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6) 교수학습연구대회 우수사례집 [전자자료] : 교양 및 예체능 / 교육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자료 ; 제2016-29호
면수
304
제어번호
MONO1201715458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디자인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산학맞춤 DSS 학습모형 개발 4

연구요약 5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17

1. 환경 분석 17

2. 요구 분석 25

3. 연구 방법 34

4. 분석 결과 37

Ⅲ. 교수ㆍ학습 설계 및 개발 절차 43

1. 교수ㆍ학습 설계 44

2. 교수ㆍ학습 모형 개발 45

Ⅳ. 교수ㆍ학습 방법 적용 실천 내용 62

1. 학습 모형의 주차별 적용 내용(15주 요약) 62

2. 학습 모형의 주차별 적용 내용(1. 4. 11주차 학습지도안) 71

3. NCS 기반 DSS 학습모형 적용사례 77

Ⅴ. 대학의 지원체계 및 내용 90

1. 대학의 지원체계 90

2. 대학의 지원 목적 91

3. 대학의 지원 내용 92

Ⅵ. 기대효과 93

1. 교수ㆍ학습 모형 적용에 대한 효과 검증 93

2. 기대효과 115

Ⅶ. 결론 및 제언 118

참고문헌 124

또래 멘토링 기반의 PBL과 액션러닝 기법을 적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법 개발 및 적용 127

연구요약 128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5

1. 본 교수법에서 사용되는 기법 135

2. 학습자 및 시대적ㆍ대학의 요구분석에 따른 연구의 필요성 137

3. 교수학습문제 해결의 적극적 의지 143

4. 수업방법을 적용한 다양한 수업현장 적용의지 144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149

1. 교수법 효과를 검증하는데 활용한 자료(검사도구)와 분석 방법 149

2. 교육목표의 명확성 149

3. 수업내용 및 수준의 적절성 151

Ⅲ. 교수학습 설계 및 개발 절차 156

1. 체계적 설계절차의 적용 156

2.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강의자료 선정 163

Ⅳ. 교수ㆍ학습 방법 적용 172

1. 수업지도안의 형식과 내용구성의 체계성 172

2. 학습자의 동기유발과 적극적인 참여유도 176

3. 평가방식의 수월성(평가내용, 평가기준 등) 189

4. 개발된 수업모형/교수학습방법의 수업의 질 제고 기여 193

Ⅴ. 대학의 지원체계 및 내용 197

Ⅵ. 기대효과 202

1. 효과성 측정을 위한 평가준거 도구 전략의 타당성 202

2.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204

3. 타 대학/타 교과의 파급효과 기여 211

Ⅶ. 결론 및 제언 213

참고문헌 221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SCFL 교수학습 모명 개발 및 적용 222

연구요약 223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29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232

1. 환경 분석 232

2. 연구절차 241

3. 이론적 배경 : 거꾸로 학습(The Flipped Learning) 244

Ⅲ. 교수학습 설계 및 개발절차 246

1. 계기 246

2. 교과목 분석 248

3. Self-Directed Cooperative Flipped Learning(SCFL) 교수학습모형 개발 249

Ⅳ. 교수학습 방법 적용 실천 내용 261

1. SCFL 모형을 적용한 수업 계획 261

2. 주차별 수업 지도안 267

3. 수업에 집중도 높이기 위한 Tips 273

Ⅴ. 대학의 지원체계 및 내용 276

1. 대학의 지원체계 276

2. 지원 내용 278

Ⅵ. 기대효과 280

1. 수업 평가 점수 상승 280

2. 수업 만족도 향상 283

3. 학습효과 향상의 가능성 289

4. 직업기초능력 향상 기대 294

5. 향후 기대효과 295

Ⅶ. 결론 및 제언 297

참고문헌 302

판권기 304

디자인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산학맞춤 DSS 학습모형 개발 13

〈표 Ⅰ-1〉 연구목적과 목표 13

〈표 Ⅱ-1〉 '문화상품디자인 1' 교과목 특성 23

〈표 Ⅱ-2〉 '문화상품디자인' 교과목의 학습요소 24

〈표 Ⅱ-3〉 전문디자인 업체의 디자인 인력 규모 비교(디자이너 기준) 26

〈표 Ⅱ-4〉 연도별 디자인업종 채용현황 27

〈표 Ⅱ-5〉 직무수행능력 만족도 28

〈표 Ⅱ-6〉 신입사원 채용 시 중요도 29

〈표 Ⅱ-7〉 전문대학 출신 신입사원 부족역량 30

〈표 Ⅱ-8〉 학과 선택 동기 32

〈표 Ⅱ-9〉 취업현황 33

〈표 Ⅱ-10〉 직종별 주요 취업처 33

〈표 Ⅱ-11〉 기존 교수법과 DSS교수법의 차이점 37

〈표 Ⅲ-1〉 프로젝트 학습기반에서 교수의 역할 45

〈표 Ⅲ-2〉 학습모형 및 내용 48

〈표 Ⅲ-3〉 문화상품디자인 평가 세부 기준 60

〈표 Ⅴ-1〉 대학의 세부 지원내용 93

〈표 Ⅵ-1〉 직업기초능력의 사전, 사후 차이 검증 95

〈표 Ⅵ-2〉 직업기초능력 전체 항목 설문 기술 통계 96

〈표 Ⅵ-3〉 직업기초능력 전체 항목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97

〈표 Ⅵ-4〉 제품디자인 리서치, 사후 수행평가 차이 검증 99

〈표 Ⅵ-5〉 제품디자인 전략수립, 사후 수행평가 차이 검증 100

〈표 Ⅵ-6〉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사후 수행평가 차이 검증 101

〈표 Ⅵ-7〉 디자인 구체화, 사후 수행평가 차이 검증 101

〈표 Ⅵ-8〉 모형제작, 사후 수행평가 차이 검증 102

〈표 Ⅵ-9〉 양산관리, 사후 수행평가 차이 검증 103

〈표 Ⅵ-10〉 디자인 실무역량 전체 항목 설문 기술 통계 104

〈표 Ⅵ-11〉 디자인 실무역량 전체 항목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104

〈표 Ⅵ-12〉 문화상품디자인 건의사항 내용 108

〈표 Ⅵ-13〉 문화상품디자인 수업에서 개선할 점에 대한 정성평가 내용 108

〈표 Ⅵ-14〉 캡스톤 수행과 관련한 평가 110

〈표 Ⅵ-15〉 직업기초 디자인능력 수행평가 111

〈표 Ⅵ-16〉 교수ㆍ학습모형 적용에 대한 교수자 성찰 112

〈표 Ⅵ-17〉 캡스톤디자인 전문가 평가 115

〈표 Ⅵ-18〉 전문가 수행평가 115

〈표 Ⅵ-19〉 산학맞춤형 교수학습모형의 교육적 기대효과 116

또래 멘토링 기반의 PBL과 액션러닝 기법을 적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법 개발 및 적용 143

〈표 Ⅰ-1〉 교수법 개선 절차 143

〈표 Ⅰ-2〉 세부적인 교수법 144

〈표 Ⅰ-3〉 멘토링 시스템의 정의와 효과 148

〈표 Ⅱ-1〉 교수법 효과를 검증하는데 활용한 자료 149

〈표 Ⅱ-2〉 교수법의 주요 목표 150

〈표 Ⅱ-3〉 PSP 수업과 멘토 육성 시스템의 관계 152

〈표 Ⅱ-4〉 PSP 수업 내용 153

〈표 Ⅱ-5〉 멘토링 구성 155

〈표 Ⅲ-1〉 ADDIE 구성에 따른 문제해결프로세스 교수법 개발 156

〈표 Ⅲ-2〉 대학교양 교육목표 설정을 위한 준거 158

〈표 Ⅲ-3〉 대학교양의 교육목표 159

〈표 Ⅲ-4〉 NCS기반 직업기초능력의 수준 160

〈표 Ⅲ-5〉 PSP와 멘토링의 설계 절차 162

〈표 Ⅳ-1〉 맨토 교육 운영 일정 174

〈표 Ⅳ-2〉 평가 기준 및 내용 189

〈표 Ⅳ-3〉 수업과 교수법과의 관계 193

〈표 Ⅴ-1〉 교수학습정보지원센터 지원체계와 지원내용 198

〈표 Ⅵ-1〉 성찰을 통한 만족도 분석 204

〈표 Ⅶ-1〉 강의평가를 통한 교육생 학업 성취 효과 213

〈표 Ⅶ-2〉 교수법의 주요 목표에 따른 성취도 분석 218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SCFL 교수학습 모명 개발 및 적용 236

〈표 Ⅱ-1〉 설문조사를 통한 학생들의 건의 사항 236

〈표 Ⅱ-2〉 수업(교수/강사) 항목별 만족도 분석 238

〈표 Ⅱ-3〉 국내기업 및 교육훈련기관에서 강조하는 직업기초능력 요소 239

〈표 Ⅱ-4〉 연구진행 과정표 243

〈표 Ⅲ-1〉 모형개발을 위한 교과목 분석표 248

〈표 Ⅳ-1〉 수업진행 총괄표 262

〈표 Ⅳ-2〉 2015년도 2학기 수업 계획서 263

〈표 Ⅵ-1〉 진단평가-형성평가 점수향상도와 거꾸로 수업 선호도 291

〈표 Ⅵ-2〉 중간고사-기말고사 향상도 및 거꾸로 수업 선호도 293

디자인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산학맞춤 DSS 학습모형 개발 11

[그림 Ⅰ-1] 연구의 필요성 11

[그림 Ⅰ-2] 교육과정 개편 12

[그림 Ⅰ-3] 교수학습모형 진행흐름도 15

[그림 Ⅱ-1] 산업디자인과 인력양성 전략 19

[그림 Ⅱ-2] 인력양성유형별 산업디자인과 교과목 로드업 23

[그림 Ⅱ-3] 실험 설계 35

[그림 Ⅱ-4] 현장중심형 교수학습모형 연구절차 36

[그림 Ⅱ-5] 직업기초능력 38

[그림 Ⅱ-6] 디자인 실무능력 39

[그림 Ⅱ-7] 학습자, 교수자, 전문가 평가를 위한 질문 40

[그림 Ⅱ-8] 요구 분석의 적용 42

[그림 Ⅲ-1] ADDIE 교수모형 44

[그림 Ⅲ-2] 교수학습 개발절차 46

[그림 Ⅲ-3] NCS기반 산학맞춤형 DSS 교수학습모형 47

[그림 Ⅲ-4] DSS모형 캡스톤 교육지원 체계도 49

[그림 Ⅲ-5] 상품아이디어 토론실 홈페이지 진행 흐름 52

[그림 Ⅲ-6] 문화상품디자인 (DSS) 아이디어구상 53

[그림 Ⅲ-7] 상품아이디어 구체화 53

[그림 Ⅲ-8] 디자인개발 흐름 54

[그림 Ⅲ-9] DSS 교수ㆍ학습모형 디자인프로세스 54

[그림 Ⅲ-10] DSS 교수ㆍ학습모형 과제진행 System 55

[그림 Ⅳ-1] 방과 후 개별보충학습 76

[그림 Ⅳ-2] DSS 학습모형 최종 완성작품(A반) 88

[그림 Ⅳ-3] DSS 학습모형 최종 완성작품(B반) 89

[그림 Ⅴ-1] 교수학습센터 지원. 외부 컨설팅 90

[그림 Ⅴ-2] 교수학습연구대회를 위한 대학의 지원체계 91

[그림 Ⅴ-3] 대학지원 내용 92

[그림 Ⅵ-1] 교수학습모형 효과검증 94

[그림 Ⅵ-2] 직업기초능력 전체 항목 그래프 97

[그림 Ⅵ-3] 디자인 실무역량 전체 항목 그래프 105

[그림 Ⅵ-4] 대학 강의평가 107

[그림 Ⅵ-5] 강의 만족도평가 109

[그림 Ⅵ-6] 공모전 수상 117

[그림 Ⅶ-1] 학습모형 진행흐름도 119

또래 멘토링 기반의 PBL과 액션러닝 기법을 적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법 개발 및 적용 135

[그림 Ⅰ-1] PBL, AL, Mentoring과의 관계 135

[그림 Ⅰ-2] 시대적 요청ㆍ대학 및 학교 교육의 요구에 의한 연구의 필요성 137

[그림 Ⅰ-3] 대학의 교육목표 138

[그림 Ⅰ-4] 대학의 요구 학생역량별 교육목표 139

[그림 Ⅰ-5] 학과의 환경 분석에 따른 교육목표 설정 139

[그림 Ⅰ-6] 학과의 교육목표 140

[그림 Ⅰ-7] 개설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세스 교과목의 인재양성 교육 목표 141

[그림 Ⅰ-8] 휴학, 자퇴생을 다룬 중앙일보 자료(2015. 09) 142

[그림 Ⅰ-9] 교수법 준비 과정 및 학습 절차 143

[그림 Ⅰ-10] 일반적인 문제해결 프로세스 구성 구조 146

[그림 Ⅰ-11] Action Learninq Program의 프로세스 147

[그림 Ⅱ-1]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세스(PSP=AL+PBL+Mentoring) 도입배경 및 실행 과정 151

[그림 Ⅱ-2]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세스(PSP+AL) 수업 개요 152

[그림 Ⅲ-1] ADDIE에 기초한 교수법 연구개발 절차 158

[그림 Ⅲ-2] NCS 기반 직업기초능력 구성 159

[그림 Ⅲ-3] 교수법 개발 절차 161

[그림 Ⅳ-1] 학과 수업 사진 178

[그림 Ⅴ-1] 대학내 교수학습지원센터 운영조직 197

[그림 Ⅵ-1]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세스 학습 효과 211

[그림 Ⅶ-1]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세스 교수학습모형의 유용성 220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SCFL 교수학습 모명 개발 및 적용 230

[그림 Ⅰ-1] "잠자는 교실"의 모습 230

[그림 Ⅱ-1] 본교의 3개년 고교계열별 등록현황(입학복지팀 제공) 232

[그림 Ⅱ-2] 3개년 고교등급별 등록현황(입학복지팀 제공) 233

[그림 Ⅱ-3] 연도별 진단평가 영어 평균점수(교수학습개발원 제공) 234

[그림 Ⅱ-4] 리모델링 이전 어학실 전경 235

[그림 Ⅱ-5] 리모델링 이후 어학실 전경 235

[그림 Ⅱ-6] 연구절차도 242

[그림 Ⅱ-7] 거꾸로 교실의 개념 245

[그림 Ⅲ-1] 이름표를 올려놓은 모습 250

[그림 Ⅲ-2] LMS를 활용한 소통 250

[그림 Ⅲ-3] 유머퀴즈를 통한 마음 열기 251

[그림 Ⅲ-4] 카카오톡 방을 활용한 학생들과의 소통 252

[그림 Ⅲ-5] LMS에 업로드된 동영상 강좌 253

[그림 Ⅲ-6] 모바일 사이트에 업로드된 동영상 강좌 254

[그림 Ⅲ-7] 카카오톡방을 이용한 지속적인 동기부여 노력 255

[그림 Ⅲ-8] UMS 문자서비스를 이용한 학습동기 부여 노력 256

[그림 Ⅲ-9] LMS를 활용한 학습동기 부여 노력 256

[그림 Ⅲ-10] 거꾸로 학습 소개 동영상 자료 258

[그림 Ⅲ-11] SCFL 교수학습 모형 258

[그림 Ⅲ-12] SCFL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 및 소통방법 259

[그림 Ⅲ-13] LMS 자료실에 올린 단어목록 260

[그림 Ⅲ-14] 교실에서 동료들과 토론하며 문제를 푸는 모습 260

[그림 Ⅳ-1] 식당이나 길거리에서 휴대전화를 보는 젊은이들 273

[그림 Ⅳ-2] 수업 중 휴대전화를 커둔 사람에게 거둔 벌금 저금통 274

[그림 Ⅴ-1] 교수학습개 발원 운영체계 276

[그림 Ⅴ-2] 교수학습 모형개발 지원 절차 278

[그림 Ⅵ-1-A] 수업평가 학기별 비교 (거꾸로 수업 도입 이전) 281

[그림 Ⅵ-1-B] 수업평가 학기별 비교 (거꾸로 수업 도입 이후) 281

[그림 Ⅵ-2] 수업평가 정성평가의 예 283

[그림 Ⅵ-3] 전체적인 수업만족도에 대한 응답 284

[그림 Ⅵ-4] 가장 좋았던 내용 응답 1, 2위 285

[그림 Ⅵ-5] 선호하는 수업 방식 287

[그림 Ⅵ-6] 수업만족도 조사 정성평가의 예 288

[그림 Ⅵ-7] 진단평가-형성평가 점수 향상도 290

[그림 Ⅵ-8] 학기별 중간고사-기말고사 점수 향상도 292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