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사회보장부문의 서비스 전달체계 연구 :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통합성 분석을 중심으로 / 책임연구원: 강혜규 ; 공동연구진: 박세경, 함영진, 이정은, 김태은, 최지선, 김보영, John Hudson, Aniela Wenham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KiHASA), 2016
청구기호
361.61 -17-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534 p. : 도표, 서식 ; 24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2016-37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8273988
제어번호
MONO1201704294
주기사항
부록: 조사표
참고문헌: p. [485]-511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판권기

발간사 / 김상호

목차

Abstract 17

요약 19

제1장 서론 2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1

1. 주요 연구 내용 31

2. 주요 연구 방법 32

제3절 주요 연구문제 및 분석틀 39

1. 연구문제 39

2. 검토 범위 및 분석틀 42

제2장 주요 개념 및 선행 연구·정책 검토 45

제1절 전달체계 분석을 위한 주요 개념 고찰 47

1. 사회보장부문 서비스와 공공성 47

2. 사회보장부문 서비스 전달체계와 통합성 51

3.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개념적 고찰 56

4. 전달체계와 복지 조직의 차별성 60

제2절 전달체계 관련 선행 연구 및 정책 추진 동향 64

1. 주요 선행 연구 검토 64

2. 최근 전달체계 정책의 동향과 함의 71

제3장 복지 욕구 및 지원의 패턴 분석 79

제1절 사회보장사업의 수급 현황 및 패턴 분석 81

1. 분석 목적 81

2. 분석 방법 84

3. 연관성 분석 결과 88

4. 소결 121

제2절 통합사례관리 및 복지자원 제공의 패턴 분석 123

1. 분석 목적 123

2. 현황 분석 124

3. 분석 방법 131

4. 분석 결과 134

5. 소결 155

제4장 전달체계의 현황 및 조직·여건 분석 157

제1절 사회보장사업과 관련 전달체계 현황 159

1. 사회보장사업 현황 159

2. 사회보장사업의 전달체계 현황 161

제2절 지자체 복지행정 조직의 분석 167

1. 지방자치단체 행정조직의 법적 기준 168

2. 시·군·구 복지 조직 현황 171

3. 시·군·구 복지업무 분담 구조 181

4. 소결 201

제3절 정보시스템 기반 분석 207

1. 복지행정 정보화의 의의 207

2. 복지행정 정보시스템 일반현황 208

3. 정보시스템 여건 분석 219

제5장 지자체 복지행정의 서비스 직무 실태 분석 221

제1절 지자체 복지 직무 수행 현황 223

1. 주요 직무의 수행 현황 및 인식 225

2. 복지대상자 특성 242

3. 유관부문과의 연계·협력 255

제2절 지자체 복지행정 업무환경 266

1. 업무 부담 266

2. 연계 협력 현황 275

3. 전달체계 정책에 대한 견해 281

제3절 소결 305

1. 지자체 복지행정 대면서비스 담당자의 직무 수행 및 인식 305

2. 복지대상자 특성 308

3. 지자체 복지행정 업무환경 311

제6장 해외 사례: 통합적 전달체계 모색 동향 315

제1절 통합적 사회서비스 전달 유형과 외국 수범 사례 317

1. 사회서비스 통합의 경향 317

2. 국외 서비스 통합의 주요 경향 및 사례 321

3. 소결 341

제2절 영국의 공공 복지전달체계 통합 경험: 심층 분석 343

1. 서비스 전달체계의 변화 맥락 343

2. 공공서비스 통합의 주요 사례 347

3. 영국 통합적 복지 전달체계의 현장사례 373

4. 소결: 우리나라에의 함의 399

제7장 서비스 통합 전략의 모색 : 아동·청소년·가족서비스 영역을 중심으로 401

제1절 서비스 통합 전략의 유형화 403

제2절 아동·청소년·가족서비스의 통합 가능성 탐색 416

1. 아동보호서비스 418

2. 위기청소년 보호서비스 428

3. 위기가정 보호서비스 437

제3절 아동·청소년·가족서비스의 통합 전략과 제언 444

1.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통합 전략 444

2. 제공기관 중심의 원스톱 서비스 통합 전략 446

3. 관리·운영 체계 기반의 서비스 통합 전략 449

4. 아동·청소년·가족서비스의 통합 전략 452

제8장 결론 459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및 함의 461

1. 연구의 개요 및 의의 461

2. 주요 연구 결과 465

제2절 정책 제언 490

1. 일선 서비스 창구의 '허브화'와 원스톱 서비스 전략 491

2. 보다 스마트한 서비스행정 연계시스템 마련 492

3. 공공 사례관리 시스템의 안착과 민관 협력 493

4. 지자체 복지부서의 정비: 시군구 본청의 컨트롤 타워 기능 강화 496

5. 서비스 제공의 통합성을 높일 인력 운용: 전문화와 지속성의 담보 498

참고문헌 501

부록: 조사표 529

[뒷표지] 551

〈표 1-2-1〉 사회복지업무 현황 조사의 참여자 구성 34

〈표 1-2-2〉 사회복지업무 현황 조사의 구성 및 항목 35

〈표 1-2-3〉 사회복지업무 현황 조사의 참여자 구성 36

〈표 1-2-4〉 사회복지담당공무원 표적집단면접(FGI)의 조사 인터뷰 질문 36

〈표 1-3-1〉 연구의 분석틀 43

〈표 2-2-1〉 전달체계관련 주요 정책 추진 내용 72

〈표 2-2-2〉 지자체 복지담당공무원 현황 74

〈표 2-2-3〉 2016년 복지허브 기능수행 읍면동 개소 수 75

〈표 3-1-1〉 연관성분석 대상자 수 및 수급건수 87

〈표 3-1-2〉 전체수급자를 대상으로 한 중심사업 대비 연관사업의 패턴 89

〈표 3-1-3〉 아동지원군 복지사업 전달체계 90

〈표 3-1-4〉 전체수급 대상자 중 노인지원군 복지사업의 전달체계 91

〈표 3-1-5〉 전체수급 대상자 중 생계지원군 복지사업의 전달체계 92

〈표 3-1-6〉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심사업 대비 연관사업 95

〈표 3-1-7〉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미취학 아동 대상 기초사업군 복지사업 전달체계 96

〈표 3-1-8〉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미취학 아동 대상 한부모 사업군 복지사업 전달체계 96

〈표 3-1-9〉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미취학 아동 중 장애아 지원군 복지사업 전달체계 97

〈표 3-1-10〉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미취학 아동 중 아이통합지원군 복지사업 전달체계 98

〈표 3-1-11〉 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심사업 대비 연관사업 100

〈표 3-1-12〉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중 노인을 대상으로 한 중심사업 대비 연관사업 102

〈표 3-1-13〉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중 노인 대상 의료지원군 복지사업 전달체계 103

〈표 3-1-14〉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중 노인 대상 주거지원군 복지사업 전달체계 104

〈표 3-1-15〉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중 노인 대상 근로지원군 복지사업 전달체계 105

〈표 3-1-16〉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를 대상으로 한 중심사업 대비 연관사업 107

〈표 3-1-17〉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를 대상으로 한 아동지원군 복지사업의 전달체계 107

〈표 3-1-18〉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를 대상으로 한 노인지원군 복지사업의 전달체계 108

〈표 3-1-19〉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 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중심사업 대비 연관사업 110

〈표 3-1-20〉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 중 장애인지원사업군 복지사업의 전달체계 111

〈표 3-1-21〉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 중 노인지원사업군 복지사업의 전달체계 111

〈표 3-1-22〉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 중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중심사업 대비 연관사업 113

〈표 3-1-23〉 기초생활 비수급자 중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지원군 복지사업의 전달체계 113

〈표 3-1-24〉 기초생활 비수급자 중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건강지원군 복지사업의 전달체계 114

〈표 3-1-25〉 기초생활 비수급자 중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지원군 복지사업의 전달체계 115

〈표 3-1-26〉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 중 미취학 아동을 대상 중심사업 대비 연관사업 116

〈표 3-1-27〉 기초생활 비수급자 중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아동지원군 복지사업 전달체계 117

〈표 3-1-28〉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 중 취학 아동 대상 중심사업 대비 연관사업 118

〈표 3-1-29〉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 중 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육지원군 복지사업... 119

〈표 3-1-30〉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 중 노인을 대상으로 한 중심사업 대비 연관사업 120

〈표 3-1-31〉 기초생활 비수급자 중 노인지원군 복지사업의 전달체계 121

〈표 3-2-1〉 통합사례관리에서 활용하고 있는 복지욕구 영역 및 현상 127

〈표 3-2-2〉 사례관리 대상자 수: 2012-2015(전체 지자체 기준) 128

〈표 3-2-3〉 사례관리 대상자의 욕구 현황: 2012-2015 129

〈표 3-2-4〉 사례관리 대상자 복지욕구 수: 2012-2015 130

〈표 3-2-5〉 사례관리 대상자에게 제공된 서비스 영역: 2012-2015 131

〈표 3-2-6〉 복지욕구 및 자원 연계 실태 분석을 위한 활용 자료의 개요·속성 및 분석방법 133

〈표 3-2-7〉 사례관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5

〈표 3-2-8〉 사례관리 대상자의 복지욕구 현황 136

〈표 3-2-9〉 연령대별 복지욕구 분포 138

〈표 3-2-10〉 가구유형별 복지욕구 분포 138

〈표 3-2-11〉 보호구분별 복지욕구 분포 139

〈표 3-2-12〉 사례관리 대상자에 대한 정보제공 현황 140

〈표 3-2-13〉 사례관리 대상자의 공공분야 영역별 자원제공 현황 141

〈표 3-2-14〉 사례관리 대상자의 민간분야 영역별 자원제공 현황 143

〈표 3-2-15〉 공공분야 및 민간분야의 자원제공 규모별 대상자 비율 144

〈표 3-2-16〉 전체 분야 및 영역별 자원제공 현황 145

〈표 3-2-17〉 복지욕구에 따른 군집분석 요약표 146

〈표 3-2-18〉 복지욕구 군집별 인구통계적 특성 148

〈표 3-2-19〉 복지욕구 군집별 자원 제공 실태 분석 결과 150

〈표 3-2-20〉 복지욕구에 따른 군집유형 및 제공자원 152

〈표 3-2-21〉 제공된 민간자원의 상세 내용 153

〈표 3-2-22〉 제공된 공공자원의 상세 내용 154

〈표 4-1-1〉 사회보장사업의 대상별·부처별 현황 160

〈표 4-1-2〉 사회보장사업의 전달체계 현황 161

〈표 4-1-3〉 사회보장사업 전달체계의 부처별 현황 163

〈표 4-1-4〉 사회보장사업 전달체계의 영역별 현황 165

〈표 4-2-1〉 시·군·구의 실·국 및 실·과·담당관의 설치기준 169

〈표 4-2-2〉 실장·국장·담당관·과장 등의 직급기준 170

〈표 4-2-3〉 시·군·구 유형별 해당 지자체 수 및 평균 인구 현황 171

〈표 4-2-4〉 시·군·구 유형별 실·국 운영 현황 172

〈표 4-2-5〉 시·군·구 유형별 국의 운영 현황 173

〈표 4-2-6〉 실·과의 운영 현황 173

〈표 4-2-7〉 복지업무만을 수행하는 독립적 국 설치 여부 174

〈표 4-2-8〉 복지국의 타 영역 병립 운영 현황 175

〈표 4-2-9〉 시·군·구 유형별 과의 운영 현황 176

〈표 4-2-10〉 시·군·구 유형별 복지관련 과의 현황 177

〈표 4-2-11〉 복지관련 과의 개수별 지자체 분포 현황 177

〈표 4-2-12〉 전체 과 대비 복지관련 과의 비중 178

〈표 4-2-13〉 복지관련 과의 인력 운영 현황 179

〈표 4-2-14〉 복지관련 팀의 운영 현황 180

〈표 4-2-15〉 복지관련 팀별 인력 현황 180

〈표 4-2-16〉 복지관련 과의 대상별 운영 현황 182

〈표 4-2-17〉 시·군·구 유형별 복지관련 과의 운영 현황 184

〈표 4-2-18〉 복지관련 과의 개수에 따른 구성 현황 186

〈표 4-2-19〉 청소년 업무의 별도 배치 현황 187

〈표 4-2-20〉 기능 및 업무에 따른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189

〈표 4-2-21〉 복지기획 및 정책, 복지시설 관련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190

〈표 4-2-22〉 기초생활보장 관련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191

〈표 4-2-23〉 자활 및 주거복지 관련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192

〈표 4-2-24〉 사례관리, 복지연계, 자원 관련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193

〈표 4-2-25〉 통합조사 및 관리 관련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194

〈표 4-2-26〉 노인 관련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195

〈표 4-2-27〉 장애인 관련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196

〈표 4-2-28〉 여성 관련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197

〈표 4-2-29〉 다문화 관련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197

〈표 4-2-30〉 보육 관련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198

〈표 4-2-31〉 아동 및 청소년 관련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199

〈표 4-2-32〉 드림스타트 관련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200

〈표 4-2-33〉 가족 및 출산 관련 팀 설치 및 인력 배치 현황 201

〈표 4-2-34〉 시군구 본청의 주요 기능별 팀 및 인력 배치 현황 205

〈표 4-3-1〉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연계정보 211

〈표 4-3-2〉 사회보장정보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는 범정부 정보시스템 214

〈표 5-1-1〉 사회복지업무현황 조사의 구성 및 항목 224

〈표 5-1-2〉 사회복지업무현황 조사의 참여자 구성 224

〈표 5-1-3〉 읍면동 복지업무의 업무량 비중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26

〈표 5-1-4〉 희망복지지원단의 업무 수행 비중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27

〈표 5-1-5〉 읍면동 복지업무의 공공성에 대한 동의정도(읍면동 근무자 응답) 228

〈표 5-1-6〉 읍면동 복지업무의 공공성에 대한 동의정도(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29

〈표 5-1-7〉 읍면동 복지업무 공공성의 현재 수행수준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30

〈표 5-1-8〉 읍면동 복지업무 공공성의 현재 수행수준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31

〈표 5-1-9〉 읍면동 복지업무 공공성의 향후 지속강화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32

〈표 5-1-10〉 읍면동 복지업무 공공성의 향후 지속강화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33

〈표 5-1-11〉 읍면동 복지업무의 공공성에 대한 필요도·현재수준·향후 강화 필요성 비교 234

〈표 5-1-12〉 읍면동 복지업무의 전문성에 대한 동의정도(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36

〈표 5-1-13〉 읍면동 복지업무의 전문성에 대한 동의정도(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36

〈표 5-1-14〉 읍면동 복지업무 전문성의 현재 수행수준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37

〈표 5-1-15〉 읍면동 복지업무 전문성의 현재 수행수준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38

〈표 5-1-16〉 읍면동 복지업무 전문성의 향후 지속강화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39

〈표 5-1-17〉 읍면동 복지업무 전문성의 향후 지속강화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40

〈표 5-1-18〉 읍면동 복지업무의 전문성에 대한 필요도·현재수준·향후 강화 필요성 비교 241

〈표 5-1-19〉 읍면동 복지업무의 향후 공공성 및 전문성 강화 필요성 241

〈표 5-1-20〉 빈번하게 접하는 복지대상 가구 유형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44

〈표 5-1-21〉 빈번하게 접하는 복지대상 가구 유형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45

〈표 5-1-22〉 가장 빈번하게 접하는 복지 대상자의 가구 유형에 대한 의견 245

〈표 5-1-23〉 법정급여 이외 지자체의 대응이 필요한 읍면동 복지 대상자의 가구유형에... 246

〈표 5-1-24〉 법정급여 이외 지자체의 대응이 필요한 희망복지지원단 복지대상자에... 247

〈표 5-1-25〉 법정급여 이외 지자체의 대응이 필요한 대상자에 대한 의견 247

〈표 5-1-26〉 빈번하게 접하는 복지 대상자의 욕구 유형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48

〈표 5-1-27〉 빈번하게 접하는 복지 대상자의 욕구 유형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49

〈표 5-1-28〉 법정급여 이외 지자체의 대응이 필요한 읍면동 복지대상자의 욕구 영역에... 250

〈표 5-1-29〉 법정급여 이외 지자체의 대응이 필요한 희망복지지원단 복지대상자의... 251

〈표 5-1-30〉 법정급여신청 이외에 읍면동 복지업무 지원 요청 방식에 대한 의견(읍면동... 256

〈표 5-1-31〉 희망복지지원단 업무의 지원 요청 방식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57

〈표 5-1-32〉 각 기관 중 연계협력의 필요수준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58

〈표 5-1-33〉 각 기관 중 연계협력의 필요수준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59

〈표 5-1-34〉 각 기관 중 실제 연계협력 수준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60

〈표 5-1-35〉 각 기관 중 실제 연계협력 수준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61

〈표 5-2-1〉 읍면동 복지업무의 업무부담 중 업무량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68

〈표 5-2-2〉 희망복지지원단 업무부담 중 업무량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68

〈표 5-2-3〉 읍면동 복지업무의 업무부담 중 업무난이도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69

〈표 5-2-4〉 희망복지지원단 업무부담 중 업무난이도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70

〈표 5-2-5〉 읍면동 복지업무가 어려운 이유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71

〈표 5-2-6〉 희망복지지원단 업무가 어려운 이유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71

〈표 5-2-7〉 읍면동 복지업무의 업무부담 중 업무스트레스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72

〈표 5-2-8〉 희망복지지원단 업무부담 중 업무스트레스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73

〈표 5-2-9〉 읍면동 복지업무 수행 중 느끼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74

〈표 5-2-10〉 복지업무 수행 중 느끼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75

〈표 5-2-11〉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의 필요수준에 대한 의견(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77

〈표 5-2-12〉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의 필요수준에 대한 의견(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78

〈표 5-2-13〉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의 현재 활용(가능)수준에 대한 의견(읍면동... 279

〈표 5-2-14〉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의 현재 활용(가능)수준에 대한 의견... 279

〈표 5-2-15〉 통합사례관리 운영에 따른 성과 및 긍정적 변화에 대한 견해 282

〈표 5-2-16〉 통합사례관리 운영에 따른 우려 및 개선 과제에 대한 견해 288

〈표 5-2-17〉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에 대한 기대 의견 295

〈표 5-2-18〉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에 대한 우려와 과제에 대한 의견 298

〈표 5-2-19〉 맞춤형 서비스의 통합적 제공을 위한 대책의 시급성에 대한 의견 304

〈표 5-3-1〉 2016년과 2013년 조사의 읍면동 복지담당자의 업무수행 실태 비교 306

〈표 5-3-2〉 지자체 복지행정에서 빈번하게 접하는 대상과 대응 필요 대상 비교 308

〈표 5-3-3〉 지자체 복지행정에서 빈번하게 접하는 욕구 유형과 대응 필요 욕구 유형 비교 310

〈표 6-2-1〉 영국 복지행정 현장 사례조사 개요 376

〈표 6-2-2〉 예방 서비스 주요 대상 378

〈표 6-2-3〉 더 견고한 가족개발 서비스의 가족 문제와 성과 기준 383

〈표 7-1-1〉 서비스 조정과 통합의 목표 409

〈표 7-1-2〉 서비스 조정·통합 전략에 따른 서비스의 계획, 행정 및 서비스 전달기능의... 414

〈표 7-2-1〉 아동 가정위탁서비스 관련 읍면동 및 시군구 사례관리 업무 지침 비교 421

〈표 7-2-2〉 아동보호서비스의 서비스 통합 전략 도출을 위한 사전 진단 428

〈표 7-2-3〉 청소년보호서비스의 서비스 통합 전략 도출을 위한 진단 435

〈표 7-2-4〉 희망복지지원단의 주요 사업내용 441

〈표 7-2-5〉 위기가정 지원서비스의 서비스 통합 전략 도출을 위한 진단 443

〈표 7-3-1〉 아동-청소년-가족 대상 보호·지원 사업별 특성에 따른 조정·통합 전략/접근법 제안 456

〈표 8-1-1〉 지자체 복지행정에서 빈번하게 접하는 욕구유형과 대응 필요 욕구 유형 비교 467

〈표 8-1-2〉 전체 사회보장사업 수급자 대상의 중심사업 대비 연관사업의 패턴 468

〈표 8-1-3〉 아동 및 노인대상사업군의 중심사업 대비 연관사업의 패턴 470

〈표 8-1-4〉 아동 및 노인 대상 사업군의 유관 전달체계 사례 474

〈표 8-1-5〉 아동-청소년-가족 대상 보호·지원사업의 조정·통합 전략/접근법 제안 488

〈표 8-2-1〉 본 연구의 분석틀과 구성 490

〔그림 2-2-1〕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의 맞춤형복지팀 구성유형 76

〔그림 3-1-1〕 전체 수급대상자 연관성 분석결과 88

〔그림 3-1-2〕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대상 연관성 분석결과 93

〔그림 3-1-3〕 미취학 아동(기초생활보장수급자) 연관성 분석결과 94

〔그림 3-1-4〕 취학 아동(기초생활보장수급자) 연관성 분석결과 99

〔그림 3-1-5〕 노인(기초생활보장수급자) 연관성 분석결과 101

〔그림 3-1-6〕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 대상 연관성 분석결과 106

〔그림 3-1-7〕 장애,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 연관성 분석결과 109

〔그림 3-1-8〕 비장애, 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 연관성 분석결과 112

〔그림 3-1-9〕 미취학 아동(기초생활보장수급자 제외) 연관성 분석결과 116

〔그림 3-1-10〕 취학 아동(기초생활보장수급자 제외) 연관성 분석결과 118

〔그림 3-1-11〕 노인(기초생활보장수급자 제외) 연관성 분석결과 120

〔그림 3-2-1〕 통합사례관리 절차(읍면동 복지허브화 유형별) 125

〔그림 3-2-2〕 읍면동 통합사례관리 절차 126

〔그림 4-3-1〕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구성도 212

〔그림 4-3-2〕 사회보장정보시스템과 유관 정보시스템 연계체계 216

〔그림 4-3-3〕 사회보장정보시스템과 보육정보시스템 간 관계 217

〔그림 4-3-4〕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시스템과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간 관계 218

〔그림 4-3-5〕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과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간 관계 218

〔그림 4-3-6〕 보건소통합정보시스템과 행복e음 간 관계 219

〔그림 5-1-1〕 기관별 연계협력 필요성과 실제 수준(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62

〔그림 5-1-2〕 기관별 연계협력 필요성과 실제 수준(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63

〔그림 5-2-1〕 사회보장정보시스템 활용 필요성과 현재 활용 수준(읍면동 복지담당 응답) 280

〔그림 5-2-2〕 사회보장정보시스템 활용 필요성과 현재 활용 수준(희망복지지원단 응답) 281

〔그림 6-1-1〕 호주 사회서비스의 단계별 지원모형(tiered support model) 325

〔그림 6-1-2〕 캐나다 온타리오의 지역 노숙 예방 계획 340

〔그림 7-1-1〕 서비스 통합의 연속성 개념 410

〔그림 7-2-1〕 현행 아동·청소년·가족서비스 진단 및 분류의 준거틀 418

〔그림 7-2-2〕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의 구성 425

〔그림 7-2-3〕 아동학대 서비스 전달체계 427

〔그림 7-2-4〕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 서비스 전달주체별 주요 역할과 기능 430

〔그림 7-2-5〕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 서비스 전달주체별 주요 역할과 기능 431

〔그림 7-2-6〕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의 서비스 전달 흐름도 434

〔그림 7-2-7〕 읍면동 강화형(기본형) 희망복지지원단의 통합사례관리 서비스 흐름도 442

〔그림 7-2-8〕 중심 읍면동 강화형(권역형) 희망복지지원단의 통합사례관리 서비스 흐름도 442

〔그림 7-2-9〕 읍면동 통합사례관리 불가능한 경우 희망복지지원단의 서비스 흐름도 442

〔그림 8-1-1〕 사회보장사업의 전달체계 분포 47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56174 361.61 -17-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56175 361.61 -17-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