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경북 교육의 노래

연수원 안내도

연수일정표

목차

연수안내 8

2016 중등국어1급정교사자격연수 운영 계획 10

1. 연수 목표 10

2. 연수 과정 편성 방침 10

3. 연수 운영 10

4. 연수 방법 10

5. 교과목 편성 10

6. 평가 계획 11

7. 원격연수 계획 12

8. 분임토의 운영 계획 13

9. 현장체험연수 계획(1차 : 6시간, 2차 : 6시간, 계 : 12시간) 13

10. 연수 생활 안내 14

11. 연수생 명단 18

강사 평가 설문 조사 20

기본 소양 22

1. 특강 / 이영우 24

2. 미래교육을 여는 교사의 역할 / 임종식 26

3. 중등 교육의 방향 / 김준호 30

4. 교사의 자세 / 문태수 38

5. 음악을 통한 행복한 학교 만들기 : 가치있는 삶, 클래식처럼 살아라(위대한 목소리로 아름다운 하모니를 만들자) / 김세호 40

6. 한반도 주변정세와 통일교육 - 21세기 역사전쟁과 통일외교전략을 중심으로 - / 차문석 50

I. 들어가며: 역사, 그리고 글로벌 정체성 50

II. 2016년의 한반도: 새로운 질서 만들기 51

III.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질서 : 주변국의 세계 전략과 한반도 정책을 중심으로 52

IV. 한반도 통일환경 : 통일외교 전략과 대안의 모색 60

V. 나가며 : 어디로 갈 것인가, 통일 미래로! 62

7. 교실 속 학생, 교원 인권교육 / 이종근 64

I. 서론 ― 교실 속의 법률관계의 주체 64

II. 국가의 교육권 65

III. 학생의 인권 67

IV. 교원의 인권 74

V. 교육관계 주체간의 상호관계 79

VI. 결어 81

참고문헌 82

8. 국가정체성 및 안보 교육 / 조기원 84

9. 교직단체 안내 / 이우식 86

I. 학교 교원노사관계 환경 86

II. 교원노조법의 이해 86

III. 교원노사관계 발전방향 89

참고문헌 89

10. 풍속화로 역사 읽기 / 윤진영 90

I. 시작하며 90

II. 사진 속의 근대 풍속과 스토리텔링 90

III. 조선시대의 계회(契會) 풍속 92

IV. 풍속화(風俗畵): 서민시대의 그림 94

V. 풍속화와 진경산수화 95

VI. 마치며 97

참고문헌 98

역량 영역 100

1.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편성과 수업방법 / 김진규 102

I. 자유학기제의 추친 배경 102

II.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편성 104

III. 자유학기제 수업 방법과 평가 109

참고문헌 112

2. 학생상담의 이론과 실제 - 시를 통한 삶의 힘을 키우는 상담 - / 이영미 114

I. 학교는 지금? 114

II. 지금 우리 아이들은? 117

III. 우린 무엇을 고민해 보아야 할까? 119

IV. 이렇게 바라보고 이렇게 말할 수 있다면 122

참고문헌 124

3. 학교조직내에서의 갈등관리 전략 / 최윤규 126

4. 학급경영과 담임의 역할 / 이유정 138

I. 들어서는 말 - 교사란! 138

II. 학급경영이란 138

III. 학급경영의 목표 및 계획 수립 139

IV. 학급 경영의 실제 140

V. 문제 행동을 일으키는 학생에 대한 이해와 대처 방안 143

VI. 맺음말 146

5.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 김현섭 148

I. 협동학습의 기본 이해 148

II. 협동학습의 철학과 원리 150

III. 협동학습의 실제 155

참고문헌 161

관련 사이트 161

6. 교과교육연구활동 / 조기원 162

7. 교원인사와 복무 / 이용욱 164

I. 인사 일반 164

II. 휴직제도의 일반 167

III. 교원 복무 168

참고 문헌 173

전문 영역 174

1.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의 이해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 / 이수나 176

I. 교육과정 들여다보기 176

II.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이해 176

III.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이해 177

참고문헌 181

2. 학습동기유발 수업방법 / 여순호 182

I. 학생중심수업 182

II. 수업에서의 동기유발(SPOT)의 실제 189

III. 마무리하며 195

참고문헌 195

3. 소설 교육론 - 현대소설 선다형 평가론 - / 김성진 196

I. 국어과 선다형 평가의 방향 196

II. 선다형 평가 제작의 과정 196

III. 문항 제작 실습 203

참고문헌 205

4. 현대시 교육론 / 박용찬 206

I. 머리말 206

II.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206

III. 시 텍스트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208

IV. 문학 교실에서의 교사의 역할 216

V. 맺음말 218

참고문헌 218

5. 학생활동중심 수업코칭 / 강정찬 220

I. 학생활동중심 수업경영의 이해 220

II. 학생활동중심 수업경영의 실제 222

참고문헌 233

6. 듣기·말하기 교육과정과 지도방안 - (화법 교육론) 설득 연설과 토론을 중심으로 - / 박종훈 234

I. 설득 연설의 내용 조직 234

II. 토론 교육의 내용과 방법 238

참고 문헌 245

7. 언어능력을 기르는 국어 읽기 수업 / 고용우 246

I. 읽기 수업에 대한 인식 246

II. 교과서의 문제 247

III. 읽기 능력을 기르기 위한 활동 256

IV. 맺음말 261

8. 쓰기교육론 / 박영민 262

I. 쓰기이론과 쓰기교육 262

II. 쓰기교육의 다른 방법들 270

III. 쓰기 지도에서 고려할 사항 273

참고 문헌 278

9. 어문 규범과 문법 교육 / 송창선 282

I. 품사 282

II. 단어 형성법 287

10. 스마트 교육: 수업 현장을 위한 스마트 워크 / 안태일 292

I. 기본 수업 자료 작성 효율도 향상 292

II. 클라우드 기반 설문 조사 제작법 299

11. 국어과 평가문항 제작의 실제 / 박윤희 302

I. 평가 일반에 대한 점검 302

II. 평가문항 제작의 내용 측면_평가 목표에 대한 고민 305

III. 평가문항 제작의 형식 측면 -평가 목표의 실현 방법에 대한 고민- 307

IV. 평가문항 분석 실습_형성평가1 유인물로 대치 311

V. 평가문항 제작 실습_형성평가2 유인물로 대치 311

VI. 평가문항 제작 관련 능력의 측정_총괄평가 311

12. 쓰기 수업으로 하는 인성지도 - 책 대화하기 - / 송승훈 312

I. 수업 설계 313

II. 수업 운영 316

III. 학생에 대한 평가 322

IV. 이 활동의 의미 324

참고자료 329

13. 고전문학 수업을 통한 인성함양 / 박지은 330

I. 心 열기 330

II. 以心傳心 331

III. 心 표현하기 336

14. 독서 토론의 실제 혹은 토론 정신 / 배광호 338

I. 독서가 묻고 토론이 답하다 338

II. SQ3R 기법 실습 339

III. 프렙 기법 실습 340

IV. 토론 정신 344

15. 판소리의 이론과 실제 - 국어 시간에 판소리 활용하기 - / 이래용 346

I. 판소리란 무엇인가 346

II. 판소리의 형성과 발전 346

III. 판소리의 가창 방법 348

IV. 판소리를 활용한 국어 수업 351

16. 시낭송 수업과 감성 교육 / 하정숙 352

17. 교육연극을 활용한 국어수업 / 노정 358

I. 교육연극이 무엇일까? 358

II. 교육연극, 국어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할까? 359

III. 닫는 말 370

참고 문헌 371

판권기 372

이용현황보기

중등국어1급정교사자격연수 : 앞서가는 연수·변화하는 교육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48873 411.071 -17-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