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태화강(지방하천) 하천기본계획(변경) 보고서 / 울산광역시, 한국도로공사 [편] 인기도
발행사항
울산 : 울산광역시 ; 김천 : 한국도로공사, 2017
청구기호
627.12 -17-50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쪽수복잡)(일부접지)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총서사항
울산광역시 고시 ; 제2017-7호
제어번호
MONO1201716051
주기사항
[용역기관]: 주식회사 경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부록: 하천관리위원회 심의 ; 수리계산서 ; 도면 외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 이도준

목차

1. 과업 개요 26

1.1. 과업 목적 28

1.2. 과업 위치 및 범위 28

1.3. 과업 내용 30

2. 하천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32

2.1. 일반현황 34

2.1.1. 유역 일반현황 34

2.1.2. 유역의 자연현황 51

2.1.3. 유역의 사회·문화적 현황 63

2.1.4. 유역현황 분석 69

2.2. 수문 조사 70

2.2.1. 수문관측 현황 70

2.2.2. 수문관측 기록 75

2.2.3. 기상 78

2.3. 하도특성 조사 79

2.3.1. 하도현황 조사 79

2.3.2. 하도특성량(하도수리량) 조사 82

2.3.3. 하상변동 조사 88

2.4. 하천사업의 연혁 및 피해현황 101

2.4.1. 하천개수 현황 101

2.4.2. 제방공사 연혁 103

2.4.3. 댐(저수지), 하구둑, 배수펌프장 연혁 104

2.4.4. 수해 및 가뭄피해 현황 107

2.5. 하천의 이용현황 116

2.5.1. 유수이용실태 조사 116

2.5.2. 용도지역구분 등 토지이용 조사 128

2.5.3. 관광·위락 등 공간이용 조사 130

2.6. 하천의 환경현황 136

2.6.1. 유역의 오염원 조사 137

2.6.2. 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139

2.6.3. 하천의 오염도 현황 156

2.6.4. 하천의 생태환경 169

2.7. 타 계획과의 조정 216

2.7.1. 제4차 국토종합계획 216

2.7.2. 2021년 울산도시 기본계획 217

2.7.3. 태화강 마스터플랜(2005. 4, 울산광역시) 219

2.7.4. 태화강 하천정비기본계획(재정비)(2007.10, 건설교통부) 222

2.7.5. 태화강 하천기본계획(1991.6, 경상남도) 223

2.7.6. 태화강 유역종합치수계획(안)(2009.2, 국토해양부) 225

2.7.7. 대암댐 치수능력증대사업 보조여수로 건설공사(한국수자원공사 울산권관리단) 226

2.7.8. 울산권 광역상수도 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1996.12, 한국수자원공사) 227

2.7.9. 건천화하천 수생태계 회복을 위한 타당성용역 230

2.7.10. 울산광역시 물 수요관리 종합계획(2006. 6, 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231

2.7.11. 울산광역시 수도정비 기본계획(변경)(2005. 8, 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232

2.7.12. 길천일반지방산업단지 조성사업 235

2.7.13. 울산구영지구 택지개발사업 239

2.7.14. 부산-울산간 고속도로 건설공사 제9공구(한국도로공사) 242

2.7.15. 기타 도로관련 사업 개요 243

3. 하천측량 245

3.1. 일반사항 247

3.2. 지형현황측량 247

3.2.1. 삼각 및 도근측량 247

3.2.2. 수준측량 248

3.2.3. 평판측량 248

3.3. 종단측량 248

3.4. 횡단측량 248

3.5. 지적도 발급 및 축도 249

3.6. 표석매설 249

4.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256

4.1.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258

4.1.1. 기본방향 258

4.1.2. 홍수량 산정지점 258

4.1.3. 강우분석 262

4.1.4. 확률강우량 산정 270

4.1.5. 강우의 시간분포 결정 291

4.1.6. 유효우량 분석 297

4.1.7. 홍수량 산정 304

4.2. 홍수위 산정 328

4.2.1. 계산방법의 선정 328

4.2.2. 홍수위 산정을 위한 자료의 선정 334

4.2.3. 기점홍수위의 결정 338

4.2.4. 홍수위 계산 341

5. 하상변동 분석 353

5.1. 하상재료 조사 355

5.2. 하천 유사량 조사 356

5.2.1. 유사량 조사 356

5.2.2. 총유사량 산정 359

5.3. 하상변동 및 하도안정분석 362

5.3.1. Kubo-masasi 공식 362

5.3.2. HEC-RAS(Ver4.0) 모형 363

5.3.3. 평형하상고 및 장기하상변동 예측결과 365

5.3.4. 안정하도유지 대책 369

6. 용수수급 계획 수립 382

6.1. 수자원부존량 산정 384

6.1.1. 평균강수량 산정 384

6.1.2. 유출량 결정 385

6.1.3. 수자원부존량 392

6.2. 용수수급현황의 파악 393

6.2.1. 소유역 구분 393

6.2.2. 유수 이용현황 393

6.3. 용수수요량 예측 및 산정 409

6.3.1. 생활용수 409

6.3.2. 공업용수 413

6.3.3. 농업용수 414

6.3.4. 용수수요 총괄 431

6.4. 물수지 분석 432

6.4.1. 물수지 분석방법 및 기본가정 432

6.4.2. 자연유량 434

6.4.3. 수요량 435

6.4.4. 물수지 분석결과 435

6.5. 용수수급계획 443

7.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방향 설정 444

7.1. 하천의 종합적인 보전 및 이용에 관한 기본방향 446

7.1.1. 치수측면 447

7.1.2. 이수측면 448

7.1.3. 하천 환경측면 448

7.2. 바람직한 하천모습 설정 450

7.3. 홍수처리계획의 기본 방향 451

7.4. 유수의 합리적인 이용에 관한 기본방향 454

7.5. 하천환경관리에 관한 기본방향 454

7.5.1. 하천환경관리 기본 방향 454

7.5.2. 하천환경관리 기본 목표 455

7.5.3. 하천환경 정비 방향 456

7.5.4. 공간 환경 459

8. 하천의 정비·이용·보전에 관한 사항 467

8.1. 하천의 지구별 관리계획 수립 469

8.1.1. 하천의 지구 구분 469

8.1.2. 공종별 세부적인 정비기법 472

8.2. 하도 계획 475

8.2.1. 평면 계획 477

8.2.2. 종단 계획 477

8.2.3. 횡단 계획 477

8.2.4. 특이구간에 대한 대책 478

8.3. 하천시설물 계획 482

8.3.1. 기존 시설물 현황 482

8.3.2. 하천 종단 시설물의 능력 검토 및 설치방향 482

8.3.3. 하천 횡단 시설물의 능력검토 및 설치방향 529

8.3.4. 기타 하천공사 계획 552

8.4. 치수경제성 분석 567

8.4.1. 목적과 범위 567

8.4.2. 치수대상 사업지구 침수면적 산정 568

8.4.3. 행정구역별 대상 자산조사 569

8.4.4. 침수피해액 산정 576

8.4.5. 총 피해액 산정 580

8.4.6. 침수 편입률 산정 583

8.4.7. 빈도별 총 피해액 산정 584

8.4.8. 연평균 피해경감 기대액 산정 587

8.4.9. 치수사업비용 산정 588

8.4.10. 경제성 분석 590

8.4.11. 적정 투자규모와 투자우선순위 595

8.4.12. 단기 및 중장기 투자계획 597

9. 하천의 환경에 관한 사항 598

9.1. 수환경 보전 계획 600

9.1.1. 기본 방향 600

9.1.2. 수환경 보전 계획의 목표 설정 601

9.1.3. 수량확보 대책 603

9.1.4. 장래 하천수질 예측 613

9.1.5. 하천수질 개선 대책 632

9.2. 환경영향 검토 643

9.2.1. 사전환경성검토 실시근거 643

9.2.2. 환경보전 목표설정 644

9.2.3. 대안 및 환경성 검토 646

9.2.4. 사업시행으로 인한 영향 예측 648

9.2.5.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저감방안 654

9.2.6. 종합평가 및 결론 664

10. 하천의 유지관리에 관한 사항 668

10.1. 고수부지 및 폐천부지 현황 및 이용방안 670

10.1.1. 고수부지 현황 및 이용방안 670

10.1.2. 폐천부지 현황 및 이용방안 670

10.2. 골재활용 가능량 조사 671

10.3. 하도유지관리 672

10.4. 기타 672

10.4.1. 하천기본계획 고시현황 672

11. 효과분석 및 건의사항 674

11.1. 종합적인 효과분석 676

11.1.1. 기본사항 676

11.1.2. 효과 분석 676

11.2. 건의사항 678

12. 부록 680

하천관리위원회 심의 681

수리계산서 699

도면 701

지형현황평면도(태화강) 702

종단면도(태화강) 721

횡단면도(태화강) 741

과업 참여자 명단 774

〈표 1.2-1〉 과업 구간 28

〈표 2.1.1-1〉 수계의 구성 35

〈표 2.1.1-2〉 지방하천 현황 및 위치 36

〈표 2.1.1-3〉 소하천 현황 및 위치 40

〈표 2.1.1-4〉 유역의 일반적 특성 43

〈표 2.1.1-5〉 유역의 일반적 특성(1991년 하천기본계획) 44

〈표 2.1.1-6〉 주요지점의 평균표고, 표고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45

〈표 2.1.1-7〉 주요 지점의 유역평균경사 47

〈표 2.1.1-8〉 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48

〈표 2.1.2-1〉 토양형별 분포 면적 54

〈표 2.1.2-2〉 토양의 수문학적 분류 기준 55

〈표 2.1.2-3〉 토양형별 특성 56

〈표 2.1.2-4〉 토지이용 현황 60

〈표 2.1.2-5〉 토지이용현황 비교 62

〈표 2.1.2-6〉 소유권별 임야 면적 62

〈표 2.1.2-7〉 임상별 임야면적 63

〈표 2.1.3-1〉 과업유역내 행정구역별 인구현황 64

〈표 2.1.3-2〉 행정구역별 인구변화 65

〈표 2.1.3-3〉 유역내 문화재 및 유적지 현황 67

〈표 2.2.1-1〉 강우관측소 현황 71

〈표 2.2.1-2〉 수위관측소 현황 72

〈표 2.2.1-3〉 수위관측소별 영점표고 변동 72

〈표 2.2.1-4〉 수위관측소별 수위-유량관계곡선식 73

〈표 2.2.1-5〉 기상관측소 현황 73

〈표 2.2.2-1〉 관측소별 주요 강우관측기록 75

〈표 2.2.2-2〉 삼호수위표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76

〈표 2.2.2-3〉 삼호수위관측소 수위자료 검토 76

〈표 2.2.2-4〉 유황분석결과 77

〈표 2.2.3-1〉 연도별 기상현황(울산관측소) 78

〈표 2.3.1-1〉 하도의 사행특성 80

〈표 2.3.1-2〉 주요지점별 하상경사 81

〈표 2.3.2-1〉 지배유량 84

〈표 2.3.2-2〉 하도 특성량 85

〈표 2.3.3-1〉 측점별 하폭 및 저수로폭 현황 91

〈표 2.3.3-2〉 하도의 사행특성 93

〈표 2.3.3-3〉 측점별 평균하상고 현황 95

〈표 2.3.3-4〉 횡단적 하상변동 97

〈표 2.4.1-1〉 제방 축조 실적 101

〈표 2.4.1-2〉 하천개수 현황 102

〈표 2.4.1-3〉 구간별 하천개수 현황 102

〈표 2.4.2-1〉 제방공사 연혁 103

〈표 2.4.3-1〉 유역내 댐의 제원 105

〈표 2.4.4-1〉 과거 주요호우 및 태풍피해 현황 107

〈표 2.4.4-2〉 홍수피해 현황(울산광역시, 1997년~2006년) 108

〈표 2.4.4-3〉 홍수피해 현황(중구, 1997년~2006년) 108

〈표 2.4.4-4〉 홍수피해 현황(남구, 1997년~2006년) 109

〈표 2.4.4-5〉 홍수피해 현황(울주군, 1997년~2006년) 109

〈표 2.4.4-6〉 갈수우량을 기준으로 한 가뭄기간별 가뭄빈도 111

〈표 2.4.4-7〉 갈수유량을 기준으로 한 가뭄기간별 가뭄빈도 112

〈표 2.4.4-8〉 지속기간별 가뭄지수 113

〈표 2.4.4-9〉 SPI 방법에 따른 연도별 가뭄지수 최소값 113

〈표 2.4.4-10〉 SPI에 의한 가뭄의 분류 114

〈표 2.4.4-11〉 가뭄 대책 115

〈표 2.5.1-1〉 용수이용현황 산정지구 116

〈표 2.5.1-2〉 수원지 현황 118

〈표 2.5.1-3〉 취수장 현황 118

〈표 2.5.1-4〉 정수장 현황 119

〈표 2.5.1-5〉 정수장 규모 119

〈표 2.5.1-6〉 지방상수도 급수 현황 120

〈표 2.5.1-7〉 간이 및 소규모 급수시설 현황 120

〈표 2.5.1-8〉 지하수 및 기타시설 현황 120

〈표 2.5.1-9〉 간이 및 소규모급수시설 세부현황 121

〈표 2.5.1-10〉 농업용 저수지 현황 122

〈표 2.5.1-11〉 양수장 현황 125

〈표 2.5.1-12〉 보 현황 126

〈표 2.5.2-1〉 국토이용계획 용도지역현황 128

〈표 2.5.2-2〉 도시계획 용도지역현황 128

〈표 2.5.2-3〉 도시용지의 변화 129

〈표 2.6.1-1〉 오염원 그룹별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 구분 138

〈표 2.6.2-1〉 인구에 의한 발생부하 원단위 140

〈표 2.6.2-2〉 인구에 의한 수질오염 발생부하량 141

〈표 2.6.2-3〉 하천 유역별 가축수 추정 141

〈표 2.6.2-4〉 축산분뇨 발생부하 원단위 142

〈표 2.6.2-5〉 축산분뇨에 의한 수질오염 발생부하량 142

〈표 2.6.2-6〉 산업배출시설 현황 143

〈표 2.6.2-7〉 산업배출시설 현황 144

〈표 2.6.2-8〉 업종별 산업폐수 표준발생농도 144

〈표 2.6.2-9〉 산업폐수 발생부하량 144

〈표 2.6.2-10〉 토지이용(비점오염원)에 의한 발생원단위 145

〈표 2.6.2-11〉 토지이용(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 발생부하량 145

〈표 2.6.2-12〉 하천 유역의 총발생부하량 146

〈표 2.6.2-13〉 인구에 의한 수질오염 발생부하량 147

〈표 2.6.2-14〉 생활계 분뇨발생유량원단위, 분뇨발생유량비 및 잡배수오수전환율 147

〈표 2.6.2-15〉 오수발생유량 산정 147

〈표 2.6.2-16〉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수질기준(제3조제1항제1호 관련) 147

〈표 2.6.2-17〉 인구에 의한 배출부하량 148

〈표 2.6.2-18〉 인구에 의한 수질오염 발생부하량 148

〈표 2.6.2-19〉 오수발생유량 산정 149

〈표 2.6.2-20〉 개인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수질기준(제3조제1항제1호 관련) 149

〈표 2.6.2-21〉 인구에 의한 배출부하량 149

〈표 2.6.2-22〉 인구에 의한 총괄 배출부하량 149

〈표 2.6.2-23〉 축산폐수처리, 자원화 및 농지유출비 151

〈표 2.6.2-24〉 산업배출시설 배출현황 153

〈표 2.6.2-25〉 폐수종말처리시설의 방류수수질기준(제26조 관련) 154

〈표 2.6.2-26〉 산업폐수 배출부하량 154

〈표 2.6.2-27〉 토지이용(비점오염원)에 의한 총괄 배출부하량 155

〈표 2.6.2-28〉 총괄 배출 오염부하량 155

〈표 2.6.3-1〉 수질항목별 분석방법 160

〈표 2.6.3-2〉 지점별 수질분석 결과 161

〈표 2.6.3-3〉 환경부 연평균 지점별 수질분석 결과 165

〈표 2.6.3-4〉 하상저질 측정결과 166

〈표 2.6.3-5〉 각 지점별 유량측정 결과 168

〈표 2.6.4-1〉 조사시기 및 조사지점 169

〈표 2.6.4-2〉 조사하천 위치 170

〈표 2.6.4-3〉 조사항목별 조사시기 170

〈표 2.6.4-4〉 도시화 지수 및 귀화율 산출 171

〈표 2.6.4-5〉 피도와 군도의 판정기준(Braun-Blanquet, 1964) 173

〈표 2.6.4-6〉 표유류 직접 확인 방법 174

〈표 2.6.4-7〉 Field-sign method 175

〈표 2.6.4-8〉 조류 현지 조사 방법 176

〈표 2.6.4-9〉 생물 서식환경 분석 182

〈표 2.6.4-10〉 조사지역의 식물조성 183

〈표 2.6.4-11〉 조사지역의 귀화식물 목록 184

〈표 2.6.4-12〉 Raunkiaer의 생활형(1934) 186

〈표 2.6.4-13〉 식물조사 권역별 식생 188

〈표 2.6.4-14〉 포유류 목록 202

〈표 2.6.4-15〉 양서·파충류 목록 203

〈표 2.6.4-16〉 전체 조류 목록 206

〈표 2.6.4-17〉 각 조사지점의 하천현황사진 및 개황 208

〈표 2.6.4-18〉 각 조사지점의 어류목록 210

〈표 2.6.4-19〉 각 조사지점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목록 213

〈표 3.1-1〉 조사측량 현황 247

〈표 3.2.1-1〉 국립지리원 삼각성과 247

〈표 3.2.2-1〉 기본수준점 성과 248

〈표 3.6-1〉 표석 성과표 250

〈표 4.1.2-1〉 홍수량 산정지점 260

〈표 4.1.2-2〉 소유역 분할 260

〈표 4.1.2-3〉 하도 분할 261

〈표 4.1.3-1〉 우량관측소 현황 262

〈표 4.1.3-2〉 국내 강우자료의 지속시간별 관계 264

〈표 4.1.3-3〉 관측소별 강우자료의 자료년수 및 현황 266

〈표 4.1.3-4〉 확률분포형의 변수범위 및 매개변수 적합성 조건 267

〈표 4.1.3-5〉 재현기간별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 269

〈표 4.1.4-1〉 면적확률강우량 환산계수(낙동강 유역) 271

〈표 4.1.4-2〉 산정지점별 관측소 지배면적 및 티센계수 272

〈표 4.1.4-3〉 지속기간별 산정지점별 면적확률강우량 272

〈표 4.1.4-4〉 산정지점별 확률강우강도식 276

〈표 4.1.4-5〉 채택강우강도식에 의한 산정지점별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 287

〈표 4.1.4-6〉 기수립 타계획과의 확률강우량 비교 289

〈표 4.1.5-1〉 지속시간별 구간별 호우 발생수 295

〈표 4.1.5-2〉 Huff 분포 분위별 누가우량곡선의 종거(50%) 296

〈표 4.1.5-3〉 Huff 분위의 누가우량 회귀계수 296

〈표 4.1.6-1〉 토양의 분류 298

〈표 4.1.6-2〉 선행 토양함수조건(AMC)의 분류 299

〈표 4.1.6-3〉 울산관측소의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량 발생시 5일 선행강우 비율 299

〈표 4.1.6-4〉 농경지역 및 삼림지역의 유출곡선지수(AMC-II 조건) 300

〈표 4.1.6-5〉 도시지역의 유출곡선지수(AMC-II 조건) 301

〈표 4.1.6-6〉 NGIS사업의 토지이용도 분류체계 302

〈표 4.1.6-7〉 홍수량 산정 지점별 CN값 303

〈표 4.1.6-8〉 소유역별 CN 값 303

〈표 4.1.6-9〉 기수립 하천정비 기본계획과 금회 산정결과와의 CN값 비교 304

〈표 4.1.7-1〉 도달시간 산정 공식 312

〈표 4.1.7-2〉 소유역별 도달시간 산정 313

〈표 4.1.7-3〉 하도추적구간의 도달시간 산정 313

〈표 4.1.7-4〉 검정 호우사상 315

〈표 4.1.7-5〉 태화강 유역 매개변수산정 결과 316

〈표 4.1.7-6〉 빈도별 임계지속시간 및 홍수량(Clark의 유역추적법-Huff 분포) 317

〈표 4.1.7-7〉 지역홍수 빈도 분석 결과 318

〈표 4.1.7-8〉 채택 빈도별 홍수량(Clark의 유역추적법) 318

〈표 4.1.7-9〉 하천의 중요도에 따른 계획규모 320

〈표 4.1.7-10〉 기본홍수량 320

〈표 4.1.7-11〉 대암댐 수위별 방류량 321

〈표 4.1.7-12〉 사연댐 수위별 방류량 322

〈표 4.1.7-13〉 대곡댐 수위별 방류량 323

〈표 4.1.7-14〉 댐 홍수조절에 따른 재현기간별 홍수량 324

〈표 4.1.7-15〉 계획홍수량 비교 325

〈표 4.1.7-16〉 기본 및 계획홍수량 326

〈표 4.2.1-1〉 항력계수 333

〈표 4.2.1-2〉 Yarnell의 교각형상계수 334

〈표 4.2.2-1〉 조도계수 336

〈표 4.2.2-2〉 하천 및 수로의 조도계수 336

〈표 4.2.2-3〉 하도상태에 따른 조도계수 337

〈표 4.2.3-1〉 방법별 20년 및 30년 빈도 홍수위 339

〈표 4.2.3-2〉 기점 홍수위 340

〈표 4.2.4-1〉 개수전·후 빈도별 홍수위 342

〈표 4.2.4-2〉 금회 개수전·후 빈도별 홍수위 346

〈표 4.2.4-3〉 하상경사에 따른 α값 346

〈표 4.2.4-4〉 계획홍수량 크기에 따른 계획하폭 347

〈표 4.2.4-5〉 구간별 계획하폭 348

〈표 4.2.4-6〉 계획홍수위 349

〈표 5.1-1〉 누적통과 백분율 355

〈표 5.2.1-1〉 유량 및 유사량 측정결과 358

〈표 5.2.2-1〉 총유사량 추정방법 비교 360

〈표 5.2.2-2〉 총유사량 공식의 특징 360

〈표 5.2.2-3〉 총유사량 추정결과 361

〈표 5.3.3-1〉 장래 하상변동 예측 366

〈표 6.1.1-1〉 평균 강수량 385

〈표 6.1.2-1〉 삼호수위관측소 수위-유량관계곡선식 386

〈표 6.1.2-2〉 삼호수위관측소 수위자료 검토 386

〈표 6.1.2-3〉 삼호수위관측소 유출량 산정결과 검토 388

〈표 6.1.2-4〉 Tank 모형 모형의 최적 매개변수 390

〈표 6.1.2-5〉 방법별 유출량 산정결과 391

〈표 6.1.3-1〉 수자원 부존량 구성 392

〈표 6.2.1-1〉 소유역 구분 393

〈표 6.2.2-1〉 전국 연도별 상수도 보급현황 395

〈표 6.2.2-2〉 울산광역시 연도별 상수도 보급현황 395

〈표 6.2.2-3〉 소유역별 생활용수 이용량 396

〈표 6.2.2-4〉 과업유역내 공단현황 400

〈표 6.2.2-5〉 울산광역시 부지면적당 원단위 401

〈표 6.2.2-6〉 공업용수 이용량 402

〈표 6.2.2-7〉 경지면적 현황 404

〈표 6.2.2-8〉 농업용수이용량 407

〈표 6.3.1-1〉 목표연도별 장래인구 411

〈표 6.3.1-2〉 목표연도별 급수지역 수요량 411

〈표 6.3.1-3〉 목표연도별 미급수지역 수요량 412

〈표 6.3.1-4〉 목표연도별 생활용수 수요량 총괄 412

〈표 6.3.2-1〉 공업용수 원단위 종류별 검토 413

〈표 6.3.2-2〉 목표연도별 공업용수 수요량 414

〈표 6.3.3-1〉 목표연도별 농업용수 경지면적 416

〈표 6.3.3-2〉 용수·도시구역별 특성자료 416

〈표 6.3.3-3〉 풍속 보정계수(Cu) 419

〈표 6.3.3-4〉 순단파일사량에 이용되는 계수 및 값 419

〈표 6.3.3-5〉 위도별 일평균 일조가능시간(N), 북반구 420

〈표 6.3.3-6〉 관측가능 일사량(Ra) 420

〈표 6.3.3-7〉 평균온도에 대한 f(Tk)값 420

〈표 6.3.3-8〉 논의 작부시기 421

〈표 6.3.3-9〉 논벼에 대한 작물계수 421

〈표 6.3.3-10〉 밭의 작부시기 428

〈표 6.3.3-11〉 밭작물에 대한 작물계수 428

〈표 6.3.3-12〉 다목적용수량의 적용 및 배분방식 429

〈표 6.3.3-13〉 용수·도시구역별 추정된 단위용수량 430

〈표 6.3.3-14〉 목표연도별 농업용수 수요량 총괄 431

〈표 6.3.4-1〉 목표연도별 수요량 총괄 431

〈표 6.4.1-1〉 물수지 분석방법의 수요측면 구분 433

〈표 6.4.2-1〉 자연유량 산정방법 비교 434

〈표 6.4.3-1〉 생활용수 수요량 변화율 435

〈표 6.4.4-1〉 연도별 물부족량 및 물부족발생 횟수 436

〈표 6.4.4-2〉 목표연도별 물부족량 산정결과 437

〈표 6.4.4-3〉 목표연도별 물수지 분석결과 437

〈표 7.1.3-1〉 하천공간 구역의 설정 450

〈표 7.5.3-1〉 정비 방향 457

〈표 7.5.4-1〉 공간정비 기본방침 459

〈표 7.5.4-2〉 하천정비 유형 및 정비 방향 461

〈표 7.5.4-3〉 하천공간정비 기본방침 462

〈표 7.5.4-4〉 지구 구분 형태 463

〈표 7.5.4-5〉 기능공간별 배치 기준 463

〈표 7.5.4-6〉 하천환경 평가 기준 464

〈표 7.5.4-7〉 하천별, 지구별 공간정비 계획 465

〈표 8.1.1-1〉 지구 구분 형태 469

〈표 8.1.1-2〉 지구별 정비방향 471

〈표 8.1.1-3〉 제방 및 호안 정비 472

〈표 8.1.1-4〉 자연형 환경 호안공법 473

〈표 8.1.1-5〉 보 및 낙차공 정비 474

〈표 8.1.1-6〉 여울과 소의 특징 475

〈표 8.2-1〉 하천 시설물 정비계획 방향 설정 476

〈표 8.2.3-1〉 하상정리 구간 478

〈표 8.2.4-1〉 반천 I'Park 아파트단지 구간의 개수계획 480

〈표 8.3.1-1〉 기존 시설물 현황 482

〈표 8.3.2-1〉 계획 홍수량에 따른 둑마루 폭 기준 483

〈표 8.3.2-2〉 계획홍수량에 따른 여유고 484

〈표 8.3.2-3〉 기설 제방 능력 검토 485

〈표 8.3.2-4〉 기성제 둑마루폭, 비탈경사 및 소단 489

〈표 8.3.2-5〉 비탈덮기구조에 따른 비탈덮기표준 490

〈표 8.3.2-6〉 유속에 따른 밑다짐폭 기준 490

〈표 8.3.2-7〉 홍수시 일시적 세굴깊이 490

〈표 8.3.2-8〉 주요 호안공법의 특성 493

〈표 8.3.2-9〉 도시미관을 고려한 파라펫 조성(안) 497

〈표 8.3.2-10〉 허용 소류력 499

〈표 8.3.2-11〉 비탈덮기 공법 분류 및 기준 항력 500

〈표 8.3.2-12〉 기성제 호안 소류력 검토 501

〈표 8.3.2-13〉 기존 배수시설 현황 501

〈표 8.3.2-14〉 하천별 배수 시설물 능력 검토 결과 506

〈표 8.3.2-15〉 축제 계획지구 509

〈표 8.3.2-16〉 계획 지구별 제방 표준단면(안) 522

〈표 8.3.2-17〉 신설 배수시설 계획 현황 527

〈표 8.3.2-18〉 기설 제방 보강 계획 528

〈표 8.3.3-1〉 하천 횡단 시설물 현황 529

〈표 8.3.3-2〉 기존 교량 현황 529

〈표 8.3.3-3〉 계획 홍수량에 따른 여유고 530

〈표 8.3.3-4〉 계획홍수량에 따른 경간장 531

〈표 8.3.3-5〉 교량별 홍수소통능력 검토 532

〈표 8.3.3-6〉 교각형상에 따른 보정계수(K₁) 535

〈표 8.3.3-7〉 흐름입사각에 대한 보정계수(K₂) 535

〈표 8.3.3-8〉 교각형상에 따른 보정계수(K₃) 536

〈표 8.3.3-9〉 하상재료의 크기에 대한 보정계수(K₄) 536

〈표 8.3.3-10〉 교량세굴 검토 결과 538

〈표 8.3.3-11〉 고정보 및 가동보 종류 541

〈표 8.3.3-12〉 보 종류 543

〈표 8.3.3-13〉 취수보 현황 544

〈표 8.3.3-14〉 입암보 및 대천아랫보 현황 544

〈표 8.3.3-15〉 낙차공 현황 545

〈표 8.3.3-16〉 사연2낙차공 현황 546

〈표 8.3.3-17〉 보 및 낙차공 계획 547

〈표 8.3.3-18〉 어도 설치 필요성 검토 547

〈표 8.3.3-19〉 블라이(Bligh) 계수 549

〈표 8.3.3-20〉 고정 낙차공 단면 검토 550

〈표 8.3.3-21〉 단면검토 결과 및 소요제원 550

〈표 8.3.3-22〉 계획홍수량과 경간길이 551

〈표 8.3.3-23〉 가동보에 대한 소요제원 552

〈표 8.3.4-1〉 어도의 설치목적별 분류 556

〈표 8.3.4-2〉 어도의 구조적 형식별 분류 557

〈표 8.3.4-3〉 어도 형식별 특성 558

〈표 8.3.4-4〉 어도 설치 계획 562

〈표 8.3.4-5〉 상황별 어도선택 기준 562

〈표 8.4.1-1〉 치수경제성 분석대상지구 567

〈표 8.4.2-1〉 범람구역 개요 568

〈표 8.4.2-2〉 지구별 유량규모별 침수면적 568

〈표 8.4.3-1〉 직접피해 대상자산과 피해액 산정방법 569

〈표 8.4.3-2〉 전국평균 건축연면적별 가구수비 570

〈표 8.4.3-3〉 건축 형태별 건축단가 571

〈표 8.4.3-4〉 년도별 건설업 Deflator 보정지수(2000년 기준) 571

〈표 8.4.3-5〉 가정용품 보급률 및 평균가격 572

〈표 8.4.3-6〉 년도별 소비자 물가지수(울산광역시 기준) 573

〈표 8.4.3-7〉 농작물별 생산비(2002년 기준) 574

〈표 8.4.3-8〉 지역별 논벼의 생산비(2002년 기준) 574

〈표 8.4.3-9〉 국부통계조사보고서(1999)와 시군 통계연보의 사업체별 항목 575

〈표 8.4.3-10〉 시도별 산업분류별 사업체 1인당 종사자의 유형자산 및 재고자산 576

〈표 8.4.4-1〉 침수심별 건물 피해율 578

〈표 8.4.4-2〉 침수심별 건물내용물 피해율 578

〈표 8.4.4-3〉 침수심별 농경지 피해율 579

〈표 8.4.4-4〉 침수심별 농작물 피해율 579

〈표 8.4.4-5〉 침수심별 유형자산·재고자산 피해율 580

〈표 8.4.5-1〉 단위 침수면적당 손실 인명수 581

〈표 8.4.5-2〉 단위 침수면적당 발생 이재민수 581

〈표 8.4.5-3〉 해당 행정구역별 전체대상자산 582

〈표 8.4.5-4〉 일반자산피해액에 대한 공공시설물의 피해액 비율 583

〈표 8.4.7-1〉 유량규모별 총 피해액 585

〈표 8.4.8-1〉 연평균 피해경감기대액의 산정방법 587

〈표 8.4.8-2〉 지구별 및 유량규모별 연평균 피해경감기대액 588

〈표 8.4.9-3〉 지구별 치수사업비 588

〈표 8.4.9-4〉 공공사업의 적용 할인률 589

〈표 8.4.9-5〉 시설물별 잔존가치 589

〈표 8.4.9-6〉 지구별 유량규모별 경제성 분석 결과 592

〈표 8.4.11-1〉 세부 기준의 상대 가치화 방법 595

〈표 8.4.11-2〉 지구별 투자 우선순위 596

〈표 9.1.2-1〉 목표 수질 601

〈표 9.1.2-2〉 요구 수질 602

〈표 9.1.2-3〉 수질등급별 특성과 지표 어종 602

〈표 9.1.2-4〉 유기물질에 따른 수생동·식물과 수질오염의 정도 602

〈표 9.1.2-5〉 경관측면 목표수질 603

〈표 9.1.2-6〉 도시하천 이미지에 대한 수질 603

〈표 9.1.3-1〉 유황분석 결과 604

〈표 9.1.3-2〉 조사지역의 담수어류 목록 605

〈표 9.1.3-3〉 대표어종과 대리어종 일람표 605

〈표 9.1.3-4〉 주요어족의 생태적 요구조건 606

〈표 9.1.3-5〉 주요 어종의 서식처 수리조건 607

〈표 9.1.3-6〉 유속에 따른 흐름의 느낌 상태 610

〈표 9.1.3-7〉 경관측면을 고려한 평가기준 611

〈표 9.1.3-8〉 경관을 고려한 필요유량 611

〈표 9.1.3-9〉 친수활동과의 관련사항 611

〈표 9.1.3-10〉 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1) 612

〈표 9.1.3-11〉 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2) 612

〈표 9.1.3-12〉 친수활동을 고려한 필요유량 612

〈표 9.1.4-1〉 수질모델의 종류 및 특성 614

〈표 9.1.4-2〉 QUAL2E Model의 Element의 구성 615

〈표 9.1.4-3〉 모형보정결과(유량) 619

〈표 9.1.4-4〉 모형보정결과(DO) 620

〈표 9.1.4-5〉 모형보정결과(BOD) 621

〈표 9.1.4-6〉 모형보정결과(T-N) 622

〈표 9.1.4-7〉 모형보정결과(T-P) 623

〈표 9.1.4-8〉 장래 수질예측결과(DO) 626

〈표 9.1.4-9〉 장래 수질예측결과(BOD) 627

〈표 9.1.4-10〉 장래 수질예측결과(T-N) 628

〈표 9.1.4-11〉 장래 수질예측결과(T-P) 629

〈표 9.1.5-1〉 장·단점 비교 634

〈표 9.1.5-2〉 수처리 식물의 적용성 635

〈표 9.1.5-3〉 하천정화기법 구분 636

〈표 9.1.5-4〉 생태공학을 활용한 정화방법의 처리프로세스와 처리성능의 상관관계 639

〈표 9.1.5-5〉 목표 수질 641

〈표 9.1.5-6〉 하천공간 구역의 설정 642

〈표 9.2.1-1〉 사전환경성검토 협의를 위하여 필요한 서류를 구비하여야 하는 행정계획 643

〈표 9.2.2-1〉 상수원보호구역 지정현황 644

〈표 9.2.2-2〉 야생동·식물 보호구역 지정현황 644

〈표 9.2.2-3〉 습지보호지역 644

〈표 9.2.2-4〉 수변구역 645

〈표 9.2.2-5〉 환경보전 시책 645

〈표 9.2.2-6〉 항목별 환경보전 목표 설정 646

〈표 9.2.3-1〉 대안선정의 종류 및 선정방법 646

〈표 9.2.4-1〉 백호우의 시간당 작업량(Q) 계산공식 651

〈표 9.2.4-2〉 오탁발생량 원단위 651

〈표 9.2.4-3〉 SS 가중농도 예측 652

〈표 9.2.4-4〉 토사유출량 원단위 653

〈표 9.2.4-5〉 오탁발생량 원단위 654

〈표 9.2.5-1〉 하도특성을 고려한 호안공법의 일례 655

〈표 10.1.2-1〉 기존폐천부지 현황 670

〈표 10.1.2-2〉 신생폐천부지 현황 671

〈표 10.2-1〉 하천부속물 및 하천공작물의 보호 구역 671

〈표 10.4.1-1〉 하천 고시현황 673

〈표 11.1-1〉 계획 시설물에 의한 효과 677

〈그림 1.2-1〉 과업 위치도 29

〈그림 2.1.1-1〉 하천수계 구성도 42

〈그림 2.1.1-2〉 유역의 표고분포도 46

〈그림 2.1.1-3〉 유역의 경사도 47

〈그림 2.1.1-4〉 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도 49

〈그림 2.1.2-1〉 면적-표고 곡선(Hypsometric-Curve) 52

〈그림 2.1.2-2〉 지질도 53

〈그림 2.1.2-3〉 토양도 59

〈그림 2.1.2-4〉 토지이용 현황도 61

〈그림 2.1.3-1〉 행정구역별 인구변화 65

〈그림 2.1.3-2〉 행정구역도 66

〈그림 2.2.1-1〉 Thiessen망도 74

〈그림 2.2.2-2〉 유황곡선 77

〈그림 2.3.1-1〉 하천종단도 81

〈그림 2.3.3-1〉 태화강 지방하천구간의 측점별 하폭 비교 89

〈그림 2.3.3-2〉 태화강 지방하천구간의 측점별 저수로폭 비교 90

〈그림 2.3.3-3〉 최심하상고 비교 94

〈그림 2.3.3-4〉 하상변동량 곡선 100

〈그림 2.4.3-1〉 사연댐, 대암댐 및 대곡댐 전경 106

〈그림 2.4.4-1〉 연도별 SPI 가뭄지수 변화 114

〈그림 2.5.1-1〉 용수이용량 산정지점도 117

〈그림 2.5.2-1〉 토지이용변화 현황 129

〈그림 2.6.1-1〉 하천 오염원의 분류 138

〈그림 2.6.3-1〉 조사지점 위치도(삼동천 합류후) 158

〈그림 2.6.3-2〉 조사지점 위치도(대곡천 합류전) 159

〈그림 2.6.3-3〉 조사지점 위치도(척과천 합류후) 159

〈그림 2.6.3-4〉 대상지점별 pH 분포 162

〈그림 2.6.3-5〉 대상지점별 DO 분포 162

〈그림 2.6.3-6〉 대상지점별 BOD 분포 163

〈그림 2.6.3-7〉 대상지점별 COD 분포 163

〈그림 2.6.3-8〉 대상지점별 SS 분포 163

〈그림 2.6.3-9〉 대상지점별 T-N 분포 163

〈그림 2.6.3-10〉 대상지점별 T-P 분포 164

〈그림 2.6.3-11〉 수질측정 위치도(환경부) 165

〈그림 2.6.3-12〉 유량측정 167

〈그림 2.6.4-1〉 Raunkiaer의 생활형 분포 모식도 172

〈그림 2.6.4-2〉 피도 및 군도 판정기준 모식도 173

〈그림 2.6.4-3〉 유미 양서류 채집용 pitfall trap 176

〈그림 2.6.4-4〉 식물조사권역 및 하천군락단면위치도 179

〈그림 2.6.4-5〉 육상 및 육수동물 조사지점도 180

〈그림 2.6.4-6〉 과별 출현종수와 출현비 184

〈그림 2.6.4-7〉 조사지역의 생활형 분포 비교도 186

〈그림 2.6.4-8〉 식물 출현종 187

〈그림 2.6.4-9〉 하천단면1 모식도 및 현황사진 189

〈그림 2.6.4-10〉 하천단면2 모식도 및 현황사진 190

〈그림 2.6.4-11〉 하천단면3 모식도 및 현황사진 191

〈그림 2.6.4-12〉 하천 식생도[원문불량;p.192,194,196] 192

〈그림 2.6.4-13〉 현존식생 현황 198

〈그림 2.6.4-13〉 현존식생 현황(계속) 199

〈그림 2.6.4-13〉 현존식생 현황(계속) 200

〈그림 2.6.4-13〉 현존식생 현황(계속) 201

〈그림 2.6.4-14〉 주요 우점종 204

〈그림 2.6.4-15〉 각 지점별 출현종수와 개체수 205

〈그림 2.6.4-16〉 각 지점별 종다양도 205

〈그림 2.6.4-17〉 현지 조사시 출현 육상동물 207

〈그림 2.6.4-18〉 분류군별 출현종 구성비 및 상대풍부도 209

〈그림 2.6.4-19〉 출현종 211

〈그림 2.6.4-20〉 전체 출현종의 상대풍부도 212

〈그림 2.6.4-21〉 현지조사시 출현종 215

〈그림 2.6.4-22〉 육수동물 조사사진 215

〈그림 3.6-1〉 표석설치 사진 251

〈그림 4.1.2-1〉 홍수량 산정지점도 259

〈그림 4.1.2-1〉 소유역 분할도 261

〈그림 4.1.3-1〉 티센망도 263

〈그림 4.1.3-2〉 확률강우량 산정을 위한 빈도해석 흐름도 265

〈그림 4.1.4-1〉 I-D-F 곡선 278

〈그림 4.1.4-1〉 I-D-F 곡선(계속) 279

〈그림 4.1.4-1〉 I-D-F 곡선(계속) 280

〈그림 4.1.4-1〉 I-D-F 곡선(계속) 281

〈그림 4.1.4-1〉 I-D-F 곡선(계속) 282

〈그림 4.1.4-1〉 I-D-F 곡선(계속) 283

〈그림 4.1.4-1〉 I-D-F 곡선(계속) 284

〈그림 4.1.4-1〉 I-D-F 곡선(계속) 285

〈그림 4.1.4-1〉 I-D-F 곡선(계속) 286

〈그림 4.1.5-1〉 Huff 누가분포에 의한 무차원 누가곡선(울산) 296

〈그림 4.1.6-1〉 GIS를 이용한 CN값 산정 모식도 297

〈그림 4.1.7-1〉 Muskingum-Cunge법에서의 격자망 구성 309

〈그림 4.1.7-2〉 지속시간에 따른 홍수량 산정결과 317

〈그림 4.1.7-3〉 대암댐 빈도별 홍수조절효과 322

〈그림 4.1.7-4〉 사연댐 빈도별 홍수조절효과 323

〈그림 4.1.7-5〉 대곡댐 빈도별 홍수조절효과 324

〈그림 4.1.7-6〉 기본 및 계획홍수량 327

〈그림 4.2.1-1〉 에너지 방정식의 용어에 대한 개념도 329

〈그림 4.2.1-2〉 표준축차법에 의한 수위산정 과정 330

〈그림 4.2.1-3〉 교량에서의 내부 및 인근 횡단면 331

〈그림 4.2.3-1〉 20년 및 30년에 대한 기점홍수위 비교(개수전) 340

〈그림 5.2.1-1〉 Helly-Smith 소류사 채취기 357

〈그림 5.3.2-1〉 유사량 산정을 위한 검사체적(Control Volume) 364

〈그림 5.3.3-1〉 장래 하상변동 예측 370

〈그림 6.1.1-1〉 월별 강수량 변화 385

〈그림 6.1.2-1〉 삼호수위관측소 수위(관측수위+영점표고) 387

〈그림 6.1.2-2〉 Tank 모형의 저수유출과정 389

〈그림 6.1.3-1〉 수자원 부존량 구성 392

〈그림 6.2.1-1〉 소유역 구분 394

〈그림 6.2.2-1〉 소유역별 경지면적 403

〈그림 6.2.2-2〉 소유역별 농업용수이용량 406

〈그림 6.3.1-1〉 생활용수 수요량 추정 409

〈그림 6.3.1-2〉 생활용수 수요추정 흐름도 410

〈그림 6.3.3-1〉 농업용수 수요량 구분 415

〈그림 6.3.3-2〉 논용수 단위용수량 산정단계 417

〈그림 6.3.3-3〉 논에서의 증발산량 산정단계 418

〈그림 6.3.3-4〉 일별 담수심추적법 산정단계 423

〈그림 6.3.3-5〉 밭용수 단위용수량 산정단계 423

〈그림 6.3.3-6〉 밭에서의 잠재증발산량 산정단계 424

〈그림 6.4.4-1〉 목표연도별 물부족량 및 물부족량 발생시기 438

〈그림 7.1-1〉 하천의 기능 446

〈그림 7.3-1〉 홍수의 종합관리를 위한 치수방재대책 수단 453

〈그림 7.5.3-1〉 하천환경관리 기본계획수립 흐름도 458

〈그림 7.5.4-1〉 하천공간 정비계획의 전체 흐름도 460

〈그림 8.1.1-1〉 하천공간 환경정비 계획도 470

〈그림 8.3.2-1〉 복합형 호안의 종류 492

〈그림 8.3.2-2〉 흉벽 설치 예 495

〈그림 8.3.2-3〉 제방 표준단면도 523

〈그림 8.3.2-3〉 제방 표준단면도(계속) 524

〈그림 8.3.2-3〉 제방 표준단면도(계속) 525

〈그림 8.3.2-3〉 제방 표준단면도(계속) 526

〈그림 8.3.3-1〉 세굴방호공 계획 흐름도 533

〈그림 8.3.3-2〉 보정계수 K₁을 위한 교각의 형상 분류 535

〈그림 8.3.3-3〉 고정보의 일반도 548

〈그림 8.3.4-1〉 어도의 입구가 적정한 예 560

〈그림 8.3.4-2〉 부적정한 어도의 위치 561

〈그림 8.3.4-3〉 입암공원 조성계획 564

〈그림 8.3.4-4〉 자전거도로 겸 산책로 및 공원 계획도 565

〈그림 8.4.4-1〉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의 개념도 577

〈그림 8.4.6-1〉 침수편입률 산정을 위한 공간정보의 중첩 584

〈그림 8.4.11-1〉 통합지표 도출 절차 596

〈그림 9.1.3-1〉 W/B의 빈도분석 609

〈그림 9.1.4-1〉 QUAL2E 모델의 반응 계통도 617

〈그림 9.1.4-2〉 모형 보정결과(평균) 624

〈그림 9.1.4-3〉 장래 수질예측결과 630

〈그림 9.1.5-1〉 물막이공을 이용한 하천공사 시행 640

〈그림 9.2.5-1〉 유로인접부 Flume관 사용예시 658

〈그림 9.2.5-2〉 폐유수거 저장소 설치 예시도 66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64972 627.12 -17-5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64973 627.12 -17-5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