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시詩 부문

김기형 | 동아일보
<당선작> 손의 에세이ㆍ12
<신작시>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까마귀다ㆍ15 / 사람에게 생기는 질병ㆍ16 / 같은 신발을 신었던 건지도 모른다ㆍ18 / 수프통의 사람ㆍ20 / 봐, 까만 벌레를 낳았어ㆍ22
<당선 소감> 우리가 희미하지만 함께 있다는 사실…ㆍ24
<심사평> 손을 매개로 한 전개 ‘시적 사유’ 확장 돋보여 ㆍ25
김낙호 | 부산일보
<당선작> 허공에서 더 깊어지는 추위ㆍ28
<신작시> 진주가 되기 위해ㆍ30 / 생각의 거미ㆍ32 / 물의 유전ㆍ34 / 뱀의 유혹이 기생하는 혀ㆍ36 / 그늘에 잡혀 있는 발목들ㆍ38
<당선 소감> “갈림길서 손잡아 준 분들께 감사”ㆍ40
<심사평> “노동자 삶 따뜻한 시선으로 보듬어”ㆍ41
문보영 | 중앙일보
<당선작> 막판이 된다는 것ㆍ44
<신작시> 벽ㆍ45 / 불면ㆍ46 / 끝ㆍ48 / 분실ㆍ50 / 위주의 삶ㆍ52
<당선 소감> 시는 상처난 인간에게 붙이는 거즈ㆍ53
<심사평> 능숙한 언어 구사, 단단한 사유의 힘 갖춰ㆍ54
석민재 | 세계일보
<당선작> 빅 풋ㆍ56
<신작시> 라이프 오브 파이ㆍ57 / 줄줄이 비엔나ㆍ58 / 눈물은 옆구리에서 나와, 비 내리는 도시를 걷고ㆍ60 / 계통ㆍ62 / 갈치, 여인ㆍ64
<당선 소감> “꿈꾸던 성탄 선물… 투병중 모친께 바친다”ㆍ66
<심사평> “해학ㆍ역설의 묘미 살려 삶의 애환 잘 갈무리”ㆍ67
신동혁 | 서울신문
<당선작> 진단ㆍ70
<신작시> 실종ㆍ71 / 설계ㆍ72 / 창문에게ㆍ74 / 소문ㆍ75 / 흑백ㆍ76
<당선 소감> 문학은 상상의 세계로 나를 인도해 주는 길잡이ㆍ78
<심사평> 새로운 에너지로 가득 찬 시편…ㆍ80
유수연 | 조선일보
<당선작> 애인ㆍ82
<신작시> 괴물의 의회ㆍ84 / 교대ㆍ88 / 목하目下ㆍ89 / 윙컷ㆍ92/ 나는 오발탄ㆍ94
<당선 소감> 답장 없는 편지… 첫 답장을 받았습니다ㆍ95
<심사평> ‘무엇이 우리 삶의 진실인가’ 질문을 던지다ㆍ96
윤지양 | 한국일보
<당선작> 전원 미풍 약풍 강풍ㆍ100
<신작시> 슈니발렌 캔디 가게ㆍ102 / 누군가의 모자ㆍ104 / 취침 전 복용ㆍ106/ ㅂㆍ108 / 모서리 놀이ㆍ110
<당선 소감> 내가 나를 믿기 전… 내 안의 느낌이 진짜…ㆍ111
<심사평> 무심하고 당돌한 시… 앞으로가 더 기대돼 ㆍ113
이다희 | 경향신문
<당선작> 백색 소음ㆍ116
<신작시> 곡선의 이유ㆍ118 / 플랫폼ㆍ120 / 초가 타는 시간ㆍ122 / 개구리와 독수리ㆍ124 / 희극ㆍ126
<당선 소감> 기록할 힘, 다른 이에게도 위로되길ㆍ128
<심사평> ‘나’와 사물의 의미 탐구하는 자세 믿음직ㆍ130
주민현 | 한국경제
<당선작> 전쟁의 시간ㆍ134
<신작시> 사건과 갈등ㆍ137 / 우리는, 하지ㆍ139 / 절반은 커튼, 절반은 창문ㆍ141 / 버찌의 일ㆍ143 / 선악과 맛ㆍ145
<당선 소감> “빚 갚아 나가는 마음으로 시 쓸 것”ㆍ147
<심사평> 끝난 듯 끝나지 않은 전쟁, 역동적인 서사 전개 돋보여ㆍ148
진창윤 | 문화일보
<당선작> 목판화ㆍ150
<신작시> 버드나무 세탁소ㆍ151 / 강물 학교ㆍ152 / 달 칼라 현상소ㆍ154 / 사과ㆍ156 / 나비꽃 통조림ㆍ157
<당선 소감> 그냥 습관처럼 시 쓰며 무지렁이처럼 살 터ㆍ158
<심사평> 조각 칼끝 따라 삶의 고단함 담아 내…ㆍ159
추프랑카 | 매일신문
<당선작> 두꺼운 부재不在ㆍ162
<신작시> 그림엽서ㆍ164 / 불타는 숨바꼭질ㆍ166 / 가을, 푸딩ㆍ167 / 성서 54쪽의 밤ㆍ168 / 매미, 매미ㆍ170
<당선 소감> “시가 있어 힘든 세상 견뎌… 도움 주신 분께 감사”ㆍ171
<심사평> 모호한 화법이지만 ‘여섯’ 리듬의 변주 뛰어나ㆍ172
시조時調 부문
김상규 | 조선일보
<당선작> 쌍둥이-양보의 대가ㆍ178
<신작시조> 출정기ㆍ179 / 수상가옥ㆍ180 / 배꼽의 탄생ㆍ181 / 서른 살ㆍ182 / EPILOGUE : Young Foreverㆍ183
<당선 소감> 제 이야기 지금부터 시작합니다ㆍ184
<심사평> 고투의 과정으로 끌어낸… ‘양보’ 없는 새로움ㆍ185
김태경 | 매일신문
<당선작> 동강할미꽃의 재봉틀ㆍ188
<신작시조> 야호!ㆍ189 / 리히터 9.9의 아침ㆍ190 / 개와 늑대의 시간ㆍ191 / 오답 노트ㆍ192 / 정방폭포 무지개ㆍ193
<당선 소감> “말과 행동이 아름다운 새로운 길 걸어가겠다”ㆍ194
<심사평> 재봉틀에 담긴 신선한 시상ㆍ치밀한 결구 돋보여ㆍ196
송가영 | 서울신문
<당선작> 막사발을 읽다ㆍ200
<신작시조> 다비茶毘의 계절ㆍ201 / 버찌의 도시ㆍ202 / 칡꽃 아가씨ㆍ203 / 반짇고리 은유ㆍ204/ 아들의 젖을 물다ㆍ206
<당선 소감> 10여 년 인내의 보상… 명품 한복 짓듯 명품 시조 짓겠다ㆍ207
<심사평> 새로운 발화… 표현 밀도 높고 대상ㆍ심상 결속력 뛰어나 ㆍ208
이가은 | 중앙일보
<당선작> 구두도 구두를ㆍ210
<신작시조> 시소ㆍ211 / 떠오르는 저녁ㆍ212 / 산수유 달 물릴 때ㆍ213 / 일몰日沒ㆍ214 / 이미 있습니다, 덮어쓸까요?ㆍ215
<당선 소감> 나는 불완전한 돌멩이, 따뜻한 자세 되고 싶어ㆍ216
<심사평> 이미지 중심의 결속력 돋보여ㆍ217
정진희 | 동아일보
<당선작> 자반고등어ㆍ220
<신작시조> 군산ㆍ221 / 잘 늙은 호박ㆍ222 / 박대 일기ㆍ223 / 증도에서ㆍ224/ 꽃샘ㆍ225
<당선 소감> 한 수에 사랑, 한 수의 그리움ㆍ226
<심사평> 개정석 시각으로 푼 시적 미학ㆍ227

이용현황보기

(2017) 신춘문예 당선시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49282 811.15 -17-25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49283 811.15 -17-25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2017년, 새로운 시의 화법으로 문단에 첫발을 내딛는 새로운 시인들!
신인들의 신춘문예 당선작과 첫 발표하는 개성적인 신작시 수록!

유행과 시류를 넘는 참신한 신인들의 새로운 목소리


국내 주요 일간지의 신춘문예 시, 시조 당선자들의 당선작과 신작시 5편씩을 함께 묶은 『2017 신춘문예 당선시집』이 출간되었다. 1990년부터 문학세계사에서 출간되기 시작한 『신춘문예 당선시집』은 문단, 평론가, 시인 지망생들은 물론 우리 사회 일반에 이르기까지 꾸준한 관심을 받아오고 있다.

올해도 역시 많은 예비시인들이 신춘문예에 응모하여 시에 대한 높은 관심과 열정을 보여주었다. 전통적인 서정과 시적 성취를 뛰어넘어 ‘개성적 독법과 화법’을 찾으려 하는 문청들의 활달한 상상력이 기존 문단에 충분한 활력과 참신한 자극을 전할 수 있을 때에야, 신춘문예의 순기능적 의미는 살아날 수 있다.

『2017 신춘문예 당선시집』은 시단에 첫발을 내딛는 새내기 시인들의 뜨거운 열정과 응축된 시적 긴장, 새로운 상상력과 역량을 한눈에 가늠해볼 수 있게 해준다. 이번 시집에는 각 신문사의 신춘문예 당선시와 함께 신작시 5편, 심사평, 당선소감, 당선시인의 약력 등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당선시와 함께 5편의 신작시들을 수록함으로써 갓 등단한 시인들의 역량과 작품세계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우리 시의 전통과 운율의 맛을 간직하고 있는 시조 부문의 신춘문예 당선작과 신작시조 등도 함께 실려 있어 한국 현대시조의 정서를 공감하며 고유한 형식과 맛을 새롭게 느낄 수 있다. 이것은 기성문단이나 시의 꿈을 실현하려는 예비 시조시인들에게 신선한 자극제가 될 것이며, 시조를 우리 문학의 전위로 끌어들이는 의미 있는 작업임과 동시에 시인과 독자의 상상력을 통시적으로 넓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