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재난기술·정보 공유를 위한 글로벌 체계 구축 = Building a framework for sharing disaster technology and information : 최종보고서. [1-2] / 국민안전처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민안전처, 2016
청구기호
363.34 -17-1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vii, xv, 428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MPSS-자연 ; 2012-55
자연재해예측및저감연구개발사업
재난안전기술개발사업단
제어번호
MONO1201710037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v.2는 부록임
참고문헌 수록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서론 29

1.1. 연구배경 30

1.2. 연구목적 및 내용 32

1.3. 연구추진 체계 35

(1세부) 방재기술·정보 공유를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지속적 유지관리 37

2.1. 글로벌 아젠다(HFA2, SDG 등)와의 연계를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 유지관리 방안 수립 38

2.1.1. 글로벌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및 유지방안 제시 38

2.1.2. 아시아권 협력국가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제1차 국제 세미나 개최 50

2.1.3. 아시아권 협력국가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제2차 국제 세미나 개최 79

2.1.4. 방재 기술 정보 및 정책 사례 조사 123

2.2. 맞춤형 방재기술·정보 활용 및 지속적 공유방안 수립 124

2.2.1. 맞춤형 방재기술 활용을 위한 해외 방재기술 콘텐츠 발굴 126

2.3. 전문가 국제 네트워크 유지관리 및 확대방안 수립 166

2.3.1. 국내외 방재 전문가를 활용한 방재기술·정보 지속적 공유 방안 수립 166

2.3.2. 국내외 방재 전문가를 활용한 네트워크 운영관리 및 해외 기술자료 수집 174

2.4. 국내외 방재기술·정보 콘텐츠 지속적 발굴 194

2.4.1. 자연재해 저감 방재 기술 적용사례 지속적 발굴 194

2.4.2. 플랫폼 활용 증대를 위해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한 방재기술 적용사례 보완 214

(2세부) 방재기술·정보 국제공유를 위한 웹기반 플랫폼 및 교육체계 고도화 233

3.1. 방재기술·정보 국제공유를 위한 웹기반 플랫폼 유지관리 및 발전방안 제시 234

3.1.1. 웹기반 플랫폼 유지관리 및 발전 방향 도출 234

3.1.2. 웹기반 플랫폼 유지관리 방안 제시 251

3.1.3. 웹기반 플랫폼 발전방안 제시 265

3.2. 방재기술·정보 국제공유를 위한 웹기반 플랫폼 고도화 286

3.2.1. 웹기반 플랫폼 기능 개선 286

3.2.2. 웹기반 플랫폼 DB 자료 지속적 업로드 327

3.3. 방재기술·정보 공유 활성화를 위한 사이버 교육과정 개발 331

3.3.1. 글로벌 방재기술·정보 공유를 위한 PBL/CS 기반 교육프로그램 추가 개발 및 운영방안 수립 331

3.3.2. 방재기술·정보 교육 플랫폼 고도화 355

3.3.3. 방재기술·정보 교육 플랫폼 지원체계 구축 364

3.4. 방재기술·정보 공유 촉진을 위한 교육콘텐츠 개발 및 커뮤니티 운영 370

3.4.1. 방재기술·정보 공유를 위한 PBL/CS 기반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국제 교육 실시 370

3.4.2. 방재기술·정보 공유를 위한 방재기술자료 업로드 및 국내 방재기술정보 제공업체 커뮤니티 지속적 운영 384

3.5. 웹 기반 플랫폼 연계 방안 397

3.5.1. 웹기반 플랫폼 향후 연구개발 방향 397

3.5.2. 방재기술·정보 공유를 위한 사이버 교육 향후 연구개발 방향 401

결론 404

연구개발 성과의 보안등급 및 연구실 안전조치 이행계획 415

참고문헌 418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서 424

표 1.1. 연구 목표 및 연구 내용 32

표 2.1. 국제 세미나 세부 프로그램 51

표 2.2. 국제 세미나 참가자 명단 53

표 2.3. 국제 세미나 세부 프로그램 81

표 2.4. 국제 세미나 참가자 명단 82

표 2.5. 기존 분석 방법과 금회 분석 방법 비교 139

표 2.6. 침수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140

표 2.7. 격자 구성 현황 142

표 2.8. 상류구간 침수분석 결과 145

표 2.9. 중류구간 침수분석 결과 147

표 2.10. 하류구간 침수분석 결과 149

표 2.11. 격자 구성 현황 153

표 2.12. 침수분석 결과 155

표 2.13. 시간대별 내수침수 분석 결과 158

표 2.14. 입력자료 비교 161

표 2.15. 지속기간별 내수침수 분석 결과 162

표 2.16. 관련기관별 역할 167

표 2.17. UNISDR Risk Model 179

표 2.18. Project case study 조사 항목 200

표 2.19. Technology case study 조사 항목 203

표 2.20. Problem-solving case study 조사 항목 207

표 2.21. pr4gdm 웹사이트 개선을 위한 의견 사항 225

표 2.22. 국내 전문가 자문의견 및 논의 사항 230

표 3.1. 유사플랫폼 유지관리 및 발전방안 248

표 3.2. 운영주체에 따른 플랫폼 운영방법 비교 254

표 3.3. 플랫폼 유지관리 운영조직(안) 및 주요 업무 257

표 3.4. 플랫폼 유지관리 분야 및 내용 259

표 3.5. 플랫폼 콘텐츠 내용 및 발전방안 274

표 3.6. 종류별 홍보방안 282

표 3.7. 정보제공자의 구분 및 특성 284

표 3.8. 보상의 종류와 대상 285

표 3.9. 개발 표준 컴포넌트 구성 요소 292

표 3.10. 1차년도 개발 플랫폼 구성내역 및 목표수준 298

표 3.11. 1차년도 개발 플랫폼 메뉴 상세내역 300

표 3.12. 운영 플랫폼 개선목표 317

표 3.13. 운영 플랫폼 개선내역 318

표 3.14. DRR Product 콘텐츠 구축내역 327

표 3.15. National Policy 콘텐츠 구축내역 329

표 3.16. Best Management Practices 구축내역 330

표 3.17. Kirkpatrick 평가모델 340

표 3.18. PBL/CS 기반 교육 프로그램 추가개발 내역 349

표 3.19. 사례기반 학습단계별 내용 356

표 3.20. CBL 교육 프로그램 구성 358

표 3.21. 교육 플랫폼 유지관리 및 주요 업무 366

표 3.22. 교육 플랫폼 유지관리 운영조직(안) 및 주요 업무 369

표 3.23. CBL의 특징 371

표 3.24. CBL 교육 콘텐츠 리스트 376

표 3.25. DRR Technology 방재기술 업체 리스트 385

표 3.26. 해외 방재기술자료 List 391

그림 1.1. 연구의 필요성 31

그림 1.2. 1차년도 연구 체계 36

그림 1.3. 2차년도 연구 체계 36

그림 2.1. 인적/자연적 재해 위험 지도(INFORM) 47

그림 2.2. 저개발국(Least Development Countries) 분포(UNDP) 47

그림 2.3.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위험도 지도(Germanwatch) 49

그림 2.4. 국제 세미나가 진행된 연세대학교 제2공학관 201호... 55

그림 2.5. Web-based pr4gdm Platform 소개 세션 57

그림 2.6. 중국의 재해위험경감 사례 분석 소개 59

그림 2.7. 인도네시아 재해위험관리 조직도 61

그림 2.8. 인도네시아의 재해위험경감 사례 분석 소개 63

그림 2.9. 몽골의 방재 조직도 64

그림 2.10. 몽골의 EDWS 시스템 조직도 65

그림 2.11. 몽골의 재해위험경감 사례 분석 소개 66

그림 2.12. 미얀마의 각종 재해 지도 67

그림 2.13. 각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얻어진 미얀마 홍수 지도 69

그림 2.14. 미얀마의 재해위험경감 사례 분석 소개 70

그림 2.15. 필리핀의 재해위험경감 사례 분석 소개 72

그림 2.16. 재해 위험도를 통한 5단계의 재해 구분과 그에 대응하는... 74

그림 2.17. 베트남의 재해위험경감 사례 분석 소개 75

그림 2.18. Web-based pr4gdm Platform 개선 사항에 대한 의견... 77

그림 2.19. 국제 세미나 종료 모습 78

그림 2.20. 국제 세미나가 진행된 연세대학교 공학원 372호 제... 85

그림 2.21. 인도의 재해위험경감 사례 분석 소개 모습 89

그림 2.22. InAWARE 플랫폼의 모습 91

그림 2.23. InaSAFE 플랫폼의 모습 92

그림 2.24. 인도네시아의 재해위험경감 사례 분석 소개 모습 93

그림 2.25. Bam 지역에 대한 Case study 94

그림 2.26. 이란의 재해위험경감 사례 분석 소개 모습 95

그림 2.27. EEWS의 작동 예시 96

그림 2.28. 일본의 EEWS 분포도 97

그림 2.29. TEWS의 개요도 98

그림 2.30. 일본의 재해위험경감 사례 분석 소개 모습 99

그림 2.31. 몽골 NEMA에서 운영중인 지진 조기경보센터 100

그림 2.32. CBS의 작동 개념도 101

그림 2.33.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ATTENTION 101

그림 2.34. 몽골의 재해위험경감 사례 분석 소개 모습 102

그림 2.35. Ayeyarwady 지역 104

그림 2.36. 미얀마의 재해위험경감 사례 분석 소개 모습 106

그림 2.37. 필리핀의 재해위험경감 사례 분석 소개 모습 108

그림 2.38. 원격탐측을 이용한 가뭄 피해 분석 110

그림 2.39. 각 지역별 피해도 분석 111

그림 2.40. 수확량 분석 112

그림 2.41. GIS를 이용한 정보 제공 112

그림 2.42. DMC 조직도 113

그림 2.43. 재해 관리 시스템 내의 DMC역할 114

그림 2.44. 가뭄지도 제작 115

그림 2.45. 조기경보시스템 VINAWARE 구축 115

그림 2.46. 태풍 경로 추적 116

그림 2.47. 지진 해일 추적 116

그림 2.48. 어플리케이션 개념도 118

그림 2.49. 솔루션 제공 예시 119

그림 2.50. TCDIS 시연 모습 120

그림 2.51. 참가자들의 자발적인 의견 교류 모습 122

그림 2.52. 제2회 국제 세미나 종료 모습 122

그림 2.53. 필리핀 전역의 홍수 피해와 산사태 피해 지역의 분포 125

그림 2.54. HEC-GeoRAS 모형 홍수범람도 예시 130

그림 2.55. Flumen 모형 홍수범람도 예시 131

그림 2.56. 대상지역 위치도 137

그림 2.57. 대상지역 침수피해 사례 137

그림 2.58. RRI의 2-D 분석 개념 138

그림 2.59. 침수분석 수행 절차 141

그림 2.60. 대상지역 삼각망 구축 현황 142

그림 2.61. Marbel 강 유역의 빈도별 홍수 수문곡선 143

그림 2.62. 하도단면 7+400의 수위변화 분석 143

그림 2.63. 외수 침수범람 구역도 144

그림 2.64. 상류구간 상세 침수범람도 146

그림 2.65. 중류구간 상세 침수범람도 148

그림 2.66. 하류구간 상세 침수범람도 150

그림 2.67. 외수침수 분석 자료현황도 152

그림 2.68. 대상지역 삼각망 구축 현황 153

그림 2.69. 25년 빈도 홍수 수문곡선 154

그림 2.70. 하도단면 4+000의 홍수위 곡선 154

그림 2.71. 외수침수 범람도 156

그림 2.72. 내수침수 범람도 157

그림 2.73. 시간대별 내수침수 범람도 158

그림 2.74. 내수침수 분석 자료현황도 160

그림 2.75. 지속기간별 내수침수 범람도 162

그림 2.76. 필리핀 코로나달 홍수범람 분석 보고서 및 발표자료 163

그림 2.77. 방재기술공유를 위한 커뮤니티 구성안 168

그림 2.78. 방재기술·공유를 위한 진행 현황 및 계획 171

그림 2.79. 방재기술 공유 보고서 "FLOOD MANAGEMENT... 173

그림 2.80. 방재기술 공유를 위한 발표자료(국제컨퍼런스) 173

그림 2.81. 재난에 대한 GZA에서의 분석 예 175

그림 2.82. StormTrap의 우수 저류 시스템 176

그림 2.83. StormTank 제품 177

그림 2.84. StormTank 모듈 177

그림 2.85. StormTank Shield 178

그림 2.86. Delft-FEWS(Delft-Flood Early Warning System) 182

그림 2.87. 재해 평가 프로그램 CAPRA 183

그림 2.88. 재해 평가 프로그램 CAPRA-WWJ : MapView 183

그림 2.89. ERN-NHRain(강우예측, 태풍) 184

그림 2.90. ERN-Flood(홍수범람, 홍수예측) 185

그림 2.91. Global Risk Data Platform 186

그림 2.92. The Swift toolkit 187

그림 2.93. Disaster Alert 188

그림 2.94. DisasterAWARE 189

그림 2.95. Weather Safety(web) 190

그림 2.96. Observations and Forecasts(web) 191

그림 2.97. The National Water Model 192

그림 2.98. DAnCE4Water 193

그림 2.99. 자연재해 저감 방재기술 적용사례 수집 절차 194

그림 2.100. 자연재해 저감 방재 기술 적용사례 조사 방안 수립 196

그림 2.101. 자연재해 저감 방재 기술 적용사례 조사 방안 수립 199

그림 2.102. 자연재해 저감 방재 기술 템플릿 적용 검토 213

그림 2.103.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한 방재기술 적용사례 보완 214

그림 2.104. 외국인 전문가 자문보고서(2~5월) 216

그림 2.105. 외국인 전문가 자문보고서(6~9월) 217

그림 2.106. 외국인 전문가 자문보고서(10~12월) 218

그림 2.107. pr4gdm 뉴스레터 219

그림 2.108. Preventionweb과 pr4gdm 연계 현황 220

그림 2.109. Global DRR Technology 브로셔 앞면 221

그림 2.110. Global DRR Technology 브로셔 뒷면 222

그림 2.111. Natural Hazards Observer 홍보 게재글_1 223

그림 2.112. Natural Hazards Observer 홍보 게재글_2 224

그림 3.1. GFDRR 홈페이지 237

그림 3.2. DRR Project Portal 홈페이지 239

그림 3.3. PreventionWeb 홈페이지 241

그림 3.4. WCDM 홈페이지 243

그림 3.5. IAFC 홈페이지 245

그림 3.6. 플랫폼 아키텍처 249

그림 3.7. 운영조직 구성 예시(1차년도) 256

그림 3.8. 플랫폼 유지관리체계 구성(안) 261

그림 3.9. 장애관리 프로세스(안) 263

그림 3.10. DRR Case Study 상세화면 268

그림 3.11. DRR Technology 상세화면 269

그림 3.12. DRR Policy 상세화면 270

그림 3.13. DRR Education 상세화면 271

그림 3.14. Community 상세화면 272

그림 3.15. 소셜미디어의 마케팅 활용방안 277

그림 3.16. GFDRR의 SNS 활용 사례 278

그림 3.17. Mobile Service 목표 및 비전 279

그림 3.18. 플랫폼 홍보 방안 281

그림 3.19. 네이밍/슬로건 제작 프로세스 283

그림 3.20. 개발표준 프레임워크의 특징 290

그림 3.21. 개발표준 프레임워크의 적용효과 290

그림 3.22. 개발표준 프레임워크의 공통컴포넌트 291

그림 3.23. 1차년도 플랫폼 개발 기본방향 296

그림 3.24. 1차년도 플랫폼 개발 구성도 297

그림 3.25. 개발 Front Page 메뉴 구성도 299

그림 3.26. Front Main Page 이미지 301

그림 3.27. 전체 정보검색(Search) 페이지 이미지 302

그림 3.28. DRR Case Study 콘텐츠 정보제공 페이지 이미지 303

그림 3.29. DRR Technology 정보검색(Search) 페이지 이미지 305

그림 3.30. DRR Technology 정보제공 페이지 이미지 306

그림 3.31. DRR Technology 전문가 평가 및 Opinion 페이지 이미지 307

그림 3.32. DRR Technology 평가항목 페이지 이미지 307

그림 3.33. DRR Technology 전문가 평가정보 페이지 이미지 308

그림 3.34. DRR Industry 정보조회 페이지 이미지 309

그림 3.35. DRR Policy 정보조회 페이지 이미지 310

그림 3.36. DRR Policy 국가별 정보조회 페이지 이미지 311

그림 3.37. DRR Policy 정보조회 상세 페이지 이미지 311

그림 3.38. Forum 서비스 페이지 이미지 312

그림 3.39. DRR Reference Site 정보조회 페이지 이미지 313

그림 3.40. DRR Event 정보조회 페이지 이미지 314

그림 3.41. DRR Event 정보 상세 페이지 이미지 315

그림 3.42. 개선된 Main Page 이미지 319

그림 3.43. 메인 페이지 Community,... 320

그림 3.44. Problem Solving 콘텐츠의 지역별 정보등록 현황 이미지 321

그림 3.45. Case Study 해당지역의 Google Map 연동 서비스 이미지 322

그림 3.46. 멀티미디어 연동 콘텐츠 에디터 323

그림 3.47. DRR Education 콘텐츠 제공 이미지 324

그림 3.48. RSS Feed 적용 이미지 326

그림 3.49. DRR 교육시스템 설계 방향 337

그림 3.50. DRR 교육시스템 Learning CS그룹 하위메뉴 339

그림 3.51. 사례기반 학습단계 356

그림 3.52. DRR Case Study DB의 교육 콘텐츠화 357

그림 3.53. CBL 기반 교육 콘텐츠 Disaster Situation 359

그림 3.54. CBL 기반 교육 콘텐츠 Identify the Problem 359

그림 3.55. CBL 기반 교육 콘텐츠 Problem Cause 360

그림 3.56. CBL 기반 교육 콘텐츠 Technology Alternatives 361

그림 3.57. CBL 기반 교육 콘텐츠 Implementation 362

그림 3.58. CBL 기반 교육 콘텐츠 Case Influence 363

그림 3.59. DRR 교육시스템 운영구성 내역 367

그림 3.60. 운영조직 구성도 368

그림 3.61. CBL의 문제해결 과정 371

그림 3.62. 일반적인 CBL 모형 예시 372

그림 3.63. CBL 구성(Learning Procedure) 375

그림 3.64. CBL 교육 콘텐츠 예시화면 379

그림 3.65. UNISDR-GETI 국제 교육 일정 및 배경 382

그림 3.66. AMCDRR 2016 국제회의 진행사진 383

그림 3.67. 웹 사이트내 DRR Company 표시화면 395

그림 3.68. 게시 자료에 대한 Opinion(Sample) 396

그림 3.69. 향후 연구개발 추진방향 397

그림 3.70. 플랫폼 활성화 방안 연구 399

표제지

목차

부록 1. 제1세부 과제 : 방재기술 Project Case Study 적용사례 조사 결과물(인하대학교) 485

1) 강우레이더 관측망 구축 및 운영 방안 연구 489

2) 해안 침수예상도 제작 및 보급에 관한 연구 493

3) 집중호우로 인한 산지토사재해예방을 위한 토석류 재해위험지도 제작 연구 502

4) Hazard Map of Potential Rapidly Moving Landslides in Western Oregon 507

5) 산사태 발생 위험지의 통합관리 방안 연구 515

6) 필리핀 재해방지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사업 520

7) 미래 지능형 엔도모픽 시스템 기반의 재난로봇 개발 사업 524

8) PSInSAR기법에 의한 모니터링 기술 개발 연구 529

9) 자연하천의 홍수범람 모의 및 가시화 방안 연구 533

10) 산지토사재해 방재시스템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538

11) AHP와 GIS분석을 이용한 지진해일 대피소 선정에 관한 연구 540

12) 수평굴착 기술을 활용한 도심지 지하붕괴 매몰지역의 긴급구호 방안에 관한 연구 542

13) 필리핀 산지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 개발 사업 545

14) 지진해일방재시스템 개발 사업 548

15) 대만의 지진발생 위험성 평가 551

16) 폭염에 의한 지역별 인명피해 발생에 관한 연구 553

17) CCTV를 활용한 폭풍 해일의 월파 횟수 탐지 및 방재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556

18) Database for Tsunami Hazard at Harbor Zones 559

19) 재해정보지도 표준 가시화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562

20) 네팔 정보재난복구센터 구축사업 565

21) 필리핀 메트로 마닐라 홍수조기경보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사업 567

22) ICT 기반 재해 대응형 SOC시설물 관리에 관한 연구 570

23) 방재국토 구축을 위한 GIS 활용방안 연구 573

24) 국가 가뭄관리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576

25)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uture flood damage on the river Meuse, with a distributed uncertainty analysis 580

26) 상수도 시설물의 지진 취약도에 관한 연구 583

27) 고해상도 위성영상 기반의 피해규모 자동산정시스템 개발 연구 587

28) Information technology for disaster management 590

29) 고용량 지리정보 및 재난 정보 기반 3차원 재난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신속한 재난 대응 체계 방안 연구 594

30) 에너지 자립형 도심지 토석류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현장 적용 연구 597

31) GIS/RS를 이용한 3개의 대표 시설물별 폭설 취약지역 추출기법 연구 600

32) 롯데건설, 사막화 방지 친환경 기술 개발 연구 603

33) 중국 감숙성 백은시 사막지역의 사막화 방지를 위한 실험적 연구 606

34) 위성활용기술로 환경재난 감시 정확도 증가를 위한 연구 609

35) 재난전조감지를 위한 위성센서 기술요구조건 분석 연구 612

36) 영상처리 기반의 하천인근 재난감지 알고리즘 개발 연구 615

37) 3차원 영상인식을 위한 다중영상매핑 시스템에 관한 연구 617

38)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해양기상서비스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619

39) 사물인터넷 기반 지하철 역사공간 재난대응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622

40) IoT와 재난 데이터를 활용한 지진 예측 분석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 625

41) 다중 위성정보를 활용한 폭설재난 대응 프로젝트 628

42) UAV기반 가뭄 모니터링 시범운용에 관한 연구 631

43) 공공데이터 기반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지역 예측에 관한 연구 634

44) 도로경사와 연령별 보행속도 차이를 고려한 자연재난 대피소의 입지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사례분석 636

45) 스마트폰 위치정보와 CCTV를 활용한 안전관제솔루션 개발 연구 639

46) 모바일 스트리밍을 통한 3차원 재난관리 프로젝트 642

47) 재난재해 사고현장에서의 열화상센서기반 인명탐지 기술 개발 연구 645

48) BioCAS를 이용한 상세기온 모의 및 실내 폭염 위험도 분석에 관한 연구 648

49) 국내 지진 조기 경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651

50) 재난현장 체험 시뮬레이션 구축 프로젝트 653

51) 홍수 감시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페타자카르타' 655

52) 태풍 캣모델 활용을 통한 리스크 평가 및 전가에 관한 연구 658

53) 진동대 실험을 통해 개선된 철근콘크리트 기둥 수치모델의 지진취약도 분석 프로젝트 662

54) 댐 주변지역의 산사태에 따른 댐의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665

55) 수자원/수재해 전용 위성 시스템 기술 개발 기획 프로젝트 669

56) 가뭄 대응을 위한 지표수 연계 기반 지하수자원 확보 및 활용 기술 개발 기획 프로젝트 672

57) 지진 및 기후변화 대응 소규모/기존 건축물 구조안전성 향상기술 개발 프로젝트 676

58) 서울 지역 건축 문화재를 위한 지반 공학 관점에서 본 지진 재해 위험도 평가 프로젝트 680

59) 류큐해구 단층 지진원을 고려한 지진해일 침수예상도 제작 프로젝트 683

60) 지상 LiDAR 및 Kanako-2D를 이용한 토석류 피해지 분석 연구 686

61) 초고층 건축물의 지하 피난안전구역의 표준화 연구 689

62) 브라질의 지능형 운영센터 프로젝트 693

부록 2. 제1세부 과제 : 방재기술 Technology Case Study 적용사례 조사 결과물(인하대학교 & (주)헥코리아) 696

1) 사찰 문화재 화재감시 시스템 700

2) IBM 재해복구 시스템 703

3) 기후변화 폭우재해 적응 안전도시 시스템 707

4) 자동음성(문자) 통보시스템 711

5) 자동우량경보시스템 715

6) 국가 가뭄관리 정보시스템 719

7) 실시간 홍수 경고 지도(Live Flood Warning map) 724

8) '재난 방재형 호주' 지도 서비스 727

9) 지진 지역위험도 지도(Community's Earthquake Risk Map) 731

10) Seismic Monitor System 734

11) Aftershocks System 737

12) 공간정보 기반 산불발생위치정보 시스템 741

13) GIS 기반 폭풍해일 시각화를 통한 웹 서비스 시스템 744

14) 3시간 이상 화재에 견디는 강재 노출형 합성보 747

15) Tsunami Hazard map 750

16) 웹 GIS기반 태풍위원회 재해정보시스템 753

17) 재난대응 4족 로봇 '하이Q' 756

18) 미국 지질조사국 지진감지 기술 759

19) TDRS(Tsunami Disaster Response System) 762

20) 급경사지 붕괴위험도 판단시스템 765

21) 산불정보하이브리드앱 767

22) 산불감시시스템 770

23) 클라우드 방재기상정보시스템 772

24) 링크식 자동제진기 775

25) 재난전조정보관리시스템(DPI-CS) 778

26) 실시간 재난현장 영상전송시스템 781

27) 국가 원자력 재난관리시스템, 아톰케어(AtomCARE) 784

28) LRAD시스템(One Voice) 787

29) 재난음성 경보 시스템 789

30) 원격수위/우량측정시스템 792

31) 도시고온 건강지수 체크 시스템 794

32) 스카가와시의 홍수위험지도 797

33) 소형레이더를 활용한 웹, 모바일 홍수 예·경보 시스템 800

34) 클라우드 기반 영상수위계 시스템 River Eye 803

35) GIS기반 소방취약지 분석관리 서비스 플랫폼 806

36) 지반재해 Support 지도 808

37) Think Hazard! 812

38) 낙뢰방지시스템 DAS(Dissipation Array System) 815

39) 저압용 낙뢰보호장치 비츠로머티리얼 서지보호기 818

40) 일본의 눈사태 방호시설 모니터링 및 예보시스템 구축과 운영 기술 821

41) 세종시 산불무인관제시스템 823

42) 아소산 분화구 실시간 라이브 채널 825

43) 실시간 폭염 측정 지도 시스템 827

44) 홍수 경감 및 예방을 위한 녹색지붕(Green Roofs) 830

45) 열대 지하수, 기후 복원력 있는 담수자원 833

46) 원전 해체용 절단 로봇 836

47) 리코, 눈사태 구조 시스템 839

48) KT, 재난 지역에 '드론 기지국' 842

49) 열화상 측정능력을 갖춘 상업용 드론 개발 844

50) 국토해양 재난영상 전송시스템 847

51) 날씨 관측지원을 위한 '웨더봇' 849

52) 국토해양 재난종합상황 관리시스템 852

53) 산불 대책용 '맞불 놓는 드론' 855

54) k-water, 전국 수자원 재난영상시스템 857

55) 지진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어플 '마이쉐이크' 860

56) 실시간 재난관리 첨단방재 시스템 863

57)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사막화 방지 시스템 865

58) 해양오염대응시스템(MAMIS) 앱 868

59)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미국 도시의 첨단 제설 앱 870

60) 지진감지기, 가스누출탐지기가 장착된 보일러 874

61) 진동 감지 기능이 있는 충격 센서 램프 876

62) 지진진동계측시스템 기술 878

63) USGS의 싱크홀 분포지도 880

64) 삼성화재의 방재기상정보시스템 883

65) A&D엔지니어링의 CMS 885

66) 쓰나미에서 살아남기, 현대판 '노아의 방주' 887

67) 지진발생 자동감지 시스템이 탑재된 방공호침대 889

68) 고층건물 대피용 미끄럼틀 891

69) MAEViz를 이용한 지질 분석 시스템 893

70) 스트리트 범프를 활용한 실시간 도로상황 감지시스템 896

71) 실시간 급경사지 전력설비 안정해석 프로그램(KISS) 899

72) 지진, 태풍 등 재해 발생시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 902

73) E-larmS: Earthquake early warning algorithm 905

74) GZA, Climate Change and Hazard Planning 908

75) Stormwater Management Application 910

76) StromTank 912

77) StromTank Shield 914

78) StromTank Pack 916

79) StromTank Arch 918

80) CAPRA 920

81) CAPRA-WWJ : MapView 922

82) ERN-NHRain 924

83) ERN-Flood 926

84) Global Risk Data Platform 928

85) The Swift toolkit 930

86) HAZAUS-MH Models 932

87) Delft-FEWS(Delft-Flood Early Warning System) 934

88) Disaster Alert 936

89) DisasterAWARE 938

90) Weather Safety 940

91) Observations and Forecasts 942

92) The National Water Model 944

93) DAnCE4Water 946

부록 3. 제1세부 과제 : 방재기술 Problem-Solving Case Study 적용사례 조사 결과물(인하대학교 & 연세대학교) 948

1) 강원도 영동지역 폭설 사례 953

2) 스리랑카 지진해일 피해 사례 959

3) 강원도 인제군 집중호우 피해 사례 964

4) 태국 Numko 지역 홍수 및 산사태 피해 사례 971

5) Using the data mapping Nepal Earthquake Recovery 978

6) Time-critical Disaster Response by Cooperating with International Charter 984

7) 지진 구호를 위한 지반 드릴링 기술 활용 사례 989

8) 통신 두절로 인한 혼란을 막기 위한 '재해용 전언판' 서비스 992

9) 구마모토 지진 피해지역에 띄운 열기구 기지국 995

10) 홍콩의 산지사면재해 저감을 위한 사방사업 적용사례 998

11) 일본 원전사고 복구를 위한 미국 방재로봇 '팩봇' 적용사례 1001

12) Landslide early warning in Costa Rica 1005

13) SARS 전염 지역 분석 관리 및 예방 시스템 구축 사례 1009

14) KEPCO, 태풍 '산바' 피해 하루만에 완전 복구 사례 1012

15) 장마철 침수로 단수시 '아리수 복구지원팀' 출동 사례 1015

16) '17개국 사막화' 산림복원기술로 방지 사례 1018

17) 미세먼지 감소와 폭염해소를 위한 '클린로드시스템' 개발 사례 1021

18) 민간 소형 드론을 이용한 잔불감시 및 산불진화 사례 1024

19) 인도네시아 강타한 홍수피해 조기복구 사업 사례 1027

20) 허리케인 방재 선진국 쿠바의 사례 1031

21) '동일본 대지진' 지역 활성화 사례 1035

22) 중국 쓰촨성 원촨 대지진 복구 사례 1040

23) 대만 NCDR의 재해관리 사례 1044

24) 산지 사면재해 저감을 위한 사방사업 적용 사례 1048

25) 독일연방기술지원단의 재난대응 협력체계 구축사례 1051

26)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within a field hospital deployment following the January 2010 Haiti earthquake disaster 1056

27)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Evacuation Simulation in Fire Disaster 1061

28) Mobile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Android Technology 1065

29) Application of computer simulation technology for structure analysis in disaster 1072

30) Application of computer simulation technology for structure analysis in disaster 1077

31) Application of MEMS to Monitoring System for Natural Disaster Reduction 1080

32) Research and Application of Jinggangshan Geologic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1084

33) Spatial mashup technology and real time data integration in geo-web application using open source GIS - a case study for disaster management 1088

34) Forest fire analysis with remore sensing data 1093

35) Using Remote Sensing to Assess Russian Forest Fire Carbon Emissions 1096

36) Influence of fire severity on plant regeneration by means of remote sensing imagery 1100

37) GIS in the World Trade Center attack - trial by fire 1103

38) Prehospital management of sarin nerve gas terrorism in urban settings: 10 years of progress after the Tokyo subway sarin attack 1107

39) Quantitative Evidence for Increasing Forest Fire Severity in the Sierra Nevada and Southern Cascade Mountains, California and Nevada, USA 1110

40) Automatic Mapping of Surfaces Affected by Forest Fires in Spain Using AVHRR NDVI Composite Image Data 1113

41) Combining NDVI and surface temperature for the estimation of live fuel moisture content in forest fire danger rating 1116

42) Integration of satellite sensor data, fuel type maps 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s for evaluation of forest fire risk at the pan-European scale 1119

43) The amount of carbon released from peat and foret fires in Indonesia during 1997 1123

44) Neural Networks for Oil Spill Detection Using ERS-SAR Data 1127

45) State of the art satellite and airborne marine oil spill remote sensing: Application to the BP Deepwater Horizon oil spill 1131

46) Advances in Remote Sensing for Oil Spill Disaster Management: State-of-the-Art Sensors Technology for Oil Spill Surveillance 1135

47) Oil spill detection by satellite remote sensing 1140

48) Emergency Response to the Nuclear Accident at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s using Mobile Rescue Robots 1143

49) Increase in tropospheric nitrogen dioxide over China observed from space 1147

50) Aerial radiation monitoring around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using an unmanned helicopter 1151

51) Low-cost Multi-UAV Technologies for Contour Mapping of Nuclear Radiatino Field 1155

52) Satellite remote sensing of change in NOx emissions over China during 1996-2010 1159

53) Volcanic ash from Iceland over Munich: mass concentration retrieved from ground-based remote sensing measurements 1162

54) 류큐해구 단층 지진원을 고려한 지진해일 침수예상도 1167

55) Atmospheric water vapour correction to InSAR surface motion measurements on mountains: results from a dense GPS network on Mount Etna 1171

56) Fault slip distribution of two June 2000 Mw6.5 earthquakes in South Iceland estimated from joint inversion of InSAR and GPS measurements 1175

57) Crustal deformation and fault slip during the seismic cycle in the North Chile subduction zone, from GPS and InSAR observations 1180

58) InSAR surface displacement field and fault modelling for the 2003 Bam earthquake(southeastern Iran) 1186

59) Evaluation of earthquake potential and surface deformation by Differential Interferometry 1190

60) GIS-based support vector machine modeling of earthquake-triggered landslide susceptibility in the Jianjing River watershed, China 1195

61) Twitter earthquake detection: earthquake monitoring in a social world 1201

62) Correcting atmospheric effects on InSAR with MERIS water vapour data and elevation-dependent interpolation model 1205

63) Enhanced remote earthquake triggering at fluid-injection sites in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1209

64) Tweet analysis for real-time event detection and earthquake reporting system development 1214

65) 3D coseismic deformations and source parameters of the 2010 Yushu earthquake(China) inferred from DInSAR and multiple-aperture InSAR measurements 1218

66) Coseismic and postseismic deformation estimation of the 2011 Tohoku earthquake in Kanto Region, Japan, using InSAR time series analysis and GPS 1223

67) Statistical comparison of InSAR tropospheric correction techniques 1227

68) MODIS-based estimates of strong snow surface temperature anomaly related to high altitude earthquake of 2015 1231

69) 소규모 분지에서의 지진 지반운동 모델링 1235

70) 지진 및 지각변동 감지를 위한 정밀절대측위 솔루션 개발 1240

71) 지하수 모니터링 이상변동 자료를 이용한 소규모 지진 영향 유추 1244

72) 경험자료에 의한 동해안의 지진해일 재해도 평가 1249

73) 정밀절대측위에 대한 지진 전·후 동아시아 지역 지각변동 모니터링: 도호쿠 대지진을 중심으로 1253

74) 공간정보기반 3차원 가상현실을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제작 1258

75) 홍수 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홍수 빈도별 침수지역 분석 -논산천·노성천 유역을 중심으로 1262

76) 홍수재해관리를 위한 3차원 GSIS적용 3D GSIS Application for Managing Flood Disaster 1266

77) 홍수에 의한 침수 취약지역 예측에 관한 연구 1272

78) 홍수방재능력 향상을 위한 채택 가능한 설계 극한강우량의 결정 1277

79) 모바일GIS를 이용한 홍수 위험 경보 서비스 구현 1283

80) 이변량 Gumbel 혼합모형을 이용한 홍수심도 평가 1288

81) 홍수범람해석모형을 이용한 침수피해 저감방안 연구 - 진위천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1293

82) LiDAR 자료를 이용한 홍수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1297

83) Flood Prevention of the Demer using Model Predictive Control 1302

84) 만곡하천에서 수공구조물에 의한 하천범람 예방 1306

85) 화포천 유역의 천변저류지 조성을 통한 홍수 저감효과 분석 1313

86) 빈도비 모델과 GIS을 이용한 침수 취약 지역 예측 기법 개발 및 검증 1318

87) 신경망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하도유출 예측 및 홍수예경보 이용 1323

88) Kalman Filtering 기법을 이용한 수리학적 홍수예측 1330

89) 수문관측 기반의 청계천 홍수예측모델 구축 1335

90) 회귀분석에 의한 도시홍수 예보시스템의 개발 1340

91) FLUMEN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모의 1344

92) GIS 기반 FLUMEN 모형을 이용한 남대천 홍수범람 모의실험 1348

93) 통계적 돌발홍수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1352

94) 홍수범람지역 가시화를 위한 3차원 GIS 시스템 개발 1356

95) 홍수범람도 불확실성 해석을 위한 인공위성사진의 활용 1361

부록 4. 제1세부 과제 : 상시 외국인 전문가 자문 보고서(인하대학교) 1366

1) Report of Activities for February 2016 1367

2) Report of Activities for March 2016 1371

3) Report of Activities for April 2016 1374

4) Report of Activities for May 2016 1377

5) Report of Activities for June 2016 1379

6) Report of Activities for July 2016 1381

7) Report of Activities for August 2016 1383

8) Report of Activities for September 2016 1385

9) Report of Activities for October 2016 1387

10) Report of Activities for November 2016 1389

11) Report of Activities for December 2016 1391

부록 5. 제1세부 과제 : 방재기술 공유 보고서(FLOOD MANAGEMENT PLAN IN MANILA, PHILIPPINES)(헥코리아) 1393

부록 6. 제1세부 과제 : Inundation analysis for flood risk management 발표자료(헥코리아) 140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52931 363.34 -17-12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52932 363.34 -17-12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52933 363.34 -17-12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52934 363.34 -17-12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