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기사 추천]
☞ 연합뉴스 기사 바로가기☞ 중앙일보 기사 바로가기☞ 한겨레신문 기사 바로가기☞ 경향신문 기사 바로가기☞ 국민일보 기사 바로가기☞ 세계일보 기사 바로가기☞ 서울신문 기사 바로가기"그렇게 할 얘기가 많을까?"
단순한 사물,그 행위가 빚어내는 가치 이 책은 2001년 헨리페트로스키의<연필>이라는 책을 만나고2015년 SBS에서 '연필, 세상을 다시 쓰다!'로 방송하기까지 다큐멘터리 감독 박지현이 찾아낸 즐겁고 신비로운 마음 여행 15년,'연필과 함께'한 아홉 가지 이야기이다.이는 한 편의 영상으로 다 전하지 못한, 연필을 통해 우리가 얼마만큼 일상의 작고 소소한 사물들의 가치를 간과하고 있는지에 대해 던지는 깊은 사색의 여정이다.
역사가이자 공학자인 헨리페트로스키,연필 깎기 전문가 데이비드 리스, 목수이자 연필심 조각가 달튼게티,평범한 엔지니어 마티오윙스, 잡지 <맑은연필>의 황성진,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연필로 명상하기', 극사실주의 연필화가 디에고코이, 동화작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마르타알테스,흑연의 고향 보르데일 등 연필을 열렬히 사랑하는 사람들. 연필에 관해 그렇게도 많은 할 이야기가 있을까,이들은 왜 연필에 주목하는가?
탄생의 역사에서부터 공학적인 설계에 이르기까지 연필에 관한 모든 것을 500여 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으로 저술한 헨리 교수는 연필을 한 마디로 '자유'라고 표현한다.쓰고 지울 수 있는 자유 말이다.연필 깎기 전문가 데이비드 리스는 "복잡하거나 고급스럽게 보이는 어떤 사물보다도,여기서 더 단순해 질 순 없다는 듯이 디자인된 연필은 그 어느 것보다도 훌륭하게 쓰인다"라며,연필에서 우리 인생의 철학을 발견하고 그것을 들여다본다.엔지니어 마티오윙스는"연필은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라고 말한다.연필로 직접 쓴 <맑은연필>의 황성진 편집장은 "마음가짐이 훨씬 더 긍정적으로 바뀌었다."라고 했다.그런가 하면 달튼게티에게 연필은 자신의 아픔을 치유하는 사물이었다.그는 9.11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연필심으로 10년간 3,000개의 눈물방울을 만들었다.
"연필은 당신이 생각해본 적 없는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도와줘요."라고 데이비드 리스는 말한다."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단순한 무언가를 인식하는 것, 그러다가 문득 그 모든 것이 정말 흥미롭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만일 당신이 인생에서 어려운일에 직면했을 때 아무리 생각해도 늘 같은 결론만 났다면,그동안 잊고 있었던 연필을 이 책을 통해 다시 꺼내보라.틀림없이 일상의 소소한 사물과 특정한 주제에 관해 다방면으로 생각할 수 있게 시야를 넓혀줄 것이다.
아무도독특하거나 대단하다고 인식하지 않았던 평범한 연필. 하지만 한때는 흑연을 훔치기 위해 목숨을 거는 이도 있었고, 연필 깎는 걸 법으로 막았던 때도 있었고, 산업 간 흑연 전쟁이 일어날 정도로 연필은 존재 자체가귀했다."현재, 연필은내 시야를 허망한 외부가 아닌 나 자신에게로 향하게 한다."라고 저자는 말한다. 언제나 자신의 역할을 당당히 하는 존재, 주목받지 못했지만 가치가 무궁무진한 존재! 이 작고 간단한 연필은 우리에게 자유와 자의식과 자존감을 일깨워준다.그것은 우리 인간들을 비롯하여 모든 사물의 영원성이다."그래서, 나는 연필이다."라고 저자는 글을 맺는다.
(편집자 서평)
연필의 재발견 :
단순한 사물,그 행위가 빚어내는 가치 "당신은 연필이 사라질 거로 생각하세요?"라는 질문에목수이자 연필심 조각가인 달튼게티는"네,사라질 거라고 생각해요."라며 말을 잇는다. "예전에는 연필을 갖고 다니기도 쉬웠는데, 지금은 너무 복잡해졌어요. 요새는 연필로 안 쓰고 무언가 쓰려면 핸드폰이 필요하죠. 세상은 변해요. 새로운 기술로 변하고 있죠. 하지만 저는 그걸 별로 안 좋아해요."
마을 사람들이 즐겨 찾는 동네의 작은 카페 기둥에 연필심 조각품 '도끼'를 전시해 놓은 달튼게티. "저는 연필이 어떻게 사람의 인생과 연결되는지 보여주고 싶어요. 연필은 평범하지만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있죠.당신도 마찬가지예요.사람들이 눈에 잘 띄는 큰 것만이 아니라, 창문에 붙어 있는 거미나 개미처럼 작은 것에도 관심을 갖도록 돕고 싶어요." 낮에는 목수로 생업을 잇는 그는 밤에는 집에서 연필심을 조각한다.
연필 깎기 전문가 데이비드 리스는 샤프 펜슬에 대해 '엉터리'라고 일축한다. "샤프는 투명해서 스프링과 샤프심도 보이고, 마치 고급기술처럼 보이지만, 그렇다고 복잡하게 보일 필요도 없는 도구입니다. 나무 연필은 보다 더 단순할 수 없게 만들어졌죠. 약간의 흑연과 나무로요. 그래도 연필은제대로 기능해요. 이게 제가 하고 싶었던 말이예요"
사그락사그락,연필을 깎고 남는 부스러기들이 눈처럼 쌓이고 그들은 저마다 다른 표정으로말한다.'우리도 무엇인가로 다시 태어날 수 있을까?'스페인의 동화 작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마르타알테스의 손에서연필 부스러기는 갈기를 세운 귀여운 사자로, 치마를 활짝 펼친 무용수로,활짝 핀 꽃으로 다시 피어난다.
언젠가는 사라질 것이라는 연필은 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손에서 끊임없이 다시 태어난다.타이프라이터나 컴퓨터의 등장도 연필을 대체하지 못한 것처럼 어쩌면 연필은 영원을 꿈꾸는 지도 모른다.다큐멘터리 감독이자 저자인 박지현은 누구도 궁금해 하지 않았던 이 사소한 연필에서 행복한 의미를 지닌 사람들을 찾아 나섰다.이 작은 연필을 통해 세상을 다시 보고 싶었던 것이다.그리고 그는 자기 자신과 연필도 '작다'는 것에서서로간의 연결고리를 찾아낸다.모든 사람이 영웅은 아니지만 모두가 나름의 가치를지닌 존재인 것처럼,마침내 저자는 연필도 작지만 아주 큰 힘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필은 영원을 꿈꾼다"
그래서,나는 연필이다 연필을 써 본적 없는 사람이 있을까?아마도 없을 것이다.연필은 누구나 써봤기에 모든 이들과 쉽고 편안하게 소통하고 교감할 수 있도록 해준다.그래서 이 작고 간단한 사물에 관해 많은 사람이 저마다 즐겁고 신비스러운 자기만의 이야기를 스스럼없이 꺼낸다.
무라카미하루키는에세이 <세일러 복을 입은 연필>에서 "감촉과 쓰는 맛으로 따지자면 극히 평범한 연필 쪽이 일하기에는 딱 좋다. 아침에 한 다스 정도의 연필을 깎아서 언더록 유리잔에 꽂아 두고,그것을 차례로 써간다."라고 썼다.
연필을 좋아해서 늘 연필을 사용했던캘리그라피스트 사노라면은 하나 둘씩 모아진 몽당연필에서 사람 사는 모습을 떠올린다. "지우개처럼 제 몸을 내어주는 부모님도 있고, 오래오래 아껴 쓰던 연필도 있고, 심이 자주 부러져 제대로 쓰지도 못한 연필도 있고, 때론 아껴 쓰려다 깎아 보지도 못하고 잃어버린 연필도 있다." 그러면서 그는 "돌이켜 보면 어느 것 하나 얕고 옅은 인연이 없고,그 모든 인연이 오늘의 나를 만든 고마운 이들이다."라고 말한다.
연필은 우리가 항상 갖고 있었던 물건이고,책상 위나 서랍 어디에선가 늘 우리 가까이서 함께 숨을 쉬는 도구이다. "연필 한 자루를 가만히 손에 쥐면 겸손하게 과거를 되돌아보게 되고, 현재를 새롭게 써나가게 되며, 미래로 진보할 수 있는자유를 얻는다."라고 김동헌 시인은 말한다. "오늘날 세월을 이겨낸 위대한 발명품과 작품들의 시작엔 언제나 연필이 함께 했다.베토벤의 오선지와 반 고흐의 화폭 그리고 에디슨의 손에도 연필은 쥐어 있었다.이렇듯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위대한 작품이 그려지고 쓰여질 때 그 시작은 연필의 끝에서 탄생하게 된다."
철학자이자 사상사인 성 아우구스티누스는 <고백론>에서 '너희의 오늘이 바로 영원이다'라고 했다.모든 사물이 그러하다.카피라이터 박웅현은 연필을 주제로 다룬 '다빈치 노트'라는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연필은 영원을 꿈꾸는 것 같다"라고 했다.'그래서,나는 연필이다'라고 글을 끝맺은 저자의 생각도 같은 맥락이지 않을까 싶다.
[미디어 소개]☞ 연합뉴스 2017년 3월 15일자 기사 바로가기☞ 중앙일보 2017년 3월 18일자 기사 바로가기☞ 한겨레신문 2017년 3월 16일자 기사 바로가기☞ 경향신문 2017년 3월 17일자 기사 바로가기☞ 국민일보 2017년 3월 17일자 기사 바로가기☞ 세계일보 2017년 3월 19일자 기사 바로가기☞ 서울신문 2017년 3월 17일자 기사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