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개요 4
제1장 서론 38
제1절 2016년 문화영향평가의 추진배경과 목적 39
1. 추진배경 39
2. 목적 43
제2절 2016년 문화영향평가의 대상과 방법 45
1. 2016년 문화영향평가의 대상 45
2. 2016년 문화영향평가 방법 49
제2장 2016 문화영향평가 : 개별평가 및 종합평가 결과 요약 60
제1절 제주시 원도심 도시재생사업 61
1. 사업 개요 및 현황 분석 61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64
3. 평가결과 70
4. 정책적 제언 76
제2절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91
1. 사업 개요 및 현황 분석 91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94
3. 평가결과 99
4. 정책적 제언 106
제3절 광주 동구 도시재생사업 110
1. 사업 개요 및 현황 분석 110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114
3. 평가결과 119
4. 정책적 제언 127
제4절 광주 서구 오천마을 재생프로젝트 133
1. 사업 개요 및 현황 분석 133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136
3. 평가결과 141
4. 정책적 제언 146
제5절 대구 남구 대명공연문화거리 활성화 사업 154
1. 사업 개요 및 현황 분석 154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158
3. 평가결과 163
4. 정책적 제언 174
제6절 농촌체험ㆍ휴양마을 사업 183
1. 사업 개요 및 현황 분석 183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186
3. 평가결과 191
4. 정책적 제언 193
제7절 로컬푸드직매장 지원사업 199
1. 사업 개요 및 현황 분석 199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202
3. 평가결과 206
4. 정책적 제언 211
제8절 경기도 맞춤형 정비사업 215
1. 사업 개요 및 현황 분석 215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220
3. 평가결과 226
4. 정책적 제언 238
제9절 소통과 혁신의 경기도 신청사 건립 243
1. 사업 개요 및 현황 분석 243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246
3. 평가결과 251
4. 정책적 제언 254
제10절 인천시 배다리 근대역사문화마을 조성 261
1. 사업 개요 및 현황 분석 261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265
3. 평가결과 271
4. 정책적 제언 274
제11절 고양 삼송지구 대학생 연합 기숙사 건립 및 운영 278
1. 사업 개요 및 현황분석 278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283
3. 평가결과 290
4. 정책적제언 295
제12절 경기청년 협업마을 조성운영사업 300
1. 사업내용 및 현황 분석 300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308
3. 평가결과 312
4. 정책적 제언 316
제13절 문화재 돌봄사업 325
1. 사업내용 및 현황 분석 325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331
3. 평가결과 335
4. 정책적 제언 341
제14절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344
1. 사업내용 및 현황 분석 344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347
3. 평가결과 351
4. 정책적 제언 355
제15절 제주관광 질적성장 기본계획 358
1. 사업내용 및 현황 분석 358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363
3. 평가결과 371
4. 정책적 제언 375
제3장 2016 문화영향평가의 성과와 한계 384
제1절 2016년 문화영향평가의 성과 및 효과 385
1. 문화영향평가의 본격 시행 385
2. 문화영향평가의 구심력 강화 387
3. 문화영향평가의 원심력 제고 395
4. 2016 문화영향평가의 주요 효과 398
제2절 2016년 문화영향평가의 이슈 및 한계 399
1. 평가 주체와 객체의 인식 및 역량 강화 필요 399
2. 평가 지표, 방법, 대상, 목적의 명확성 제고 필요 401
3. 문화영향평가의 법적 위상 강화 노력 필요 406
제4장 문화영향평가 개선방안 410
제1절 문화영향평가 발전방향 411
1. 문화영향평가제도의 목적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평가제도 설계 411
2. 문화영향평가 방법의 표준화ㆍ정교화를 통한 타당성 제고 413
3. 문화영향평가의 안정적 추진을 위한 법ㆍ제도 기반 강화 414
제2절 문화영향평가 개선방안 415
1. 평가대상 선정절차의 개선 415
2. 평가초점에 따른 평가유형의 세분화 418
3. 평가지표 및 방법론의 표준화와 정교화 423
4. 문화영향평가 추진체계의 강화 430
5. 법ㆍ제도 기반 강화 433
6. 문화영향평가에 대한 인식 확대를 위한 교육ㆍ홍보 및 공론장 마련 439
제5장 2017년 문화영향평가 평가지침(안) 442
제1절 문화영향평가제도 개요 443
1. 개념 443
2. 목적 443
3. 도입배경 443
4. 법적 근거 : 문화기본법 제5조 제4항 444
5. 추진경과 444
6. 대상 446
7. 평가 유형 450
8. 평가절차 452
9. 평가체계 454
10. 추진일정 457
제2절 전문평가 458
1. 전문평가 개요 458
2. 기본평가 462
3. 심층평가 469
제3절 자체평가(시범평가) 478
1. 개요 478
2. 평가절차 및 평가체계 479
3.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481
4. 자체평가보고서의 작성 482
5. 자체평가 참여시 인센티브 484
제4절 문화영향평가 평가지표의 주요개념 485
1. 문화기본권 487
2. 문화정체성 491
3. 문화발전 498
참고문헌 503
판권기 508
[그림 1-1-1] 문화영향평가의 의의와 목표 40
[그림 1-2-1] 문화영향평가 전문평가 평가절차 53
[그림 1-2-2] 문화영향평가 추진체계(전문평가) 55
[그림 1-2-3] 문화영향평가(개별평가) 표준분석ㆍ평가 절차 57
[그림 1-2-4] 문화영향평가 추진일정 59
[그림 2-1-1] 제주시 원도심 도시재생사업 4대 비전 및 7대 전략 62
[그림 2-1-2] 제주시 원도심 도시재생사업 추진 체계(출처 : 제주특별자치도(2016), 제주시 원도심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 63
[그림 2-1-3] 2016 제주시 원도심 도시재생사업 문화영향평가 공간적 범위 66
[그림 2-1-4] 2016 제주시 원도심 도시재생사업 문화영향지수 71
[그림 2-2-1]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비전 및 목표(출처 : 안동시(2015),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 92
[그림 2-2-2]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구상도 92
[그림 2-2-3]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추진체계 93
[그림 2-2-4] 2016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문화영향지수 100
[그림 2-3-1] 광주 동구 도시재생사업 추진 목표 및 전략(출처 : 광주 동구청(2015). 광주 동구 도시재생선도지역 근린재생형 활성화계획.) 111
[그림 2-3-2] 광주 동구 도시재생활성화계획 구상도 112
[그림 2-3-3] 광주 동구 도시재생사업 전담조직(출처 : 광주 동구청(2015). 광주 동구 도시재생선도지역 근린재생형 활성화계획.) 112
[그림 2-3-4] 광주 동구 도시재생사업 주요 거점 공간 조성사업 대상지역 114
[그림 2-3-5] 2016 광주 동구 도시재생사업 문화영향지수 120
[그림 2-4-1] 광주 서구 오천마을 재생프로젝트 비전 및 목표(출처 : 광주광역시 서구청(2015). 오천마을 재생프로젝트 사업구상(안)) 133
[그림 2-4-2] 광주 서구 오천마을 재생프로젝트 구상도(출처 : 광주광역시 서구청(2015). 오천마을 재생프로젝트 사업구상(안)) 134
[그림 2-4-3] 광주 서구 오천마을 재생프로젝트 추진체계(출처 : 광주광역시 서구청(2015). 오천마을 재생프로젝트 사업구상(안)) 135
[그림 2-4-4] 광주광역시 서구 관내 쇠퇴지역과 오천마을 재생프로젝트 대상지역(출처 : 광주광역시 서구청(2015). 오천마을 재생프로젝트 사업구상(안)) 136
[그림 2-4-5] 2016 광주 서구 오천마을 재생프로젝트 문화영향지수 142
[그림 2-5-1] 대구 남구 도시재생사업 추진목표 및 전략(출처 : 대구 남구(2014). 대구 남구 도시재생선도지역 근린재생형 활성화계획(안)) 154
[그림 2-5-2] 대구 남구 도시재생선도지역 활성화계획 구상도(출처 : 대구광역시 남구청(2014). 대구 남구 도시재생선도지역 근린재생형 활성화계획(안)) 155
[그림 2-5-3] 대구 남구 도시재생사업 추진체계(출처: 대구광역시 남구청 도시재생총괄과 내부자료) 156
[그림 2-5-4] 2016 대구 남구 대명공연문화거리 활성화사업 문화영향지수 164
[그림 2-5-5]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 도식화 169
[그림 2-5-6] 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도식화 170
[그림 2-5-7] 문화유산 및 문화경관에 미치는 영향 도식화 170
[그림 2-5-8]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도식화 171
[그림 2-5-9] 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도식화 172
[그림 2-5-10] 창조성에 미치는 영향 도식화 172
[그림 2-5-11] 2016 대구 남구 대명공연문화거리 활성화사업 문화영향평가 시스템다이내믹스 분석 결과 종합 도식화 173
[그림 2-5-12] 대명공연문화거리 포지셔닝 예시 180
[그림 2-5-13] 전문기획자가 포함된 거버넌스 구축 예시 181
[그림 2-6-1] 농촌체험ㆍ휴양마을 사업 목표 183
[그림 2-6-2] 농촌체험ㆍ휴양마을사업 세부 내용 185
[그림 2-6-3] 농촌체험ㆍ휴양마을사업 문화영향평가 평가지표 방향성 187
[그림 2-6-4] 농촌체험ㆍ휴양마을사업 문화영향평가 종합평가 결과 192
[그림 2-6-5] 농촌체험ㆍ휴양마을사업 문화영향평가 제언 개념도 193
[그림 2-6-6] 농촌체험ㆍ휴양마을사업 문화영향평가 제언 194
[그림 2-7-1] 가중치에 따른 문화영향의 크기 206
[그림 2-8-1] 중앙-지역 도시재생 추진 체계 216
[그림 2-8-2] 평가지표별 영향지수 226
[그림 2-8-3] 관양2동 보행패턴 분석 이미지 233
[그림 2-8-4] 오매장터 보행패턴 분석 이미지 234
[그림 2-8-5] 은행동(모랫골) 보행패턴 분석 이미지 235
[그림 2-8-6] 군장마을 보행패턴 분석 이미지 236
[그림 2-8-7] 단대동 보행패턴 분석 이미지 237
[그림 2-9-1] 협의체 구성 244
[그림 2-9-2] 경기도 신청사 건립사업 문화영향평가 결과 종합 검토 251
[그림 2-10-1] 인천광역시 동구 배다리 근대역사문화마을 사업권역 구분(출처: 인천광역시 동구(2016.01), 「배다리 역사ㆍ문화 가치 재창조를 위한 배디리 근대역사문화마 을 조성계획(안)」, p.14.) 266
[그림 2-10-2] 중지표별 문화영향평가 종합결과(100점 기준) 272
[그림 2-11-1] 연합기숙사 기본방향 278
[그림 2-11-2] 삼송지구 대학생 연합기숙사 주요기능 281
[그림 2-11-3] 삼송지구 대학생 연합기숙사 조감도 281
[그림 2-11-4] 문화영향지수 종합 290
[그림 2-12-1] 시흥시 협업부서 및 역할 301
[그림 2-12-2] 경기청년 협업마을 운영체계 303
[그림 2-12-3] 운영프로세스 304
[그림 2-12-4] 열림관 운영프로세스 306
[그림 2-12-5] 마을지기 프로그램 운영프로세스 307
[그림 2-12-6] 문화영향지수 종합 313
[그림 2-12-7] 경기청년협업마을(공간)에 대한 문화영향 영역 317
[그림 2-12-8] 공간조성 콘셉트 설정 및 공간운영 측면 319
[그림 2-12-9] 문화프로그램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측면 321
[그림 2-12-10] 조직구성 및 인력운영 측면 322
[그림 2-12-11] 지역연계 및 지역재생 측면 323
[그림 2-12-12] 입주단체(개인)선정 및 입주단체(개인)간의 협업 활성화 측면 324
[그림 2-13-1] 신고접수 처리 절차 330
[그림 2-13-2] 문화재 돌봄사업의 문화영향평가 종합지수 336
[그림 2-14-1] 문화재 활용의 개념도(자료: 채경진(2015). 「문화유산 활용에 관한 법률 제정안 연구」, 문화재청) 345
[그림 2-14-2]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추진과정(출처: 문화재청(2016). 2017년도 각 사업별 공모계획) 345
[그림 2-14-3]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의 문화영향지수 352
[그림 2-15-1] 제주관광 질적성장 기본계획 내용 359
[그림 2-15-2] 제주관광 질적성장 기본계획 추진일정(2016년 전반기 기준) 360
[그림 2-15-3] 제주관광 질적성장 기본계획 문화영향 평가대상 선정 과정 368
[그림 2-15-4] 문화영향평가 종합지수 372
[그림 2-15-5] 제주관광 질적성장 기본계획 세부사업의 유형화 376
[그림 2-15-6] 문화영향평가에 따른 정책제언의 유형화 376
[그림 3-1-1] 문화영향평가(개별평가) 표준분석ㆍ평가 절차 390
[그림 3-1-2] 6개 평가지표별 영향지수의 예시(0점~100점, 50점이 긍정/부정의 기준점) 391
[그림 3-2-1] 한국노동연구원 조직도(2017년 기준) 408
[그림 4-2-1] 문화영향평가 대상 선정절차 417
[그림 4-2-2] 문화영향평가 추진체계(안) 432
[그림 4-2-3] 2017 문화영향평가 인포그래픽(안) 439
[그림 5-1-1] 문화영향평가 대상 선정절차 449
[그림 5-1-2] 문화영향평가 전문평가 평가절차 452
[그림 5-1-3] 문화영향평가 자체평가(시범평가) 평가절차 453
[그림 5-1-4] 문화영향평가 전문평가 추진체계 456
[그림 5-1-5] 문화영향평가 자체평가 추진체계 456
[그림 5-1-6] 2017 문화영향평가 추진일정 457
[그림 5-2-1] 2017 문화영향평가 전문평가 개요 458
[그림 5-2-2] 2017 문화영향평가 전문평가 절차 개요 459
[그림 5-2-3] 문화영향평가(개별평가) 평가모형 460
[그림 5-2-4] 개별평가(기본평가)의 표준분석ㆍ평가절차(안) 463
[그림 5-2-5] 6개 평가지표별 영향지수 제시(예시) 466
[그림 5-2-6] 개별평가(심층평가)의 표준분석ㆍ평가절차(안) 470
[그림 5-2-7] 6개 평가지표별 영향지수 제시(예시) 475
[그림 5-3-1] 문화영향평가 자체평가(시범평가) 평가절차 480
[그림 5-3-2] 문화영향평가 자체평가 추진체계 480
[그림 5-4-1] UNCTAD의 창조경제 범위에 대한 구조도 50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304433 | 353.7 -17-29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304434 | 353.7 -17-29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