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일러두기

목차

영조 4년 무신(1728, 옹정 6) 8월 41

18일(병신) 비가 옴 41

04_08_18〔01〕 상(上)이 창덕궁(昌德宮)에 있었고, 상참(常參)과 경연(經筵)을 정지하였다 41

04_08_18〔02〕 현종대왕(顯宗大王)의 기신(忌辰)이다 41

04_08_18〔03〕 안개가 끼었다 42

04_08_18〔04〕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김집(金潗)의 계 42

04_08_18〔05〕 감찰(監察)이 다시(茶時)를 한다는 김시형(金始炯)의 계 42

04_08_18〔06〕 의금부 도사가 국청(鞫廳)의 좌기(坐起)를 할 수 없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시형의 계 42

04_08_18〔07〕 자전(慈殿)의 하교가 있었으므로 사화봉(絲花鳳)을 지화(紙花)로 대신하여 사용하도록 할 것 등을 분부하라는 전교 42

04_08_18〔08〕 망통을 잘못 들인 해당 내관을 파직하라는 비망기 43

04_08_18〔09〕 이조 등이 한사득(韓師得)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였다 43

04_08_18〔10〕 국청 죄인(鞫廳罪人) 이만동(李萬東)과 관련한 증인 강필제(姜必齊) 등을 국청에 옮겨 가두겠다는 의금부의 계 44

04_08_18〔11〕 동작진로(銅雀津路)에 짓는 교장(敎場)의 역사를 마쳤다고 보고하는 훈련도감의 계 44

04_08_18〔12〕 8월 19일의 신조기휘제(新造旗麾祭) 때 방포(放砲)와 대취타(大吹打)를 설행하겠다는 금위영의 계 44

04_08_18〔13〕 역적 이사성(李思晟) 등과 관련한 일의 전말을 보고하고, 대관(臺官)의 상소로 탄핵을 받았으므로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해은 부원군(海恩府院君) 오명항(吳命恒)의 상소 44

04_08_18〔14〕 영의정 이광좌(李光佐)가 올린 차자에 대한 전말을 진달하고, 정세상 정승의 자리에 나아갈 수 없으므로 삭직해 줄 것을 청하는 우의정 오명항의 상소 51

19일(정유) 맑음 56

04_08_19〔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을 정지하고 주강(晝講)만 행하였다 56

04_08_19〔02〕 안개가 끼었다 56

04_08_19〔03〕 보산 만호(保山萬戶) 이경흥(李慶興) 등이 하직하였다 56

04_08_19〔04〕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 및 계 56

04_08_19〔05〕 조정의 명령이 있기 전에 마음대로 인신(印信)과 병부(兵符)를 주고받은 전 감사 권익관(權益寬) 등을 의금부로 잡아다 신문하라는 비망기 58

04_08_19〔06〕 평안도(平安道)에서 전시에 곧바로 응시할 자들에게 내려보내는 홍패(紅牌) 가운데 응시하지 못하는 자가 생겨 남은 것에 대해서는 말소하도록 분부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58

04_08_19〔07〕 좌의정 홍치중(洪致中)이 7월과 8월의 녹봉을 받지 않으므로 대책을 묻는 호조의 계 59

04_08_19〔08〕 모자라는 은화(銀貨)를 마련하기 위해 은점(銀店)의 설치를 금하지 말도록 함경도에 분부할 것을 청하는 호조의 계 59

04_08_19〔09〕 추후에 전달할 주문(奏文)과 자문(咨文)의 분량이 많으므로 별도의 말을 1필 더 지급하도록 할 것 등을 청하는 승문원 도제조의 계 60

04_08_19〔10〕 명륜당(明倫堂) 등의 중창(重創)을 위해 무이소(武二所)의 참시관으로 나간 장무관(掌務官) 이한상(李漢相)을 변통하도록 분부할 것을 청하는 동지성균관사 등의 계 60

04_08_19〔11〕 서천 군수(舒川郡守)에 옮겨 제수한 참시관 김양일(金養一)의 후임을 변통해야 하므로 원래의 단자에 부표(付標)하여 들인다는 김시형(金始炯)의 계 61

04_08_19〔12〕 물에 빠져 죽은 홍원(洪原) 고을의 관비(官婢) 차상(次尙) 등에 대해 휼전(恤典)을 거행하라는 전교 61

04_08_19〔13〕 오는 20일의 문신(文臣)의 삭시사(朔試射)를 어영청 남소영(南小營)으로 옮겨 설치하겠다는 병조의 계 62

04_08_19〔14〕 전교대로 죄인 이진기(李震起)는 풀어 주고 송정상(宋廷尙)은 곤(棍)을 치겠다는 어영청의 계 62

04_08_19〔15〕 봉조하 최규서(崔奎瑞)에게 지급할 추등 주급(秋等周急)과 관련하여 지방관의 회부 곡물(會付穀物)로 수송하도록 본도에 분부할 것을 청하는 호조의 계 62

04_08_19〔16〕 이중협(李重協)의 상소에 대해 도로 내주라는 전교 63

04_08_19〔17〕 우의정 오명항(吳命恒)에게 어필비지(御筆批旨)로 전유한 결과를 보고하는 이중협의 서계 63

04_08_19〔18〕 이비와 병비의 관직 제수 내용 64

04_08_19〔19〕 《감란록(戡亂錄)》찬집청(纂集廳)을 창경궁(昌慶宮)의 옛 홍문관(弘文館)으로 옮겨 설치할 것을 청하는 승문원 도제조의 계 65

04_08_19〔20〕 산약(山藥)을 기한 내에 봉진(封進)하지 못하였으므로 대죄한다는 경상도 별견 어사(慶尙道別遣御史) 이종성(李宗城)의 장계와 관련하여 대죄하지 말라는 전교 65

04_08_19〔21〕 형조 판서 박사익(朴師益)에게 올라오도록 하유(下諭)할 것을 청하는 형조의 계 66

04_08_19〔22〕 《승정원일기》를 수정하고 있는 등록청 낭청 김상익(金尙翼)을 개차하고 부사과 박필기(朴弼琦)를 차하할 것을 청하는 실록청 총재관의 계 66

04_08_19〔23〕 능행(陵幸)을 위해 차임하지 않은 참봉을 이조로 하여금 차출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예조의 계 66

04_08_19〔24〕 공조 판서 이태좌(李台佐)의 세 번째 정사와 관련하여 도로 내주고 패초하라는 전교 66

04_08_19〔25〕 전 창녕 현감(昌寧縣監) 이의제(李義濟)를 의처(議處)하라고 판하하였으므로 어사가 봉진한 문서를 본부에 내려 참고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67

04_08_19〔26〕 청채(淸債)를 진 자들에 대해 구별하여 다스리도록 분부할 것을 청하는 비변사의 계 67

04_08_19〔27〕 다른 군문의 중군을 옮겨 차임한 규례에 따라 도감 중군 조빈(趙儐)의 후임을 어영청 중군 이재항(李載恒)으로 계하할 것을 청하는 훈련도감의 계 68

04_08_19〔28〕 무이 만호(撫夷萬戶) 이우삼(李遇三)에게 궁시(弓矢)를 주어 보내라는 비망기 68

04_08_19〔29〕 부제학 송성명(宋成明)의 세 번째 정사와 관련하여 도로 내주라는 전교 68

04_08_19〔30〕 의금부 도사가 국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이광보(李匡輔)의 계 69

04_08_19〔31〕 정덕징(鄭德徵)이 별효위(別驍衛)의 중일 시사(中日試射)를 위해 남벌원(南伐院)에 낮근무하러 나간다는 도총부의 계 69

04_08_19〔32〕 입직한 내삼청 등의 중일 습사(中日習射)를 위해 표신을 내줄 것을 청하는 도총부의 계 69

04_08_19〔33〕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김집(金潗)의 계 69

04_08_19〔34〕 감찰이 다시를 한다는 이광보의 계 70

04_08_19〔35〕 역적을 처단해야 할 의리에 대해 진달하고, 병세로 직임에 나아갈 수 없으므로 체차하고 처벌을 내려 줄 것을 청하는 좌부승지 이중협의 상소 70

04_08_19〔36〕 질병으로 인해 직임에 나아갈 수 없으므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부교리 윤광익(尹光益)의 상소 72

04_08_19〔37〕 직임에 나아가기 어려운 의리를 진달하고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겸보덕 김진상(金鎭商)의 상소 74

04_08_19〔38〕 부임하기 전에 부모의 묘소에 성묘하게 해 줄 것을 청하는 함경감사 송진명(宋眞明)의 상소 76

04_08_19〔39〕 동료들이 죄적(罪籍)에 있는 상황에서 홀로 직임에 나아갈 수 없으므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형조 참판 완릉군(完陵君) 이현록(李顯祿)의 상소 77

04_08_19〔40〕 감당할 수 없는 직임에 나아갈 수 없는 데다 병세가 위중하므로 삭직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형조 판서 금원군(錦原君) 박사익(朴師益)의 상소 78

04_08_19〔41〕 병세로 직임에 나아갈 수 없으므로 체차해 줄 것과, 적체되어 있는 국청의 죄수를 속히 처결하게 할 것을 청하는 예조 참판 이익한(李翊漢)의 상소 81

04_08_19〔42〕 선정전(宣政殿)에서 주강을 행하는 자리에 동지경연사 송인명(宋寅明) 등이 입시하여《서경(書經)》을 진강하고, 삼사(三司)의 관원을 변통하는 문제, 《조감(祖鑑)》을 인출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83

20일(무술) 맑음 94

04_08_20〔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을 정지하고 주강만 행하였다 94

04_08_20〔02〕 달이 묘성(昴星)을 범하였고 안개가 끼었다 94

04_08_20〔03〕 홍양 현감(洪陽縣監) 박필철(朴弼哲) 등이 하직하였다 94

04_08_20〔04〕 내일과 모레의 시사(視事)를 탈품(頉稟)한다는 김집(金潗)의 계 94

04_08_20〔05〕 감찰이 다시를 한다는 이광보(李匡輔)의 계 95

04_08_20〔06〕 비변사 낭청이 빈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이광보의 계 95

04_08_20〔07〕 춘하등 포폄 계본(春夏等褒貶啓本)을 엄격하게 하지 않은 경상 좌수사(慶尙左水使) 손명대(孫命大)를 추고할 것을 청하는 김시형(金始炯)의 계 95

04_08_20〔08〕 정덕징(鄭德徵)이 금위영 별장으로서 군병들을 조련하기 위해 노량(露梁)에 낮근무하러 나간다는 도총부의 계 96

04_08_20〔09〕 낮근무하러 나간다는 초기(草記)를 바로잡지 못한 부총관 정덕징을 추고할 것 등을 청하는 이광보의 계 96

04_08_20〔10〕 의금부 도사가 국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이광보의 계 96

04_08_20〔11〕 함경 감사 송진명(宋眞明)은 머물러 대령하라는 전교 97

04_08_20〔12〕 입직할 감찰이 부족하므로 전례대로 서경(署經) 전에 공무를 행하도록 분부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李仁復)의 계 97

04_08_20〔13〕 패초에 나오지 않은 공조 판서 이태좌(李台佐)를 다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97

04_08_20〔14〕 숙배하지 않고 있는 강화 유수(江華留守) 정석오(鄭錫五)를 패초하여 부임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의 계 97

04_08_20〔15〕 근래 번차(番次)가 구차하고 소홀하므로 새로 제수된 교리 조명교(曺命敎) 등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98

04_08_20〔16〕 시재 어사(試才御史)를 대관의 직임을 체차하고 내려가게 한 전례가 있는지 물어 아뢰라는 전교 98

04_08_20〔17〕 호랑이에게 물려 죽은 속오군(束伍軍) 이시달(李時達) 등에게 휼전을 거행하라는 전교 98

04_08_20〔18〕 의금부 좌기에 입직할 사람이 없으므로 숙배하지 않은 참지 신무일(愼無逸)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99

04_08_20〔19〕 참지 신무일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99

04_08_20〔20〕 참지 신무일을 다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99

04_08_20〔21〕 두 번째 패초에 나오지 않은 참지 신무일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99

04_08_20〔22〕 국기(國忌)를 위한 재계와 겹치므로 21일의 무신의 강서(講書)를 설행할 수 없다는 김시형의 계 100

04_08_20〔23〕 함경 감사 권익관(權益寬) 등을 잡아다 신문하라는 전지를 계하하였으므로 나장을 보내 잡아올 것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100

04_08_20〔24〕 이조가 박형윤(朴亨潤)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였다 101

04_08_20〔25〕 대장 장붕익(張鵬翼)이 시관(試官)으로 나아가 습조(習操)를 하지 못하게 되었으므로 대책을 묻는 어영청의 계 100

04_08_20〔26〕 진연(進宴)을 위해 서울로 올라오는 기생에 대해 내습의(內習儀)와 외습의(外習儀)를 한 번씩 설행하도록 분부할 것을 청하는 진연청의 계 101

04_08_20〔27〕 차임된 감조관(監造官)들에 대해 본직의 사진에서 제외시킬 것을 청하는 진연청의 계 102

04_08_20〔28〕 자전(慈殿)을 위한 진연과 관련하여 간택할 만한 날짜가 없으므로 대책을 묻는 예조의 계 102

04_08_20〔29〕 서용(敍用)되었더라도 정세상 중대한 직임에 나아갈 수 없는 데다 번번이 패초를 어기고 있으므로 파직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강화 유수(江華留守) 정석오(鄭錫五)의 상소 103

04_08_20〔30〕 과장(科場)에서 생기는 폐단을 막을 방도를 진달하고 시행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풍원군(豐原君) 조현명(趙顯命)의 상소 104

04_08_20〔31〕 병세가 위중하여 중대한 직임을 맡을 수 없으므로 본직 등을 체차하고 한가한 자리로 옮겨 줄 것을 청하는 공조 판서 이태좌의 상소 106

04_08_20〔32〕 함경도 관찰사 송진명에게 내린 교서(敎書) 109

04_08_20〔33〕 선정전에서 주강을 행하는 자리에 지경연사 이집(李㙫) 등이 입시하여《 서경》을 진강하고, 의금부의 죄수를 처결하는 문제, 함경도 백성을 구휼하는 문제, 북평사(北評事)의 재임 기간을 조정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112

21일(기해) 맑음 126

04_08_21〔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126

04_08_21〔02〕 정현왕후(貞顯王后)의 기신(忌辰)을 위해 재계하였다 126

04_08_21〔03〕 안개가 끼었다 126

04_08_21〔04〕 감찰이 다시를 한다는 이광보(李匡輔)의 계 126

04_08_21〔05〕 조명교(曺命敎)가 실록청 도청 낭청으로 낮근무하러 나가며, 이후로는 초기하지 않고 왕래하겠다는 홍문관의 계 127

04_08_21〔06〕 의금부 도사가 국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시형(金始炯)의 계 127

04_08_21〔07〕 소대(召對)를 하겠다는 전교 127

04_08_21〔08〕 좌변포도대장 이삼(李森)이 청대(請對)하였다는 김시형의 계 127

04_08_21〔09〕 시재 어사를 대관의 직임을 체차하고 내려가게 한 전례가 있는지 물은 결과를 보고하는 김시형의 계 128

04_08_21〔10〕 정시 무과 초시 때 이소(二所)의 주장관(主掌官)인 윤이교(尹以敎)를 금부 도사와 서로 바꾸었으므로 후임을 이보명(李保命)으로 부표하여 들인다는 호조의 계 128

04_08_21〔11〕 국기를 위한 재계일이므로 영의정 이광좌(李光佐)의 차자(箚子)를 보류해 둔다는 김시형의 계 128

04_08_21〔12〕 녹명 단자(錄名單子)에 대신 착명한 무겸 김중보(金重寶) 등의 죄를 다스릴 것을 청하는 무일소(武一所) 시관(試官)의 계 129

04_08_21〔13〕 각 시소(試所)의 녹명(錄名)을 보내는 일과 관련하여 무작위로 추출하여 보내되 전례대로 25자(字)씩 나누어 보내겠다는 무이소 시관의 계 129

04_08_21〔14〕 인혐하지 말고 조정에 나아와 사초(莎草)를 개수하는 일을 감독하라고 오명항(吳命恒)에게 전유하라는 비망기 130

04_08_21〔15〕 병이 위중하여 직임에 나아갈 수 없으므로 해직해 줄 것과, 서용한 지방 수령들을 잉임(仍任)하게 할 것을 청하는 영의정 이광좌의 차자 131

04_08_21〔16〕 한사선(韓師善)의 일과 관련하여 근신(近臣)을 경계할 것을 진달하고, 대신(大臣)을 불러들일 것과 대관으로서 시재 어사의 직임을 맡을 수 없으므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정언 정우량(鄭羽良)의 상소 135

04_08_21〔17〕 패(牌)를 받는 시간을 지체하게 한 해당 도사를 추고하고, 교대한 도사가 궐문이 닫힌 후에 왔으므로 대책을 묻는 김시형의 계 142

04_08_21〔18〕 희정당(熙政堂)에서 소대를 행하는 자리에 참찬관 김시형 등이 입시하여《대학연의(大學衍義)》를 진강하고, 강화 유수(江華留守)를 내려보내는 문제를 논의하였다 143

04_08_21〔19〕 희정당에서 좌변포도대장 이삼이 청대한 자리에 좌부승지 이광보 등이 입시하여 흉서(凶書)를 투서한 죄인을 압송하는 문제, 망명 죄인을 기포(譏捕)하는 문제, 군기(軍器)를 정비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155

22일(경자) 맑음 166

04_08_22〔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166

04_08_22〔02〕 정현왕후(貞顯王后)의 기신(忌辰)이다 166

04_08_22〔03〕 안개가 끼었다 166

04_08_22〔04〕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김집(金潗)의 계 166

04_08_22〔05〕 이조 낭청이 대간의 자리가 비어 있으므로 정사를 어떻게 할지 물은 데 대한 김시형(金始炯)의 계 167

04_08_22〔06〕 궐문이 닫혔으므로 패초를 받들고 온 무이소의 시관 최진한(崔鎭漢)을 내일 참석하도록 하겠다는 김시형의 계 167

04_08_22〔07〕 국기와 겹쳐 입직한 내삼청 등의 중일 습사를 행할 수 없다는 도총부의 계 167

04_08_22〔08〕 의금부 도사가 국청의 좌기를 할 수 없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시형의 계 167

04_08_22〔09〕 연일 감찰이 다시를 하는 것은 온당치 못하므로 숙배하지 않은 인원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김시형의 계 168

04_08_22〔10〕 우의정 오명항(吳命恒)에게 전유(傳諭)한 결과를 보고하는 이인복(李仁復)의 서계 168

04_08_22〔11〕 시관으로 나아간 도청 당상 서명균(徐命均) 등의 직임을 고쳐서 사역에 전심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실록청 총재관의 계 169

04_08_22〔12〕 이조가 의금부 도사 정관빈(鄭觀賓)과 사도시 주부 안중관(安重觀)을 서로 바꾸었다 170

04_08_22〔13〕 진연 때 대왕대비전 등에 존호를 가상하는 데 대한 악장(樂章)은 첫 번째 작(爵) 이전에 선창(先唱)하도록 분부할 것을 청하는 진연청의 계 170

04_08_22〔14〕 진연할 때 삼사의 숙설하는 처소는 명정전(明政殿) 남쪽 월랑(月廊) 근처에 나누어 설치하겠다는 진연청의 계 170

04_08_22〔15〕 진연할 때의 찬품(饌品)과 관련하여 갑진년의 예대로 거행하되 제철이 아닌 물건은 다른 종류로 대신 사용하겠다는 진연청의 계 170

04_08_22〔16〕 과장(科場)에서 농간을 부리는 폐단이 있으므로 녹명 단자를 잘라 이송하겠다는 무이소에서 올린 초기에 대해 시행하도록 허락할 수 없다는 무일소 시관의 계 171

23일(신축) 맑음 172

04_08_23〔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을 정지하고 주강만 행하였다 172

04_08_23〔02〕 안개가 끼었다 172

04_08_23〔03〕 옥과 현감(玉果縣監) 윤취함(尹就咸) 등이 하직하였다 172

04_08_23〔04〕 내일부터 사흘간의 시사를 탈품한다는 김집(金潗)의 계 172

04_08_23〔05〕 의금부 도사가 오늘 국청의 좌기를 할 수 없다고 보고한 데 대한 이광보(李匡輔)의 계 173

04_08_23〔06〕 아오지 만호(阿吾地萬戶) 이두성(李斗星)에게 궁시를 주어 보내라는 비망기 173

04_08_23〔07〕 행 공조 판서 이태좌(李台佐)가 명릉(明陵)에 나아가기 위해 수어사(守禦使)의 밀부(密符)를 바치기를 청하였으므로 대책을 묻는 이광보의 계 173

04_08_23〔08〕 9월 1일에 정릉(靖陵)에 전알(展謁)하기 위해 궁을 나갈 길시(吉時)를 택한 결과를 보고하고, 몇 시로 정할지 묻는 예조의 계 174

04_08_23〔09〕 10월 8일의 종묘(宗廟) 동향 대제(冬享大祭)는 친행하는 것으로 분부하고, 영녕전(永寧殿)에는 대신(大臣)을 보내 제사 지내도록 통지할 것을 청하는 예조의 계 174

04_08_23〔10〕 사행과 관련하여 수역(首譯) 등에게 시상하였는지 전례를 상고한 결과를 보고하고, 가자(加資)할 것인지 재결해 줄 것을 청하는 비변사의 계 174

04_08_23〔11〕 망명 죄인(亡命罪人) 황진기(黃鎭紀)의 어미 등을 원도(遠道)의 노비로 삼기 위해 나장을 보내 배소로 압송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176

04_08_23〔12〕 등록 낭청의 후임으로 차하한 전 현감 송징계(宋徵啓)를 군직에 붙일 것을 청하는 실록청 총재관의 계 176

04_08_23〔13〕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계 및 관직 제수 내용 177

04_08_23〔14〕 새로 제수된 부응교 김진상(金鎭商) 등을 올라오도록 하유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179

04_08_23〔15〕 의금부에 죄수가 적체되어 있으므로 참의 양성규(梁聖揆) 등을 패초하여 변통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179

04_08_23〔16〕 격쟁(擊錚)한 양인(良人) 김태휘(金泰輝) 등의 죄를 다스릴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180

04_08_23〔17〕 파산 상태에 있는 집의 성덕윤(成德潤)을 군직에 붙일 것을 청하는 분무녹훈도감(奮武錄勳都監)의 계 180

04_08_23〔18〕 병조가 성덕윤을 부사과에 단부하였다 180

04_08_23〔19〕 정릉에 거둥할 때 입파할 말 가운데 역마(驛馬)는 병조에서 각 역에 통지하여 입파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사복시 제조의 계 181

04_08_23〔20〕 좌우 별장의 후임을 차출해야 하므로 금군장(禁軍將) 조경(趙儆) 등을 개차할 것을 청하는 훈련도감의 계 181

04_08_23〔21〕 물에 빠져 죽은 진안현(鎭安縣)의 사노(私奴) 암회(巖回) 등에게 휼전을 거행하라는 전교 181

04_08_23〔22〕 병이 위중한 참시관(參試官) 이성로(李聖魯)를 개차하고 후임을 변통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무일소 시관의 계 181

04_08_23〔23〕 무일소 참시관의 후임과 관련하여 원래의 단자에 부표하여 들인다는 이광보의 계 182

04_08_23〔24〕 감시관 김광운(金光運)이 노모의 병으로 나갔으므로 개차하고 후임을 변통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무일소 시관의 계 182

04_08_23〔25〕 무일소 감시관의 후임과 관련하여 원래의 단자에 부표하여 들인다는 김집의 계 182

04_08_23〔26〕 망명 죄인 이봉상(李鳳祥)을 처단할 것과, 석방한 전 무장 현감(茂長縣監) 김몽좌(金夢佐) 등을 잡아와 실상을 조사하게 할 것 등을 청하는 장령 허옥(許沃)의 계 183

04_08_23〔27〕 병세가 위중한 데다 사국(史局)의 일이 긴급하므로 홍문관과 비변사의 직임을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부제학 송성명(宋成明)의 상소 186

04_08_23〔28〕 노모의 병구완을 위해 시소(試所)를 멋대로 떠났으므로 삭직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장령 김광운의 상소 188

04_08_23〔29〕 달아난 역적들을 속히 잡아다 처벌할 것과, 관미(官米)를 남용한 목천 현감(木川縣監) 정유일(鄭惟一)을 잡아다 신문할 것 등을 청하는 대사간 조석명(趙錫命)의 상소 189

04_08_23〔30〕 병세가 위중한 데다 정세상 직임에 나아갈 수 없어 명을 어기고 있으므로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 오명항(吳命恒)의 상소 192

04_08_23〔31〕 선정전에서 주강을 행하는 자리에 특진관 이삼(李森) 등이 입시하여《서경》을 진강하고, 새로 제수한 수령을 자주 체차하는 문제, 변방의 수령을 가려 보내는 문제, 응시자 대신 활을 쏜 자를 처벌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194

24일(임인) 아침에는 맑고 저녁에는 비가 옴 208

04_08_24〔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208

04_08_24〔02〕 경종대왕(景宗大王)의 기신(忌辰)을 위해 재계하였다 208

04_08_24〔03〕 의금부 도사가 오늘 국청의 좌기를 할 수 없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시형(金始炯)의 계 208

04_08_24〔04〕 사관(史官)과 기마(騎馬)를 대기시키라는 비망기 209

04_08_24〔05〕 사진(仕進)하지 않은 우부승지 이광보(李匡輔) 등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이정걸(李廷傑)의 계 209

04_08_24〔06〕 우의정 오명항(吳命恒)에게 전유한 결과를 보고하는 이인복(李仁復)의 서계 209

04_08_24〔07〕 의정부의 녹사(錄事)가, 영의정 이광좌(李光佐)가 병세로 들어오지 못하였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시형의 계 210

04_08_24〔08〕 시원임 대신에게 인사하지 않고 하직한 진주 목사(晉州牧使) 한덕후(韓德厚)를 파직할 것을 청하는 비변사의 계 210

04_08_24〔09〕 출천한 군관 등에 대한 송도(松都)의 시재(試才)가 수확하는 시기와 겹치므로 다시 택일할 것을 청하는 비변사의 계 211

04_08_24〔10〕 파직된 도청 낭청 이춘제(李春躋)의 후임에 시강원 문학 유엄(柳儼)을 차하한 다음 패초할 것을 청하는 실록청 총재관의 계 211

04_08_24〔11〕 실록청 낭청 유엄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211

04_08_24〔12〕 신병이 위중한 주장관(主掌官) 이보명(李保命)의 후임으로 장흥고 주부(長興庫主簿) 유일장(柳一章)을 부표하여 들인다는 호조의 계 212

04_08_24〔13〕 정릉(靖陵)의 행행(行幸)을 위해 시위할 군사의 절목과 관련하여 등록(謄錄)을 상고한 결과를 보고하고, 군사들이 강을 건널 시각을 어떻게 마련할지 묻는 병조의 계 212

04_08_24〔14〕 능행을 위해 전례대로 교룡기 차비마(交龍旗差備馬)를 미리 연습 시키겠다는 병조의 계 213

04_08_24〔15〕 이번 행행 때 전배(前陪)할 순시기수(巡視旗手) 등은 남문루(南門樓)에 수급(首級)을 받기 위해 거둥했을 때의 예대로 마련할지 묻는 병조의 계 213

25일(계묘) 비가 옴 214

04_08_25〔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214

04_08_25〔02〕 경종대왕(景宗大王)의 기신(忌辰)이다 214

04_08_25〔03〕 비변사 낭청이 빈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이광보(李匡輔)의 계 214

04_08_25〔04〕 감찰이 다시를 한다는 이광보의 계 215

04_08_25〔05〕 국기를 위한 재계일이므로 영의정의 차자를 보류해 둔다는 김시형(金始炯)의 계 215

04_08_25〔06〕 국기와 겹쳐서 입직한 내삼청 등의 중일 습사를 하지 못한다는 도총부의 계 215

04_08_25〔07〕 해춘군(海春君) 이영(李栐)이 새로 번(番) 든 기병 군사에 대한 점고 좌기(點考坐起)를 위해 금위영에 낮근무하러 나간다는 도총부의 계 215

04_08_25〔08〕 의금부 도사가 국청의 좌기를 할 수 없다고 보고한 데 대한 이광보의 계 216

04_08_25〔09〕 사관과 기마를 대기시키라는 비망기 216

04_08_25〔10〕 이조가 유엄(柳儼)을 실록청 겸춘추에 단부하였다 216

04_08_25〔11〕 장악원 첨정(掌樂院僉正) 홍중성(洪重聖)의 후임에 김후연(金後衍)을 차하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진연청의 계 216

04_08_25〔12〕 썩거나 변질된 전복(全鰒)과 생리(生梨) 등을 봉진한 전라 감사등을 추고할 것을 청하는 사옹원 감선 제조의 계 216

04_08_25〔13〕 하교대로 방민(坊民)을 고용하지 못하므로 자원(自願)에 따라 급가(給價)한 뒤에 조용하겠다는 병조의 계 217

04_08_25〔14〕 우의정 오명항(吳命恒)이 녹패(祿牌)를 내주지 않으므로 대책을 묻는 호조의 계 218

04_08_25〔15〕 병세가 위중하므로 체차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영의정 이광좌(李光佐)의 차자 218

04_08_25〔16〕 병조 낭청이 궐내 각처의 입직 군사를 야순검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집(金潗)의 계 220

26일(갑진) 맑음 221

04_08_26〔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221

04_08_26〔02〕 장렬왕후(莊烈王后)의 기신(忌辰)이다 221

04_08_26〔03〕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김시형(金始炯)의 계 221

04_08_26〔04〕 감찰이 다시를 한다는 김시형의 계 221

04_08_26〔05〕 국기일이므로 좌의정의 차자를 보류해 둔다는 김시형의 계 222

04_08_26〔06〕 의금부 도사가 국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시형의 계 222

04_08_26〔07〕 대제학 윤순(尹淳)이 지방에 있으므로 정릉(靖陵) 친제의 제문은 제학 서명균(徐命均)이 지어 올리도록 할 것을 청하는 김집(金潗)의 계 222

04_08_26〔08〕 병조가 임광(任珖)을 부사과에 단부하였다 223

04_08_26〔09〕 내일 왕세자의 상견례를 위해 문학 유엄(柳儼) 등을 패초하여 궁관(宮官)의 인원을 갖추게 할 것을 청하는 시강원의 계 223

04_08_26〔10〕 문학 유엄 등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223

04_08_26〔11〕 소대를 하겠다는 전교 223

04_08_26〔12〕 능행 때 시위하는 금군(禁軍)을 점고하기 위해 새 번(番)의 금군에 대해 미리 입직을 교체할 것 등을 청하는 병조의 계 224

04_08_26〔13〕 이당(李鏜)이라는 이름을 가진 자를 조사한 결과를 보고하고 죽은 사람에게 죄를 돌린 진위(振威)의 역적 이당(李榶)에 대해 형장(刑杖)을 시행할 것 등을 청하는 어영청의 계 224

04_08_26〔14〕 능행할 때 한밤중에는 규례대로 행거(行炬)와 치거(植炬)를 마련하여 들이겠다는 병조의 계 225

04_08_26〔15〕 병세가 위중한 데다 대간의 상소로 인하여 직임에 나아갈 수 없으므로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좌의정 홍치중(洪致中)의 차자 225

04_08_26〔16〕 내일 원릉(園陵)의 사초를 개수할 때에 예조 판서가 나아가도록 분부하라는 전교 227

04_08_26〔17〕 희정당에서 소대를 행하는 자리에 참찬관 김시형 등이 입시하여《대학연의》를 진강하고, 이유 없이 정고(呈告)하는 관원을 처리하는 문제, 다른 관사에서 소송하지 못하도록 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227

27일(을사) 맑음 244

04_08_27〔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244

04_08_27〔02〕 개성부(開城府) 관무재(觀武才)의 길일을 택한 결과를 보고하고 원래의 사목(事目)에 부표하여 들인다는 병조의 계 244

04_08_27〔03〕 능행(陵幸) 때 시위하는 일과 관련하여 겸사복장 박재신(朴再新) 등을 개차하고 후임을 구전 정사로 차출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244

04_08_27〔04〕 종묘의 추계(秋季) 봉심과 관련하여 도제조와 제조가 부재중이므로 상의 뜻을 물어 변통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예조의 계 245

04_08_27〔05〕 종묘의 추계 봉심과 관련하여 제조 김동필(金東弼)은 돌아올 기일이 멀었으므로 대책을 묻는 김집(金潗)의 계 245

04_08_27〔06〕 종묘의 추계 봉심에 대신이 없더라도 봉심한 예가 있는지 물어서 아뢰라는 전교 246

04_08_27〔07〕 개가 금호문(金虎門)으로 들어온 일과 관련하여 수문장 박황(朴璜) 등의 죄를 다스릴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246

04_08_27〔08〕 격쟁한 학생(學生) 이덕린(李德麟) 등의 죄를 다스릴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246

04_08_27〔09〕 본부의 수용(需用)을 위해 납부하는 세곡(稅穀)에 대해 토호들이 납부를 하고 있지 않으므로 가낭청 등을 보내 적간하게 할 것 등을 청하는 충훈부의 계 247

04_08_27〔10〕 올해의 세곡은 본조에서만 수납하고, 떼어 줄 곳에 대해서는 여러 도에서 조사한 장계가 도착한 다음 실수(實數)를 파악하여 내년부터 떼어 주도록 할 것을 청하는 호조의 계 249

04_08_27〔11〕 동가(動駕)하는 날에는 시소(試所)의 설치를 정지하도록 분부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250

04_08_27〔12〕 제주 판관(濟州判官) 정동리(鄭東里)가 진상한 말의 나이 등을 써서 들이고 내구(內廏)에서 기르겠다는 사복시 제조의 계 250

04_08_27〔13〕 시소에 있는 중군 이수량(李遂良) 등은 능행을 위해 고쳐 부표하여 들이겠다는 금위영의 계 250

04_08_27〔14〕 시소에 있는 중군 이수량 등은 능행을 위해 원래의 단자 가운데 고쳐 부표하여 들이겠다는 이광보(李匡輔)의 계 251

04_08_27〔15〕 감시관인 대사간 조석명(趙錫命)의 병세가 위중하므로 상의 뜻을 물어 변통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무이소 시관의 계 251

04_08_27〔16〕 감시관 조석명이 병세가 위중하여 시장에 참석할 수 없으므로 원래의 단자에 부표하여 들인다는 이광보의 계 251

04_08_27〔17〕 청규(廳規)에 구애되어 이조 참판 송인명(宋寅明)을 패초할 수 없으므로 대책을 묻는 김집(金潗)의 계 252

04_08_27〔18〕 시관인 행 부사직 신광하(申光夏)의 병세가 위중하므로 상의 뜻을 물어 변통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무이소 시관의 계 252

04_08_27〔19〕 병세가 위중한 시관 신광하가 시장에 참석하지 못하므로 원래의 단자 가운데 부표하여 들인다는 이광보의 계 252

04_08_27〔20〕 해서(海西)의 2번 별마대(別馬隊) 등을 9월 1일에 1번 별마대와 교대하고 구군(舊軍)은 내려보내겠다는 어영청의 계 253

04_08_27〔21〕 하번 별마대(別馬隊) 등의 상격(賞格)은 점수에 따라 목면(木綿)을 면급하고 별단에 써서 들이겠다는 어영청의 계 253

04_08_27〔22〕 점고를 받은 7번 해서 별효위(別驍衛) 등을 9월 1일에 입직하는 별효위와 교대하고 구군은 내려보내겠다는 금위영의 계 253

04_08_27〔23〕 능행이 임박하였으므로 참의와 참지를 차출하여 패초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254

04_08_27〔24〕 회맹축(會盟軸) 등에 대한 공역을 마친 일방(一房) 등의 낭청과 감조관은 감하하고, 삼방(三房)은 그대로 두겠다는 분무녹훈도감의 계 254

04_08_27〔25〕 공신들의 화상(畫像)을 각각의 집으로 나누어 보내되 외임을 맡은 인원은 도감의 원역에게 말을 주어 내려보내겠다는 분무녹훈도감의 계 254

04_08_27〔26〕 회맹축 등을 각각 궤자(櫃子)에 담아 진상(進上)하겠다는 분무녹훈도감의 계 255

04_08_27〔27〕 같은 산에 있는 선릉(宣陵)과 정릉(靖陵)을 규례에 따라 개수한 뒤에 한꺼번에 복명(復命)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예조의 계 255

04_08_27〔28〕 의금부 도사가 오늘 국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집의 계 255

04_08_27〔29〕 효묘조(孝廟朝)에 선조(先朝) 공신들의 화상(畫像)을 그리는 일을 마친 뒤에 어람(御覽)하는 규례가 있었는지 물어 아뢰라는 전교 255

04_08_27〔30〕 효묘조에 선조 공신들의 화상을 그리는 일을 마친 뒤에 어람하는 규례가 있었는지 물은 결과를 보고하는 김집의 계 256

04_08_27〔31〕 능행을 위해 좌부승지의 후임을 차출하여 패초할 것을 청하는 김집의 계 256

04_08_27〔32〕 행 공조 판서 이태좌(李台佐)가 능상의 사초를 개수하는 일로 밀부(密符)를 도로 바치기를 청하므로 대책을 묻는 이광보의 계 256

04_08_27〔33〕 강화 유수(江華留守) 정석오(鄭錫五)는 머물러 대령하라는 전교 257

04_08_27〔34〕 강화 유수 정석오를 인견하겠다는 전교 257

04_08_27〔35〕 능행에 어느 대신이 유도(留都)할지 묻는 이광보의 계 257

04_08_27〔36〕 내일부터 사흘 동안 시사를 탈품한다는 김집의 계 257

04_08_27〔37〕 능행과 서로 겹치므로 1일의 윤대(輪對)를 탈품한다는 김집의 계 257

04_08_27〔38〕 우의정 오명항(吳命恒)이 녹봉을 받지 않으므로 대책을 묻는 호조의 계 258

04_08_27〔39〕 윤허한 대로 대명하고 있는 무겸(武兼) 김중보(金重寶) 등을 잡아 가두겠다는 의금부의 계 258

04_08_27〔40〕 숙배하지 않고 있는 부수찬 조적명(趙迪命) 등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258

04_08_27〔41〕 호랑이에게 물려 죽은 장씨(張氏) 등에게 휼전을 거행하라는 전교 259

04_08_27〔42〕 이조 낭청이 오늘 정사를 열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해 참판 송인명(宋寅明)을 패초하여 정사를 열게 할 것을 청하는 김집의 계 259

04_08_27〔43〕 추고하라는 명이 내린 이조 참판 송인명을 다시 패초하여 정사를 열게 할 것을 청하는 김집의 계 259

04_08_27〔44〕 능행을 위해 본부의 당상을 갖추어야 하므로 차임하지 않은 후임을 차출할 것을 청하는 도총부의 계 259

04_08_27〔45〕 내승(內乘)이 오늘 기군세마(旗軍洗馬)를 하겠다고 보고한 데 대한 이광보의 계 260

04_08_27〔46〕 감찰이 다시를 한다는 이광보의 계 260

04_08_27〔47〕 무이소의 감시관인 정우량(鄭羽良)을 내일 패초하겠다는 이광보의 계 260

04_08_27〔48〕 우의정에게 사관을 보내어 전유하는 일은 내일 아침에 하겠다는 이광보의 계 261

04_08_27〔49〕 도총부 낭청이 궐내 각처의 입직 군사를 야순검(夜巡檢)하겠다고 보고한 데 대한 이광보의 계 261

04_08_27〔50〕 원릉을 개수하는 일에 나아가지 못한 데다 유도(留都)하는 일에도 나아가지 못하므로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좌의정 홍치중(洪致中)의 차자 261

04_08_27〔51〕 병세와 정세상 사초를 개수하는 일과 녹권을 받드는 일에 나아가지 못하므로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우의정 오명항의 상소 262

04_08_27〔52〕 비난을 계속 받고 있는 데다 병세가 위중하여 직임에 나아갈 수 없으므로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이조 판서 윤순(尹淳)의 상소 264

04_08_27〔53〕 직임에 나아갈 수 없는 이유를 진달하고 병세가 위중하므로 삭직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형조 판서 금원군(錦原君) 박사익(朴師益)의 상소 266

04_08_27〔54〕 강화 유수 정석오에게 내린 교서 269

04_08_27〔55〕 고산 찰방(高山察訪) 이격(李格)이 파출된 뒤에 장계를 올린 전말을 진달하고, 그로 인해 쟁론을 벌이고 능욕을 받았으므로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북로 안무사(北路安撫使) 윤헌주(尹憲柱)의 상소 272

04_08_27〔56〕 희정당에서 강화 유수 정석오가 인견을 위해 입시한 자리에 우부승지 이광보 등이 입시하여 교동(喬桐)의 습조(習操)를 정지하는 문제, 문수산성(文殊山城)을 수축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281

28일(병오) 맑음 285

04_08_28〔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285

04_08_28〔02〕 감찰이 다시를 한다는 김시형(金始炯)의 계 285

04_08_28〔03〕 입직한 내삼청 등의 중일 습사를 위해 표신을 내줄 것을 청하는 도총부의 계 285

04_08_28〔04〕 의금부 도사가 오늘 국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시형의 계 286

04_08_28〔05〕 도승지 이인복(李仁復)이 강교(江郊)에 나가 있어 능행에 승지의 인원을 갖출 수 없으므로 대책을 묻는 김집(金潗)의 계 286

04_08_28〔06〕 사진하지 않은 동부승지 김시형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김집의 계 286

04_08_28〔07〕 전 봉교 이종백(李宗白) 등을 서용(敍用)하였으므로 패초할 것을 청하는 김집의 계 287

04_08_28〔08〕 부교리 서종옥(徐宗玉)이 한학 겸교수(漢學兼敎授)로서 오늘 원시(院試)에 대한 좌기에 낮근무하러 나가며, 이후로는 초기하지 않고 나가겠다는 홍문관의 계 287

04_08_28〔09〕 고향에서 돌아온 부교리 윤광익(尹光益)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287

04_08_28〔10〕 북로 안무사(北路按撫使) 윤헌주(尹憲周)가 대죄한다고 한 장계와 관련하여 대죄하지 말라는 전교 287

04_08_28〔11〕 대신(大臣)이 없더라도 봉심한 예가 있는지 물어본 결과를 보고하는 김집의 계 288

04_08_28〔12〕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계 및 관직 제수 내용 288

04_08_28〔13〕 왕세자가 지영(祗迎)하는 등의 일에 인원을 갖추기 위해 문학 유엄(柳儼) 등을 패초하고 차임하지 않은 후임을 차출할 것을 청하는 시강원의 계 290

04_08_28〔14〕 정관이 들어왔으므로 차임하지 않은 인원을 차출하여 왕세자가 지영하는 등의 일에 인원을 갖추게 할 것을 청하는 김집의 계 291

04_08_28〔15〕 우의정 오명항(吳命恒)에게 전유한 결과를 보고하는 가주서 심성진(沈星鎭)의 서계 291

04_08_28〔16〕 소대를 하겠다는 전교 292

04_08_28〔17〕 설서 정도은(鄭道殷)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292

04_08_28〔18〕 병조가 권기언(權基彦)을 부사과에 단부하였다 292

04_08_28〔19〕 새로 제수된 승지 등은 내일 패초하겠다는 이광보(李匡輔)의 계 292

04_08_28〔20〕 무이소의 시관 등은 내일 패초하겠다는 이광보의 계 292

04_08_28〔21〕 정릉에 거둥할 때 건양문(建陽門)에 입직할 군사는 8월 29일에 훈련도감의 포수로 교체하고, 환궁한 뒤에는 본영의 군병들이 도로 입직하게 할 것을 청하는 금위영의 계 293

04_08_28〔22〕 숙정문(肅靖門) 등의 무너진 곳을 파수(把守)하는 군사는 기병 등으로 대신하였다가 환궁한 뒤에 본영의 군병들이 도로 파수하겠다는 금위영의 계 293

04_08_28〔23〕 정릉에 거둥할 때 수가할 군병과 수직할 군병에 대해 보고하는 금위영의 계 293

04_08_28〔24〕 전시(殿試)에 직부(直赴)하라고 명한 유생 변시중(邊是重) 등을 별시 문과의 전시에 응시하도록 할 것을 청하는 예조의 계 294

04_08_28〔25〕 능행을 위해 시소(試所)에 있는 중군 이재항(李載恒)을 변통할 것을 청하는 훈련도감의 계 294

04_08_28〔26〕 능행과 서로 겹치므로 어람(御覽)할 군안(軍案)을 능행이 지난 뒤에 수정해서 들일지 묻는 훈련도감의 계 294

04_08_28〔27〕 문초할 죄인 정석진(丁錫震)을 여주(驪州)에서 붙잡았으므로 국청으로 이송하겠다는 좌우포도청의 계 295

04_08_28〔28〕 군병들이 타야 할 배는 미리 배당하여 타게 하되, 어가를 실은 배는 한성부 낭청 등이 직접 거느리고 대령하게 할 것을 청하는 공조의 계 295

04_08_28〔29〕 중신(重臣)이 대신 유도(留都)하는 일은 온당치 못하므로 직접 유도하라는 명을 내려 줄 것을 청하는 좌의정 홍치중(洪致中)의 상소 296

04_08_28〔30〕 대간의 상소로 동료 재상이 인혐한 데다 중요한 일을 대신하게 한 죄가 있으므로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영의정 이광좌(李光佐)의 차자 297

04_08_28〔31〕 희정당에서 소대를 행하는 자리에 참찬관 김시형 등이 입시하여《대학연의》를 진강하고, 붕당의 폐단을 바로잡는 문제, 김재로(金在魯)를 처분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299

29일(정미) 맑음 309

04_08_29〔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309

04_08_29〔02〕 내일의 상참을 탈품(頉稟)한다는 김집(金潗)의 계 309

04_08_29〔03〕 비변사 낭청이 빈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이광보(李匡輔)의 계 309

04_08_29〔04〕 어영청 교련관이 결진(結陣)하는 시각 등을 보고한 데 대한 이광보의 계 310

04_08_29〔05〕 훈련도감 지구관 등이 등을 다는 시각 등을 보고한 데 대한 이광보의 계 310

04_08_29〔06〕 이조 낭청이 대간에 궐원이 있으므로 정사를 어떻게 할지 물은 데 대한 이인복(李仁復)의 계 310

04_08_29〔07〕 재계일이므로 영의정 이광좌(李光佐)의 차자를 보류해 둔다는 이인복의 계 310

04_08_29〔08〕 내일 대가가 재실에 들어간 뒤에 대왕대비전 등에 어느 승지가 문안할지 묻는 이인복의 계 311

04_08_29〔09〕 의금부 도사가 오늘 국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시형(金始炯)의 계 311

04_08_29〔10〕 궁궐을 나가는 시각이 이르므로 왕세자에게 지송(祗送)하지 말라고 분부하라는 전교 311

04_08_29〔11〕 거조 중에 전교한 내용과 다른 글을 그냥 두지 말라고 분부하라는 전교 312

04_08_29〔12〕 능행이 하룻밤 남았으므로 추고만 하라고 명한 병조 참지 이중협(李重協)을 다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김시형의 계 312

04_08_29〔13〕 병조 참지 이중협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312

04_08_29〔14〕 상소를 다른 문서에 섞어 둔 하리(下吏)의 죄를 다스릴 것 등을 청하는 김시형의 계 312

04_08_29〔15〕 의정부 녹사가 우의정 오명항(吳命恒)이 능 바깥에서 대죄하고 있다고 보고한 데 대한 이인복의 계 313

04_08_29〔16〕 대신의 차자에 대해 긴급이라고 말을 더한 해당 승지를 추고하라는 비망기 313

04_08_29〔17〕 유문(留門) 시각을 잘못 전달한 해당 내관을 모두 추고하라는 비망기 314

04_08_29〔18〕 행행 때 대가(大駕)가 배에 오른 뒤에 포를 쏘면 각 군영에서도 응하여 포를 쏘도록 분부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314

04_08_29〔19〕 좌우 포도대장이 모두 수가(隨駕)하므로 어영대장 장붕익(張鵬翼)이 좌우 포도대장을 겸하여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314

04_08_29〔20〕 건양문(建陽門) 등의 군사를 인솔할 초관(哨官) 등에 대해 보고하는 훈련도감의 계 315

04_08_29〔21〕 우의정 오명항이 녹봉을 받지 않으므로 대책을 묻는 호조의 계 315

04_08_29〔22〕 어가를 실은 배를 끌 줄이 손상되었으므로 숙마(熟麻)를 미리 준비하여 사용하게 할 것을 청하는 공조의 계 315

04_08_29〔23〕 말미를 받아 내려간 파총(把摠) 전이장(全爾樟)이 올라오지 않고 있으므로 의금부에 잡아다 신문하게 할 것을 청하는 훈련도감의 계 316

04_08_29〔24〕 출궁하고 환궁할 때 진(陣)을 치는 장소에 대해 보고하는 유도 대신(留都大臣)인 좌의정의 계 316

04_08_29〔25〕 방포할 때 후상(後廂)의 군병이 모두 강변에 도착하면 승선하라는 포를 쏘도록 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317

04_08_29〔26〕 왕세자가 지영하는 의절 등을 권정례(權停例)로 할 것 등을 청하는 영의정 이광좌의 차자 317

04_08_29〔27〕 왕세자의 기후가 편안치 않으므로 지영하는 등의 의절을 그만두도록 할 것을 청하는 보덕 임광필(林光弼) 등의 상소 318

영조 4년 무신(1728 , 옹정 6) 9월 320

1일(무신) 맑음 320

04_09_01〔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320

04_09_01〔02〕 어영청 교련관이 좌순청 앞길에 쳤던 진을 호위청 후미로 당기겠다고 보고한 데 대한 가승지(假承旨)의 계 320

04_09_01〔03〕 병조 낭청이 대궐 안에 입직한 군사를 주순검(晝巡檢)하겠다고 보고한 데 대한 가승지의 계 321

04_09_01〔04〕 도총부 낭청이 대궐 안에 입직한 군사를 주순검하겠다고 보고한 데 대한 가승지의 계 321

04_09_01〔05〕 날이 밝은 뒤에 군병들이 배에 오르거든 자리에서 나오라고 계청(啓請)하라는 전교 321

04_09_01〔06〕 대가가 막차에 들어간 뒤에 약방 등이 문안하였다 321

04_09_01〔07〕 선사대(先射隊)가 지금 강을 건넜으므로 배종하는 관리 등은 뒤에 건너도록 분부하라는 전교 321

04_09_01〔08〕 경기 감사가 판중추부사 조도빈(趙道彬)이 잠실(蠶室) 근처에서 대령하고 있다고 보고한 데 대한 오명신(吳命新)의 계 322

04_09_01〔09〕 대가가 선릉(宣陵)에 들어간 뒤에 약방 등이 문안하였다 322

04_09_01〔10〕 대가가 정릉(靖陵)에 들어간 뒤에 약방 등이 문안하였다 322

04_09_01〔11〕 경기 감사 등은 머물러 대령하라는 전교 322

04_09_01〔12〕 궁궐로 돌아갈 때 동구 밖에서부터 청파(靑坡)까지 상언(上言)을 받으라는 전교 323

04_09_01〔13〕 궁궐에 돌아가면 영의정에게 어의를 보내라는 전교 323

04_09_01〔14〕 백관은 삽우(揷羽)하라는 전교 323

04_09_01〔15〕 대가가 선소(船所)의 막차에 돌아온 뒤에 약방 등이 문안하였다 323

04_09_01〔16〕 왕세자가 지영하는 등의 의절을 정지하였으므로 협여군(挾輿軍) 등은 군영에 머물러 있게 하겠다는 훈련도감의 계 323

04_09_01〔17〕 도총부 낭청이 궐내 각처의 입직 군병을 야순검하겠다고 보고한 데 대한 가승지의 계 324

04_09_01〔18〕 어영청 교련관이 호위청 후미에 쳤던 진을 좌순청 앞길로 물리겠다고 보고한 데 대한 가승지의 계 324

04_09_01〔19〕 대가가 궁궐로 돌아온 뒤에 약방 등이 문안하였다 324

04_09_01〔20〕 정릉에 행행한 자리에 행 도승지 이인복 등이 입시하였고, 능에서 제사를 지낸 다음, 경기 지역에 재결(災結)을 인정해 주는 문제, 금천(衿川)과 과천(果川) 백성들의 부역을 덜어 주는 문제, 범장(犯葬)하는 자를 다스리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324

2일(기유) 맑음 340

04_09_02〔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340

04_09_02〔02〕 유성이 나타났다 340

04_09_02〔03〕 서리가 내렸다 340

04_09_02〔04〕 정원 등이 대전 등에 문안하였다 340

04_09_02〔05〕 성상의 체후와 대왕대비전 등의 기후를 묻는 약방 제조 조문명(趙文命) 등의 계 341

04_09_02〔06〕 왕세자의 증후에 어의들과 입진하여 복용할 약제를 정하겠다는 약방의 두 번째 계 341

04_09_02〔07〕 왕세자의 증후에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을 지어 들이겠다는 약방의 세 번째 계 341

04_09_02〔08〕 빈궁(嬪宮)에 의녀가 입진할 때 제조가 같이 입시하라는 하교 342

04_09_02〔09〕 입직한 내삼청 등의 중일 습사를 위해 표신을 내줄 것을 청하는 도총부의 계 342

04_09_02〔10〕 우의정 오명항(吳命恒)의 첫 번째 정사에 대해 사직하지 말고 들어오라는 전교 342

04_09_02〔11〕 능행에 수가한 군병에게 호궤(犒饋)하라고 분부하라는 전교 343

04_09_02〔12〕 의금부 도사가 오늘 국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이정걸(李廷傑)의 계 343

04_09_02〔13〕 사진하지 않은 우승지 김집(金潗) 등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李仁復)의 계 344

04_09_02〔14〕 우승지 김집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344

04_09_02〔15〕 숙배하지 않고 있는 형조 참판 이현록(李顯祿)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이정걸의 계 344

04_09_02〔16〕 추고만 받은 설서 정도은(鄭道殷)을 패초하고, 겸설서 임정(任珽)을 군직에 붙여 패초할 것을 청하는 시강원의 계 344

04_09_02〔17〕 설서 정도은을 의금부에 내려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345

04_09_02〔18〕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계 및 관직 제수 내용 345

04_09_02〔19〕 삼남(三南)에서 봉진할 갑주(甲冑)는 이미 공역을 시작했으므로 내년에 봉진하는 것으로 옮겨 쓰도록 분부할 것을 청하는 비변사의 계 346

04_09_02〔20〕 파총 전이장(全爾樟)을 잡아다 신문하라고 계하하였으므로 나장을 보내 잡아오게 할 것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347

04_09_02〔21〕 전 태인 현감(泰仁縣監) 서명건(徐命建)을 본부로 옮겨 처치하는 일을 윤허하였으므로 잡아 가두겠다는 의금부의 계 347

04_09_02〔22〕 돈의문 북쪽의 체성(體城) 등이 무너진 곳은 9월 2일부터 수축을 시작하겠다는 어영청의 계 348

04_09_02〔23〕 숙정문(肅靖門) 동쪽의 체성 등이 무너진 곳은 9월 3일부터 수축을 시작하겠다는 금위영의 계 348

04_09_02〔24〕 시관인 박사수(朴師洙)와 최진한(崔鎭漢)의 병세가 위중하므로 상의 뜻을 물어 변통할 것을 청하는 무이소 시관의 계 348

04_09_02〔25〕 호랑이에게 물려 죽은 김 조이(金召史) 등에게 휼전을 거행하라는 전교 349

04_09_02〔26〕 시험장에 참석하지 못하는 시관 박사수 등을 변통하는 일과 관련하여 원래의 단자 가운데 부표하여 들인다는 오명신(吳命新)의 계 349

04_09_02〔27〕 당상 박사수를 실록을 찬수하는 데 힘쓸 수 있도록 할 것 등을 청하는 춘추관 실록청 총재관의 계 349

04_09_02〔28〕 친병으로 상소를 봉입한 하번 한림 이주진(李周鎭)을 추고하고 지레 나간 상번 한림 이종백(李宗白)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오명신의 계 349

04_09_02〔29〕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이인복의 계 350

04_09_02〔30〕 병세가 위중하여 직임에 나아갈 수 없으므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대사헌 심공(沈珙)의 계 350

04_09_02〔31〕 대사헌 심공이 물러나 물론을 기다리겠다고 한 데 대한 오명신의 계 351

04_09_02〔32〕 봉교 이종백을 내일 패초하겠다는 오명신의 계 352

04_09_02〔33〕 옥당(玉堂)에서 파직하기를 청한 일의 전말을 진달하고, 병세로 직임에 나아가지 못하므로 체직해 줄 것을 청하는 우승지 김시형(金始炯)의 상소 352

04_09_02〔34〕 병세가 위중하여 직임에 나아갈 수 없으므로 체차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좌부승지 이광보(李匡輔)의 상소 353

04_09_02〔35〕 옥당으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므로 체차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행 도승지 이인복 등의 연명 상소 354

04_09_02〔36〕 노모의 병구완을 위해 궐 밖으로 지레 나갔으므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대교 이주진(李周鎭)의 상소 355

04_09_02〔37〕 병세가 위중하여 경연에도 나아가지 못하였으므로 체차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부교리 윤광익(尹光益)의 상소 356

04_09_02〔38〕 다른 사람에게서 비난을 받아서 직임에 나아갈 수 없는 데다 상소를 받아 주지 않아 정세가 위태로우므로 체차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문학 유엄(柳儼)의 상소 358

04_09_02〔39〕 병세로 인해 문안하는 반열에 나아가지 못하였으므로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좌의정 홍치중(洪致中)의 상소 360

04_09_02〔40〕 병세가 위중하여 행행할 때 배종하지 못하였으므로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영돈녕부사 조태억(趙泰億)의 상소 361

04_09_02〔41〕 청주(淸州) 백성들의 절박한 형세와 백성을 안정시킬 방도를 진달하고, 의병에 참여하였던 유생들을 가려내 과거를 설행할 것 등을 청하는 청주 목사 조언신(趙彦臣)의 상소 362

3일(경술) 맑음 371

04_09_03〔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을 정지하고 주강만 행하였다 371

04_09_03〔02〕 창평 현령(昌平縣令) 유흡(柳潝)이 하직하였다 371

04_09_03〔03〕 성상의 체후와 대왕대비전 등의 기후를 묻고, 빈궁(嬪宮)의 증후를 살펴 약을 의논하겠다는 약방 제조 조문명(趙文命) 등의 계 371

04_09_03〔04〕 빈궁에 의녀가 입진할 때 제조가 같이 입시하라는 전교 372

04_09_03〔05〕 왕세자가 복용할 약은 정지하고, 빈궁에게는 형방패독산을 지어 들이겠다는 약방의 두 번째 계 372

04_09_03〔06〕 의금부 도사가 오늘 국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시형(金始炯)의 계 373

04_09_03〔07〕 청규(廳規)에 구애되어 도승지 이인복(李仁復)을 패초할 수 없으므로 대책을 묻는 김시형의 계 373

04_09_03〔08〕 물러나 물론을 기다리고 있는 대사헌 심공(沈珙)을 처치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집의 김호(金浩)를 패초할 것을 청하는 김시형의 계 373

04_09_03〔09〕 우승지 김집(金潗)의 첫 번째 정사를 도로 내주라는 전교 373

04_09_03〔10〕 집의 김호를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374

04_09_03〔11〕 무이소의 시관인 이유민(李裕民)을 추고하였으나 시재의 좌기에 인원을 갖추어야 하므로 다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김시형의 계 374

04_09_03〔12〕 청규에 구애되어 무이소의 시관인 이유민을 패초할 수 없으므로 대책을 묻는 김시형의 계 374

04_09_03〔13〕 무이소의 시관인 이유민이 나오지 않아 변통할 수 없으므로 원래 의 단자에 다시 부표해 들일지 묻는 오명신(吳命新)의 계 375

04_09_03〔14〕 예비 겸춘추 이시항(李時恒)이 고향에 내려갔으므로 후임을 차출할 것을 청하는 김시형의 계 375

04_09_03〔15〕 이조가 서봉익(徐鳳翼) 등을 겸춘추에 단부하였다 375

04_09_03〔16〕 남태제(南泰齊)를 가주서로 삼았다 375

04_09_03〔17〕 익양군(益陽君) 이단(李檀)의 상(喪)과 관련하여 제수(祭需) 등을 수릉관(守陵官)에게 베푸는 규례에 따라 거행하라는 전교 375

04_09_03〔18〕 귀후서(歸厚署)에서 관(棺) 만드는 판자를 내수사에 보내도록 분부하라는 전교 376

04_09_03〔19〕 호랑이에게 물려 죽은 김 조이(金召史) 등에게 휼전을 거행하라는 전교 376

04_09_03〔20〕 우의정 오명항(吳命恒)에게 전유한 결과를 보고하는 좌승지 이 걸(李廷傑)의 서계 376

04_09_03〔22〕 국청에 일이 많으므로 실록청 낭청으로 계하한 도사 이재후(李載厚)를 변통하여 한관(閑官)으로 바꾸어 차임하게 할 것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378

04_09_03〔23〕 이소(二所)의 순장(巡將)으로 낙점받은 권익순(權益諄)의 신병이 위중하므로 원래의 단자에 부표하여 들인다는 병조의 계 378

04_09_03〔24〕 삼사(三司)의 속전(贖錢)을 감해 준 이력을 진달하고, 이전의 결정대로 현방(懸房)의 속전을 감해 줄 것 등을 청하는 동지성균관사 등의 계 378

04_09_03〔25〕 대가가 환궁할 때 능 아래에서 초엄(初嚴)을 내리기 전에 흩어져간 사람들을 현고하게 하여 추고할 것을 청하는 종부시 제조의 계 381

04_09_03〔26〕 상소를 올리고 지레 나간 부수찬 김상성(金尙星)을 추고하고, 부제학 송성명(宋成明) 등을 패초하여 입직하게 할 것을 청하는 오명신의 계 382

04_09_03〔27〕 장계에 글자를 빼먹은 전라 감사 이광덕(李匡德)을 추고할 것을 청하는 오명신의 계 382

04_09_03〔28〕 노모의 병구완을 위해 상소만 올리고 지레 돌아갔으므로 체차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행 도승지 이인복(李仁復)의 상소 382

04_09_03〔29〕 대가가 길에서 멈추었을 당시의 전말을 진달하고, 숙직하는 곳을 멋대로 나갔으므로 체차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부수찬 김상성의 상소 383

04_09_03〔30〕 대가가 길에서 멈추었을 당시의 전말을 진달하고, 승지들에게서 비난을 받았으므로 파직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부교리 서종옥(徐宗玉)의 상소 384

04_09_03〔31〕 의금부에서 박창제(朴昌悌)를 조사한 일의 전말을 진달하고, 북로 안무사 윤헌주(尹憲柱)의 상소에서 비난을 받았으므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예조 참판 이익한(李翊漢)의 상소 386

04_09_03〔32〕 박창제를 조사한 일의 전말을 진달하고, 윤헌주의 상소에서 배척을 받았으므로 체차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행 공조 판서 이태좌(李台佐)의 상소 388

04_09_03〔33〕 전사관(典祀官)을 제대로 단속하지 못하여 좋지 않은 과(果)를 제향에 올리게 되었으므로 체차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영 돈녕부사 조태억(趙泰億)의 차자 390

04_09_03〔34〕 선정전에서 주강을 행하는 자리에 동지경연사 서명균(徐命均) 등이 입시하여《서경》을 진강하고, 인재를 선발하는 문제, 차출한 사신(使臣)을 올라오게 하는 문제, 무시소(武試所)에 시관을 차출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391

4일(신해) 아침에는 비가 오고 저녁에는 맑음 401

04_09_04〔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과 경연을 정지하였다 401

04_09_04〔02〕 우레와 번개가 치고 우박이 내렸으며 햇무리가 졌다 401

04_09_04〔03〕 정원 등이 대전 등에 문안하였다 401

04_09_04〔04〕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오명신(吳命新)의 계 401

04_09_04〔05〕 감찰이 다시를 한다는 김시형(金始炯)의 계 402

04_09_04〔06〕 성상의 체후와 대왕대비전 등의 기후를 묻고, 입진하여 빈궁의 증후를 살피겠다는 약방 제조 조문명(趙文命) 등의 계 402

04_09_04〔07〕 이조 낭청이 대간에 궐원이 있으므로 정사를 어떻게 할지 물은 데 대한 김시형의 계 403

04_09_04〔08〕 정조시(停朝市)를 하는 날이므로 영의정 이광좌(李光佐)의 차자를 보류해 둔다는 김시형의 계 403

04_09_04〔09〕 이수량(李遂良)이 포도대장으로서 본청의 합좌 좌기에 낮근무하러 나간다는 도총부의 계 403

04_09_04〔10〕 의금부 도사가 오늘 국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시형의 계 403

04_09_04〔11〕 상번에 변통할 인원이 없으므로 하번을 올려 입직하도록 하겠다는 홍문관의 계 404

04_09_04〔12〕 탈이 있는 가주서 이징하(李徵夏) 대신에 윤광의(尹光毅)를 가주서로 삼았다 404

04_09_04〔13〕 하번을 상번으로 올려 입직하게 하는 것은 온당치 못하므로 부교리 서종옥(徐宗玉) 등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404

04_09_04〔14〕 물러나 물론을 기다리는 대사헌 심공(沈珙)을 처치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집의 김호(金浩)를 패초하여 처치하게 할 것을 청하는 김시형의 계 404

04_09_04〔15〕 주강과 정조시가 서로 겹치므로 대책을 묻는 오명신의 계 405

04_09_04〔16〕 무이소의 시관인 윤우진(尹遇進)을 추고하라고 하였으나 인원을 갖추어야 하므로 다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김시형의 계 405

04_09_04〔17〕 청규에 구애되어 무이소의 시관인 윤우진을 패초할 수 없으므로 대책을 묻는 김시형의 계 405

04_09_04〔18〕 무이소의 시관인 윤우진을 부표하여 들여야 하나 달리 부표할 곳이 없으니 원래의 단자를 해당 조에서 다시 써서 들이게 할 것을 청하는 김시형의 계 405

04_09_04〔19〕 때맞추어 문안하지 않은 해당 승지 등을 엄하게 추고하라는 비망기 406

04_09_04〔20〕 패초에 나오지 않은 이유민(李裕民) 등을 파직하라는 비망기 406

04_09_04〔21〕 일소(一所)의 순장(巡將)으로 낙점을 받은 권익순(權益淳)의 병세가 위중하므로 원래의 단자에 부표하여 들인다는 병조의 계 406

04_09_04〔22〕 춘추관 낭청이 전 부사과 이춘제(李春躋)를 군직에 붙일 것을 청한 데 대한 오명신의 계 407

04_09_04〔23〕 병조가 이춘제를 부사과에 단부하였다 407

04_09_04〔24〕 승문원 관원이 자문(咨文)의 글자를 고친 내용을 보고하고 고쳐쓴 정본을 사신들이 도착하는 곳에 보낼 것을 청한 데 대한 오명신의 계 407

04_09_04〔25〕 재변(災變)이 잇달아 일어나고 있으므로 경계하고 진작해야 할 방도를 진달하는 김시형 등의 계 408

04_09_04〔26〕 무이소의 시관인 최진한(崔鎭漢)을 내일 패초하겠다는 오명신의 계 411

04_09_04〔27〕 병세로 인하여 여러 가지 일에 나아가지 못하여 일이 지체되고 있으므로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영의정 이광좌의 차자 411

5일(임자) 맑음 414

04_09_05〔01〕 상이 창덕궁에 있었고, 상참을 정지하고 주강만 행하였다 414

04_09_05〔02〕 정원 등이 대전 등에 문안하였다 414

04_09_05〔03〕 성상의 체후와 대왕대비전 등의 기후를 묻고, 왕세자 등에게 입진하여 증후를 살피고 복용할 약을 의논하겠다는 약방 제조 조문명(趙文命) 등의 계 414

04_09_05〔04〕 내일의 상참과 경연을 어떻게 할지 묻는 김시형(金始炯)의 계 415

04_09_05〔05〕 감찰이 다시를 한다는 김시형의 계 415

04_09_05〔06〕 비변사 낭청이 오늘 빈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시형의 계 416

04_09_05〔07〕 왕세자 등이 복용할 탕제는 정지하겠다는 약방의 두 번째 계 416

04_09_05〔08〕 의녀가 입진할 때 제조가 같이 입시하라는 전교 416

04_09_05〔09〕 입직한 내삼청 등의 중일 습사를 위해 표신을 내줄 것을 청하는 도총부의 계 416

04_09_05〔10〕 이수량(李遂良)이 금위영 중군으로서 중일 시방(中日試放)을 위해 세마장(洗馬場)에 낮근무하러 나간다는 도총부의 계 417

04_09_05〔11〕 대사헌 심공(沈珙)을 사간원에서 처치해야 하는데 인원이 없으므로 정고한 인원을 패초하여 처치하게 할 것을 청하는 김시형의 계 417

04_09_05〔12〕 사진하지 않은 우승지 김집(金潗) 등을 패초할 것을 청하는 이인복(李仁復)의 계 417

04_09_05〔13〕 의금부 도사가 오늘 국청의 좌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한 데 대한 김시형의 계 417

04_09_05〔14〕 병을 핑계로 전유하러 가지 않은 사변가주서 심성진(沈星鎭)을 엄하게 추고할 것을 청하는 김시형의 계 418

04_09_05〔15〕 무이소의 시관인 최진한(崔鎭漢)을 추고하라고 하였으나 시재(試才)의 좌기에 인원을 갖추어야 하므로 다시 패초할 것을 청하는 김시형의 계 418

04_09_05〔16〕 의금부에 잡아다 추고하는 사변가주서 심성진 대신에 김상익(金尙翼)을 사변가주서로 삼았다 419

04_09_05〔17〕 반직(伴直)할 인원이 없으므로 오늘 정사에서 새로 제수된 승지는 하비하는 대로 패초하여 직임을 살피게 할 것을 청하는 김시형의 계 419

04_09_05〔18〕 신병이 위중한 성균관 사성 윤취리(尹就履)을 개차할 것을 청하는 이조의 계 419

04_09_05〔19〕 대사간 조석명(趙錫命)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419

04_09_05〔20〕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계 및 관직 제수 내용 419

04_09_05〔21〕 시관 조현명(趙顯命)의 병세가 위중한 데다 고강(考講)을 해야 하므로 상의 뜻을 물어 변통하게 할 것을 청하는 무일소 시관의 계 421

04_09_05〔22〕 생기(省記)하고 무단히 입직을 거른 사역원 봉사 전만휴(田萬畦) 등을 파직할 것을 청하는 이조의 계 421

04_09_05〔23〕 좌승지 유수(柳綏) 등을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422

04_09_05〔24〕 교리 이현모(李顯謨) 등을 의금부에 내려 추고하라는 전지를 봉입하라는 전교 422

04_09_05〔25〕 물에 빠져 죽거나 깔려 죽은 사노(私奴) 이도선(李徒先) 등에게 휼전을 거행하게 하라는 전교 422

04_09_05〔26〕 상번에 인원이 부족하므로 말미를 받은 기한이 지난 부교리 윤광익(尹光益)을 패초할 것 등을 청하는 홍문관의 계 422

04_09_05〔27〕 이속(吏屬)인 문학관(文學官) 조태두(趙泰斗)의 후임으로 유학 이임좌(李霖佐)를 차하하여 군직에 붙일 것을 청하는 승문원 도제조의 계 423

04_09_05〔28〕 병세가 위중한 시관 조현명(趙顯命)을 변통해야 하므로 원래의 단자에 부표하여 들인다는 김시형의 계 423

04_09_05〔29〕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 구인후(具仁垕)의 본가에 충청도 덕산현(德山縣)의 가외의 관둔답(官屯畓)을 떼어 줄 것을 청하는 호조의 계 423

04_09_05〔30〕 우의정 오명항(吳命恒)이 녹봉을 받지 않으므로 대책을 묻는 호조의 계 424

04_09_05〔31〕 전 찰방 이격(李格)을 신문하여 처리하라고 계하하였으므로 나장을 보내 잡아올 것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424

04_09_05〔32〕 정배된 죄인 어유룡(魚有龍)을 풀어 주라고 계하하였으므로 본도에 분부하겠다는 의금부의 계 424

04_09_05〔33〕 전 보성 군수(寶城郡守) 양유성(梁有成)을 신문하여 처리하라고 하였으므로 잡아 가두겠다는 의금부의 계 425

04_09_05〔34〕 지방에서 올라온 응시자들이 오래 머무는 것이 염려되므로 유엽전(柳葉箭) 과녁을 4개로 늘려 설치하겠다는 무이소 시관의 계 425

04_09_05〔35〕 죄인 최정우(崔挺宇)에게 받은 공초를 보고하고, 조사할 만한 단서가 없으므로 국청으로 이송할 것을 청하는 어영청의 계 425

04_09_05〔36〕 격쟁한 보인(保人) 김이숭(金二崇) 등의 죄를 다스릴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426

04_09_05〔37〕 파직된 도청 낭청 서종옥(徐宗玉)을 차하하여 군직에 붙일 것을 청하는 실록청 총재관의 계 427

04_09_05〔38〕 대왕대비전 탄일(誕日)에 대한 왕세자의 진하(陳賀)를 규례대로 마련할지 묻는 예조의 계 427

04_09_05〔39〕 종묘의 동향 대제(冬享大祭) 때 왕세자가 지영(祗迎)하는 등의 일을 규례대로 거행하면 온당치 못할 듯하므로 대책을 묻는 예조의 계 427

04_09_05〔40〕 동향 대제 후의 진하와 음복을 권정례로 할지 묻는 예조의 계 428

04_09_05〔41〕 북한산성을 지킨 군교(軍校)들에게 호궤(犒饋)하고, 별시재를 할 날짜를 보고하고 주관 당상인 송인명(宋寅明)은 미리 북한산성에 간다는 비변사의 계 428

04_09_05〔42〕 동지사(冬至使)가 연경(燕京)에 갈 때 입파(入把)할 역마를 각각 9월 30일과 10월 5일에 서울과 안릉(安陵)에서 점고받도록 분부할 것을 청하는 병조의 계 428

04_09_05〔43〕 광주목(光州牧)에 유치(留置)한 쌀을 멋대로 사사로이 쓴 전 목사를 현고(現告)하고 신문할 것 등을 청하는 진휼청의 계 429

04_09_05〔44〕 궐문이 닫혔으므로 무일소 시관인 구봉창(具鳳昌)을 내일 패초하겠다는 김시형의 계 430

04_09_05〔45〕 궐문이 닫혔으므로 우부승지 이제(李濟)를 내일 패초하겠다는 김시형의 계 430

04_09_05〔46〕 병세가 위중하여 직임에 나아갈 수 없는 데다 금오의 주장(主將)과는 친혐 관계이므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예조판서 겸 판의금부사 이집(李㙫)의 상소 430

04_09_05〔47〕 함경도 안무사 윤헌주(尹憲柱)가 올린 상소의 곡절을 진달하고, 비난을 받은 데다 병세가 위중하므로 체차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호조 판서 권이진(權以鎭)의 상소 432

04_09_05〔48〕 위용(威容)을 삼가고, 말단의 일에 얽매이지 말 것 등을 진달하는 부제학 송성명(宋成明)의 상소 433

04_09_05〔49〕 자질이 부족한 데다 병세로 직임에 나아가지 못해 사송(詞訟)이 적체되고 있으므로 삭직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형조 판서 박사익(朴師益)의 상소 436

04_09_05〔50〕 패초를 따라 나아왔으나 병세가 위중하여 지레 돌아갔으므로 삭직하고 죄를 다스려 줄 것을 청하는 우승지 김집의 상소 438

04_09_05〔51〕 병세가 위중하므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동부승지 오명신(吳命新)의 상소 440

04_09_05〔52〕 선정전에서 주강을 행하는 자리에 특진관 이태좌(李台佐) 등이 입시하여《서경》을 진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을 고쳐 밝히는 문제, 광진(廣津)에 선창(船艙)을 설치하는 문제, 수원(水原)에 포장(鋪帳)을 조성하기 위한 목(木)을 변통하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440

판권기 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