) 2208

1. 머리말 2208

2. 선생의 생애 2209

1) 출생, 성장, 수학 2209

2) 사환기(仕宦期) 2210

3) 임진왜란에 창의(倡義) 호종(扈從) 2210

3. 공에 대한 평가 2212

1) 당시 제공(諸公)들의 찬양과 애도 2212

2) 운곡(雲谷) 박문부(朴文富) 선생(先生) 등재(登載) 문헌(文獻) 2213

3) 서원(書院) 및 묘소(墓所) 2214

4. 문집 및 시문 2215

1) 伏次 御製韻(삼가 어제운에 차운하다) 2215

2) 山沼魚(산골 못의 고기) 2215

3) 雲門嶺上口號(운문 정상에서 구호) 2216

4) 還鄕吟(고향에 돌아와 읊다) 2216

5) 送李濟州牧 喜龍 二首(제주목사 이희룡을 보내며 두수) 2216

6) 自遺(스스로 마음을 달래다) 2217

7) 撥憫(근심을 다스리다) 2217

8) 雲樹臺(운수대) 2217

9) 自警(스스로 경계하여 조심함) 2218

10) 附 金仙源 尙容 次韻(선원 김상용의 차운한 것을 붙이다) 2218

11) 和金仙源漢江船遊韻(김선원의 한강 뱃놀이 詩에 화운하다) 2219

12) 附原韻(원운을 붙이다) 2219

13) 登三角山(삼각산에 오르다) 2219

14) 附 尹判官 百年 次韻(판관 윤백년이 차운한 시를 붙이다) 2220

15) 奉呈洪唐陵君 純彦(당릉군 홍순언에게 드림) 2220

5. 맺는 말 2222

박선장(朴善長) : 유정의 배신에 대한 진상을 밝히기 위해 애쓴 朴善長 선생 / 이은영(李恩英) 2224

1. 머리말 2224

2. 가계와 생애 2225

1) 가계 2225

2) 생애 2227

3. 유정이 저지른 배신의 진상을 밝힘 2231

4. 맺음말(공신녹훈) 2235

박성(朴惺) : 대암(大庵) 박성(朴惺) 선생의 생애와 의병활동 / 박영완(朴永完) 2238

1. 머리말 2238

2. 출생과 가계 2239

3. 유년시절과 성장기 2239

4. 벼슬보다 학문에 전심 2240

5.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창의활동(倡義活動) 2244

6. 논시폐소(論時弊疏)와 정유재란 2250

7. 대암의 학문과 생애 2252

8. 맺음말 2255

9. 송담서원(松潭書院)과 유적(遺跡) 2256

가) 송담서원(宋潭書院) 2256

나) 묘도비(墓道碑)『神道碑』 2256

다) 언행록(言行錄) 2257

라) 행장(行狀) 2257

마) 문집(文集) 2257

대암선생 연보(大庵先生年譜) 2258

박세순(朴世淳) : 경수당(慶壽堂) 박세순(朴世淳) 장군의 임란 행적과 무안박씨(務安朴氏) 경수당가의 문한·가풍(文翰·家風) / 김학수(金鶴洙) 2268

1. 박세순(朴世淳)의 가계(家系)와 성장(生長) 과정 2268

1) 무안박씨(務安朴氏)와 영해파(寧海派) 가계(家系)의 특징 2268

2) 경수당 박세순(朴世淳)의 생장 과정 2271

2. 박세순(朴世淳)의 구국 활동과 그것의 역사적 의미 2273

1) 진충(盡忠)의 구국정신 : 朴世淳 公 부자(父子)의 임란 당시 활약상 2273

2) 경주성을 중심으로 한 공(公)의 활동과 그 의미 2277

3) 전란(戰亂)이후 가풍(家風)의 변모와 문풍(文風)의 진작(振作) 2280

박수춘(朴壽春) : 국담(菊潭) 박수춘(朴壽春) 선생 / 박청희(朴淸熙) 2286

박영춘(朴榮春) : 공적을 인정받아 사후 호조참의에 증직된 박영춘(朴榮春) 선생 / 이은영(李恩英) 2304

1. 머리말 2304

2. 가계와 생애 2305

1) 가계 2305

2) 생애 2307

3. 임란시 활동 사항 2308

4. 맺음말 2309

박의장(朴毅長) : 경주의 수호자 무의공(武毅公) 박의장(朴毅長) 장군 / 우인수(禹仁秀) 2312

1. 가계와 출사 2312

1) 무안박씨 영해파 2312

2) 학문의 도야와 출사 2314

2. 왜군의 격퇴와 왜란의 극복 2316

1) 왜란의 발발 2316

2) 영천성의 탈환 2317

3) 경주성의 수복 2319

4) 신망의 목민관 2321

5) 왜란의 마무리 2324

3. 승모와 현창 2326

4. 가계의 계승 2329

1) 장자 유와 그 후손들 2329

2) 제2자 위와 그 후손들 2332

3) 제3자 늑과 그 후손들 2332

4) 제4자 선과 그 후손들 2333

박인걸(朴仁傑) : 대대로 나라의 녹을 먹는 신하로서 분개한 박인걸(朴仁傑) 장군 / 이은영(李恩英) 2336

1. 머리말 2336

2. 가계와 생애 2337

1) 가계 2337

2) 생애 2339

3. 영천성 수복전 2340

4. 맺음말(공신녹훈) 2344

박진(朴晉) : 의열공(毅烈公) 박진(朴晉) 장군의 생애와 임진왜란기 군사 활약 / 김진수(金鎭洙) 2346

1. 머리말 2346

2. 임진왜란의 발발과 밀양 부사로서의 항전 활동 2347

3. 개전 이후 경상좌병사로서의 반격과 주요지역 수복 활동 2354

4. 경주 수복 이후의 군사 활동과 사후의 추증 2362

5. 맺음말 2370

박진남(朴震男) : 어모장군 훈련원정(禦侮將軍 訓練院正) 박진남(朴震男) 선생 / 박원희(朴元熙) 2374

1. 가계 2374

2. 생애 2375

3. 임란 활동(壬亂活動) 2378

4. 논공(論功)과 현창사업(顯彰事業) 2385

5. 후손대표(後孫代表) 2389

박진영(朴震英) : 광서(匡西) 박진영(朴震英) 장군의 생애(生涯)와 위국충절(爲國忠節) / 허권수(許捲洙) 2392

1. 서론 2392

2. 광서(匡西)의 생애 2393

1) 가계 2393

2) 행적(行蹟) 편년(編年) 2395

3. 위인(爲人)과 행신(行身) 2406

4. 사우관계(師友關係) 2408

5. 성학(成學)과 출처(出處) 2409

6. 위국충절(爲國忠節) 2411

7. 결론 2413

박춘무(朴春茂) : 민양공(愍襄公) 화천당(花遷堂) 박춘무(朴春茂) 선생 / 이석린(李錫麟) 2416

1. 머리말 2416

2. 박춘무(朴春茂)의 창의배경(倡義背景) 2419

3. 의병활동(義兵活動)의 전개(展開) 2430

1) 청주성(淸州城) 탈환(奪還)에서의 역할(役割) 2430

2) 진천(鎭川) 승첩(勝捷) 이후의 활동(活動) 2433

4. 맺음말 2437

박춘석(朴春石) : 선무원종일등공신 박춘석(朴春石) 장군의 사적(事蹟) / 박채은(朴埰殷) 2442

1. 머리말 2442

박충윤(朴忠胤) : 참의(參議) 박충윤(朴忠胤) 선생의 생애와 임진란 창의 / 구본욱(具本旭) 2452

1. 서론 2452

2. 가계 및 생애 2453

3. 임진왜란과 창의 2459

4. 교유 및 강학 2464

5. 결론 2466

박충후(朴忠後) : 총관(摠管) 박충후(朴忠後) 선생의 생애와 임진란 창의 / 구본욱(具本旭) 2468

1. 서론 2468

2. 가계 및 생애 2469

3. 임진왜란과 창의 2475

4. 교유 및 만·제문(挽·祭文) 2479

5. 결론 2482

박홍장(朴弘長) : 농아당(聾啞堂) 박홍장(朴弘長) 장군의 생애와 임진왜란기 활동 / 정해은(鄭海恩) 2484

1. 퇴계학품을 이은 무신 집안 2484

2. 관직생활과 북방지역 2486

3. 임진왜란 중의 활동 2490

1) 제주 조방장 2490

2) 대구 부사 2493

3) 일본 통신 부사 2495

4. 박홍장에 대한 기억과 기록들 2499

박홍춘(朴弘春) : 학수당(鶴睡堂) 박홍춘(朴弘春) 장군의 사적(事蹟) / 박인우(朴寅又) 2504

박환생(朴還生) : 청도 출신으로 대구 지역 방어에 힘쓴 박환생(朴還生) 선생 / 이은영(李恩英) 2510

1. 머리말 2510

2. 가계와 생애 2511

1) 가계 2511

2) 생애 2513

3. 임란시 활동 사항 2514

1) 서사원 의병진에서의 활약 2514

2) 우배선 의병진에서의 활약 2516

3) 곽재우 의병진에서의 활동 여부 2518

4. 맺음말(공신녹훈) 2519

배덕문(裵德文) : 의병장 서암(書巖) 배덕문(裵德文) 선생의 의병 활동과 학덕 / 배한동(裴漢東) ; 배재영(裴在榮) 2522

1. 서론 2522

2. 가계와 생애 2524

1) 가계 2524

2) 생애 2526

3. 의병장 배덕문 선생의 의병 활동 2530

1) 3대에 걸친 임란 활동 개요 2530

2) 성주 땅을 수복한 의병장 활동 2532

3) 차남 건(楗)의 장렬한 전사 2535

4. 손자 등암(藤庵)의 학덕 2537

5. 서암공의 유문과 학덕 2541

1) 유문(遺文)『서암실기』 2541

2) 인품과 학덕 2542

6. 결론 2544

배무범(裵武範) : 나라의 충을 이루고 가문의 명예를 회복시킨 배무범(裵武範) 장군 / 이은영(李恩英) 2548

1. 머리말 2548

2. 가계와 생애 2549

1) 가계 2549

2) 생애 2552

3. 임란시 활동 사항 2554

4. 맺음말(충훈록(忠勳錄)과 경산읍지(京山邑誌)) 2555

배설(裵楔) : 경상우수사 배설(裵楔) 장군의 임란 활동과 공적 / 배한동(裴漢東) 2558

1. 서론 2558

2. 가계와 공직 2560

1) 배설장군의 가계 2560

2) 생애와 공직 2562

3. 장군의 임란초기의 활동 2566

1) 왜적의 북진을 막은 용감한 의병 활동 2566

2) 경상우수사의 부임을 가로막은 진주 주민들 2567

3) 도체찰사 본영이 되게 한 금오산성 수축(修築) 2568

4. 정유재란시의 활동 2571

1) 부산포 전투와 왜선 8척 전소 2572

2) 칠천량(漆川樑) 전투패배와 전선 12척 수습 2574

3) 한산도의 청야 작전(淸野作戰) 2576

4) 장작귀선(粧作龜船) 건조 2577

5. 장군에 대한 모함과 신원 2578

1) 이순신장군의 갈등 2578

2) 패전의 책임과 모반죄 2580

3) 신원과 선무 원종 1등 공신 책록 2582

4) 유문(遺文)과 두 편의 시조 2583

6. 결론 2585

배용길(裵龍吉) : 금역당(琴易堂) 배용길(裵龍吉) 선생의 충효사상 / 배종석(裴鐘錫) 2590

1. 생애 2590

2. 명분과 절의의 삶 2593

3. 효의 실천 2597

4. 충의 실천(임진왜란의 의병활동) 2599

5. 우국시 2604

6. 문헌자료 2607

1) 원전 2607

2) 연구논저 2608

배즙(裵楫) : 노량 해전에서 힘써 싸우다 장렬하게 전사한 명암(明庵) 배즙(裵楫) 선생 / 이은영(李恩英) 2610

1. 머리말 2610

2. 가계와 생애 2611

1) 가계 2611

2) 생애 2614

3. 임란시 활동 사항 2616

1) 부친의 창의에 동참 2616

2) 개산진 전투 2617

3) 칠천량 해전과 한산도 청야작전 2617

4) 노량 해전 2622

4. 맺음말(공신녹훈) 2623

백민수(白民秀) : 충과 효를 함께 이루어낸 술고재(述古齋) 백민수(白民秀) 선생 / 이은영(李恩英) 2626

1. 머리말 2626

2. 가계와 생애 2627

1) 백민수의 가계 2627

2) 생애 2629

3. 임란시 활동 사항 2630

1) 성주 전투에서 분전함 2630

2) 화왕산성에 군량마를 운납함 2631

4. 맺음말(공신 녹훈) 2632

백수회(白受繪) : 송담(松潭) 백수회(白受繪) 선생의 공훈 / 백화진(白和鎭) 2634

1. 서문 2634

2. 가계와 생애 2635

3. 선생의 충절 2637

4. 기억과 추존 2642

백이소(白以昭) : 부암(傅巖) 백이소(白以昭) 선생과 임란(壬亂) / 조철제(趙喆濟) 2650

1. 부암(傅巖)의 장년기 2650

2. 경주지역 임란과 부암 2652

3. 창암(蒼巖) 전투와 부암 2654

4. 후대의 현양(顯揚) 2656

백추(白鶖) : 독수리가 뭇 새들을 잡아채듯 적을 물리치다 전사한 신암(愼菴) 백추(白鶖) 선생 / 이은영(李恩英) 2662

1. 머리말 2662

2. 가계와 생애 2663

1) 가계 2663

2) 생애 2665

3. 인동 약목에서 전사(戰死) 2666

4. 맺음말(공신녹훈) 2666

백충언(白忠彦) : 임란 시 어가(御駕)를 호위한 상의당(尙義堂) 백충언(白忠彦) 선생 / 정은주(鄭恩周) 2670

1. 머리말 2670

2. 가계와 생애 2671

1) 백충언의 가계 2671

2) 백충언의 생애 2672

3. 임란 시 활동사항 2673

4. 맺음말 2676

상의당(尙義堂) 2677

수동재사(水洞齋舍) 2678

『상의당중건기(尙義堂重建記)』 2678

백현룡(白見龍) : 선무원종공신록(宣武原從功臣錄)을 거부한 성헌(惺軒) 백현룡(白見龍) 선생 / 이은영(李恩英) 2682

1. 머리말 2682

2. 가계와 생애 2683

1) 백현룡의 가계 2683

2) 생애 2685

3. 임란시 활동 사항 2687

1) 지천명의 나이로 참여한 진주성 전투 2687

2) 아들과 함께 참여한 화왕산성 전투 2688

4. 맺음말(선무원종공신록(宣武原從功臣錄)거부) 2689

판권기 2691

표제지

일러두기

목차

변경회(邊慶會) : 백산(柏山) 변경회(邊慶會) 선생 2701

1. 어려서부터 책 읽기를 좋아하다 2701

2. 忠으로 나라를 지키다 2702

3. 孝로서 어머니를 모시다 2702

4. 사림(士林)에서 예조(禮曹)에 정문(旌門)을 올렸으나 정려(旌閭)를 받지 못하다 2703

5. 구양서원(龜陽書院)에 배향되고 후손들은 글로써 현창(顯彰)하다 2706

변연수(卞延壽) : 인(仁)을 이루고 의(義)를 취하며 순국한 변연수(卞延壽) 선생 / 이은영(李恩英) 2709

1. 머리말 2709

2. 가계와 생애 2710

1) 가계 2710

2) 생애 2713

3. 임란시 활동 사항 2715

1) 옥포해전과 당포해전 2715

2) 정유재란 후의 당포해전에서 아들과 함께 순국 2717

4. 맺음말(공신 녹훈) 2718

변옥희(卞玉希) : 순절하는 순간에도 절개를 지킨 변옥희(卞玉希) 선생 / 이은영(李恩英) 2719

1. 머리말 2719

2. 가계와 생애 2720

1) 가계 2720

2) 생애 2723

3. 미타령에서 순절함 2724

4. 맺음말(공신 녹훈) 2726

변윤중(邊允中) : 충, 효, 열의 본보기가 된 휴암(鵂巖) 변윤중 선생 / 변온섭(邊瑥燮) 2729

1. 머리말 2729

2. 휴암의 가계(家系) 2730

3. 망암을 도와 화차를 만들다 2732

4. 정유재란의 발발 2734

5. 충, 효, 열의 본보기가 되다 2735

6. 도의(道義)를 버리지 않은 휴암 2737

7. 고을의 자랑이 된 삼강정려 2738

8. 휴암에 대한 문인들의 글 2739

변응성(邊應星) : 전쟁에서 공로를 세우는 한편 백성을 사랑한 변응성(邊應星) 장군 / 이은영(李恩英) 2741

1. 머리말 2741

2. 가계와 생애 2742

1) 가계 2742

2) 생애 2744

3. 임란시 활동 사항 2746

1) 경주부윤으로 기복(起復)됨 2746

2) 경주부윤으로 부임하지 못함 2747

3) 경기 지역 방어와 마천 전투 2748

4) 역모와 도적 토벌에 힘씀 2751

5) 정유재란과 왜군 격퇴 2756

4. 임진왜란 후의 삶 2759

5. 맺음말(공신녹훈) 2763

변응정(邊應井) : 임금이 욕을 당하자 목숨을 바친 충신 변응정(邊應井) 장군 / 이은영(李恩英) 2765

1. 머리말 2765

2. 가계와 생애 2766

1) 가계 2766

2) 생애 2768

3. 임란시 활동 사항 2770

1) 금산 전투에서 전사 2770

2) 임진왜란 때의 행적을 증명해주는 사적(事蹟) 2775

4. 맺음말(공신녹훈) 2783

5. 대를 이은 충성 2784

변이중(邊以中) : 망암(望菴) 변이중(邊以中) 선생 / 변온섭(邊瑥燮) 2789

1. 머리말 2789

2. 가계와 생애(生涯) 2790

3. 학문세계와 치세관(治世觀) 2793

4. 임란의 발발과 소모사(召募使) 활동 2795

5. 양향조달(糧餉調達)과 독운사(督運使) 활동 2797

6. 행주대첩(幸州大捷)과 변이중화차 2799

7. 변이중의 군사전략 2802

8. 망암변이중선생의 업적과 평가 2804

1) 선생의 학문과 행의에 대한 평 2805

2) 화차의 제조와 임난에서의 공헌 2811

변중일(邊仲一) : 간재(簡齋) 변중일(邊中一) 선생 전기 / 변성렬(邊聖烈) 2815

1. 머리말 2815

2. 출생과 유년시기 2816

3. 임진왜란 당시 일화 2816

4. 간재 변증일의 의병활동 2817

5. 임난 이후 활동행적 2819

6. 노년의 행적 2820

7. 사후 추대 2821

8. 마치며 2823

변혼(卞渾) : 30여 차례 전투에서 선봉장으로 활약한 변혼(卞渾)장군 / 이은영(李恩英) 2825

1. 머리말 2825

2. 가계와 생애 2826

1) 가계 2826

2) 생애 2829

3. 임란시 활동 사항 2829

1) 고령 전투 2829

2) 우척현 전투 2830

4. 맺음말(공신 녹훈) 2832

사명대사(四溟大師) : 호국성사(護國聖師) 사명당(四溟堂) 유정대사(惟政大師) / 임정빈(任定彬) 2835

1. 출생(出生)과 성장(成長) 2835

1) 출생(出生) 2835

2) 어린 시절 2835

2. 입산(入山)과 수행(修行) 2836

1) 입산(入山) 2836

2) 학사대부와 시문 창화(詩文唱和) 2837

3) 서산대사 문하(門下) - 3년 고행(苦行) 2837

3. 임진전쟁(壬辰戰爭 : 壬辰倭亂) 2838

1) 영동 구군(嶺東九郡)을 구제(救濟)하다 2839

2) 의승병(義僧兵) 창의(倡義) 2839

3) 평양성(平壤城) 탈환(奪還) 2840

4) 행주대첩(幸州大捷)에 전공 2841

5) 수락산대첩(水落山大捷)과 한양 수복(收復) 2841

6) 거진 구축과 의령(宜寧)에서 전공 2842

7) 사명당의 기묘한 전술 2842

8) 서생포왜성(西生浦倭城) 탐정(探情) 2843

4. 사명대사의 비전(秘傳) 2847

1) 국가중흥책(國家中興策) 2847

2) 자주국방책(自主國防策) 2848

5. 정유재란(丁酉再亂) 2848

1) 왜군의 재침(再侵) 2848

2) 다시 만난 기요마사(淸正) 2849

3) 원균(元均)의 패전과 왜군의 공세 2849

4) 도산(島山)·예교(曳橋) 싸움의 전승 2850

6. 정유재란 이후의 사명대사 2850

1) 사명대사의 변방 방어(邊方防禦) 2850

2) 어려운 일은 사명대사에게 2851

7. 조·일(朝日) 국교 회복(國交回復) 2852

1) 탐적사(探敵使)로 도일(渡日) 2852

2) 한양을 떠나 대마도(對馬島)로 2852

3) 조·일(朝日) 국교 타결(國交妥結) 2853

4) 일본 국정(國情) 탐정 2855

5) 귀국 복명(復命) 2856

8. 사명대사의 최후 2857

1) 입적(入寂) 2857

2) 조문(弔文)·송별시(送別詩)·찬사(讚辭) 2858

3) 스승과 제자, 교우 및 기타 2860

서사원(徐思遠) :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 선생의 생애와 강학 및 임진란 창의 / 구본욱(具本旭) 2865

1. 서론 2865

2. 생애 2865

3. 임진왜란과 창의 2871

4. 학문과 강학 2877

5. 이강서원 봉안 2881

6. 결론 2882

서인충(徐仁忠) : 패(敗)하면 불에 타 죽기를 맹세한 망조당(望潮堂) 서인충(徐仁忠) 장군 / 이은영(李恩英) 2885

1. 머리말 2885

2. 가계와 생애 2886

1) 서인충의 가계 2886

2) 생애 2887

3. 임란시 활동 사항 2889

1) 출신 신분으로 의병을 일으킴 2889

2) 명나라 군사에게 군량미를 보급함 2891

4. 맺음말(공신 녹훈) 2893

서재겸(徐再謙) : 죽계(竹溪) 서재겸(徐再謙) 선생의 생애와 임진란 창의 / 구본욱(具本旭) 2895

1. 서론 2895

2. 가계 및 생애 2896

3. 임진왜란과 창의 2899

4. 대구 절의인(節義人) 실적(實蹟) 2908

5. 결론 2909

선거이(宣居怡) : 왜군을 두려움에 떨게 만든 비장(飛將) 친친재(親親齋) 선거이(宣居怡) 장군 / 이은영(李恩英) 2911

1. 머리말 2911

2. 가계와 생애 2912

1) 선거이의 가계 2912

2) 생애 2913

3. 임란시 활동사항 2917

1) 왜군의 침입과 독산 전투 2917

2) 울산 전투에서 숨진 비장 2922

4. 맺음말(공신녹훈) 2923

5. 『난중일기』 속의 선거이 2924

선극례(宣克禮) : 의재(義齋) 선극례(宣克禮) 장군 / 정은주(鄭恩周) 2929

1. 머리말 2929

2. 가계와 생애 2930

1) 선극례의 가계 2930

2) 선극례의 생애 2933

3. 임란 시 활동사항 2935

1) 임진왜란의 부산포 전투 2935

2) 정유재란의 울산성 전투 2936

4. 맺음말 2940

성수경(成守慶) : 몸이 칼날에 문드러져도 욕되게 살지 않으려 순절한 성수경(成守慶) 선생 / 이은영(李恩英) 2945

1. 머리말 2945

2. 가계와 생애 2946

1) 가계 2946

2) 생애 2948

3. 임란시 활동 사항 2949

1) 제1차 진주성 전투 2949

2)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 2954

4. 맺음말(공신녹훈) 2959

성안의(成安義) : 부용당(芙蓉堂) 성안의(成安義) 선생 / 성익창(成翊彰) 2961

1. 가계(家系) 2961

2. 생애와 업적 2963

3. 유물과 유적 2975

1) 부용정(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48호)과 영정 및 교사비 2975

2) 사당과 춘우재, 계서당, 회로대 2977

3) 묘소와 신도비 2978

4) 임란창의비 및 송덕비 2979

손기양(孫起陽) : 오한(聱漢) 손기양(孫起陽) 선생 / 손두식(孫斗植) 2983

손덕침(孫德沉) : 모헌(慕軒) 손덕침(孫德沉) 선생(先生) 행적 / 손종옥(孫鍾玉) 2999

1. 출생(出生)과 선계(先系) 2999

2. 설근(雪芹), 광피(廣被)의 효(孝) 3000

3. 임란(壬亂) 창의(倡義) 3001

손로(孫魯) : 15세부터 왜군 격퇴에 힘쓴 공신 집안의 후손 손로(孫魯) 선생 / 이은영(李恩英) 3009

1. 머리말 3009

2. 가계와 생애 3010

1) 가계 3010

2) 생애 3011

3. 임란시 활동 사항 3012

1) 영천성 수복전 3012

2) 안강 홍천 전투 3015

3) 백률산 전투 3016

4) 팔공산 회맹 3017

5) 화왕산성 방어 3018

4. 맺음말(공신녹훈) 3020

손시(孫時) : 충효(忠孝)를 천성으로 여기며 산 손시(孫時) 선생 / 이은영(李恩英) 3023

1. 머리말 3023

2. 가계와 생애 3024

1) 가계 3024

2) 생애 3025

3. 임란시 활동 사항 3028

1) 문천 회맹 3028

2) 영천성 수복전 3030

3) 안강 홍천 전투 3033

4) 백률산 전투 3034

5) 팔공산 회맹 3034

6) 화왕산성 방어 3036

4. 맺음말(공신녹훈) 3038

손엽(孫曄) : 인현충의지사(仁賢忠義之士) 손엽(孫曄) 선생 / 이은영(李恩英) 3041

1. 머리말 3041

2. 가계와 생애 3042

1) 가계 3042

2) 생애 3044

3. 임란시 활동 사항 3046

1) 창의와 문천회맹 3046

2) 영천성 수복전 3048

3) 경주성 탈환전 3050

4) 팔공산 회맹 3053

5) 화왕산성 방어 3054

6) 강헌대왕 영정과 오성십철십이현 위패 봉안 3056

7) 용사일기 3056

4. 맺음말(공신녹훈) 3061

손응현(孫應晛) : 영천의 충렬지사 남계공(南溪公) 손응현(孫應晛) 선생 / 이은영(李恩英) 3063

1. 머리말 3063

2. 가계와 생애 3064

1) 가계 3064

2) 생애 3065

3. 임란시 활동 사항 3069

1) 창의 회맹 3069

2) 박연 전투 3071

3) 영천성 수복전 3073

4) 경주성 탈환전 3075

4. 맺음말 3077

손처눌(孫處訥) : 모당(慕堂) 손처눌(孫處訥) 선생의 생애와 임진란 창의 - 아우 오매정 손처약의 사적을 덧붙임 / 구본욱(具本旭) 3085

1. 서론 3085

2. 가계 및 생애 3086

3. 임진왜란과 창의 3092

4. 청호서원 봉안 3100

5. 결론 3102

손특룡(孫特龍) : 공훈을 세우고도 대수병퇴(大樹屛退)의 뜻을 펼친 손특룡(孫特龍) 선생 / 이은영(李恩英) 3103

1. 머리말 3103

2. 가계와 생애 3104

1) 가계 3104

2) 생애 3105

3. 임란시 활동 사항 3107

1) 창의 3107

2) 영천성 수복전 3108

3) 안강 홍천 전투 3111

4) 팔공산 회맹과 화왕산성 방어 3112

4. 맺음말(공신녹훈) 3113

손향(孫香) : 지인용(智仁勇)을 겸비한 손향(孫香) 선생 / 이은영(李恩英) 3115

1. 머리말 3115

2. 가계와 생애 3116

1) 가계 3116

2) 생애 3117

3. 임란시 활동 사항 3119

1) 창의 3119

2) 경주성 탈환전 3120

3) 박무의공 수복동도비 3122

4) 고언백 병영에서의 활약 3123

4. 맺음말(공신녹훈) 3124

송광범(宋光範) : 7년간 의병활동에 전념한 호은(湖隱) 송광범(宋光範) 선생 / 이은영(李恩英) 3127

1. 머리말 3127

2. 가계와 생애 3128

3. 임란시 활동 사항 3130

1) 성주성 탈환전 3130

2) 성주 고을을 지켜냄 3132

4. 맺음말 3133

송량(宋亮) : 우곡(愚谷) 송량(宋亮) 선생이 맞은 임진란(壬辰亂) / 송주항(宋柱恒) 3135

愚谷의 家系 3135

愚谷과 尙州의 儒學界 3136

愚谷과 道南書院 3137

存愛院 3138

愚谷과 壬辰亂 3141

愚谷의 宦路生活 3143

송빈(宋賓) : 웅어(熊魚)를 분별하듯 의(義)를 취하고 순국한 송빈(宋賓) 선생 / 이은영(李恩英) 3147

1. 머리말 3147

2. 가계와 생애 3148

1) 가계 3148

2) 생애 3149

3. 임란시 활동 사항 3151

1) 김해성 전투에서 순국(殉國) 3151

2) 장대 벽에 남긴 충절시 3155

3) 순조(純祖)의 치제문(致祭文) 3156

4. 맺음말 3158

송상현(宋象賢) : 충렬공(충렬공(忠烈公)) 천곡(泉谷) 송상현 선생 / 조영임(曺永任) 3161

1. 임진왜란 이전 천곡 선생의 삶과 경력 3161

2. 동래성 전투에서의 순절과 사후 추중 3169

3. 천곡 선생의 저작(著作)과 유필(遺筆) 3176

송언신(宋言愼) : 영양공(榮襄公) 송언신(宋言愼) 선생 / 송길룡(宋吉龍) 3179

1. 가계(家系) 3179

2. 생장 과정과 학문 3181

3. 출사(出仕)와 치적(治跡) 3182

4. 유업(遺業) 3189

5. 절의(節義) 3190

송원기(宋遠器) : 군량미 보급과 변무서로 나라를 구한 아헌(啞軒) 송원기(宋遠器) 선생 / 이은영(李恩英) 3193

1. 머리말 3193

2. 가계와 생애 3194

1) 가계 3194

2) 생애 3196

3. 임란시 활동 사항 3198

1) 명나라 군사에 군량미 보급 3198

2) 명나라 진 어사에게 올린 변무서(辨誣書) 3200

4. 맺음말(공신 녹훈) 3201

송원도(宋遠度) : 군량미를 보급한 선무원종공신 경헌(敬軒) 송원도(宋遠度) 선생 / 이은영(李恩英) 3207

1. 머리말 3207

2. 가계와 생애 3208

1) 가계 3208

2) 생애 3209

3. 명나라 군사에 군량미 보급 3210

4. 맺음말(공신 녹훈) 3211

송희립(宋希立) : 임란공신 삼규당(三規堂) 송희립(宋希立) 장군 / 송기평(宋基坪) 3213

① 송희립, 지도만호에 제수되다 3219

② 작전참모 송희립 군관 '이순신 좌수사 막하에 들다' 3220

③ 송희립, 세계최초의 철갑선 신조에 참여하다 3221

④ 왜적침략과 경상도 무인지경 함락 3222

⑤ 전라좌수영 함대 경상해역 출전 3223

⑥ 송희립 여산송씨 일문 20인 선무원종공신 책록 3227

신경회(申慶會) : 팔공산회맹에서 맹서한대로 화왕산성 방어에 힘쓴 신경회 선생 / 이은영(李恩英) 3231

1. 머리말 3231

2. 가계와 생애 3232

1) 가계 3232

2) 생애 3234

3. 임란시 활동 사항 3235

1) 제1차 팔공산회맹 3235

2) 화왕산성 방어 3236

4. 맺음말(공신녹훈) 3239

신립(申砬) : 충장공(忠壯公) 신립(申砬) 장군 / 신우현(申佑鉉) 3241

1. 인물 개관 3241

2. 가계 3242

3. 임란 전 공적(북방 여진족 격퇴) 3243

가. 변방 오랑캐 기승 대비에 대한 전교 3243

나. 신립의 훈공을 보고 하다 3245

다. 공을 세운 신립 등에 가자 전교 하다 3245

라. 신립 등에게 각종 물품을 하사 하다 3246

마. 신립이 변방의 일을 아뢰서 선조를 인견하다 3246

바. 신립을 다른 곳에 차임하다 3246

사. 신립, 유훈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3246

아. 선조가 인견하고 신립에게 물품을 내리다 3247

자. 신립에 대한 선조의 신망 3247

4. 임란 관련 사항(충주탄금대전투) 3247

가. 임전 준비 3247

나. 작전 토의(앞의 토론 내용 발췌) 3254

다. 접전(전투) 3255

라. 신립 충주에서 패배하다 3257

5. 임란 이후 3257

가. 선조 파천을 의논하다 3257

나. 선조 파천 하다 3258

6. 기타 3258

가. 탄금대 詩 3258

나. 신립 장군 순국 지지비(申砬將軍殉國之址碑) 3258

다. 평산신씨 계보(平山申氏系譜) 3259

라. 신립 가족의 죽음 및 후손의 현달 3259

마. 후손의 논9論) 3260

바. 묘소 3261

7. 임란관련 문헌 및 기사 3261

신언희(申彦熙) : 팔공산회맹 참여 후 화왕산성 방어에 공을 세운 신언희(申彦熙) 선생 / 이은영(李恩英) 3263

1. 머리말 3263

2. 가계와 생애 3264

1) 가계 3264

2) 생애 3266

3. 임란시 활동 사항 3267

1) 제1차 팔공산회맹 3267

2) 화왕산성 방어 3268

4. 맺음말(공신녹훈) 3270

신용(申涌) : 하은(霞隱) 신용(申涌) 선생 / 신범식(申範植) 3273

신지제(申之悌) : 임진란과 오봉(梧峰) 신지제(申之悌) 선생 / 신병조(申炳朝) 3287

1. 머리말 3287

2. 출생과 가계 3287

3. 임란관련 유사(遺事) 3288

4. 임진란 이후의 활동 3290

5. 기타사항 3292

신흠(申欽) : 신립종사관, 인조조 영의정, 한문학의 4대가 중 1인 신흠 선생 / 신동성(申東星) 3295

1. 인물 개관 3295

2. 출생 및 가계 3297

3. 임란에 관한 공적 3298

가. 임진년에 왜구가 흔단(釁端)의 계기를 만든 시말에 관한 기록(壬辰倭寇釁始末志)(일부) 3298

나. 본국이 무함(무고함)을 당한 시말에 관한 기록(本國被誣始末志)(일부) 3300

다. 본국이 병화를 입은 기록(本國疲兵志)(일부) 3303

라. 여러 장사들이 왜란 초에 무너져 패한 기록(諸將士難初陷敗志)(일부) 3303

마. 중국이 시종 군사를 내보내 도와준 것에 관한 기록(天朝先後出兵來援志)(일부) 3306

바. 중국군이 와서 구원해 준 내용(일부) 3307

사. 적추(賊酋) 수길(秀吉)의 죽음(일부) 3307

아. 왜의 대비에 관한 설(비왜설(備倭說))(일부) 3307

자. 상촌 신흠(申欽), 선조 명을 받아 왜적정벌 사적 찬집(일부) 3310

4. 임란 관련 문헌 및 기사 3311

상촌집(象村集) 3311

상촌집(象村集)에 임란 관련, 수록 내용 3311

심청(沈淸) : 벽절(碧節) 심청(沈淸)선생의 임진란 중의 의병 활동 / 심재우(沈載佑) 3315

1. 청송심씨의 선대와 가풍 3315

2. 벽절공 심청의 가계와 행적 3317

3. 벽절공 심청의 의병활동 3318

4. 벽절공 심청에 관한 현존 문헌 3323

1) 『청기세고(靑己世稿)』 3323

2) 『벽절일고(碧節逸稿)』 3325

5. 벽절공 심청 관련 사적(史蹟)과 후손 3327

안영(安瑛) : 청계공 안영(安瑛) 선생의 사실 3329

양대박(梁大樸) : 사후 정조(正祖)에게 인정받은 남원의 의병대장 양대박(梁大樸) 선생 / 이은영(李恩英) 3335

1. 머리말 3335

2. 가계와 생애 3336

1) 가계 3336

2) 생애 3337

3. 임란시 활동 사항 3341

1) 창의 3341

2) 운암 대첩 3349

3) 과로사 3351

4. 맺음말 3354

여대로(呂大老) : 유자로서의 도리를 지키며 향토수호에 전력한 여대로(呂大老) 선생 / 이은영(李恩英) 3359

1. 머리말 3359

2. 가계와 생애 3360

1) 가계 3360

2) 생애 3362

3. 임란시 활동 사항 3364

1) 고령전투와 거창의 우척현전투 3364

2) 지례수복전투 3365

3) 명나라 군사의 군량미 보급 3367

4) 팔공산회맹 3368

5) 화왕산 회맹과 화왕산성 방어 3369

4. 맺음말 3371

5. 임진왜란 후의 삶 3372

오수(吳壽) : 선무원종공신1등(宣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된 오수(吳壽) 선생 / 이은영(李恩英) 3375

1. 머리말 3375

2. 가계와 생애 3376

1) 가계 3376

2) 생애 3377

3. 임란시 활동 사항 3378

1) 영천성 수복전과 경주성 탈환전 3378

2) 안강 전투와 팔공산 회맹, 그리고 경주읍성 전투 3381

4. 맺음말(공신 녹훈) 3383

오신(吳信) : 보국진충(報國盡忠)을 맹서하고 실천에 옮긴 오신(吳信) 선생 / 이은영(李恩英) 3385

1. 머리말 3385

2. 가계와 생애 3386

1) 가계 3386

2) 생애 3387

3. 임란시 활동 사항 3388

1) 형산강 전투와 태화강 전투 그리고 이견대 수전 3388

2) 안강 전투와 경주읍성 전투 3391

4. 맺음말(공신 녹훈) 3393

오운(吳澐) : 죽유(竹牖) 오운(吳澐) 선생의 삶과 임란(壬亂) 창의활동 / 오용원(吳龍源) 3395

1. 죽유의 가계 3395

2. 죽유의 생애 3398

3. 죽유의 현실인식과 임란 창의활동 3402

우배선(禹拜善) :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월곡(月谷) 우배선(禹拜善)의 활동 / 김경태(金경泰) 3411

1. 머리말 3411

2. 전쟁 초기의 활동 3414

3. 강화교섭기의 활동 3424

4. 정유재란과 전쟁의 종결 3429

5. 맺음말 3431

우성전(禹性傳) : 문강공(文康公) 추의사(秋義使) 우성전(禹性傳) 선생의 학문과 의병장 활동 / 최홍규(崔弘圭) 3437

1. 머리말 3437

2. 출생과 가계 3439

3. 퇴계(退溪)의 문하(門下)에서 학문 수업 3441

4. 관직생활 - 남인(南人) 영수로 활약 3446

5. 추의사(秋義使)로서 의병장(義兵將) 활동 3448

6. 맺음말 3453

유홍(俞泓) : 충목공 유홍(忠穆公 兪泓) 선생 3457

1. 家系와 官歷 3457

1) 가계 3457

2) 관력 3458

3) 宗系辨誣 공로 3460

4) 鄭汝立 모반 사건 평정 공로 3463

2. 임진왜란 당시 활동 3464

1) 선조 25년(1592)의 구국 활동 3464

2) 선조 26년(1593)의 구국 활동 3468

3) 선조 27년(1594)의 우성전(禹性傳)의 학문과 의병장 활동 3472

3. 수신(修身)과 가법(家法) 3473

1) 바른 몸가짐과 독서력 3473

2) 가법의 제시 3474

윤경원(尹慶元) :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충장공(忠莊公) 윤경원(尹慶元)의 활동 3477

1. 임진왜란 발발과 윤경원의 활동 3477

2. 임진왜란 이후 윤경원에 대한 기억과 평가 3480

윤근수(尹根壽) : 문정공(文貞公) 윤근수(尹根壽) 선생의 생애 3485

1. 머리말 3485

2. 출생과 가계 3486

3. 임란관련사항(공적사항) 3491

(가) 평양회담 3497

(나) 요동본부의 경락 송응창(宋應昌)에게 촉구 3498

(다) 서울 수복(收復) 후에 강화교섭(講和交涉) 3498

4. 임란 이후 활동사항 3505

5. 학문 활동 기타 3507

청빈락도(淸貧樂道) 사생활 철학 3509

윤두수(尹斗壽) : 조선조(朝鮮朝) 명신(名臣) 강직하고 주관이 확립된 위대한 정치가문정공(文情公) 윤두수(尹斗壽) 선생 / 윤성로(尹聖路) 3511

1. 머리말 3511

2. 가계와 벼슬길 3513

1) 政治家이며 文學家요 名筆 3513

2) 벼슬길管路은 그리 平坦치 않았다 3513

3) 文武를 兼備한 名監司, 平壤原從功臣, 封爵하다 3516

4) 黨爭에 휘말리어 귀양을 가기도 하였다 3516

3. 壬辰倭亂시의 활동과 特勳 3517

1) 사리판단(事理判斷)과 선견지명(先見之明)이 뛰어나 3517

2) 特命으로 귀양에서 풀리어 御營大將과 左議政에 任命 3520

3) 혼자 남아서 평양성(平壤城) 방어를 자원(自願) - 大臣中 大臣다운 勇氣와 氣槪 3522

4) 遼東으로의 피난을 적극 만류 忠諫하다 3524

5) 明의 東征提督 李如松將軍도 公의 人品과 智略에 탄복 3527

6) 西山大師를 戰列에 參與케 함 - 죽음을 각오하고 國務에 임한 宰相 3528

7) 倭軍과의 講和에 反對의지 - 兵部侍郞(出兵總責) 宋應昌에게 계속 進軍할 것을 - 3529

8) 선조(宣祖)26년(1593) 1월 대가(大駕)를 호종환도(扈從還都) 3531

윤섬(尹暹) : 충절과 우정의 인물 문렬공(文烈公) 윤섬(尹暹) 선생 / 윤원호(尹元鎬) 3533

1. 머리말 3533

2. 북방 영토를 개척한 윤관(尹瓘) 장군의 후예(後裔) 3534

3. 백성을 진정으로 사랑했던 윤 장군의 증손(曾孫) 3536

4. 절세미인 숙창원비와 충렬왕 부자(父子) 3538

5. 서장관(書狀官)에 발탁되어 왕조의 숙원을 해결한 수재(秀才) 3539

6. 친구 대신 전쟁터로 나간 우정의 표상(表象) 문렬공 3542

7. 문헌(文獻)에 소개된 문렬공에 관한 기록 3544

동국삼강행실도(東國三綱行實圖) 3544

상주 유림에서 발행한 충의단지(忠義壇誌) 3545

명륜교재(재단법인 경기도 향교재단 발행 70p, 2006년) 3545

시장(諡狀)에 나타난 인품과 가족 이야기 3545

8.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순국한 문렬공의 손자들 3546

9. 문렬공의 7대손이 편찬한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3547

10. 맺는말 3548

윤진(尹軫) : 율정(栗亭) 윤진(尹軫) 선생 / 변온섭(邊瑥燮) 3551

1. 가계와 생애 3551

2. 오산 남문창의와 윤진 3554

가. 남문창의 3554

나. 남문의병 활동 3556

다. 남문의병의 특징 3557

라. 남문창의비와 창의사 3558

3. 입암산성과 윤진 3560

가. 입암산성의 개요 3560

나. 입암산성의 연혁 3561

다. 축성규모와 운용 3562

라. 입암산성의 특징 3563

마. 윤진장군 순의비 3564

4. 맺음말 3566

윤취선(尹就善) : 1차 경주성 탈환전에서 전사한 윤취선(尹就善) 선생 / 이은영(李恩英) 3569

1. 머리말 3569

2. 가계와 생애 3570

1) 가계 3570

2) 생애 3571

3. 임란시 활동 사항 3572

1) 영천성 수복전 3572

2) 1차 경주성 탈환전에서 전사 3576

4. 맺음말(공신녹훈) 3578

윤탁연(尹卓然) : 헌민공(憲敏公) 중호(重湖) 윤탁연(尹卓然) 선생의 일생과 업적 / 김현영(金炫榮) 3581

1. 중호 선생의 생애 3581

2. 명민한 재능과 문장 3582

선조조의 팔문장 3582

명민한 재능 - 三字具書 3583

親試 장원 3585

宗系辨誣와 光國功臣 3587

3. 임란 중의 생애와 『북관일기』 3588

왕자 호종 3588

함경도관찰사 겸 함흥부윤 겸 병마절도사 3591

4. 맺음말 3591

판권기 3593

표제지

일러두기

목차

윤홍명(尹弘鳴) : 7년간 종횡무진 이룬 공적을 막료 장수들에게 돌린 화암(花巖) 윤홍명(尹弘鳴) 선생 / 이은영(李恩英) 3604

1. 머리말 3604

2. 가계와 생애 3605

1) 가계 3605

2) 생애 3607

3. 임란시 활동 사항 3609

1) 임진왜란 전의 다짐 3609

2) 대룡암전투, 그리고 문천회맹과 문천전투 3610

3) 선도산전투와 형산강전투 3613

4) 개운포전투와 태화강전투, 학성단기풍제 3614

5) 모화전투와 구강회맹 3616

6) 양천교전투와 달현전투 3618

7) 팔공산회맹과 팔공산전투 3620

8) 화왕산회맹과 화왕산성 전투 3621

4. 맺음말(모든 공적을 막료 장수들에게 돌림) 3624

5. 임진왜란 후의 삶 3624

윤흠신(尹欽信)과 윤흠도(尹欽道) : 머리를 나란히 하고 의롭게 죽은 신암(愼巖) 윤흠신(尹欽信) 선생과 구사당(九思當) 윤흠도(尹欽道) 선생 / 이은영(李恩英) 3626

1. 머리말 3626

2. 가계와 생애 3627

1) 가계 3627

2) 생애 3628

3. 소천전투에서 전사(戰死) 3629

4. 맺음말(공신녹훈) 3638

윤흥신(尹興信) : 임란 초에 전사한 동래 순절사 중 한 사람인 윤흥신(尹興信) 장군 / 이은영(李恩英) 3640

1. 머리말 3640

2. 가계와 생애 3641

1) 가계 3641

2) 생애 3641

3. 임란시 활동 사항 3642

1) 다대포진에서 전사 3642

2) 윤흥신의 순절을 확인시켜주는 사료 3644

4. 맺음말(공신녹훈) 3649

이겸수(李謙受) : 죽재(竹齋) 이겸수(李謙受) 선생 / 이명훈(李明勳) 3652

1. 머리말 3652

2. 이겸수의 항일 의병활동 3653

3. 이겸수의 대일 외교활동 3654

1) 임진왜란의 전황 3654

2) 사명대사와 『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 3655

3) 이겸수가 참여한 강화회담의 경과 3655

4. 이겸수가 남긴 자취 3678

이경(李磬) : 임란(壬亂) 창의 유군장(遊軍將) 이경(李磬) 선생의 충의정신 / 조동영(趙東永) 3682

이경리(李景鯉) : 임란호국영남충의단 영천이씨 7의사 중 한 사람인 이경리(李景鯉) 선생 / 이은영(李恩英) 3686

1. 머리말 3686

2. 가계와 생애 3687

1) 가계 3687

2) 생애 3688

3. 임란시 활동 사항 3689

1) 안동 열읍 향병 3689

2) 제1차 진주성 전투 3692

3) 화왕산성 회맹과 방어 3694

4. 맺음말(공신녹훈) 3696

이경연(李景淵) : 제월당(霽月堂) 이경연(李景淵) 선생 / 이명훈(李明勳) 3698

1. 머리말 3698

2. 이경연(李景淵)의 의병활동 3699

1) 임진왜란 전야 3700

2) 1592년(28세, 임진년) 3700

3) 1593년(29세, 계사년) 3704

4) 1594년(30세, 갑오년) 3706

5) 1595년(31세, 을미년) 3707

6) 1596년(32세, 병신년) 3708

7) 1597년(33세, 정유년) 3708

8) 1598년(34세, 무술년) 3712

9) 1599년 이후 3713

3. 이경연(李景淵)의 가계(家系)와 일본 3715

1) 조선 최초의 대일통신사 이예(李藝) 3715

2) 사행 중 순직한 대일통신사 이종실(李宗實) 3717

이경택(李景澤) : 약관의 나이로 형들을 도우며 충(忠)을 이룬 이경택(李景澤) 선생 / 이은영(李恩英) 3728

1. 머리말 3728

2. 가계와 생애 3729

1) 가계 3729

2) 생애 3731

3. 임란시 활동 사항 3733

1) 경주성 탈환전 3733

2) 안강 전투 3736

3) 화왕산성 회맹과 방어 3737

4. 맺음말(공신녹훈) 3739

이경한(李景漢) : 청와(靑窩) 이경한(李景漢) 선생의 생애(生涯)와 문적(文籍) / 조동영(趙東永) 3742

1. 머리말 3742

2. 세계(世系)와 생애(生涯) 3743

3. 문적(文籍)의 고찰(考察) 3745

4. 맺음말 3749

이경해(李景海) : 전력(戰歷)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고 있는 공신 이경해(李景海) 선생 / 이은영(李恩英) 3752

1. 머리말 3752

2. 가계와 생애 3753

1) 가계 3753

2) 생애 3755

3. 임란시 활동 사항 3756

1) 경주성 탈환전 3756

4. 맺음말(공신녹훈) 3760

이경호(李景湖) : 경주지역 수호에서 화왕산성 방어까지 나선 이경호(李景湖) 선생 / 이은영(李恩英) 3762

1. 머리말 3762

2. 가계와 생애 3763

1) 가계 3763

2) 생애 3765

3. 임란시 활동 사항 3767

1) 경주성 탈환전 3767

2) 안강 전투 3770

3) 화왕산성 회맹과 방어 3770

4. 맺음말(공신녹훈) 3773

이광(李洸) : 우계(雨溪) 이광(李洸) 선생과 임진왜란 / 김경태(金경泰) 3776

1. 서론 3776

2. 임진왜란 이전의 이광 3777

3. 임진왜란 이광의 활동 3778

1) 근왕군의 내부 사정 3787

2) 전술의 문제 3788

3) 병력의 문제 3789

4. 결론에 대신하여 - 용인전투 이후의 이광 3790

이광복(李光復) : 정확한 행적을 찾을 수 없어서 슬픈 이광복(李光復) 선생 / 이은영(李恩英) 3796

1. 머리말 3796

2. 가계와 생애 3797

1) 가계 3797

2) 생애 3798

3. 파악할 수 없는 임란시 활동 사항 3799

4. 맺음말(공신녹훈) 3800

이광악(李光岳) : 광남군(廣南軍) 충장(忠壯) 이광악(李光岳) 장군의 공적 / 이광희(李光熙) 3802

1. 머리말 3802

2. 家系 및 生涯 3804

3. 倭亂 때의 活躍 3810

1) 晋州城 戰鬪에서의 勝利 3810

2) 全羅兵使로서의 活躍 3816

이광정(李光庭) : 해고(海皐) 이광정(李光庭) 선생 / 이용혁(李庸赫) 3822

1. 해고공의 가계 3822

2. 유소년기 3823

3. 국난극복의 현신(賢臣) 3824

4. 청렴의 사표 3831

5. 연원부원군(延原府院君)의 일화 3834

이광준(李光俊) : 학동(鶴洞) 이광준(李光俊) 선생 사적기(事蹟記) / 이부식(李富植) 3840

1. 공의 가계(家系) 3840

2. 40년 벼슬길에 오르다 3841

가. 창녕현감(昌寧縣監) 3841

나. 청송부사(靑松府使) 3842

다. 성균관 사성(成均館 司成) 3842

라. 임진애란과 공의 활동 3843

마. 왜란 후 공의 활동 3849

3. 산림처사(山林處事)가 되다 3850

4. 공을 배향한 곳 3851

5. 해동삼절첩(海東三絶帖) 3852

가. 금강산을 유람한 기문(遊金剛山記) 3852

나. 금강산 유람을 찬양한 시찰(찬금강유시찰(讚金剛遊詩札)) 3854

다. 해동삼절첩 유 금강첩 발문( 海東三絶帖 遊 金剛帖 跋) 3855

라. 월사 이정구에게 답함(答 李月沙 聖徵 廷龜) 3857

마. 오봉 효언 이호민에게 답함(答李五峯孝彦 好閔) 3857

6. 공의 후손들 3858

7. 학동 이광준 선생 연표(年表) 3861

이극개(李克凱) : 약관의 나이로 순절한 선무원종공신 1등 이극개(李克凱) 선생 / 이은영(李恩英) 3864

1. 머리말 3864

2. 가계와 생애 3865

1) 가계 3865

2) 생애 3866

3. 임란시 활동 사항 3868

1) 제1차 진주성 전투 3868

2) 제2차 진주성 전투 3869

4. 맺음말(공신녹훈) 3872

이기설(李基卨) : 연봉(蓮峯) 이기설(李基卨) 선생의 생애와 행적 / 이종억(李鍾億) 3876

蓮峯 李基卨의 生涯와 行績 3876

家門 3876

生涯 3878

壬辰倭亂시의 公의 行績 3880

交遊人物 3882

이담(李曇) : 조선해군 군비강화의 초석, 그리고 朝明연합 작전에 참가한 이담(李曇) 장군 / 장영희(張英姬) 3888

1. 머리말 3888

2. 가계와 생애 3889

1) 가계 3889

2) 생애 3890

3. 임란시 활동사항 3890

1) 군비강화의 최전선에 서다 3890

2) 사로병진(四路竝進) 작전에 참전하다 3893

4. 맺음말 3894

이대형(李大亨) : 자신의 말대로 순국(殉國)의 혼령이 된 이대형(李大亨) 선생 / 이은영(李恩英) 3896

1. 머리말 3896

2. 가계와 생애 3897

1) 가계 3897

2) 생애 3898

3. 김해성 전투에서 전사 3900

4. 맺음말 3903

이덕열(李德悅) : 양호당(養浩堂) 이덕열(李德悅) 선생 3906

이덕형(李德馨) :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 선생의 정치·외교·국방을 통한 국난극복 / 이명환(李明煥) 3912

1. 머리말 3912

2. 치국(治國)을 통한 구국(救國) 3913

1) 삼대문장치신(三大文章致身) 3913

2) 시무팔조(時務八條) 3915

3) 한음의 치국논(治國論) 3915

3. 한음의 국난 극복 3918

1) 전란 중 외교 활동 3918

2) 전란 중 군사 활동 3919

4. 연이은 고난과 시련 3920

5. 국가의 장래를 대비 3923

1) 중흥산성 수축 3923

2) 대마도 정벌 3924

2) 북벌을 주장 3925

3) 조총(鳥銃)과 기효신서(紀效新書)의 활용 3926

4) 농업과 광업 개혁을 통한 부국강병 3927

5) 할조선(割朝鮮) 4도분할(四道分割) 3929

6. 겸손, 청렴과 녹훈(錄勳) 사양 3929

7. 맺는말 3932

이도일(李道一) : 17세의 나이로 화왕산성 방어에 힘쓴 소우헌(消憂軒) 이도일(李道一) 선생 / 이은영(李恩英) 3934

1. 머리말 3934

2. 가계와 생애 3935

1) 가계 3935

2) 생애 3937

3. 화왕산성 방어 3939

4. 맺음말 3942

이득룡(李得龍) : 영천(永川) 십의사(十義士)로 거듭 난 추계(秋溪) 이득룡(李得龍) 선생 / 이은영(李恩英) 3944

1. 머리말 3944

2. 가계와 생애 3945

1) 가계 3945

2) 생애 3947

3. 임란시 활동 사항 3948

1) 영천성 수복전 3948

2) 경주성 탈환전 3949

4. 맺음말(충현록(忠賢錄)) 3950

이득린(李得麟) : 22세의 나이로 경주성 탈환전에서 순절한 대재(大齋) 이득린(李得麟) 선생 / 이은영(李恩英) 3952

1. 머리말 3952

2. 가계와 생애 3953

1) 가계 3953

2) 생애 3955

3. 임란시 활동 사항 3956

1) 영천성 수복전 3956

2) 경주성 탈환전 3957

4. 맺음말(충현록(忠賢錄)) 3958

이로(李魯) : 송암(松巖) 이로(李魯) 선생의 학덕(學德)과 훈공(勳功) / 허권수(許捲洙) 3960

1. 머리말 3960

2. 가계(家系) 3960

3. 임진왜란 이전의 생애 3961

4. 임진왜란 때의 활약과 공적 3963

5. 松巖의 勳功과 學德에 대한 후세의 推崇 3970

6. 『송암집(松巖集)』의 체재와 내용 3975

7. 맺는 말 3979

이면(李葂) : 참의공 이면(李葂) 선생 3980

이보(李寶) : 충신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 이보(李寶) 선생 / 이윤희(李允熙) 3984

1. 머리말 3984

2. 의병장 이보(李寶)의 출생과 가계 3985

1) 이보의 출생 3985

2) 이보의 가계 3986

3. 이치전투와 이보의 순절 3987

1) 이보(李寶)의 인품과 명성 3987

2) 이보(李寶) 이치 전투 순절 3987

4. 이보(李寶) 후대의 추송 활동 3990

1) 아들 이시달(李時達)에 대한 복호(復戶) 3991

2)1620년(인조 4년) 전라도 감사 민성진 정려 표창 치계 3991

3) 금산 종용사 재향 요청(1647년) 3991

4) 호남 삼강 인물로 추천(1650년) 황자후 3992

5) 홍덕 유생의 사우 창건 권유 통문(1695년) 3993

6) 익산 유생의 상소와 증직(1712년) 번역 3993

7) 충신 명정(忠臣 命旌) 1741년 영조 17 3997

8) 은천사(隱泉祠)의 창건(1801년) 3998

9) 은천사(隱泉祠)의 철폐(대원군 서원 철폐령 1868병인) 3998

10) 은천사(隱泉祠)의 설단(1893년 갑오) 3998

11) 지평공 이보(李寶) 순의록(殉義錄) 출판(각종 상소문 집) 3998

12) 은천사(隱泉祠)의 복원(1982년10월) 3998

13) 충용의 혼(忠勇의 魂) 책 출판(충신 이보 충절의 행적) 3998

14) 충혼비(忠魂碑) 건립(익산시 석왕동 묘소 앞) 3998

이분(李芬) : 이분(李芬) 선생의 생애 / 노승석(盧承奭) 4000

이산해(李山海) : 관료학자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 선생과 임진왜란 / 신병주(申炳周) 4004

들어가는 말 4004

1. 한산 이씨 명문가의 후예 4004

2. 관료생활의 빛과 그늘 4006

3. 실용을 중시한 관료학자 4007

4. 임진왜란에 대한 진단과 대응 방안 4009

1) 현실에 대한 냉정한 진단 4009

2) 이순신과 원균에 대한 인식 4012

3) 수전(水戰) 우위의 유지와 주사(舟師) 강화론 4015

5. 말년의 삶 4017

마치는 말 4018

이상길(李尙吉) : 충숙공(忠肅公) 이상길(李尙吉) 선생 / 이수기(李守基) 4020

1. 임진왜란과 충숙공 4025

2. 충숙공의 유고 모음 동천집(東川集) 4027

이서(李序)·이탁(李度)·이광(李廣) : 이서(李序)·이탁(李度)·이광(李廣) 선생 삼형제와 임진왜란 4030

이섬(李暹) : 노량해전, 그 빛나는 전적(戰績) 이섬(李暹) 장군 / 장영희(張英姬) 4034

1. 머리말 4034

2. 가계와 생애 4035

1) 가계 4035

2) 생애 4036

3. 임란시 활동사항 4036

1) 최대의 혈전을 준비하다 4036

2) 노량해전, 그 장렬한 전투의 이섬 장군 4037

4. 맺음말 4041

이순신(李舜臣) :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장군의 생애와 업적 / 노승석(盧承奭) 4044

1. 출생과 가계 4044

2. 청직(淸直)한 관직 생활 4047

3. 임란시기 전공(戰功) 4052

4. 전쟁 비망록 『난중일기』 4059

5. 평가와 현양(顯揚) 4063

이승(李承) : 충효(忠孝)의 모범(模範) 청휘당(晴暉堂) 이승(李承) 선생 / 장영희(張英姬) ; 이기운(李起運) 4070

1. 머리말 4070

2. 가계와 생애 4071

1) 가계 4071

2) 생애 4072

3. 임란시 활동사항 4074

1) 낙강칠현(洛江七賢)의 1인 국난의 지도자 되다 4074

2) 충효의 모범 청휘당(晴暉堂) 4079

4. 맺음말 4082

이시경(李蓍慶) : 충신(忠臣) 이시경(李蓍慶) 선생 / 이명준(李明埈) 4084

1. 이시경(李蓍慶) 가계(家系) 4084

2. 충신 이공 시경(李蓍慶) 정충은전(旌忠恩典) 4086

3. 충신 이공 시경(李蓍慶) 정충은전기제고유문(旌忠恩典忌祭告由文) 4086

4. 충신 이공 시경(李蓍慶)이 유일무이한 自作詩 4088

이시발(李時發) : 충익공(忠翼公) 벽오(碧梧) 이시발(李時發) 선생 소고 / 권종천(權鍾川) 4090

1. 머리말 4090

2. 李時發의 生涯와 業績 4091

1) 出生과 成長 4091

2) 宣祖代의 活動 4092

3) 光海君代의 活動 4106

4) 仁祖代의 活動 4109

3. 結語 4111

이양원(李陽元) : 노저상공(鷺渚相公) 문헌공(文憲公) 이양원(李陽元) 선생 / 이명준(李明埈) 4114

1. 인물개괄사(人物槪括史) 4114

2. 이양원(李陽元) 가계(家系) 4116

3. 蟹踰嶺戰鬪(壬辰年 5月 中旬) 4119

1) 戰鬪前의 槪況 4119

2) 戰鬪經過의 槪況 4120

3) 戰鬪後의 槪況 4120

4) 일화(逸話) 4121

5) 해유령전첩비(蟹踰嶺戰捷碑) 4121

4. 憤死한 留都大將 李陽元 4122

1) 수성대장(守城大將)이 류성룡(柳成龍) 정승으로부터 李陽元으로 바뀌다 4122

2) 勝戰한 將帥 목 베게 한 무고 4123

3) 서울 死守하려다 楊州로 후퇴 4124

4. 宣祖 임금 사저(私邸)에서 모셔온 도승지(都承旨) 4126

5) 黑白에 편당되지 않으며… 4127

5. 漢江上의 용양봉저정(龍讓鳳翥亭)(本名望海亭) 李陽元의 옛 집터 4128

6. 이양원(李陽元)의 묘비(墓碑) 4129

1) 현상에 대한 설명 4130

7. 鷺渚作品 4131

1) 鴉鷺歌와 朱綠歌 4131

2) 時調三首 4132

3) 山人見訪 外 三首 4132

4) 어떤 사람에게 답함(答某人) 4132

이언영(李彦英) : 완석정(浣石亭) 이언영(李彦英) 선생 / 이종건(李鐘健) 4136

1. 서문(序文) 4136

2. 李彦英의 생애 4137

1) 가계(家系)와 학문 4137

2) 출사와 사상 4138

3) 국난극복에 헌신 4142

3. 완정집 개요 4144

1) 隨筆(雜著)과 說을 통해서 본 浣石亭 李彦英과 人品과 事蹟 4147

이언춘(李彦春) : 선무원종공신 1등에 녹후된 사족(士族)의 후예 이언춘(李彦春) 장군 / 이은영(李恩英) 4154

1. 머리말 4154

2. 가계와 생애 4155

1) 가계 4155

2) 생애 4157

3. 임란시 활동 사항 4159

1) 전국 최초의 창의와 태화강 개운포 전투 4159

2) 달현 전투 4160

3) 원원사 전투 4161

4) 태화강 전투 4162

5) 불국사 소실 후 왜군 격퇴를 위한 단합 4163

6) 영지 전투 4163

7) 창암 전투와 시현 전투 4164

8) 팔공산 회맹과 팔공산 전투 4165

9) 전술 개발 4166

10) 동계실기 4167

4. 맺음말(공신녹훈) 4168

이여량(李汝良) : 남영칠의장 중 한 사람인 용양대원수 이여량(李汝良) 선생 / 이은영(李恩英) 4170

1. 머리말 4170

2. 가계와 생애 4171

1) 가계 4171

2) 생애 4173

3. 임란시 활동 사항 4174

1) 임진왜란 전부터 다진 각오 4174

2) 임진왜란 발발 직후 창의 4175

3) 문천회맹과 문천전투 4176

4) 선도산전투와 형산강전투 참전 가능성 4178

5) 하늘에 죽음을 맹세함 4179

6) 원원사전투 4179

7) 태화강전투 4180

8) 고원지방의 왜군 섬멸 4181

9) 소실된 불국사에서 왜군 격퇴 대책 수립 4182

10) 영지전투 4183

11) 창암전투 4184

12) 달현전투 4184

4. 맺음말(공신녹훈) 4186

이염(李濂) : 선략장군(宣略將軍) 이염(李濂) 장군의 의병활동(義兵活動) / 조동영(趙東永) 4190

이영도(李詠道) : 동암(東巖) 이영도(李詠道) 선생 4194

1. 가계 및 성장 과정 4194

1) 가계 4194

2) 생장 과정 4195

2. 왜란과 군량 공급 4196

1) 안동의진(安東義陣) 4196

2) 기민구제(饑民救濟) 4197

3) 명군(明軍)의 군량 공급 4199

4) 안집사(安集使) 4201

3. 난후(亂後) 치민(治民) 4202

1) 현풍현감 4202

2) 김제 군수 4203

3) 청송부사 4203

4) 영천군수 4204

5) 익산군수 4205

6) 원주목사 4205

4. 절의(節義)와 유업(遺業) 4206

1) 절의 4206

2) 유업 4206

5. 역책(易簀)과 증직(贈職) 4209

1) 역책 4209

2) 증직 4210

이온수(李蘊秀) : 충효를 모두 이룬 장군으로 일컬어진 가은(稼隱) 이온수(李蘊秀) 선생 / 이은영(李恩英) 4214

1. 머리말 4214

2. 가계와 생애 4215

1) 가계 4215

2) 생애 4217

3. 임란시 활동 사항 4218

1) 한천 전투와 토적 소탕 4218

2) 영천성 수복전 4221

3) 제1차 경주성 탈환전 4225

4) 당교 전투 4226

5) 영일의 형산강 전투 4228

6) 정유재란 이후의 활약 4229

4. 맺음말(공신녹훈) 4230

이완(李莞) : 강민공(剛愍公) 이완(李莞) 장군의 생애 / 노승석(盧承奭) 4232

이우(李瑀) : 옥산(玉山) 이우(李瑀) 선생의 생애(生涯)와 업적(業績) / 이재화(李載和) 4240

1. 출생(出生)과 가계(家系) 4240

2. 부모(父母)에 대한 효도(孝道) 4241

3. 형제(兄弟)간 우애(友愛) 4242

4. 청렴(淸廉)한 관직(官職)생활과 전공(戰功) 4243

(1) 관직생활 4243

(2) 임진왜란과 기병 4243

(3) 정유(丁酉)재란(再亂)과 화왕산성(火旺山城)수성(守城) 4244

5. 예술(藝術)세계(世界) 4245

이운룡(李雲龍) : 조국을 구한 식성군 이운룡(李雲龍) 장군 / 이대용(李大鏞) 4252

1. 식성군 이운룡 장군의 생애 4252

1) 영특하고 의젓한 소년 4252

2) 문무를 겸한 젊은 무관 4253

3) 임진왜란 발발 4253

4) 최초의 전과(戰果) 옥포대첩(玉浦大捷) 4256

5) 한산대첩(閑山大捷)의 승리 4256

6) 정유재란 4258

7) 수군의 재건 4259

8) 무고 4261

9) 삼도수군통제사 4262

10) 충직한 용장의 말년 4265

2. 후세 사가들의 논평 4266

1) 택당(澤堂) 이식(李植) 4266

2) 회봉(晦峰) 하겸진(河謙鎭) 4267

3)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 4268

3. 임진왜란과 역사의 평가 4268

4. 식성군과 주요자료 4270

1) 선조대왕의 교서와 교지 4270

2) 거영일기(居營日記) 4270

3) 계본등록(啓本騰錄) 4271

4) 손기양의 묘지명 4271

5) 이식의 묘비명 4271

6) 식성군 실기 4271

5. 식성군 유적 4272

1) 식성군 묘역 4272

2) 석동서원 4272

3) 충현사 4272

4) 금호서원 4272

5) 기적비(紀蹟碑) 4272

6) 기강서원(岐江書院) 4272

7) 기적비 4272

8) 영세물망비(永世勿忘碑) 4272

이원익(李元翼) : 경세가(經世家)로서의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 선생 연구 - 壬辰倭亂中 功績을 중심으로 - / 류완상(柳完相) ; 이영희(李良熙) 4274

1. 머리말 4274

2. 平安道 都巡察使 在職時의 功績 4276

1) 宣祖 平壤 播遷時의 活躍 4276

2) 明과 聯合한 平壤奪還作戰의 遂行 4279

3) 講和會談 進行時의 業績 4283

3. 四道 都體察使 在職時의 功績 4286

1) 嶺南體察使營에서의 活動 4286

2) 丁酉再亂時의 活動 4290

3) 陳奏辨誣使로서 明과의 外交的 交涉 4294

4. 맺음말 4296

이유중(李有中) : 덕원군(德原君) 이유중(李有中) 선생 4298

이윤덕(李潤德) : 연로한 나이에도 불구하고 왜군 격퇴에 힘쓴 이윤덕(李潤德) 장군 / 이은영(李恩英) 4302

1. 머리말 4302

2. 가계와 생애 4303

1) 가계 4303

2) 생애 4304

3. 임란시 활동 사항 4307

1) 제1차 평양성 전투 4307

2) 명나라 군사 병력 주둔에 대해 의논한 바를 아룀 4309

4. 임란 후의 활동 사항 4309

5. 맺음말 4311

이응순(李應順) : 익흥공(益興公) 이응순(李應順) 장군 / 이영완(李英完) 4314

이응원(李應元) : 곽재우에게 재능을 인정받은 장서기(掌書記) 이응원(李應元) 선생 / 이은영(李恩英) 4320

1. 머리말 4320

2. 가계와 생애 4321

1) 가계 4321

2) 생애 4323

3. 화왕산회맹과 화왕산성 방어 4324

4. 맺음말 4327

이응인(李應寅) : 원흥부원군 이웅인 장군 / 이영완(李英完) 4330

1. 머리말 4330

2. 분조(分朝) 4333

3. 세자의 활약 4335

4. 맺는 말 4339

이응표(李應彪) : 수군통제사의 중위장(中衛將) 이응표(李應彪) 장군 / 배용일(裵勇一) 4344

1. 머리말 4344

2. 이응표의 가계 4345

3. 활약 내용 4346

1) 임진란 전의 활동 4346

2) 평양성, 한양 수복 전투 4347

3) 이순신 통제사의 중위장 이응표 4350

4) 부산포해전과 이응표의 활약 4353

5) 이응표의 수난과 해명 4356

4. 맺음말 4360

이의온(李宜溫) : 충성과 효심과 우애를 모두 드러낸 이의온(李宜溫) 선생 / 이은영(李恩英) 4364

1. 머리말 4364

2. 가계와 생애 4365

1) 가계 4365

2) 생애 4367

3. 임란시 활동 사항 4369

1) 피란 4369

2) 선도산 전투 4370

3) 부친상을 마치고 다시 의병활동에 나섬 4370

4) 팔공산 회맹 4371

5) 화왕산성 회맹 4373

6) 병중인 맏형 대신 나선 군량 공급 4375

7) 이순신 진영에서의 활약 4378

8) 『용사일록(龍蛇日錄)』 4381

4. 맺음말 4382

이의잠(李宜潛) : 수조당(守拙堂) 이의잠(李宜潛) 선생의 생애와 임란 의병활동 / 김시황(金時晃) 4384

1. 머리말 4384

2. 선생의 家系와 生涯 4385

1) 家系 4385

2) 出生과 成長 受學 4386

3) 壬辰倭亂에 參戰 有功 4387

4) 丁酉再亂 戰功 4388

3. 맺는 말 4391

이인상(李仁常) : 신암(愼庵) 이인상(李仁常) 장군 / 이명훈(李明勳) 4398

1. 머리말 4398

2. 이인상(李仁常)의 의병활동 4399

1) 임진왜란의 전황 4399

2) 임진왜란 초기의 전투 4400

3) 울산왜성 전투 4401

4)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4402

3. 이인상(李仁常)의 가계(家系)와 일본 4404

1) 조선 최초의 대일통신사 이예(李藝) 4405

2) 사행 중 순직한 대일통신사 이종실(李宗實) 4407

이일도(李逸道) : 선무원종공신 3등에 녹훈된 이일도(李逸道) 선생 / 이은영(李恩英) 4410

1. 머리말 4410

2. 가계와 생애 4411

1) 가계 4411

2) 생애 4413

3. 임란시 활동 사항 4413

1) 임진왜란 초기의 행적 추정 4413

2) 당교 전투 4415

4. 맺음말(공신녹훈) 4419

이일장(李日將) : 경주성 탈환전에서 순절한 의사(義士) 남전(藍田) 이일장(李日將) 선생 / 이은영(李恩英) 4422

1. 머리말 4422

2. 가계와 생애 4423

1) 가계 4423

2) 생애 4425

3. 임란시 활동 사항 4426

1) 영천성 수복전 4426

2) 경주성 탈환전 4427

4. 맺음말(충훈록(忠勳錄)) 4428

이잠(李潛) : 적개의병장(敵愾義兵將) 자암(紫巖) 이잠(李潛) 장군의 창의활동(倡義活動) / 조동영(趙東永) 4430

1. 머리말 4430

2. 세계 및 생애 4431

3. 창의활동의 의미 4432

4. 맺음말 4436

이전(李㙉) : 월간(月澗) 이전(李㙉) 선생 창의활동(倡義活動) / 정은주(鄭恩周) 4438

1. 머리말 4438

2. 가계와 생애 4439

1) 이전의 가계 4439

2) 이전의 생애 4439

3. 임란 시 활동사항 4440

4. 맺음말 4445

이정구(李廷龜) :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 선생 / 이명훈(李明薰) 4448

1. 머리말 4448

2. 월사 이정구의 출생과 가계(家系) 4448

3. 임진왜란 시기의 활동과 무술변무주(戊戌辨誣奏) 4450

4. 임진왜란 이후의 활동 4458

5. 이정구의 문한(文翰)과 학문 4463

6. 이정구의 자손들 4465

7. 맺는말 4468

이정백(李庭栢) : 낙금헌(樂琴軒) 이정백(李庭栢) 선생 / 이종희(李宗熙) 4470

1. 가계(家系) 4470

2. 성장과정 4471

3. 과거와 벼슬 4472

4. 임란시 활동 4473

5. 소재(小齋)를 짓고 거문고와 벗하다 4480

6. 문집의 간행 4482

7. 학덕을 기리다 4483

이종도(李宗道) : 장손(長孫)과 함께 왜군 격퇴에 나선 예안(禮安)의 이종도(李宗道) / 이은영(李恩英) 4488

1. 머리말 4488

2. 가계와 생애 4489

1) 가계 4489

2) 생애 4491

3. 의병장 김해(金垓) 진영에서의 활약 4493

4. 맺음말(공신녹훈) 4497

판권기 4499

표제지

일러두기

목차

이종문(李宗文) : 낙포(洛浦) 이종문(李宗文) 선생의 생애와 임진란 창의 / 구본욱(具本旭) 4509

1. 서론 4509

2. 가계 및 생애 4510

1) 가계와 하빈에 세거(世居) 4510

2) 진사시의 합격과 출사, 동도회 4511

3. 임진왜란과 창의 4514

4. 하목정의 건립과 유거(幽居) 및 제영(題詠) 4517

1) 건립과 의미 4517

2) 왕명과 중수, 부연(婦椽) 4520

3) 관리(官吏) 및 제유(諸儒)의 방문과 하목정의 시[題詠] 4521

5. 결론 4524

이주(李輈) : 태암(苔巖) 이주(李輈) 선생의 학문과 의병활동 / 이용하(李容夏) 4525

1. 태암(苔巖) 이주(李輈)의 생애(生涯) 4525

2. 태암(苔巖) 이주(李輈)의 의병활동 4528

왜란(倭亂)이 발발한 임진년(壬辰年) 4528

倡義檄文(八公山倡義時)(창의격문) 4530

3. 태암(苔巖) 이주(李輈)의 학문(學問) 4534

4. 태암(苔巖) 이주(李輈)의 교육관(敎育觀)과 인간관(人間觀) 4536

5. 환성정(喚惺亭)의 중건(重建)과 제유(諸儒)의 방문 4539

1) 환성정(喚惺亭) 4539

2) 환성정(喚惺亭)의 중건(重建) 4541

6. 맺는말 4541

이준(李浚) : 7년간 경상도 전역(戰役)에서 왜군 격퇴에 힘쓴 이준(李浚) 선생 / 이은영(李恩英) 4545

1. 머리말 4545

2. 가계와 생애 4546

1) 가계 4546

2) 생애 4548

3. 임란시 활동 사항 4550

1) 강무회와 창의 4550

2) 영천성 수복전 4551

3) 경주성 탈환전 4553

4) 팔공산회맹 4556

5) 화왕산성 방어 4557

4. 맺음말 4560

이준(李埈) : 문간공(文簡公) 이준(李埈) 선생 / 정은주(鄭恩周) 4563

1. 머리말 4563

2. 가계와 생애 4563

1) 이준의 가계 4563

2) 이준의 생애 4564

3. 임란 시 활동사항 4568

1) 안령 전투와 고모담 전투 4568

2) 정유재란 때의 활약 4571

4. 맺음말 4574

月磵蒼石兄弟急難圖(월간창석형제급난도) 4575

창석사당(蒼石祠堂)과 채화당 4576

임진난과 존애원(한국최초 주식회사) 4576

이중남(李仲男) : 원수와 한 하늘 아래 함께 살 수 없음을 맹서한 송재(松재) 이중남(李仲男) 선생 / 이은영(李恩英) 4579

1. 머리말 4579

2. 가계와 생애 4580

1) 가계(家系) 4580

2) 생애(生涯) 4581

3. 임란시 활동사항 4582

1) 권율 휘하에서의 싸움 4582

2) 제1차 진주성 전투 4583

3) 제2차 진주성 전투 4584

4. 맺음말 4587

이지(李旨) : 백암(柏庵) 이지(李旨)의 생애와 임진왜란 / 허권수(許捲洙) 4589

1. 머리말 4589

2. 가계(家系) 4589

3. 생애와 자질 4590

4. 임란 때의 활동과 불행한 최후 4591

5. 맺는 말 4592

이진(李珎) : 수많은 군량미를 헌납한 시은당(市隱堂) 이진(李珎) 선생 / 이은영(李恩英) 4593

1. 머리말 4593

2. 가계와 생애 4594

1) 가계 4594

2) 생애 4597

3. 임란시 활동 사항 4599

1) 화왕산성 방어 4600

2) 군량미 헌납 및 구휼 4601

3) 『문견록』을 통해서 본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4604

4) 『일기(日記)』를 통해서 본 정유재란 4611

4. 맺음말(공신녹훈) 4613

이철(李澈) : 청도(淸道) 오의사(五義士) 농현당(弄絃堂) 이철(李澈)의 가족애와 의병활동 / 조동영(趙東永) 4615

이축(李軸) : 임진왜란과 가악재(佳岳齋) 이축(李軸) 선생의 의병활동 / 김호종(金昊鍾) 4619

1. 머리말 4619

2. 임란(壬亂)과 상주 지방(尙州地方) 4620

1) 임란직전 3국의 상황 4620

2) 조선시대 상주(尙州)의 위상(位相) 4622

3) 왜군의 침략과 상주지방 항전(抗戰) 4623

3. 가악재의 가계(家系)와 거의(擧義) 4626

4. 가악재의 의병 활동(義兵活動) 양상(樣相) 4630

5. 맺음말 4636

이팽수(李彭壽) : 두촌(杜村) 이팽수(李彭壽) 선생 / 이정락(李定洛) 4639

1. 머리글 4639

2. 출생(出生)과 가계(家系) 4642

3. 창의(倡義)와 사적(事蹟) 4645

4. 순절(殉節) 이후 4651

1) 제1장 4652

2) 제2장 4652

3) 제3장 4653

이한남(李翰南) : 선무원종3등공신 훈련원 부정(副正) 이한남 선생 4661

1. 여는 글 4661

2. 임진왜란 이전의 울산과 왜(倭) 4662

3. 이한남의 가계 4663

4. 울산지역의 임진왜란 개관 4665

5. 훈련원부정 이한남의 활약(1565.2.18~1629.9.28) 4666

1) 신묘년(1591) 3월 3일, 무리룡산 약회(約會), 역문 4668

2) 임진년(1592) 4월 13일부터 4월 20일까지의 일 4668

3) 임진년(1592) 4월 21일부터 4월 30일까지의 일 4669

4) 임진년 5월 한 달 동안의 일, 본격적 전투가 시작되다 4670

5) 문천회맹(蚊川會盟)에 참여하다 4672

7) 계사년(1593) 정월의 일, 한 차례의 기습과 전열 재정비 4674

8) 계사년(1593) 정월 이후 섣달까지의 기록(약술) 4675

9) 갑오년(1594)에서 병신년(1596)까지 3년간의 기록(약술) 4676

10) 정유년(1597), 다시 왜란이 일어나다 4677

6. 맺는 글 4679

이함(李涵) : 운악(雲嶽) 이함(李函) 선생 약전 / 이용태(李龍兌) 4683

재령이씨 영해파 입향시조(入鄕始祖)와 그 선대 이야기 4683

운악선생 이야기 4685

임진, 정유란과 운악선생 4685

임진년 이후의 행적 4687

충효당의 가훈(家訓) 4688

忠孝堂 건물 이야기 4689

이항복(李恒福) : 이항복(李恒福) 선생의 정치외교 활동(政治外交 活動) / 정억기(鄭億奇) 4691

1. 머리말 4691

2. 가계와 생애 4692

1) 이항복의 가계 4692

2) 이항복의 생애 4694

2. 학문적 성향 4697

3. 정치관과 사회·경제 개혁론 4701

4. 이항복의 대명외교 활동 4704

1) 임진왜란의 발발과 명의 원군 청원 4704

2) 강화론의 대두와 이항복의 강화 반대 4706

5. 맺음말 4708

이해(李海) : 유호당(柳湖堂) 이해(李海) 장군의 절명사(絶命詞)와 우국충정 / 조동영(趙東永) 4711

1. 서언(緖言) 4711

2. 가계(家系) 및 생애(生涯) 4712

3. 절명사(絶命詞)의 해석 4712

4. 기록을 통해본 이해(李海)의 충정(忠貞) 4714

5. 결언(結言) 4716

이형남(李亨男) : 격문과 군량으로 의병의 사기충천에 힘쓴 이형남(李亨男) / 이은영(李恩英) 4719

1. 머리말 4719

2. 가계와 생애 4720

1) 가계 4720

2) 생애 4722

3. 임란시 활동 사항 4725

1) 격문 배포와 군량 보급 4725

2) 명나라 군사에게 군량 보급 4729

4. 맺음말(공신녹훈) 4731

5. 임진왜란 후의 삶 4731

이호민(李好閔) : 문희공(文僖公) 이호민(李好閔) 선생 / 정경훈(鄭敬薰) 4733

1. 생애와 관료생활 4733

2. 문학 4737

이홍발(李弘發) : 현령 이홍발(李弘發) 선생 / 이종덕(李種德) 4743

이홍우(李弘宇) : 왜군 때문에 딸을 잃고 왜군과 맞서 싸운 모재(茅齋) 이홍우(李弘宇) 선생 / 이은영(李恩英) 4747

1. 머리말 4747

2. 가계와 생애 4748

1) 가계 4748

2) 생애 4749

3. 임란시 활동 사항 4753

1) 수사항절(守死抗節)한 딸 4753

2) 무계 전투 4754

4. 맺음말 4757

이홍인(李洪仁) : 풍은(豊隱) 이홍인(李洪仁) 의병장(義兵將) 행적 / 이헌영(李憲瑛) 4759

義兵將 豊隱 李洪仁 行狀 4760

義兵將 豊隱 李洪仁 墓碣銘 4765

龍蛇日記 4768

이후경(李厚慶) : 피난처를 옮겨 다니면서도 의병활동에 참여한 외재(畏齋) 이후경(李厚慶) 선생 / 이은영(李恩英) 4771

1. 머리말 4771

2. 가계와 생애 4772

1) 가계 4772

2) 생애 4774

3. 임란시 활동 사항 4777

1) 곽재우와 함께 창의 4777

2) 김면 휘하의 의병활동과 피난 4778

4. 맺음말 4779

이희룡(李希龍) : 삼강사(三綱祠)의 사적(史的) 고찰 / 조철제(趙喆濟) 4781

1. 이희룡(李希龍)의 상계(上系) 4781

2. 이희룡과 임진왜란 4782

3. 삼강사(三綱祠) 설립과 현양 사업 4785

임계영(任啓英) : 전라좌의병장(全羅左義兵將) 삼도 임계영(任啓英) 선생 / 신윤호(申允昊) 4797

1. 머리말 4797

2. 임계영 가문의 사회적 기반 4798

1) 임계영의 가계 4798

2) 장흥임씨가의 사회적 기반 4801

3. 임진왜란과 의병활동 4803

1) 임란초 의병의 조직과 경상도 부원 4803

2) '성주대첩'과 성주·개령지역의 수복 4811

4. 맺음말 4819

임발영(任發英) : 종묘의 신주(神主)를 지켜낸 예양군(汭陽君) 임발영(任發英) 장군 / 배종석(裵宗錫) 4823

1. 머리말 4823

2. 가계와 생애 4824

1) 임발영의 가계 4824

2) 생애 4826

3. 임란시 활동사항 4827

1) 왜군의 침입과 파천(播遷) 4827

2) 종묘의 신주(神主)를 받듦 4830

4. 맺음말(공신 녹훈) 4834

『철권단서(鐵券丹書)』 4835

『교서(敎書)』 4837

『예조입안(禮曹入案)』 4838

임흘(任屹) : 봉화 의병활동을 주도한 용담(龍潭) 임흘(任屹) 선생 / 임충빈(任忠彬) 4841

1. 가계(家系)와 학통(學統) 4841

2. 임진창의(壬辰倡義)와 의병대장(義兵大將) 4845

진중약속(陣中約束) 16조(條) 4845

군령(軍令) 7條는 4846

3. 학자적 자세와 그 유사(遺事) 4850

4. 유불(儒佛) 정신이 함께 한 취규정(翠虯亭) 4852

5. 행장(行狀) 등 자료(資料) 4855

1) 행장(行狀) 4855

2) 행장(行狀) 4856

3) 묘지명(墓誌銘) 4857

4) 묘갈명(墓碣銘) 4859

5) 실적부록(實蹟㩠錄) - 遺事鈔 4860

6) 선성읍지(宣城邑誌) 4861

6. 마무리를 하면서 4861

임희진(任希璲) : 해남 의병장 국암공(國巖公) 임희진(任希璡)의 의병활동 / 배종석(裵宗錫) 4863

1. 머리말 4863

2. 가계와 생애 4864

1) 가계 4864

2) 생애 4866

3. 임란의병활동 4867

1) 수원 독성산성(禿城山城) 전투 4868

2) 제2차 진주성(晋州城) 전투 4871

4. 두 아들의 의병활동 4875

1) 임달영(任達英) 4875

2) 임준영(任峻英 또는 壬俊英) 4876

5. 맺음말 4877

장내범(張乃範) : 인동 정제장 장내범(張乃範) 선생 / 장병홍(張炳鴻) 4881

1. 출신과 생애 4881

2. 학문의 길에서 4882

3. 안동의병진에서 인동 정제장 4883

4. 임란이후 활동 4885

장만(張晩) : 충정공(忠定公) 장만(張晩) 선생의 생애와 업적 / 장정수(張禎洙) 4889

1. 머리말 4889

2. 선조대 장만의 出仕와 활동 4892

1) 家系와 出仕 4892

2) 임진왜란 이후의 행적 4895

3. 광해군~인조대 장만의 軍功 4901

1) 광해군대 서북 변경 방어 4901

2) 인조대의 활동과 업적 4906

4. 맺음말 4909

장봉한(張鳳翰) : 일문삼의사(一門三義士) 중 한 사람으로 칭송받은 장봉한(張鳳翰) 선생 / 이은영(李恩英) 4911

1. 머리말 4911

2. 가계와 생애 4912

1) 가계 4912

2) 생애 4916

3. 임란시 활동 사항 4919

1) 창의 4919

2) 초유사 김성일과 만남과 이별 4920

2) 성주성 탈환전 4921

3) 성주 고을 수호 4925

4. 맺음말 4926

5. 임진왜란 후의 삶 4927

장사진(張士珍) : 의분(義憤)의 전사자 충렬공(忠烈公) 장사진(張士珍) 장군 / 이은영(李恩英) 4929

1. 머리말 4929

2. 가계와 생애 4930

1) 가계 4930

2) 생애 4932

3. 임란시 활동 사항 4933

1) 제1차 인동전투 4933

2) 제2차 인동전투 4934

4. 맺음말 4935

5. 문헌 속의 장사진 4936

『선조수정실록』 4936

조경남(趙慶南)의 『난중잡록(亂中雜錄)』 4937

이긍익(李肯翊)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4937

신경(申炅)의 『재조번방지(再造藩邦志)』 4938

조정(趙靖)의 『검간집(黔澗集)』 4939

오극성(吳克成)의 『문월당집(問月堂集)』 4939

김해(金垓)의 『향병일기(鄕兵日記)』 만력 임진 11월 12일조 4939

『징비록(懲毖錄)』 4940

『기년편고(紀年便攷)』 4940

장세희(張世禧) : 환갑을 바라보는 나이에 화왕산성 방어에 힘쓴 장세희(張世禧) 선생 / 이은영(李恩英) 4943

1. 머리말 4943

2. 가계와 생애 4944

1) 가계 4944

2) 생애 4945

3. 화왕산성 방어 4946

4. 맺음말(공신녹훈) 4949

장윤(張潤) : 충의공(忠毅公) 장윤(張潤) 장군 / 장태현(張太鉉) 4951

1. 충의공 장윤(張潤) 장군의 가족 관계 4951

2. 임진왜란 초기 호남의 실정과 의병 4952

3. 전라좌의병의 선봉에선 장윤장군 4953

4. 경상우도를 구원한 장윤 장군 4955

5. 장윤의 성주대첩 4959

6. 제2차 진주성전투와 장윤의 순국 4964

7. 장윤장군의 추승 과정과 정충사 4971

장제원(張悌元) : 예민사상을 바탕으로 충의(忠義)의 기상을 드러낸 장제원(張悌元) 선생 / 이은영(李恩英) 4975

1. 머리말 4975

2. 가계와 생애 4976

1) 가계 4976

2) 생애 4979

3. 임란시 활동 사항 4981

1) 창의 4981

2) 안동열읍향병의 정제장 4984

3) 참전한 전투 4984

4) 인동 백성의 진휼과 구제에 힘씀 4985

5) 피난 중에도 멈추지 않은 효심 4990

4. 임진왜란 후의 삶 4991

5. 맺음말 4993

장홍한(張鴻翰) : 진중에서 순사한 일문삼의사 중 한 사람인 장홍한(張鴻翰) 선생 / 이은영(李恩英) 4995

1. 머리말 4995

2. 가계와 생애 4996

1) 가계 4996

2) 생애 5000

3. 임란시 활동 사항 5002

1) 창의와 왜군 격퇴 5002

2) 진중에서 순사(殉死) 5002

5. 맺음말 5003

전계신(全繼信) : 파수(巴叟) 전계신(全繼信) 선생의 생애와 임진란 창의 및 일본과의 강화시 활동 / 구본욱(具本旭) 5005

1. 서론 5005

2. 생애 5006

3. 임진왜란과 창의 5008

4. 강화교섭(講和交涉)과 대일외교 5013

5. 증직과 임곡서원, 화강사 봉안 5015

6. 결론 5017

전식(全堤) : 유덕재상(有德宰相) 충간공(忠簡公) 전식(全湜) 선생의 삶과 임진왜란 / 김유경(金偷卿) 5019

1. 충간공 사서(沙西) 전식(全湜)의 삶을 조명하며 5019

2. 전식의 집안과 어린시절 5020

3. 영남의병, 창의군 참모 전식 5024

4. 임란이후 관직생활과 의병활동 5029

1) 조선의 명제상 전식 5029

2) 영남 의병대장 전식 5034

5. 전식의 생각과 말년 5038

6. 물처럼 살다간 전식의 삶을 기리며 5041

전영기(全永期) : 충효의 사표(師表) 전영기(全永期) 선생 / 장영희(張英姬) 5043

1. 머리말 5043

2. 가계와 생애 5044

1) 가계 5044

2) 생애 5044

3. 임란시 활동사항 5046

1) 김해성의 함락과 전영기 5046

2) 지성(至誠)의 효자 충성(忠誠)으로 싸우다 5047

4. 맺음말 5048

전영세(全永世) : 지성으로 효도하고 전란(戰亂)에 충성을 다한 전영세(全永世) 선생 / 장영희(張英姬) 5051

1. 머리말 5051

2. 가계와 생애 5052

1) 가계 5052

2) 생애 5052

3. 임란시 활동사항 5054

1) 고령지역을 빛낸 의병(義兵) 전영세 5054

2) 경상우도를 지켜낸 초석 5055

4. 맺음말 5056

정경달(丁景達) : 임진왜란 정경달(丁景達) 선생 형제의 활동 상황 / 김경숙(金景淑) 5059

1. 머리말 5059

2. 영광정씨가의 선대세계(先代世界)와 장흥(長興) 입향 5060

3. 정경달 형제의 임진왜란 활동 5063

1) 선산부사 정경달의 수토활동(守土活動) 5063

2) 형제자질(兄弟子侄)의 역할과 지원 5074

4. 후손가의 활동과 충의(忠義) 계승 5077

5. 맺음말 5082

정경세(鄭經世) : 문장공(文狀公) 정경세(鄭經世) 선생 / 정관(鄭灌) 5087

1. 머리말 5087

2. 출생과 성장과정 5088

3. 임진란 창의기병 5089

4. 임진란 이후 활동 5092

5. 국정참여활동 5096

6. 인품과 학문 5102

정곤수(鄭崑壽) : 신포서에 비견된 호성공신(扈聖功臣) 1등 충익공(忠翼公) 정곤수(鄭崑壽) 선생 / 이은영(李恩英) 5107

1. 머리말 5107

2. 가계와 생애 5108

1) 가계 5108

2) 생애 5110

3. 임란시 활동 사항 5114

1) 선조를 호종하고 대명 회교에 힘씀 5114

2) 명나라 황제의 오해를 풀어 줌 5120

4. 맺음말(공신 녹훈) 5124

정광성(丁光成) : 권응수 의병진에서 의병활동에 전념한 정광성(丁光成) 선생 / 이은영(李恩英) 5133

1. 머리말 5133

2. 가계와 생애 5134

1) 가계 5134

2) 생애 5135

3. 임란시 활동 사항 5136

1) 임란 최초의 승전인 한천 전투 5136

2) 영천성 수복전 5138

4. 맺음말(공신녹훈) 5143

정구(鄭逑) : 한강(寒岡) 정구(鄭逑) 선생 / 정재담(鄭在聃) 5145

1. 유년시기 5145

발군(拔群)의 영재(英才) 5146

군아(群兒)의 장(長) 5146

발분(發憤)하여 공부하기에 힘쓰다 5147

포부(抱負)와 기상(氣像) 5148

2. 학문(學問)에 뜻을 두고 5149

안동(安東) 예안(禮安) 땅으로 향한 학구열(學究熱) 5149

평생 처사(處士)인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영향 5150

회시(會試)와 벼슬을 그만두고 학문에 전념(專念)하다 5151

3. 어진 목민관(牧民官) 5151

벼슬길에 나가다 5151

창녕(昌寧)에서 학문을 일으키다 5152

함안(咸安)에서의 선정(善政) 5153

강직한 안동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5155

4. 임진란(壬辰亂)을 당하여 5155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다 5155

임진왜란과 한강 선생 5157

정유재란(丁酉再亂)과 왕가수호(王家守護) 5159

5. 후진 교육(後進敎育) 5159

1) 교육자로서 선생의 자품(資品) 5159

6. 이룩한 학문(學問) 5162

한강의 학통(學統) 5162

한강의 학문의 폭 5162

동방 심학(東方 心學)의 조종(祖宗) 5162

왕과의 강론 일화 5163

『심경(心經)』학품의 전수자 5164

한강 학품의 사회적 공헌 5164

예학(禮學) 5165

예문(禮文) 정리에 기울인 노력 5165

예(禮)를 배워야 하는 까닭 5166

문학(文學) 5166

7. 유덕(遺德)은 영원(永遠)히 5168

1) 선생의 고종(考終) 5168

2) 시호(諡號)를 내리고 추증(追贈)하다 5169

3) 선생의 저편(著編) 5170

4) 한강선생(寒岡先生)의 학통(學統)을 이어받은 제자(弟子)들 5172

정기룡(鄭起龍) : 종회무진 승전을 거둔 용장(勇將) 정기룡(鄭起龍) 장군 / 이은영(李恩英) 5173

1. 머리말 5173

2. 가계와 생애 5174

1) 가계 5174

2) 생애 5175

3. 임란시 활동 사항 5179

1) 조경 휘하에서의 전공과 제1차 진주성전투 지원 5179

2) 상주성 탈환전 5181

3) 전란 중 백성 구휼에 힘씀 5182

4) 대명외교 5183

5) 토적 평정과 이어지는 백성 구휼 5183

6) 고령현전투와 경주성 수복전, 그리고 울산전투 5184

7) 사근역전투 및 왜군 정탐 등에 대한 치계 5187

8)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과 진주성 수복전 및 사천성전투 5190

4. 임진왜란 후의 삶 5192

5. 맺음말(공신녹훈) 5194

정담(鄭湛) : 장열공(壯烈公) 鄭湛(정담) 선생 / 김형수(金炯秀) 5197

1. 머리말 5197

2. 정담의 가계와 관력 5200

3. 개전이후 호남의 상황과 웅치전투 5203

4. 공적의 인정과 추증 5207

5. 마무리 5211

정담(鄭湛) : 영천의 장자방으로 일컬어지고도 사양심의 발로를 드러낸 고고한 복재(復齋) 정담(鄭湛) 선생 / 이은영(李恩英) 5215

1. 머리말 5215

2. 가계와 생애 5216

1) 가계 5216

2) 생애 5218

3. 임란시 활동 사항 5220

1) 영천성 수복전 5220

2) 경주성 탈환전 5229

3) 『영천복성일기』저술 5231

4. 임진왜란 후의 삶 5231

5. 맺음말 5236

정대임(鄭大任) : 의병대장(義兵大將) 창대공(昌臺公) 정대임(鄭大任) 장군 5239

1. 머리말 5239

2. 출생과 가계 5241

3. 의병창의 5241

4. 영천성 복성 전투 5243

5. 경주성 전투 5249

6. 순국(殉國) 5252

7. 관직(官職) 5254

8. 맺음말 5254

정문부(鄭文孚) : 의병대장 충의공(忠義公) 정문부(鄭文孚) 장군 / 정진웅(鄭陳雄) 5257

1. 유년시기 5257

2. 관직생활 5258

1) 내직 5258

2) 외직 5259

3. 임진왜란중의 의병활동 5259

1) 일본군의 침입과 함경도 상황 5259

2) 정문부의 의병활동 5261

3) 의병활동의 평가 5266

4. 임진왜란 후의 관직생활과 억울한 죽음 5267

1) 관직생활 5267

2) 억울한 죽음 5271

5. 사후 추증 및 현창 5272

1) 신원(伸寃) 회복 5272

2) 공적을 기리다 5273

정발(鄭撥) : 충장공(忠壯公) 정발(鄭撥) 장군 / 류종현(柳宗鉉) 5277

1. 임진왜란 첫 전투 : 부산진성 전투 5277

2. 충효(忠孝)로 이어져 온 가계(家系) 5280

3. 가훈으로 자라온 생애 5281

4. 아름다운 충절(忠節), 위대한 순국(殉國) 5282

정방준(鄭邦俊) : 인술로써 금오산성을 수축한 정방준 장군 / 이은영(李恩英) 5289

1. 머리말 5289

2. 가계와 생애 5290

1) 가계 5290

2) 생애 5292

3. 임란시 활동 사항 5294

1) 제1차 진주성 전투 5294

2) 금오산성 수축 5296

3) 팔공산회맹 5298

4) 화왕산회맹과 화왕산성 방어 5300

4. 임진왜란 후의 삶(금오산성 축조) 5302

5. 맺음말 5304

정빈(鄭빈) : 의주 행재소에 의곡(義穀)을 수송하는데 힘쓴 정빈(鄭빈) 선생 / 이은영(李恩英) 5307

1. 머리말 5307

2. 가계와 생애 5308

1) 가계 5308

2) 생애 5310

3. 임란시 활동 사항 5312

1) 행재소에 의곡 수송 5312

2) 증직 5313

4. 맺음말 5314

정사립(鄭思立) : 이순신 휘하에서 비장(裨將)으로 활약한 정사립(鄭思立) 선생 / 이은영(李恩英) 5315

1. 머리말 5315

2. 가계와 생애 5316

1) 가계 5316

2) 생애 5319

3. 임란시 활동 사항 5320

1) 이순신의 비장으로 활약 5320

2) 『난중일기』속의 정사립 5322

4. 맺음말 5328

정사준(鄭思竣) : 조선 처음으로 조총을 제조하여 바친 정사준(鄭思竣) 선생 / 이은영(李恩英) 5331

1. 머리말 5331

2. 가계와 생애 5332

1) 가계 5332

2) 생애 5335

3. 임란시 활동 사항 5337

1) 행재소에 의곡 수송 5337

2) 이순신 막하에서 조총 제조 5339

3) 이순신 타루비 건립 5341

4) 증직 5342

4. 맺음말 5343

정사철(鄭師哲) : 임하(林下) 정사철(鄭師哲) 선생의 생애와 학문 및 임진란 팔공산 창의 - 아들 낙애 정광천의 사적을 덧붙임 - / 구본욱(具本旭) 5345

1. 머리말 5345

2. 생애 5346

3. 학문과 사상 5348

1) 『소학』의 중시와 『주역』연구 5348

2) 성리학의 연구와 퇴계학의 지향 5349

3) 예학의 연구 5350

4. 강학과 한강 정구와의 교유 5351

1) 제(諸) 서당의 건립과 강학 5351

2) 한강 정구와의 교유 5353

5. 대구지역의 의병과 팔공산 창의(倡義) 5355

6. 금암서원의 제향 5359

7. 결론 5360

정사횡(鄭思竑) : 의곡 수송과 왜선 격파로 충절을 드러낸 백의선생 정사횡(鄭思竑) 선생 / 이은영(李恩英) 5361

1. 머리말 5361

2. 가계와 생애 5362

1) 가계 5362

2) 생애 5365

3. 임란시 활동 사항 5367

1) 행재소로 의곡 수송 5367

2) 정유재란 후 노량해전 5368

3) 증직 5369

4. 맺음말 5370

정석남(鄭碩男) : 경주성 탈환전에서 순절한 의사(義士) 정석남(鄭碩男) 선생 / 이은영(李恩英) 5373

1. 머리말 5373

2. 가계와 생애 5374

1) 가계 5374

2) 생애 5375

3. 임란시 활동 사항 5376

1) 영천성 수복전 5376

2) 1차 경주성 탈환전에서 순절 5378

4. 맺음말 5379

정선(鄭愃) : 이순신 휘하에서 전공을 세워 공신에 녹훈된 정선(鄭愃) 선생 / 이은영(李恩英) 5381

1. 머리말 5381

2. 가계와 생애 5382

1) 가계 5382

2) 생애 5384

3. 임란시 활동 사항 5386

1) 행재소에 의곡 수송 5386

2) 『난중일기』 속의 정선 5387

3) 증직 5388

4. 맺음말(공신녹훈) 5389

판권기 5391

표제지

일러두기

목차

정세아(鄭世雅) : 영천(永川) 의병장 강의공(剛義公) 정세아(鄭世雅) 선생 / 우인수(寓仁秀) 5401

1. 정의 5401

2. 가계 5401

3. 창의 5402

4. 영천성 수복 5404

5. 경주성 전투와 아들의 전사 5408

6. 상훈과 여생 5410

7. 추증과 현창 5413

정숙(丁淑)과 정승조(丁承租) : 함께 순절하고 동시에 공신에 녹훈된 정숙(丁淑)과 정승조(丁承租) 선생 / 이은영(李恩英) 5417

1. 머리말 5417

2. 가계와 생애 5418

1) 가계 5418

2) 생애 5419

3. 왜교성 전투에서 순절 5421

4. 맺음말(공신녹훈) 5426

정여강(鄭汝康) : 행정(杏亭) 정여강(鄭汝康) 선생의 생애와 임진란 창의 / 구본욱(具本旭) 5429

1. 서론 5429

2. 생애 5430

3. 임진왜란과 창의 5432

4. 복호(復戶)와 교서(敎書) 5439

5. 증직과 제향 5440

6. 결론 5442

정운(鄭運) : 후대에서 더 높이 평가받고 있는 정운(鄭運) 장군 / 이은영(李恩英) 5443

1. 머리말 5443

2. 가계와 생애 5444

1) 가계 5444

2) 생애 5445

3. 임란시 활동 사항 5448

1) 옥포해전과 당포해전 5448

2) 율포해전과 한산도해전 5452

3) 부산포해전에서 전사 5453

4. 맺음말 5454

5. 『조선왕조실록』에 실린 정운 관련 자료 5457

정응린(鄭應麟) : 임진왜란(壬辰倭亂) 초기 의병장 정응린(鄭應麟) 장군의 의병활동 / 강대덕(姜大德) 5463

1. 머리말 5463

2. 가문배경과 생애 5465

3. 임란초기 의병활동 5467

1) 임진왜란의 발발 5467

2) 조선군의 대응과 근왕군(勤王軍)의 활동 5470

3. 충효열(忠孝烈)과 정려(旌閭) 5478

4. 맺음말 5483

정인헌(鄭仁獻) : 7년간의 업적을 자랑치 않아 더욱 자랑스러운 정인헌(鄭仁獻) 선생 / 이은영(李恩英) 5487

1. 머리말 5487

2. 가계와 생애 5488

1) 가계 5488

2) 생애 5489

3. 임란시 활동 사항 5492

1) 문천 회맹과 문천 전투 5493

2) 영천성 수복전 5495

3) 제1차 경주성 탈환전 5496

4) 영일의 형산강 전투 5498

5) 팔공산 회맹 5499

6) 화왕산 회맹과 화왕산성 방어 5501

7) 도산 전투 5503

4. 맺음말 5503

정인홍(鄭引弘) 5507

정천리(鄭千里) : 하룻밤에 천리를 갈 기세로 종횡무진 활약한 정천리(鄭千里) 선생 / 이은영(李恩英) 5515

1. 머리말 5515

2. 가계와 생애 5516

1) 가계 5516

2) 생애 5518

3. 임란시 활동 사항 5519

1) 한천 전투 5519

2) 당지산 전투 5522

3) 박연 전투 5523

4) 영천성 수복전 5524

4. 『계하사목』 5532

5. 맺음말(공신녹훈) 5534

정철(鄭澈) : 송강(松江) 정철(鄭澈) 선생과 임진왜란 / 정선용(鄭善溶) 5537

1. 머리말 5537

2. 출생과 가계 5538

3. 송강과 임진왜란 5540

1) 임진왜란이 일어나다 5540

2) 선조가 도성을 떠나다 5541

3) 유배에서 풀려나 어가(御駕)를 호종하다 5542

4) 양호 체찰사(兩湖體察使)가 되어 충청도로 내려가다 5543

5) 또다시 모함을 받다 5546

6)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북경(北京)에 가다 5547

7) 귀국한 뒤에 또다시 모함을 받다 5550

8) 강화도 송정촌(松亭村)에서 쓸쓸히 죽다 5552

4. 죽은 뒤에 있었던 일들. 5553

5. 정치가와 문학가로서의 송강 5554

1) 정치가로서의 송강 5554

2) 문학가로서의 송강 5555

정탁(鄭琢) : 임진왜란기 약포 정탁(鄭琢) 선생의 활동 / 정해은(鄭海恩) 5557

1. 정탁의 학문과 처신 5557

2. 임진왜란기 군사 활동 5561

1) 분조의 성립과 참여 5561

2) 군사 활동과 의병 지원 5564

3) 무장의 천거와 구명 활동 5567

3. 어왜 전법의 연구와 실천 5570

1) 전황 인식과 군사 전략 5570

2) 새로운 병법의 수용 : 『기효신서절요』의 서문을 쓰다 5572

5. 임진왜란에 대한 회고와 기록들 5574

정호의(鄭好義) : 노산(魯山) 정호의(鄭好義) 의사(義士)의 공적 / 정웅(鄭雄) 5579

1. 들어가는 글 5579

2. 가계와 생애 5579

3. 문천회맹(蚊川會盟)과 하왕산 전투 5581

4. 추존과 배향 5583

정호인(鄭好仁) : 소산(蘇山) 정호인(鄭好仁) 선생의 공적 / 정웅(鄭雄) 5585

1. 들어가는 글 5585

2. 가계와 생애 5585

3. 목숨걸고 지킨 호성(護聖)의 대의 5586

4. 일본 감옥에서 피어난 절의와 기개 5588

5. 기억과 추존 5589

1) 증직(贈職) 5589

2) 소노서원 건립 5591

3) 고깔바위와 신주(神主)마을 5593

제락(諸洛) : 고성(固城) 지역 수호에 앞장선 제락(諸洛) 장군 / 안병훈(安秉黨) 5597

제말(諸沫) : 성주성에서 고군분투하다 전사한 비장군(飛將軍) 제말(諸沫) 장군 / 안병훈(安秉黨) 5599

제홍록(諸弘祿) : 한 사람의 몸으로 충과 효를 모두 온전하게 이룬 제홍록(諸弘祿) / 안병훈(安秉黨) 5603

조강(趙綱) : 모계(慕溪)조강(趙綱) 선생 / 조장희(趙莊熙) 5607

1. 서(序) 5607

2. 출생(出生)과 가계(家系) 5608

3. 임진왜란(壬辰倭亂)에서 큰 공을 세우다. 5620

4. 학문(學問) 활동(活動) 5628

조경(趙做) : 조경(趙做) 장군의 생애와 공적 5633

1. 머리말 5633

2. 행주대첩(幸州大捷) 5634

3. 훈련도감(訓練都監) 5636

4. 붕당정치(朋黨政治)에 휘말리며.... 5637

조광의(趙光義) : 약산당(約山堂) 조광의(趙光義) 선생(先生) 약력(略歷) / 조동걸(趙東杰) 5641

조동도(趙東道) : 소년(少年) 의병장(義兵將) 조동도(趙東道) 선생의 행적 5645

1. 충절(忠節)의 가풍(家風) 5645

2. 가계(家系)와 생장(生長)과정 5649

3. 임란구국(壬亂救國) 활동(活動) 5650

1) 15세에 의진(義陣) 참가 5650

2) 소년 의병장(少年義兵將) 5652

3) 회맹(會盟)과 격전(激戰)의 기록(記錄) 5653

4. 선비의 삶 5656

조목(趙穆) : 월천(月川) 조목(趙穆) 선생의 행적 5659

1. 월천의 세계(世系)와 출생 5659

2. 자라난 배경 및 수학 5660

3. 관직과 임진왜란 5662

4. 학문과 성품 5667

5. 치밀 명철한 학문 방법과 저술 5669

6. 스승의 유업 완성 5671

7. 장서와 장서인 5673

8. 죽음을 맞음 5673

9. 계승 5674

조열(曺悅) : 선무원종 공신1등에 녹훈된 보인(保人) 출신 별장(別將) 조열(曺悅) 선생 / 이은영(李恩英) 5677

1. 머리말 5677

2. 가계와 생애 5678

1) 가계 5678

2) 생애 5680

3. 임란시 활동 사항 5681

1) 창의와 창녕수호 5681

2) 형산강 전투 5683

3) 조열의 행적이 실린 사료 5685

4. 맺음말(공신녹훈) 5689

조우인(曺友仁) : 이재(頤齋) 조우인(曺友仁) 선생 / 조희열(曺喜悅) 5691

1. 가계(家系) 5691

2. 학통(學統) 5692

3. 행적(行蹟) 5694

1) 임진란 창의(倡義) 5694

2) 임진난(壬辰亂) 후 구언소(求言疏) 5698

3) 대인문경청설관방소(代人間慶請設關防疏) 5704

4) 좌천(左遷)에 대한 답은 경성(京城) 수축(修築)으로 5706

5) 전해 오는 가사문학(歌辭文學) 5706

4. 마무리 5708

조익(趙翊) : 가규(可畦) 조익(趙翊) 선생의 생애와 의병활동 5711

1. 머리말 5711

2. 가규의 출생과 가계 5715

3. 가규(可畦) 조익(趙翊)의 공산유배 생활과 우국충정 5717

4. 가규의 의병활동 5722

5. 자규(可畦) 조익(趙翊)의 젊은 시절과 관직 생활 5727

조정(趙靖) : 검간(黔澗) 조정(趙靖)선생의 임진란 의병활동과 사상 5733

1. 검간(黔澗)선생의 생애 5733

2. 검간(黔澗)선생의 임진란 의병활동 5739

1) 임란 초기의 구국활동 5739

2) 정유재란과 친정소 5743

3. 검간(黔澗)선생의 학문과 사상 5745

1) 임란일기 『진사일록(辰巳日錄)』에서 드러나는 검간선생의 사상 5746

2) 임란 구국활동을 통해본 검간선생의 정신 5747

3) 임란 후 공직생활을 통해본 검간선생의 업적 5748

4) 검간선생의 학문과 사상 5749

조종대(趙宗岱) : 포은 정몽주의 영정과 오성위패를 무사히 지켜낸 조종대(趙宗岱) 선생 / 이은영(李恩英) 5755

1. 머리말 5755

2. 가계와 생애 5756

1) 가계 5756

2) 생애 5758

3. 임란시 활동 사항 5760

1) 영천성 수복전 5760

2) 포은 정몽주의 영정과 오성위패 수호 5760

4. 맺음말 5761

조종도(趙宗道) : 文武兼全한 眞儒 忠節의 대소헌(大笑軒) 조종도(趙宗道) 선생 / 허권수(許倦洙) 5763

1. 서론 5763

2. 대소헌(大笑軒)의 생평(生平) 5764

1) 가계(家系) 5764

2) 이력(履歷) 5764

3) 의병활동(義兵活動)과 임란(壬亂) 5767

4) 기품(氣稟)과 행신(行身) 5770

5) 사우관계(師友關係) 5772

3. 학문(學問)과 사상(思想) 5773

4. 시문학(詩文學)의 세계 5775

5. 壬辰倭亂(임진왜란) 때의 수훈(樹勳) 5779

6. 결론 5783

조종악(趙宗岳) : 진심갈력으로 관향(管餉)의 직책을 수행한 조종악(趙宗岳) 선생 / 이은영(李恩英) 5785

1. 머리말 5785

2. 가계와 생애 5786

1) 가계 5786

2) 생애 5788

3. 임란시 활동 사항 5790

1) 한천 전투 5790

2) 영천성 수복전 5791

3) 청송 지방 방어 5794

4. 맺음말(공신녹훈) 5795

조헌(趙憲) : 칠백의사와 금산전투에서 옥쇄(玉碎)한 의병장 조헌(趙憲) 선생 / 이하준(李河俊) 5797

1. 머리말 5797

2. 출생과 가계(중봉의 생애) 5799

3. 임진왜란 관련 공적사항 5803

1) 중봉의 임진왜란 대비 5803

2) 창의기병(倡義起兵) 5804

3) 차령전투 5804

4) 청주성 탈환 5805

5) 청주성 전투의 의의 5806

6) 금산전투, 그리고 죽음 5806

7) 금산전투의 의의 5807

4. 중봉 조헌 선생의 학문 세계 5808

1) 실천적 학문의 표상 5808

2) 중봉의 저작 5809

3) 중봉사상의 중심, 백성 5810

조형도(趙亨道) : 문무겸전(文武兼全) 의병장(義兵將) 조형도(趙亨道) 선생의 행적 5813

1. 난세(亂世)의 선비 5813

2. 가계(家系)와 학맥(學脈) 5815

가계(家系) 5815

영남학맥(嶺南學脈)의 계승(繼承) 5816

3. 국란극복(國亂克服)과 위민봉사(爲民奉仕)의 삶 5820

1) 의병장(義兵將)의 생애(生涯) 5820

2) 목민관(牧民官)의 길 5830

4. 백세청풍(百世淸風)의 사표(師表) 5833

주사호(朱士豪) : 무심당(無心堂) 주사호(朱士豪) 선생의 공적 / 주섭정(朱涉定) 5839

1. 직계상조(直系上祖) 5839

2. 가족관계 5840

3. 의병활동 5841

진봉호(陳奉扈) : 16세의 나이로 전쟁터로 나가 왜군 격퇴에 진력한 진봉호(陳奉扈) 장군 / 이은영(李恩英) 5847

1. 머리말 5847

2. 가계와 생애 5848

1) 가계 5848

2) 생애 5850

3. 임란시 활동 사항 5851

1) 문천 회맹 5851

2) 영천성 수복전 5852

3) 경주성 탈환전 5854

4) 팔공산 회맹 5856

5) 화왕선 회맹과 화왕산성 방어 5857

4. 맺음말 5858

채몽연(蔡夢視) : 투암공(投巖) 채몽연(蔡夢視) 선생의 생애와 임진란 창의 / 구본욱(具本旭) 5861

1. 서론 5861

2. 생애 5862

3. 임진왜란과 창의 5867

4. 소암서원 봉안 5872

5. 결론 5873

채선수(蔡先修) : 달서재(達西齋) 채선수(蔡先修) 선생의 생애와 임진란 창의 / 구본욱(具本旭) 5875

1. 서론 5875

2. 가계 및 생애 5876

3. 임진왜란과 팔공산 창의 5879

4. 강학과 교유(交遊) 및 유림활동 5884

5. 고종(考終)과 서산서원 배향 5886

6. 결론 5888

천만리(千萬里) : 임진왜란기(壬辰倭亂期) 충장공(忠壯公) 천만리(千萬里) 장군의 업적과 기억의 형상화(形象化) / 장정수(張祺抹) 5889

1. 머리말 5889

2. 천만리(千萬里)의 관력(官歷)과 임진왜란(壬辰倭亂) 참전 5890

3.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천만리(千萬里)의 활약 5895

4. 천만리(千萬里)의 현창(顯彰)과 기억의 형상화 5902

5. 맺음말 5906

최경회(崔慶會) : 충의공(忠毅公) 최경회(崔慶會) 선생 事實 5909

머리말 5909

1. 선생의 가계와 소년기 5910

2. 관직생활 5911

3. 의병활동 5912

1) 起兵과 금산·무주전투 5912

2) 영남에 부원(赴援)하여 제1차진주성전투의 외원(外援) 5914

3) 성주·개령의 수복전(收復戰) 5914

4) 제2차 진주성전투와 선생의 순국(殉國) 5916

5) 호남 보장(保障) 5920

4. 나라의 포증(褒贈) 5922

5. 선생의 학문 5924

6. 의암 논개부인의 순절(殉節) 5925

7. 계의병(繼義兵)과 일가(一家)의 의병활동 5926

최계(崔誡) : 참판공(參判公) 태동(台洞) 최계(崔誡) 선생 / 최진돈(崔晋惇) 5931

1. 가계 및 성장과정 5931

2. 관직생활 및 의병활동 5932

3. 기타 5935

최계종(崔繼宗) / 최해진(崔海晋) 5941

1. 가계 5941

2. 성장과정 5942

3. 참전과 의병활동 5943

1) 계연전투 5943

2) 회맹(會盟) 참여 5944

4. 임진, 정유왜란 이후의 행적 5946

5. 절의(節義)와 교유(交遊) 5946

6. 제향(祭享) 5950

1) 교육에 심혈을 기울이다. 5950

2) 충절의 표양(表揚) 5952

최동보(崔東輔) : 우락재(憂樂齋) 최동보(崔東輔) 선생의 생애와 임진란 창의 / 조순(曺錞) 5955

1. 서론 5955

2. 가계 및 수학 5956

3. 임진란 창의 5957

4. 맺음말 5964

최문병(崔文炳) : 성재(省齋) 최문병(崔文炳) 선생의 공적 / 최재일(崔在一) 5967

1. 머리말 5967

2. 출생과 가계 5968

1) 가계 형성 5968

2) 행장과 사상 5969

3. 임란관련 사항(공적사항) 5972

1) 연보 및 임란창의 5972

4. 임란이후 활동(『성재실기(省齋實記)』 발췌) 5977

1) 임란말기(壬亂末期) 의병연보(義兵年譜) 5977

2) 주요 문서 기록물 5980

5. 주요 유적 5981

1) 용계서원(龍溪書院) 5981

2) 묘역 및 중요 유물 5981

3) 성재선생의 실기 및 목판 5982

4) 경주임란의사 추모탑과 의사 명단중 3부자 5983

5) 성재(省齋) 최문병(崔文炳)선생 향제(享祭) 5984

최봉천(崔奉天) : 운암(耘庵) 최봉천(崔奉天) 선생과 임진왜란 / 조철제(趙喆済) 5987

1. 운암(耘庵)의 상계(上系)와 유년 시절 5987

2. 운암(耘庵)과 임진왜란 5989

3. 정유재란(丁酉再亂) 5992

4. 운암(耘庵)의 추숭(追崇) 5994

최산립(崔山立) : 풍전등화에 처한 국가 운명 앞에 분연이 일어선 최산립(崔山立) 선생 / 이은영(李恩英) 5999

1. 머리말 5999

2. 가계와 생애 6000

1) 가계 6000

2) 생애 6001

3. 임란시 활동 사항 6003

1) 팔공산회맹 6003

2) 화왕산회맹과 화왕산성 방어 6005

4. 맺음말 6007

최억남(崔億男) : 영남지방 수호에 힘쓴 호남의병 최억남(崔億男) 장군 / 이은영(李恩英) 6011

1. 머리말 6011

2. 가계와 생애 6012

1) 가계 6012

2) 생애 6015

3. 임란시 활동 사항 6018

1) 창의 6018

2) 제1차 진주성 전투 6020

3) 성주성 탈환전과 개령 탈환 6022

4) 제2차 진주성 전투 6026

4. 맺음말 6028

최여계(崔汝契) : 전공을 세운 뒤 본연의 자세로 돌아간 최여계(崔汝契) 선생 / 이은영(李恩英) 6031

1. 머리말 6031

2. 가계와 생애 6032

1) 가계 6032

2) 생애 6033

3. 임란시 활동 사항 6035

1) 고령전투 6035

2) 팔공산 회맹 6036

3) 화왕산 회맹과 화왕산성 방어 6037

4. 맺음말(공신녹훈) 6039

최원흘(崔元屹) : 약관의 나이로 의병활동에 나선 강원도 의병장 최원흘(崔元屹) 선생 / 이은영(李恩英) 6041

1. 머리말 6041

2. 가계와 생애 6042

1) 가계 6042

2) 생애 6043

3. 두타산 전투 6044

4. 임진왜란 후의 삶 6047

5. 맺음말 6047

최인(崔認) : 한천(寒川) 최인(崔認) 선생의 생애와 임진란 창의 / 고본욱(具本旭) 6049

1. 서론 6049

2. 생애 6050

3. 임진왜란과 창의 6052

4. 증직과 삼충사 봉안 6058

5. 결론 6060

최진립(崔震立) : 청백리(淸白吏) 정무공(貞武公) 최진립장군(崔震立將軍)의 공적 / 최채량(崔採亮) 6063

1. 序言 6063

2. 유년시절(幼年時節) 6064

3. 兄弟叔姪(형제숙질)이 함께 倡義(창의)하다 6064

4. 염근(廉謹)으로 일관(一貫)하다 6066

5. 서모상(庶母喪)을 당하여 기년복(朞年服)을 입다 6067

6. 귀양살이를 한 後 인조반정 뒤에 곧 방환(放還)되다 6068

7. 王이 교서(敎書)를 내리다 6069

8.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순절(殉節)하시다 6070

9. 王이 예조정랑(禮曹正郞)을 보내어 치제(致祭)하다 6071

10. 사우(祠宇)를 지어 제향하다 6072

최현(崔明) : 자신의 고을을 지키고 구국책 강구에 최선을 다한 최현(崔明) 선생 / 이은영(李恩英) 6075

1. 머리말 6075

2. 가계와 생애 6076

1) 가계 6076

2) 생애 6077

3. 임란시 활동 사항 6079

1) 선산(善山)을 지킴 6079

2) 구국책(救國策)을 논함 6082

4. 맺음말(공신녹훈) 6084

5. 임진왜란 후의 삶 6085

한백록(韓百戰) : 춘천 한백록(韓百戰) 장군의 생애와 활동 / 유재춘(柳在春) 6089

1. 머리말 6089

2. 한백록(韓百戰)의 가계(家系)와 생애 6090

3. 임진왜란과 한백록의 활동 6092

4. 국가포장(國家褒奬)과 관련 자료 6097

5. 맺음말 6106

한효순(韓孝純) : 장헌공(莊獻公) 한효순(韓孝純) 선생 / 한리우(韓利愚) 6109

1. 생애초(生涯初) 6109

1) 가문(家門) 6109

2) 가계(家系) 6110

3) 학문(學問) 6110

2. 관직생활(官職生活) 6111

1) 순탄한 시작 6111

2) 사은사, 귀국길 봉변(공 48세) 6111

3) 임란 최초 승전의 기틀을 구축 6112

4) 군사전문가로 활동 6114

5) 종전 후 전라도 방비와 북방 대책 6120

3. 저술(著述) 6120

1) 『신기비결(神器祕訣)』 6121

2) 『진설(陣說)』 6122

4. 만년(晩年) 6125

5. 생의 마감 6125

6. 신원(伸寃) 6126

7. 밝혀지는 역사(歷史) 6126

8. 장헌공(莊獻公)의 연보 6128

홍가신(洪可臣) : 만전당(晩金堂) 홍가신(洪可臣) 선생 / 홍승욱(洪承旭) 6139

1. 가계(家系) 6139

2. 생애 6140

2. 전란(戰亂)과 홍가신(洪可臣) 6143

1) 임진왜란(壬辰倭亂)과 홍가신 6143

2) 만전당과 '이 몽학의 난' 6145

3. 만전당(晩金堂)과 홍주 청난사(洪州淸難祠) 6150

4. 만전당(晩金堂)과 실록(實錄)의 기사(記事) 6152

1. 긍정적인 평가 6153

2. 부정적인 평가 6154

5. 만전집(晩金集)과 만전당 6154

1) 체재(體裁) 6154

2) 만전집에 그려진 만전당 6155

홍경승(洪慶承) : 혼암(混庵) 홍경승(洪慶承) 선생 / 홍원식(洪元植) 6157

1. 가계와 생애 6157

2. 의흥 의병장 홍천뢰의 막하에 들다 6158

3. 권응수 막하에서 양료관으로 활약하다 6162

4. 귀향과 추모사업 6167

홍계남(洪季男) : 효와 충을 다해 선조로부터 인정받은 경기도 의병장 홍계남(洪季男) 장군 / 이은영(李恩英) 6169

1. 머리말 6169

2. 가계와 생애 6170

1) 가계 6170

2) 생애 6171

3. 임란시 활동 사항 6173

1) 효와 충을 이룸 6173

2) 제2차 진주성 전투 6177

3) 남원성 수성 6178

4) 명나라 군사와의 갈등으로 패전한 안강전투 6180

5) 왜군 격퇴에 힘쓴 공로를 거듭 인정받음 6182

6) 이몽학의 난에 연루되었다는 누명을 벗음 6182

7) 정유재란 후의 의병활동 6185

4. 맺음말(공신녹훈) 6186

5. 홍계남에 대한 평가 6187

홍세공(洪世恭) : 충헌공(忠憲公) 홍세공(洪世恭) 선생의 공적 / 김세현(金世顯) 6193

1. 서언(序言) 6193

2. 개요(槪要) 6194

1) 충헌공(忠憲公) 홍세공(洪世恭)공 6194

2) 열부(烈婦) 고령박씨(高靈朴氏) 6196

3. 충헌공(忠憲公)의 가계(家系) 6197

4. 충헌공(忠憲公)의 생애(生涯)와 업적(業績) 6198

5. 공(公)에 대한 평가(評價)들 6206

6. 봉계일고(鳳溪逸稿)의 체제와 내용 6210

7. 맺는말(結語) 6216

홍약창(洪約昌) : 시신을 수습하지 못해 의관장(衣冠葬)을 치른 홍약창(洪約昌) 선생 / 이은영(李恩英) 6219

1. 머리말 6219

2. 가계와 생애 6220

1) 가계 6220

2) 생애 6221

3. 안령(鞍嶺) 싸움에서 아들과 전사(戰死) 6223

4. 맺음말 6224

홍천뢰(洪天資) : 송강(松岡) 홍천뢰(洪天資) 장군의 공적 / 홍원식(洪元植) 6227

1. 가계와 생애 6227

2. 창의기병, 의흥 의병장이 되다 6228

3. 영천성 수복 전투, 선봉장이 되다 6231

4. 경주성 수복 전투와 기타 전투 6234

5. 귀향과 여헌 장현광과의 교유 6236

6. 작록과 추모사업 6238

황귀성(黃貴成) : 정략장군(定略將軍) 만휴당(晩休堂) 황귀성(黃貴成) 장군 업적 / 황현수(資絃秀) 6239

1. 머리말 6239

2. 출생(出生)과 가계(家系) 6241

3. 임진왜란시 왜군격파 6241

4. 만휴당 문집 중 난중일기(亂中日記)에서 6243

5. 후학양성(後學養成) 6250

1) 만휴당(晩休堂) 건립 6250

2) 대봉암(對鳳菴) 건립 6251

3) 익양서당(益陽書堂)의 건립 6252

4) 『만휴당문집(晩休堂文集)』 6253

5) 선무원종공신 만휴당황공 의적비 6253

6) 『만휴당문집(晩休堂詩集)』 발간 6254

6. 맺음말 6255

황여일(黃汝一) : 해월(海月) 황여일(黃汝一) 선생 공적 / 정은주(鄭思周) 6257

1. 머리말 6257

2. 가계와 생애 6258

1) 황여일의 가계 6258

2) 황여일의 생애 6259

3. 임란 시 활동사항 6261

1) 의병항쟁과 울산 도산성 전투 6264

2) 명나라 사행에 서장관으로 참여 6271

4. 맺음말 6274

황진(黃進) : 임란(壬亂) 구국(救國)의 명장(名將) 무민공(武愍公) 황진(黃進) 장군 / 하태규(河泰奎) 6279

1. 머리말 6279

2. 황진의 가계와 임진왜란 이전의 행적 6280

3. 임진왜란 초기 황진의 활동 6282

1) 호남 근왕병의 출동과 황진의 활동 6282

2) 왜군의 호남침공과 황진의 웅치·안덕원 전투 6284

3) 이치대첩(梨峙大捷)과 황진의 전공 6290

4. 진주성 제2차 전투와 황진의 순절 6293

5. 황진의 순절 후 추승과 현양 6297

6. 맺음말 6299

판권기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08059 951.5211 -16-17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60 951.5211 -16-17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61 951.5211 -16-17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62 951.5211 -16-17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63 951.5211 -16-17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64 951.5211 -16-17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65 951.5211 -16-17 v.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66 951.5211 -16-17 v.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67 951.5211 -16-17 v.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68 951.5211 -16-17 v.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69 951.5211 -16-17 v.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70 951.5211 -16-17 v.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71 951.5211 -16-17 v.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08072 951.5211 -16-17 v.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