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6년) 정보문화포럼 정책연구보고서 [전자자료] = 2016 digital culture forum policy research report /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문화포럼 [편] 인기도
발행사항
대구 : 한국정보화진흥원(NIA),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NIA ; V-RER-B-16007
면수
280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4832701
제어번호
MONO1201708132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Ⅰ. 디지털사회혁신분과 3

디지털사회혁신의 국내외 동향 및 정책제언 4

1. 디지털사회혁신의 배경 및 이해 4

2. 국내외 디지털사회혁신 현황 11

3. 정책 제언 21

참고문헌 24

Ⅱ. 지능정보사회윤리분과 25

인공지능에 관한 윤리: 철학적-존재론적 토대 26

1. 들어가는 말 26

2. 공학윤리의 관점 28

3. 인공지능의 존재론적 지위, 또는 정체성 33

4. 인공지능에 관한 윤리의 원칙 52

참고문헌 54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인공지능의 출현과 새로운 윤리학의 모색 56

1. 하이퍼히스토리 시대와 자율인공행위자의 등장 56

2. AI의 도덕적 지위 문제: 기계 노예 혹은 동반자? 58

3.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선 윤리학 60

4. 행위자로서의 AI 63

5. 공존의 윤리학 67

참고문헌 71

인공지능(로봇)에 대한 공급자 관점의 윤리 72

1. 인공지능 및 로봇에 대한 이해 72

2. 인공지능(로봇) 공급자 관점 윤리의 배경과 필요성 80

3. 인공지능(로봇) 공급자 윤리 84

4. 기존의 유사 전문직업 윤리와의 비교 89

5. 인공지능(로봇) 윤리에 대한 외국의 연구 사례 97

소비자 관점에서 본 지능정보사회의 윤리적 이슈 99

1. 서론 99

2. 윤리적 관점에서 본 소비자의 권리와 의무 102

3. 신뢰성과 정확성 관련 이슈 105

4. 선택 가능성 관련 이슈 108

5. 안전성 보증 관련 이슈 110

6. 프라이버시 보호 관련 이슈 113

7. 이용자성향 관련 이슈 115

8. 결론 118

참고문헌 121

인공 지능(로봇)에 대한 사회적 관점의 윤리 122

1. 사회적 관점 윤리의 필요성 122

2. 노동의 변화와 일자리 문제 124

3. 인공지능(로봇)으로 인한 관계 대체 136

4. 인공지능 수혜 여부에 따른 사회적 양극화의 심화 141

5. 인공지능의 보편적 이용과 프라이버시의 문제 146

참고문헌 156

지능정보사회의 사회윤리 이슈 157

1. 인공지능 시대의 저작권 이슈 및 윤리적 대응방안 157

2.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공정성 이슈 및 정책적 대응방향 165

Ⅲ. 디지털역량분과 174

지능정보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역량 175

1.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새로운 디지털 역량 175

2. 새로운 디지털 역량 180

3. 방향 및 제언 183

참고문헌 185

지능정보사회의 디지털 역량과 정동능력 186

1.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와 디지털 역량 186

2. 디지털 역량의 구성범주(요소)와 특징 189

3. 정동능력 개발과 미디어 교육적 과제 192

참고문헌 197

디지털시민성의 개념과 교육방향 200

1. 디지털 시민성의 등장배경 200

2. 디지털 시민성의 개념정의 201

3. 디지털 시민성의 하위요소 203

4.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현황 및 특징 211

5.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시민성 214

6.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방향 215

생산 역량이 왜 필요한가? 217

1. 서론: 생산 역량이 왜 필요한가? 217

2. 이론적 논의 218

3. 생산역량 제고방안 224

4. 결론 227

디지털 역량 프레임워크의 핵심 요소로서 '지식'의 중요성과 내용 228

1. 서론 228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230

3. '지식' 요소의 정의와 내용 243

4. 제언 244

참고문헌 247

Ⅳ. 디지털과다의존예방분과 249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개편 최종보고서 250

1. 과의존 척도 개편 배경 및 필요성 250

2. 개편 과정 및 방법, 내용 251

3. 분석 결과 252

4. 시사점 277

판권기 279

Ⅰ. 디지털사회혁신분과 6

[표 Ⅰ-1] 사회혁신 관련 세계 주요기관의 개념정의 6

[표 Ⅰ-2] 폐쇄형 혁신과 개방혁신 및 개방혁신 8

[표 Ⅰ-3] 디지털사회혁신 확산을 위한 정책 수단들 10

[표 Ⅰ-4] 국내 디지털사회혁신의 다양한 활동들 19

[표 Ⅰ-5] 천만상상 오아시스 접수건수 및 채택건수 20

Ⅱ. 지능정보사회윤리분과 87

인공지능(로봇)에 대한 공급자 관점의 윤리 87

〈표 Ⅱ-1〉 아시모프의 인공지능(로봇) 설계 법칙 87

지능정보사회의 사회윤리 이슈 159

[표 Ⅱ-1] 알고리즘이 대체하고 있는 저널리즘 행위 159

Ⅲ. 디지털역량분과 187

지능정보사회의 디지털 역량과 정동능력 187

[표 Ⅲ-1] 4대 계층의 양적활용지수 187

[표 Ⅲ-2] 4대 계층의 질적활용지수 188

[표 Ⅲ-3] 스마트격차 지수의 정의와 산출내용 189

[표 Ⅲ-4] 스마트정보화접근지수 190

[표 Ⅲ-5] 스마트정보화역량지수 190

[표 Ⅲ-6] 스마트정보화활용지수 191

[표 Ⅲ-7] 미디어교육 패러다임의 지형과 '미디어정동능력' 194

생산 역량이 왜 필요한가? 220

[표 Ⅲ-8] 대표적인 소비형 컨텐츠 서비스들 220

디지털 역량 프레임워크의 핵심 요소로서 '지식'의 중요성과 내용 244

[표 Ⅲ-9] 디지털 역량의 지식 분야에 대한 전문가 포럼 결과 244

Ⅳ. 디지털과다의존예방분과 250

[표 Ⅳ-1] 과의존(중독) 척도의 하위요인 변화 250

[표 Ⅳ-2] 유아동 과의존 척도 문항분석 결과 253

[표 Ⅳ-3] 유아동 과의존 척도 요인분석 결과 255

[표 Ⅳ-4] 유아동 과의존 척도 T점수 256

[표 Ⅳ-5] DSM-5 인터넷 게임 장애 준거 대비 유아동 과의존 척도 잠재위험군 기준 ROC 분석 257

[표 Ⅳ-6] DSM-5 인터넷 게임 장애 준거 대비 유아동 과의존 척도 고위험군 기준 ROC 분석 257

[표 Ⅳ-7] 유아동 과의존 척도 분류군별 특성 258

[표 Ⅳ-8] 청소년 과의존 척도 문항분석 결과 259

[표 Ⅳ-9] 청소년 과의존 척도 요인분석 결과 261

[표 Ⅳ-10] 청소년 과의존 척도 T점수 262

[표 Ⅳ-11] DSM-5 인터넷 게임 장애 준거 대비 청소년 과의존 척도 잠재위험군 기준 ROC 분석 263

[표 Ⅳ-12] DSM-5 인터넷 게임 장애 준거 대비 청소년 과의존 척도 고위험군 기준 ROC 분석 263

[표 Ⅳ-13] 청소년 과의존 척도 분류군별 특성 264

[표 Ⅳ-14] 성인 과의존 척도 문항분석 결과 265

[표 Ⅳ-15] 성인 과의존 척도 요인분석 결과 267

[표 Ⅳ-16] 성인 과의존 척도 T점수 268

[표 Ⅳ-17] DSM-5 인터넷 게임 장애 준거 대비 성인 과의존 척도 잠재위험군 기준 ROC 분석 269

[표 Ⅳ-18] DSM-5 인터넷 게임 장애 준거 대비 성인 과의존 척도 고위험군 기준 ROC 분석 270

[표 Ⅳ-19] 성인 과의존 척도 분류군별 특성 271

[표 Ⅳ-20] 60대 과의존 척도 문항분석 결과 272

[표 Ⅳ-21] 60대 과의존 척도 요인분석 결과 273

[표 Ⅳ-22] 60대 과의존 척도 T점수 274

[표 Ⅳ-23] DSM-5 인터넷 게임 장애 준거 대비 60대 과의존 척도 잠재위험군 기준 ROC 분석 275

[표 Ⅳ-24] DSM-5 인터넷 게임 장애 준거 대비 60대 과의존 척도 고위험군 기준 ROC 분석 275

[표 Ⅳ-25] 60대 과의존 척도 분류군별 특성 276

Ⅰ. 디지털사회혁신분과 5

[그림 Ⅰ-1] 시스템 전환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출처: VITO(Vision on Technology), 2012, Transition in Research, Research in Transition 송위진 외(2014)에서 재인용) 5

[그림 Ⅰ-2] 신 사회혁신 전략 전개과정(출처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사회현안 해결을 위한 新사회혁신 전략) 6

[그림 Ⅰ-3] 미국의 혁신전략(출처 : The White House, 2015. 10, A strategy for american innovation) 7

[그림 Ⅰ-4] 유럽의 디지털 사회혁신 조직 및 활동들(출처 : European Commission, 2015, Growing a Digital Social Innovation Ecosystem for Europe) 11

[그림 Ⅰ-5] Fixmystreet의 시민참여 사례(출처 : https://www.fixmystreet.com/report/915714, 2016년 10월 21일자) 12

[그림 Ⅰ-6] Fixmystreet의 시민참여를 통한 문제 해결 결과 보고(출처 : https://www.fixmystreet.com/reports, 2016년 10월 21일자) 13

[그림 Ⅰ-7] 디지털 사회혁신의 11가지 기능들(출처 : http://www.nesta.org.uk/blog/eleven-trends-watch-digital-social-innovation) 14

[그림 Ⅰ-8] 영국의 디지털 사회혁신 기업 투자 시스템(출처 : Rabindrakumar(2014), 김정원 외(2016)에서 재인용) 15

[그림 Ⅰ-9] 루트에너지의 태양광 공유 사업 Puzl(출처 : 사회기술혁신네트워크(2016)) 16

[그림 Ⅰ-10] 협동조합을 통한 청각장애인의 격차 해소 쉐어타이핑(출처 : 사회기술혁신네트워크(2016)) 16

[그림 Ⅰ-11] 기어가드의 주요 기능들(출처 : 기어가드 홈페이지 http://doubleguard.modoo.at/) 17

[그림 Ⅰ-12] 커뮤니티 매핑센터 설명(출처 : 커뮤니티 매핑센터 홉헤이지 http://www.cmckorea.org/?page_id=783/) 18

Ⅱ. 지능정보사회윤리분과 39

인공지능에 관한 윤리: 철학적-존재론적 토대 39

Figure 1. An image from PASCAL and high scoring car detection from DPM. Why did the detector fail? 39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인공지능의 출현과 새로운 윤리학의 모색 65

Figure 2.1. Two Dinmensions of AMA Development 65

인공 지능(로봇)에 대한 사회적 관점의 윤리 125

[그림 Ⅱ-1] 19세기 러다이트 운동(출처: http://newsteacher.chosun.com/site/data/img_dir/2016/03/31/2016033100017_0.jpg) 125

[그림 Ⅱ-2] 로봇에 의한 일자리 대체(출처: http://thumb.mt.co.kr/06/2015/07/2015072710371534596_1.jpg) 126

[그림 Ⅱ-3] 구글의 자율주행자동차(출처: http://dimg.donga.com/wps/ECONOMY/IMAGE/2013/12/18/59639968.3.jpg) 128

[그림 Ⅱ-4] 소프트뱅크의 페퍼(Pepper)와 MIT의 지보(Jibo) 132

[그림 Ⅱ-5] 전세계 산업로봇의 숫자와 미국 제조업분야 일자리 수(출처: http://www.insilicogen.com/blog/attach/1/1006195461.jpg) 135

[그림 Ⅱ-6] 인공지능의 자의식과 관계의 문제를 다룬 영화 '엑스마키나'의 한장면(출처: https://i.ytimg.com/vi/MaiubjCZTH0/maxresdefault.jpg) 138

[그림 Ⅱ-7] 지능형 감시센터의 운용 사례(서울시 강남구)(출처:https://i.ytimg.com/vi/1qI8gPE7akg/maxresdefault.jpg) 152

[그림 Ⅱ-8] 구글의 인공지능 메신저 알로(ALLO)(출처: http://www.newstarget.kr/news/photo/201609/6222_3368_4121.jpg) 154

지능정보사회의 사회윤리 이슈 160

[그림 Ⅱ-9] 로보어드바이저 자산관리 프로세스(자료: 쿼터백테크놀로지스(2016)) 160

[그림 Ⅱ-10] 데이빗 코프 교수의 EMI 인공지능 작곡 프로그램에 의해 창작한 곡 161

[그림 Ⅱ-11] 인공지능 신경망이 작품을 완성하는 프로세스 162

[그림 Ⅱ-12] 구글의 딥드림에 의해 완성된 작품들 163

[그림 Ⅱ-13] 페이스북의 '트렌팅 토픽'(자료: Google Image Search) 167

[그림 Ⅱ-14] 트렌딩 토픽 기능의 개편 전과 후(자료: Facebook Blog) 168

[그림 Ⅱ-15] 마이크로소프트의 인공지능 채팅봇 테이 169

Ⅲ. 디지털역량분과 175

지능정보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역량 175

[그림 Ⅲ-1] 경제패러다임의 변화와 특징 175

[그림 Ⅲ-2] 아디다스 스피드팩토리의 자동화에 따른 생산성 변화 176

[그림 Ⅲ-3] 2015년 기준으로 미국의 시가총액 1-12위 랭킹 및 2009년 순위와의 비교. 177

[그림 Ⅲ-4] 학교교육의 내용과 방식이 현실 세상에서 요구되는 역량과 차이가 있을 때 개인적,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음 180

[그림 Ⅲ-5] 각각의 역량들은 디지털 관점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작용을 함 182

[그림 Ⅲ-6]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직업교육은 유기적인 상호작용적 체제를 가져야 하며, 사회 및 산업 분야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여야 함 183

지능정보사회의 디지털 역량과 정동능력 189

[그림 Ⅲ-7] 스마트격차지수의 계산법(출처: 미래창조과학부ㆍ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2015 정보격차 실태조사〉, 51쪽. 원저작자의 권리가 보호됨) 189

디지털시민성의 개념과 교육방향 207

[그림 Ⅲ-8] Mike Ribbie(2015)의 9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207

[그림 Ⅲ-9] 호주 NSW 주교육청 디지털 시민성 교육체계(https://education.nsw.gov.au/curriculum/digital-citizenship) 208

[그림 Ⅲ-10] Davis, V. & Lindsay, J. (2010). Navigate the Digital Rapids 209

생산 역량이 왜 필요한가? 218

[그림 Ⅲ-11] 공유 생태계 발전에 도움이 된 기술 218

[그림 Ⅲ-12] 페이스북의 좋아요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도 정보를 생산하고 있는 것이다. 218

[그림 Ⅲ-13] '문제의 정의'가 생산 역량의 핵심이다. 219

[그림 Ⅲ-14]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 대도서관. 220

[그림 Ⅲ-15]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 깃허브(github) 221

[그림 Ⅲ-16] 좋은 책을 카드뉴스 형태로 소개하는 '열정에 기름붓기' 222

[그림 Ⅲ-17] 경쟁 위주의 교육 문화가 생산형 컨텐츠 제작 활성화의 걸림돌 224

[그림 Ⅲ-18] Andrej Karpathy의 블로그(https://cs.stanford.edu/people/karpathy/) 226

[그림 Ⅲ-19] 해외 석학들의 무료 동영상 강의. 구글, 바이두 등 세계적인 업체들에 스카웃 되었다. (a) Hinton 교수 (b) Andrew Ng 교수 (c) Fei Fei Li 교수 227

디지털 역량 프레임워크의 핵심 요소로서 '지식'의 중요성과 내용 228

[그림 Ⅲ-20] 산업확산 방안 및 기대효과(이형직 외, 2014) 228

[그림 Ⅲ-21] 다양한 맥락에서 핵심 역량이 결합하는 방식(OECD, 2005) 230

[그림 Ⅲ-22] 21세기 학습을 위한 P21의 프레임워크(P21, 2007) 232

[그림 Ⅲ-23] ATC21S의 21세기 핵심 역량(Griffin, 2012) 233

[그림 Ⅲ-24] 디지털 리터러시의 핵심 요소(Media Smarts, 2012)(http://mediasmarts.ca/digital-media-literacy-fundamentals/digital-literacy-fundamentals) 235

[그림 Ⅲ-25]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 요소(Futurelab, 2010) 236

[그림 Ⅲ-26] 디지털 리터러시의 7가지 요소(JISC, 2011)(https://www.jisc.ac.uk/guides/developing-digital-literacies) 238

[그림 Ⅲ-27]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의 생태학(USESCO, 2011) 239

[그림 Ⅲ-28]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 모델(Beslshaw, 2012)(https://youtu.be/A8yQPoTcZ78) 240

[그림 Ⅲ-29]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8가지 요소(Beslshaw, 2012) 241

[그림 Ⅲ-30] 디지털 역량 프레임워크(안) 243

Ⅳ. 디지털과다의존예방분과 254

[그림 Ⅳ-1] 가구조사 자료를 활용한 유아동 과의존 척도 문항평균분석결과 254

[그림 Ⅳ-2] 잠재위험군 기준점 ROC 곡선 분석 257

[그림 Ⅳ-3] 고위험군 기준점 ROC 곡선 분석 258

[그림 Ⅳ-4] 가구조사 자료를 활용한 청소년 과의존 척도 문항평균분석결과 260

[그림 Ⅳ-5] 잠재위험군 기준점 ROC 곡선 분석 263

[그림 Ⅳ-6] 고위험군 기준점 ROC 곡선 분석 264

[그림 Ⅳ-7] 가구조사 자료를 활용한 성인 과의존 척도 문항평균분석결과 266

[그림 Ⅳ-8] 잠재위험군 기준점 ROC 곡선 분석 269

[그림 Ⅳ-9] 고위험군 기준점 ROC 곡선 분석 270

[그림 Ⅳ-10] 가구조사 자료를 활용한 60대 과의존 척도 문항평균분석결과 272

[그림 Ⅳ-11] 잠재위험군 기준점 ROC 곡선 분석 275

[그림 Ⅳ-12] 고위험군 기준점 ROC 곡선 분석 276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