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덕수궁 돈덕전 복원 조사연구 / 문화재청 [편]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문화재청, 2016
청구기호
728.820951 -16-10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98 p. : 삽화, 설계도, 지도 ; 31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9908713
제어번호
MONO1201647485
주기사항
조사·연구: 강희재
참고문헌: p. 296-298
부록/보유자료:덕수궁 돈덕전 복원 조사연구 [전자자료]  바로보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Ⅰ. 서언 8

1. 과업개요 9

2. 과업참여자 12

3. 자문회의 13

Ⅱ. 덕수궁 돈덕전의 고증자료 16

1. 기록 17

2. 신문 46

3. 지도ㆍ사진 56

4. 돈덕전의 역사적 변천과 의의 80

4-1. 돈덕전의 건립 시기와 규모 80

4-2. 외교의 공간, 돈덕전 85

4-3. 을사늑약 이후 돈덕전의 기능 변화 102

4-4. 1907년 순종 즉위 이후 돈덕전의 활용 110

4-5. 돈덕전의 훼철 과정 122

4-6. 소결 136

Ⅲ. 덕수궁 돈덕전의 현황 및 복원 여건분석 138

1. 주변 현황조사 139

1-1. 토지이용연혁 139

1-2. 건물 140

1-3. 식생 142

1-4. 석재유구 144

2. 복원 여건분석 148

2-1. 지형 148

2-2. 필지 및 위치 149

2-3. 시굴조사 154

Ⅳ. 덕수궁 돈덕전 복원 기본계획 162

1. 돈덕전 복원 기본방향 163

1-1. 기본구상 163

1-2. 용어정리 163

2. 돈덕전 활용계획 164

2-1. 사례조사 164

2-2. 활용계획 175

3. 돈덕전 기본계획 189

3-1. 사례조사 189

3-2. 평면계획 204

3-3. 입면계획 208

3-4. 구조계획 212

3-5. 재료계획 226

4. 시설정비계획 234

4-1. 내부시설계획 234

4-2. 주변정비계획 239

4-3. 관리운영계획 252

Ⅴ. 사업추진계획 260

1. 사업추진방향 261

2. 사업추진계획 262

3. 복원정비 소요예산 263

도면 264

참고문헌 279

판권기 282

[표 1-1] 문화재청 관계자 12

[표 1-2] 용역 자문위원 12

[표 1-3] 용역 수행기관 12

[표 1-4] 1차 자문회의 개요 13

[표 1-5] 2차 자문회의 개요 14

[표 2-1] 문헌기록의 분석 18

[표 2-2] 문헌자료 45

[표 2-3] 내부관련 문헌 77

[표 2-4] 돈덕전과 로쿠메이칸 비교 84

[표 2-5] 수옥헌과 돈덕전의 알현 기능 비교 98

[표 3-1] 덕수궁 중심영역 내 거목 지정 현황(2016년) 143

[표 3-2] 석재유구 유형별 크기 및 개수 144

[표 3-3] 출토벽돌 크기 및 개수 159

[표 4-1] 돈덕전 활용 기본계획안 175

[표 4-2] 활용계획 1안 : 지하1층 실별 면적 179

[표 4-3] 활용계획 1안 : 1층 실별 면적 180

[표 4-4] 활용계획 1안 : 2층 실별 면적 181

[표 4-5] 활용계획 2안 : 지하1층 실별 면적 184

[표 4-6] 활용계획 2안 : 1층 실별 면적 185

[표 4-7] 활용계획 2안 : 2층 실별 면적 186

[표 4-8] 근대건축물 복원방식 비교 189

[표 4-9] 20세기 초 벽돌쌓기법(『大建築學』, 1904년) 213

[표 4-10] 기본등분포활하중 216

[표 4-11] 돈덕전 복원구조 계획안 216

[표 4-12] 철근콘크리트조와 철골조의 특성 비교 217

[표 4-13] 벽돌조적조의 구조보강 방법 218

[표 4-14] 재료별 접합상세 224

[표 4-15] 근대건축물 수리공사 시 벽돌 수급방법 조사 227

[표 4-16] 근대건축물 수리공사 시 지붕재료 조사 229

[표 4-17] 근대건축물 수리공사 시 창호재료 조사 230

[표 4-18] 목재마루 종류 및 특성 232

[표 4-19] 근대건축물 수리공사 시 바닥재료 조사 233

[표 4-20] 돈덕전 추정 가구 235

[표 5-1] 덕수궁 돈덕전의 연차별 사업추진계획 262

[표 5-2] 연차별 소요예산 263

[사진 1-1] 돈덕전 부지 현황 10

[사진 1-2] 1차 자문회의-1 14

[사진 1-3] 1차 자문회의-2 14

[사진 1-4] 2차 자문회의-1 15

[사진 1-5] 2차 자문회의-2 15

[사진 2-1] 『고종실록』 17

[사진 2-2] 『순종실록』 17

[사진 2-3] 『덕수궁사(德壽宮史)』(1938년, 小田省吾) 45

[사진 2-4] 『제국신문』(1901년 3월 28일) 46

[사진 2-5] 『황성신문』(1903년 4월 6일) 47

[사진 2-6] 『대한매일신보』(1905년 9월 17일) 48

[사진 2-7] 『대한매일신보』(1907년 6월 29일) 48

[사진 2-8] 『황성신문』(1907년 8월 23일) 49

[사진 2-9] 『황성신문』(1908년 3월 12일) 50

[사진 2-10] 『황성신문』(1910년 4월 8일) 51

[사진 2-11] 『황성신문』(1910년 5월 28일) 51

[사진 2-12] 『동아일보』(1921년 7월 25일) 52

[사진 2-13] 『매일신보』(1932년 10월 14일) 53

[사진 2-14] 『조선중앙일보』(1933년 9월 15일) 54

[사진 2-15] 『동아일보』(1933년 10월 8일) 55

[사진 2-16] 돈덕전 간가도, 『대황제폐하즉위예식의주』(1907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66

[사진 2-17] 돈덕전 간가도 및 위치 표시, 『대황제폐하즉위예식의주』 66

[사진 2-18] 돈덕전 간가도, 『법규유편』(1908년, 서울대학교 규장각) 67

[사진 2-19] 돈덕전과 석조전 전경 1, 『애뉴얼리포트』(1911년, 조선총독부) 68

[사진 2-20] 돈덕전과 석조전 전경 2, 『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2006년, 문화재청) 68

[사진 2-21] 돈덕전 전경, 『한국사진첩』(1910년, 조선통감부) 68

[사진 2-22] 1906~1907년 경 황제 알현 장소로 가는 길, 『독일인 헤르만 산더의 여행』(2006년, 국립민속박물관) 69

[사진 2-23] 경운궁 전경, 『선철 연선 명소, 사적, 미술 대관』(1919년, 만선출판협회) 69

[사진 2-24] 돈덕전 정면, 『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2006년, 문화재청) 70

[사진 2-25] 돈덕전 지붕, 한국황제폐하 즉위 기념 엽서(1907년) 70

[사진 2-26] 1910년대 순종 즉위시 도판 인쇄, 『서울의 近代史』(2011년,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ㆍ한국문화센터) 71

[사진 2-27] 1907년 돈덕전에서 고종과 순종ㆍ영친왕, 『서울의 近代史』(2011년,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ㆍ한국문화센터) 72

[사진 2-28] 돈덕전의 고종과 순종, 영친왕(1907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72

[사진 2-29] 1907년 일본 육군대신이 기관포 헌납하는 장면의 사진에서 보이는 돈덕전 정면. 하단에 1906년이 적혀 있으나 관련 기사가 담긴 신문에서 1907년으로 확인, 『日本之朝鮮』(1911년) 73

[사진 2-30] 경성 돈덕전(즉위식장), 엽서 73

[사진 2-31] 돈덕전 정면 일부(하정웅 소장) 74

[사진 2-32] 돈덕전 굴뚝, 『선철 연선 명소, 사적, 미술 대관』(1919년, 만선출판협회) 74

[사진 2-33] 정면 출입부, 『대한제국기 정동을 중심으로 한 국제교류와 도시건축에 대한 학술연구』(2011년, 서울역사박물관) 75

[사진 2-34] 서울 정동의 미국영사관 앞을 지나는 3ㆍ1운동 시위군중 뒤편의 돈덕전 정면, 『한국독립운동사』(2010년,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 편집) 75

[사진 2-35] 고종 퇴위 후 통감 이토히로부미의 퇴궐 행령 뒤편의 돈덕전 정면, 『대한제국황실의 초상 : 1880-1989』(2012년, 국립현대미술관ㆍ한미사진미술관) 76

[사진 2-36] 돈덕전 좌측 일부(코넬대학교) 76

[사진 2-37] 『조선병합사(朝鮮併合史)』(1926년, 釋尾東邦 著) 77

[사진 2-38] 『The Illustrated London News』(1904년 8월 27일) 77

[사진 2-39] 돈덕전 내 어침실, 『日本之朝鮮』(1911년) 78

[사진 2-40] 구 러시아공사관 쪽에서 바라본 1900년대 초 전경. 돈덕전이 들어서기 전이다. 『한국풍속인물사적명승사진첩』(국립중앙도서관) 78

[사진 2-41] 1899년 3월경 촬영된 총해관주변 모습, 『한국세관130년추록』(2009년, 관세청) 79

[사진 2-42] 돈덕전 현판(국립고궁박물관 소장) 89

[사진 3-1] 돈덕전 부지 내 덕수궁관리소 141

[사진 3-2] 돈덕전 부지 내 강당 141

[사진 3-3] 돈덕전 부지 내 화장실 정면 141

[사진 3-4] 돈덕전 부지 내 화장실 측면 141

[사진 3-5] 덕수궁관리소 앞 회화나무 143

[사진 3-6] 덕수궁관리소 앞 회화나무 안내판. 거목 제96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으며, 1670년경 식재된 것으로 안내하고 있다 143

[사진 3-7] 사료에서 확인되는 정면의 회화나무(『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 143

[사진 3-8] A-1 145

[사진 3-9] A-2 145

[사진 3-10] A-3 145

[사진 3-11] A-4 145

[사진 3-12] A-5 145

[사진 3-13] A-6 145

[사진 3-14] A-7 145

[사진 3-15] A-8 145

[사진 3-16] 석조전 정면 계단에 놓여있는 석재유구 A유형 145

[사진 3-17] B-1 146

[사진 3-18] B-2 146

[사진 3-19] 기타-1 147

[사진 3-20] 기타-2 147

[사진 3-21] 기타-3 147

[사진 3-22] 기타-4 147

[사진 3-23] 기타-5 147

[사진 3-24] 기타-6 147

[사진 3-25] 기타-7 147

[사진 3-26] 기타-8 147

[사진 3-27] 기타-9 147

[사진 3-28] 기타-10 147

[사진 3-29] 현재의 지형 모형 148

[사진 3-30] 도로 개설 후의 돈덕전, 『동아일보』(1921년 7월25일) 151

[사진 3-31] 덕수궁 주차장 담장에 위치한 기준 우물 153

[사진 3-32] 돈덕전 추정지 Tr.1 시굴 트렌치 서벽토층 모습(남동→북서) 155

[사진 3-33] 돈덕전 추정지 Tr.1 시굴 트렌치 1-2호 건물지 전경 155

[사진 3-34] 돈덕전 추정지 Tr.2 시굴 트렌치 전경 및 유구 노출모습-1 156

[사진 3-35] 돈덕전 추정지 Tr.2 시굴 트렌치 전경 및 유구 노출모습-2 156

[사진 3-36] 돈덕전 추정지 Tr.3 시굴 트렌치 전경 및 유구 노출모습-1 157

[사진 3-37] 돈덕전 추정지 Tr.3 시굴 트렌치 전경 및 유구 노출모습-2 157

[사진 3-38] 출토유물 벽돌박스-1(Tr.3 시굴트렌치) 158

[사진 3-39] 출토유물 벽돌박스-2(Tr.3 시굴트렌치) 158

[사진 3-40] 출토유물 벽돌박스-3(Tr.3 시굴트렌치) 158

[사진 3-41] 출토 적벽돌(230×110×55) 158

[사진 3-42] 출토 전벽돌(230×110×55) 158

[사진 3-43] 출토 이형(전)벽돌(230×110×55) 158

[사진 3-44] 돈덕전 추정지 출토 타일과 몰딩 159

[사진 3-45] 내부 장식 타일(70×70, T5), 후대 유물 159

[사진 3-46] 타일-1(200×200, T25) 160

[사진 3-47] 타일-2(200×200, T25) 160

[사진 3-48] 정관헌 입구 바닥의 별문양 타일 160

[사진 3-49] 정관헌 바닥타일 각종 문양. 하단의 타일이 별문양으로 돈덕전 출토유물과 문양이 같다 160

[사진 3-50] 중명전 주출입구 바닥의 별문양 타일 161

[사진 3-51] 중명전 바닥타일 각종 문양. 하단의 좌측에서 첫 번째, 두 번째 타일이 별문양이다 161

[사진 3-52] 몰딩 A타입(W80) 161

[사진 3-53] 몰딩 A타입 중 직선형의 단면(W80, T45) 161

[사진 3-54] 몰딩 B타입(W65) 161

[사진 3-55] 몰딩 B타입의 단면(W65, T30) 161

[사진 4-1] 구 이와사키 저택 전경-1 164

[사진 4-2] 구 이와사키 저택 전경-2 164

[사진 4-3] 구 신바시 정거장 정면 165

[사진 4-4] 구 신바시 정거장 내부활용 165

[사진 4-5] 복원 후 미술관 전경 165

[사진 4-6] 복원된 미술관 내부실 165

[사진 4-7] 상해 우정박물관 전경 166

[사진 4-8] 상해 우정박물관 도면 166

[사진 4-9] 와이탄 역사진열실 전경 166

[사진 4-10] 와이탄 역사진열실 연혁 166

[사진 4-11] 상해도시계획 모형전시 167

[사진 4-12] 개항기의 상해 167

[사진 4-13] 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진입부 167

[사진 4-14] 내부 전시활용 167

[사진 4-15] 1933 라오창팡 정면 168

[사진 4-16] 1933 라오창팡 내부중정 168

[사진 4-17] 와이탄 세관건물 168

[사진 4-18] 상해의 근대건축물 168

[사진 4-19] 말레이 헤리티지센터 전경 169

[사진 4-20] 이중 창호를 설치한 모습 169

[사진 4-21] 창호를 활용한 전시. 커튼을 설치하여 빛을 줄이고 유리 슬라이딩 전시패널 설치 169

[사진 4-22] 천장형 빔프로젝터를 통한 전시방법 169

[사진 4-23] 차이나타운 헤리티지센터 전경 170

[사진 4-24] 내부재현전시 모습 170

[사진 4-25] 시티갤러리 출입구 170

[사진 4-26] 대형공간에 전시된 싱가포르 전체 모형 170

[사진 4-27] 싱가포르 국립박물관 전경 171

[사진 4-28] 내부 전시 중 건축 관련 전시방법 171

[사진 4-29] 차임스 홀과 주변 선큰 171

[사진 4-30] 차임스 홀 내부의 영상 및 패널 전시 171

[사진 4-31] 중앙소방서 전경. 현재도 소방서는 운영 중에 있다 172

[사진 4-32] 시빌디펜스 헤리티지갤러리 전시 172

[사진 4-33] 페리나칸 박물관 전경. 배면에 증축된 부분도 외장이 같다 172

[사진 4-34] 내부 전시실 입구. 전시구성에 따라 층별로 개폐된 위치가 다르다 172

[사진 4-35] 바라이 자하라 전경 173

[사진 4-36] 내부현황-1 173

[사진 4-37] 내부현황-2 173

[사진 4-38] 내부현황-3 173

[사진 4-39] 1930년대 서대문형무소(서대문형무소역사관) 174

[사진 4-40] 여옥사터 창고부지 내 유물발굴(문화재청) 174

[사진 4-41]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전경(문화재청) 174

[사진 4-42] 내ㆍ외부 공간 연계도 176

[사진 4-43] 돈덕전 남ㆍ북쪽 외부공간. 회화나무와 창고가 확인된다.(1921년 수정측도 경성) 176

[사진 4-44] 활용계획 1안 : 영역의 구분 177

[사진 4-45] 활용계획 1안 : 내부동선계획 178

[사진 4-46] 활용계획 2안 : 영역의 구분 182

[사진 4-47] 활용계획 2안 : 내부동선계획 183

[사진 4-48] 활용계획 2-(2)안 : 영역의 구분 187

[사진 4-49] 활용계획 2-(2)안 : 내부동선계획 188

[사진 4-50] 1894년 미츠비시 1호관 전경 190

[사진 4-51] 조적벽체 복원공사 모습 191

[사진 4-52] 목조트러스 복원공사 모습 191

[사진 4-53] 중명전 복원 후 모습 192

[사진 4-54] 콘크리트 보강보 설치 완료 후 193

[사진 4-55] 철골 보강보 설치 완료 후 193

[사진 4-56] 승동교회 현재 전경 194

[사진 4-57] 철골기둥 신설 평면도 194

[사진 4-58] 철골기둥 설치 194

[사진 4-59] 철골보 설치 194

[사진 4-60] 대불호텔 모습(『명치이십칠팔년전역사진첩』, 1897년) 195

[사진 4-61] 발굴 건물지 전경 195

[사진 4-62] 복원 조감도 196

[사진 4-63] 1920년대 심슨기념관 원형 197

[사진 4-64] 심슨기념관 원형복원 후 전경 197

[사진 4-65] 1층 콘크리트 테두리보 타설 완료 후 198

[사진 4-66] 3층 바닥 철골설치 완료 후 198

[사진 4-67] 구 벨기에영사관 이축 후 정면 199

[사진 4-68] 1979년 해체 시 1층 바닥 I 형강 199

[사진 4-69] 주단면도 확대. 철근콘크리트 보강 부분에 대한 범례 표기 199

[사진 4-70] 낙원동 교사 시기의 모습 200

[사진 4-71] 현재 전경 200

[사진 4-72] 1956년 준공 당시 전경 201

[사진 4-73] 2013년 이축복원 후 전경 201

[사진 4-74] 대련 구 동청철도기선회사 전경 202

[사진 4-75] 대련 구 동청철도기선회사 지붕형상 202

[사진 4-76] 대련 구 대련민정총서 전경 202

[사진 4-77] 대련 구 대련민정총서 원형튜렛부분 202

[사진 4-78] 대련 뤼순 근대감옥 전경 203

[사진 4-79] 대련 뤼순 근대감옥 지붕 함석마감과 도머창 부분 203

[사진 4-80] 대련 뤼순 근대감옥 지붕마감인 함석판 지붕골 처리부분 203

[사진 4-81] 대련 뤼순 근대감옥 지붕 목조트러스 203

[사진 4-82] 지하환기구를 통해 지하층이존재함을 확인 204

[사진 4-83] 폐현실 내부 일러스트(화살표 참조) 206

[사진 4-84] 어침실의 내부사진(화살표 참조) 207

[사진 4-85] 돈덕전 정면과 평면 비교 208

[사진 4-86] 돈덕전 높이 분석 209

[사진 4-87] 돈덕전 정면기둥의 위치별 벽돌쌓기 분석 212

[사진 4-88] 돈덕전 정면 214

[사진 4-89] 중명전 정면(2009년 복원 후) 214

[사진 4-90] 돈덕전 기둥 214

[사진 4-91] 중명전 기둥(1907년) 214

[사진 4-92] 돈덕전에 쓰인 두가지 색상의 벽돌. 어두운 부분이 붉은 적벽돌이고, 밝은 부분이 회색 전벽돌이다 226

[사진 4-93] 돈덕전 시굴조사 시 확인된 전벽돌 226

[사진 4-94] 적벽돌과 전벽돌이 쓰인 중명전 226

[사진 4-95] 적벽돌과 전벽돌이 쓰인 구 영국공사관 226

[사진 4-96] 돈덕전 지붕 확대-1. 경사지붕과 원뿔지붕의 재료 이음 방식이 다르다 228

[사진 4-97] 돈덕전 지붕 확대-2 228

[사진 4-98] 1885~1900년 배재학당. 지붕마감이 동일하다 228

[사진 4-99] 1909년 정동제일교회 228

[사진 4-100] 수옥헌의 지붕마감. 돈덕전과 동일하다 229

[사진 4-101] 복원된 중명전 지붕. 징크로 대체되었다 229

[사진 4-102] 돈덕전의 창호 230

[사진 4-103] 인천 대불호텔 창호 복원계획. 외부 비늘창은 원형 그대로 복원하고 내부창은 목재틀은 유지하되 기능성 유리를 사용하여 복원할 예정이다 230

[사진 4-104] 싱가포르 말레이헤리티지센터 창호 복원. 외부는 목재 창을 복원하고 내부에는 현대적 유리 창호를 설치했다 231

[사진 4-105] 서울 용산신학교 창호 복원. 외부는 목재틀의 원형창을 복원하되 유리는 페어유리를 사용하여 성능을 개선하고, 내부는 외부창과 동일한 목재틀을 사용한 미서기창을 새로 설치했다 231

[사진 4-106] 싱가포르 국립미술관 창호 복원. 외부는 원형창을 복원하고 내부에서 발코니로 나가는 부분에는 유리자동문을 신설했다 231

[사진 4-107] 돈덕전 시굴조사 시 출토된 타일-1 232

[사진 4-108] 돈덕전 시굴조사 시 출토된 타일-2 232

[사진 4-109] 미츠비시1호관미술관의 복원된 바닥-목재마루 233

[사진 4-110] 미츠비시1호관미술관의 복원된 바닥-석재타일 233

[사진 4-111] 중명전 복원된 바닥-목재타일 233

[사진 4-112] 중명전 복원된 바닥-문양타일(타일 보호를 위해 강화유리 설치) 233

[사진 4-113] 1층 로비에 비치된 싱가포르 도시계획 자료들. 개발 단계별로 정리되어 있다 234

[사진 4-114] 싱가포르 마스터플랜 도면. 이용객이 자유롭게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234

[사진 4-115] 서대문형무소 취사장의 사무실 부분을 외부에서 본 모습. 외관은 목재창호로 원형으로 복원된 모습이다 237

[사진 4-116] 서대문형무소 취사장의 사무실 내부 창호. 내부에는 목재필름이 부착된 PVC 창호를 설치하여 실의 사용성을 높였다 237

[사진 4-117] 중명전 강당활용-1 : 학술대회 238

[사진 4-118] 중명전 강당활용-2 : 교육 238

[사진 4-119] 중명전 강당활용-3 : 문화생활 238

[사진 4-120] 중명전 강당활용-4 : 특별전시 238

[사진 4-121] 외부동선계획 239

[사진 4-122] 돈덕전 주진입로가 될 석조전 좌측 부분 현황. 현재 안내판 위치는 인지가 쉽지 않아 돈덕전 복원 후에는 안내판의 이동이 필요하다 239

[사진 4-123] 석조전에서 돈덕전 부지로 가는 동선 현황. 대지 높이차이로 경사로와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추후 장애인 법규에 적합한 경사로로 변경이 필요하다 239

[사진 4-124]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 세종대로 사거리에 세워진 호텔로 공사 당시 발굴된 지하유구를 실내 레스토랑에서 전시하고 있다 240

[사진 4-125] 일본 구 신바시 정거장. 발굴된 정거장 유구를 상부에 복원된 건물 지하층 철도역사전시장 일부분을 활용하여 전시하고 있다 240

[사진 4-126] 서대문형무소 취사장의 유구 전시. 유리를 사용하여 보호시설을 설치하였다. 강화유리 다리를 건너면서 유구를 관람할 수 있다 243

[사진 4-127] 노르웨이 하마르 비스피가르드 박물관(Hamar Bispegaard Museum). 헤드마르크 박물관 내에 위치하는 박물관으로 훼손된 유적지를 있는 그대로 사용하고 발굴현장을 박물관의 요소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244

[사진 4-128] 독일 바덴바일러 고대 로마욕조유적지(Badenweiler Roman Bath Ruins). 날씨에 그대로 노출되는 고대 로마 건물의 흔적을 보존하기 위해 유리 지붕을 설치하였다. 유리 지붕에는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채광량을 조절한다... 244

[사진 4-129] 돈덕전 부지 내 시설 현황. 우측은 덕수궁관리소 및 강당이고 좌측이 화장실이다 245

[사진 4-130] 외부 1-평성문 주변 궁장 246

[사진 4-131] 외부 2-사괴석 담장 246

[사진 4-132] 외부 3-궁장 세부 246

[사진 4-133] 내부 1-북쪽 궁장 246

[사진 4-134] 내부 2-북서쪽 궁장 246

[사진 4-135] 내부 3-영국대사관저 주변 궁장 246

[사진 4-136] 사료에 나타난 궁장. 도로개설 후 돈덕전과 궁장의 거리가 매우 가까웠음을 알 수 있다.(좌측부터 『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 『동아일보』, 「돈덕전급창고배치도」) 247

[사진 4-137] 석조전 천장에 설치된 라인디퓨져 252

[사진 4-138] 석조전 벽면 매입형 유선리모컨 252

[사진 4-139] 석조전 재현실에 놓여있는 제가습기 252

[사진 4-140] 석조전 온습도 확인을 위한 온습도계 252

[사진 4-141] 시공 시 작성한 석조전 몰딩 도면. 종류별로 도면화 작업이 이루어졌다 254

[사진 4-142] 석조전 몰딩 현황. 본드로 보수한 부분이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는 아니다 254

[사진 4-143] 석조전 내부 기둥의 금박 254

[사진 4-144] 석조전 계단난간의 금박.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는 곳이지만 문제가 없다 254

[사진 4-145] 복원 후 석조전 중앙홀. 바닥 전반이 마루 마감이다 255

[사진 4-146] 보수된 석조전 쪽매마루. 타커 흔적이 보인다 255

[사진 4-147] 석조전 커튼 현황. 관리를 위해 정기적으로 먼지를 털어낸다 256

[사진 4-148] 석조전 주출입구 백색 커튼. 이용 빈도가 높고 백색이라 오염 정도가 비교적 높으나, 현재까지는 관리상 문제가 없다. 상황에 따라 여분 수량을 달리하여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256

[사진 4-149] 석조전 재현실의 카페트. 관람객 동선 부분은 강화유리로 보강하였다 256

[사진 4-150] 석조전 계단 카페트. 고증 부분은 아니지만 필요에 의해 설치하였고, 사용에 따라 자연스러운 보풀이 일었다 256

[사진 4-151] 석조전 전등. 조명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실내 전구를 LED로 교체하였다 257

[사진 4-152] 석조전 외부전등. 점등 횟수가 적어 교체 없이 백열등으로 사용 중이다 257

[사진 4-153] 돈덕전 부지 주변 소화전(외부) 258

[사진 4-154] 돈덕전 부지 주변 CCTV와 조명(외부) 258

[사진 4-155] 석조전 소화전(내부). 실내 마감재료와 이질감을 줄이기 위해 도장처리를 했다 258

[사진 4-156] 석조전 소화기(내부). 관람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해 소화기를 그대로 노출하지 않고, 디자인 된 가림판을 설치했다 258

[도면 1-1] 돈덕전 위치(경운궁중건배치도+덕수궁평면도) 11

[도면 2-1] 「알렌의 정동 스케치」(1897년) 56

[도면 2-2] 「경운궁중건배치도(慶運宮重建配置圖)」(1907~1910년 추정,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56

[도면 2-3] 「덕수궁평면도(德壽宮平面圖)」(1910년, 『덕수궁사』) 57

[도면 2-4] 「한국황궁경위배치도(韓國皇宮警衛配置圖)」(일본궁내청) 57

[도면 2-5] 「덕수궁내지약도(德壽宮內之略圖)」(1910~1930년 추정, 국가기록원) 58

[도면 2-6] 「경성도(KEIJO)」(1910년대 후반, 『서울지도』) 58

[도면 2-7] 「1915년측도 경성(1915年測圖 京城)」(1915년,『一万分一朝鮮地形集成』) 59

[도면 2-8] 「1921년수정측도 경성(1921年修正測圖 京城)」(1921년, 『一万分一朝鮮地形集成』) 59

[도면 2-9] 「경성시가도(京城市街圖)」(1927년, 『定都 600年 서울地圖』) 60

[도면 2-10] 「경성지도(京城地圖)」(1920년대 말, 『서울지도』) 60

[도면 2-11] 「돈덕전급창고배치도(惇德殿及倉庫配置圖)」(1910~1920년 추정,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61

[도면 2-12] 「덕수궁미술관설계」(1936년 4월, 일본 하마마츠 시립도서관) 61

[도면 2-13] 「덕수궁배치도(德壽宮配置圖)」(국가기록원) 62

[도면 2-14] 「덕수궁지도(德壽宮地圖)」(1938년 추정, 『王宮史』) 62

[도면 2-15] 1층 폐현실 복원 평면도 77

[도면 2-16] 2층 어침실 복원 평면도 78

[도면 2-17] 총해관서원지 분양귀경운궁급유위관택기공소 지지도」, 『한국세관130년추록』(2009년, 관세청) 78

[도면 2-18] 총해관공소 지도를 재구성, 「총해관서원지 분양귀경운궁급유위관택기공소 지지도」 79

[도면 2-19] 총해관공소지도(1900년)+경운궁중건배치도(1907~1910년경 추정), 총해관 개략평면도와 돈덕전 평면도를 중첩시킨 결과 남쪽 진입부의... 79

[도면 3-1] 총해관 시기 139

[도면 3-2] 돈덕전 시기 139

[도면 3-3] 아동유원지 시기 139

[도면 3-4] 덕수궁관리소 및 강당이 있는 현재 139

[도면 3-5] 덕수궁 건물 현황(2016년) 140

[도면 3-6] 돈덕전 부지 식생 현황(2016년) 142

[도면 3-7] 석재유구 배치현황 144

[도면 3-8] 석재유구 A유형 배치도 145

[도면 3-9] 석재유구 A유형 평면 및 입면 145

[도면 3-10] 석재유구 B유형 배치도 146

[도면 3-11] 석재유구 B유형 평면 및 입면 146

[도면 3-12] 기타 석재유구 배치도 147

[도면 3-13] 1921년 돈덕전 주변 등고선(「1921년 수정측도 경성」, 1921년) 148

[도면 3-14] 1920년대 말의 돈덕전 주변 등고선(「경성지도」, 1920년대 말) 148

[도면 3-15] 돈덕전 위치 주변 지적도(2016년) 149

[도면 3-16] 대한제국기 측량선, 「덕수궁내지약도」(1910~1930년 추정) 150

[도면 3-17] 덕수궁의 필지 교환 영역 표기, 「경성부 지적원도」(1912년) 150

[도면 3-18] 돈덕전 배치도, 「돈덕전급창고배치도」(1910~1920년 추정) 151

[도면 3-19] 「덕수궁내지약도」+「돈덕전급창고배치도」+현재 지적도를 중첩하여 분석 152

[도면 3-20] 도면 3-19의 확대 152

[도면 3-21] 「경운궁중건배치도」+덕수궁배치도(2016년)를 중첩하여 분석 153

[도면 3-22] 돈덕전 추정지 시굴 트렌치 위치도 154

[도면 3-23] 돈덕전 출토 바닥타일 문양 상세도면 160

[도면 4-1] 바라이 자하라 배치도 및 아이소메트릭 173

[도면 4-2] 활용계획 1안 : 지하1층 세부계획 179

[도면 4-3] 활용계획 1안 : 1층 세부계획 180

[도면 4-4] 활용계획 1안 : 2층 세부계획 181

[도면 4-5] 활용계획 2안 : 지하1층 세부계획 184

[도면 4-6] 활용계획 2안 : 1층 세부계획 185

[도면 4-7] 활용계획 2안 : 2층 세부계획 186

[도면 4-8] 1905년 수리 시의 2층 평면도 190

[도면 4-9] 복원 단면도. 내화를 고려한 목조트러스와 기초 하부에 면진장치를 계획 190

[도면 4-10] 복원 2층 평면도. 복원된 내부 공간과 새롭게 추가된 공간이 표현되어 있다 191

[도면 4-11] 복원 전 1층 평면도 192

[도면 4-12] 복원 2층 바닥 구조보강보 설치 평면도. 회랑과 내부 복도가 보강되었다 192

[도면 4-13] 복원 후 1층 평면도. 회랑이 복원되었다 193

[도면 4-14] 수리 전 종단면도 194

[도면 4-15] 수리 후 종단면도 194

[도면 4-16] 원형추정 1층 평면도 196

[도면 4-17] 활용계획 1층 평면도. 전시관 활용을 위해 구조가 변경되고 엘리베이터가 신설되었다 196

[도면 4-18] 활용계획 유구전시실 단면도. 파일 삽입 후 콘크리트 기초를 타설하고 바닥 일부에 강화유리를 설치한 대불호텔 지하유구 전시 상세도 196

[도면 4-19] 2층 마루 구조도. 콘크리트 테두리보 및 철골보로 보강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197

[도면 4-20] 종단면도. 복도를 제외하고 내부 실들의 바닥하부에 철골이 보강되었다 198

[도면 4-21] 이축 전 2층 평면도 199

[도면 4-22] 이축 후 2층 평면도. 활용에 따라 통합된 실을 확인 할 수 있다 199

[도면 4-23] 이축 후 주단면도.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부분이 표현되어 있다 199

[도면 4-24] 복원도면의 주심도. 새로운 구조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0

[도면 4-25] 복원도면 중 지붕단면상세. 원형구조인 트러스 구조가 희미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200

[도면 4-26] 현재 1층 평면도 200

[도면 4-27] 현재 종단면도 200

[도면 4-28] 2000년 해체 시 실측 1층 평면도. 복원도면과 실구성이 다르다 201

[도면 4-29] 2013년 복원 1층 평면도. 활용에 따라 내부공간을 계획하였다 201

[도면 4-30] 2000년 해체 시 실측 종단면도 201

[도면 4-31] 2013년 복원 종단면도 201

[도면 4-32] 시굴평면도 분석 204

[도면 4-33] 돈덕전 간가도 비교(좌측 : 『대황제폐하즉위예식의주』, 우측 : 『법규유편』) 205

[도면 4-34] 덕수궁 돈덕전 1층 복원평면도(실명은 간가도에 명기된 명칭을 반영) 206

[도면 4-35] 덕수궁 돈덕전 2층 복원평면도 207

[도면 4-36] 덕수궁 돈덕전 복원 정면도 210

[도면 4-37] 덕수궁 돈덕전 복원 우측면도 210

[도면 4-38] 덕수궁 돈덕전 복원 배면도 211

[도면 4-39] 덕수궁 돈덕전 복원 좌측면도 211

[도면 4-40] 운현궁 양관 목조트러스 215

[도면 4-41] 돈덕전 목조트러스 개념도 215

[도면 4-42] 복원구조 계획안 A : 원형구조 복원 220

[도면 4-43] 복원구조 계획안 B : 슬래브만 보강할 경우 221

[도면 4-44] 복원구조 계획안 C : 슬래브 및 벽을 보강할 경우 222

[도면 4-45] 복원구조 계획안 D : 구조를 변경할 경우 223

[도면 4-46] 인천 대불호텔. 위는 발굴유적 평면도이고 아래는 복원 평면도이다. 발굴된 유구 위에 건물 외피를 복원하고 1층 전시장 일부에 지하유구를 볼 수 있도록 강화유리로 바닥마감을 계획하였다 241

[도면 4-47] 「돈덕전급창고배치도」와 함께 그려져 있는 「창고평면도」 242

[도면 4-48] 「창고평면도」(1910~1920년 추정,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창고의 수치와 면적이 기록되어 있다 242

[도면 4-49] 사료에 나타난 부속건물(좌측부터 「경운궁중건배치도」, 「덕수궁사」, 「돈덕전내지약도」) 243

[도면 4-50] 덕수궁관리소 이전계획 245

[도면 4-51] 현재 석조전 공간구성 245

[도면 4-52] 「덕수궁내북측연와병급사면복구」(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돈덕전 훼철 후의 상황을 알 수 있는 담장 도면이다 247

[도면 4-53] 궁장정비계획 248

[도면 4-54] 1907~1910년으로 추정되는 「경운궁중건 배치도」에서는 두 개의 계단과 석단을 확인할 수 있다 249

[도면 4-55] 1910~1920년 추정 「돈덕전급창고배치도」에서는 한 개의 계단과 석단이라는 표현을 확인할 수 있다 249

[도면 4-56] 1910년대 후반 「경성도」. 돈덕전 진입로가 보인다 250

[도면 4-57] 「1915년측도 경성」. 돈덕전의 정면ㆍ우측면에 수목이 있다 250

[도면 4-58] 「1921년수정측도 경성」. 돈덕전 정면 반원형태 조경과 회화나무가 나타나 있다 250

[도면 4-59] 1927년 「경성시가도」. 돈덕전 진입로가 보인다 250

[도면 4-60] 지형정비계획 251

[도면 4-61] 식생정비계획 251

[도면 4-62] 소방방재계획 25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15451 728.820951 -16-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15452 728.820951 -16-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