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사진·삽화: 유순상 전자자료(e-book)로도 이용가능 방일영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저술·출판되었음 이용가능한 다른 형태자료:내 뜻대로 산다 [전자자료] 바로보기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저자 서문: 그들을 만나 행복했다
1 욕망의 도시를 벗어나 새 꿈 펼친 ‘흙수저’ 아티스트 _청주시 수암골의 림민 작가 2 죽다 살아난 이 남자의 선택! _충주시 동량면 인형극단 ‘보물’의 김종구 대표 3 ‘확 깨는’ 그의 시, 이렇게 만들어졌다 _제천시 백운면 원서문학관의 오탁번 시인 4 호주제 없앤 ‘꼴통 페미’가 동학에 꽂힌 이유 _옥천군 청산면의 한의사 고은광순 5 이 책 인세로 술 마시고 저 책 인세로 쌀 사면 된다 _제천시 덕산면의 만화가 이은홍 6 우리 마을 통장님, 알고 보니 미술 작가 _청주시 사직동의 653예술상회 이종현 작가 7 ‘수묵 누드’ 개척한 그녀의 그림 인생 _충주시 동량면의 화가 문은희 8 쾌락이 있고 예술이 꽃피는 시골 만화방 _괴산군 문광면의 탑골만화방 양철모 작가 9 예쁜 꽃밭 그리려고 한갓진 농촌에 살아요 _충주시 엄정면에 사는 그림책 작가 정승각 10 주류 전통음악에서 뛰쳐나온 소리계의 펑크 로커 _충주시 신니면의 경서도소리꾼 권재은 11 ‘천년의 세월’을 머금은 종이를 뜨다 _청주시 문의면의 공예가 이종국 12 자계예술촌에서 벌어지는 ‘그믐달의 들놀음’ _영동군 용화면의 박창호 예술감독 13 비바람 속에서도 뒷마당을 묵묵히 지키던 장독처럼 _청주시 오송읍의 박재환 옹기장 14 가난한 예술가와 활동가들이 쉬어 갈 수 있는 곳 _괴산군 칠성면의 숲속작은책방
내 뜻대로 산다 : 서울을 떠나 더 행복한 사람들, 14인 14색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19598
811.8 -16-52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19599
811.8 -16-52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서울을 벗어난 사람들 또 다른 삶을 모색하는 사람들 모두가 가는 길을 과감히 벗어난 사람들 그래서 더 행복한 사람들 이야기!
오늘처럼 내일도 피곤한 몸을 일으켜 세워 또 다시 우리는 하루를 시작할 테지만, 언제나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생각은 아마도 ‘어떻게 사는 게 행복한 걸까’ 혹은 ‘계속 이렇게 살아도 될까’일지 모른다. 왜냐하면 하루하루의 일상이 대체로 너무 힘들기 때문에, 치열하게 살면 살수록 자꾸만 뒤처지는 것 같기 때문에, 아니 가장 명확하게는 지금 여기에서 별로 행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책은 자신이 원하는 곳에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며 행복하게(!) 사는 사람들 이야기다. 이 책의 저자 CJB청주방송국 황상호 기자는 2013년부터 3년여 동안 충북 지역에 이주해 사는 14인의 예술가들을 만나러 다녔다. 기자 명함을 떼고 생업이 아닌 다른 분야를 취재하러 다닌 것이다. “예술가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있었다”고 한다. 또 지역 공동체 회복에 의미가 있을 거란 생각에 순수예술보다는 사회문제에 관심이 많은 작가들을 만나 그들이 무엇을 위해 무엇을 하며 어떻게 사는지 귀 기울여 들었다. “두려움을 이겨 내고 대안을 선택한 사람들의 말 속에는 용기를 내지 못하는 사람의 온갖 핑계와 잡념을 털어 낼 만한 죽비 한 자루씩은 숨어 있었다.” 그리고 그들에게는 공통점이 있었다. 남의 눈을 의식하지 않는 것, 과소비하지 않고 간소하게 사는 것, 진짜 나의 즐거움이 무엇인지 알아 충분히 만끽하며 사는 것. 좁디좁은 서울 안에서 밀려날까 두려워 과도한 경쟁과 속도로 물신주의에 흠뻑 젖어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이 책은 ‘다른’ 삶도 있음을 슬며시 보여 준다. 그래서 더 행복한 여러 삶의 모습을 제시한다. 마음 한켠에 또 다른 삶에 대한 소망이 있는 사람들에게 구체적인 대안을 알려 준다.
14인 14색, 그들의 인생 이야기
“모두가 가는 길을 따라가지 마라. 그 길에서 벗어나도 행복해질 수 있다”는 인형극단 ‘보물’ 김종구 대표의 말로 상징되는 창조적인 삶을 살아 내고 있는 소리꾼, 시인, 화가, 만화가, 글방지기, 연극인, 명상가, 옹기장 등 열네 명의 인생 이야기는 무엇보다 재미있다. 그들이 꿈꾸고 계획하고 실패하고 좌절하고 다시 일어나 또 무언가를 궁리하며 이루어가는 모습은 또한 재미를 넘는 감동을 준다. 기자의 냉철함보다는 사람과 세상에 대한 신뢰와 따뜻한 시선으로 풀어 낸 14편의 글들은 글 속 주인공들의 삶보다 다채롭다. 그들과 적게는 서너 시간에서 많게는 밤을 새며 묻고 들으며 기록해 마음을 담아 꾹꾹 다시 눌러 썼기 때문이리라. 또 저자의 첫 그림 선생인 유순상 작가는 인터뷰에 동행해 인터뷰 모습과 내용을 사진과 그림으로 옮겨 책에 실었다. 3년 동안 만나 온 열네 명의 인생의 깊이를 온전히 다 받아 안지 못해 아쉬울 따름이라는 저자는 자신에게 충만한 위로와 용기를 선사한 인터뷰이들에게 다음과 같이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아흔 살에 가까운 문은희 화백은 이미 크로키 대가임에도 불구하고 그림이 좋다며 지금도 주부들과 함께 문화센터에서 그림을 배우고 있고, 그림 한 장을 그려 내기 위해 탐사보도하듯 취재하는 정승각 작가는 사는 공간이 어디든 실력은 빛을 발한다는 사실을 스스로 증명하고 있었다. 특히 괴산의 탑골만화방 양철모 작가는 자신의 공간을 내게 아지트로 내주며 어떻게 친구를 맺고 어울리며 살 수 있는지 알려 주었다. 나는 만화방을 자주 들락거리며 만화방 손님들과 함께 야산에서 나무를 해 와 난로를 피우고 텃밭에서 기른 채소로 밥을 해 먹으며 이렇게 살아도 충분하겠다는 생각을 했다.”
책속에서
[P.21] “10대와 20대 때 서울이란 도시는 뭔가 할 수 있을 것 같은 장소였어요. 나도 찬란히 빛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죠. 지금 와서 생각해 보니 끊임없이 꿈을 갉아먹는 도시가 아닌가, 소비를 충동해서 낙오자로 전락시키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_연탄 아트 작가 림민
[P. 43~44] “걱정들을 하시는데요, 공연 수익금으로 생활하기가 풍족하지는 않지만 충분히 생활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텃밭에서 나는 것으로 자급자족하고 옷도 벼룩시장에서 좋은 옷을 사 입을 수 있거든요. 돈을 안 쓰면 됩니다. 자본주의 구조에서 탈출하면 돼요.” “공연 때마다 저는 아이들에게 꼭 말합니다. 모두가 가는 길을 따라가지 마라, 그 길에서 벗어나도 행복해질 수 있다, 할아버지도 좋아하는 일을 찾아서 너무 행복하다, 너희들도 꼭 그렇게 살았으면 좋겠다고요.” _마리오네트 제작.공연자 김종구 대표
[P. 79] 이 작가는 종종 ‘다시 도시로 돌아갈 때가 되지 않았느냐’는 질문을 받는다. 하지만 돈독한 마을 인심 때문에 그럴 생각이 없다고 말한다. 마을 사람들이 농사법도 친절히 알려주고 때가 되면 브로콜리나 치커리, 양배추 등 농작물을 나눠 준다고 한다. 그 때문에 “시골은 굶어 죽고 싶어도 죽을 수도 없는” 행복한 역설이 가득한 공간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