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기후변화 대응 해수면 변동 분석 및 예측 연구 : 결과보고서. 1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2016
청구기호
551.458 -17-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viii, 278, 57 p.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13156
주기사항
[연구기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아라종합기술,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우승범
부록: 1. 조위관측소별 조위 자료 현황(제2장) ; 2. 추가 선정지역 조위 자료 현황(제2장) ; 3. 최대해일고 기상, 해수면 분석 자료(제2장) 외
참고문헌: p. 261-278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참여진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과업 개요 31

1. 과업의 개요 32

(1) 과업명 32

(2) 과업기간 32

2. 과업의 목적 및 배경 32

(1) 과업의 목적 32

(2) 과업의 배경 32

3. 세부 과업 내용 33

제2장 해수면 변화 추세 분석 36

1. 조위관측소 자료 기반 해수면 추세 분석 37

(1) 조위자료 37

(2) 해수면 추세분석 46

(3) 한국형 해수면 변동률 산정 방법 및 절차 48

(4) 조위관측소별 해수면 변화 50

(5) 해수면 변동 분석 가능 조위관측소 검토 55

(6) 조위관측소 자료 검 보정 및 해수면 추세 분석 개선 방안 제시 61

(7) 결론 68

2. 해역별·지자체별 연안 평균 해수면 산정 연구 74

(1) 개요 74

(2) 방법 75

(3) 위성고도계 개요 76

(4) 위성고도계 격자 자료 77

(5) 조위관측소 자료와 위성고도계 자료 통합 기법 검토 87

(6) 해역별/지자체별 해수면 변동률 91

(7) 결론 96

3. 이상 해면의 장기 변동성 및 통계 특성 분석 98

(1) 개요 98

(2) 분석방법 99

(3) 연안별 최대해일고 변동성과 통계 특성 104

(4) 해수범람 신속 대응을 위한 지역별 해수면 위험높이(고조정보) 113

(5) 결론 117

4. 요약 120

제3장 우리나라 남해안(제주) 해수면 상승 원인 분석 122

1. 개요 123

2. 해수 특성 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동 124

(1) 우리나라 남해안 해수 특성 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동 124

(2) 제주도 주변 해수 특성 변화와 해수면 변동 133

3. 남해안(제주도 인근해역) 해수면 연간 변동성 분석 136

(1) 해수면 연간 변동성과 기후 지수와의 비교 136

(2) 지역 기상과 해수면 변동과의 관계 138

4. 지반 및 지형 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동 영향 평가 140

(1) 위성영상 자료수집 141

(2) 위성레이더 간섭 영상 생성 143

(3) 차분간섭영상 품질 분류 155

(4) 위성레이더 시계열 분석기법 적용 158

(5) 시계열 지표 변위 양상 및 평균 변위 속도 영상 160

5. GPS를 이용한 지반 변화 162

6. 남해안(제주) 해수면 상승에 대한 종합적 원인 규명 165

7. 요약 167

제4장 연안 지형 변화에 따른 해수면 및 해안선 변화 168

1. 개요 169

2.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해안선 추출기법 171

(1) 인공위성 영상자료(아리랑 3호 위성) 171

(2) 위성 영상자료를 활용한 해안선 추출 및 검증기법 173

(3) 위성 영상자료를 활용한 해안선 추출 및 검증 결과 177

3. 황해 연안 인공위성 자료 수집 및 해안선 분석 182

(1) 인공위성 영상자료(Landsat) 182

(2) Landsat 영상자료를 활용한 해안선 추출 187

(3) Landsat 영상자료를 활용한 조간대 면적 산출 189

4. 우리나라 및 주변해역의 과거 해안선 및 해수면 변동성 파악 193

5. 요약 196

제5장 북서태평양 중·장기 해수면 변동 기초 분석 197

1. 북서태평양 해수면 변화 연구 현황 198

(1) 관측자료 및 위성고도계 자료를 이용한 연구 198

(2) 수치모형 및 재분석장을 이용한 연구 203

(3) 수온에 의한 해수면 변화에 관한 연구 동향 207

(4) 해수면 변동 원인 분석 연구 최근 동향 209

2. 북서태평양 해수면 자료 수집 및 특성 분석 210

3. 북서태평양 열함량 및 steric 해수면 217

4. 위성고도계 기반 북서태평양 해수면 정밀 분석 방안 223

5. 요약 231

제6장 한국형 중·장기 해수면 예측모델 구축 방안 232

1. 개요 233

2. 전구 기후모델 자료 수집 및 성능 평가 235

3. 한국형 고해상도 중·장기 해수면 예측모델 구축을 위한 세부 계획 수립 240

(1) 국내·외 해수면 지역기후모델 현황 240

(2) 고해상도 해수면 예측모델 구축 세부 계획 249

4. 해수면 변화 예측 성능 평가 지표 수립 255

5. 요약 263

제7장 해수면 상승 관련 워크숍 개최 및 국제동향 조사 265

1. 해수면 변동 관련 워크숍(심포지엄) 개최 및 홍보 266

(1)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그리고 연안재해」 관학연 학술·정책 심포지엄 266

(2)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인근 해역 해수면 변화 연구」 한국해양학회추계학술대회 특별세션 272

2. 해수면 변동 관련 국내외 동향 277

(1) 우리나라 해수면 관련 정책 동향 277

(2) 국외 해수면 관련 정책 동향 285

3. 기후변동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보고서 대응 방안 288

(1) IPCC 288

(2) IPCC 제5차 WGI 평가보고서 289

(3)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관련 진행 상황 292

4. 요약 294

참고문헌 295

부록 314

1. 조위 관측소별 조위 자료 현황 315

2. 추가 선정 지역 조위 자료 현황 333

2. 조위관측소별 해수면 추세분석 자료 337

3. 최대해일고 기상, 해수면 분석 자료 355

4. 북서태평양 PSMSL 국가별 자료 현황 360

5. 자문의견 및 조치사항 366

판권기 372

[뒷표지] 373

〈표 2-1〉 조위관측소 월별 자료 현황(울릉도) 42

〈표 2-1〉 해수면 추세분석에 이용한 조위관측소 자료 45

〈표 2-2〉 해수면 추세분석 절차 및 방법 48

〈표 2-3〉 해역별 평균해수면 변동률(전체 기간) 53

〈표 2-4〉 동일 기간의 해수면 상승률(1989~2015) 54

〈표 2-5〉 추가 선정 대상 조위관측소 검토 결과 60

〈표 2-6〉 추가 선정 대상 조위관측소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 60

〈표 2-7〉 해수면 변동 분석 가능 조위관측소 및 시점 60

〈표 2-8〉 실시간 해양정보 관리 및 운용 지침 중 1차 품질처리 규격 61

〈표 2-9〉 실시간 해양정보 관리 및 운용 지침 중 2차 품질처리 규격 61

〈표 2-10〉 안흥과 묵호의 예측 조위 RMSE 64

〈표 2-11〉 기존 연구 결과 70

〈표 2-12〉 과년도 연구 결과와 비교 71

〈표 2-13〉 위성고도계 관측 주기 및 자료 기간 77

〈표 2-14〉 위성고도계 자료와 조위관측소 자료의 상관계수 및 p-value 83

〈표 2-15〉 조위관측소 자료와 위성고도계 자료별 상관성 분석 84

〈표 2-16〉 해역별 해수면 상승률 산출 결과 비교 94

〈표 2-17〉 지자체별 연안 해수면 상승률 95

〈표 2-18〉 기존 고조정보 기준높이 113

〈표 2-19〉 변경된 고조정보 기준높이 114

〈표 2-20〉 네덜란드 해일고 내습 경보 기준 115

〈표 2-21〉 NOAA/NHC 해일고 범람 예보 115

〈표 2-22〉 노르웨이 고조 정보 위치 및 2·3단계 고조정보 기준 높이 117

〈표 2-23〉 1974년에서 2015년까지 각 지점에서 발생한 최대해일고 119

〈표 2-24〉 1974년에서 2015년까지 각 지점별 연간 최대해일고의 변동 특성. 119

〈표 3-1〉 기후지수와 제주도 평균 해수면 변동 상관관계 137

〈표 3-2〉 ALOS-1 영상 특성치 141

〈표 3-3〉 데이터 획득이 가능한 위성레이더 영상 목록 142

〈표 3-4〉 제주지역이 포함된 ALOS 위성영상 목록 143

〈표 3-5〉 활용 가능한 영상쌍 목록 145

〈표 3-6〉 차분간섭영상의 위상 변화 값 157

〈표 3-7〉 분석에 사용된 GPS 자료 162

〈표 3-8〉 제주 GPS 관측소별 수직 지각 변동율(2007~2014) 164

〈표 4-1〉 아리랑 3호 위성 제원 172

〈표 4-2〉 아리랑 3호 영상자료 목록 172

〈표 4-3〉 아리랑 3호의 밴드 별 복사휘도 변환값 및 태양복사조도 174

〈표 4-4〉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해안선과 검증 자료 간 만곡률 계산 178

〈표 4-5〉 Landsat 위성 제원 183

〈표 4-6〉 황해 연안 해안선 분석 연구에 사용된 위성영상 목록 185

〈표 4-7〉 경기만 일대 조간대 면적 산출을 위해 사용된 위성영상 목록 186

〈표 4-8〉 산출된 조간대 면적 192

〈표 5-1〉 북서태평양 영역 조위관측소 현황(PSMSL) 211

〈표 5-2〉 해수면 자료별 특징 비교 216

〈표 6-1〉 CMIP5 47종 기후 예측 모델 현황 238

〈표 6-2〉 모델 선정 절차 251

〈표 6-3〉 모델별 특성분석 252

〈표 6-4〉 Level1, Level2 모델별 해당 여부 파악 253

〈표 6-5〉 Level3 모델별 해당 여부 파악 253

〈표 6-6〉 북서태평양 해역별 특징 정리 257

〈표 6-7〉 기본 요소 지표와 해역별 특성 요소 지표 수립 258

〈표 7-1〉 관학연 학술·정책 심포지엄 세부일정 266

〈표 7-2〉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 특별세션 세부일정 272

〈표 7-3〉 국가기후변화 적응대책 변화 277

〈표 7-4〉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주요 추진 방향 278

〈표 7-5〉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중 해수면 관련 추진과제 280

〈표 7-6〉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중 해수면 관련 상세내용 281

〈표 7-7〉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중 해수면 관련 세부계획 282

〈표 7-8〉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중 해수면 관련 상세내용 284

〈표 7-9〉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주요 내용 285

〈표 7-10〉 교토의정서와 파리 기후협정 비교 287

〈표 7-11〉 IPCC 발간 특별보고서 및 기술보고서 288

〈표 7-12〉 IPCC 제5차 WGI 보고서 목차별 수록논문수 289

〈표 7-13〉 IPCC 제5차 WGI 보고서 목차별 수록논문수 290

〈표 7-14〉 IPCC AR5 WGI 평가보고서 작성 경과 292

〈표 7-15〉 IPCC AR6 평가보고서 작성 계획 293

〈그림 2-1〉 해수면 추세분석에 이용한 조위관측소 위치 37

〈그림 2-2〉 조위관측소별 결측 및 보간 자료 현황(제주부근) 38

〈그림 2-3〉 조위관측소별 결측 및 보간 자료 현황(서해안) 39

〈그림 2-4〉 조위관측소별 결측 및 보간 자료 현황(남해안) 40

〈그림 2-5〉 조위관측소별 결측 및 보간 자료 현황(동해안) 41

〈그림 2-6〉 조화상수를 이용한 군산 결측 자료 보완(적색) 결과 예시 43

〈그림 2-7〉 조위관측소별 연평균 해수면 44

〈그림 2-8〉 해수면 추세분석에 이용한 조위관측소 자료 현황 45

〈그림 2-9〉 한국형 해수면 변동률 산정 체계 49

〈그림 2-10〉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동해안, 제주 부근) 51

〈그림 2-11〉 해수면 추세분석 결과(서해안, 남해안) 52

〈그림 2-12〉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 상승률 분포도 53

〈그림 2-13〉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 상승률 분포도(동일 기간) 55

〈그림 2-14〉 추가 선정 대상 조위관측소 자료 현황 56

〈그림 2-15〉 추가 선정 대상 조위관측소 결측율 및 보간율 57

〈그림 2-16〉 추가 선정 대상 조위관측소와 인근 조위관측소의 연평균 해수면 비교 58

〈그림 2-17〉 조위자료 육안 검사 62

〈그림 2-18〉 인근 조위관측소와 해수면 변동성 및 경향성 비교 사례 63

〈그림 2-19〉 조위관측소와 인공위성 자료 비교 63

〈그림 2-20〉 예측 조위와 관측 조위 비교(묵호, 2010년 5월) 64

〈그림 2-21〉 예측 조위와 관측 조위 비교(안흥, 2010년 5월) 64

〈그림 2-22〉 과년도 연구 인위적 요인 분리 방법 65

〈그림 2-23〉 조위관측소별 연평균 해수면과 t-value 66

〈그림 2-24〉 T-value을 이용한 보정된 해수면 67

〈그림 2-25〉 기존 연구와 비교(전체 기간) 72

〈그림 2-26〉 기존 연구와 비교(동일 기간) 73

〈그림 2-27〉 위성고도계 운영 현황 76

〈그림 2-28〉 위성고도계별 관측 지점 77

〈그림 2-29〉 위성고도계 격자화 자료(Gridded) 위치 78

〈그림 2-30〉 위성고도계(Gridded) 자료와 조위관측소 자료 비교 지점 79

〈그림 2-31〉 위성고도계 자료와 조위관측소 자료 연평균 시계열 79

〈그림 2-32〉 위성고도계 자료와 조위관측소 자료 상관관계 분포도 81

〈그림 2-33〉 위성고도계 Gridded 자료 유의성 검토 86

〈그림 2-34〉 우리나라 인근 위성고도계 자료(Gridded) 정점별 해수면 상승률 87

〈그림 2-35〉 정점별 해수면 상승률(위성고도계와 조위관측소 자료 결합) 88

〈그림 2-36〉 최적내삽법(Optimal Interpolation, OI) 적용 전·후 위성고도계 자료와 조위관측소 자료 시계열 90

〈그림 2-37〉 해수면 상승률 공간 분포도(위성고도계와 조위관측소 자료 결합, 최적내삽법 적용) 91

〈그림 2-38〉 위성고도계 자료 OE(Orbit Error) 5㎝ 이하인 지점 92

〈그림 2-39〉 해수면 상승률 공간 분포(오차(〉5 ㎝)가 제거된 위성고도계 자료와 조위관측소 결합,... 93

〈그림 2-40〉 해역별 해수면 상승률 산정 위치 94

〈그림 2-41〉 지자체별 연안 해수면 상승률 분포 96

〈그림 2-42〉 조위관측 모식도 100

〈그림 2-43〉 조위 측정을 위한 관측 장비 100

〈그림 2-44〉 조위관측소의 위치 101

〈그림 2-45〉 부산 지역에서 태풍 DINAH와 MAEMI 기간에 해수면 자료와 기상자료의 시계열 103

〈그림 2-46〉 가덕도 지역에서 태풍 SANBA 기간에 해수면 자료와 기상자료의 시계열 104

〈그림 2-47〉 연 최대해일고 변동성(속초(a), 묵호(b), 1974~2015) 105

〈그림 2-48〉 연 최대해일고 변동성(울산(a), 포항(b), 1974~2015) 106

〈그림 2-49〉 연 최대해일고 변동성(부산(a) 1974~2015, 가덕도(b), 1977~2015) 107

〈그림 2-50〉 연 최대해일고 변동성(여수(a) 1974~2015, 통영(b), 1977~2015) 108

〈그림 2-51〉 연 최대해일고 변동성(제주(a) 1974~2015, 울릉도(b), 1978~2015) 109

〈그림 2-52〉 최대해일고 발생 시기에 따른 월별 분포 111

〈그림 2-53〉 최대해일고 발생 지역별 조석의 특징 112

〈그림 2-54〉 미국 NOAA/NHC와 네델란드 Rijkswaterstaat 고조 정보 웹페이지 116

〈그림 2-55〉 PacIOOS 조위 예측 정보 116

〈그림 3-1〉 제주 조위관측소 월평균 해수면 변동과 상승률 123

〈그림 3-2〉 국립수산과학원 정선관측 정점 124

〈그림 3-3〉 정점별 수온·염분 시계열(좌) 및 제주도 주변해역의 해수 특성에 따른 권역(우) 125

〈그림 3-4〉 황해 및 동중국해 계절별 해수 순환 126

〈그림 3-5〉 우리나라 남해안 및 제주도 주변 해역의 평균 해수 밀도와 제주도 연평균 해수면 변화 127

〈그림 3-6〉 연평균 밀도 변화율 분포도 128

〈그림 3-7〉 여름철 수온(좌)과 염분(우)에 의한 해수 밀도 변화율 129

〈그림 3-8〉 여름철 수온(좌, 단위 :℃)과 염분(우, 단위 : psu)의 변화율 129

〈그림 3-9〉 겨울철 수온(좌)과 염분(우)에 의한 해수 밀도 변화율 130

〈그림 3-10〉 겨울철 수온(좌, 단위 :℃)과 염분(우, 단위 : psu)의 변화율 130

〈그림 3-11〉 계절별 우리나라 남해안 및 제주도 주변 해역 밀도 변화 131

〈그림 3-12〉 연평균 및 계절별 밀도 장기 경향성 132

〈그림 3-13〉 제주도 인근 관측 지점 및 평균 해수 특성 133

〈그림 3-14〉 제주 인근과 남해안 해역의 수온, 염분, 밀도 및 steric 해수면 시계열 134

〈그림 3-15〉 제주도 조위관측소 135

〈그림 3-16〉 제주도(제주+서귀포) 연평균 해수면과 기후지수 6종의 시계열 137

〈그림 3-17〉 제주, 서귀포 자동기상관측소(AWS) 해면기압 시계열 138

〈그림 3-18〉 대기압 보정 전·후 제주,서귀포 조위관측소 연평균 해수면 시계열 139

〈그림 3-19〉 위성레이더 초기 간섭영상(no.1~15) 146

〈그림 3-20〉 위성레이더 초기 간섭영상(no.16~30) 147

〈그림 3-21〉 위성레이더 초기 간섭영상(no.31~40) 148

〈그림 3-22〉 서로 다른 관측각에 의한 효과를 제거한 위성레이더 간섭영상(no.1~15) 149

〈그림 3-23〉 서로 다른 관측각에 의한 효과를 제거한 위성레이더 간섭영상(no.16~30) 150

〈그림 3-24〉 서로 다른 관측각에 의한 효과를 제거한 위성레이더 간섭영상(no.30~40) 151

〈그림 3-25〉 위성레이더 차분간섭영상(no.1~15) 152

〈그림 3-26〉 위성레이더 차분간섭영상(no.16~30) 153

〈그림 3-27〉 위성레이더 차분간섭영상(no.31~40) 154

〈그림 3-28〉 위성레이더 차분간섭 영상에 대한 잔여 오차 저감 과정 155

〈그림 3-29〉 시계열 분석에 활용할 차분간섭영상 156

〈그림 3-30〉 시계열 지표 변위 관측을 위한 개선된 SBAS 데이터 처리 절차 159

〈그림 3-31〉 시계열 지표변위 분석을 위해 활용한 위성레이더 간섭쌍 160

〈그림 3-32〉 위성레이더 시계열 지표변위 분석 결과 161

〈그림 3-33〉 분석에 사용된 제주 GPS 상시관측소 위치도 162

〈그림 3-34〉 제주 GPS 상시관측소에서 관측된 수직 변위량 예시 163

〈그림 3-35〉 제주 GPS 자료에서 추출된 Common Mode 신호 예시 163

〈그림 3-36〉 Common Mode 신호가 제거된 수직 변위량 164

〈그림 3-37〉 해양-대기-육상 기원 해수면 상승 영향 요인 165

〈그림 3-38〉 해수면 자료(조위 자료, 위성고도계 자료, 재분석장 자료)를 이용한 제주 해수면 변화 166

〈그림 4-1〉 아리랑 3호 위성 171

〈그림 4-2〉 연구지역의 아리랑 3호 위성영상 172

〈그림 4-3〉 해안선 추출기법 자료처리 흐름도 173

〈그림 4-4〉 두 연결선의 만곡률 계산 176

〈그림 4-5〉 제주 지역 아리랑 3호 위성영상 및 NDWI 영상 177

〈그림 4-6〉 제주 지역 아리랑 3호 BW 영상 및 추출된 해안선 영상 177

〈그림 4-7〉 아리랑 3호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해안선 자료와 검증 자료 178

〈그림 4-8〉 검증 해안선 자료의 Euclidean Distance 179

〈그림 4-9〉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해안선과 검증자료(부두 제거) 179

〈그림 4-10〉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해안선 자료의 정확도 검증 180

〈그림 4-11〉 위성영상의 공간해상도 한계로 인한 끊어짐 현상 181

〈그림 4-12〉 Landsat 위성 182

〈그림 4-13〉 황해 연안 인공위성 자료 수집 및 DB 구축 지역 184

〈그림 4-14〉 황해 연안 해안선 분석 연구 지역 185

〈그림 4-15〉 경기만 일대 조간대 면적 산출 연구를 위한 연구 지역, 위성영상 촬영 범위 및 조위관측소 위치 186

〈그림 4-16〉 2007~2016년 중국 다롄시 연안 해안선 추출 결과 188

〈그림 4-17〉 중국 다롄시 연안 해안선 추출 결과 188

〈그림 4-18〉 조간대 영역 산출을 위한 경기만 일대 만·간조 영상 189

〈그림 4-19〉 조간대 영역 산출을 위한 경기만 일대 만·간조 영상의 NDWI 영상 190

〈그림 4-20〉 조간대 영역 산출을 위한 경기만 일대 만·간조 영상의 BW 영상 191

〈그림 4-21〉 산출된 조간대 영역 영상 192

〈그림 4-22〉 현재 우리나라 주변 해수면 193

〈그림 4-23〉 우리나라 주변 해수면 변화(1,000~8,500년 전) 194

〈그림 4-24〉 우리나라 주변 해수면 변화(11,000~26,000년 전) 195

〈그림 5-1〉 조위자료 기반 해수면 변동률 및 수온에 의한 해수면 변화율 198

〈그림 5-2〉 위성고도계 자료를 이용하여 제시한 해수면 상승(a)과 해수면과 수온 관계(b)(하 등, 2006) 199

〈그림 5-3〉 울릉도 조위관측소 자료와 위성고도계 자료 200

〈그림 5-4〉 태평양 해수면 변동 분석 결과 200

〈그림 5-5〉 위성자료와 재분석장을 이용한 태평양 해수면 변동 분석 결과 201

〈그림 5-6〉 복합위성고도계 자료를 이용한 발해, 황해, 동중국해 해수면 변화 연구 202

〈그림 5-7〉 동해 해수면 장기 경향성 시계열 연구 결과 203

〈그림 5-8〉 해수면 변화에 따른 쿠로시오 패턴 변화 204

〈그림 5-9〉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해수면 상승 예상 결과 205

〈그림 5-10〉 (A)NINO3와 NINO4 지수 산출 영역; (B)엘리뇨 현상에 따른 표층 수온 변화. EP-엘리뇨 기간(a)의... 206

〈그림 5-11〉 지점별 장기 수온 변화 추세. 표층 최저 수온(a), 표층 최대 수온(b), 표층 수온의 연변동폭(c), (민과... 207

〈그림 5-12〉 동중국해 기존 연구 208

〈그림 5-13〉 파타고니아 지역의 해수면 상승률(좌) 및 해류 분포(우) 209

〈그림 5-14〉 북서태평양 인근 조위관측소 위치 210

〈그림 5-15〉 본 연구에서 수집한 북서태평양 해역의 T/P 위성고도계 자료 위치 212

〈그림 5-16〉 미션 수행된 위성고도계 212

〈그림 5-17〉 위성고도계 자료 처리 순서도(CMEMS quality information document) 213

〈그림 5-18〉 격자화 자료 해수면 값 예시(a)와 격자화 자료 위치(b) 214

〈그림 5-19〉 조위자료와 위성고도계 자료 상관도 215

〈그림 5-20〉 각 자료별 북서태평양 영역 연평균 SLA 시계열 215

〈그림 5-21〉 NOAA 제공 전지구적 열함량(a) 및 steric 해수면 자료(b) 217

〈그림 5-22〉 CMEMS 자료와 WOA09 자료의 RMS 오차 218

〈그림 5-23〉 CMEMS 전지구 수온 자료 예시 218

〈그림 5-24〉 북서태평양 연평균 수온 시계열 219

〈그림 5-25〉 북서태평양 연평균 열함량 시계열 220

〈그림 5-26〉 Palmer et al(2015)의 북반구, 남반구, 전지구적 열함량 변화 시계열 221

〈그림 5-27〉 북서태평양 연평균 steric height 시계열(a)와 연평균 염분 시계열(b) 222

〈그림 5-28〉 위성고도계자료 및 steric 해수면의 계절별(3월,9월) 변화 225

〈그림 5-29〉 북서태평양 해역의 공간에 따른 해수면 변화 225

〈그림 5-30〉 EOF 분석을 통한 동해의 해수면 변화 연구 예시 226

〈그림 5-31〉 PDO와 동해 표층 해수면, 수온, 염분 시계열 및 모식도 227

〈그림 5-32〉 북서태평양 순환과 월평균 PDO, 쿠로시오 수송량 및 위치 지수(KPI) 시계열 228

〈그림 5-33〉 위성고도계 역학고도의 시간 변화도 228

〈그림 5-34〉 수심에 따른 전지구 steric 해수면 결과 예시 229

〈그림 5-35〉 열대 태평양 영역에서의 수심에 따른 steric 해수면 변화 229

〈그림 5-36〉 EOF 분석 방법을 이용한 바람자료와 해수면 변화 연구 230

〈그림 6-1〉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RCP 시나리오 산출 체계 234

〈그림 6-2〉 IPCC 성능 평가 예시 235

〈그림 6-3〉 미국 남동부 지역을 대상으로 한 CMIP5 모델 성능 평가 결과 236

〈그림 6-4〉 CMIIP5 11종 기후 예측 모델 해수면 재현 능력 평가 결과 239

〈그림 6-5〉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RCP 시나리오 산출 체계 241

〈그림 6-6〉 1860~2005년의 1.5 m 평균 기온 변화 241

〈그림 6-7〉 현재 기후 (1971~2000년)에 대한 (a)1.5 m 기온과 (b)강수의 taylor diagram 242

〈그림 6-8〉 연평균, 여름철, 겨울철의 현재기후 (1971~2000년)에 대한 (a), (c), (e) 1.5 m 기온의 기후값과 (b),... 242

〈그림 6-9〉 1971~2000년 대비 1860~2099년 1.5 m 기온의 변화. 243

〈그림 6-10〉 전지구 평균해수면 고도 시간변화. 243

〈그림 6-11〉 국립기상연구소의 고해상도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전략 244

〈그림 6-12〉 강수량 (a~c) 및 지상기온 (d~f)의 30년 기후 (1971~2000)의 관측값 (a와 d)과 전지구모델 (b와... 245

〈그림 6-13〉 1980~2009년 대비 1950~2099년 연평균 기온의 변화 (℃). 파란색, 분홍색은 각각 RCP4.5... 245

〈그림 6-14〉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영국의 전지구 및 지역 기후 모델(HadCM3) 구성도 246

〈그림 6-15〉 해상도에 따른 영국 기후 모델 결과 및 관측 자료 예시 247

〈그림 6-16〉 영국 지역 기후 변화 예측 모델 흐름도 247

〈그림 6-17〉 영국 주변 지점별 미래 유의파고 예측 결과 248

〈그림 6-18〉 영국 주변 미래 해류 변화 예측 결과 248

〈그림 6-19〉 고해상도 지역 기후 모델 수립 절차 249

〈그림 6-20〉 비구조 격자망 예시 254

〈그림 6-21〉 차후 기후모델 구축을 위한 연도별 계획 방안 254

〈그림 6-22〉 과거 관측값과 모델값의 비교 (IPCC 5차 보고서) 256

〈그림 6-23〉 Thermosteric 해수면 연구 예시 (IPCC 5차 보고서) 258

〈그림 6-24〉 RMSE, MB, CRMS에 따른 모델별 성능 평가 260

〈그림 6-25〉 Taylor diagram을 통한 성능 평가 예시 261

〈그림 6-26〉 모델값과 관측값을 이용한 수심에 따른 bias 계산 262

〈그림 7-1〉 관학연 학술·정책 심포지엄 개최 사진 270

〈그림 7-2〉 관학연 학술·정책 심포지엄 개최 사진(계속) 271

〈그림 7-3〉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 특별세션 개최 사진 275

〈그림 7-4〉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 특별세션 개최 사진(계속) 276

〈그림 7-5〉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기본체계 279

〈그림 7-6〉 제2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주요 지표 279

〈그림 7-7〉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의 비전 및 목표 283

〈그림 7-8〉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의 기대효과 284

〈그림 7-9〉 주요국의 NDC 내용 및 영향 분석 287

〈그림 7-10〉 IPCC WGI평가보고서 작성 흐름도 29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60735 551.458 -17-1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60736 551.458 -17-1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70995 551.458 -17-1 전자자료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