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제1차)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중장기 계획(수정·보완) [전자자료] : 2016~2025 : 최종보고서 / 충청남도 인기도
발행사항
홍성군 : 충청남도,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564
제어번호
MONO1201650367
주기사항
연구총괄: 오혜정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목차

제1편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기본방안 19

제1장 계획수립의 개요 21

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23

2. 계획의 성격 26

3. 계획의 범위와 수립체계 27

4. 계획수립 추진체계 30

5. 계획수립 추진경과 30

제2장 물 통합관리 개념 및 추진현황 33

1. 개념 및 필요성 35

2. 국외 물 통합관리 사례 36

3.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추진현황 66

제3장 기존 계획 평가 및 관련계획 검토 69

1. 기존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중장기 계획 성과평가 71

2. 관련 계획 검토 80

제4장 충청남도 유역현황 97

1. 일반 현황 99

2. 수계 및 하천, 호소 현황 102

3. 토지이용 현황 105

4. 자연환경 현황 106

5. 환경관리 현황 110

제5장 계획의 기본구상 113

1. 민·관 의견 수렴 115

2. 비전 및 목표 설정 128

제2편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실행방안 137

제1장 충청남도 물관리 현황 및 특성분석 139

1. 수자원 현황 141

2. 수질 현황 159

3. 수생태 현황 191

제2장 충청남도 물관리 여건변화 및 전망 207

1. 수자원 여건변화 및 전망 209

2. 수질 여건변화 및 전망 224

3. 수생태 여건변화 및 전망 238

제3장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실행방안 245

1. 그간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사업 추진 현황 247

2.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실행사업 발굴을 위한 방향 설정 252

제4장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중점관리 지역 선정 253

1. 데이터 기반 중점관리 지역 선정 방안 255

2. 부문별 중점관리 지역 선정 256

3. 중점관리 지역 검증 및 확정 301

제5장 사업 도출 및 유역별 관리방안 303

1. 사업 도출 방안 프로세스 305

2. 부문별 중점관리 지역 개선 및 관리사업 도출 309

3. 통합 대책지역 발굴 및 사업추진 전략 416

4. 유역별 물 통합관리 방안 429

5.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거버넌스 439

6.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정보 구축 방안 446

제6장 물 통합관리 실현방안 451

1. 평가지표 및 계획의 피드백 453

2. 물 통합관리 계획도 455

3. 투자계획 및 재원조달 방안 456

부록 467

1. 세부사업 로드맵 469

2. 보고회 회의내용 정리 483

3. 수자원 취약성 평가 기초자료 491

4. 우선관리대상 하천 및 저수지 그룹별, 유역별 원인분석 진단을 위한 Map 521

5. 최종보고회 발표자료 545

참여 연구진 563

[뒷표지] 564

〈표 1-2-1〉 영국의 물 관리 조직 39

〈표 1-2-2〉 이스라엘 중앙정부의 물관리 기능(2006년 이전) 46

〈표 1-2-3〉 수도감독협의회 이관 내용 46

〈표 1-2-4〉 유럽 물 관리 기본지침(WFD)의 필요성 및 중요 특징 47

〈표 1-2-5〉 유럽 물 관리 기본지침(WFD)의 추진계획 48

〈표 1-3-1〉 기존 계획의 수계별 중점관리 대상하천 72

〈표 1-3-2〉 기존 계획의 수계별 중점관리 대상호소 73

〈표 1-3-3〉 기존 계획의 수계별 하천 중장기 목표수질 설정 73

〈표 1-3-4〉 기존 계획의 수계별 호소 중장기 목표수질 설정 74

〈표 1-3-5〉 기존 계획의 중점관리 대상하천 목표수질 달성 평가 74

〈표 1-3-6〉 기존 계획의 중점관리 대상호소 목표수질 달성 평가 75

〈표 1-3-7〉 기존 계획의 중점관리 대상하천 관리방안 평가 78

〈표 1-3-8〉 기존 계획의 중점관리 대상호소 관리방안 평가 79

〈표 1-3-9〉 물환경관리 기본계획의 목표 및 추진전략 81

〈표 1-3-10〉 물환경관리 기본계획의 주요 지표 81

〈표 1-3-11〉 물환경관리 기본계획의 추진전략 및 중점과제 81

〈표 1-3-12〉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비전 및 추진목표 83

〈표 1-3-13〉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추진목표 및 추진전략 83

〈표 1-3-14〉 2025 수도정비 기본계획의 비전 및 추진목표 84

〈표 1-3-15〉 2025 수도정비 기본계획의 추진목표 및 추진전략 84

〈표 1-3-16〉 물 재이용 기본계획의 정책방향 및 목표설정 85

〈표 1-3-17〉 물 재이용 기본계획의 추진전략 및 주요 정책 과제 86

〈표 1-3-18〉 금강 대권역 수질보전 기본계획의 지표 87

〈표 1-3-19〉 충남 수자원종합계획의 비전 및 목표 88

〈표 1-3-20〉 충남 수자원종합계획의 부문별 세부추진계획 88

〈표 1-3-21〉 금강비전의 비전 및 부문별 비전 89

〈표 1-3-22〉 금강비전의 부문별 추진방향과 전략 90

〈표 1-3-23〉 금강비전 프로젝트의 내용 90

〈표 1-3-24〉 충청남도 지하수 관리계획의 목표 및 세부 추진과제 91

〈표 1-3-25〉 충청남도 지하수 관리계획의 주요 내용 91

〈표 1-3-26〉 충청남도 환경보전종합계획의 비전 및 미래상 93

〈표 1-3-27〉 충청남도 환경보전종합계획의 부문별 주요 환경 지표 94

〈표 1-3-28〉 충청남도 환경보전종합계획의 분야별 추진전략 95

〈표 1-3-29〉 제3단계 금강수계 충청남도 오염총량관리기본계획의 기준유량 및 목표... 96

〈표 1-4-1〉 행정구조 99

〈표 1-4-2〉 지리적 위치 100

〈표 1-4-3〉 표고분석 100

〈표 1-4-4〉 경사분석 101

〈표 1-4-5〉 기후 현황 102

〈표 1-4-6〉 수계 현황 102

〈표 1-4-7〉 하천 현황 103

〈표 1-4-8〉 담수호 현황 104

〈표 1-4-9〉 저수지 현황 104

〈표 1-4-10〉 댐 현황 105

〈표 1-4-11〉 토지 지목별 이용 현황 105

〈표 1-4-12〉 용도지역 현황 106

〈표 1-4-13〉 생태자연도 현황 106

〈표 1-4-14〉 시·군별 생태자연도 분포 현황 107

〈표 1-4-15〉 시·군별 산림생태축 관리범위 현황 108

〈표 1-4-16〉 시·군별 비오톱 I등급 분포 현황 109

〈표 1-4-17〉 오염물질 배출시설 현황 110

〈표 1-4-18〉 환경기초시설 현황 111

〈표 1-5-1〉 이용 식수 계층별 응답 특성표 116

〈표 1-5-2〉 수질오염 인식도 117

〈표 2-1-1〉 전국 월강수량 및 역대순위(최소) 현황 143

〈표 2-1-2〉 전국 지역별 강수량 및 역대순위(최소) 현황 143

〈표 2-1-3〉 평년대비 2015년 금강 및 삽교천 여름철 강수량 현황 144

〈표 2-1-4〉 금강수계 관측소별 표준강수지수 분포 144

〈표 2-1-5〉 금강수계 관측소별 파머가뭄지수 분포 145

〈표 2-1-6〉 2012년 가뭄발생시 강수량 및 농업용 저수지 평균저수율 145

〈표 2-1-7〉 충청남도 대형 담수호 현황 147

〈표 2-1-8〉 전국 지역본부별 저수지 저수율 현황 147

〈표 2-1-9〉 충청남도 지역본부별 저수지 저수율 현황 148

〈표 2-1-10〉 충청남도 관련 댐 현황 149

〈표 2-1-11〉 충청남도 주요 용수 공급원 149

〈표 2-1-12〉 보령댐 제원 150

〈표 2-1-13〉 대청댐 제원 152

〈표 2-1-14〉 충청남도 상수도 이용인구 현황 154

〈표 2-1-15〉 충청남도 상수도 보급 현황 154

〈표 2-1-16〉 충청남도 시·군별 상수도 보급 현황 154

〈표 2-1-17〉 충청남도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 현황 155

〈표 2-1-18〉 충청남도 누수발생 현황 155

〈표 2-1-19〉 충청남도 상수원보호구역 지정현황 156

〈표 2-1-20〉 충청남도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연혁 156

〈표 2-1-21〉 충청남도 연도별 지하수 이용량 158

〈표 2-1-22〉 충청남도 지하수 개발가능량 158

〈표 2-1-23〉 충청남도 하천 수질측정망 현황 159

〈표 2-1-24〉 충청남도 호소(저수지) 수질측정망 현황 160

〈표 2-1-25〉 충청남도 지하수 수질측정망 현황 160

〈표 2-1-26〉 충청남도 수질 2등급 초과 하천 현황 161

〈표 2-1-27〉 수질항목별 오염도가 높은 하천순위 163

〈표 2-1-28〉 수계 및 자치단체별 하천 수질 BOD 등급 분포현황 163

〈표 2-1-29〉 수질항목별 오염도가 높은 농업용저수지 순위 166

〈표 2-1-30〉 수계 및 자치단체별 농업용저수지 수질 COD 등급 분포현황 167

〈표 2-1-31〉 지하수 수질 초과율 현황 168

〈표 2-1-32〉 충청남도 내 지방환경청관측망 항목별 초과건수(오염우려지역) 169

〈표 2-1-33〉 충청남도 내 지방환경청관측망 항목별 초과건수(일반지역) 171

〈표 2-1-34〉 충청남도 내 국가관측망 항목별 초과건수 173

〈표 2-1-35〉 충청남도 내 농촌관측망 항목별 초과건수 174

〈표 2-1-36〉 충청남도 유역 물환경 목표기준 및 달성기간 175

〈표 2-1-37〉 충청남도 유역 물환경 목표기준(호소) 176

〈표 2-1-38〉 하천수질 환경기준 176

〈표 2-1-39〉 호소수질 환경기준 177

〈표 2-1-40〉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 177

〈표 2-1-41〉 수계별 인구현황 178

〈표 2-1-42〉 수계별 축산현황 179

〈표 2-1-43〉 수계별 산업현황 180

〈표 2-1-44〉 수계별 토지현황 181

〈표 2-1-45〉 수계별 양식현황 181

〈표 2-1-46〉 수계별 매립현황 182

〈표 2-1-47〉 생활계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3

〈표 2-1-48〉 축산계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4

〈표 2-1-49〉 산업계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4

〈표 2-1-50〉 토지계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5

〈표 2-1-51〉 양식계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6

〈표 2-1-52〉 매립계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6

〈표 2-1-53〉 총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7

〈표 2-1-54〉 총 BOD 점 및 비점 배출부하량 188

〈표 2-1-55〉 총 BOD 발생 및 배출부하밀도 189

〈표 2-1-56〉 총 BOD 점 및 비점 배출부하밀도 189

〈표 2-1-57〉 환경부 하천자연도 등급구분 191

〈표 2-1-58〉 전국 대비 충청남도 하천자연도 평가 결과 192

〈표 2-1-59〉 수계별 충청남도 하천자연도 평가 결과 193

〈표 2-1-60〉 하천자연도 등급별 빈도 194

〈표 2-1-61〉 충청남도 하천별 부착돌말지수(TDI) 등급 변화 197

〈표 2-1-62〉 충청남도 하천별 한국오수생물지수(KSI) 및 저서동물지수(BMI) 등급 변화 199

〈표 2-1-63〉 충청남도 하천별 생물보전지수(IBI) 및 어류평가지수(FAI) 등급 변화 201

〈표 2-1-64〉 충청남도 하천별 서식수변환경지수(HRI) 등급 변화 203

〈표 2-2-1〉 미래 연평균 기온의 현재 기후값 대비 차이와 경향성 209

〈표 2-2-2〉 미래 연평균 강수량의 현재 기후값 대비 차이와 경향성 210

〈표 2-2-3〉 기간별 시·군별 가뭄관리지수 순위 211

〈표 2-2-4〉 가뭄관리 주의 및 우려 지자체 선정 211

〈표 2-2-5〉 충청남도 용수공급 계획 213

〈표 2-2-6〉 2015년 생활용수 수요량(시나리오i기준) 214

〈표 2-2-7〉 2020년 생활용수 수요량(시나리오i기준) 214

〈표 2-2-8〉 2025년 생활용수 수요량(시나리오i기준) 215

〈표 2-2-9〉 연도별 공업용수 수요량 216

〈표 2-2-10〉 농업용수 공급량 217

〈표 2-2-11〉 농업용수 수요량 218

〈표 2-2-12〉 2015년 지역별 물수급 전망(시나리오I) 219

〈표 2-2-13〉 2020년 지역별 물수급 전망(시나리오I) 219

〈표 2-2-14〉 2025년 지역별 물수급 전망(시나리오I) 220

〈표 2-2-15〉 총 농경지와 관개 농경지 고려한 농업용수 과부족 현황 221

〈표 2-2-16〉 2025년 지역별 물부족 전망 222

〈표 2-2-17〉 수계별 인구전망 225

〈표 2-2-18〉 축종별 가축사육두수 전망(전체) 226

〈표2-2-19〉 수계별 가축사육두수 전망(젖소, 한우) 226

〈표 2-2-20〉 수계별 가축사육두수 전망(돼지, 가금) 227

〈표 2-2-21〉 수계별 산업폐수 발생량 및 배출량 전망 228

〈표 2-2-22〉 토지지목별 면적 전망(전체) 229

〈표 2-2-23〉 수계별 토지지목별 면적 전망(2020년) 229

〈표 2-2-24〉 수계별 토지지목별 면적 전망(2025년) 230

〈표 2-2-25〉 수계별 생활계 부하량 전망(BOD) 232

〈표 2-2-26〉 수계별 축산계 부하량 전망(BOD) 233

〈표 2-2-27〉 수계별 산업계 부하량 전망(BOD) 234

〈표 2-2-28〉 수계별 토지계 부하량 전망(BOD) 236

〈표 2-2-29〉 수계별 충 발생 및 배출부하량 전망(BOD) 237

〈표 2-3-1〉 도내 주요 하천 생물(수생태)측정망 구축·운영 조사개요 250

〈표 2-3-2〉 2016년 물 통합관리 실천보고회 추진실적 250

〈표 2-4-1〉 복합지표개발에 사용되는 표준화 방법 260

〈표 2-4-2〉 취약성 평가를 위한 대리변수 262

〈표 2-4-3〉 대리변수 표준화 263

〈표 2-4-4〉 민감도 및 노출도 대리변수에 대한 Re-scaling 값 예시 264

〈표 2-4-5〉 14개 대리변수의 Z-score 값 264

〈표 2-4-6〉 14개 대리변수의 Re-scaling 값 265

〈표 2-4-7〉 민감도, 적응력, 노출도 지수 계산 결과 266

〈표 2-4-8〉 충청남도 시·군별 VRI 산정결과 269

〈표 2-4-9〉 충청남도 수자원관리 취약지역 선별 대리변수 269

〈표 2-4-10〉 충청남도 수자원관리 취약지역 등급 270

〈표 2-4-11〉 수계별 중점관리 대상하천 선정결과(평수기) 281

〈표 2-4-12〉 수계별 중점관리 대상하천 선정결과(갈수기) 283

〈표 2-4-13〉 중점관리 대상하천별 오염원(평수기) 284

〈표 2-4-14〉 중점관리 대상하천별 오염원(갈수기) 284

〈표 2-4-15〉 중점관리 대상하천별 배출부하량(평수기) 285

〈표 2-4-16〉 중점관리 대상하천별 배출부하량(갈수기) 285

〈표 2-4-17〉 중점관리 대상하천별 배출부하밀도(평수기) 286

〈표 2-4-18〉 중점관리 대상하천별 배출부하밀도(갈수기) 286

〈표 2-4-19〉 수계별 중점관리 대상저수지 선정결과(평수기) 288

〈표 2-4-20〉 수계별 중점관리 대상저수지 선정결과(갈수기) 289

〈표 2-4-21〉 중점관리 대상저수지별 오염원(평수기) 291

〈표 2-4-22〉 중점관리 대상저수지별 오염원(갈수기) 292

〈표 2-4-23〉 중점관리 대상저수지별 배출부하량(평수기) 292

〈표 2-4-24〉 중점관리 대상저수지별 배출부하량(갈수기) 293

〈표 2-4-25〉 중점관리 대상저수지별 배출부하밀도(평수기) 293

〈표 2-4-26〉 중점관리 대상저수지별 배출부하밀도(갈수기) 294

〈표 2-4-27〉 수생태계 복원지역 선정 방법(예시) 296

〈표 2-4-28〉 수생태계 복원지역 우선순위 297

〈표 2-4-29〉 수생태계 보전지역 선정 방법(예시) 298

〈표 2-4-30〉 수생태계 보전지역 우선순위 300

〈표 2-5-1〉 물 통합관리 기본계획 7대 전략, 49개 사업 307

〈표 2-5-2〉 가뭄대책 및 수자원 확보방안 분류 310

〈표 2-5-3〉 LID 기술의 구분 311

〈표 2-5-4〉 Smart Water Grid 목표 312

〈표 2-5-5〉 최근 충청남도 물관리 관련 사업 추진 현황(2012년~2015년) 313

〈표 2-5-6〉 충청남도 수자원 관리 취약지역 등급 분포 316

〈표 2-5-7〉 보령시 수자원 사업 추진현황(2011년 이후) 317

〈표 2-5-8〉 계룡시 수자원 사업 추진현황(2011년 이후) 319

〈표 2-5-9〉 서천군 수자원 사업 추진현황(2011년 이후) 320

〈표 2-5-10〉 홍성군 수자원 사업 추진현황(2011년 이후) 323

〈표 2-5-11〉 태안군 수자원 사업 추진현황(2011년 이후) 326

〈표 2-5-12〉 공주시 수자원 사업 추진현황(2011년 이후) 329

〈표 2-5-13〉 아산시 수자원 사업 추진현황(2011년 이후) 330

〈표 2-5-14〉 서산시 수자원 사업 추진현황(2011년 이후) 331

〈표 2-5-15〉 금산군 수자원 사업 추진현황(2011년 이후) 332

〈표 2-5-16〉 충청남도 수자원 관리 취약지역 및 일반 관리지역 333

〈표 2-5-17〉 보령시 수자원 대책 사업비 335

〈표 2-5-18〉 보령시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35

〈표 2-5-19〉 계룡시 수자원 대책 사업비 337

〈표 2-5-20〉 계룡시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37

〈표 2-5-21〉 서천군 수자원 대책 사업비 339

〈표 2-5-22〉 서천군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40

〈표 2-5-23〉 태안군 수자원 대책 사업비 342

〈표 2-5-24〉 태안군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42

〈표 2-5-25〉 공주시 수자원 대책 사업비 344

〈표 2-5-26〉 공주시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45

〈표 2-5-27〉 아산시 수자원 대책 사업비 347

〈표 2-5-28〉 아산시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47

〈표 2-5-29〉 서산시 수자원 대책 사업비 349

〈표 2-5-30〉 서산시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50

〈표 2-5-31〉 금산군 수자원 대책 사업비 352

〈표 2-5-32〉 금산군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52

〈표 2-5-33〉 홍성군 수자원 대책 사업비 354

〈표 2-5-34〉 홍성군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55

〈표 2-5-35〉 천안시 수자원 대책 사업비 357

〈표 2-5-36〉 천안시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57

〈표 2-5-37〉 논산시 수자원 대책 사업비 359

〈표 2-5-38〉 논산시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59

〈표 2-5-39〉 당진시 수자원 대책 사업비 360

〈표 2-5-40〉 당진시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61

〈표 2-5-41〉 부여군 수자원 대책 사업비 362

〈표 2-5-42〉 부여군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62

〈표 2-5-43〉 청양군 수자원 대책 사업비 364

〈표 2-5-44〉 청양군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64

〈표 2-5-45〉 예산군 수자원 대책 사업비 366

〈표 2-5-46〉 예산군 수자원 대책 사업기간 367

〈표 2-5-47〉 수계별 중점관리 하천 선정 결과 368

〈표 2-5-48〉 하천별 수질개선 방안 368

〈표 2-5-49〉 하천 우선 대책지역 도출 결과 370

〈표 2-5-50〉 강경천 수질 대책 사업비 372

〈표 2-5-51〉 강경천 수질 대책 사업기간 372

〈표 2-5-52〉 남원천 수질 대책 사업비 374

〈표 2-5-53〉 남원천 수질 대책 사업기간 374

〈표 2-5-54〉 오목천 수질 대책 사업비 376

〈표 2-5-55〉 오목천 수질 대책 사업기간 376

〈표 2-5-56〉 천안천 수질 대책 사업비 378

〈표 2-5-57〉 천안천 수질 대책 사업기간 378

〈표 2-5-58〉 광천천 수질 대책 사업비 380

〈표 2-5-59〉 광천천 수질 대책 사업기간 381

〈표 2-5-60〉 흥인천 수질 대책 사업비 382

〈표 2-5-61〉 흥인천 수질 대책 사업기간 382

〈표 2-5-62〉 둔포천 수질 대책 사업비 384

〈표 2-5-63〉 둔포천 수질 대책 사업기간 384

〈표 2-5-64〉 성환천 수질 대책 사업비 386

〈표 2-5-65〉 성환천 수질 대책 사업기간 386

〈표 2-5-66〉 수계별 중점관리 저수지 선정결과 387

〈표 2-5-67〉 도고저수지 수질 대책 사업비 389

〈표 2-5-68〉 도고저수지 수질 대책 사업기간 389

〈표 2-5-69〉 초대저수지 수질 대책 사업비 390

〈표 2-5-70〉 초대저수지 수질 대책 사업기간 390

〈표 2-5-71〉 양전저수지 수질 대책 사업비 391

〈표 2-5-72〉 양전저수지 수질 대책 사업기간 391

〈표 2-5-73〉 업성저수지 수질 대책 사업비 392

〈표 2-5-74〉 업성저수지 수질 대책 사업기간 392

〈표 2-5-75〉 복원지역 도출 방법(예시) 400

〈표 2-5-76〉 수생태계 복원지역 우선순위 401

〈표 2-5-77〉 삽교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비 402

〈표 2-5-78〉 삽교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기간 402

〈표 2-5-79〉 곡교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비 403

〈표 2-5-80〉 곡교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기간 404

〈표 2-5-81〉 무한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비 405

〈표 2-5-82〉 무한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기간 405

〈표 2-5-83〉 남원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비 407

〈표 2-5-84〉 남원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기간 407

〈표 2-5-85〉 도고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비 408

〈표 2-5-86〉 도고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기간 408

〈표 2-5-87〉 논산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비 409

〈표 2-5-88〉 논산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기간 410

〈표 2-5-89〉 청지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비 411

〈표 2-5-90〉 청지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기간 411

〈표 2-5-91〉 대남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비 412

〈표 2-5-92〉 대남천 수생태계 대책 사업기간 412

〈표 2-5-93〉 보전지역 도출 방법(예시) 413

〈표 2-5-94〉 수생태계 보전지역 우선순위 413

〈표 2-5-95〉 지천 유역 수생태계 대책 사업비 414

〈표 2-5-96〉 지천 유역 수생태계 대책 사업기간 415

〈표 2-5-97〉 금강 상류 유역 수생태계 대책 사업비 416

〈표 2-5-98〉 금강 상류 유역 수생태계 대책 사업기간 416

〈표 2-5-99〉 평수기 수질-수생태계 통합관리 지역(유형1) 418

〈표 2-5-100〉 갈수기 수질-수생태계 통합관리 지역(유형1) 419

〈표 2-5-101〉 평수기 수질-수생태계 통합관리 지역(유형2) 420

〈표 2-5-102〉 갈수기 수질-수생태계 통합관리 지역(유형2) 420

〈표 2-5-103〉 하천-저수지 연계관리 지역(평수기) 421

〈표 2-5-104〉 하천-저수지 연계관리 지역(갈수기) 422

〈표 2-5-105〉 저수지-하천-대형담수호 연계관리 지역(평수기) 423

〈표 2-5-106〉 지표수-지하수 연계관리 지역 425

〈표 2-5-107〉 유역별, 단계별 사업 추진 지역 429

〈표 2-5-108〉 금강수계 부문별 사업추진 로드맵 430

〈표 2-5-109〉 삽교호수계 부문별 사업추진 로드맵 432

〈표 2-5-110〉 서해수계 부문별 사업추진 로드맵 435

〈표 2-5-111〉 안성천수계 부문별 사업추진 로드맵 438

〈표 2-5-112〉 물 통합관리의 기본 원칙 439

〈표 2-5-113〉 성공적인 물 관리 거버넌스를 위한 조건과 질문들(법·제도·예산) 440

〈표 2-5-114〉 성공적인 물 관리 거버넌스를 위한 조건과 질문들(협력·신뢰·학습) 440

〈표 2-5-115〉 성공적인 물 관리 거버넌스를 위한 조건과 질문들(정보·교육·평가) 441

〈표 2-6-1〉 성과관리 평가 지표(핵심지표) 453

〈표 2-6-2〉 상태 평가 지표(간접지표) 453

〈표 2-6-3〉 총 사업비 456

〈표 2-6-4〉 부문별 상세 사업비 456

〈표 2-6-5〉 부문별 세부투자계획 457

[그림 1-1-1] 계획 수립의 목적 25

[그림 1-1-2] 기존 계획과 본 계획의 차별성 26

[그림 1-1-3] 계획의 성격 27

[그림 1-1-4] 계획의 공간적 범위 27

[그림 1-1-5] 계획의 시간적 범위 28

[그림 1-1-6] 단계별 계획수립 추진체계 30

[그림 1-2-1] 물 통합관리 개념도 35

[그림 1-2-2] 물관리 패러다임의 전환(paradigm shift) 36

[그림 1-2-3] 독일의 물 관리 체계도 37

[그림 1-2-4] 독일연방 환경자연보호건설핵안전부의 조직도 37

[그림 1-2-5] 프랑스의 물 관리 체계도 38

[그림 1-2-6] 프랑스의 생태에너지지속개발부 조직도 39

[그림 1-2-7] 영국의 물 관리 체계도 40

[그림 1-2-8] 영국의 환경식량농림부 관련 유관기관 40

[그림 1-2-9] 영국의 물관리 체계 40

[그림 1-2-10] 미국의 물관리 체계 41

[그림 1-2-11] 호주 연방 DEWHA의 조직도 42

[그림 1-2-12] 호주 New South Wales의 DECCW의 조직도 43

[그림 1-2-13] 일본의 물 관리 체계 조직도 44

[그림 1-2-14] 일본의 물 관리 업무 현황도 44

[그림 1-2-15] 찌따룸강 로드맵 전략 체계 45

[그림 1-2-16] 찌따룸강 유역 물관리 관련 조직도 45

[그림 1-2-17] 하천유역관리를 위한 물 관리 기본지침(WFD) cycle 48

[그림 1-2-18] 유럽 물 관리 기본지침(WFD)의 하천유역 구분도 49

[그림 1-2-19] 라인강 보전 국제위원회 사무국 전경 50

[그림 1-2-20] 라인강 보전 국제위원회 조직도 51

[그림 1-2-21] 라인강 유역현황도 52

[그림 1-2-22] 라인강 전경의 변화 52

[그림 1-2-22] 라인강 전경의 변화 53

[그림 1-2-23] 지표수의 'Overall Status'를 평가하기 위한 구성요소 56

[그림 1-2-24] California Bay-Delta 유역현황도 57

[그림 1-2-25] CALFED Bay-Delta 프로그램 구조 58

[그림 1-2-26] Murray-Darling 유역현황도 60

[그림 1-2-27] Murray-Darling 유역관리조직 61

[그림 1-2-28] 물 통합관리 추진체계도 66

[그림 1-2-29]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조직 67

[그림 1-2-30]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추진경과 68

[그림 1-3-1] 기존 계획 비전 및 목표 72

[그림 1-3-2]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비전 및 추진목표 83

[그림 1-3-3] 금강비전의 비전 및 추진전략 89

[그림 1-3-4] 충청남도 환경보전종합계획의 비전 및 미래상 94

[그림 1-3-5] 충청남도 환경보전의 미래상 및 목표 95

[그림 1-4-1] 위치 및 행정구역 99

[그림 1-4-2] 표고분석도 100

[그림 1-4-3] 경사분석도 101

[그림 1-4-4] 수계현황도 102

[그림 1-4-5] 생태자연도 107

[그림 1-4-6] 광역산림생태축 분포도 108

[그림 1-4-7] 비오톱 I등급(산림) 분포도 110

[그림 1-5-1] 이용식수 현황 115

[그림 1-5-2] 주관적인 환경쾌적성(수질) 117

[그림 1-5-3] 금강에 대한 인식 118

[그림 1-5-4] 금강에 대한 관심도 118

[그림 1-5-5] 금강에 대한 만족도 119

[그림 1-5-6] 금강의 보전 및 이용 방향 119

[그림 1-5-7] 금강 관리의 주된 주체에 대한 인식 120

[그림 1-5-8] 금강 관련 활동에 대한 참여 의지 120

[그림 1-5-9] 충청남도 물 관련 여건분석 130

[그림 1-5-10]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비전 및 목표, 추진전략 131

[그림 1-5-11]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4대 목표 132

[그림 1-5-12]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추진 방향 133

[그림 2-1-1] 충청남도 수자원 부존량(2012년) 141

[그림 2-1-2] 충청남도 월별 강수패턴 142

[그림 2-1-3] 2015년(1월~12월) 강수량(㎜)(좌) 및 강수량 평비 143

[그림 2-1-4] 가뭄피해현황(1994년~2015년)(좌), 2015년 제한급수지역(우) 146

[그림 2-1-5] 충청남도 최근 5년간 월별 강수량 146

[그림 2-1-6] 전국 지역본부별 저수지 저수율 그래프 148

[그림 2-1-7] 충청남도 수리답율 현황 149

[그림 2-1-8] 보령댐 월별 누적강수량 151

[그림 2-1-9] 보령댐 저수위 현황 151

[그림 2-1-10] 대청댐 월별 누적강수량 153

[그림 2-1-11] 대청댐 저수위 현황 153

[그림 2-1-12] 하천 수질 수질측정망 현황 159

[그림 2-1-13] 호소 및 저수지 수질측정망 현황 160

[그림 2-1-14] 금강수계 주요 하천의 평균 BOD 농도 162

[그림 2-1-15] 삽교호수계 주요 하천의 평균 BOD 농도 162

[그림 2-1-16] 서해 및 안성천수계 주요 하천의 평균 BOD 농도 162

[그림 2-1-17] 하천 수질분포현황 164

[그림 2-1-18] 충청남도 주요 담수호의 평균 COD농도 165

[그림 2-1-19] 금강수계 농업용저수지의 평균 COD농도 165

[그림 2-1-20] 삽교호수계 농업용저수지의 평균 COD농도 166

[그림 2-1-21] 서해 및 안성천수계 농업용저수지의 평균 COD농도 166

[그림 2-1-22] 농업용저수지 수질분포현황 167

[그림 2-1-23] 충청남도 유역 중권역별 기준 175

[그림 2-1-24] 충청남도 생활계 오염원 179

[그림 2-1-25] 충청남도 축산계 오염원 179

[그림 2-1-26] 충청남도 산업계 오염원 180

[그림 2-1-27] 충청남도 양식계 오염원 181

[그림 2-1-28] 생활계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3

[그림 2-1-29] 축산계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4

[그림 2-1-30] 산업계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5

[그림 2-1-31] 토지계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5

[그림 2-1-32] 양식계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6

[그림 2-1-33] 매립계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7

[그림 2-1-34] 총 BOD 발생 및 배출부하량 187

[그림 2-1-35] 총 BOD 점 및 비점배출부하량 188

[그림 2-1-36] 총 BOD 발생 및 배출부하밀도 189

[그림 2-1-37] 총 BOD 점 및 비점배출부하밀도 190

[그림 2-1-38] 충청남도 광역생태네트워크 및 하천생태축 현황 193

[그림 2-1-39] 충청남도 하천생태축 하천자연도 및 복원구간 194

[그림 2-1-40] 충청남도 포유류 및 조류 출현 종수 현황 195

[그림 2-1-41] 충청남도 양서·파충류 및 어류 출현 종수 현황 196

[그림 2-1-42] 충청남도 생태계교란 야생생물 서식 현황 196

[그림 2-1-43] 충청남도 하천별 부착돌말지수(TDI) 등급도 197

[그림 2-1-44] 충청남도 하천별 저서동물지수(BMI) 등급도 199

[그림 2-1-45] 충청남도 하천별 어류평가지수(FAI) 등급도 201

[그림 2-1-46] 충청남도 하천별 서식수변환경지수(HRI) 등급도 203

[그림 2-2-1] 연평균 기온 분포도 209

[그림 2-2-2] 연평균 강수량 분포도 210

[그림 2-2-3] 2030년대 가뭄관리 요구 지자체 212

[그림 2-2-4] 2080년대 가뭄관리 요구 지자체 212

[그림 2-2-5] 농업용수 수요 대비 공급 과부족 현황 222

[그림 2-2-6] 2025년 지역별 물 부족 전망 223

[그림 2-2-7] 생활계 부하량 전망(BOD) 231

[그림 2-2-8] 축산계 부하량 전망(BOD) 233

[그림 2-2-9] 산업계 부하량 전망(BOD) 234

[그림 2-2-10] 토지계 부하량 전망(BOD) 235

[그림 2-2-11] 총 발생 및 배출부하량 전망(BOD) 237

[그림 2-2-12] 하천별 부착돌말지수(TDI) 등급 변화 추이 239

[그림 2-2-13] 하천별 저서동물지수(BMI) 등급 변화 추이 240

[그림 2-2-14] 하천별 생물보전지수(FAI) 등급 변화 추이 241

[그림 2-2-15] 하천별 서식수변환경지수(HRI) 등급 변화 추이 242

[그림 2-3-1]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실행방안 수립 방향 252

[그림 2-4-1] 데이터 확보 및 목록화 과정 255

[그림 2-4-2] 수자원 취약성 평가 프로세스 257

[그림 2-4-3] 충청남도 시·군별 민감도, 적응력, 노출도 지수 계산결과(Z-score) 267

[그림 2-4-4] 충청남도 시·군별 민감도, 적응력, 노출도 지수 계산결과(Re-scaling) 267

[그림 2-4-5] Z-score 표준 통계량을 이용한 취약성 평가 계산결과(VRI) 269

[그림 2-4-6] 등급화된 대리변수를 이용한 방사형 그래프 예시... 270

[그림 2-4-7] 보령시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1

[그림 2-4-8] 계룡시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2

[그림 2-4-9] 서천군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2

[그림 2-4-10] 태안군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3

[그림 2-4-11] 공주시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4

[그림 2-4-12] 아산시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4

[그림 2-4-13] 서산시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5

[그림 2-4-14] 금산군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5

[그림 2-4-15] 홍성군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6

[그림 2-4-16] 천안시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7

[그림 2-4-17] 논산시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7

[그림 2-4-18] 당진시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8

[그림 2-4-19] 부여군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8

[그림 2-4-20] 청양군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9

[그림 2-4-21] 예산군 수자원 취약성 평가 방사형 그래프 279

[그림 2-4-22] 중점관리 하천유역 선정 절차 280

[그림 2-4-23] 충청남도 중점관리 하천 유역 선정(평수기) 281

[그림 2-4-24] 충청남도 중점관리 하천 유역 선정(갈수기) 282

[그림 2-4-25] 호소(저수지) 수질-수혜면적 그룹핑(예시) 287

[그림 2-4-26] 충청남도 중점관리 저수지 유역 선정(평수기) 289

[그림 2-4-27] 충청남도 중점관리 저수지 유역 선정(평수기) 290

[그림 2-4-28] 수생태 부문 중점관리 지역 선정 절차 및 방법 295

[그림 2-4-29] 충청남도 수생태계 복원지역 선정 296

[그림 2-4-30] 충청남도 수생태계 복원 우선지역 298

[그림 2-4-31] 충청남도 수생태계 보전지역 선정 299

[그림 2-4-32] 충청남도 수생태계 보전 우선지역 300

[그림 2-4-33] 지하수 우선 관리지역 검증 방법 301

[그림 2-4-34] 가뭄 취약지역 검증 방법 301

[그림 2-5-1] 사업 도출 프로세스 305

[그림 2-5-2] 주요 사업 도출 방향 306

[그림 2-5-3] 저수지 유형별 그룹핑(예시) 308

[그림 2-5-4] 수질-수혜면적 그룹핑(예시) 309

[그림 2-5-5] Smart Water Grid 기본 개념 311

[그림 2-5-6] 수자원 우선대책수립 지역 도출 방안 316

[그림 2-5-7] 하천 우선 대책지역 도출 방안 370

[그림 2-5-8] 저수지 우선 대책지역 도출 방안 388

[그림 2-5-9] 지역구분 방법(안) 396

[그림 2-5-10] 지역별 관리방향 도출 396

[그림 2-5-11] 최우선 복원 대책지역 도출 방안 400

[그림 2-5-12] 최우선 보전 대책지역 도출 방안 414

[그림 2-5-13] 통합 대책지역 유형 417

[그림 2-5-14] 평수기 수질-수생태계 통합관리 지역도(유형1) 418

[그림 2-5-15] 갈수기 수질-수생태계 통합관리 지역도(유형1) 419

[그림 2-5-16] 평수기 수질-수생태계 통합관리 지역도(유형2) 420

[그림 2-5-17] 갈수기 수질-수생태계 통합관리 지역도(유형2) 421

[그림 2-5-18] 평수기 하천-저수지 중첩분석도 422

[그림 2-5-19] 갈수기 하천-저수지 중첩분석도 422

[그림 2-5-20] 평수기 저수지-하천-대형담수호 중첩분석도 423

[그림 2-5-21] 남원천-오봉저수지, 순성저수지–삽교호 중첩분석도 424

[그림 2-5-22] 갈수기 저수지-하천-대형담수호 중첩분석도 424

[그림 2-5-23] 광천천-장곡저수지-홍보지구 중첩분석도 425

[그림 2-5-24] 갈수기 지표수-지하수 관리지역 중첩분석도 426

[그림 2-5-25] 지하수 개발량 대비 이용량-지하수 수질초과 횟수지역 중첩분석도 427

[그림 2-5-26] 오목천 중점관리지역 중첩분석도(左) 및 사업배치도(右) 428

[그림 2-5-27] 칠갑호 주변 수생태계 보전지역 현황도 428

[그림 2-5-28] 유역별 물 통합관리 방안 도출 프로세스 429

[그림 2-5-29] 물관리 거버넌스의 단계적 목표 439

[그림 2-5-30] 충청남도 주요 하천의 유량 및 수질모니터링 지점 448

[그림 2-5-31] 향후 물 모니터링 확대(안) 449

[그림 2-5-32] 충청남도 물통합관리정보시스템 홈페이지 449

[그림 2-6-1] 계획 피드백 프로세스 454

[그림 2-6-2] 충청남도 물 통합관리 계획도 455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