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제3차 국어 발전기본계획 개요 5

01. 기본계획 수립의 근거 7

02. 기본계획의 목적 7

03. 기본계획의 수립 범위 7

04. 기본계획의 성격 8

05. 기본계획수립 절차 및 시행 체계 8

Ⅱ. 제2차 기본계획(2012~2016)의 성과 9

01. 국민의 국어 능력 향상 분야 11

1. 국민의 바르고 편리한 언어 사용 환경 조성 11

2. 국어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강화 12

3. 청소년 언어문화 개선 13

02. 공생공영의 국어문화 확산 분야 15

1. 언어적 소외계층의 언어 환경 개선 15

2. 남북 언어 통합 기반 구축 16

3. 한민족 언어 소통 강화 17

03. 공공언어 개선 분야 18

1. 공공언어의 대국민 소통성 제고 18

2. 전문용어 정비 및 표준화 19

3. 언어 사용 문화 개선 20

04. 한국어 보급 분야 21

1. 세종학당 확대 운영 21

2. 한국어교육 콘텐츠 개발 및 보급 23

3. 한국어교원의 현장 역량 강화 24

05. 우리말 문화유산 보전 분야 25

1. 한글문화 확산을 위한 기반 구축 25

2. 언어 정보 자원 통합 관리 26

3. 지역 언어문화 보존 및 활성화 27

Ⅲ. 국어정책 환경 분석 및 대응 전략 29

01. 국어정책 환경 분석 31

02. 추진 방향 33

03. 대응 전략 34

Ⅳ. 목표 및 추진 전략 35

Ⅴ. 주요 추진 과제 39

01. 수요자 중심의 언어정책 기반 조성 41

1. 어문규범 현실화 41

2. 국어사전의 개방적 운영 및 활성화 43

3. 언어 정보 자원 구축 및 활용 45

4. 국어 기본어휘 선정 및 어휘 등급화 47

02. 바르고 편리한 언어 환경 지원 49

1. 공공언어 개선 활성화 49

2. 바른 언어문화 기반 조성 52

3. 국민의 국어 능력 향상 지원 54

4. 지역 언어문화 기반 국어문화원 활성화 55

03. 국민 언어 통합을 위한 사회ㆍ문화적 환경 구축 57

1. 남북 언어 통합 기반 구축 57

2. 특수 언어 환경 개선 및 보급 확대 59

3. 언어 취약 계층 지원 61

4. 사회ㆍ지역 방언 정보의 구축과 활용 63

04. 한국어 확산과 교육 기반 강화 64

1. 국외 한국어 보급 대표 기관으로 세종학당 육성 64

2. 한국어교육 체계화 및 기반 강화 67

3. 한국어교원 자격 제도 운영 및 교원 연계망 구축 69

4. 한국어교원 연수 과정 운영 71

05. 한글문화 진흥 및 향유 확대 72

1. 다양한 한글문화 자원의 수집 및 전시 72

2. 한글문화 연구ㆍ교육 및 산업화 기반 구축 73

3. 한글날 기념 및 한글문화 관련 포상 74

4.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건립 75

Ⅵ. 과제별 소관 부처 77

1. 수요자 중심의 언어정책 기반 조성 79

2. 바르고 편리한 언어 환경 지원 79

3. 국민 언어 통합을 위한 사회ㆍ문화적 환경 구축 80

4. 한국어 확산과 교육 기반 강화 80

5. 한글문화 진흥 및 향유 확대 81

참고자료 82

판권기 93

이용현황보기

(온 국민이 누리고 전 세계가 함께하는 국어를 위한) 제3차 국어 발전 기본계획 : 2017∼2021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83206 411 -17-1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3207 411 -17-1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