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내현천 하천기본계획. [1-2] / 충청남도 [편] 인기도
발행사항
홍성군 : 충청남도, 2016
청구기호
627.12 -17-2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책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총서사항
도보 ; 제2358호
충청남도 고시 ; 제2016-426호
제어번호
MONO1201710581
주기사항
v.2는 부록임
[연구기관]: (주)장맥엔지니어링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목차

내현천 하천기본계획 1

제출문 2

목차 3

제1장 개요 9

1.1. 계획의 목적 10

1.1.1. 하천기본계획 10

1.1.2. 하천시설관리대장 10

1.2. 계획의 범위 10

1.3. 기본원칙 11

1.3.1. 수립주체 11

1.3.2. 수립방향 11

1.3.3. 주요내용 11

1.4. 유역현황도 12

제2장 유역 및 하천 현황 13

2.1. 유역현황 14

2.1.1. 유역의 개황 14

2.1.2. 수계의 구성 14

2.1.3. 유역의 특성 16

2.2. 하천특성 29

2.2.1. 하천사업의 연혁 29

2.2.2. 치수 부문 29

2.2.3. 이수 부문 37

2.2.4. 하천환경 부문 40

2.2.5. 하천이용 부문 54

2.3. 관련계획 검토 및 조정 55

2.3.1. 상위계획 55

2.3.2. 관련계획 55

제3장 종합분석 57

3.1. 치수특성 분석 58

3.1.1.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58

3.1.2. 하상변동분석 64

3.1.3. 시설물 능력검토 65

3.2. 이수특성 분석 68

3.2.1. 수자원 부존량 산정 68

3.2.2. 하천관리유량 산정 70

3.2.3. 하천수 사용시설물 수요・공급량 추정 72

3.3. 하천환경특성 분석 74

3.3.1. 하천의 물리특성 74

3.3.2. 생물서식성 75

3.3.3. 수환경성 75

제4장 하천 정비 및 관리 계획 76

4.1. 치수 종합계획 77

4.1.1. 기본방향 설정 77

4.1.2. 치수 정비 및 관리 계획 78

4.2. 이수 종합계획 89

4.2.1. 기본방향 설정 89

4.2.2. 이수 정비 및 관리 계획 89

4.3. 하천환경 종합계획 91

4.3.1. 기본방향 설정 91

4.3.2. 하천환경 정비 및 관리 계획 91

4.4. 하천공간 관리계획 93

4.4.1. 하천의 관리구간구분 93

4.4.2. 친자연형 하천계획 95

제5장 투자계획 및 기대효과 96

5.1. 경제성 분석 97

5.2. 소요재원 산정 100

5.3. 투자우선순위 검토 100

5.4. 결론 및 기대효과 101

5.4.1. 하천기본계획 고시에 관한 사항 101

5.4.2. 주요 사업내용 103

5.4.3. 기대효과 103

5.4.4. 결론 및 건의사항 105

내현천 하천기본계획(부록) 106

제출문 107

목차 108

제1장 개요 124

1.1. 하천일람 현황 125

제2장 유역 및 하천 현황 126

2.1. 유역현황 127

2.1.1. 유역의 개황 127

2.1.2. 수계의 구성 129

2.1.3. 유역의 특성 130

2.2. 하천특성 167

2.2.1. 하천사업의 연혁 167

2.2.3. 이수 부문 190

2.2.4. 하천현황 부문 194

2.2.5. 하천이용 부문 284

2.3. 관련계획 검토 및 조정 284

2.3.1. 대천천 하천기본계획(변경)(충청남도, 2012. 12) 284

2.3.2. 보령시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보령시, 2011.5) 294

2.3.4. 2020년 보령도시기본계획(보령시, 2014.12) 297

2.3.4. 보령시 수도정비기본계획(변경) (보령시, 2015.6) 300

2.3.5. 보령시 하수도정비 기본계획(변경) (보령시, 2010. 10) 302

2.3.6.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6~2020)(건설교통부·수자원공사, 2006) 303

2.3.7. 소하천 정비종합계획(보령시, 2004. 8) 304

2.3.8. 내현지구 농촌용수개발사업 306

제3장 종합분석 307

3.1. 치수특성 분석 308

3.1.1.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308

3.1.2. 하상변동분석 382

3.1.3. 시설물 능력검토 399

3.2. 이수특성 분석 406

3.2.1. 수자원 부존량 산정 406

3.2.2. 하천관리유량 산정 417

3.2.3. 하천수 사용시설물 수요・공급량 추정 424

3.3. 하천환경특성 분석 434

3.3.1. 하천의 물리특성 434

3.3.2. 생물서식성 437

3.3.3. 수환경성 438

제4장 하천 정비 및 관리 계획 441

4.1. 치수 종합계획 445

4.1.1. 기본방향 설정 445

4.1.2. 치수 정비 및 관리 계획 445

4.2. 이수 종합계획 486

4.2.1. 기본방향 설정 486

4.2.2. 이수 정비 및 관리 계획 487

4.3. 하천환경 종합계획 495

4.3.1. 기본방향 설정 495

4.3.2. 하천환경 정비 및 관리 계획 508

4.4. 하천공간 관리계획 511

4.4.1. 하천의 관리구간구분 511

4.4.2. 친자연형 하천계획 520

제5장 투자계획 및 기대효과 527

5.1. 경제성 분석 528

5.1.1. 치수사업의 편익산정 530

5.1.2. 치수경제성 분석 547

5.2. 소요재원 산정 559

5.3. 투자우선순위 검토 560

5.3.1. AHP 기법 560

5.3.2. 평가기준 561

5.3.3. 가중치 산정 564

5.3.4. 투자우선순위 결정 565

5.4. 결론 및 기대효과 566

5.4.1. 하천기본계획 고시에 관한 사항 566

5.4.2. 주요 사업내용 574

5.4.3. 기대효과 575

5.4.4. 결론 및 건의사항 576

제6장 기타 참고자료 578

6.1. 측량성과 579

6.1.1. 측량계산부 579

6.1.2. 공공측량성과심사 621

6.1.3. 횡단면도 좌표 625

6.2. 분석자료 635

6.2.1. 유출 및 유황분석 635

6.2.2. 확률강우량 및 강우강도 700

6.2.3. 홍수량 산정 834

6.2.4. 홍수위 산정 835

6.2.5. 평형하상경사 분석 848

6.2.6. 시설물 능력검토 849

6.2.7. 용수추정 및 물수지 분석 851

6.2.8. 치수경제성 분석 853

6.3. 협의자료 915

6.3.1. 관계기관 협의결과 915

6.3.2. 주민설명회 개최 결과 922

6.3.3. 자문 결과 934

6.3.4.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결과 951

6.3.5. 금강홍수통제소 협의결과 957

6.3.6. 하천관리위원회 심의의견 검토 및 조치결과 961

6.3.7. 고시문 978

부도 990

지형평면도 991

종단면도 998

횡단면도 1003

내현천 하천기본계획 5

〈표 1.2-1〉 계획의 범위 10

〈표 1.3-1〉 하천기본계획 수립 주요 내용 11

〈표 2.1-1〉 수계의 구성 14

〈표 2.1-2〉 평면적 특성 16

〈표 2.1-3〉 표고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17

〈표 2.1-4〉 경사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17

〈표 2.1-5〉 소유역별 평균고도 및 평균경사 18

〈표 2.1-6〉 지질형별 특성 19

〈표 2.1-7〉 수문학적 토양군 구성비 19

〈표 2.1-8〉 토지이용현황 20

〈표 2.1-9〉 보령시 청라면의 토지이용 변화 추이 20

〈표 2.1-10〉 행정구역별 인구현황 22

〈표 2.1-11〉 유역의 인구현황 22

〈표 2.1-12〉 인구추이 분석 23

〈표 2.1-13〉 문화재 총괄 24

〈표 2.1-14〉 보령시 청라면 주요문화재 현황사진 24

〈표 2.1-15〉 기상관측소 현황 25

〈표 2.1-16〉 우량관측소 현황 25

〈표 2.1-17〉 수위관측소 현황 26

〈표 2.1-18〉 기상개황 27

〈표 2.1-19〉 기상일수 28

〈표 2.1-20〉 유황분석 결과 28

〈표 2.2-1〉 하천기본계획 및 하천정비 현황 29

〈표 2.2-2〉 제방 시설물 현황 29

〈표 2.2-3〉 기존배수시설물 현황 30

〈표 2.2-4〉 입경별 통과중량 백분율 31

〈표 2.2-5〉 평균입경, 수중비중, 입도분포 31

〈표 2.2-6〉 산정방법별 유사량 산정결과 31

〈표 2.2-7〉 하천 만곡도 32

〈표 2.2-8〉 만곡부 현황 32

〈표 2.2-9〉 내현천 주요구간별 횡단형 33

〈표 2.2-10〉 구간별 하상경사 34

〈표 2.2-11〉 보령시 자연재해 현황 35

〈표 2.2-12〉 내현천 홍수피해 취약지역 조사 36

〈표 2.2-13〉 저수지 현황 37

〈표 2.2-14〉 생활용수 이용량(광역상수도) 38

〈표 2.2-15〉 농업용수 이용량 38

〈표 2.2-16〉 내현천 유역내 지하수 이용량 현황 40

〈표 2.2-17〉 환경시설물 현황 40

〈표 2.2-18〉 하천수질 측정조사 결과 47

〈표 2.2-19〉 하천저질 측정조사 결과 48

〈표 2.2-20〉 유역의 오염원 현황 49

〈표 2.2-21〉 유역의 장래 인구예측 49

〈표 2.2-22〉 생활계 발생부하량 50

〈표 2.2-23〉 유역의 가축두수 현황 50

〈표 2.2-24〉 축산계 발생부하량 50

〈표 2.2-25〉 유역의 지목별 면적 현황 50

〈표 2.2-26〉 토지계 발생부하량 51

〈표 2.2-27〉 오염원별 발생부하량(2014년) 51

〈표 2.2-28〉 생활계 배출부하량 51

〈표 2.2-29〉 축산계 배출부하량 52

〈표 2.2-30〉 토지계 배출부하량 52

〈표 2.2-31〉 오염원별 배출부하량(2014년) 52

〈표 2.2-32〉 유역의 유달부하량(2014년) 53

〈표 2.2-33〉 유역의 장래 유달부하량 53

〈표 2.2-34〉 유역의 주요 동식물상 54

〈표 3.1-1〉 빈도별 지속시간별 확률 강우량 58

〈표 3.1-2〉 홍수량 산정지점 58

〈표 3.1-3〉 계획홍수량 결정 60

〈표 3.1-4〉 구간별 조도계수 61

〈표 3.1-5〉 기점홍수위 61

〈표 3.1-6〉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62

〈표 3.1-7〉 계획하폭 63

〈표 3.1-8〉 평형하상고 산정 64

〈표 3.1-9〉 기성제방 현황 및 능력검토 65

〈표 3.1-10〉 기존배수시설물 현황 및 능력검토 66

〈표 3.1-11〉 보 및 낙차공 현황 및 계획 67

〈표 3.1-12〉 교량 능력검토 67

〈표 3.2-1〉 보령관측소 월평균강우량(2006~2015년) 68

〈표 3.2-2〉 방법별 평균 유출량 비교 69

〈표 3.2-3〉 수자원 부존량 70

〈표 3.2-4〉 유황분석 결과 70

〈표 3.2-5〉 하천유지유량 설정 71

〈표 3.2-6〉 이수유량 산정결과 71

〈표 3.2-7〉 내현천 하천관리유량 산정 72

〈표 3.2-8〉 지구별 생활용수 수요량 72

〈표 3.2-9〉 지구별 농업용수 산정결과 73

〈표 3.3-1〉 하천자연도 등급 산정결과 74

〈표 3.3-2〉 하천의 수환경성 75

〈표 4.1-1〉 기존 시설물 현황 78

〈표 4.1-2〉 지구별 개수계획 79

〈표 4.1-3〉 내현천 배수시설 정비계획 83

〈표 4.1-4〉 취수보 및 낙차공, 하상유지공 개선계획 총괄표 84

〈표 4.1-5〉 보 및 낙차공 현황 및 계획 84

〈표 4.1-6〉 교량 능력검토 85

〈표 4.2-1〉 하천관리유량 89

〈표 4.2-2〉 유황분석 결과 90

〈표 4.2-3〉 계획년도별 갈수량과 물수지 90

〈표 4.4-1〉 하천공간 구간별 관리계획 94

〈표 5.1-1〉 치수경제성분석 대상지구 97

〈표 5.1-2〉 투자효율 분석결과 99

〈표 5.2-1〉 소요 사업비 100

〈표 5.3-1〉 사업투자 우선순위 100

내현천 하천기본계획(부록) 111

〈표 2.1-1〉 수계의 구성 129

〈표 2.1-2〉 주요 지점별 유역특성 130

〈표 2.1-3〉 표고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131

〈표 2.1-4〉 경사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132

〈표 2.1-5〉 소유역별 평균고도 및 평균경사 132

〈표 2.1-6〉 지질형별 특성 136

〈표 2.1-7〉 지질계통도 136

〈표 2.1-8〉 토양의 수문학적 토양군으로의 분류기준 138

〈표 2.1-9〉 정밀토양도 토양형의 수문학적 분류 139

〈표 2.1-10〉 수문학적 토양군 구성비 139

〈표 2.1-11〉 토지이용현황 141

〈표 2.1-12〉 연도별 토지이용 변화 141

〈표 2.1-13〉 행정구역별 인구현황 143

〈표 2.1-14〉 유역의 인구현황 143

〈표 2.1-15〉 인구추이 분석 144

〈표 2.1-16〉 문화재 현황 145

〈표 2.1-17〉 기상관측소 현황 147

〈표 2.1-18〉 우량관측소 현황 148

〈표 2.1-19〉 우량관측기록 보유현황 148

〈표 2.1-20〉 수위관측소 현황 149

〈표 2.1-21〉 수위관측기록 보유현황 149

〈표 2.1-22〉 기상 현황 (보령관측소) 151

〈표 2.1-23〉 월별 강수량 155

〈표 2.1-24〉 Tank 모형의 최적 매개변수 160

〈표 2.1-25〉 잠재증발산량 160

〈표 2.1-26〉 Tank 모형에 의한 월별 평균유출량 160

〈표 2.1-27〉 DAWAST 모형에 의한 월별 평균유출량 162

〈표 2.1-28〉 Kajiyama 공식 유출특성계수 f 163

〈표 2.1-29〉 Kajiyama 공식 월별 보정치 E의 값 163

〈표 2.1-30〉 Kajiyama공식에 의한 월별 평균유출량 164

〈표 2.1-31〉 방법별 평균 유출량 비교 165

〈표 2.1-32〉 수자원 부존량의 구성 165

〈표 2.1-33〉 내현천 유역의 유황 166

〈표 2.2-1〉 하천기본계획 및 하천정비 현황 167

〈표 2.2-2〉 제방 현황 167

〈표 2.2-3〉 입경별 통과중량 백분율 170

〈표 2.2-4〉 평균입경, 수중비중, 입도분포 170

〈표 2.2-5〉 하천유사의 구분 171

〈표 2.2-6〉 유사량 공식의 특징 172

〈표 2.2-7〉 각 유사량 공식의 적정적용한계 173

〈표 2.2-8〉 산정방법별 유사량 산정결과 175

〈표 2.2-9〉 만곡부 현황 179

〈표 2.2-10〉 내현천 주요구간별 횡단형 179

〈표 2.2-11〉 구간별 하상경사 181

〈표 2.2-12〉 지배유량에 따른 하도수리량 182

〈표 2.2-13〉 과거 주요호우 및 수해현황 183

〈표 2.2-14〉 재해현황 (보령시) 184

〈표 2.2-15〉 우리나라 과거 주요 가뭄편 185

〈표 2.2-16〉 연강수량 부족과 농업피해 발생에 따른 과거 가뭄시기 186

〈표 2.2-17〉 가뭄피해 현황 187

〈표 2.2-18〉 가뭄의 영향 188

〈표 2.2-19〉 가뭄 대책 189

〈표 2.2-20〉 저수지 현황 190

〈표 2.2-21〉 생활용수 이용량 191

〈표 2.2-22〉 급수 사용량 및 공업용수 이용량 192

〈표 2.2-23〉 농업용수 이용량 192

〈표 2.2-24〉 지하수이용 현황 193

〈표 2.2-25〉 하수처리시설 현황 194

〈표 2.2-26〉 분뇨처리시설 현황 196

〈표 2.2-27〉 매립시설 현황 196

〈표 2.2-28〉 소각시설 현황 196

〈표 2.2-29〉 기타시설 현황 196

〈표 2.2-30〉 환경관련 지역ㆍ지구 지정현황 197

〈표 2.2-31〉 평가 대상지역 설정 198

〈표 2.2-32〉 영향예측 199

〈표 2.2-33〉 저감방안 200

〈표 2.2-34〉 산업 및 농공단지 현황 201

〈표 2.2-35〉 도로 현황 202

〈표 2.2-36〉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현황 202

〈표 2.2-37〉 측정조사지점 203

〈표 2.2-38〉 조사항목 203

〈표 2.2-39〉 하천수질 측정조사 결과 204

〈표 2.2-40〉 하천수질 환경기준 205

〈표 2.2-41〉 하천저질 측정조사 결과 206

〈표 2.2-42〉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 207

〈표 2.2-43〉 하천ㆍ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 208

〈표 2.2-44〉 오니토 준설기준(국내) 208

〈표 2.2-45〉 오염원 현황(인구) 211

〈표 2.2-46〉 오염원 현황(가축수) 211

〈표 2.2-47〉 오염원 현황(폐수배출업소 및 토지이용 현황) 211

〈표 2.2-48〉 오염원 현황(매립시설 및 양식장) 211

〈표 2.2-49〉 생활계 분뇨발생유량 원단위, 분뇨발생유량비 및 잡배수오수전활율 213

〈표 2.2-50〉 생활계 오수발생유량 현황 213

〈표 2.2-51〉 생활계 가정인구 발생부하 원단위 및 분뇨발생부하비 213

〈표 2.2-52〉 생활계 영업장 오수발생 표준농도 214

〈표 2.2-53〉 생활계 발생부하량 현황 216

〈표 2.2-54〉 축종별 발생유량 원단위 216

〈표 2.2-55〉 축산폐수 발생부하 원단위 216

〈표 2.2-56〉 축산계 폐수발생유량 현황 217

〈표 2.2-57〉 축산계 발생부하량 현황 217

〈표 2.2-58〉 토지계 지목별 연평균 발생부하 원단위 218

〈표 2.2-59〉 토지계 발생부하량 현황 218

〈표 2.2-60〉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 219

〈표 2.2-61〉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 220

〈표 2.2-62〉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 221

〈표 2.2-63〉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 221

〈표 2.2-64〉 축산계 배출부하량 현황 222

〈표 2.2-65〉 토지계 배출부하량 현황 222

〈표 2.2-66〉 오염부하량 총괄표 223

〈표 2.2-67〉 지구별 장래 인구예측 223

〈표 2.2-68〉 생활계 배출부하량 현황 223

〈표 2.2-69〉 축산계 배출부하량 현황 224

〈표 2.2-70〉 토지계 배출부하량 현황 224

〈표 2.2-71〉 Raunkiaer(1934)의 생활형 구분 226

〈표 2.2-72〉 도시화지수 및 귀화율 226

〈표 2.2-73〉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분포역 227

〈표 2.2-74〉 하천식생의 횡단구조 구분 기준 228

〈표 2.2-75〉 육상동물상 조사방법 229

〈표 2.2-76〉 육수동물상 조사방법 229

〈표 2.2-77〉 군집분석 조사방법 230

〈표 2.2-78〉 ESB지수값에 따른 환경질 및 오수생물계열의 평가표 230

〈표 2.2-79〉 하천자연도 등급구분 231

〈표 2.2-80〉 하천자연도 등급구분(안) 231

〈표 2.2-81〉 하천자연도 등급 세부항목 232

〈표 2.2-82〉 생태ㆍ자연도 권역별 구분 및 관리기준 233

〈표 2.2-83〉 소산식물 집계표 236

〈표 2.2-84〉 Raunkiaer 생활형 분석결과 237

〈표 2.2-85〉 조사지역 내 귀화식물 목록 238

〈표 2.2-86〉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238

〈표 2.2-87〉 조사지역의 소산식물 목록 240

〈표 2.2-88〉 주요 구간별 식생단면 현황 250

〈표 2.2-89〉 법정보호종 현황 256

〈표 2.2-90〉 법정보호종의 생태적 특성 256

〈표 2.2-91〉 조사지역의 포유류 목록 257

〈표 2.2-92〉 조사지역의 조류 군집 분석 258

〈표 2.2-93〉 법정보호종 현황 258

〈표 2.2-94〉 법정보호종의 생태적 특성 259

〈표 2.2-95〉 조사지역의 조류 목록 259

〈표 2.2-96〉 조사지역의 양서ㆍ파충류 목록 261

〈표 2.2-97〉 출현한 육상곤충류의 분류군별 종구성 및 구성비 262

〈표 2.2-98〉 조사지역의 육상곤충류 목록 263

〈표 2.2-99〉 계획하천의 조사지 개황 270

〈표 2.2-100〉 내현천의 담수어류 목록 271

〈표 2.2-101〉 각 조사지점의 출현분류군별 출현종수 및 구성비 272

〈표 2.2-102〉 각 조사지점의 출현분류군별 개체수현존량 및 구성비 273

〈표 2.2-103〉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우점율 273

〈표 2.2-104〉 각 조사지점별 군집지수 274

〈표 2.2-105〉 각 조사지점별 ESB지수값 및 환경질 평가 274

〈표 2.2-106〉 내현천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목록 274

〈표 2.2-107〉 하천자연도 등급 산정표 277

〈표 2.2-108〉 하천자연도 등급 산정결과 278

〈표 2.2-109〉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 281

〈표 2.2-110〉 야생생물 보호구역 지정현황 281

〈표 2.2-111〉 천연기념물 분포현황 282

〈표 2.3-1〉 과업의 범위 284

〈표 2.3-2〉 홍수량 산정지점 285

〈표 2.3-3〉 홍수량 산정지점별 확률강우량 285

〈표 2.3-4〉 기본홍수량 산정결과 286

〈표 2.3-5〉 기본 및 계획홍수량 288

〈표 2.3-6〉 기점홍수위 288

〈표 2.3-7〉 조도계수 289

〈표 2.3-8〉 계획하폭 289

〈표 2.3-9〉 계획홍수위 및 계획하폭, 기설제방고 290

〈표 2.3-10〉 과업의 범위 295

〈표 2.3-11〉 우수관거 개량계획 302

〈표 2.3-12〉 배수펌프장 개ㆍ보수계획 302

〈표 2.3-13〉 치수계획간의 역할 분담 방안 303

〈표 2.3-14〉 보령시 소하천현황 304

〈표 2.3-15〉 과업의 범위 305

〈표 2.3-16〉 기본 및 계획홍수량 305

〈표 2.3-17〉 시설 제원 306

〈표 3.1-1〉 홍수량 산정지점 308

〈표 3.1-2〉 국내 강우자료의 지속기간별 관계 311

〈표 3.1-3〉 보령관측소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고정시간) 312

〈표 3.1-4〉 보령관측소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임의시간) 313

〈표 3.1-3〉 매개변수 추정치 및 적합성 검토 320

〈표 3.1-4〉 적합성 검정 결과 327

〈표 3.1-5〉 빈도별 지속시간별 확률 강우량 338

〈표 3.1-5〉 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의 계수값(Talbot형) 340

〈표 3.1-6〉 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의 계수값(Sherman형) 340

〈표 3.1-7〉 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의 계수값(Japanese형) 340

〈표 3.1-8〉 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의 계수값(General형) 340

〈표 3.1-9〉 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의 계수값(전대수 다항식형) 341

〈표 3.1-10〉 보령 Huff의 무차원 누가강우분포 344

〈표 3.1-11〉 Huff 회귀계수 344

〈표 3.1-12〉 우리나라 수치토지이용도와 SCS의 토지이용분류 비교 348

〈표 3.1-13〉 수치토지피복도 및 수치토지이용도 분류기준 비교 349

〈표 3.1-14〉 우리나라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 기준(AMC-II 조건) 350

〈표 3.1-15〉 선행토양 함수조건의 분류 351

〈표 3.1-16〉 유출곡선지수(CN), 유출계수 산정 352

〈표 3.1-17〉 소유역별 저류상수 산정 355

〈표 3.1-18〉 NRCS의 무차원 단위도의 비율에 따른 시간별 종거 357

〈표 3.1-19〉 소유역별 도달시간 363

〈표 3.1-20〉 산정방법별 빈도별 홍수량 산정결과 364

〈표 3.1-21〉 적정설계빈도 평가표 366

〈표 3.1-22〉 적정설계빈도 평가에 따른 설계빈도 367

〈표 3.1-23〉 내현천 적정설계빈도 평가표 367

〈표 3.1-24〉 계획홍수량 결정 368

〈표 3.1-25〉 하천 및 수로의 조도계수 373

〈표 3.1-26〉 하도 상태에 따른 조도계수 374

〈표 3.1-27〉 구간별 조도계수 374

〈표 3.1-28〉 기점홍수위 375

〈표 3.1-28〉 하상경사에 따른 α값 376

〈표 3.1-29〉 계획홍수량과 하폭과의 관계 377

〈표 3.1-30〉 계획하폭 377

〈표 3.1-31〉 빈도별 홍수위 380

〈표 3.1-32〉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381

〈표 3.1-33〉 평형하상고 산정 391

〈표 3.1-34〉 하천부속물 및 하천공작물의 보호구역 398

〈표 3.1-35〉 기성제방 현황 및 능력검토 399

〈표 3.1-36〉 기존배수시설물 현황 및 능력검토 400

〈표 3.1-37〉 계획홍수량에 따른 여유고 401

〈표 3.1-38〉 교량 능력검토 403

〈표 3.1-39〉 보 및 낙차공 현황 및 계획 405

〈표 3.2-1〉 보령관측소 월평균강우량(2006~2015년) 406

〈표 3.2-2〉 Tank 모형의 최적 매개변수 410

〈표 3.2-3〉 잠재증발산량 410

〈표 3.2-4〉 Tank 모형에 의한 월별 평균유출량 410

〈표 3.2-5〉 DAWAST 모형에 의한 월별 평균유출량 412

〈표 3.2-6〉 Kajiyama 공식 유출특성계수 f 413

〈표 3.2-7〉 Kajiyama 공식 월별 보정치 E의 값 413

〈표 3.2-8〉 Kajiyama공식에 의한 월별 평균유출량 414

〈표 3.2-9〉 방법별 평균 유출량 비교 415

〈표 3.2-10〉 수자원 부존량 416

〈표 3.2-11〉 유황분석 결과 417

〈표 3.2-12〉 주요어종의 서식처 수리조건 418

〈표 3.2-13〉 생태계를 고려한 하천유지 유량 419

〈표 3.2-14〉 유속에 따른 흐름의 느낌 상태 420

〈표 3.2-15〉 경관측면을 고려한 하천유지 유량 420

〈표 3.2-16〉 친수활동과의 관련사항 421

〈표 3.2-17〉 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1) 421

〈표 3.2-18〉 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2) 422

〈표 3.2-19〉 친수활동을 고려한 하천유지 유량 422

〈표 3.2-20〉 하천유지유량 설정 422

〈표 3.2-21〉 이수유량 산정결과 423

〈표 3.2-22〉 내현천 하천관리유량 산정 423

〈표 3.2-23〉 용수 수요량 산정지점 424

〈표 3.2-24〉 지구별 생활용수 이용현황 (2014년도) 426

〈표 3.2-25〉 지구별 농업용수 이용현황 (2014년도) 427

〈표 3.2-26〉 지구별 용수이용현황(2014년도) 427

〈표 3.2-27〉 과거 인구 추이 430

〈표 3.2-28〉 지구별 장래 인구예측 430

〈표 3.2-29〉 급수보급율 및 단위급수량 431

〈표 3.2-30〉 지구별 장래 급수 및 미급수 인구 431

〈표 3.2-31〉 지구별 생활용수 수요량 432

〈표 3.2-32〉 지구별 장래 농업용수 수요량 433

〈표 3.2-33〉 장래용수수요총괄(2015~2030) 433

〈표 3.3-1〉 하천자연도 등급 산정표 434

〈표 3.3-2〉 하천자연도 등급 산정결과 435

〈표 3.3-3〉 상수원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 수변구역 및 습지보호지역 등 현황 여부 438

〈표 3.3-4〉 배출허용기준(폐수) 적용지역 지정현황 438

〈표 3.3-5〉 수질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439

〈표 3.3-6〉 중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기준(건강보호항목 목표기준) 440

〈표 3.3-7〉 중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기준(생활환경기준) 440

〈표 4.1-1〉 하도계획 기본방향 446

〈표 4.1-2〉 기존 시설물 현황 449

〈표 4.1-3〉 기성제 현황 450

〈표 4.1-4〉 기성 제방 여유고 검토 450

〈표 4.1-5〉 기성제방 현황 및 능력검토 451

〈표 4.1-6〉 지구별 개수계획 451

〈표 4.1-7〉 계획홍수량에 따른 둑마루폭 452

〈표 4.1-8〉 계획홍수량에 따른 여유고 453

〈표 4.1-9〉 구간별 기준 여유고 453

〈표 4.1-10〉 환경을 고려한 호안공법 455

〈표 4.1-11〉 호안 종류별 허용소류력 455

〈표 4.1-12〉 소류력에 대한 안정성(하안공법) 455

〈표 4.1-13〉 유속에 대한 안정성(하안공법) 456

〈표 4.1-14〉 지구별 개수계획 456

〈표 4.1-15〉 토지이용별 내수배제시간 464

〈표 4.1-16〉 기존배수시설물 현황 및 능력검토 및 계획 466

〈표 4.1-17〉 계획홍수량에 따른 여유고 467

〈표 4.1-18〉 교량 능력검토 469

〈표 4.1-19〉 취수보 및 낙차공, 하상유지공 개선계획 총괄표 471

〈표 4.1-20〉 보 및 낙차공 현황 및 계획 471

〈표 4.1-21〉 기초터파기시 토사유출 저감대책 477

〈표 4.1-22〉 모니터링 계획의 진행 479

〈표 4.1-23〉 사업의 목표에 따른 모니터링 평가항목 480

〈표 4.1-24〉 모니터링 조사수량 481

〈표 4.1-25〉 현장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 483

〈표 4.1-26〉 실험실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 483

〈표 4.2-1〉 유황분석 487

〈표 4.2-2〉 계획년도별 갈수량과 물수지 488

〈표 4.3-1〉 주요어족의 생태적 요구조건 496

〈표 4.3-2〉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별 생물학적 특성 이해표 497

〈표 4.3-3〉 경관측면의 목표수질 497

〈표 4.3-4〉 친수활동과 호수 환경조건과의 관련성 500

〈표 4.3-5〉 위락용수 수질기준 501

〈표 4.3-6〉 수환경의 관점에서 본 도시하천의 이미지에 대한 목표수질 501

〈표 4.3-7〉 수환경 관리차원에서 수질 501

〈표 4.3-8〉 친수성 수질기준(일본 1985) 502

〈표 4.3-9〉 수경용수 이용, 친수용수 이용에 관한 목표수질 502

〈표 4.3-10〉 목표수질 설정 503

〈표 4.3-11〉 유황특성 503

〈표 4.3-12〉 유속에 따른 흐름의 느낌 상태 505

〈표 4.3-13〉 경관측면의 필요유량 505

〈표 4.3-14〉 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1) 506

〈표 4.3-14〉 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2) 506

〈표 4.3-15〉 하천수질정화공법의 정화기능별 분류 509

〈표 4.4-1〉 하천공간관리 기본방향 512

〈표 4.4-2〉 하천의 기능에 따른 공간구분 형태 514

〈표 4.4-3〉 하천의 공간구분 형태 515

〈표 4.4-4〉 하천공간 구간별 관리계획 517

〈표 4.4-5〉 하천공간 정비의 기본방향 519

〈표 4.4-6〉 관목류 군식ㆍ열식시 ㎡ 당 기준식재밀도 524

〈표 4.4-7〉 식재목적에 따른 조건검토 525

〈표 4.4-8〉 구간별 식재계획 526

〈표 5.1-1〉 치수경제성분석 대상지구 528

〈표 5.1-2〉 다차원법의 편익항목 530

〈표 5.1-3〉 지역특성에 따른 대상자산 531

〈표 5.1-4〉 직접 피해대상자산과 피해액 산정방법 533

〈표 5.1-5〉 전국 평균건축연면적별 가구수비 534

〈표 5.1-6〉 건축형태별 건축단가 535

〈표 5.1-7〉 도시분류별 가정용품 평가액 536

〈표 5.1-8〉 년도별 소비자물가지수 536

〈표 5.1-9〉 농작물별 생산비 537

〈표 5.1-10〉 사업체별 항목 및 사업체 1인당 자산 538

〈표 5.1-11〉 침수심별 건물피해율 541

〈표 5.1-12〉 침수심별 건물내용물 피해율 541

〈표 5.1-13〉 침수심별 농경지 피해율 542

〈표 5.1-14〉 침수심별 농작물 피해율 543

〈표 5.1-15〉 침수심별 유형자산ㆍ재고자산 피해율 543

〈표 5.1-16〉 단위침수면적당 손실인명수 544

〈표 5.1-17〉 단위침수면적당 발생 이재민수 545

〈표 5.1-18〉 유량규모별 지구별 피해액 546

〈표 5.1-19〉 연평균 피해경감기대액의 산정절차 549

〈표 5.1-20〉 지구별 직접투자비 551

〈표 5.1-21〉 총투자비용의 현재가치 553

〈표 5.1-22〉 경제성 분석기법의 특징 556

〈표 5.1-23〉 공공사업의 적용할인율 558

〈표 5.1-24〉 투자효율 분석결과 558

〈표 5.2-1〉 소요 사업비 559

〈표 5.3-1〉 평가기준의 요약 562

〈표 5.3-2〉 생태자연도 등급기준 564

〈표 5.3-3〉 사업투자 우선순위 565

〈표 5.4-1〉 월별 강우량 566

〈표 5.4-3〉 수자원 부존량 568

〈표 5.4-4〉 하천 중요도와 계획 규모 570

〈표 5.4-5〉 계획홍수량 결정 570

〈표 5.4-6〉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571

〈표 5.4-7〉 하천공간 구간별 관리계획 572

〈표 5.4-8〉 하천공간 구간별 관리계획 결과 574

〈표 5.4-9〉 주요 사업내용 574

내현천 하천기본계획 8

〈그림 1.4-1〉 유역현황도 12

〈그림 2.1-1〉 수계 모식도 15

〈그림 2.1-2〉 토지이용현황도 21

〈그림 2.1-3〉 행정구역도 23

〈그림 2.1-4〉 Thiessen망도 26

〈그림 2.1-5〉 유황곡선 28

〈그림 2.2-1〉 내현천 대표적 횡단형 33

〈그림 2.2-2〉 종단도 34

〈그림 2.2-3〉 내현저수지 사진 37

〈그림 2.2-4〉 내현천 유역내 관정현황 39

〈그림 3.1-1〉 홍수량 산정지점도 59

〈그림 3.1-2〉 계획홍수량 배분도 60

〈그림 3.2-1〉 방법별 월평균 유출 그래프 69

〈그림 4.1-1〉 제방 표준단면도 80

〈그림 4.1-2〉 호안 표준단면도 81

〈그림 5.1-1〉 치수경제성 조사지구 위치도 98

내현천 하천기본계획(부록) 121

〈그림 2.1-1〉 유역도 128

〈그림 2.1-2〉 수계 모식도 129

〈그림 2.1-3〉 표고분석도 133

〈그림 2.1-4〉 경사분석도 134

〈그림 2.1-5〉 향분석도 135

〈그림 2.1-6〉 지질도 137

〈그림 2.1-7〉 토양도 140

〈그림 2.1-8〉 토지이용현황도 142

〈그림 2.1-9〉 행정구역도 144

〈그림 2.1-10〉 Thiessen망도 150

〈그림 2.1-11〉 최근 10년간 월별 기상요소 분석 152

〈그림 2.1-12〉 Tank 모형의 저수유출과정 159

〈그림 2.1-13〉 DAWAST 모형의 흐름도 161

〈그림 2.1-14〉 수자원부존량의 구성 166

〈그림 2.2-1〉 내현천 대표적 횡단형 180

〈그림 2.2-2〉 종단도 181

〈그림 2.2-2〉 내현저수지 사진 190

〈그림 2.2-3〉 하천수질 및 하천저질 측정지점 위치도 209

〈그림 2.2-4〉 하천 오염원의 분류 210

〈그림 2.2-5〉 문헌조사 범위 234

〈그림 2.2-6〉 동ㆍ식물상 조사지점 235

〈그림 2.2-7〉 조사지역의 식물생활형 분석 및 비교 237

〈그림 2.2-8〉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식물상 사진 239

〈그림 2.2-9〉 조사지역의 하천식생조사지점 및 전경 250

〈그림 2.2-10〉 내현천 하천환경현황도(RCS)-(1/3) 252

〈그림 2.2-11〉 내현천 하천환경현황도(RCS)-(2/3) 253

〈그림 2.2-12〉 내현천 하천환경현황도(RCS)-(3/3) 254

〈그림 2.2-13〉 현존식생도 255

〈그림 2.2-14〉 조류 우점종 및 군집분석 258

〈그림 2.2-15〉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육상동물상 사진 269

〈그림 2.2-16〉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육수동물상 사진 276

〈그림 2.2-17〉 하천자연도 279

〈그림 2.2-18〉 생태ㆍ자연도 280

〈그림 2.2-19〉 계획하천 주변 법정보호종 분포도(문헌조사) 283

〈그림 2.3-1〉 과업위치도 296

〈그림 2.3-2〉 2020 보령 도시 기본구상도 299

〈그림 2.3-3〉 내현저수지 사진 306

〈그림 3.1-1〉 홍수량 산정지점도 309

〈그림 3.1-2〉 과업 유역의 Thiessen망도 310

〈그림 3.1-3〉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의 회귀곡선 311

〈그림 3.1-4〉 강우빈도해석 흐름도 314

〈그림 3.1-5〉 전대수 다항식형 강우강도식에 의한 IDF 곡선(보령관측소) 341

〈그림 3.1-6〉 무차원 누가우량곡선(제3분위50%) 345

〈그림 3.1-7〉 NRCS의 무차원 단위 유량도 356

〈그림 3.1-8〉 Snyder 합성단위도 359

〈그림 3.1-9〉 연속형 Kraven 공식 유도에 필요한 경사구간별 유속분포 362

〈그림 3.1-10〉 하구지점 지속시간에 따른 빈도별 첨두홍수량 364

〈그림 3.1-11〉 계획홍수량 배분도 368

〈그림 3.1-12〉 에너지 방정식의 도해 379

〈그림 3.1-13〉 HEC-6 모형 흐름도 389

〈그림 3.1-14〉 내현천 평형하상고 392

〈그림 3.1-15〉 교량 현황 403

〈그림 3.1-16〉 보 및 낙차공 현황 405

〈그림 3.2-1〉 Tank 모형의 저수유출과정 409

〈그림 3.2-2〉 DAWAST 모형의 흐름도 411

〈그림 3.2-3〉 방법별 월평균 유출 그래프 415

〈그림 3.2-4〉 유출량 모식도 416

〈그림 3.2-5〉 용수 수요량 산정 지점도 425

〈그림 3.2-6〉 용수 수요량 추정 방법 흐름도 429

〈그림 3.3-1〉 하천자연도 436

〈그림 3.3-2〉 생태ㆍ자연도 437

〈그림 3.3-3〉 충청남도 단위유역도 439

〈그림 4.1-1〉 하천의 기능별 고려사항 444

〈그림 4.1-2〉 제방 표준단면도 457

〈그림 4.1-3〉 호안 표준단면도 458

〈그림 4.1-4〉 교량 현황 469

〈그림 4.1-5〉 내현천 보 및 낙차공 계획 471

〈그림 4.2-1〉 물수지 모식도(2014년) 489

〈그림 4.2-2〉 물수지 모식도(2015년) 490

〈그림 4.2-3〉 물수지 모식도(2020년) 491

〈그림 4.2-4〉 물수지 모식도(2025년) 492

〈그림 4.2-5〉 물수지 모식도(2030년) 493

〈그림 4.3-1〉 수질보전 전략의 형성체계 507

〈그림 4.3-2〉 하천수질 보전대책 510

〈그림 4.4-1〉 하천공간 정비계획의 전체 흐름도 513

〈그림 4.4-2〉 하천공간지구별 관리계획도 518

〈그림 4.4-3〉 추이대 개선 521

〈그림 4.4-4〉 생태이동통로 및 서식지 개선 사례 521

〈그림 4.4-5〉 생물서식처 조성방향 522

〈그림 4.4-6〉 여울과 소 523

〈그림 4.4-7〉 하천내 도입가능 수종 525

〈그림 4.4-8〉 식재단면 모식도 526

〈그림 5.1-1〉 치수경제성 조사지구 위치도 529

〈그림 5.1-2〉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방법(MD-FDA)의 개념도 531

〈그림 5.1-3〉 침수편입율 산정을 위한 공간정보의 중첩 540

〈그림 5.1-4〉 개수사업에 대한 연평균피해경감기대액 산정 547

〈그림 5.1-5〉 홍수빈도와 피해액 관계의 결정 548

〈그림 5.1-6〉 제방의 비용 551

〈그림 5.1-7〉 총비용 및 총편익 산정방법 557

〈그림 5.3-1〉 AHP 기법의 분석과정 560

〈그림 5.3-2〉 치수사업 투자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계층도 561

〈그림 5.3-3〉 평가기준별 가중치 564

〈그림 5.4-4〉 유출량 모식도 568

〈그림 5.4-5〉 계획홍수량 배분도 569

〈그림 5.4-6〉 하천공간지구별 관리계획도 57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54365 627.12 -17-22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54366 627.12 -17-22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54367 627.12 -17-22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54368 627.12 -17-22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70838 627.12 -17-22 전자자료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