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문화창조융합벨트 지역확산을 위한 기초연구 / 한국콘텐츠진흥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나주 : 한국콘텐츠진흥원 : KOCCA, 2016
청구기호
338.47306 -16-3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58 p. : 삽화, 표 ; 26 cm
총서사항
KOCCA 연구보고서 ; 16-13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5145165
제어번호
MONO1201645172
주기사항
연구수행: 한국창조산업연구소
연구책임: 고정민 ; 연구PM: 고창만 ; 연구원: 정세일, 장영준, 박지혜, 양지훈, 김진영
국고 사업으로 수행된 연구 결과임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Ⅰ. 연구 개요 14

1. 연구배경 15

2. 연구목표 및 범위 17

가. 연구목표 17

나. 연구범위 17

Ⅱ. 융복합 콘텐츠산업 환경분석 19

1. 융복합 콘텐츠산업 현황 20

가. 융복합 콘텐츠의 개념 20

나. 콘텐츠 융복합의 유형 22

다. 융복합 콘텐츠 사례 23

라. 융복합 콘텐츠산업 시장 및 산업동향 37

2. 융복합 콘텐츠산업 정책 동향 40

가. 문화체육관광부 40

나. 미래창조과학부 46

다. 산업통상자원부 50

라. 정부부처 합동 정책 51

3. 문화창조융합벨트 현황 59

가. 문화창조융합벨트 조성 개요 59

나. 문화창조융합벨트 세부 구성 60

4. 융복합 콘텐츠산업 정책 분석 및 시사점 66

가. 분석결과 및 시사점 66

나. 정책 개선 방향 71

Ⅲ. 지역별 융복합 콘텐츠산업 현황 75

1. 융복합 콘텐츠산업 인프라 현황 76

2. 지역별 융복합 콘텐츠산업 현황 96

3. 지역별 융복합 콘텐츠 관련 사업 현황 175

가. 개요 175

나. 지역별 융복합 사업현황 177

다. 사업분석 결과 요약 242

라. 시사점 249

Ⅳ. 기본방향 설정 254

1. 문화창조융합벨트 지역확산모델 제안 255

가. 지역확산모델 유형 제시 255

나. 각 모델별 특징 검토 257

다. 문화창조융합벨트 지역확산을 위한 모델 제안 260

2. 문화창조융합벨트 지역확산의 방향성 262

가. 지역별 역량 및 인프라 현황에 기초한 확산 전략 차별화 262

나. 지역 및 기관별 연계ㆍ협력 사업 발굴 262

다. 각 지역 인프라별 벨트 내 역할 설정 263

3. 인프라별 문화창조융합벨트 생태계 내 역할 설정 264

가. 역할 설정의 방향성 264

나. 인프라별 역할 265

4. 지역별 융합벨트 구축 및 인프라 연계ㆍ활용방안 275

가. 인프라 연계ㆍ활용의 기본방향 275

나. 지역별 연계전략 275

Ⅴ. 비전, 추진전략 및 과제 305

1. 비전 306

2. 목표 309

3. 추진전략 312

가. 지역 맞춤형 거점 구축 312

나. 창조 비즈니스 지원 역량 증진 314

다. 창업 및 보육 활성화 기반 강화 315

라. 유기적 지역 생태계 조성 318

마.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활성화 319

4. 전략과제 321

가. 지역 맞춤형 거점 구축 323

나. 창조 비즈니스 지원 역량 증진 329

다. 창업 및 보육 활성화 기반 강화 337

라. 유기적 지역 생태계 조성 343

마.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활성화 352

5. 단계별 추진계획 358

가. 도입기(전략 추진 1~2년차) 360

나. 확산기(전략 추진 3~4년차) 361

다. 고도화기(전략 추진 5년차) 364

판권기 366

〈표 Ⅱ-1〉 콘텐츠 융복합 가치창출 메카니즘의 다변화 21

〈표 Ⅱ-2〉 산업융합형 콘텐츠 사 24

〈표 Ⅱ-3〉 융복합 콘텐츠 뮤지컬 사례 26

〈표 Ⅱ-4〉 융복합 콘텐츠 공연 사례 27

〈표 Ⅱ-5〉 융복합 콘텐츠 전시예술 사례 29

〈표 Ⅱ-6〉 융복합 게임콘텐츠 사례 31

〈표 Ⅱ-7〉 융복합 콘텐츠 영화제작 기술 사례 32

〈표 Ⅱ-8〉 융복합 콘텐츠 테마파크 사례 33

〈표 Ⅱ-9〉 융복합 콘텐츠 K-POP/콘서트 사례 34

〈표 Ⅱ-10〉 융복합 콘텐츠 서비스 사례 35

〈표 Ⅱ-11〉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콘텐츠산업실 16대 주요과제 41

〈표 Ⅱ-12〉 융복합을 통한 창조산업 고도화 추진과제 및 세부내용 43

〈표 Ⅱ-13〉 ICT 기본 계획 핵심 내용 50

〈표 Ⅱ-14〉 6개 부처 합동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통한 성장동력 확충 업무보고 주요 내용 52

〈표 Ⅱ-15〉 SV 한ㆍ중 문화-ICT 융합펀드 53

〈표 Ⅱ-16〉 가상현실 신산업 육성을 위한 5대 선도 프로젝트(안) 54

〈표 Ⅱ-17〉 무역투자진흥회의 가상현실 분야 주요 내용 56

〈표 Ⅱ-18〉 공공활용형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지원 분야 57

〈표 Ⅱ-19〉 무역투자진흥회의 구체화 내용 58

〈표 Ⅱ-20〉 문화창조아카데미 주요 교육내용 64

〈표 Ⅲ-1〉 지역 소재 콘텐츠 진흥기관 현황 78

〈표 Ⅲ-2〉 콘텐츠코리아랩 조성현황 80

〈표 Ⅲ-3〉 지역스토리랩 현황 82

〈표 Ⅲ-4〉 전국 음악창작소 현황 84

〈표 Ⅲ-5〉 음악창작소의 기능 및 내용 84

〈표 Ⅲ-6〉 글로벌게임허브센터 및 글로벌게임센터 방향 및 역할 86

〈표 Ⅲ-7〉 작은영화관 현황 88

〈표 Ⅲ-8〉 전국 영상미디어센터 현황 90

〈표 Ⅲ-9〉 영상미디어센터의 역할 91

〈표 Ⅲ-10〉 영상미디어센터의 필수 사업영역 92

〈표 Ⅲ-11〉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 현황 94

〈표 Ⅲ-12〉 지역별 콘텐츠산업(2014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단순 비교 98

〈표 Ⅲ-13〉 부산광역시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99

〈표 Ⅲ-14〉 대구광역시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04

〈표 Ⅲ-15〉 인천광역시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09

〈표 Ⅲ-16〉 광주광역시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14

〈표 Ⅲ-17〉 대전광역시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19

〈표 Ⅲ-18〉 울산광역시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24

〈표 Ⅲ-19〉 경기도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28

〈표 Ⅲ-20〉 강원도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34

〈표 Ⅲ-21〉 충청북도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39

〈표 Ⅲ-22〉 충청남도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44

〈표 Ⅲ-23〉 전라북도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49

〈표 Ⅲ-24〉 전라남도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55

〈표 Ⅲ-25〉 경상북도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60

〈표 Ⅲ-26〉 경상남도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65

〈표 Ⅲ-27〉 제주도 콘텐츠산업 장르별 현황(2014년) 170

〈표 Ⅲ-28〉 융복합 콘텐츠 관련사업 자료 취합 현황 175

〈표 Ⅲ-29〉 융복합 콘텐츠 지원사업 분석 툴 176

〈표 Ⅲ-30〉 부산시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177

〈표 Ⅲ-31〉 사업유형에 따른 부산시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178

〈표 Ⅲ-32〉 사업유형에 따른 부산시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179

〈표 Ⅲ-33〉 대구시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182

〈표 Ⅲ-34〉 사업유형에 따른 대구시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183

〈표 Ⅲ-35〉 사업유형에 따른 대구시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185

〈표 Ⅲ-36〉 인천시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188

〈표 Ⅲ-37〉 사업유형에 따른 인천시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189

〈표 Ⅲ-38〉 사업유형에 따른 인천시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190

〈표 Ⅲ-39〉 광주시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192

〈표 Ⅲ-40〉 사업유형에 따른 광주시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193

〈표 Ⅲ-41〉 사업유형에 따른 광주시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194

〈표 Ⅲ-42〉 대전시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196

〈표 Ⅲ-43〉 사업유형에 따른 대전시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197

〈표 Ⅲ-44〉 사업유형에 따른 대전시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198

〈표 Ⅲ-45〉 울산시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201

〈표 Ⅲ-46〉 사업유형에 따른 울산시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202

〈표 Ⅲ-47〉 사업유형에 따른 울산시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202

〈표 Ⅲ-48〉 경기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204

〈표 Ⅲ-49〉 사업유형에 따른 경기도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205

〈표 Ⅲ-50〉 사업유형에 따른 경기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207

〈표 Ⅲ-51〉 강원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213

〈표 Ⅲ-52〉 사업유형에 따른 강원도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214

〈표 Ⅲ-53〉 사업유형에 따른 강원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214

〈표 Ⅲ-54〉 충청북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216

〈표 Ⅲ-55〉 사업유형에 따른 충청북도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217

〈표 Ⅲ-56〉 사업유형에 따른 충청북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217

〈표 Ⅲ-57〉 충청남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218

〈표 Ⅲ-58〉 사업유형에 따른 충청남도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219

〈표 Ⅲ-59〉 사업유형에 따른 충남문화산업진흥원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220

〈표 Ⅲ-60〉 전라북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222

〈표 Ⅲ-61〉 사업유형에 따른 전라북도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223

〈표 Ⅲ-62〉 사업유형에 따른 전라북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224

〈표 Ⅲ-63〉 전라남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227

〈표 Ⅲ-64〉 사업유형에 따른 전라남도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228

〈표 Ⅲ-65〉 사업유형에 따른 전라남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229

〈표 Ⅲ-66〉 경상북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231

〈표 Ⅲ-67〉 사업유형에 따른 경상북도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232

〈표 Ⅲ-68〉 사업유형에 따른 경상북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233

〈표 Ⅲ-69〉 경상남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235

〈표 Ⅲ-70〉 사업유형에 따른 경상남도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236

〈표 Ⅲ-71〉 사업유형에 따른 경상남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237

〈표 Ⅲ-72〉 제주도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239

〈표 Ⅲ-73〉 사업유형에 따른 제주도 융복합콘텐츠 사업예산 및 비중 240

〈표 Ⅲ-74〉 사업유형에 따른 제주테크노파크 융복합콘텐츠 사업 및 예산 240

〈표 Ⅲ-75〉 지역별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243

〈표 Ⅲ-76〉 연도별 융복합 콘텐츠 사업 현황 244

〈표 Ⅲ-77〉 사업유형에 따른 지역별 융복합콘텐츠 예산 현황 245

〈표 Ⅲ-78〉 인프라별 융복합콘텐츠 사업 현황 246

〈표 Ⅲ-79〉 사업유형에 따른 인프라별 융복합콘텐츠 예산 현황 247

〈표 Ⅲ-80〉 사업유형에 따른 인프라별 융복합콘텐츠 예산 비중 249

〈표 Ⅴ-1〉 비전의 의미 306

〈표 Ⅴ-2〉/〈표 Ⅳ-2〉 성과목표 310

〈표 Ⅴ-3〉 5대 추진전략의 의미 및 내용 312

〈표 Ⅴ-4〉 전략 및 과제별 세부 내용 321

〈표 Ⅴ-5〉 추진전략 지역 맞춤형 거점 구축의 추진과제 별 의미 및 내용 324

〈표 Ⅴ-6〉 추진전략 창조 비즈니스 지원 역량 증진의 추진과제 별 의미 및 내용 329

〈표 Ⅴ-7〉 추진전략 창업 및 보육 활성화 기반 강화의 추진과제 별 의미 및 내용 337

〈표 Ⅴ-8〉 추진전략 유기적 지역 생태계 조성의 추진과제 별 의미 및 내용 343

〈표 Ⅴ-9〉 추진전략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활성화의 추진과제 별 의미 및 내용 352

〈표 Ⅴ-10〉 전략 추진 단계 구분 358

〈표 Ⅴ-11〉 전략 및 과제별 추진단계 359

〈그림 Ⅰ-1〉 연구수행 프로세스 18

〈그림 Ⅱ-1〉 드론레이싱 24

〈그림 Ⅱ-2〉 융복합 콘텐츠 기술 〈플레이케이팝〉와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엔트리 25

〈그림 Ⅱ-3〉 융복합 뮤지컬 〈묵화마녀 진서연〉과 국악뮤지컬 〈판타스틱〉 26

〈그림 Ⅱ-4〉 융복합 공연 〈어린왕자〉와 〈로봇랜드의 전설〉 27

〈그림 Ⅱ-5〉 융복합 전시예술 〈전동성당 빛의 옷을 입다〉와 〈헤세와 그림들 전〉 30

〈그림 Ⅱ-6〉 증강현실 게임 〈포켓몬 고〉와 〈Gunman〉 31

〈그림 Ⅱ-7〉 스토리텔링 지원 소프트웨어 〈스토리헬퍼〉와 영화 〈미스터 고〉 32

〈그림 Ⅱ-8〉 가상현실을 활용한 융복합 테마파크 34

〈그림 Ⅱ-9〉 융복합 콘서트 〈HIFI vol.1 SeMA HI-FI〉와 〈K-POP 홀로그램 콘서트〉 34

〈그림 Ⅱ-10〉 융복합 콘텐츠 서비스 〈발렌티노 버추얼뮤지엄〉과 〈쿤스트매트릭스〉 35

〈그림 Ⅱ-11〉 매직리프를 통해 구현된 증강현실 36

〈그림 Ⅱ-12〉 세계 융합시장 규모 추이 37

〈그림 Ⅱ-13〉 문화체육관광부 2016년 정책목표 및 추진과제 40

〈그림 Ⅱ-14〉 미래창조과학부 2016년 4대 전략 및 16대 과제 47

〈그림 Ⅱ-15〉 디지털 파빌리온 정비 계획(안) 55

〈그림 Ⅱ-16〉 문화창조융합벨트 조성계획 59

〈그림 Ⅱ-17〉 콘텐츠코리아랩 지원체계 61

〈그림 Ⅱ-18〉 문화창조융합센터 62

〈그림 Ⅱ-19〉 디즈니의 융복합 콘텐츠 사례 : 인피니션과 플레이메이션 70

〈그림 Ⅱ-20〉 음악산업의 연계 활용 사례 : 아바 박물관과 투팍의 홀로그램 공연 71

〈그림 Ⅲ-1〉 지역 콘텐츠산업 유관기관(지역 진흥원) 현황 77

〈그림 Ⅲ-2〉 콘텐츠코리아랩(CKL) 현황 79

〈그림 Ⅲ-3〉 지역스토리랩 현황 81

〈그림 Ⅲ-4〉 지역음악창작소 현황 83

〈그림 Ⅲ-5〉 글로벌 게임센터 현황 85

〈그림 Ⅲ-6〉 작은영화관 현황 87

〈그림 Ⅲ-7〉 영상미디어센터 현황 89

〈그림 Ⅲ-8〉 창조경제혁신센터 현황 93

〈그림 Ⅲ-9〉 국내 지역별 콘텐츠산업(2014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현황 및 비중 96

〈그림 Ⅲ-10〉 부산광역시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99

〈그림 Ⅲ-11〉 부산광역시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00

〈그림 Ⅲ-12〉 대구광역시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04

〈그림 Ⅲ-13〉 대구광역시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05

〈그림 Ⅲ-14〉 인천광역시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09

〈그림 Ⅲ-15〉 인천광역시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10

〈그림 Ⅲ-16〉 광주광역시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14

〈그림 Ⅲ-17〉 광주광역시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15

〈그림 Ⅲ-18〉 대전광역시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19

〈그림 Ⅲ-19〉 대전광역시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20

〈그림 Ⅲ-20〉 울산광역시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24

〈그림 Ⅲ-21〉 울산광역시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25

〈그림 Ⅲ-22〉 경기도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28

〈그림 Ⅲ-23〉 경기도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29

〈그림 Ⅲ-24〉 강원도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34

〈그림 Ⅲ-25〉 강원도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35

〈그림 Ⅲ-26〉 충청북도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39

〈그림 Ⅲ-27〉 충청북도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40

〈그림 Ⅲ-28〉 충청남도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44

〈그림 Ⅲ-29〉 충청남도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45

〈그림 Ⅲ-30〉 전라북도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49

〈그림 Ⅲ-31〉 전라북도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50

〈그림 Ⅲ-32〉 전라남도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55

〈그림 Ⅲ-33〉 전라남도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56

〈그림 Ⅲ-34〉 경상북도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60

〈그림 Ⅲ-35〉 경상북도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61

〈그림 Ⅲ-36〉 경상남도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65

〈그림 Ⅲ-37〉 경상남도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66

〈그림 Ⅲ-38〉 제주도 콘텐츠산업(2014년) 장르별 매출액/사업체수/종사자수 비중 170

〈그림 Ⅲ-39〉 제주도 인프라 현황 및 특징 171

〈그림 Ⅳ-1〉 중앙-지역 통합벨트 모델 255

〈그림 Ⅳ-2〉 유관기관 협력모델 256

〈그림 Ⅳ-3〉 지역 맞춤형 연계모델 257

〈그림 Ⅳ-4〉 인프라별 문화창조융합벨트 생태계 내 역할 265

〈그림 Ⅳ-5〉 부산시 인프라 연계 전략 277

〈그림 Ⅳ-6〉 대구시 인프라 연계 전략 278

〈그림 Ⅳ-7〉 인천시 인프라 연계 전략 280

〈그림 Ⅳ-8〉 광주시 인프라 연계 전략 282

〈그림 Ⅳ-9〉 대전시 인프라 연계 전략 284

〈그림 Ⅳ-10〉 울산시 인프라 연계 전략 286

〈그림 Ⅳ-11〉 경기도 인프라 연계 전략 288

〈그림 Ⅳ-12〉 강원도 인프라 연계 전략 290

〈그림 Ⅳ-13〉 충청북도 인프라 연계 전략 292

〈그림 Ⅳ-14〉 충청남도 인프라 연계 전략 294

〈그림 Ⅳ-15〉 전라북도 인프라 연계 전략 296

〈그림 Ⅳ-16〉 전라남도 인프라 연계 전략 299

〈그림 Ⅳ-17〉 경상북도 인프라 연계 전략 300

〈그림 Ⅳ-18〉 경상남도 인프라 연계 전략 302

〈그림 Ⅳ-19〉 제주도 인프라 연계 전략 304

〈그림 Ⅴ-1〉 비전과 추진전략 및 과제 30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25395 338.47306 -16-3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25396 338.47306 -16-3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