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아내를 죽였습니까

이용현황보기

아내를 죽였습니까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34948 823 -17-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34949 823 -17-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밤새 몸부림치게 만드는 악몽과 같다. 충격적이다” _『뉴요커』

『타임스』 선정, 역대 최고의 범죄소설 작가 1위에 빛나는
퍼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서스펜스 걸작

『열차 안의 낯선 자들』, 『캐롤』에 이은 퍼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세 번째 작품,
『아내를 죽였습니까(원제: The Blunderer)』 국내 초역본 출간

1954년 9월에 발표된 『아내를 죽였습니까』는 『열차 안의 낯선 자들』, 『캐롤』에 이은 퍼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세 번째 소설이자 서스펜스로는 두 번째 작품으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번역 출간되는 소설이다. 이 작품은 전 세계적으로 ‘리플리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재능 있는 리플리』를 발표하기 직전에 내놓은 것이다. 데뷔작인 『열차 안의 낯선 자들』과 『아내를 죽였습니까』를 집필한 영향으로 그녀는 악마적이면서도 매혹적인 사이코패스 캐릭터를 탄생시킬 수 있었던 게 아닐까.
하이스미스의 작품들 대부분이 영화의 원작 소설로 쓰였는데, 『아내를 죽였습니까』 또한 1963년 프랑스의 영화감독 끌로드 오땅-라라에 의해 「살인자」라는 이름으로 영화화되었고, 리메이크작이 2016년 12월 개봉을 앞두고 있다.
원제인 ‘블런더러(Blunderer)’란 실수를 뜻하는 ‘blunder’에 접미사 ‘-er’이 붙은 것으로 ‘실수를 저지르는 자, 머저리’를 의미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실수투성이, 머저리로 취급받는 주인공은 로펌 소속 변호사다. 작가는 탄탄대로의 출셋길을 달려온 이 유능한 변호사가 어떻게 ‘블런더러’가 되어 가는지 보여주며 독자들의 등골이 오싹하게 만든다. ‘평온한 일상에 잠재된 위험을 이끌어내는 데 있어서 최고의 재능을 가진 작가(『타임』)’답게 하이스미스는 이 작품에서도 스토리텔링의 귀재다운 재능을 마음껏 발휘하고 있다.

환상과 현실을 오가며 위태로운 줄타기를 하는 주인공들을
날카로운 심리적 통찰력으로 묘사한 수작

전도유망한 변호사 월터와 결혼한 클라라는 결혼 생활 내내 신경질적인 모습만을 보이고, 참다못한 월터가 이혼을 요구하자 이를 거부하며 자살을 기도한다. 억지로 아내의 곁에 남게 된 월터는 수시로 아내를 죽이는 상상에 빠져 든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임종을 앞둔 엄마를 만나러 떠난 클라라가 낭떠러지에서 떨어져 죽었다는 전화를 받는다. 그런데 이 사건은 최근 남편에게 살해당한 헬렌 키멜의 사건과 묘하게 닮아 있다. 미제로 처리된 키멜 사건에 관심을 두고 있던 코비 경위가 이 사건의 수사를 맡게 되고, 이때부터 월터와 헬렌 키멜의 남편인 멜키오르 키멜 그리고 코비, 이 세 사람의 질긴 악연이 시작된다.
의도치 않게 실수를 거듭하게 되면서 점점 유력한 용의자로 몰리는 월터, 확실한 알리바이로 인해 죗값을 면했었지만 월터와 엮이면서 다시 경찰의 압박을 받게 되는 멜키오르 키멜, 두 사람을 능수능란하게 요리하며 벼랑 끝으로 밀어붙이는 코비. 겉으론 평범해 보이는 이들의 마음속에 숨겨진 어두운 강박이 마침내 세상에 드러나는데……
언뜻 비슷해 보이는 두 개의 사건으로 발화된 한 남자의 몰락과 인간의 사악한 본성이 생생하게 그려진 이 작품은 범인이 누군지 첫 장에서부터 밝히고 시작하면서도 팽팽한 긴장감을 잃지 않다가 막판에 망치로 머리를 강타하는 충격을 가한다. 발표된 지 60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아내를 죽였습니까』는 서스펜스의 걸작임을 증명하고 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P.9] 여자는 남자와 같이 움직였다. 그는 차를 세워 놓은 길가 오른편으로 키 큰 나무와 덤불이 있는 곳을 미리 봐두었다. 조금만 더 내려가면……
“에드워드에 대한 내 마음이 변할 거라 생각한다면.” 여자는 부들부들 떨면서도 당당한 목소리로 입을 열었다. “그럴 일 없어. 절대로.”
에드워드라! 사랑에 빠져서 교만하긴, 그는 역겨움이 치밀었다. “내가 마음을 바꾸었어.” 그는 후회하듯 차분히 말했지만 자기도 모르게 말랑말랑한 여자의 팔뚝을 손으로 꽉 붙들었다. 더는 참을 수가 없어서 여자를 고속도로 쪽으로 몰고 갔다.
“멜키오르, 이렇게까지 멀리 오면 안 되는데……”
남자는 여자를 고속도로 옆 덤불 속으로 홱 떠밀며 여자에게 달려들었다. 그는 넘어질 뻔했지만 왼손으로 여자의 손목을 계속 붙든 채, 오른손으로 여자의 옆얼굴을 강타했다.
[P. 23] 월터는 두 손으로 개 대가리를 으스러뜨리고 싶은 충동을 누르면서 정석대로 개를 안고 자리로 돌아왔다. 한 손으로는 따뜻하고 헐떡거리는 작은 가슴을 받쳐 들고, 나머지 한 손은 대가리에 올려 달래는 자세를 취했다. 그는 클라라 옆쪽 바닥에 강아지를 살포시 내려놓고 목줄을 채웠다.
“당신은 얘가 싫지?” 클라라가 물었다.
“버릇없는 것 같아서 그래. 그게 다야.” 클라라가 제프를 안아 무릎에 앉히자 월터는 아내의 얼굴을 쳐다보았다. 강아지를 토닥이자, 아내의 표정은 아름답고 너그러워지더니 애정이 넘쳐흘렀다. 아내는 아기를, 자기 자식을 어루만지는 것 같았다. 제프를 쓰다듬는 클라라의 얼굴을 바라보는 게 월터가 제프에게 얻는 가장 큰 기쁨이었다. 월터는 제프가 못마땅했다. 녀석의 건방지고 이기적인 성격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게다가 월터를 쳐다볼 때마다 멍청한 표정으로 이렇게 말하는 것 같았다. “난 이렇게 잘 사는데 아저씬 뭐냐?” 제프는 클라라에게 완전무결한 존재지만, 자신은 클라라에게 하찮은 존재인 것 같아서 월터는 개가 미웠다.
[P. 55] “드브리스 씨 말씀으로는 부인이 돌아가시던 날 밤, 당신이 해리스 레인보우 그릴에서 버스가 몇 분이나 정차하느냐고 물어보았다고 하던데요.”
월터는 드브리스를 다시 쳐다보았다. 커피를 마시다가 고개를 돌려 월터를 바라보던 둥글고 묘한 얼굴이 떠올랐다. 월터는 입술을 축였다. 코비가 그를 용의자로 지목한 후 그의 생김새를 드브리스에게 설명하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은 것이다.
“보시다시피, 이게 전부 다 우연의 일치죠.” 코비는 기쁜 듯 활짝 웃으며 말했다. 그 모습을 보니 월터는 펄쩍 뛰고 싶었다. “드브리스 씨는 피츠버그 운송회사 소속 트럭 운전사라서 버스를 타고 피츠버그로 복귀하실 때가 가끔 있습니다. 저희가 이분을 알고 있어서 제가 물어봤습니다. 혹시, 그날 밤 버스 휴게소에서 미심쩍은 사람이 있었느냐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