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 발굴 연구 = A study on the findings of human cultural resources in West Busan / 저자: 오재환, 김형균, 신성교, 임호, 주경업, 박창희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부산발전연구원(BDi), 2016
청구기호
353.7 -17-1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ii, 277 p. (일부접지)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총서사항
현안연구 ; 2016-12-698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8966982
제어번호
MONO1201711985
주기사항
감수: 우석봉
부록: 주요 자산의 활용 방안 관련 설화, 전설, 이야기
참고문헌: p. 262-264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3

제1장 서론 16

1. 연구 배경 및 목적 16

1) 연구 배경 16

2) 연구 목적 17

2.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17

1) 연구 범위 17

2) 연구 방법 18

제2장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에 대한 이해 19

1. 서부산권의 지역적 의미와 변천사 19

1) 서부산권의 지역적 의미 19

2) 서부산권 낙동강 유역의 변천사 21

2.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의 개념과 의미 32

3.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의 특징과 가치 32

제3장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 조사 39

1. 조사 내용 및 방법 39

1) 조사 내용 39

2) 조사 방법 41

2. 조사 결과 41

1) 역사자산 41

2) 장소자산 65

3) 시설자산 82

4) 기억자산 111

5) 생활자산 130

6) 이미지자산 162

제4장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 활용 방안 185

1. 기본 방향 185

1) 지역 정체성 확보: 자산 발굴 및 활용 185

2) 지역재생 문화환경 구축: 장소와 공간의 재창조 186

3) 지역경제 활성화: 자산 가치의 재창조 186

2. 활용 전략 187

1) 원칙 187

2) 전략 유형 187

3. 주요 자산 활용 및 자원화 유형 188

1) 선정 기준 188

2) 주요 자산의 자원화 유형 및 분류 189

3)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 활용 지구 192

4. 주요 자산의 활용 방안 195

1) 갈대의 복원 및 융복합 195

2) 기억과 체험의 공간 '염전' 204

3) 시장, 포구와 나루, 길의 재발견 206

4) 활인정 그리고 우물과 샘물 218

5) 마을 단위 전승 놀이와 축제 223

6) 역사적 상징공간의 재조명 229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236

1. 결론 236

1) 부산과 인근지역을 연계하는 매개공간으로 인식 전환 236

2) 개발과 보전의 조화로 특화 발전 237

3) 지역자원의 융합, 창조적 재생 238

4) 지역정체성 강화로 자치구간 공동사업 추진 239

5) 인문학적 가치 확산을 위한 시민교육 강화 240

6) 협력적 거버넌스 및 지역내 네트워크 구축 240

2. 정책제언 241

1) (가칭)낙동강 문명사 박물관 설립 제안 241

2) 문화자산 발굴의 지속적인 체계성 확보 및 활용 전략 마련 242

참고문헌 245

[부록] 주요 자산의 활용 방안 관련 설화, 전설, 이야기 248

판권기 261

〈표 Ⅱ-1〉 경계지인 다리에 상여를 묶어 두는 풍습 34

〈표 Ⅱ-2〉 주요 용왕제(마을 공동제의) 36

〈표 Ⅱ-3〉 낙동강의 원형적 사유로서 '떠내려 오기' 흔적 37

〈표 Ⅲ-1〉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 유형 40

〈표 Ⅲ-2〉 북구의 역사자산 43

〈표 Ⅲ-3〉 사상구의 역사자산 48

〈표 Ⅲ-4〉 사하구의 역사자산 53

〈표 Ⅲ-5〉 강서구의 역사자산 58

〈표 Ⅲ-6〉 북구의 장소자산 66

〈표 Ⅲ-7〉 사상구의 장소자산 70

〈표 Ⅲ-8〉 사하구의 장소자산 73

〈표 Ⅲ-9〉 강서구의 장소자산 77

〈표 Ⅲ-10〉 북구의 시설자산 84

〈표 Ⅲ-11〉 사상구의 시설자산 92

〈표 Ⅲ-12〉 사하구의 시설자산 98

〈표 Ⅲ-13〉 강서구의 시설자산 102

〈표 Ⅲ-14〉 북구의 기억자산(문화창작물) 114

〈표 Ⅲ-15〉 북구의 기억자산(인물) 115

〈표 Ⅲ-16〉 사상구의 기억자산(문화창작물) 118

〈표 Ⅲ-17〉 사상구의 기억자산(인물) 119

〈표 Ⅲ-18〉 사하구의 기억자산(문화창작물) 120

〈표 Ⅲ-19〉 사하구의 기억자산(인물) 123

〈표 Ⅲ-20〉 강서구의 기억자산(문화창작물) 125

〈표 Ⅲ-21〉 강서구의 기억자산(인물) 126

〈표 Ⅲ-22〉 북구의 생활자산 131

〈표 Ⅲ-23〉 사상구의 생활자산 136

〈표 Ⅲ-24〉 사하구의 생활자산 142

〈표 Ⅲ-25〉 강서구의 생활자산 149

〈표 Ⅲ-26〉 북구의 이미지자산 163

〈표 Ⅲ-27〉 사상구의 이미지자산 166

〈표 Ⅲ-28〉 사하구의 이미지자산 172

〈표 Ⅲ-29〉 강서구의 이미지자산 179

〈표 Ⅳ-1〉 주요 자산의 활용 전략 188

〈표 Ⅳ-2〉 인문문화자산의 자원 활용을 위한 구분 189

〈표 Ⅳ-3〉 서부산권 주요 자산 활용 190

〈표 Ⅳ-4〉 활용 방안 별 지구 구분 193

〈표 Ⅳ-5〉 갈대밭을 개간해 형성된 마을 195

〈표 Ⅳ-6〉 갈공예로 유명했던 마을 196

〈표 Ⅳ-7〉 갈대를 배경으로 한 사상팔경 197

〈표 Ⅳ-8〉 갈대밭 조성 가능지역 202

〈표 Ⅳ-9〉 서부산권 주요 장터 207

〈표 Ⅳ-10〉 서부산권 주요 고개 208

〈표 Ⅳ-11〉 서부산권 주요 포구 및 나루터와 고갯길 209

〈표 Ⅳ-12〉 서부산권 주요 축제 223

〈표 Ⅴ-1〉 각 자치구별 행복마을 현황 241

〈표 Ⅴ-2〉 인문문화자산 발굴 및 활용 전략 243

〈그림 Ⅰ-1〉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 공간적 범위 17

〈그림 Ⅰ-2〉 연구 흐름도 18

〈그림 Ⅱ-1〉 낙동강 하구 삼차수 지도(1904년) 22

〈그림 Ⅱ-2〉 낙동강 하구의 변화 모습 28

〈그림 Ⅱ-3〉 낙동강 수역 변천사 29

〈그림 Ⅱ-4〉 서부산권 행정 변천사 31

〈그림 Ⅱ-5〉 서부산권 종교 문화 분포도 35

〈그림 Ⅲ-1〉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 조사 과정 41

〈그림 Ⅲ-2〉 주요 역사자산 조사 종합 42

〈그림 Ⅲ-3〉 만덕사지 금당지(발굴조사 현장)와 만덕사지 당간지주 44

〈그림 Ⅲ-4〉 구포동 화재의연 기념비 46

〈그림 Ⅲ-5〉 장우석 기념비 46

〈그림 Ⅲ-6〉 김기 묘비 46

〈그림 Ⅲ-7〉 구포복설비 46

〈그림 Ⅲ-8〉 북구의 역사자산도 47

〈그림 Ⅲ-9〉 운수사 대웅전 전경 49

〈그림 Ⅲ-10〉 운수사 대웅전 석조여래삼존좌상 49

〈그림 Ⅲ-11〉 사립명진학교 석주 50

〈그림 Ⅲ-12〉 김준옥 묘비 50

〈그림 Ⅲ-13〉 이명적 축제혜민비 51

〈그림 Ⅲ-14〉 운수사 부도탑 51

〈그림 Ⅲ-15〉 냉정샘터 51

〈그림 Ⅲ-16〉 사상구의 역사자산도 52

〈그림 Ⅲ-17〉 몰운대 54

〈그림 Ⅲ-18〉 다대포 객사 54

〈그림 Ⅲ-19〉 윤공단 54

〈그림 Ⅲ-20〉 윤흥신 순절비와 한광국 구폐불망비 55

〈그림 Ⅲ-21〉 사하구의 역사자산도 57

〈그림 Ⅲ-22〉 가덕도 척화비 59

〈그림 Ⅲ-23〉 천성진성 59

〈그림 Ⅲ-24〉 김해 죽도왜성 60

〈그림 Ⅲ-25〉 가덕도 등대 60

〈그림 Ⅲ-26〉 이순신 장군 전적비 62

〈그림 Ⅲ-27〉 이조참판 류식 묘비 62

〈그림 Ⅲ-28〉 가덕도 국군 23용사 충혼비 62

〈그림 Ⅲ-29〉 가덕도 왜성진성 터 63

〈그림 Ⅲ-30〉 외양포 포대 63

〈그림 Ⅲ-31〉 강서구의 역사자산도 64

〈그림 Ⅲ-32〉 주요 장소자산 조사 종합 65

〈그림 Ⅲ-33〉 범방산 거북바위와 구포 두꺼비 바위 68

〈그림 Ⅲ-34〉 북구의 장소자산도 69

〈그림 Ⅲ-35〉 사상구의 장소자산도 72

〈그림 Ⅲ-36〉 사하구의 장소자산도 76

〈그림 Ⅲ-37〉 녹산장 전경 78

〈그림 Ⅲ-38〉 덕두장(현재) 78

〈그림 Ⅲ-39〉 금수현 음악거리 79

〈그림 Ⅲ-40〉 정거마을 문화거리 79

〈그림 Ⅲ-41〉 낙동강 갈대 80

〈그림 Ⅲ-42〉 강서구의 장소자산도 81

〈그림 Ⅲ-43〉 주요 시설자산 종합 83

〈그림 Ⅲ-44〉 주요 문화시설 종합 83

〈그림 Ⅲ-45〉 구포국수 공장 설립 등록증과 구포연합식품 국수공장 85

〈그림 Ⅲ-46〉 구포사립구명학교와 사립 화명학교 관련 기록 87

〈그림 Ⅲ-47〉 옛 구포다리와 구포역의 모습 88

〈그림 Ⅲ-48〉 북구의 주요 나루터 90

〈그림 Ⅲ-49〉 북구의 시설자산도 91

〈그림 Ⅲ-50〉 사상구 지역 생산ㆍ산업시설 관련 사진 93

〈그림 Ⅲ-51〉 운수사의 과거와 현재 94

〈그림 Ⅲ-52〉 사상공립보통학교 2회 졸업사진 95

〈그림 Ⅲ-53〉 사상초등학교 조례 모습 95

〈그림 Ⅲ-54〉 사상역의 과거와 현재 95

〈그림 Ⅲ-55〉 사상구의 시설자산도 97

〈그림 Ⅲ-56〉 하단 포구비 100

〈그림 Ⅲ-57〉 괴정에서 하단포를 드나들었던 하단옛길 100

〈그림 Ⅲ-58〉 사하구의 시설자산도 101

〈그림 Ⅲ-59〉 강서구의 주요 일본식 건축물 103

〈그림 Ⅲ-60〉 낙동강 하류 지역 염전의 분포도 104

〈그림 Ⅲ-61〉 녹산수문의 과거와 현재 105

〈그림 Ⅲ-62〉 대동수문의 과거와 현재 105

〈그림 Ⅲ-63〉 김해 대저쪽 낙동강제방 공사 모습 106

〈그림 Ⅲ-64〉 강서구 일대 주요 나루터 109

〈그림 Ⅲ-65〉 강서구의 시설자산도 110

〈그림 Ⅲ-66〉 주요 기억자산 종합(문화창작물) 111

〈그림 Ⅲ-67〉 문화창작물 관련 자료 112

〈그림 Ⅲ-68〉 주요 기억자산 종합(인물) 113

〈그림 Ⅲ-69〉 윤상은 관련 기사 116

〈그림 Ⅲ-70〉 1919년 임정 국무원 기념사진 117

〈그림 Ⅲ-71〉 금수현 관련 기사 129

〈그림 Ⅲ-72〉 주요 생활자산 종합 131

〈그림 Ⅲ-73〉 시랑골 모분재 암벽 132

〈그림 Ⅲ-74〉 만덕 고갯길 132

〈그림 Ⅲ-75〉 낙동민속예술제에서 재현한 구포장타령 133

〈그림 Ⅲ-76〉 북구의 주요 당산 135

〈그림 Ⅲ-77〉 북구의 주요 생업활동 관련 사진 136

〈그림 Ⅲ-78〉 사상구의 주요당산 139

〈그림 Ⅲ-79〉 사상구의 주요 생업활동 관련 사진 141

〈그림 Ⅲ-80〉 다대포후리소리 144

〈그림 Ⅲ-81〉 사하 방아 소리 145

〈그림 Ⅲ-82〉 사하구의 주요당산 147

〈그림 Ⅲ-83〉 사하구의 주요 생업활동 관련 사진 149

〈그림 Ⅲ-84〉 가락오광대 탈 151

〈그림 Ⅲ-85〉 강서구의 주요 당산 156

〈그림 Ⅲ-86〉 강서구의 주요 생업활동 관련 사진 158

〈그림 Ⅲ-87〉 염전기구 모습 159

〈그림 Ⅲ-88〉 한말 명지도의 자염생산 분포 복원도 160

〈그림 Ⅲ-89〉 하구 일대 염전 분포도 161

〈그림 Ⅲ-90〉 염전 구조도 161

〈그림 Ⅲ-91〉 주요 이미지자산 종합 162

〈그림 Ⅲ-92〉 낙동민속제와 낙동강 1300리 구포나루 대축제 모습 164

〈그림 Ⅲ-93〉 북구의 놀이 및 행사도 165

〈그림 Ⅲ-94〉 옛날의 장터(구장터, 구포감동장)와 구포 새장터 166

〈그림 Ⅲ-95〉 사상팔경도 169

〈그림 Ⅲ-96〉 사상전통 달집놀이 170

〈그림 Ⅲ-97〉 사상구의 놀이 및 행사도 171

〈그림 Ⅲ-98〉 다대팔경도 175

〈그림 Ⅲ-99〉 사하구의 놀이 및 행사도 177

〈그림 Ⅲ-100〉 1978년 낙조를 배경으로 하단 선착장 다리 건너고 있는 모습 178

〈그림 Ⅲ-101〉 1970년 낙동강 하구 갈대밭 평원의 모습 179

〈그림 Ⅲ-102〉 강서팔경도 181

〈그림 Ⅲ-103〉 강서구의 놀이 및 행사도 183

〈그림 Ⅲ-104〉 낙동강 유채꽃 184

〈그림 Ⅳ-1〉 서부산권 인문문화자산 기본 방향 및 활용 전략 188

〈그림 Ⅳ-2〉 자산 유형별 활용 전략 종합화 192

〈그림 Ⅳ-3〉 서부산권 주요 자산별 활용 전략도 194

〈그림 Ⅳ-4〉 백영수, 게 198

〈그림 Ⅳ-5〉 가덕도 숭어들이 망대 217

〈그림 Ⅳ-6〉 재첩노리개 21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56895 353.7 -17-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56896 353.7 -17-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