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고전도성(10mS/m 이상) 탄소나노튜브/시멘트 복합재료을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염소침투 센서의 원천기술 개발 [전자자료] : 최종보고서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국토교통부,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총서사항
Infrastructure R&D report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4395039
제어번호
MONO1201716616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관연구책임자: 김형기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요약문

영문 요약서(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 개요 15

1. 연구개발의 정의, 범위, 특징 15

가. 연구개발 배경 15

나. 연구개발 정의 및 범위 19

다. 연구개발기술의 특징 20

라. 관련 분야의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6

마. 연구개발의 우수성 및 차별성 29

제2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30

1.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30

가. 연구개발 최종목표 30

나. 세부연구목표 및 연구내용 30

2. 연구수행 전략 및 방법론 31

가. 연구개발 흐름도 31

나. 연구개발단계에 따른 세부연구내용 31

3. 연구수행 결과 35

가. 연구수행결과 요약 35

나. 연구내용 1: 고전도성 CNT/시멘트 복합재료 개발 36

다. 연구내용 2: CNT/시멘트 복합재료의 모니터링 적용가능성 확인 40

제3장 최종 연구성과 및 활용방안 56

1. 주요성과 56

가. 정성적 연구성과 56

나. 정량적 연구성과 56

2. 연구성과 활용방안 57

가. 구조물 설치계획 57

나. 기술 수요처 59

다. 개발성과품의 실용화 계획 61

제4장 연구성과의 파급효과 62

1. 사회 경제적 측면 62

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연한연장을 통한 CO2 저감 62

나. 첨단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기술의 건설경쟁력 강화 및 안정성 확보 62

다. 시장파급 효과 62

2. 기술, 학술적 측면 63

제5장 추가연구 필요성 64

참고문헌 66

부록 69

1. 연구성과요약 69

가. 정량·정성적 성과 69

나. 성과리스트 70

2.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과학기술정보 (관련기술 DB) 72

가. 소니케이션을 생략한 탄소나노튜브 혼입 모르타르의 유동적, 물리적 성능 검증 72

나. 소니케이션을 생략한 탄소나노튜브 혼입 모르타르의 전기적 특성 검증 80

3. 기타사항(중요 연구 변경사항 등) 89

[뒷표지] 91

〈표 1-1〉 국내외 구조물의 대표적 붕괴사례 15

〈표 1-2〉 대표적인 기존 첨단 건전도 모니터링 기술 17

〈표 1-3〉 기술 기존 탄소재료 vs 탄소계 나노재료 혼입 시멘트 복합재료 21

〈표 2-1〉 CNT/시멘트 복합재료의 배합비 및 그의 전기 전도성 38

〈표 2-2〉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허용균열폭 41

〈표 2-3〉 Estimating equations for sodium chloride contents in CNT/cement composites 53

〈표 6-1〉 모르타르 배합비율 73

〈표 6-2〉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CNTs) 81

〈표 6-3〉 CNT/시멘트 모르타르 복합체의 배합비와 모르타르 flow 81

〈표 6-4〉 CNT/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와 압저항성 측정을 위해 가해진 최대 하중 83

그림 1-1. 콘크리트 구조물 붕괴사례 16

그림 1-2. 염소침투로 인한 해안지역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부식 사례 16

그림 1-3(a). 기존 구조물 모니터링 기술의 한계1 18

그림 1-3(b). 기존 구조물 모니터링 기술의 한계2 19

그림 1-4. 개발기술 개념도 20

그림 1-5. 소니케이션 장비 21

그림 1-6. 제안된 분산기법의 효과 22

그림 1-7. 과제제안자가 개발한 초고전도성 CNT/시멘트 복합재료 22

그림 1-8. 본 연구자에 의해 연구된 CNT 혼입에 의한 시멘트 복합재료의 전기저항 23

그림 1-9. 제안된 균열 모니터링 메커니즘 24

그림 1-10. 본 연구자에 의해 연구된 CNT/시멘트 복합재료의 변형측정 24

그림 1-11. 본 연구자에 의해 연구된 CNT/시멘트 복합재료 센서의 현장적용 25

그림 1-12. 전기전도도 Scale 25

그림 1-13. 제안된 염소침투 모니터링 메커니즘 26

그림 2-1. 제안실험내용-균열 모니터링 32

그림 2-2. 과제제안자의 기존연구결과-균열이 발생하기 전 CNT/시멘트 복합재료와 외부... 33

그림 2-3. 제안실험내용-PSC구조의 균열회복 모니터링 개념 33

그림 2-4. 제안실험내용-염소침투 모니터링 34

그림 2-5. Effects of silica fume on strength of CNT/cement composite 36

그림 2-6. Specimen of CNT/cement composites. 37

그림 2-7. Specimens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reinforcement on conductivity of CNT/cement... 39

그림 2-8. Relative conductivities of CNT/cement composites embedded in mortar with... 40

그림 2-9. Schematic of partial connection between cracked CNT/cement composite. 42

그림 2-10. Cracking of CNT/cement composite. 42

그림 2-11. Measuring electical conductivity of cracked CNT/cement composite 43

그림 2-12. Measurement of crack open depth on the CNT/cement composites 43

그림 2-13. Dimension of reinforced mortar beam 44

그림 2-14. Specimen preparation 44

그림 2-15. Experimental setup for measur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 embedded... 45

그림 2-16. Experimental setup for imitating the prestressing 45

그림 2-17. Relationship between electrical conductivity of CNT/cement composites and their... 46

그림 2-18. Relationship between electrical conductivity of CNT/cement composites embedded... 47

그림 2-19.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CNT/cement composites embedded in reinforced mortar at... 48

그림 2-20. Crack of CNT/cement composites embedded in reinforced mortar after compression as... 48

그림 2-21. Schematic of conductivity change by polarization (ρp) and depolarization (ρdp).(이미지참조) 50

그림 2-22. Conductivities of CNT/cement composites with various sodium chloride... 51

그림 2-23. Polarization factors of CNT/cement composites with various sodium chloride contents. 52

그림 2-24. Depolarization factors of CNT/cement composites with various sodium chloride... 52

그림 2-25. Actual vs. estimated contents of sodium chloride in CNT/cement composites 55

그림 3-1. 균열 모니터링을 위한 CNT/시멘트 복합재료의 예상시공위치 57

그림 3-2. 신규구조물을 고려한 CNT/시멘트 복합재료 설치방법 예시 58

그림 3-3. 기존 CNT/시멘트 복합재료의 Electrode 설치 58

그림 3-4. 기설구조물을 고려한 CNT/시멘트 복합재료 설치방법 예시 59

그림 3-5. 기존 염해방지법 60

그림 3-6. 외부전원방식 시공절차 60

그림 3-7. 원전구조물에서 사용되는 PSC 구조 61

그림 6-1. CNTs의 SEM 이미지 72

그림 6-2. 0.6 wt.% of CNTs 함유 굳지않은 모르타르 74

그림 6-3. 0.6 wt.% of CNTs 함유 모르타르 파단면의 SEM 이미지 74

그림 6-4. 모르타르 플로우 성질에 대한 CNTs의 영향 75

그림 6-5. W/B 50% 모르타르 파단면의 SEM 이미지 76

그림 6-6. 모르타르 밀도(좌) 및 공극률(우)에 대한 CNTs의 영향 77

그림 6-7. 모르타르 압축강도에 대한 CNTs의 영향 및 압축강도와 공극률의 관계 78

그림 6-8. 전기 저항성 측정을 위한 실험 개요도와 실제 사진 82

그림 6-9. 압저항성 측정을 위한 실험 설정 83

그림 6-10. CNT/시멘트 모르타르 복합체의 하중 재하 전 초기 전기 저항 84

그림 6-11. 전기저항변화 vs. CNT/시멘트 모르타르 복합체 반복하중 재하응력 85

그림 6-12. 하중 재하와 제거 후 CNT/시멘트 복합체 매트릭스 속 형태 변화 85

그림 6-13. CNT/시멘트 모르타르 복합체의 전기 저항 변화의 최댓값 86

그림 6-14. 적용한 응력과 전기 저항 변화 사이 정점의 개요도 87

그림 6-15. CNT/시멘트 모르타르의 정점 변경 88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