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6년) 국민인권의식조사 : 2016년도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 / 국가인권위원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가인권위원회, 2016
청구기호
323.4 -17-9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v, 440 p. : 삽화, 도표, 서식 ; 26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1145268
제어번호
MONO1201705057
주기사항
연구책임자: 구정우 ; 공동연구원: 김선웅, 김두년, 유성상, 정병은, 신인철
연구수행기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록: 인권 의식조사 설문지
참고문헌: p. 382-383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15

제1장 연구개요 39

1절. 연구의 목적 40

2절. 연구의 내용 40

3절. 인권의식조사 프레임워크 45

제2장 선행연구 47

1절. 해외 인권의식 조사 48

2절. 국내 인권의식 조사 52

3절. 해외 연구자들의 연구 56

4절. 국내 연구자들의 연구 59

제3장 국민인권의식조사 63

1절.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64

1. 2011년 국민인권의식조사의 합리적 계승 64

2. 인권통계체계와의 일치 65

3. 실태조사를 겸한 의식조사 66

4. 인과적 관계의 도출 67

5. 시계열적 비교 68

6. 국가 간 비교 69

7. 인권결정요인 70

2절. 조사개요 71

1. 조사문항의 구성: 2011년 조사와의 유사성 및 차별성 71

2. 표본설계 및 조사방법 83

3절. 2016년 조사결과 105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05

2. 인권의식 및 평가 106

3. 인권침해와 차별 113

4. 인권 관련 현안 및 정책 125

5. 북한인권 141

6. 인권 증진 방안 143

7. 인권교육 147

8. 국가인권위원회 150

4절. 역대 국민인권의식조사와의 비교 154

(1) 인권에 대한 인지 및 존중도 154

(2) 인권 침해 및 차별 경험 158

(3) 현안과 정책에 대한 인식 159

(4) 인권교육 166

(5) 인권증진 방안 167

(6)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한 인지 및 평가 169

5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176

1. 인권의식 및 평가 176

2. 인권침해와 차별 177

3. 인권 관련 현안 및 정책 178

4. 북한인권 180

5. 인권 증진 방안 180

6. 인권교육 180

7. 국가인권위원회 181

제4장 전문가 인권의식조사 182

1절.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183

2절. 조사 개요 184

1. 조사대상자 및 선정 184

2. 조사방법 185

3. 조사내용 186

3절. 2016년 조사결과 195

1. 응답자의 특성 195

2. 분석 결과 196

4절. 역대 전문가 조사와의 비교 229

1. 응답자의 특성: 전문가 범위의 차이 229

2. 시계열 비교결과 230

5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242

1. 인권의식의 확대와 인권상황의 부정적 평가 242

2. 시민적ㆍ정치적 권리를 제한하는 제도 반대 243

3.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에 대한 요구 확대 245

4. 어떤 인권은 정말 개선되었는가? 246

5. 인권교육의 양적 확대와 질적 강화 247

6.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 강화 248

제5장 학생 인권의식 조사 249

1절.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250

2절. 조사개요 251

1. 조사문항의 구성: 2011년과 2016년의 설문 문항 비교 251

2. 표본설계 및 조사방법 262

3. 표본크기 결정 및 표본배분 266

4. 표본추출 및 표본대체 269

3절. 2016 조사결과 271

1. 응답자의 특성 271

2. 인권에 대한 인식 276

3. 인권 침해 경험 281

4. 주변 환경의 안전에 대한 인식 302

5. 인권 현안에 대한 인식 303

6. 인권교육 실태 308

7. 사회적 자본 313

8. 2016년 결과 분석의 특징 318

4절. 역대 학생 조사와의 비교 324

1. 인권 의식의 성장 324

2. 학내의 인권 침해 실태 비교 326

3. 가정의 인권 침해 실태 비교 332

4. 주변 환경의 안전에 대한 인식 개선 336

5. 학내 휴대폰 사용에 대한 자율성 요구 증가 338

6. 인권교육을 받은 학생의 증가 339

7. 세계시민의식의 성장 340

5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341

1. 정규 교육과정으로서 인권교육의 중요성 341

2. 인권 침해를 막기 위한 학생들의 사회적 참여 촉진의 필요성 342

3. 중학교 내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 강화 방안 마련 343

4. 인권 친화적인 주변 환경으로의 개선을 위한 노력 촉구 344

5. 인권을 침해 받고, 침해 하는 학생들의 탈출구 마련 344

제6장 인권 델파이 조사 345

1절. 필요성 및 목적 346

2절. 조사개요 347

1. 조사대상자 선정 347

2. 조사방법 348

3. 조사의 흐름 349

4. 표본의 특성 349

3절. 조사 문항의 구성 350

1. 제1차 델파이조사 350

2. 제2차 델파이 조사 352

4절. 2016년 델파이 조사결과 354

1. 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354

2. 제 2차 델파이 조사결과 376

5절. 요약 및 정책적 함의 394

1. 2011년 조사와의 비교 394

2. 2016년 델파이 조사의 요약 및 정책제언 395

제7장 정책제언 398

1절. 인권인지도 개선과 언론의 역할 399

2절. 인권교육 강화와 인권교육법 재추진 400

3절. 시민ㆍ정치적 권리 보호 및 보장 402

4절.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 보장 403

5절. 소수자 권리 보장 405

6절.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NAP) 이행 상황 점검 407

7절. 국가인권위원회 발전방안 408

참고문헌 410

[부록] 인권 의식조사 설문지 412

한국인의 인권의식에 관한 조사(일반국민) 413

한국인의 인권의식에 관한 조사(전문가) 427

한국인의 인권의식에 관한 조사(초등학생) 440

한국인의 인권의식에 관한 조사(중학생) 454

판권기 467

〈표 1-1〉 인권의식조사 연구진행 절차 44

〈표 2-1〉 국외 인권의식조사 사례 51

〈표 2-2〉 한국의 인권의식조사 사례 53

〈표 2-3〉 한국의 청소년ㆍ학생인권조사 사례 56

〈표 3-1〉 인권의식 및 평가 관련 문항 비교 72

〈표 3-2〉 인권존중도 문항 비교 73

〈표 3-3〉 인권침해 및 차별 경험 문항 비교 75

〈표 3-4〉 시민ㆍ정치적 권리 정책 및 현안 문항 비교 76

〈표 3-5〉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 정책 및 현안 문항 비교 77

〈표 3-6〉 소수자 권리 정책 및 현안 문항 비교 78

〈표 3-7〉 북한 인권 관련 문항 비교 78

〈표 3-8〉 인권 증진 방안 관련 문항 비교 80

〈표 3-9〉 인권교육 관련 문항 비교 82

〈표 3-10〉 국가인권위원회 관련 문항 82

〈표 3-11〉 2016년 국민인권의식조사 「대국민 인권의식조사」 표본요약서 84

〈표 3-12〉 모집단 현황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88

〈표 3-13〉 광역시도별 표본 집계구 및 표본가구 배분 94

〈표 3-14〉 광역시도별 표본 읍면동 배분 및 전국 읍면동수 분포 95

〈표 3-15〉 읍면동 표본 추출비율에 따른 광역시도별 시군구 표본크기 비교 97

〈표 3-16〉 2016년 조사권역별 표본 읍면동 및 표본 집계구수 98

〈표 3-17〉 응답자 특성 105

〈표 3-18〉 '인권'이라는 용어를 접하는 정도 107

〈표 3-19〉 인권이라는 단어를 접하는 출처 107

〈표 3-20〉 우리나라의 인권상황에 대한 인지 108

〈표 3-21〉 우리나라의 인권존중 상황에 대한 평가 109

〈표 3-22〉 지난 3년 간 우리나라의 인권상황 개선여부에 대한 평가 110

〈표 3-23〉 기본적 인권보호가 헌법에 명시되어 있다는 사실의 인지 111

〈표 3-24〉 다른 나라 혹은 국제인권 상황에 대한 인지 112

〈표 3-25〉 세계인권선언에 대해 들어본 경험 113

〈표 3-26〉 한국사회의 인권존중 평가 113

〈표 3-27〉 한국사회에서 취약집단이 놓인 인권상황 평가 114

〈표 3-28〉 한국사회에서 취약집단이 놓인 인권상황 평가(집단별 비율) 115

〈표 3-29〉 한국사회의 인권존중 평가(집단별 비율) 116

〈표 3-30〉 인권침해 및 차별의 주체 117

〈표 3-31〉 인권침해와 차별의 가장 큰 원인 118

〈표 3-32〉 지난 3년 간 응답자 및 가족의 인권침해 경험 119

〈표 3-33〉 지난 3년 간 응답자 및 가족의 인권침해 경험(본인+가족의 경험, 집단별) 120

〈표 3-34〉 지난 3년 간 응답자 및 가족의 인권차별의 경험 121

〈표 3-35〉 지난 3년 간 응답자 및 가족의 인권차별의 경험(본인+가족의 경험, 집단별) 122

〈표 3-36〉 응답자 및 가족의 인권을 침해하거나 차별한 주체 123

〈표 3-37〉 인권침해 혹은 차별을 받은 경우 취한 대처 124

〈표 3-38〉 인권침해 혹은 차별을 받게 될 경우 취하게 될 대처 125

〈표 3-39〉 시민ㆍ정치적 권리에 대한 의식(사형제도) 126

〈표 3-40〉 시민ㆍ정치적 권리에 대한 의식(범죄 피의자 얼굴 공개) 127

〈표 3-41〉 시민ㆍ정치적 권리에 대한 의식(정부기관의 개인정보 수집 및 조사) 128

〈표 3-42〉 시민ㆍ정치적 권리에 대한 의식(국가보안법) 129

〈표 3-43〉 시민ㆍ정치적 권리에 대한 의식(양심적 병역거부) 130

〈표 3-44〉 시민ㆍ정치적 권리에 대한 의식(시위와 집회의 자유) 131

〈표 3-45〉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에 대한 의식(비정규직 근로자 대우) 132

〈표 3-46〉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에 대한 의식(2017년도 최저시급 액수) 132

〈표 3-47〉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에 대한 의식(부양의무자 규정) 133

〈표 3-48〉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에 대한 의식(사회복지혜택 확대) 134

〈표 3-49〉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에 대한 의식(고소득층에 대한 양질의 건강보험) 134

〈표 3-50〉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에 대한 의식(화력발전소 건립 중단) 135

〈표 3-51〉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에 대한 의식(아버지 육아휴직 할당제) 136

〈표 3-52〉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 권리에 대한 의식(여성전용 주차장, 임산부 배려석) 137

〈표 3-53〉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 권리에 대한 의식(아동 및 청소년 체벌) 138

〈표 3-54〉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 권리에 대한 의식(기업의 장애인 의무고용제 위반) 138

〈표 3-55〉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 권리에 대한 의식(외국인근로자 가족의 입국 허용) 139

〈표 3-56〉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 권리에 대한 의식(시리아 난민의 국내수용) 140

〈표 3-57〉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 권리에 대한 의식(성소수자) 140

〈표 3-58〉 북한인권법이 통과된 사실에 대한 인지 141

〈표 3-59〉 북한주민의 인권향상을 위한 국회의 노력 평가 142

〈표 3-60〉 북한에 대한 정부의 인도적 지원(식량, 생필품 등 지원)에 대한 입장 142

〈표 3-61〉 북한인권 향상을 위해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해야 할 과제 143

〈표 3-62〉 공공 및 민간 기관의 인권보장 노력 평가 144

〈표 3-63〉 공공 및 민간 기관의 인권보장 노력 평가(집단별 평균) 145

〈표 3-64〉 인권보호 및 인권신장을 위해 효과적인 방법 145

〈표 3-65〉 지난 3년 간 인권개선활동 참여 146

〈표 3-66〉 지난 3년 간 인권개선활동 참여 147

〈표 3-67〉 인권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입장 147

〈표 3-68〉 인권교육을 받은 경험 148

〈표 3-69〉 인권교육을 받은 장소(중복선택 가능) 148

〈표 3-70〉 인권교육을 받기에 적절한 장소(중복선택 가능) 149

〈표 3-71〉 지방자치단체의 자체적 인권조례 제정에 대한 입장 150

〈표 3-72〉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해 아는 정도 151

〈표 3-73〉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한 신뢰 151

〈표 3-74〉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권개선 기여 152

〈표 3-75〉 지난 3년 간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 및 위상 변화 153

〈표 3-76〉 앞으로 국가위원회 역할 및 기능 확대 혹은 축소에 대한 견해 153

〈표 3-77〉 우리나라의 인권상황에 대한 인지도의 변화 154

〈표 3-78〉 다른 나라 혹은 국제인권 상황에 대한 인지도의 변화 155

〈표 3-79〉 우리나라의 인권존중 상황에 대한 평가의 변화 156

〈표 3-80〉 한국사회에서 취약집단이 놓인 인권상황 평가의 변화(5점 만점) 157

〈표 3-81〉 한국사회의 인권존중 평가 158

〈표 3-82〉 지난 3년 간 응답자 및 가족의 인권침해 경험의 비율 158

〈표 3-83〉 지난 3년 간 응답자 및 가족의 인권차별의 경험 비율 159

〈표 3-84〉 시민ㆍ정치적 권리에 대한 의식(사형제도) 160

〈표 3-85〉 시민ㆍ정치적 권리에 대한 의식(범죄 피의자 얼굴 공개) 160

〈표 3-86〉 시민ㆍ정치적 권리에 대한 의식(국가보안법) 161

〈표 3-87〉 시민ㆍ정치적 권리에 대한 의식(양심적 병역거부) 162

〈표 3-88〉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에 대한 의식(부양의무자 규정) 162

〈표 3-89〉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에 대한 의식(사회복지혜택 확대) 163

〈표 3-90〉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에 대한 의식(아버지 육아휴직 할당제) 164

〈표 3-91〉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 권리에 대한 의식(체벌 허용) 165

〈표 3-92〉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 권리에 대한 의식(기업의 장애인 의무고용제 위반) 165

〈표 3-93〉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 권리에 대한 의식(외국인근로자 가족의 입국 허용) 166

〈표 3-94〉 인권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입장 167

〈표 3-95〉 인권교육을 받은 경험 167

〈표 3-96〉 공공 및 민간 기관의 인권보장 노력 평가 168

〈표 3-97〉 지난 3년 간 인권개선활동 참여의 비율 168

〈표 3-98〉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해 아는 정도 169

〈표 3-99〉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한 신뢰(국가인권위원회를 전혀 모르는 경우 제외) 170

〈표 3-100〉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한 신뢰(인권위를 '다소' 또는 '전혀' 모르는 경우 제외) 170

〈표 3-101〉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권개선 기여(국가인권위원회를 전혀 모르는 경우 제외) 171

〈표 3-102〉 국가인권위원회의 인권개선 기여(인권위를 '다소' 또는 '전혀' 모르는 경우 제외) 171

〈표 3-103〉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위상 변화(국가인권위원회를 전혀 모르는 경우 제외) 172

〈표 3-104〉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위상 변화(인권위를 '다소' 또는 '전혀' 모르는 경우 제외) 173

〈표 3-105〉 앞으로 국가위원회 역할/기능 확대 견해(국가인권위원회를 전혀 모르는 경우 제외) 174

〈표 3-106〉 앞으로 국가위원회 역할/기능 확대 견해(인권위를 '다소' 또는 '전혀' 모르는 경우 제외) 174

〈표 3-107〉 세계시민이라고 인식하는 정도 176

〈표 4-1〉 조사대상자의 선정 184

〈표 4-2〉 인권의식 및 평가 관련 문항 188

〈표 4-3〉 인권침해 및 차별 관련 문항 189

〈표 4-4〉 시민적ㆍ정치적 권리 관련 쟁점 190

〈표 4-5〉 경제적ㆍ사회적ㆍ문화적 권리 관련 쟁점 191

〈표 4-6〉 사회적 약자ㆍ소수자 권리 관련 쟁점 192

〈표 4-7〉 북한 인권 관련 문항 비교 192

〈표 4-8〉 인권 증진 방안 관련 문항 193

〈표 4-9〉 인권교육 관련 문항 비교 194

〈표 4-10〉 국가인권위원회 관련 문항 194

〈표 4-11〉 전문가 응답자의 특성 195

〈표 4-12〉 '세계인권선언' 및 '인권' 용어에 대한 노출 196

〈표 4-13〉 인권상황에 대한 인지 197

〈표 4-14〉 인권상황에 대한 평가 199

〈표 4-15〉 3년 전과 비교한 인권 상황 평가 200

〈표 4-16〉 집단별 인권 존중도 201

〈표 4-17〉 분야별 인권 존중도 203

〈표 4-18〉 인권침해 및 차별의 주요 행위자 205

〈표 4-19〉 인권침해ㆍ차별의 주요 요인 208

〈표 4-20〉 인권침해ㆍ차별의 구제 수단 208

〈표 4-21〉 시민ㆍ정치적 권리에 대한 의식 210

〈표 4-22〉 시민ㆍ정치적 권리 현안별 찬성율 및 찬성응답자 특성 211

〈표 4-23〉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에 대한 의식 212

〈표 4-24〉 사회적 약자ㆍ소수자 권리에 대한 의식 215

〈표 4-25〉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 218

〈표 4-26〉 북한인권 향상을 위한 정부의 최우선 과제 219

〈표 4-27〉 주요기관의 인권보장 노력 220

〈표 4-28〉 인권보호ㆍ신장 방법 222

〈표 4-29〉 인권활동 참여 여부 223

〈표 4-30〉 인권교육 경험 224

〈표 4-31〉 적합한 인권교육 장소 225

〈표 4-32〉 자신의 시민성에 대한 평가 226

〈표 4-33〉 국가인권위원회에 대한 평가 228

〈표 4-34〉 인권정책의 추진상황 평가 228

〈표 4-35〉 인권정책에 대한 부정적 응답률 및 해당 응답자 특성 229

〈표 4-36〉 인권에 대한 인식 및 평가의 변화 231

〈표 4-37〉 인권상황의 변화에 대한 의견 231

〈표 4-38〉 집단별 인권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의 변화 232

〈표 4-39〉 분야별 인권상황에 대한 부정적 평가의 변화 234

〈표 4-40〉 인권침해 및 차별의 주요 행위자 비교 235

〈표 4-41〉 인권침해 및 차별의 주요 요인 비교 236

〈표 4-42〉 인권침해 및 차별의 주요한 구제수단 비교 237

〈표 4-43〉 주요 인권 현안에 대한 의견 비교 238

〈표 4-44〉 인권증진 노력에 대한 긍정적 평가 비교 239

〈표 4-45〉 인권개선활동 참여 비교 240

〈표 4-46〉 인권교육 경험 및 적합한 곳(중복 선택) 비교 241

〈표 4-47〉 자신의 시민성에 대한 평가 비교 241

〈표 4-48〉 국가인권위에 대한 평가 비교 242

〈표 5-1〉 2016 초ㆍ중학생 설문문항 구성 252

〈표 5-2〉 2011년과 2016년의 문항 대조표 258

〈표 5-3〉 전국 초등학교 현황 264

〈표 5-4〉 전국 중학교 현황 264

〈표 5-5〉 층별 초, 중학교 현황(2015) 265

〈표 5-6〉 층별 초, 중학교 표본현황 268

〈표 5-7〉 초등학교 및 중학교 표본추출 현황(학교, 학급 및 학생 수) 270

〈표 5-8〉 초등학교 및 중학교 표본추출 현황(지역 및 학교명) 270

〈표 5-9〉 주관적 행복감의 정도 272

〈표 5-10〉 주관적 건강함의 정도 272

〈표 5-11〉 최근의 심리 상태에 대한 주관적 평가 273

〈표 5-12〉 최근의 심리 상태에 대한 주관적 평가(집단별 비율) 273

〈표 5-13〉 현재의 고민거리 274

〈표 5-14〉 고민을 함께 나누고 해결하는 사람 275

〈표 5-15〉 고민을 함께 나누고 해결하는 사람(집단별) 275

〈표 5-16〉 인권 관련 용어를 접한 정도 276

〈표 5-17〉 인권 관련 용어를 접한 정도(집단별 인지) 277

〈표 5-18〉 인권이라는 단어를 접하는 출처(중복 응답 가능) 278

〈표 5-19〉 인권이라는 단어를 접하는 출처 (집단별, 중복 응답 가능) 279

〈표 5-20〉 학교나 학급의 규칙에 대한 인식 280

〈표 5-21〉 '학교생활규정'에 대한 인지여부 280

〈표 5-22〉 학교 및 학급의 규칙과 '학교생활규정'에 대한 교사의 지도 여부 281

〈표 5-23〉 학교의 안전함에 대한 주관적 평가 282

〈표 5-24〉 입학 이후, 등교하기 싫었던 기분을 느낀 빈도 283

〈표 5-25〉 등교하기 싫었던 이유 284

〈표 5-26〉 등교하기 싫었던 이유(집단별 1, 2순위 종합) 285

〈표 5-27〉 입학 이후,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인권 침해 및 차별 사례 경험 유무 286

〈표 5-28〉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인권 침해 및 차별 사례 경험 유무(집단별 경험 비율) 287

〈표 5-29〉 학교 선생님과의 관계에서 인권 침해 및 차별 사례 경험 유무 288

〈표 5-30〉 학교 선생님과의 관계에서 인권 침해 및 차별 사례 경험 유무(집단별 비율) 289

〈표 5-31〉 친구들에게 인권 침해 및 차별 행위를 한 유무 290

〈표 5-32〉 친구들에게 인권 침해, 차별 행위를 한 유무(집단별 비율) 291

〈표 5–33〉 인권 침해나 차별을 했던 이유 291

〈표 5-34〉 인권 침해나 차별을 했던 이유(집단별) 292

〈표 5-35〉 교내 상황에 대한 학교 선생님의 처우 293

〈표 5-36〉 교내 상황에 대한 학교 선생님의 처우(집단별 평균) 294

〈표 5-37〉 가정에서 보살핌이나 사랑을 받지 못한다고 느낀 정도 294

〈표 5-38〉 가족으로부터의 인권 침해 및 차별 경험 유무 295

〈표 5-39〉 가족으로부터의 인권 침해 및 차별 경험 유무(집단별 평균) 296

〈표 5-40〉 가정 내 보호자들의 태도 297

〈표 5-41〉 가정 내 보호자들의 태도(집단별 비율) 297

〈표 5-42〉 가정 내 방치 경험 298

〈표 5-43〉 가정 내 방치 경험 (집단별 평균) 298

〈표 5-44〉 온라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인권 침해 및 차별 경험 299

〈표 5-45〉 온라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인권 침해 및 차별 경험(집단별 비율) 299

〈표 5–46〉 본인의 인권 침해 경험에 대한 대응 방식 301

〈표 5-47〉 타인의 인권 침해 경험에 대한 대응 방식 301

〈표 5-48〉 주변 환경의 안전에 대한 인식 정도 302

〈표 5–49〉 주변 환경의 안전에 대한 인식 정도(집단별 비율) 303

〈표 5-50〉 국제 빈곤 문제에 대한 주관적 거리감의 정도 303

〈표 5-51〉 학내 휴대폰 사용에 대한 의견 304

〈표 5-52〉 '쉴 권리' 및 '놀 권리'의 향유 여부 305

〈표 5-53〉 '쉴 권리' 및 '놀 권리'를 향유하지 못하는 이유 305

〈표 5-54〉 학교에서 수업시간 외에 '쉴 권리' 및 '놀 권리'의 향유 여부 306

〈표 5–55〉 학교생활에서 충분히 쉬지 못하는 이유 307

〈표 5-56〉 이주배경아동의 인권 침해 경험 목격 307

〈표 5-57〉 인권교육 경험 유무 308

〈표 5-58〉 인권교육 경로(인권교육 받은 학생만 응답) 309

〈표 5–59〉 인권교육 경로(인권교육 받은 학생만 응답, 집단별) 309

〈표 5-60〉 인권교육의 효과에 대한 평가(인권교육 받은 학생만 응답) 310

〈표 5-61〉 인권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310

〈표 5-62〉 교과서 내 인권 관련 내용에 대한 교사의 지도 태도 311

〈표 5-63〉 인권교육 후 인권에 대한 태도 변화 312

〈표 5-64〉 인권교육 후 인권에 대한 태도 변화(집단별 평균) 313

〈표 5-65〉 사회적 신뢰 수준(집단별 평균) 313

〈표 5-66〉 사회적 규범 수준 1 (집단별 평균) -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견 314

〈표 5-67〉 사회적 규범 수준 2 (집단별 평균) - 개인적 규범에 대한 의견 315

〈표 5-68〉 공동의 문제에 대한 태도 315

〈표 5-69〉 추가적인 봉사활동 참여 여부 316

〈표 5-70〉 사회적 연결망 수준 1 (집단별 평균) - 부모와의 교류 빈도 316

〈표 5-71〉 사회적 연결망 수준 2 (집단별 평균) - 교사와의 교류 빈도 317

〈표 5-72〉 사회적 연결망 수준 3 (집단별 평균) - 친구와의 교류 빈도 318

〈표 5-73〉 인권 침해 및 차별 행위와 사회자본의 관계 319

〈표 5-74〉 인권 침해 및 차별 행위와 사회적 네트워크의 관계 320

〈표 5-75〉 학교 안전성에 대한 인식 321

〈표 5-76〉 가정에서의 인권침해 및 차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22

〈표 5-77〉 학교와 가정에서 인권 침해 피해 경험의 상관관계 323

〈표 5-78〉 학내 인권 침해 및 차별 사례 경험 비교 328

〈표 5-79〉 교사의 태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비교 332

〈표 5-80〉 가정 내 인권 침해 및 차별 사례 경험 비교 334

〈표 5-81〉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 비교 336

〈표 5-82〉 학내 휴대폰 사용에 대한 인식 비교 339

〈표 6-1〉 인권이 존중되지 않는다는 응답 비율 352

〈표 6-2〉 인권이 존중되지 않는다는 응답 비율 353

〈그림 1-1〉 인권의식조사 프레임워크 45

〈그림 2-1〉 한국 및 국제 인권상황 인지도 추이 60

〈그림 2-2〉 연령대별 한국 인권상황 평가 61

〈그림 3-1〉 목표오차에 따른 표본크기의 변화 91

〈그림 3-2〉 세계시민이라는 용어를 들어본 정도 175

〈그림 4-1〉 전문가와 일반국민의 인권 인지 비교 198

〈그림 4-2〉 3년 전과 비교한 국내 인권상황 평가 199

〈그림 4-3〉 집단별 인권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202

〈그림 4-4〉 분야별 인권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204

〈그림 4-5〉 인권 침해 및 차별의 주요 행위자 206

〈그림 4-6〉 인권침해 및 차별의 주요 요인 207

〈그림 4-7〉 시민적ㆍ정치적 권리 현안에 대한 의견 211

〈그림 4-8〉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 현안에 대한 의견 214

〈그림 4-9〉 사회적 약자ㆍ소수자의 권리 현안에 대한 의견 216

〈그림 4-10〉 주요기관의 인권보장 노력 평가 221

〈그림 4-11〉 효과적인 인권증진 방안 223

〈그림 4-12〉 자신의 시민성에 대한 평가 226

〈그림 5-1〉 목표오차에 따른 표본크기의 변화(초등학생) 266

〈그림 5-2〉 목표오차에 따른 표본크기의 변화(중학생) 267

〈그림 5-3〉 인권 개념에 대한 인지여부 비교 325

〈그림 5-4〉 인권 개념에 대한 인지경로 비교 326

〈그림 5-5〉 학교 안전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 327

〈그림 5-6〉 학내 인권 침해 및 차별 경험 비교 330

〈그림 5-7〉 가정 내 정서적 안정의 일반적 경험 비교 333

〈그림 5-8〉 가정 내 인권 침해 및 차별 경험 비교 336

〈그림 5-9〉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 비교(긍정적인 응답 기준) 338

〈그림 5-10〉 인권교육 경험을 받은 적이 있는 학생 340

〈그림 5-11〉 세계시민의식 비교(긍정적인 응답 기준) 34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61756 323.4 -17-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61757 323.4 -17-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