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IoT 제품 보안인증 및 보안성 유지관리정책 추진방안 연구 = A research on IoT production security certification and security maintenance promotion / 한국인터넷진흥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2016
청구기호
005.8 -17-2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432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최종연구보고서 ; KISA-WP-2016-0037
제어번호
MONO1201700147
주기사항
수탁기관: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박남제
참고문헌: p. 431-432
정보통신진흥기금으로 수행함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SUMMARY 5

제1장 서론 17

제2장 스마트그리드와 개인정보보호 19

제1절 IoT 개요 19

제2절 5대 IoT 분야별 관련 제품 현황 조사 및 분류 20

1. 중점 5대 분야별 IoT 동향 20

2. 중점 5대 분야별 IoT 제품 분류 25

제3절 5대 IoT 분야별 보안 위협 및 사례 29

1. 홈/가전 분야 29

2. 의료 분야 30

3. 교통 분야 31

4. 에너지 분야 31

5. 제조 분야 32

제3장 중점 5대 IoT분야의 인증제도 현황파악 및 대책(안) 33

제1절 IoT 개요 33

제2절 인증제도 분석방법 및 절차 33

1. 인증제도 분석대상 범위 선정 33

2. IoT 관련 인증제도 선별방법 35

제3절 IoT 관련 인증제도 세부분석 37

1. 항만시설장비의 검사 37

2. 항공기 기술표준품 형식인증 38

3. 한국산업표시인증(KS마크) 44

4. 택시미터의 검정 46

5. 콘텐츠 거래사실 인증 47

6. 철도차량 형식승인ㆍ제작자승인ㆍ완성검사 49

7. 철도용품 형식승인ㆍ제작자승인 52

8. 지능형교통체계 인증(통행료자동지불시스템 단말기 인증제도) 54

9. 지능형건축물 인증 56

10. 정보보호시스템평가ㆍ인증(CC 인증) 58

11. 정보보호관리체계인증(ISMS) 61

12. 전자화문서의 작성시설 및 장비 인증 64

13. 전기용품안전관리제도 66

14. 전국호환교통 카드인증 71

15.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자기인증 74

16. 의료기기 허가 77

17. 위험기계기구 안전인증 및 안전검사 82

18. 웹접근성품질인증 85

19. 신제품인증(NEP 마크) 88

20. 신기술인증 91

21. 소프트웨어프로세스품질(SP)인증 95

22. 소프트웨어품질(GS)인증 98

23.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 100

24. 방송통신기자재적합성평가제도(적합인증, 적합등록, 잠정인증) 102

25. 대기전력저감 프로그램 104

26. 기계식주차장 안전도인증 105

27. 교통신기술 지정제도 106

28. 계량기 형식승인 및 검정 109

29. S마크 인증 111

30. ICT 융합품질인증 112

제4절 IoT 관련 인증제도 개선(안) 114

1.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기준 개선(안) 114

2.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 (안) 116

3. 정보보호관리체계인증(ISMS)(안) 118

4. 전자화문서의 작성시설 및 장비 인증(안) 120

5. 전기용품안전관리제도(안) 121

6. 전국호환교통 카드인증 123

7.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자기인증(안) 124

8. 의료기기 허가(안) 125

9. 위험기계기구 안전인증 및 안전검사(안) 126

10. 웹접근성 품질인증(안) 128

11. 신제품 인증(안) 129

12. 보건신기술인증(안) 131

13. 항만시설장비의 검사(안) 132

14. 항공기 기술표준품 형식인증(안) 134

15. 한국산업표시인증(KS 마크)(안) 136

16. 택시미터의 검정(안) 138

17. 콘텐츠 거래사실 인증(안) 140

18. 철도차량 형식승인ㆍ제작자승인ㆍ완성검사(안) 141

19. 철도용품 형식승인ㆍ제작자승인(안) 144

20. 지능형교통체계 인증(통행료자동지불시스템 단말기 인증제도)(안) 146

21. 지능형건축물 인증(안) 147

22. 정보보호시스템평가ㆍ인증(안) 151

23. 소프트웨어프로세스품질(SP)인증 152

24. 소프트웨어 품질(GS)인증 154

25.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 인증 154

26. 방송통신기자재적합성평가제도(적합인증, 적합등록, 잠정인증) 156

27. 대기전력저감 프로그램 156

28. 기계식주차장 안전도인증 157

29. 교통신기술 지정제도 157

30. 계량기 형식승인 및 검정 158

31. S마크 인증 159

32. ICT 융합품질인증 159

제4장 IoT 보안성 유지관리를 위한 현황 파악 및 대책 161

제1절 IoT 제품ㆍ서비스의 보안취약성 및 침해사례 161

1. 개요 161

2. IoT 제품의 취약성 161

3. IoT 보안 침해 사례 162

4. IoT 보안 침해 대응 유형 164

제2절 국내외 리콜제도 분석 165

1. 리콜의 개념 165

2. 리콜의 목적 167

3. 리콜의 종류 167

4. 리콜의 방법 168

5. 일반적 리콜 절차 168

6. 리콜제도의 운영절차 170

7. 리콜의 실효성 170

8. 미국의 리콜제도 171

9. 호주의 리콜제도 177

10. 영국의 리콜제도 180

11. 뉴질랜드의 리콜제도 181

12. 국내의 리콜제도 183

13. 리콜제품의 이행점검 189

제3절 현행 평가ㆍ신고제도 192

1. ISMS의 평가/인증 절차 192

2.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의 처리절차 194

3. 국민권익위원회의 신고/처리절차 195

4. KISA S/W 신규 취약점 신고포상제 197

제4절 정보보호제품 평가ㆍ인증 및 암호모듈 검증 보안성 유지관리 대책방안(안) 199

1. 암호모듈 검증 199

2. 정보보호제품 평가 및 인증 201

3. 보안성 유지관리 요구사항 203

제5절 개발/운영단계에서의 IoT 제품 보안성 유지관리 방안(안) 205

1. 개요 205

2. 취약점에 대한 대응 205

제6절 IoT 제품/서비스의 정책적 보안성 관리 대책(안) 209

1. IoT 제품/서비스의 정책적 고려사항 209

2. 주요 보안 이슈 해결 방안 212

제7절 IoT 제품/서비스의 기술적 보안성 관리 대책(안) 221

1. IoT 제품/서비스의 유지관리를 위한 기술적 고려사항 221

2. 배포ㆍ설치ㆍ구성 단계에서의 기술적 관리 222

3. 운영ㆍ관리ㆍ폐기 단계에서의 기술적 관리 230

제8절 IoT 제품/서비스의 유지관리 체계 정의(안) 232

1. 제품안전기본법 시행령 수정을 통한 IoT 보안성 리콜범위 확보 232

2. IoT 보안 침해 대응을 위한 담당 조직 및 업무 체계(안) 233

3. IoT 보안 침해 대응을 위한 세부 업무 처리 절차(안) 236

4. IoT 보안 결함 리콜 완료시 처리절차(안) 238

제5장 IoT 제품 보안인증요소 도출 239

제1절 소프트웨어 보안취약성 평가체계 분석 239

1. 국내ㆍ외 동향 239

2. CVSS 시범평가 240

3. CWSS 시범평가 244

4. 소프트웨어 대상 신규 취약점 평가방법 연구 249

5. 등급별 기준 255

제2절 IoT 제품 및 서비스 보안성 강화방안 분석 268

1. 사물인터넷 기술 및 보안 취약성 268

2. 사물인터넷 공동 보안 원칙 및 점검 항목 270

제3절 OWASP IoT(Internet of Things) Project 분석 288

1. 개요 288

2. IoT Security Guidance (DRAFT) 288

3. IoT Testing Guides (DRAFT) 298

제4절 GSMA IoT 보안 가이드라인 분석 302

1. GSMA CLP.13 v1.0 302

2. GSMA CLP.14 v1.0 326

제5절 FDA 의료기기 보안 지침 336

1. 개요 336

2. 세부 내용 336

제6장 IoT 보안 인증ㆍ시험방안 347

제1절 공통 보안인증 항목 도출 347

1. 공통 보안인증 항목 도출 방법 347

2. 공통 세부 보안인증 항목 도출 354

제2절 홈ㆍ가전 보안인증 항목 도출 359

1. 홈ㆍ가전 분야 IoT 제품의 운영환경 분석 359

2. 스마트홈 게이트웨이 보안인증 항목 도출 361

3. 스마트홈 게이트웨이 및 IoT 디바이스 보안인증 시험 방법 383

제3절 자동차 보안 인증 항목 도출 398

1. 자동차 분야 운영환경 분석 398

2. 자동차 보안성 확보를 위한 보안인증 항목 도출 417

3. 자동차 분야 보안인증 시험 방법 430

제7장 결론 445

참고문헌 446

판권기 448

[표 3-1] 국내 법정 인증제도 현황 (6월 2일 기준) 35

[표 3-2] 최종 선별된 IoT 유관 인증제 목록 36

[표 3-3] 시스템 고장 영향성 판단기준 41

[표 3-4] KS 표시인증 대상 44

[표 3-5] KS 인증의 효과 45

[표 3-6] KS 인증의 지원사항 45

[표 3-7] 보안 관련 조항 57

[표 3-8] CC 평가인증 체계 58

[표 3-9] 인증제품 사후관리 60

[표 3-10] ISMS 인증기준 63

[표 3-11] 업무처리기관 및 역할 73

[표 3-12] 안전인증 절차 84

[표 3-13] NET 인증 심사기준 94

[표 3-14] 영역 1 - S/W 관리프로세스 96

[표 3-15] 영역 2 - S/W 개발 프로세스 96

[표 3-16] 영역 3 - S/W 지원 프로세스 97

[표 3-17] 영역 4 - 조직관리 사항 97

[표 3-18] 인증대상 소프트웨어 분야 99

[표 3-19] 경고표시제 대상품목 104

[표 4-1] IoT 제품의 취약성 161

[표 4-2] 각 제조사별 발견된 취약점 163

[표 4-3] 미국의 자동차 리콜통보서 작성방법 173

[표 4-4] 영국의 소비자제품 리콜통지문 내용 181

[표 5-1] 평가 요소별 척도 250

[표 5-2] 취약점 평가를 위한 평가 척도의 설정 251

[표 5-3] 시큐어 코딩 가이드 예 275

[표 5-4] 소프트웨어 보안성 검증의 단계별 내용 276

[표 5-5]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구성 요소별 보안 278

[표 5-6] 보안패치 및 업데이트 시 제공해야 하는 보안 서비스 279

[표 5-7] 서비스 제공자 보안 점검항목(7항목) 281

[표 5-8] 개발자 보안 점검항목(7항목) 283

[표 5-9] 이용자 보안 점검항목(7항목) 286

[표 5-10] 제조사 IoT 보안가이드 288

[표 5-11] 개발자 IoT 보안가이드 291

[표 5-12] 이용자 IoT 보안가이드 295

[표 5-13] IoT 제품 평가가이드 298

[표 6-1] 홈ㆍ가전 및 자동차 분야의 세부 인증항목 441

(그림 2-1)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개방형 공통 플랫폼으로의 변화 20

(그림 2-2) Car2Car-CC의 Trust Assurance Level 22

(그림 2-3) 스마트 전구 및 스마트 냉장고 26

(그림 2-4) 독일 지멘스의 스마트 팩토리 26

(그림 2-5) 스마트 체중계 (좌), 스마트 밴드 (우) 27

(그림 2-6) 구글 무인자동차 및 커넥티드카 28

(그림 2-7) IoT 장치의 해킹 사례 30

(그림 3-1) 국내 인증제도 현황 사이트 34

(그림 3-2) IoT 유관 인증제도 선별절차 35

(그림 3-3)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43

(그림 3-4) 콘텐츠 거래사실 인증 대상 분야 48

(그림 3-5) 업무 범위 49

(그림 3-6) 관련 법규 50

(그림 3-7) 업무 절차 53

(그림 3-8) CC 평가인증 절차 59

(그림 3-9) ISMS 인증 프로세스 62

(그림 3-10) 안전인증 절차 70

(그림 3-11) 시험용 의료기기 확인서 발급 업무 흐름 79

(그림 3-12) 견본/심사용 등의 확인서 발급 업무 흐름 79

(그림 3-13) 2등급인 경우 업무절차도 80

(그림 3-14) 3, 4등급인 경우 업무절차도 80

(그림 3-15) 기술적 특성 변경시 흐름도 81

(그림 3-16) 안전인증 절차 84

(그림 3-17) WA 인증마크 87

(그림 3-18) 신기술인증의 운영주체 93

(그림 3-19)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인증 기준구성 95

(그림 3-20) 인증 절차 98

(그림 3-21) 적합성 인증 단계 101

(그림 3-22) 적합성 인증 처리절차 101

(그림 3-23) 방송통신기자재 적합성 평가 처리절차 102

(그림 3-24) 심사절차 106

(그림 3-25) 교통신기술 지정 심사절차 108

(그림 3-26) S마크 인증 종류 111

(그림 3-27) 인증 절차 112

(그림 3-28) 인증 체계 113

(그림 3-29) 홈네트워크 인증 심사기준 118

(그림 3-30) 콘텐츠 거래사실 인증 140

(그림 3-31) 보안기능요구사항의 클래스 구성 151

(그림 4-1) 일반적 리콜 절차도 169

(그림 4-2) 리콜제도의 운영절차 170

(그림 4-3) 미국의 통합리콜정보 웹사이트 174

(그림 4-4) 미국 리콜통합정보 시스템 176

(그림 4-5) 호주의 리콜정보 사이트 178

(그림 4-6) 호주의 품목별 리콜주관기관 및 관련지침 179

(그림 4-7) 영국의 품목별 리콜주관기관 180

(그림 4-8) 뉴질랜드의 품목별 관련기관 182

(그림 4-9) 공표되는 홈페이지 그림 표시 184

(그림 4-10) 중대한 결함의 내용 187

(그림 4-11) 리콜사업자 등록 홈페이지 188

(그림 4-12) 민간합동 리콜이행점검 운영체계도 190

(그림 4-13) 리콜명령 불이행 기업에 대한 형사고발 조치 절차 191

(그림 4-14)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처리절차 194

(그림 4-15) 공익신고 업무처리절차 196

(그림 4-16) 신고포상제 절차 198

(그림 4-17) 암호모듈 검증유지 199

(그림 4-18) 재검증 신청 200

(그림 4-19) 제품인증 사후관리 202

(그림 4-20) 개발/운영 단계에서의 취약점 대응(안) 208

(그림 4-21) 기술적 보안성 유지관리 대책(안) 221

(그림 4-22) 원본 메시지에 대한 MDC 생성 222

(그림 4-23) 메시지 인증 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인증 223

(그림 4-24) ECB 모드 상에서 DES 암호 알고리즘의 VP KAT 의사코드 225

(그림 4-25) ECB 모드 상에서 DES 암호 알고리즘의 VK KAT 의사코드 226

(그림 4-26) ECB 모드 상에서 AES 암호 알고리즘의 MCT 의사코드 227

(그림 4-27) AES 암호 알고리즘의 MCT에 필요한 REQUEST file 228

(그림 4-28) CBC 모드 상에서 AES 암호 알고리즘의 MCT 의사코드 229

(그림 4-29) AES 암호 알고리즘의 MCT에 필요한 REQUEST file 230

(그림 4-30) 제품안전기본법상 중대한 결함 범위의 수정(안) 233

(그림 4-31) IoT 보안 대응 담당 조직 및 업무 체계(안) 234

(그림 4-32) 사고 접수 후 처리 절차 235

(그림 4-33) 세부 처리 절차 237

(그림 4-34) 중대결함 발생시 사후처리 238

(그림 5-1) CVSS 메트릭 그룹 239

(그림 5-2) CVSS 메트릭과 공식의 관계 240

(그림 5-3) IoT 경량 장치의 단계 별 보안위협 및 공격 가능성 268

(그림 5-4) 사물인터넷 장치의 lifecycle (전주기) 270

(그림 5-5) 사용자의 동선에 따라 유기적으로 변하는 IoT 서비스 도메인 271

(그림 5-6) OWASP IoT Top 10 목록 271

(그림 5-7) 미래부의 IoT 정보보호 로드맵 재구성 자료 272

(그림 6-1) IoT 제품 생명주기 및 공통보안 인증항목 347

(그림 6-2) IoT 보안인증항목 도출 방법 348

(그림 6-3) 보안인증 항목 도출 방향 348

(그림 6-4) IoT 환경 영역별 보안요구사항 352

(그림 6-5) 스마트 홈 (출처 : http://www.wink.com) 359

(그림 6-6) 스마트홈 게이트웨이의 운영환경 36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93549 005.8 -17-2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93550 005.8 -17-2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