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장애인 건강관리 사업, 2016 / 보건복지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2017
청구기호
362.4 -17-6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ii, 598 p. : 삽화, 도표 ; 30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8102288
제어번호
MONO1201727119
주기사항
"보이스아이" 바코드 수록
연구기관명: 국립재활원
주관연구책임자: 호승희
부록: 1. 지체장애인 지속적 건강관리 프로그램 설문지 ; 2.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설문지 ; 3.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 이용자 만족도 조사 설문지
참고문헌: p. 563-571
보건복지부 장애인정책국에서 지원한 「장애인 건강관리 사업」의 최종보고서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연구개요 26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6

1. 장애 인구의 증가 26

2. 체계적 장애인 건강관리의 필요성 증대 27

3. 정책 실현을 위한 과학적 장애인 건강관리 연구의 필요성 대두 29

제2장 1세부과제: 장애인 건강상태 평가와 모니터링 30

제1절 서론 30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30

2. 연구 목적 및 내용 32

제2절 이론적 고찰 34

1. 장애인 건강정책 34

2. 장애인 코호트 연구현황 52

제3절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분석체계 구축 71

1.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분석모형 구축 71

2.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분석방법 설계 79

제4절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운영계획 82

1.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로드맵 구축 82

2.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연구 성과활용 83

제5절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사업 수행 및 관리 85

1.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대상자 관리 85

2.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설문 및 임상검사 내용 수정 및 보완 86

3.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사업 수행 100

제6절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결과분석 108

1.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기술분석 109

2.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심층분석 137

제7절 결론 및 제언 174

1. 결론 174

2. 정책 제언 177

제3장 2세부과제 : 장애인 건강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 179

제1절 서론 179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79

2. 연구 목적 및 내용 187

제2절 장애인 건강통계 연구 현황 189

1. 장애인 건강검진 189

2. 장애인 의료이용 196

3. 장애인 사망 200

4. 외국의 장애인 건강보건 통계 현황 203

제3절 장애인 건강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 208

1. 국가단위 빅데이터 구득 208

2. 장애인 건강데이터베이스 구축 216

3. 장애인 건강통계 산출 218

제4절 장애인 건강검진 현황 227

1. 연구 자료 및 대상 227

2. 연구내용 및 방법 229

3.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 236

4. 장애인 건강행태 263

5. 장애인 만성질환 현황 343

제5절 장애인 질병양상 현황 368

1. 연구 자료 및 대상 368

2. 연구내용 및 방법 370

3. 장애인 다빈도질환 372

4. 장애인 동반질환 380

제6절 장애인 의료이용 현황 393

1. 연구 자료 및 대상 393

2. 연구내용 및 방법 394

3. 장애인 의료이용량 397

4. 장애인 진료비 410

제7절 장애인 사망 현황 421

1. 연구 자료 및 대상 421

2. 연구내용 및 방법 423

3. 장애인 조사망률 426

4. 장애인 사망원인 분포 437

5.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447

제8절 결론 및 제언 455

1. 결론 455

2. 제언 459

제4장 3세부과제 :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462

제1절 서론 462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462

2. 연구 목적 및 내용 463

제2절 청각장애인 특성 및 건강관리 동향 467

1. 청각장애인의 정의, 특성 및 분류 467

2. 청각장애인 건강관리 동향 469

제3절 청각장애인 건강관련 서비스 요구도 및 미충족 욕구 파악을 위한 조사 476

1. 유관기관 방문 조사 476

2. 설문 조사 479

제4절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491

1. 프로그램 개발 개요 491

2. 프로그램의 특성 및 구성 491

3. 운동교육 493

4. 행동수정교육 494

5. 영양교육 495

6. 건강정보교육 496

7. 스트레스 관리 교육 496

제5절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498

1. 운영 개요 498

2. 회차별 프로그램 운영 내용 501

제6절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평가 508

1. 평가 개요 508

2. 평가 결과 516

제7절 지적장애인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GUIDe) 사후모니터링 523

1. 사후모니터링 개요 523

2. 평가 결과 529

제8절 국내외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관련 웹사이트 조사 532

1. 국내 532

2. 국외 539

제9절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운영 및 평가 557

1.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운영 557

2.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 이용자 만족도 조사 565

제10절 결론 및 제언 575

1. 결론 575

2. 제언 580

제5장 결론 583

1. WHO의 건강 및 건강증진 정의에 근거한 건강종합정책 수행 583

2. 장애인 건강과 관련된 국가 차원의 계획수립과 이행평가 584

3. 장애인 건강 빅데이터 기반의 통계 및 지식정보 산출 585

4. 소비자 중심의 포괄적 평생건강관리서비스 제공체계 구축 585

5. 연구를 통한 근거기반의 과학적 장애인 건강정책 수립 기반 확보 586

참고문헌 588

[부록 1] 지체장애인 지속적 건강관리 프로그램 설문지 597

[부록 2]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설문지 610

[부록 3]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 이용자 만족도 조사 설문지 620

판권기 625

〈표 2-1〉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분야 및 중점과제 35

〈표 2-2〉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중점과제 26. 장애인건강'의 목표 및 지표 36

〈표 2-3〉 제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의 장애인 복지ㆍ건강 서비스 확대 주요내용 37

〈표 2-4〉 '장애인인권증진 중장기 계획 2013-2017' 중 장애인 건강권과 관련된 목표 및 내용 39

〈표 2-5〉 The Surgeon General's Call to Action to Improve the Health andWelln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내용 40

〈표 2-6〉 Healthy People 2020의 비전, 미션, 목표 41

〈표 2-7〉 Healthy People 2020 42

〈표 2-8〉 Healthy People 2020의 'Disability and Health' 세부내용 44

〈표 2-9〉 Roadmap 중점영역 44

〈표 2-10〉 아일랜드의 국가장애전략이행계획 2016-2019 내용 46

〈표 2-11〉 아일랜드 국가장애전략 이행계획의 핵심 주제 47

〈표 2-12〉 호주 '국가장애인정책 2010-2020'의 영역 및 주요내용 48

〈표 2-13〉 호주 '국가장애인정책 2010-2020' 중 '건강과 안녕' 영역의 정책 방향 49

〈표 2-14〉 일본 'Basic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3rd'의 영역별 추진방향 51

〈표 2-15〉 뇌졸중 재활 코호트 초기입원 조사항목 54

〈표 2-16〉 뇌졸중 재활 코호트 세부 추적조사 평가항목 55

〈표 2-17〉 지체장애의 주된 진단명 56

〈표 2-18〉 지체장애인 건강관리 프로그램 1차년도 기반조사 대상자 장애 주 진단명 57

〈표 2-19〉 지체장애인 관련 국외 코호트 연구 57

〈표 2-20〉 Spinal Cord Injury model System 초기 조사내용 59

〈표 2-21〉 Spinal Cord Injury model System 추적 조사내용 59

〈표 2-22〉 ICF를 기반으로 한 SwiSCI 조사내용 61

〈표 2-23〉 SwiSCI 세부 조사내용 62

〈표 2-24〉 OAI 코호트 연구 조사내용 63

〈표 2-25〉 OAI 코호트 연구 기간별 진행사항 63

〈표 2-26〉 Osteoarthritis Initiative 조사내용 66

〈표 2-27〉 The European Project on Osteoarthritis(EPOSA)의 코호트 조사내용 67

〈표 2-28〉 장애인 건강을 반영하는 평가척도 72

〈표 2-29〉 신체적 건강모형 가설 73

〈표 2-30〉 정신적 건강모형 가설 75

〈표 2-31〉 사회적 건강 가설 76

〈표 2-32〉 삶의 질 가설 77

〈표 2-33〉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성과지표 및 활용계획 84

〈표 2-34〉 국내외 장애인 환경요인에 대한 평가도구 및 내용 90

〈표 2-35〉 ADL, IADL 과 WHODASⅡ 측정항목 매핑 91

〈표 2-36〉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사회활동참여 설문영역(WHODASⅡ-사회활동참여) 92

〈표 2-37〉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설문영역(환경요인) 선정을 위한 참고문헌 매핑 92

〈표 2-38〉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설문영역(환경요인) 선정을 위한 비교 94

〈표 2-39〉 2016년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설문조사 측정항목 및 측정수준 94

〈표 2-40〉 2016년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임상검사 측정항목 및 측정수준 99

〈표 2-41〉 임상검사 장비 106

〈표 2-42〉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09

〈표 2-43〉 대상자의 장애특성 111

〈표 2-44〉 흡연 112

〈표 2-45〉 음주 113

〈표 2-46〉 운동 및 신체활동 115

〈표 2-47〉 식생활 116

〈표 2-48〉 손상 117

〈표 2-49〉 낙상 117

〈표 2-50〉 예방접종 및 건강검진 118

〈표 2-51〉 의료서비스 이용 119

〈표 2-52〉 의료관계자의 태도 및 서비스 만족 120

〈표 2-53〉 보건의료서비스 접근성 121

〈표 2-54〉 건강관련서비스 이용 122

〈표 2-55〉 장애인 건강수준을 향상을 위한 정부(사회) 강화 분야 123

〈표 2-56〉 환경요인 124

〈표 2-57〉 질병력 125

〈표 2-58〉 대상자 임상검사 결과 127

〈표 2-59〉 일상생활동작(ADL) 130

〈표 2-60〉 도구적 일상생활동작(IADL) 131

〈표 2-61〉 정신건강 132

〈표 2-62〉 사회활동ㆍ참여 (WHODASⅡ, 세계보건기구 장애평가도구) 134

〈표 2-63〉 현재 삶 만족도 및 주관적 건강상태 135

〈표 2-64〉 EQ-5D 및 EQ-VAS 136

〈표 2-65〉 고혈압 분류 기준 139

〈표 2-66〉 인구사회학적, 장애특성과 고혈압 139

〈표 2-67〉 건강행태, 보건의료서비스, 환경요인과 고혈압 140

〈표 2-68〉 장애인 건강, 삶의 질과 고혈압 141

〈표 2-69〉 임상검사 결과와 고혈압 142

〈표 2-70〉 고혈압 관련 요인 143

〈표 2-71〉 당뇨병 분류 기준 144

〈표 2-72〉 인구사회학적, 장애특성과 당뇨병 145

〈표 2-73〉 건강행태, 보건의료서비스, 환경요인과 당뇨병 146

〈표 2-74〉 장애인 건강, 삶의 질과 당뇨병 147

〈표 2-75〉 임상검사 결과와 당뇨병 148

〈표 2-76〉 당뇨병 관련 요인 149

〈표 2-77〉 비만 진단 기준 150

〈표 2-78〉 인구사회학적, 장애특성과 비만 151

〈표 2-79〉 건강행태, 보건의료서비스, 환경요인과 비만 151

〈표 2-80〉 장애인 건강, 삶의 질과 비만 152

〈표 2-81〉 임상검사 결과와 비만 153

〈표 2-82〉 비만 관련 요인 155

〈표 2-83〉 골다공증 진단 기준 155

〈표 2-84〉 인구사회학적, 장애특성과 골다공증 156

〈표 2-85〉 건강행태, 보건의료서비스, 환경요인과 골다공증 157

〈표 2-86〉 장애인 건강, 삶의 질과 골다공증 158

〈표 2-87〉 임상검사 결과와 골다공증 158

〈표 2-88〉 골다공증 관련 요인 160

〈표 2-89〉 인구사회학적, 장애특성과 일상생활동작 160

〈표 2-90〉 건강행태, 보건의료서비스, 환경요인과 일상생활동작 161

〈표 2-91〉 장애인 건강, 삶의 질과 일상생활동작 162

〈표 2-92〉 일상생활동작능력 관련 요인 163

〈표 2-93〉 인구사회학적, 장애특성과 우울 163

〈표 2-94〉 건강행태, 보건의료서비스, 환경요인과 우울 164

〈표 2-95〉 장애인 건강, 삶의 질과 우울 165

〈표 2-96〉 우울 관련 요인 166

〈표 2-97〉 인구사회학적, 장애특성과 사회활동ㆍ참여 167

〈표 2-98〉 건강행태, 보건의료서비스, 환경요인과 사회활동ㆍ참여 167

〈표 2-99〉 장애인 건강, 삶의 질과 사회활동ㆍ참여 168

〈표 2-100〉 사회활동ㆍ참여 관련 요인 169

〈표 2-101〉 인구사회학적, 장애특성과 삶의 질(EQ-5D) 170

〈표 2-102〉 건강행태, 보건의료서비스, 환경요인과 삶의 질(EQ-5D) 171

〈표 2-103〉 장애인 건강과 삶의 질(EQ-5D) 172

〈표 2-104〉 삶의 질(EQ-5D) 관련 요인 173

〈표 3-1〉 장애인 관련 국가승인통계 목록 180

〈표 3-2〉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 2020) 중 '중점과제 26. 장애인 건강'의 목표 및 지표 182

〈표 3-3〉 DHDS에서 제공하는 통계 항목 204

〈표 3-4〉 자료원별 국가단위 빅데이터 구득현황 208

〈표 3-5〉 장애인등록자료 구득 항목 209

〈표 3-6〉 연도별 등록장애인 데이터베이스 장애인 수 210

〈표 3-7〉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구성 및 구득 항목 요약 211

〈표 3-8〉 국민건강보험공단 장애인자료 구득 항목 212

〈표 3-9〉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검진 및 문진자료 구득 항목 213

〈표 3-10〉 국민건강보험공단 구강검진 검진 및 문진자료 구득 항목 213

〈표 3-11〉 국민건강보험공단 암검진 검진 및 문진자료 구득 항목 213

〈표 3-12〉 국민건강보험공단 자격자료 구득 항목 214

〈표 3-13〉 국민건강보험공단 요양기관자료 구득 항목 214

〈표 3-14〉 국민건강보험공단 급여자료 구득 항목 215

〈표 3-15〉 통계청 사망자료 구득 항목 215

〈표 3-16〉 장애인 건강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 연구 내용 및 산출 지표 218

〈표 3-17〉 장애인 건강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 연구에 이용하는 변수 219

〈표 3-18〉 장애유형 221

〈표 3-19〉 장애인 건강데이터베이스 연구대상자 수 223

〈표 3-20〉 장애인 건강 데이터베이스 연구 대상자 특성: 2014년 224

〈표 3-21〉 건강검진 대상자 정의: 2014년 기준 228

〈표 3-22〉 흡연관련 문진 문항 229

〈표 3-23〉 음주관련 문진 문항 230

〈표 3-24〉 신체활동관련 문진 문항 230

〈표 3-25〉 국민건강보험공단 문진 항목 및 산출 지표 230

〈표 3-26〉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 연구에 이용되는 용어 231

〈표 3-27〉 장애인 건강행태 산출 지표 정의 231

〈표 3-28〉 만성질환 유병률 산출 지표 정의 232

〈표 3-29〉 장애인 건강검진 현황 연구에 이용하는 변수 233

〈표 3-30〉 만성질환 유병률 산출방법 정의 234

〈표 3-31〉 만성질환 유병률 연구에서 가중치 산출 방법 235

〈표 3-32〉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추이: 2004-2014년 238

〈표 3-33〉 장애 특성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장애인 수검률 추이: 2004-2014년 239

〈표 3-34〉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014년 242

〈표 3-35〉 장애 특성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014년 246

〈표 3-36〉 장애 유형별 및 등급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014년 247

〈표 3-37〉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014년 254

〈표 3-38〉 장애 특성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014년 258

〈표 3-39〉 장애 유형별 및 등급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014년 259

〈표 3-40〉 장애인 흡연상태 추이: 2012-2014년 264

〈표 3-41〉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흡연상태: 2014년 267

〈표 3-42〉 장애 특성별 장애인 흡연상태: 2014년 273

〈표 3-43〉 장애인 하루 평균 흡연량 추이: 2012-2014년 276

〈표 3-44〉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현재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 2014년 281

〈표 3-45〉 장애 특성별 장애인 현재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 2014년 285

〈표 3-46〉 장애인 주간 음주율 추이: 2012-2014년 287

〈표 3-47〉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014년 292

〈표 3-48〉 장애 특성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014년 296

〈표 3-49〉 장애인 폭음률 추이: 2012-2014년 298

〈표 3-50〉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폭음률: 2014년 303

〈표 3-51〉 장애 특성별 장애인 폭음률: 2014년 307

〈표 3-52〉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추이: 2012-2014년 309

〈표 3-53〉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2014년 314

〈표 3-54〉 장애 특성별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 2014년 318

〈표 3-55〉 장애인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추이: 2012-2014년 320

〈표 3-56〉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2014년 325

〈표 3-57〉 장애 특성별 장애인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2014년 330

〈표 3-58〉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추이: 2012-2014년 332

〈표 3-59〉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2014년 337

〈표 3-60〉 장애 특성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342

〈표 3-61〉 장애인 비만 유병률 추이: 2004-2014년 344

〈표 3-62〉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비만 유병률: 2014년 346

〈표 3-63〉 장애 특성별 장애인 비만 유병률: 2014년 350

〈표 3-64〉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추이: 2012-2014년 352

〈표 3-65〉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2014년 354

〈표 3-66〉 장애 특성별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2014년 358

〈표 3-67〉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추이: 2012-2014년 360

〈표 3-68〉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2014년 362

〈표 3-69〉 장애 특성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2014년 367

〈표 3-70〉 장애인 질병양상 현황 연구대상 수 369

〈표 3-71〉 장애인 질병양상 현황 연구에 이용하는 용어 370

〈표 3-72〉 장애인 질병양상 현황 연구에 이용하는 변수 370

〈표 3-73〉 전체인구와 장애인의 다빈도질환 20순위 비교: 2014년 372

〈표 3-74〉 장애인의 다빈도질환 50순위: 2014년 373

〈표 3-75〉 외부 장애유형별 다빈도질환 20순위 비교: 2014년 374

〈표 3-76〉 내부 장애유형별 다빈도질환 20순위 비교: 2014년 376

〈표 3-77〉 정신 장애유형별 다빈도질환 20순위 비교: 2014년 378

〈표 3-78〉 장애인의 동반질환 50순위: 2014년 380

〈표 3-79〉 외부 장애유형별 동반질환 30순위: 2014년 383

〈표 3-80〉 내부 장애유형별 동반질환 30순위: 2014년 387

〈표 3-81〉 정신 장애유형별 동반질환 30순위: 2014년 391

〈표 3-82〉 장애인 의료이용 현황 연구대상자 수 393

〈표 3-83〉 장애인 의료이용 현황 연구에 이용하는 용어 394

〈표 3-84〉 장애인 의료이용 현황 연구에 이용하는 변수 395

〈표 3-85〉 장애인 의료이용량 및 진료비 산출 기준 396

〈표 3-86〉 요양기관별 장애인 의료이용 현황: 2002-2014년 399

〈표 3-87〉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의료이용 현황: 2014년 403

〈표 3-88〉 장애 특성별 장애인 의료이용 현황: 2014년 408

〈표 3-89〉 장애인 진료비 일반현황: 2014년 409

〈표 3-90〉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진료비 현황: 2014년 414

〈표 3-91〉 장애 특성별 장애인 진료비 현황: 2014년 418

〈표 3-92〉 장애인 진료비 일반현황: 2014년 420

〈표 3-93〉 장애인 사망 현황 연구대상자 수 422

〈표 3-94〉 장애인 사망 현황 연구에 이용하는 용어 423

〈표 3-95〉 장애인 사망 현황 연구에 이용하는 변수 424

〈표 3-96〉 지표 산출 기준 425

〈표 3-97〉 연도별 사망자 수 및 조사망률: 2002-2014년 427

〈표 3-98〉 장애인 조사망률 추이: 2002-2014년 428

〈표 3-99〉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조사망률: 2014년 432

〈표 3-100〉 장애 특성별 장애인 조사망률: 2014년 436

〈표 3-101〉 전체인구와 장애인의 사망원인 10순위 비교: 2014년 437

〈표 3-102〉 성별 장애인의 사망원인 10순위 비교: 2014년 438

〈표 3-103〉 연령별 장애인의 사망원인 10순위 비교: 2014년 439

〈표 3-104〉 외부 장애유형별 장애인의 사망원인 10순위 비교: 2014년 442

〈표 3-105〉 내부 장애유형별 장애인의 사망원인 10순위 비교: 2014년 444

〈표 3-106〉 정신 장애유형별 장애인의 사망원인 10순위 비교: 2014년 445

〈표 3-107〉 장애중증도별 장애인의 사망원인 10순위 비교: 2014년 446

〈표 3-108〉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추이: 2002-2014년 448

〈표 3-109〉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2014년 451

〈표 3-110〉 장애 특성별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2014년 454

〈표 4-1〉 전국 장애인 유형별 현황 467

〈표 4-2〉 장애등급별 청각장애인 수 468

〈표 4-3〉 연령별 청각장애인 수 468

〈표 4-4〉 청각장애 판정기준 469

〈표 4-5〉 국내 외 청각장애인 건강관리 프로그램 동향 469

〈표 4-6〉 국내 청각 및 청각/언어 장애인복지관 현황 472

〈표 4-7〉 국내 청각장애인 복지관별 스포츠 여가활동 프로그램 현황 473

〈표 4-8〉 국내 청각장애인 복지관별 스포츠 여가활동 프로그램 세부 내용 473

〈표 4-9〉 The Deaf Health Charity Signhealth의 건강관련 서비스 내용 475

〈표 4-10〉 Canadian Deaf Sprots Association의 건강관련 서비스 내용 475

〈표 4-11〉 청각 및 청각/언어로 등록된 장애인복지관 현황 477

〈표 4-12〉 청각 및 청각/언어로 등록된 장애인복지관 방문 조사항목 477

〈표 4-13〉 청각 및 청각/언어로 등록된 장애인복지관 방문 조사결과 478

〈표 4-14〉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요구도 조사 및 미충족 욕구 평가항목 480

〈표 4-15〉 청각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82

〈표 4-16〉 청각장애인의 장애 특성 483

〈표 4-17〉 청각장애인의 건강상태 특성 484

〈표 4-18〉 청각장애인의 건강행동 특성 486

〈표 4-19〉 최근 1년간 청각장애인의 건강관리프로그램 이용 경험 487

〈표 4-20〉 청각장애인의 건강관리 프로그램 필요 정도 488

〈표 4-21〉 청각장애인의 건강관리프로그램 요구도 489

〈표 4-22〉 청각장애인의 삶의 질 490

〈표 4-23〉 프로그램 10주 구성 492

〈표 4-24〉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운동교육 구성 및 내용 494

〈표 4-25〉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행동수정교육 내용 및 방법 495

〈표 4-26〉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영양교육 내용 및 방법 495

〈표 4-27〉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건강정보교육 내용 및 방법 496

〈표 4-28〉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스트레스 관리 교육 내용 및 방법 497

〈표 4-29〉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내용 500

〈표 4-30〉 1회차 프로그램 내용 및 장면 501

〈표 4-31〉 2회차 프로그램 내용 및 장면 502

〈표 4-32〉 3회차 프로그램 내용 및 장면 502

〈표 4-33〉 4회차 프로그램 내용 및 장면 503

〈표 4-34〉 5회차 프로그램 내용 및 장면 504

〈표 4-35〉 6회차 프로그램 내용 및 장면 504

〈표 4-36〉 7회차 프로그램 내용 및 장면 505

〈표 4-37〉 8회차 프로그램 내용 및 장면 506

〈표 4-38〉 9회차 프로그램 내용 및 장면 506

〈표 4-39〉 10회차 프로그램 내용 및 장면 507

〈표 4-40〉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평가항목 508

〈표 4-41〉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장애 특성의 측정 항목 및 측정 수준 509

〈표 4-42〉 신장 측정 장비 510

〈표 4-43〉 체중 체성분 측정항목 및 분석 장비 511

〈표 4-44〉 혈압 측정항목 및 측정장비 511

〈표 4-45〉 혈액검사 장비 512

〈표 4-46〉 폐기능 검사 장비 512

〈표 4-47〉 악력측정(Hand grip strength test) 장비 513

〈표 4-48〉 건강관련 삶의 질(EQ-5D) 측정항목 및 측정 수준 514

〈표 4-49〉 스트레스 평가 척도(BEPSI-K) 측정항목 및 측정 수준 514

〈표 4-50〉 만족도 평가의 측정항목 및 측정 수준 515

〈표 4-51〉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장애 특성 516

〈표 4-52〉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 전ㆍ후의 체성분 변화 518

〈표 4-53〉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 전ㆍ후의 혈압 변화 518

〈표 4-54〉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 전ㆍ후의 혈액 조성성분 변화 519

〈표 4-55〉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 전ㆍ후의 폐기능(PFTs) 변화 519

〈표 4-56〉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 전ㆍ후의 악력(Hand grip strength) 변화 520

〈표 4-57〉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 전ㆍ후의 앉았다 일어서기(Sit-to-stand test:30sec) 변화 520

〈표 4-58〉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 전ㆍ후의 눈뜨고 외발서기(One leg standing with eyes open:30sec) 변화 520

〈표 4-59〉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 전ㆍ후의 삶의 질(EQ-5D) 점수 변화 520

〈표 4-60〉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 전ㆍ후의 스트레스 평가 척도(BEPSI-K) 점수 변화 521

〈표 4-61〉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 후 만족도 평가 결과 522

〈표 4-62〉 지적장애인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 사후모니터링 항목 523

〈표 4-63〉 신장 및 체중 측정 장비 524

〈표 4-64〉 체성분 측정항목 및 분석 장비 525

〈표 4-65〉 혈압 측정항목 및 측정장비 525

〈표 4-66〉 혈액검사 장비 526

〈표 4-67〉 폐기능 검사 장비 526

〈표 4-68〉 악력 측정(Hand grip strength test) 장비 527

〈표 4-69〉 건강관련 삶의 질(EQ-5D) 측정항목 및 측정 수준 528

〈표 4-70〉 GUIDe 시행 전ㆍ후 사후모니터링의 체성분 변화 529

〈표 4-71〉 GUIDe 시행 전ㆍ후 사후모니터링의 혈압 변화 529

〈표 4-72〉 GUIDe 시행 전ㆍ후 사후모니터링의 혈액 조성성분 변화 530

〈표 4-73〉 GUIDe 시행 전ㆍ후 사후모니터링의 폐기능(PFTs) 변화 530

〈표 4-74〉 GUIDe 시행 전ㆍ후 사후모니터링의 6분 걷기(6-minute walk test) 변화 531

〈표 4-75〉 GUIDe 시행 전ㆍ후 사후모니터링의 악력(Hand grip strength) 변화 531

〈표 4-76〉 GUIDe 시행 전ㆍ후 사후모니터링의 앉았다 일어서기(Sit-to-stand test(30sec)) 변화 531

〈표 4-77〉 GUIDe 시행 전ㆍ후 사후모니터링의 삶의 질(EQ-5D) 점수 변화 531

〈표 4-78〉 건강iN 홈페이지 콘텐츠 및 내용 534

〈표 4-79〉 서울시 장애인 홈페이지 콘텐츠 및 내용 535

〈표 4-80〉 국가건강정보포털 홈페이지 콘텐츠 및 내용 537

〈표 4-81〉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 콘텐츠 및 내용 538

〈표 4-82〉 Disability and Health 홈페이지 콘텐츠 및 내용 540

〈표 4-83〉 사회적 장애물(WHO)과 사회에 포함되기 위한 전략 541

〈표 4-84〉 Healthy Living 영역의 콘텐츠와 내용 542

〈표 4-85〉 19개 주(State) 및 건강프로그램 안내 542

〈표 4-86〉 NACCHO 홈페이지 장애관련 콘텐츠와 내용 545

〈표 4-87〉 NCBDDD 홈페이지의 콘텐츠와 내용 546

〈표 4-88〉 Better Health Channel 홈페이지 콘텐츠 및 내용 548

〈표 4-89〉 Better Health Channel 홈페이지 장애관련 콘텐츠 및 내용 549

〈표 4-90〉 Healthdirect 홈페이지 일반 콘텐츠 및 내용 551

〈표 4-91〉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홈페이지 일반 콘텐츠 및 내용 553

〈표 4-92〉 Health Canada 홈페이지 일반 콘텐츠 및 내용 556

〈표 4-93〉 국립재활원 재활교육 동영상 목록 558

〈표 4-94〉 국립재활원 재활교육 자료실 블로그 유입분석 563

〈표 4-95〉 국립재활원 재활교육 동영상 월별 최대 증가 조회건수 564

〈표 4-96〉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콘텐츠 수정현황 564

〈표 4-97〉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 이용자 만족도 설문조사 홍보 및 실시방법 565

〈표 4-98〉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 이용자 만족도 조사 설문항목 567

〈표 4-99〉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 방문자 유형별 인구사회학적특성 569

〈표 4-100〉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 방문자 유형별 건강정보 이용실태 570

〈표 4-101〉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 방문자 유형별 주로 이용하는 정보 571

〈표 4-102〉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의 건강정보 품질 572

〈표 4-103〉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의 건강정보에 의한 행동변화 572

〈표 4-104〉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의 운영 및 이용의 적합성 573

〈표 4-105〉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 만족도 573

〈표 4-106〉 홈페이지 방문자 유형별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강정보 검색 및 인터넷 이용시간 574

[그림 1-1] 우리나라 장애인구 및 장애인 출현율 26

[그림 1-2]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인지율, 우울감 경험률 및 자살생각률 비교 27

[그림 2-1] '장애인 인권증진 중장기 계획 2013~2017' 비전 및 목표 38

[그림 2-2] Healthy People 2020 프레임워크 42

[그림 2-3] National Disability Strategy(NDS) Driving action 2015-2018 50

[그림 2-4] 뇌졸중 환자의 장기적 기능수준 관련 요인 10년간 추적 연구 로드맵 54

[그림 2-5] SwiSCI 전향적, 후향적 연구경로 개요 61

[그림 2-6]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연구 분석모형 72

[그림 2-7] 신체적 건강모형 73

[그림 2-8] 정신적 건강 모형 74

[그림 2-9] 사회적 건강 모형 75

[그림 2-10] 삶의 질 모형 76

[그림 2-11] ICF 구성요소 사이의 상호작용 78

[그림 2-12] ICF 기반의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모형 78

[그림 2-13]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장기로드맵 83

[그림 2-14] 지체장애인 건강증진을 위한 체중관리 프로그램 북 86

[그림 2-15]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2차년도) 진행순서도 100

[그림 2-16]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검사기관 고려사항 101

[그림 2-17] 지체장애인 지속적 건강관리 프로그램 홍보 102

[그림 2-18] 지체장애인 지속적 건강관리프로그램 진행과정 105

[그림 2-19] 지체장애인 건강코호트 연구 분석모형 108

[그림 2-20] 대상자의 성별 110

[그림 2-21] 대상자의 연령대 110

[그림 2-22] 대상자의 교육수준 110

[그림 2-23] 대상자의 결혼 110

[그림 2-24] 대상자의 장애등급 111

[그림 2-25] 대상자의 중복질환 여부 111

[그림 2-26] 대상자의 주 진단명 111

[그림 2-27] 대상자의 장애발생원인 111

[그림 2-28] 성별 대상자의 흡연상태 112

[그림 2-29]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흡연상태 112

[그림 2-30] 성별 대상자의 음주상태 114

[그림 2-31]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음주상태 114

[그림 2-32] 성별,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규칙적 운동실천 115

[그림 2-33] 성별 대상자의 건강식생활실천 116

[그림 2-34]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건강식생활실천 116

[그림 2-35] 성별,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손상경험 117

[그림 2-36] 성별,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낙상경험 117

[그림 2-37] 성별,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예방접종 경험율 119

[그림 2-38] 성별,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건강검진 경험율 119

[그림 2-39] 성별,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입원경험 유무 120

[그림 2-40] 성별,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외래이용 유무 120

[그림 2-41] 성별,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건강관련서비스 이용 122

[그림 2-42] 성별 대상자의 정부강화 요구분야 123

[그림 2-43]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정부강화 요구분야 123

[그림 2-44] 성별, 장애중증도별 환경요인 점수 124

[그림 2-45] 성별 대상자의 질병력(상위 5순위) 126

[그림 2-46]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질병력(상위 5순위) 126

[그림 2-47] 성별,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ADL 총점 132

[그림 2-48] 성별,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IADL 총점 132

[그림 2-49] 성별 대상자의 스트레스 인지 133

[그림 2-50]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스트레스 인지 133

[그림 2-51] 성별 대상자의 우울증 평가 133

[그림 2-52]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우울증 평가 133

[그림 2-53] 성별,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우울감 경험 133

[그림 2-54] 성별, 장애중증도별 사회활동참여 점수 134

[그림 2-55] 성별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 135

[그림 2-56]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 135

[그림 2-57] 성별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135

[그림 2-58]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135

[그림 2-59] 성별 대상자의 EQ-5D 점수 136

[그림 2-60] 장애중등도별 대상자의 삶의 질 점수(EQ-VAS) 136

[그림 2-61] 대상자 고혈압 비율 139

[그림 2-62] 대상자 당뇨병 비율 145

[그림 2-63] 대상자 비만 비율 150

[그림 2-64] 대상자 골다공증 비율 156

[그림 3-1] 장애인권리협약(CRPD) 제31조 통계와 자료 수집 179

[그림 3-2] '장애인 건강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 연구 과정 188

[그림 3-3] 연차별 연구 수행도 188

[그림 3-4] 미국의 장애인 건강보건 통계 사이트 화면 204

[그림 3-5] 미국의 장애인 건강보건 통계 Interactive map 예시화면 204

[그림 3-6] 영국의 장애인 관련 통계 제공 사이트 화면 205

[그림 3-7] 일본의 장애인 건강보건 통계 관련 사이트 화면 206

[그림 3-8] 캐나다 장애인 보건통계 관련 사이트 화면 207

[그림 3-9] 연도별 등록장애인 데이터베이스 장애인 수 210

[그림 3-10] 국가단위 빅데이터 구득을 통한 장애인 건강데이터베이스 구축 216

[그림 3-11] 장애인 건강데이터베이스 구성 216

[그림 3-12] 장애인 건강통계의 구성 217

[그림 3-13] 장애인 건강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 연구수행체계 222

[그림 3-14] 장애인 건강검진 현황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 227

[그림 3-15] 장애인과 전체인구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추이: 2002-2014 236

[그림 3-16] 성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추이: 2002-2014 237

[그림 3-17]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추이: 2002-2014 237

[그림 3-18] 성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40

[그림 3-19] 연령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40

[그림 3-20]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40

[그림 3-21] 성별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41

[그림 3-22] 거주지역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41

[그림 3-23] 성별 장애유형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44

[그림 3-24] 장애유형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44

[그림 3-25]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45

[그림 3-26] 성별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45

[그림 3-27] 장애등급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45

[그림 3-28] 장애기간별 장애인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245

[그림 3-29] 장애인과 전체인구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추이: 2007-2014 251

[그림 3-30] 성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52

[그림 3-31] 성별 연령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52

[그림 3-32] 성별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52

[그림 3-33]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53

[그림 3-34] 성별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53

[그림 3-35] 거주지역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53

[그림 3-36] 성별 장애유형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55

[그림 3-37] 장애유형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55

[그림 3-38] 성별 장애유형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56

[그림 3-39]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56

[그림 3-40] 장애등급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56

[그림 3-41] 장애기간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57

[그림 3-42] 성별 장애기간별 장애인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수검률 257

[그림 3-43] 장애인과 전체인구 현재흡연율 추이: 2012-2014 263

[그림 3-44] 장애인 흡연상태 추이: 2012-2014 263

[그림 3-45] 남성 장애인 현재 흡연상태 추이: 2012-2014 264

[그림 3-46] 여성 장애인 현재 흡연상태 추이: 2012-2014 264

[그림 3-47] 성별 장애인 흡연상태 265

[그림 3-48] 성별 연령별 장애인 흡연상태 265

[그림 3-49]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흡연상태 266

[그림 3-50]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흡연상태 266

[그림 3-51] 거주지역별 장애인 흡연상태 266

[그림 3-52] 장애유형별 장애인 흡연상태 271

[그림 3-53] 장애유형별 장애인 흡연상태 271

[그림 3-54] 성별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흡연상태 272

[그림 3-55] 장애등급별 장애인 흡연상태 272

[그림 3-56] 장애기간별 장애인 흡연상태 272

[그림 3-57] 장애인과 전체인구 하루 평균 흡연량 추이: 2012-2014 275

[그림 3-58] 성별 장애인 하루 평균 흡연량 추이: 2012-2014 275

[그림 3-59] 성별 장애인 현재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 279

[그림 3-60] 성별 연령별 장애인 현재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 279

[그림 3-61] 성별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현재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 279

[그림 3-62]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현재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 280

[그림 3-63] 성별 거주지역별 장애인 현재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 280

[그림 3-64] 성별 장애유형별 장애인 현재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 283

[그림 3-65] 장애유형별 장애인 현재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 283

[그림 3-66] 성별 장애중증도별 하루 평균 흡연량 284

[그림 3-67] 성별 장애등급별 장애인 현재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 284

[그림 3-68] 장애기간별 장애인 현재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 284

[그림 3-69] 장애인과 전체인구 주간 음주율 추이: 2012-2014 286

[그림 3-70] 성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추이: 2012-2014 286

[그림 3-71] 성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90

[그림 3-72] 성별 연령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90

[그림 3-73]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90

[그림 3-74] 성별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90

[그림 3-75] 거주지역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91

[그림 3-76] 장애유형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94

[그림 3-77] 성별 장애유형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94

[그림 3-78] 장애유형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94

[그림 3-79]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95

[그림 3-80] 성별 장애등급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95

[그림 3-81] 장애기간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95

[그림 3-82] 성별 장애기간별 장애인 주간 음주율 295

[그림 3-83] 장애인과 전체인구 폭음률 추이: 2012-2014 297

[그림 3-84] 성별 장애인 폭음률 추이: 2012-2014 297

[그림 3-85] 성별 장애인 폭음률 301

[그림 3-86] 성별 연령별 장애인 폭음률 301

[그림 3-87] 성별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폭음률 301

[그림 3-88] 성별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폭음률 301

[그림 3-89] 성별 거주지역별 장애인 폭음률 302

[그림 3-90] 장애유형별 장애인 폭음률 305

[그림 3-91] 장애유형별 장애인 폭음률 305

[그림 3-92]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폭음률 306

[그림 3-93] 성별 장애등급별 장애인 폭음률 306

[그림 3-94] 장애기간별 장애인 폭음률 306

[그림 3-95] 장애인과 전체인구 고위험 음주율 추이: 2012-2014 308

[그림 3-96] 성별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추이: 2012-2014 308

[그림 3-97] 성별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312

[그림 3-98] 성별 연령별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312

[그림 3-99]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312

[그림 3-100] 성별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313

[그림 3-101] 거주지역별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313

[그림 3-102] 장애유형별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316

[그림 3-103] 장애유형별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316

[그림 3-104]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317

[그림 3-105] 성별 장애등급별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317

[그림 3-106] 장애기간별 장애인 고위험 음주율 317

[그림 3-107] 장애인과 전체인구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추이: 2012-2014 319

[그림 3-108] 성별 장애인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추이: 2012-2014 319

[그림 3-109] 성별 장애인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323

[그림 3-110] 성별 연령별 장애인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323

[그림 3-111]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323

[그림 3-112]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격렬한 실체활동 실천율 323

[그림 3-113] 성별 거주지역별 장애인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324

[그림 3-114] 장애유형별 장애인 신체활동 실천율 327

[그림 3-115] 장애유형별 장애인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327

[그림 3-116] 성별 장애유형별 장애인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328

[그림 3-117]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신체활동 실천율 328

[그림 3-118] 장애등급별 장애인 신체활동 실천율 328

[그림 3-119] 성별 장애기간별 장애인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329

[그림 3-120] 장애인과 전체인구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추이: 2012-2014 331

[그림 3-121] 성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추이: 2012-2014 331

[그림 3-122] 성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335

[그림 3-123] 성별 연령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335

[그림 3-124] 성별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335

[그림 3-125]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336

[그림 3-126] 거주지역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336

[그림 3-127] 장애유형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339

[그림 3-128] 장애유형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339

[그림 3-129] 성별 장애유형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340

[그림 3-130]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340

[그림 3-131] 성별 장애등급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340

[그림 3-132] 장애기간별 장애인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율 341

[그림 3-133] 장애인과 전체인구 비만 유병률 추이: 2009-2014 343

[그림 3-134] 성별 장애인 비만 유병율 추이(20세 이상): 2002-2014 343

[그림 3-135] 성별 장애인 비만 유병률 344

[그림 3-136] 성별 연령별 장애인 비만 유병률 344

[그림 3-137] 성별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비만 유병률 345

[그림 3-138] 성별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비만 유병률 345

[그림 3-139] 거주지역별 장애인 비만 유병률 345

[그림 3-140] 성별 장애유형별 장애인 비만 유병률 348

[그림 3-141] 장애유형별 장애인 비만 유병률 348

[그림 3-142] 성별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비만 유병률 349

[그림 3-143] 성별 장애등급별 장애인 비만 유병률 349

[그림 3-144] 장애기간별 장애인 비만 유병률 349

[그림 3-145] 장애인과 전체인구 고혈압 유병률 추이(30세 이상): 2009-2014 351

[그림 3-146] 성별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추이(20세 이상): 2009-2014 351

[그림 3-147] 성별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352

[그림 3-148] 성별 연령별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352

[그림 3-149]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353

[그림 3-150] 성별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353

[그림 3-151] 거주지역별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353

[그림 3-152] 장애유형별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356

[그림 3-153] 장애유형별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356

[그림 3-154] 성별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357

[그림 3-155] 성별 장애등급별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357

[그림 3-156] 장애기간별 장애인 고혈압 유병률 357

[그림 3-157] 장애인과 전체인구 당뇨병 유병률 추이(30세 이상): 2009-2014 359

[그림 3-158] 성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추이(20세 이상): 2009-2014 359

[그림 3-159] 성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360

[그림 3-160] 연령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360

[그림 3-161]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361

[그림 3-162] 성별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361

[그림 3-163] 성별 거주지역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361

[그림 3-164] 장애유형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364

[그림 3-165] 장애유형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364

[그림 3-166] 성별 장애유형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365

[그림 3-167] 성별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365

[그림 3-168] 성별 장애등급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365

[그림 3-169] 장애기간별 장애인 당뇨병 유병률 366

[그림 3-170] 장애인 질병양상 현황 연구대상자 선정 기준 368

[그림 3-171] 장애인의 의료기관 내원 1회당 진료비 추이: 2002-2014 397

[그림 3-172] 장애인의 의료기관 1인당 연평균 내원일수 추이: 2002-2014 397

[그림 3-173] 장애인 1인당 약국 방문일에 따른 진료비 추이: 2002-2014 398

[그림 3-174]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약국 방문일수 추이: 2002-2014 398

[그림 3-175] 성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의료이용 현황 400

[그림 3-176] 연령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내원일수 400

[그림 3-177]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내원일수 401

[그림 3-178]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의료이용 현황 401

[그림 3-179] 거주지역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의료이용 현황 402

[그림 3-180] 장애유형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의료이용 현황 405

[그림 3-181] 장애유형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의료이용 현황 406

[그림 3-182] 장애등급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의료이용 현황 406

[그림 3-183] 장애기간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의료이용 현황 407

[그림 3-184] 의료보장 유형별 1인당 연평균 내원일수 비교 409

[그림 3-185] 장애인 진료비 추이: 2002-2014 410

[그림 3-186]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추이: 2002-2014 410

[그림 3-187] 성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추이: 2002-2014 411

[그림 3-188]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추이: 2002-2014 411

[그림 3-189] 성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412

[그림 3-190] 연령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412

[그림 3-191] 의료보장 유형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412

[그림 3-192] 건강보험료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412

[그림 3-193] 거주지역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413

[그림 3-194] 장애유형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416

[그림 3-195] 장애유형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416

[그림 3-196]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417

[그림 3-197] 장애등급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417

[그림 3-198] 장애기간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417

[그림 3-199] 의료보장 유형별 1인당 연평균 진료비 비교 419

[그림 3-200] 의료보장 유형별 내원 1회당 진료비 비교 419

[그림 3-201] 장애인 사망 현황 연구대상자 선정 기준 421

[그림 3-202] 장애인과 전체인구 조사망률 추이: 2002-2014 426

[그림 3-203] 성별 장애인 조사망률 추이: 2002-2014 426

[그림 3-204] 장애유형별 장애인 조사망률 추이: 2002-2014 427

[그림 3-205] 성별 장애인 조사망률 431

[그림 3-206] 연령별 장애인 조사망률 431

[그림 3-207] 거주지역별 장애인 조사망률 431

[그림 3-208] 장애유형별 장애인 조사망률 434

[그림 3-209] 장애유형별 장애인 조사망률 434

[그림 3-210] 성별 장애인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조사망률 435

[그림 3-211] 장애등급별 장애인 조사망률 435

[그림 3-212] 장애기간별 장애인 조사망률 435

[그림 3-213]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추이: 2002-2014 447

[그림 3-214] 성별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추이: 2002-2014 447

[그림 3-215] 장애유형별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추이: 2002-2014 447

[그림 3-216] 성별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450

[그림 3-217] 성별 거주지역별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450

[그림 3-218] 장애유형별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452

[그림 3-219] 장애유형별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452

[그림 3-220] 장애중증도별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453

[그림 3-221] 장애등급별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453

[그림 3-222] 성별 장애기간별 장애인 평균사망연령 453

[그림 4-1] 청각장애인 유관기관 조사항목 선정 과정 476

[그림 4-2] 요구도 조사항목 선정 과정 480

[그림 4-3]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구성요소 491

[그림 4-4] 운동교육 세부구성 493

[그림 4-5]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절차 498

[그림 4-6] 청각장애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장면 500

[그림 4-7] 건강iN 정보 제공 화면 533

[그림 4-8] 주니어 건강웹툰 '눈' 관련 정보제공화면 533

[그림 4-9] 서울시 장애인 홈페이지 정보 제공 메인화면 536

[그림 4-10] 국가건강정보포털 정보 제공 화면 537

[그림 4-11]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정보 제공 화면 539

[그림 4-12]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 541

[그림 4-13] Disability and Health 홈페이지 메인화면 543

[그림 4-14] American Association on Health and Disability 홈페이지 메인화면 544

[그림 4-15] 장애인과 의사소통하는 방법 5단계 제시 자료화면 545

[그림 4-16] NCBDDD 홈페이지의 메인 화면 546

[그림 4-17] Better Health Channel 홈페이지 메인화면 550

[그림 4-18] Healthdirect 홈페이지 서비스찾기(Service finder) 검색화면 551

[그림 4-19] Healthdirect 홈페이지 메인화면 552

[그림 4-20]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장애관련 콘텐츠 'Stroke' 설명페이지 553

[그림 4-21]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홈페이지 메인화면 554

[그림 4-22] 캐나다정부 홈페이지의 '건강' 영역 페이지 555

[그림 4-23] 장애와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흐름도 557

[그림 4-24]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티 및 정보공유 활동률 559

[그림 4-25] 국립재활원 입원생활안내 재활교육 동영상 대본 제시화면 560

[그림 4-26] 국립재활원 치료기구에 대한 재활교육 동영상 대본ㆍ자막 및 수화 제시화면 561

[그림 4-27] 「국립재활원 재활교육 자료실」 월별 조회수(페이지뷰) 및 순방문자수 562

[그림 4-28] 지체장애인 지속적 건강관리 프로그램 홍보 및 안내를 위한 게시물 562

[그림 4-29] 국립재활원 홈페이지의 메인화면 팝업존 게시 566

[그림 4-30] 장애인 건강 및 재활정보센터 홈페이지 이용자 만족도 조사 팝업존 홍보 이미지 56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93108 362.4 -17-6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93109 362.4 -17-6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