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8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9
1. 연구 배경 19
2. 연구 목적 20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21
1. 연구 범위 21
2. 연구 방법 25
제2장 여건 분석 27
제1절 선행계획 분석 28
1. 관련계획 검토 28
2. 관련법규 검토 32
제2절 선행연구 분석 34
1. 선행연구 분석 34
2. 4개 박물관 기초연구 개요와 비교 64
제3절 행복도시 여건 분석 69
1. 사회적 여건 분석 69
2. 물리적 여건 분석 79
제3장 국립박물관단지 비전 및 방향 95
제1절 비전 및 가치 96
1. 기본계획 상의 조성 배경 96
2. 박물관차원의 가치: 정의 및 역할의 변화 98
3. 도시차원의 가치: 문화의 활용 99
4. 국립박물관단지의 비전 제시 103
제2절 운영방향과 운영체계 116
1. 국립박물관단지 통합 운영 체계 설정 배경 116
2. 박물관의 기능 분류 117
3. 단지 운영을 위한 제도적 배경 검토 122
4. 박물관단지 운영체계 구상 141
5. 종합 운영방안 제시 164
제4장 국립박물관단지 공간 및 운영계획 173
제1절 통합운영센터 조성 및 운영방안 174
1. 통합운영센터 운영여건분석 174
2. 통합운영센터 관련 유형별 분석 175
3. 통합운영센터 운영 및 거버넌스 방안 183
4. 통합운영센터 체계 및 조직 189
제2절 통합수장고 조성 및 운영방안 209
1. 통합수장고 조성 관련 여건 분석 209
2. 통합수장고 운영 관련 국내외 현황 213
3. 통합수장고 조성 방안 236
제3절 국립어린이박물관 조성 및 운영방안 262
1. 국립어린이박물관 운영 여건 분석 262
2. 국립어린이박물관 운영 방안 275
3. 국립어린이박물관 전시운영 방안 287
4. 단계별 추진계획 318
제5장 국립박물관단지 마스터 플랜 가이드라인 320
제1절 마스터 플랜 기본지침 321
1. 국립박물관단지의 공간구성 여건 및 방향 321
2. 국립박물관단지의 공간 비전 326
3. 국립박물관단지의 공간 위상 설정 329
4. 국립박물관단지 차별화(특화) 방안 331
5. 마스터 플랜 기본지침 339
제2절 시설별 기본지침 344
1. 통합지원시설(통합운영센터, 국립어린이박물관, 통합수장고) 344
2. 디자인박물관 354
3. 도시건축박물관 357
4. 국가기록박물관 362
5. 디지털문화유산영상관 366
제3절 단계별 추진계획 370
1. 국립박물관단지 조성 단계 계획 370
2. 국립박물관단지 1단계 사업추진 프로세스 372
참고문헌 374
판권기 379
[그림 1-1] 행복도시 행복문화벨트 계획안 21
[그림 1-2] 간접 범위 포함 토지이용 계획 22
[그림 2-1]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종합계획도 29
[그림 2-2] 국립박물관단지 조성사업 추진경과 31
[그림 2-3] 도시건축박물관 조직편성(안) 49
[그림 2-4] 디지털문화유산박물관 조직도 및 적정 조직인원수(안) 50
[그림 2-5] 국립디자인박물관의 포지셔닝 56
[그림 2-6] 디자인박물관 조직 구성(안) 58
[그림 2-7] 디자인박물관 공간구성체계 - 기능통합형 59
[그림 2-8] 디지털문화유산영상관 운영조직(안) 66
[그림 2-9] 디자인박물관 조직구성(안) 67
[그림 2-10] 행복도시 연도별 인구 통계 70
[그림 2-11] 행복도시 도시디자인 목표 72
[그림 2-12] 권역별 예상 수요층 77
[그림 2-13] 보물 제649호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78
[그림 2-14] 천연기념물 연기 봉산동 향나무 78
[그림 2-15] 국립박물관단지 주변 공간 여건 79
[그림 2-16] 세종시 도시 이미지 계획 81
[그림 2-17] 세종시 권역별 이미지 계획 82
[그림 2-18] 2-4 생활권 경관계획 및 세부계획 82
[그림 2-19] 행복도시 세종상징광장 위치도 85
[그림 2-20] 행복도시 세종상징광장 공모 당선안 86
[그림 2-21] 행복도시 2-4생활권 면적 계획 87
[그림 2-22] 행복도시 어반아트리움 공모당선작 P-5 88
[그림 2-23] 행복도시 어반아트리움 공모당선작 P-3 88
[그림 2-24] 행복도시 아트센터 위치도 90
[그림 2-25] 세종시 아트센터 공모 당선작 90
[그림 2-26] 중앙녹지공간(중앙공원) 91
[그림 2-27] 국립박물관단지와 주변공원 및 진입도로 연계도 92
[그림 3-1] 국립박물관단지 통합운영 개념 및 방향의 기본층위(안) 97
[그림 3-2] 국립박물관단지의 가치 100
[그림 3-3] 도시발전의 맥락에서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사례 101
[그림 3-4] 국립박물관단지의 비전 103
[그림 3-5] 국립박물관단지의 비전 방향 105
[그림 3-6] 국립박물관단지의 비전 및 가치 106
[그림 3-7] 행복도시의 현재 모습(위)과 미래도시의 모습(아래) 107
[그림 3-8] NMC 산하 Canadian War Museum(좌), National Gallery of Canada(우) 108
[그림 3-9] NMC 산하 Canadian Museum of Nature(좌), Canadian Museum of History(우) 108
[그림 3-10] 미국 스미스소니언 전경 109
[그림 3-11] 베를린 박물관 섬 전경 110
[그림 3-12] 베를린 문화포럼 전경(2004년) 111
[그림 3-13] 캔버라 국립박물관단지 전경 112
[그림 3-14] 영월 박물관지도 113
[그림 3-15] 광주 아시아중심도시의 문화권 114
[그림 3-16]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의 기대효과 115
[그림 3-17] 박물관 역할 및 기능의 확장 사례 118
[그림 3-18] 박물관 운영 영역 분석 120
[그림 3-19] 운영 형태별 통합운영 업무구분 121
[그림 3-20] 법률별 특징과 사례 131
[그림 3-21] 통합운영체계 유형별 비교 134
[그림 3-22] 소속별 위원회 현황('15.6월말 기준) 135
[그림 3-23] 정부위원회 수 추이 135
[그림 3-24] 연계형 운영 모델 143
[그림 3-25] 자율형 운영 모델 144
[그림 3-26] 조직구성체계별 대안 비교 151
[그림 3-27]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모습 152
[그림 3-28]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조직도 및 업무분장 153
[그림 3-29] 예술의전당 조직도 154
[그림 3-30] 미국 스미스소니언 조직도 155
[그림 3-31] 미국 스미스소니언 배치도 156
[그림 3-32] 비엔나 뮤지엄쿼터 조직도 157
[그림 3-33] 비엔나 뮤지엄쿼터 배치도 157
[그림 3-34] 국립박물관단지 조직구성(안)_기능중심(병렬형) 158
[그림 3-35] 국립박물관단지 조직구성(안)_기능중심(위계형) 158
[그림 3-36] 국립중앙박물관 조직도 159
[그림 3-37] 국립경주박물관 조직도 159
[그림 3-38] 국립국악원 조직도 160
[그림 3-39] 국립남도국악원 조직도 161
[그림 3-40] 프랑스 라빌레뜨 시설배치도 162
[그림 3-41] 프랑스 라빌레뜨 조직도 163
[그림 3-42] 국립박물관단지 시설중심 조직구성(안) 개념 165
[그림 3-43] 국립박물관단지 조직구성(안)과 기능 166
[그림 3-44] 운영기능 조직구성 안 168
[그림 3-45] 조성단계에서의 협의 기능 170
[그림 3-46] 개관 직전 및 운영 단계에서의 협의 기능 및 조직 172
[그림 4-1] 스미스소니언 인스티튜션 빌딩의 기능 175
[그림 4-2] 스미스소니언 인스티튜션 빌딩 전경 177
[그림 4-3] 베를린 박물관 섬의 '고고학의길' 계획안 178
[그림 4-4] 제임스 시몬 갤러리 외관과 실내 이미지(안) 181
[그림 4-5] 통합운영센터 운영대안 181
[그림 4-6] 복합문화공간인 퐁피두센터 로비의 통합 매표소 186
[그림 4-7] 기능의 연관성 정도 188
[그림 4-8] 통합운영센터의 체계 및 조직 189
[그림 4-9] 스미스소니언 통합 로고 192
[그림 4-10] 스미스소니언인 스티튜션 통합 홈페이지화면 192
[그림 4-11] 베를린 박물관 섬 통합 홈페이지 193
[그림 4-12] MQ Wien 로고 194
[그림 4-13] 비엔나 뮤지엄쿼터 통합 홈페이지 화면 194
[그림 4-14] 비엔나 뮤지엄쿼터의 '유성'을 주제로 한 테마 길의 모습 197
[그림 4-15] 베를린 박물관 섬의 '고고학의 산책로' 계획안 198
[그림 4-16] 스미스소니언인 스티튜션 로고 티셔츠 199
[그림 4-17] 국립현대미술관 로고타이프 머그 199
[그림 4-18] 통합운영센터 교육프로그램의 목적 201
[그림 4-19] 교육프로그램의 분류 202
[그림 4-20] 통합운영센터 공간구성 207
[그림 4-21] 프랑스 국립 건축 및 문화유산 박물관 홈페이지 218
[그림 4-22] 국내 소장품 통합검색시스템 220
[그림 4-23] 백남준 아트센터 전경 224
[그림 4-24] Open Storage 공간 구성 227
[그림 4-25] 보존 및 소장품 센터 228
[그림 4-26] 스테인드글라스 복원 중인 모습 228
[그림 4-27] 에르미타주박물관의 보존 및 소장품 센터 내부 모습 228
[그림 4-28] 전시의 일부로 공개되는 연구실의 모습 229
[그림 4-29] 스터디갤러리형 수장고 사례 : 께 브랑리 박물관 악기전시실 230
[그림 4-30] 루브르-랑스 Discovery Area 모습 231
[그림 4-31] 리즈박물관 지원센터 내외부 모습 234
[그림 4-32] 글래스고우박물관 지원센터 내외부 모습 235
[그림 4-33] 루브르 리에방 외부 독립수장센터 조감도 235
[그림 4-34] 국립타이완박물관 수장고 238
[그림 4-35] Active RFID 시스템 238
[그림 4-36] 개방형 수장고 유형 및 분류 241
[그림 4-37] Open Storage 운영 체계도 242
[그림 4-38] 연계형 244
[그림 4-39] 분리형 245
[그림 4-40] 공동출납형 246
[그림 4-41] 개별운영형 247
[그림 4-42] 온습도 조건에 따른 박물관 소장 자료 분류 249
[그림 4-43] 통합수장고 도입/운영안 260
[그림 4-44] 행복도시 인구 피라미드(2013/2040) 264
[그림 4-45] 행복도시 내 설립예정 150개 학교의 배치 현황 264
[그림 4-46] 행복도시 학교 및 학생 현황(2014) 265
[그림 4-47] 국립어린이박물관의 대상 266
[그림 4-48] 국립어린이박물관의 가치 설정 요소 275
[그림 4-49] 국립어린이박물관이 지향하는 핵심가치 280
[그림 4-50] 국립어린이박물관의 목적 282
[그림 4-51] 국립어린이박물관 콘텐츠의 연계 284
[그림 4-52] 학예관련 운영 기능 분류 286
[그림 4-53] 국립어린이박물관의 전시 개념 288
[그림 4-54] 국립어린이박물관의 전시흐름도(안) 289
[그림 4-55] 경기도 어린이박물관의 두더지 체험장과 병아리 되어보기 전시실 모습 292
[그림 4-56] 영국 이매지노시티의 The Roof Garden 292
[그림 4-57] 영국 이매지노시티의 Doll's House 293
[그림 4-58] 미국 보스턴 어린이박물관의 Birthday Parties 294
[그림 4-59] 영국 이매지노시티의 Construction Zone 294
[그림 4-60] 경기도 어린이박물관의 건축 작업장 전시장 모습 295
[그림 4-61] 영국 이매지노시티의 주차장의 체험 모습 296
[그림 4-62] 영국 이매지노시티의 Village Market의 정육점 코너 297
[그림 4-63]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어린이박물관의 National Geographic Sacred Journeys 전시모습 298
[그림 4-64]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의 생활풍습 및 전통의례 체험 프로그램 299
[그림 4-65]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의 '육의전 상인의 하루'와 '그림문자 수수께끼' 프로그램 모습 299
[그림 4-66]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어린이박물관의 The Power of Children_ Making a Difference 전시실 모습 300
[그림 4-67] 미국 국가기록보존소의 Boeing Learning Center 프로그램 301
[그림 4-68] 프랑스 국가기록원의 Journées de l' étudiant 진행 모습 301
[그림 4-69]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의 다문화 꾸러미 303
[그림 4-70] 경기도 어린이박물관의 〈내 친구를 소개합니다〉 전시실 모습 303
[그림 4-71] 미국 보스턴박물관의 Our Green Trail 프로그램 모습 304
[그림 4-72]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어린이박물관의 Biotech Lab 305
[그림 4-73] 미국 브룩클린 어린이박물관의 Neighborhood Nature 305
[그림 4-74] 스미스소니언 Wegmans Wonderplace 전시장 구성 및 전시 진행 모습 306
[그림 4-75] 중국 국립어린이박물관 구상도 및 전시장 모습 307
[그림 4-76] 체험형 309
[그림 4-77] 경기도어린이박물관 309
[그림 4-78]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공간 311
[그림 4-79] 국립청주박물관 동화구현공간 311
[그림 4-80] 국립어린이박물관 공간구성 313
[그림 4-81] 국립어린이박물관 공간구성 기본방향 315
[그림 5-1] 국립박물관단지 인문환경 및 입지특성 322
[그림 5-2] 국립박물관단지 자연환경 특성 323
[그림 5-3] 주변 공간적 주요 여건 325
[그림 5-4] 국립박물관단지 마스터 플랜의 개요 328
[그림 5-5] 국립박물관단지의 공간전략 328
[그림 5-6] 국립박물관단지의 공간위상 330
[그림 5-7] 정부세종청사 332
[그림 5-8] 현대화사업을 통한 통합 연계_프랑스 루브르박물관 333
[그림 5-9] 장소성을 반영한 체험형 경관조성_인사동 쌈지길 333
[그림 5-10] 공원과의 일체화-아크로스 후쿠오카 334
[그림 5-11] 외부공간의 투영-노르웨이 킬덴콘서트홀 334
[그림 5-12] 지역문화축제의 중심장소-뉴욕 현대미술관 MoMA PS1 334
[그림 5-13] 국립박물관단지와 금강북로 위치 335
[그림 5-14] 오래된 조선소의 흔적활용_덴마크 국립해양박물관 335
[그림 5-15] 폐철도를 이용한 도시재생_뉴욕 하이라인파크 335
[그림 5-16] 국립중앙박물관의 통경축 336
[그림 5-17] 커뮤니티공간-미국 크라운 분수 337
[그림 5-18] 전통춤의 형상화-한강예술섬 338
[그림 5-19] 전통서원배치의 재해석-세계유교컨벤션센터 338
[그림 5-20] 도시의 상징-빌바오구겐하임미술관 338
[그림 5-21] 오브제 디자인-쿤스트하우스미술관 338
[그림 5-22] 지상녹지공간 조성_서울추모공원 339
[그림 5-23] 벽면녹화_로스카보스 컨벤션센터 339
[그림 5-24] 박물관단지 조성 대상지 위치 34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