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송천 및 도암호 수계 수생태계 구조조사 : 2016년(1년차) 보고서. 1 [전자자료] / 원주지방환경청, 한강수계관리위원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원주 : 원주지방환경청,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제어번호
MONO1201723429
주기사항
표제관련정보: 한강수계 2016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
연구기관: 강원대학교
연구책임자: 허우명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44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44

1. 연구배경 44

2. 연구목적 45

3. 연구범위 및 내용 45

제2장 국내·외 현황 46

제3장 연구내용 및 방법 50

제1절 송천 상류지역 본류 및 지류하천 조사 50

1. 수질 및 유량조사 50

2. 생태계 조사 55

제2절 도암호 조사 70

1. 수질조사 70

2. 동·식물플랑크톤조사 71

3. 어류조사 72

제4장 연구결과 및 고찰 74

제1절 송천 및 도암호 유역 일반현황 74

1. 호소환경 및 유역환경 74

제2절 송천 본류 및 지류 86

1. 기상 및 유량현황 86

2. 송천 본류와 지류의 수질현황 88

3. 부착조류 111

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119

5. 어류 130

6. 서식 및 수변환경 146

7. 수생태계 건강성 종합분석 150

제3절 도암호 152

1. 수질 152

2. 식물플랑크톤 171

3. 동물플랑크톤 175

4. 어류 180

제5장 요약 및 결론 186

제6장 향후계획 190

참고문헌 192

부록 196

〈표 2-1-1〉 전국 5대강 및 제주 수계 생물통합평가 도식 결과 46

〈표 3-1-1〉 조사항목 및 분석방법 50

〈표 3-1-2〉 수질 및 유량 조사시기 52

〈표 3-1-3〉 송천 상류지역 하천에서의 조사항목 및 분석방법 52

〈표 3-1-4〉 하천의 생활환경기준 53

〈표 3-2-5〉 수생태계 조사지점 개황 56

〈표 3-1-6〉 송천 상류지역 수생태계 조사시기 58

〈표 3-1-7〉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항목 및 기준 60

〈표 3-1-8〉 부착조류를 이용한 생물등급의 판정 64

〈표 3-1-9〉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등급의 판정 65

〈표 3-1-10〉 어류를 이용한 건강성 평가 메트릭 구간 설정 66

〈표 3-1-11〉 어류를 이용한 건강성 등급 68

〈표 3-1-12〉 서식 및 수변환경 건강성 등급 68

〈표 3-2-1〉 도암호에서의 조사항목 및 분석방법 71

〈표 3-2-2〉 도암호 동·식물플랑크톤 조사시기 72

〈표 3-2-3〉 도암호 어류 조사시기 73

〈표 4-1-1〉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연도별 작물재배 면적 74

〈표 4-1-2〉 송천 상류지역 유역 내 평창 동계올림픽 관련 공사현황 75

〈표 4-1-3〉 도암호 유역 내 행정구역별 공사현황 76

〈표 4-1-4〉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비점오염 저감사업 현황 78

〈표 4-1-5〉 송천 상류지역 유역별 생활계 오염원 현황 78

〈표 4-1-6〉 송천 상류지역 유역별 축산계 오염원 현황 79

〈표 4-1-7〉 송천 상류지역 유역별 폐수발생량 및 배출량 현황 79

〈표 4-1-8〉 송천 상류지역 유역별 토지계 오염원 현황 79

〈표 4-1-9〉 송천 상류지역 유역 내 환경기초시설 현황 80

〈표 4-1-10〉 송천 상류지역 유역별 BOD 발생부하량 81

〈표 4-1-11〉 송천 상류지역 유역별 TN 발생부하량 81

〈표 4-1-12〉 송천 상류지역 유역별 TP 발생부하량 81

〈표 4-1-13〉 송천 상류지역 유역별 BOD 배출부하량 82

〈표 4-1-14〉 송천 상류지역 유역별 TN 배출부하량 82

〈표 4-1-15〉 송천 상류지역 유역별 TP 배출부하량 83

〈표 4-1-16〉 송천1 지점에서의 연도별 무강우시 평균 수질농도 83

〈표 4-1-17〉 강우시 도암호 유역의 연도별 유량가중평균농도 변동 85

〈표 4-2-1〉 수질조사기간 하루 전 강우량 87

〈표 4-2-2〉 송천 상류지역 하천별 유량측정 결과 87

〈표 4-2-3〉 송천 상류지역의 지점별 수질측정 결과 88

〈표 4-2-4〉 용평천 수질측정 결과 93

〈표 4-2-5〉 용산천 수질측정 결과 98

〈표 4-2-6〉 차항천 수질측정 결과 101

〈표 4-2-7〉 대관령천 수질측정 결과 105

〈표 4-2-8〉 송천 상류지역 하천들의 수질등급 110

〈표 4-2-9〉 송천 상류지역의 지점별 부착조류 출현종수 111

〈표 4-2-10〉 송천 상류지역의 지점별 부착조류 현존량 113

〈표 4-2-11〉 송천 상류지역의 지점별 부착조류 우점종 113

〈표 4-2-12〉 송천 상류지역의 지점별 부착조류 군집지수 114

〈표 4-2-13〉 송천 상류지역의 지점별 부착돌말류 건강성 평가(TDI) 결과 116

〈표 4-2-14〉 2014년과 2016년 송천의 부착조류 우점종 비교 116

〈표 4-2-15〉 오대천과 송천의 부착조류 비교 118

〈표 4-2-16〉 송천 상류지역의 지점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 119

〈표 4-2-17〉 송천 상류지역의 지점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존량 120

〈표 4-2-18〉 송천 상류지역의 시·공간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121

〈표 4-2-19〉 송천 상류지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EPT그룹의 시기별 비교 123

〈표 4-2-20〉 송천 상류지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섭식기능군의 시기별 비교 123

〈표 4-2-21〉 송천 상류지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기능군의 시기별 비교 124

〈표 4-2-22〉 송천 상류지역의 지점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지수 비교 125

〈표 4-2-23〉 송천 상류지역의 지점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건강성 평가(BMI) 결과 127

〈표 4-2-24〉 2014년과 2016년 송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비교 128

〈표 4-2-25〉 오대천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 리스트 129

〈표 4-2-26〉 송천 상류지역의 6월 지점별 어류상 131

〈표 4-2-27〉 송천 상류지역의 9월 지점별 어류상 132

〈표 4-2-28〉 송천 본류 및 지류의 생체량(6월 조사) 134

〈표 4-2-29〉 송천 본류 및 지류의 생체량(9월 조사) 136

〈표 4-2-30〉 송천 상류지역의 6월 어류 군집지수 137

〈표 4-2-31〉 송천 상류지역의 9월 어류 군집지수 138

〈표 4-2-32〉 송천 상류지역의 어류 건강성 메트릭 모델값(FAI) 및 등급 140

〈표 4-2-33〉 송천 상류지역의 어류상 변동(1983~2016) 141

〈표 4-2-34〉 송천 상류지역의 하상구조 146

〈표 4-2-35〉 송천 상류지역의 서식 및 수변환경 평가 지수(HRI) 및 등급 149

〈표 4-2-36〉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지수와 수질항목과의 상관관계 분석 150

〈표 4-3-1〉 도암호의 지점별 투명도 167

〈표 4-3-2〉 도암호의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및 우점종 171

〈표 4-3-3〉 도암호의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군집지수 173

〈표 4-3-4〉 도암호의 지점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및 우점종 177

〈표 4-3-5〉 도암호의 지점별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 179

〈표 4-3-6〉 도암호의 어류상 181

〈표 4-3-7〉 도암호에서 채집된 어류의 생체량 182

〈표 4-3-8〉 도암호의 어류 군집지수와 우점종 184

〈표 4-3-9〉 도암호의 어류상 변화 185

〈그림 2-1-1〉 탁수의 영향에 따른 어류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현존량 차이 47

〈그림 2-1-2〉 탁도에 따른 은어의 이동거리 및 시간 47

〈그림 3-1-1〉 송천 상류지역에서의 하천 수질 및 유량조사 지점 51

〈그림 3-1-2〉 유량측정방법(유속-면적법) 53

〈그림 3-1-3〉 유량조사 장면 54

〈그림 3-1-4〉 송천 상류지역에서의 생태계 조사지점 55

〈그림 3-1-5〉 부착조류 현장조사 모습 58

〈그림 3-1-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현장 조사, 종 분류 및 동정 모습 59

〈그림 3-1-7〉 어류 현장조사 모습 60

〈그림 3-1-8〉 수생태 건강성 통합평가 및 표기 방법 69

〈그림 3-2-1〉 도암호 수질 및 생태계 조사지점 70

〈그림 4-1-1〉 조사유역의 행정구역 및 토지이용 현황 75

〈그림 4-1-2〉 도암호 유역 내 행정구역별 산림지역에서 수행된 공사현황 76

〈그림 4-1-3〉 송천 상류지역의 토목공사 현장 77

〈그림 4-1-4〉 송천 상류지역의 유역 내 환경기초시설 현황 80

〈그림 4-1-5〉 송천1 지점의 연도별 수질변동(2009~2016) 84

〈그림 4-1-6〉 도암호 유역의 연도별 유량가중평균농도 변동(2009~2015) 85

〈그림 4-2-1〉 송천1교에서의 수위 변동 및 송천 유역 강수량 변동 86

〈그림 4-2-2〉 송천에서의 BOD와 COD 변동 90

〈그림 4-2-3〉 송천에서의 DOC와 TOC 변동 91

〈그림 4-2-4〉 송천에서의 TN 변동 92

〈그림 4-2-5〉 송천에서의 TP와 DIP 변동 92

〈그림 4-2-6〉 용평천에서의 BOD와 COD 변동 95

〈그림 4-2-7〉 용평천에서의 DOC와 TOC 변동 95

〈그림 4-2-8〉 용평천에서의 TN 변동 96

〈그림 4-2-9〉 용평천에서의 TP와 DIP변동 97

〈그림 4-2-10〉 용산천에서의 BOD와 COD 변동 99

〈그림 4-2-11〉 용산천에서의 DOC와 TOC 변동 99

〈그림 4-2-12〉 용산천에서의 TN 변동 100

〈그림 4-2-13〉 용산천에서의 TP와 DIP의 변동 100

〈그림 4-2-14〉 차항천에서의 BOD와 COD 변동 102

〈그림 4-2-15〉 차항천에서의 DOC와 TOC 변동 103

〈그림 4-2-16〉 차항천에서의 TN 변동 104

〈그림 4-2-17〉 차항천에서의 TP와 DIP의 변동 104

〈그림 4-2-18〉 대관령천에서의 BOD와 COD 변동 107

〈그림 4-2-19〉 대관령천에서의 DOC와 TOC 변동 107

〈그림 4-2-20〉 대관령에서의 TN 변동 108

〈그림 4-2-21〉 대관령에서의 TP와 DIP 변동 108

〈그림 4-2-22〉 송천 상류지역의 지점별 부착조류 현존량 112

〈그림 4-2-23〉 조사시기별 송천 상류지역의 부착조류 군집 유사도 분석 115

〈그림 4-2-24〉 2014년과 2016년 분류군별 점유율 비교 117

〈그림 4-2-25〉 2014년과 2016년 송천의 지점별 TDI 비교 117

〈그림 4-2-26〉 조사시기별 송천 상류지역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유사도 분석 126

〈그림 4-2-27〉 2014년과 2016년 송천의 지점별 BMI 비교 128

〈그림 4-2-28〉 송천 상류지역 어류의 비교풍부도 133

〈그림 4-2-29〉 송천 상류지역에서 출현한 어류의 구성비 133

〈그림 4-2-30〉 송천 상류지역의 6월 어류 생체량 134

〈그림 4-2-31〉 송천 상류지역의 9월 어류 생체량 136

〈그림 4-2-32〉 조사시기별 송천 상류지역의 어류 군집 유사도 분석 139

〈그림 4-2-33〉 비교하천과의 어류 군집 분류 143

〈그림 4-2-34〉 각 비교하천의 한국고유종 출현 비율 144

〈그림 4-2-35〉 각 비교하천의 한국고유종 출현 비율의 분포. 144

〈그림 4-2-36〉 각 비교하천의 한국고유종 출현 비율의 분포. 145

〈그림 4-2-37〉 송천 상류지역 하상구조 현황 147

〈그림 4-2-38〉 송천 상류지역 수생태계 건강성 통합평가 결과 151

〈그림 4-3-1〉 도암호의 유입량, 수위 및 강우량 변동 152

〈그림 4-3-2〉 도암호 수온의 수직분포 154

〈그림 4-3-3〉 도암호 전기전도도의 수직분포 155

〈그림 4-3-4〉 도암호 DO의 수직분포 156

〈그림 4-3-5〉 도암호 pH의 수직분포 157

〈그림 4-3-6〉 도암호 SS의 수직분포 159

〈그림 4-3-7〉 도암호 BOD의 수직분포 160

〈그림 4-3-8〉 도암호 COD의 수직분포 161

〈그림 4-3-9〉 도암호 POC의 수직분포 162

〈그림 4-3-10〉 도암호 DOC의 수직분포 163

〈그림 4-3-11〉 도암호 TP의 수직분포 164

〈그림 4-3-12〉 도암호 DIP의 수직분포 165

〈그림 4-3-13〉 도암호 TN의 수직분포 166

〈그림 4-3-14〉 도암호에서 chl. a의 수직분포 168

〈그림 4-3-15〉 TSI를 이용한 도암호의 영양상태 169

〈그림 4-3-16〉 TSIko를 이용한 도암호의 영양상태(이미지참조) 170

〈그림 4-3-17〉 도암호에서 TSI 장기 변동(2002~2016년) 170

〈그림 4-3-18〉 도암호의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172

〈그림 4-3-19〉 도암호의 지점별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변동 174

〈그림 4-3-20〉 도암호의 지점별 동물플랑크톤의 분류군에 따른 종수 변동 175

〈그림 4-3-21〉 시·공간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우점종의 현존량 및 총 현존량의 변동 176

〈그림 4-3-22〉 도암호의 지점별 동물플랑크톤의 분류군에 따른 현존량 변동 178

〈그림 4-3-23〉 도암호 어류의 비교풍부도(좌)와 생태형별 어종구성비(우) 181

〈그림 4-2-24〉 도암호의 어류 생체량 183

〈그림 6-1-1〉 2차 연도 조사지점 190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