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영동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1-2(1-2)] / 국토교통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국토교통부 ; 대전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6
청구기호
628.114 -17-3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책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28952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참고문헌 수록
내용: [1]. 보고서 -- [2(1)]. 부록 : 조사편 -- [2(2)]. 부록 : 자료편
CD-ROM으로도 이용가능
부록/보유자료:영동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전자자료]  바로보기
부록/보유자료:영동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지하수지도 [지도자료] [1-6]  바로보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영동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는

영동지역 지하수기초조사 보고서(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9

1.1. 조사 배경 및 목적 20

1.2. 조사 기간 및 내용 21

1.3. 조사 지역 위치 22

1.3.1. 지리적 위치 22

1.3.2.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 23

제2장 수문지질 환경 24

2.1. 하천 및 유역 25

2.1.1. 하천 현황 25

2.1.2. 유역 현황 26

2.1.3. 소유역 현황 27

2.2. 기상 30

2.2.1. 기상 현황 30

2.3. 지형 34

2.3.1. 지형 특성 34

2.3.2. 지형 고도 분석 35

2.3.3. 지형 경사 분석 36

2.3.4. 경사 방향 분석 37

2.4. 지질 39

2.4.1. 지표지질 39

2.4.2. 지질구조 46

2.4.3. 선형구조 47

2.4.4. 유역별 지질 특성 50

2.5. 토지피복 54

2.5.1. 토양 특성 54

2.5.2. 토지 피복 55

2.5.3. 식생분포 57

제3장 지하수 개발과 이용 58

3.1.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및 특성 59

3.1.1.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59

3.1.2. 지하수 개발·이용 특성 60

3.1.3. 연도별 개발·이용 특성 64

3.2. 용수 이용 현황 66

제4장 지하수 부존 및 산출특성 68

4.1. 수문지질단위 및 지하수 산출 특성 69

4.1.1. 수문지질단위 설정 69

4.1.2. 유역별 수문지질단위 분포 71

4.1.3. 지하수 산출 특성 72

4.2. 지하수 수위 89

4.2.1. 지하수 수위 관측망 구성 및 관측 89

4.2.2. 지하수 심도 분포 특성 96

4.2.3. 지하수 수위 변동 특성 113

4.3. 지하수 유동체계 146

4.3.1. 지하수 수위 분포 146

4.3.2. 지하수 수리경사 및 유동방향 148

4.3.3. 지하수 함양·중간·배출체계 150

4.4. 지하수 함양량 및 개발가능량 152

4.4.1. 기저유출 분석 152

4.4.2. 물수지 분석 156

4.4.3. 지하수위변동법(H-WTF) 162

4.4.4. 지하수 개발 가능량 평가 166

제5장 지하수 수질 및 오염취약성 170

5.1. 일반 수질 171

5.1.1. 간이 수질 171

5.1.2. 용존 이온 175

5.1.3. 수질 유형 178

5.2. 지하수 수질 오염 특성 183

5.2.1. 토지 이용과 지하수 수질 183

5.2.2. 농업용 지하수 분류 186

5.2.3. 지하수 오염 특성 188

5.3. 잠재오염원 현황 210

5.4. 미생물 생태 분석 213

5.5.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 216

5.5.1. DRASTIC 216

5.5.2. M-DRASTIC 225

5.5.3. DRASTICL 229

제6장 지하수 개발 및 보전 233

6.1. 지하수 개발 유망 지역 234

6.1.1. 공극성 대수층 234

6.1.2. 단열성 대수층 236

6.2. 지하수 보전 필요 지역 238

6.2.1. 지하수 보호 238

6.2.2. 지하수 개발 제한 238

제7장 지하수 지도 240

7.1. 공통 수록 항목 241

7.2. 지하수지도 242

7.3. 주제도 244

제8장 결론 246

참고 문헌 255

용어 설명 260

참여연구원 업무내용 265

서지사항 266

판권기 267

〈표 1-1〉 영동군 위치 현황 22

〈표 1-2〉 영동군 행정구역 현황 23

〈표 2-1〉 영동군 표준유역과 해당 수계 및 행정구역 29

〈표 2-2〉 월평년 및 연평년 기상 현황(추풍령기상대, 1981-2010) 30

〈표 2-3〉 일평년 평균 기온(추풍령기상대, 1981-2010) 31

〈표 2-4〉 일평년 평균 습도(추풍령기상대, 1981-2010) 31

〈표 2-5〉 일평년 강수량(추풍령기상대, 1981-2010) 32

〈표 2-6〉 최근 10년간 월 강수량(추풍령기상관측소, 2006-2015) 33

〈표 2-7〉 지형고도별 면적분포 현황 35

〈표 2-8〉 지형경사별 면적분포 현황 36

〈표 2-9〉 지형경사방향별 면적분포 현황 37

〈표 2-10〉 영동지역 지질계통표 39

〈표 2-11〉 선형구조의 방향별 개수, 총 길이 및 평균 길이 49

〈표 2-12〉 유역별 지질분포 현황 51

〈표 2-13〉 영동지역 NRCS 토양군 분류 54

〈표 2-14〉 유역별 수문학적 토양군 분포 현황 55

〈표 2-15〉 유역별 토양피복 분포 현황 56

〈표 2-16〉 임상분류 기준 57

〈표 3-1〉 영동군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59

〈표 3-2〉 세부용도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60

〈표 3-3〉 행정구역 및 유역별 지하수 개발·이용 특성 61

〈표 3-4〉 단위면적당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62

〈표 3-5〉 정호 심도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62

〈표 3-6〉 정호 구경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63

〈표 3-7〉 토출관 직경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63

〈표 3-8〉 연도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64

〈표 3-9〉 영동군의 용수 이용 현황 66

〈표 3-10〉 영동군 상수도 시설 현황(시설용량 및 수원 형태) 66

〈표 3-11〉 영동군 상수도 급수 현황 67

〈표 4-1〉 영동지역의 수문지질단위 분류 69

〈표 4-2〉 유역별 수문지질단위 분포 현황 71

〈표 4-3〉 암반지하수 간이 양수시험 결과 73

〈표 4-4〉 충적층/풍화대지하수 간이 양수시험 결과 75

〈표 4-5〉 영동지역 수리시험 대상공 위치 및 제원과 수리시험 종류 76

〈표 4-6〉 영동지역 장기양수시험 분석결과 요약 76

〈표 4-7〉 영동지역 단계양수시험으로 추정한 지속가능 개발가능량 78

〈표 4-8〉 유역별 충적층/풍화대지하수 산출성 83

〈표 4-9〉 수문지질단위별 암반지하수 산출성 86

〈표 4-10〉 유역별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 현황 90

〈표 4-11〉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의 시기별 측정 개수 90

〈표 4-12〉 지하수 수위 자동 관측망 구성 현황 91

〈표 4-13〉 국가 지하수 관측망 현황 91

〈표 4-14〉 국가 지하수 관측망 관측정의 주요 제원 및 관측 개시일 91

〈표 4-15〉 영동군 보조 지하수 관측망 위치 92

〈표 4-16〉 신규 지하수 수위 관측정 위치 92

〈표 4-17〉 신규 자동 수위 관측망 제원 및 관측 개시일 93

〈표 4-18〉 지하수 수위 기본 관측망 위치 94

〈표 4-19〉 지하수 수위 기본 관측망 제원 및 관측 개시일 95

〈표 4-20〉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암반지하수)의 측정시기별 지하수 심도 분포 96

〈표 4-21〉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암반지하수)의 지하수 심도 통계분석 결과 98

〈표 4-42〉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측정시기별 지하수 심도 분포 102

〈표 4-23〉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지하수 심도 통계 분석 결과 104

〈표 4-24〉 국가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 통계분석 결과 114

〈표 4-25〉 보조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 통계분석 결과 116

〈표 4-26〉 신규 자동 수위 관측정 지하수 심도 통계분석 결과 123

〈표 4-27〉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통계분석 결과 133

〈표 4-28〉 유역별 평수위기 지하수 수위 통계분석 결과 147

〈표 4-29〉 유역별 평수위기 지하수 수리경사 통계분석 결과 148

〈표 4-30〉 유역별 지하수 함양·중간·배출지역 분포 현황 151

〈표 4-31〉 심천 유량관측소 기저유출 분석 결과 154

〈표 4-32〉 기저유출 분석(심천 유량관측소)에 따른 지하수함양량 산정결과 155

〈표 4-33〉 유역별 티센면적비와 면적강우량(30년 평균) 157

〈표 4-34〉 유역별 티센계수에 따른 증발산량(30년 평균) 157

〈표 4-35〉 지하수 물수지 분석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NRCS-CN 모델 158

〈표 4-36〉 건기/우기별 기상자료 분석 결과(15년 평균) 160

〈표 4-37〉 지하수 물수지 분석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WetSpass 모델 160

〈표 4-8〉 지하수위 관측지점별 함양률 및 유효충전공극률 164

〈표 4-39〉 hybrid-WTF 모델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및 함양률 166

〈표 4-40〉 10년에 1회 발생빈도를 갖는 가뭄시 지하수 함양량 168

〈표 4-41〉 영동지역 유역별 지하수 개발가능량 168

〈표 4-42〉 영동지역 행정구역별 지하수 개발가능량 169

〈표 5-1〉 암반지하수 간이수질 측정 결과 172

〈표 5-2〉 충적층/풍화대지하수 간이수질 측정 결과 174

〈표 5-3〉 암반지하수 화학분석 결과 176

〈표 5-4〉 충적층/풍화대지하수 화학분석 결과 177

〈표 5-5〉 암반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수질유형 현황 180

〈표 5-6〉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수질유형 현황 180

〈표 5-7〉 암반 및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경도 SAR 분석 결과 187

〈표 5-8〉 암반 및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경도 통계 분석 결과 188

〈표 5-9〉 암반 및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경도 수준 현황 188

〈표 5-10〉 Cl의 수질기준 초과 현황 191

〈표 5-11〉 NO₃의 용도별 수질기준 초과 현황 194

〈표 5-12〉 불소(F)의 먹는물 수질기준 초과 현황 197

〈표 5-13〉 라돈(R1)의 EPA 제안 기준 초과 현황 200

〈표 5-14〉 수질검사 분석 항목 204

〈표 5-15〉 먹는물 수질기준 부적합 및 항목별 초과 현황 205

〈표 5-16〉 영동군 잠재오염원 현황 211

〈표 5-17〉 영동군 잠재오염원 현장조사 결과 212

〈표 5-18〉 DRASTIC 모델의 평가 방법 217

〈표 5-19〉 지하수 심도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18

〈표 5-20〉 지하수 함양량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19

〈표 5-21〉 대수층 매질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19

〈표 5-22〉 토양 매질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20

〈표 5-23〉 지형경사율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21

〈표 5-24〉 비포화대 매질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21

〈표 5-25〉 수리전도도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222

〈표 5-26〉 유역별 지하수 오염취약성 지수 분포 현황 224

〈표 5-27〉 M-DRASTIC 요소별 범위 및 질산염 이온 평균농도와 수정된 등급 227

〈표 5-28〉 DRASTICL 요소별 범위 및 등급과 수정된 등급 230

〈표 6-1〉 지하수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률 239

〈표 7-1〉 단열성 대수층의 대수성 평가 방법 243

〈그림 1-1〉 조사지역 위치도 22

〈그림 2-1〉 영동군 표준유역과 해당 수계 및 행정구역 28

〈그림 2-2〉 영동지역 음영기복도 35

〈그림 2-3〉 영동지역 지형고도 분포 36

〈그림 2-4〉 영동지역 지형경사 분포 37

〈그림 2-5〉 영동지역 경사방향 분포 38

〈그림 2-6〉 영동지역 지질분포 현황 40

〈그림 2-7〉 영동지역 선형 구조 분포 48

〈그림 2-8〉 영동지역의 선형구조 및 길이 밀도 분포도 49

〈그림 2-9〉 영동지역 수문학적 토양군 분포 현황 55

〈그림 2-10〉 영동지역 토양피복 분포 현황 56

〈그림 2-11〉 영동지역 임상분포도 57

〈그림 3-1〉 지하수 시설 및 이용량의 연도별 변화 추세 65

〈그림 4-1〉 영동지역 수문지질단위 분포 70

〈그림 4-2〉 간이 양수시험 현황 72

〈그림 4-3〉 대수성 시험정 KYDE-2 장기양수시험 중 수위변화 및 분석 결과 77

〈그림 4-4〉 시험시추공 KYDM-1(b) 장기양수시험 중 수위변화 및 분석 결과 77

〈그림 4-5〉 시험시추공 KYDM-2(b) 양수 중 수위변화 자료 및 분석 결과 78

〈그림 4-6〉 대수성 시험정 KYDE-2 단계양수시험 수위변화 및 분석 결과 79

〈그림 4-7〉 대수성 시험정 KYDE-2 단계양수시험 분석 결과 79

〈그림 4-8〉 시험시추공 KYDM-1(a) 단계양수시험 수위변화 곡선 및 분석 결과 80

〈그림 4-9〉 시험시추공 KYDM-1(a) 단계양수시험 분석 결과 80

〈그림 4-10〉 시험시추공 KYDM-1(b) 단계양수시험에 따른 수위변화 81

〈그림 4-11〉 시험시추공 KYDM-1(b) 단계양수시험 분석 결과 81

〈그림 4-12〉 시험시추공 KYDM-2(b) 단계양수시험 중 수위변화 및 분석 결과 82

〈그림 4-13〉 시험시추공 KYDM-2(b) 단계양수시험 분석 결과 82

〈그림 4-14〉 충적층/풍화대지하수 산출성 분포도 84

〈그림 4-15〉 암반지하수 산출성 분포도 87

〈그림 4-16〉 지하수 수위 관측망 현황 89

〈그림 4-17〉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암반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100

〈그림 4-18〉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암반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101

〈그림 4-19〉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충적층/풍화대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106

〈그림 4-20〉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충적층/풍화대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107

〈그림 4-21〉 암반지하수 심도 분포도 109

〈그림 4-22〉 충적층/풍화대지하수 심도 분포도 111

〈그림 4-23〉 강우관측 티센(tkissen)망 구축 현황 113

〈그림 4-24〉 국가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 변동 그래프 115

〈그림 4-25〉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01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17

〈그림 4-26〉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02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17

〈그림 4-27〉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07의 지하수 섬도 변동 그래프 118

〈그림 4-28〉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08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18

〈그림 4-29〉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16의 지하수 섬도 변동 그래프 119

〈그림 4-30〉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18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19

〈그림 4-31〉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20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0

〈그림 4-32〉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21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0

〈그림 4-33〉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23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1

〈그림 4-34〉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25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1

〈그림 4-35〉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27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2

〈그림 4-36〉 시험 시추공 KYDM-1(b, a)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4

〈그림 4-37〉 시험 시추공 KYDM-2(b, a)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4

〈그림 4-38〉 간이관측공 KYDW-14, 15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5

〈그림 4-39〉 간이관측공 KYDW-01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6

〈그림 4-40〉 간이관측공 KYDW-02, 03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7

〈그림 4-41〉 간이관측공 KYDW-04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7

〈그림 4-42〉 간이관측공 KYDW-05, 06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8

〈그림 4-43〉 간이관측공 KYDW-07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9

〈그림 4-44〉 간이관측공 KYDW-08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29

〈그림 4-45〉 간이관측공 KYDW-09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30

〈그림 4-46〉 간이관측공 KYDW-10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31

〈그림 4-47〉 간이관측공 KYDW-11, 12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32

〈그림 4-48〉 간이관측공 KYDW-13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132

〈그럼 4-49〉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호탄수위표, 암반) 134

〈그림 4-50〉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호탄수위표, 충적층/풍화대) 135

〈그림 4-51〉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초강합류점, 충적층/풍화대) 136

〈그림 4-52〉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영동천, 암반) 137

〈그림 4-53〉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영동천, 충적층/풍화대) 138

〈그림 4-54〉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초강상류, 암반) 139

〈그림 4-55〉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초강상류, 충적층/풍화대) 142

〈그림 4-56〉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석천, 충적층/풍화대) 142

〈그림 4-57〉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초강하류, 암반) 143

〈그림 4-58〉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초강하류, 충적층/풍화대) 145

〈그림 4-59〉 영동지역 평수위기 지하수 수위 분포도 147

〈그림 4-60〉 영동지역 평수위기 지하수 수리경사 분포 149

〈그림 4-61〉 영동지역 평수위기 지하수 유동방향 150

〈그림 4-62〉 영동지역 지하수 함양·중간·배출지역 분포 현황 151

〈그림 4-63〉 USGS PART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저유출 분리 153

〈그림 4-64〉 기저유출 분석(심천 유량관측소)에 따른 강수량 및 지하수 함양률 155

〈그림 4-65〉 NRCS-CN 중첩에 의한 셀별 CN 산정 158

〈그림 4-66〉 WetSpass의 물수지 계산 흐름도 159

〈그림 4-67〉 WetSpass-지표유출량 분포 현황 161

〈그림 4-68〉 WetSpass-증발산량 분포 현황 161

〈그림 4-69〉 Wetspass-함양량 분포 현황 162

〈그림 4-70〉 hybrid-WTF 분석 시 적용한 지하수 수위 관측지점별 강우관측소 163

〈그림 5-1〉 지하수 수질 관측망 현황 171

〈그림 5-2〉 암반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간이수질 변화 172

〈그림 5-3〉 지하수 수질 관측망 시기별 EC 분포-암반지하수 173

〈그림 5-4〉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간이수질 변화 174

〈그림 5-5〉 지하수 수질 관측망 시기별 EC 분포-충적층/풍화대지하수 175

〈그림 5-6〉 지하수의 pH와 EC 상관관계도 178

〈그림 5-7〉 지하수의 Piper diagram 179

〈그림 5-8〉 암반지하수의 수질유형 분포 현황 181

〈그림 5-9〉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수질유형 분포 현황 182

〈그림 5-10〉 암반지 하수의 토지이용별 Piper diagram 184

〈그림 5-11〉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토지이용별 Piper diagram 185

〈그림 5-12〉 암반지하수의 농업용수 분류 186

〈그림 5-13〉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농업용수 분류 187

〈그림 5-14〉 암반지하수의 경도[Hardness] 분포 현황 189

〈그림 5-15〉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경도[Hardness] 분포 현황 190

〈그림 5-16〉 암반지하수의 Cl 농도 분포 현황 192

〈그림 5-17〉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Cl 농도 분포 현황 193

〈그림 5-18〉 암반지하수의 NO₃ 농도 분포 현황 195

〈그림 5-19〉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NO₃ 농도 분포 현황 196

〈그림 5-20〉 암반지하수의 불소(F) 농도 분포 현황 198

〈그림 5-21〉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불소(F) 농도 분포 현황 199

〈그림 5-22〉 지하수의 간이수질과 라돈(Rn) 농도와의 상관관계도(1차) 201

〈그림 5-23〉 지하수의 간이수질과 라돈(Rn) 농도와의 상관관계도(3차) 201

〈그림 5-24〉 암반지 하수의 라돈(Rn) 농도 분포 현황 202

〈그림 5-25〉 충적충/풍화대지하수의 라돈(Rn) 농도 분포 현황 203

〈그림 5-26〉 수질기준 초과 항목 분포 현황 208

〈그림 5-27〉 먹는물 수질기준 초과지점 분포 현황 209

〈그림 5-28〉 미생물 분석시료 채취 위치 현황 213

〈그림 5-29〉 미생물 군집 구조 215

〈그림 5-30〉 DRASTIC 요소별 오염취약성지수 분포도 222

〈그림 5-31〉 영동지역의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도(DRASTIC) 224

〈그림 5-32〉 영동지역의 등급을 수정한 M-DRASTIC 오염취약성 평가도 228

〈그림 5-33〉 DRASTICL 등급 수정 요소별 오염취약성지수 분포도 231

〈그림 5-34〉 DRASTICL 모델을 이용한 영동지역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도 232

〈그림 6-1〉 영동지역 충적층/풍화대지하수 이용신고시설 분포 현황 234

〈그림 6-2〉 공극성 대수층 개발 유망지역 선정 235

〈그림 6-3〉 영동지역 암반지하수 이용신고시설 분포 현황 236

〈그림 6-4〉 단열성 대수층 개발 유망지역 선정 237

〈그림 7-1〉 영동지역의 수문지질단위 242

〈그림 7-2〉 대수층 분류도 243

〈그림 7-3〉 Stiff diagram 244

표제지

영동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는

목차

제1장 서론 287

1.1. 조사 배경 및 목적 288

1.2. 조사 기간 및 내용 289

1.3. 조사 지역 위치 290

1.3.1. 지리적 위치 290

1.3.2.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 291

제2장 수문지질 환경 292

2.1. 하천 및 유역 293

2.1.1. 하천 현황 293

2.1.2. 유역 현황 294

2.1.3. 소유역 현황 295

2.2. 기상 298

2.2.1. 기상 현황 298

2.3. 지형 306

2.3.1. 지형 개요 306

2.3.2. 지형 특성 307

2.3.3. 지형 고도 분석 308

2.3.4. 지형 경사 분석 309

2.3.5. 경사 방향 분석 310

2.4. 지질 312

2.4.1. 지표지질 312

2.4.2. 지질구조 321

2.4.3. 선형구조 322

2.4.4. 유역별 지질 특성 326

2.5. 토지 피복 330

2.5.1. 토양 특성 330

2.5.2. 토지 피복 335

2.5.3. 식생분포 336

제3장 지하수 개발과 이용 338

3.1.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및 특성 339

3.1.1.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39

3.1.2. 지하수 개발·이용 특성 340

3.1.3. 연도별 개발·이용 특성 344

3.2. 용수 이용 현황 346

제4장 세부 수리지질 조사 348

4.1. 조사개요 349

4.2. 지하수 관측조사 350

4.2.1. 지하수 수위 조사 351

4.2.2. 지하수 수질 조사 360

4.3. 지표수 관측조사 363

4.3.1. 집수구역 및 시험유역 설정 363

4.3.2. 집수구역 유량 364

4.3.3. 시험유역 수위 370

4.3.4. 유량측정 지점 현장수질 372

4.4. 전기비저항 탐사 380

4.4.1. 탐사 방법 380

4.4.2. 탐사 결과 382

4.5. 시추 및 착정 조사 400

4.5.1. 개요 400

4.5.2. 코아 분석 402

4.5.3. 물리검층 408

4.6. 대수성 시험 422

4.6.1. 간이 양수시험 422

4.6.2. 장기 양수시험 431

4.6.3. 단계 양수시험 438

제5장 지하수 부존 및 산출 특성 445

5.1. 수문지질단위 및 지하수 산출 특성 446

5.1.1. 수문지질단위 설정 446

5.1.2. 유역별 수문지질단위 분포 449

5.1.3. 수문지질단위별 지하수 산출 특성 452

5.2. 지하수 수위 460

5.2.1. 지하수 심도 분포 특성 461

5.2.2. 지하수 수위 변동 특성 477

5.2.3. 강수와 지하수 수위 상관분석 510

5.3. 지하수 유동체계 549

5.3.1. 지하수 수위 분포 549

5.3.2. 지하수 수리경사 및 유동방향 551

5.3.3. 지하수 함양·중간·배출체계 554

5.4. 지하수 함양량 및 개발가능량 557

5.4.1. 기저유출 분석 557

5.4.2. 물수지 분석 562

5.4.3. 지하수위 변동법(hybrid-WTF) 580

5.4.4. 지하수 개발 가능량 평가 595

제6장 지하수 수질 및 오염취약성 598

6.1. 일반 수질 599

6.1.1. 간이 수질 599

6.1.2. 용존 이온 603

6.1.3. 수질유형 606

6.2. 지하수 수질 오염 특성 611

6.2.1. 토지이용과 지하수 수질 611

6.2.2. 농업용 지하수 분류 614

6.2.3. 지하수 오염 특성 616

6.3. 잠재오염원 현황 638

6.4. 미생물 생태 분석 641

6.4.1. 시험지역 설정 641

6.4.2. 시료 채취 및 분석 방법 642

6.4.3. 미생물 군집구조 분석 643

6.5.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 646

6.5.1. DRASTIC 646

6.5.2. M-DRASTIC 656

6.5.3. DRASTICL 660

제7장 지하수 개발 및 보전 664

7.1. 지하수 개발 유망 지역 665

7.1.1. 공극성 대수층 665

7.1.2. 단열성 대수층 667

7.2. 지하수 보전 필요 지역 669

7.2.1. 지하수 보호 669

7.2.2. 지하수 개발 제한 669

참고 문헌 672

서지사항 676

판권기 677

〈표 1-1〉 영동군 위치 현황 290

〈표 1-2〉 영동군 행정구역 현황 291

〈표 2-1〉 영동군 표준유역과 해당 수계 및 행정구역 297

〈표 2-2〉 월평년 및 연평년 기상 현황(추풍령기상대, 1981-2010) 299

〈표 2-3〉 일평년 평균 기온(추풍령기상대, 1981-2010) 302

〈표 2-4〉 일평년 평균 습도(추풍령기상대, 1981-2010) 303

〈표 2-5〉 일평년 강수량(추풍령기상대, 1981-2010) 304

〈표 2-6〉 최근 10년간 월 강수량(추풍령기상관측소, 2006-2015) 305

〈표 2-7〉 경사도에 따른 지형 분류 307

〈표 2-8〉 지형고도별 면적분포 현황 309

〈표 2-9〉 지형경사별 면적분포 현황 309

〈표 2-10〉 지형경사방향별 면적분포 현황 310

〈표 2-11〉 영동지역 지질계통표 312

〈표 2-12〉 선형구조의 방향별 개수, 총 길이 및 평균 길이 324

〈표 2-13〉 유역별 지질분포 현황 326

〈표 2-14〉 NRCS 토양군 분류기준 331

〈표 2-15〉 영동지역 NRCS 토양군 분류 333

〈표 2-16〉 유역별 수문학적 토양군 분포 현황 334

〈표 2-17〉 유역별 토양피복 분포 현황 336

〈표 2-18〉 임상분류 기준 336

〈표 3-1〉 영동군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39

〈표 3-2〉 세부용도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40

〈표 3-3〉 행정구역 및 유역별 지하수 개발·이용 특성 341

〈표 3-4〉 단위면적당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42

〈표 3-5〉 정호 심도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42

〈표 3-6〉 정호 구경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43

〈표 3-7〉 토출관 직경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43

〈표 3-8〉 연도별 지하수 개발·이용 현황 344

〈표 3-9〉 영동군의 용수 이용 현황 346

〈표 3-10〉 영동군 상수도 시설 현황(시설용량 및 수원 형태) 346

〈표 3-11〉 영동군 상수도 급수 현황 347

〈표 4-1〉 세부수리지질 조사 내역 349

〈표 4-2〉 유역별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 현황 353

〈표 4-3〉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의 시기별 측정 개수 353

〈표 4-4〉 지하수 수위 자동 관측망 구성 현황 354

〈표 4-5〉 국가 지하수 관측망 현황 355

〈표 4-6〉 국가 지하수 관측망 관측정의 주요 제원 및 관측 개시일 355

〈표 4-7〉 영동군 보조 지하수 관측망 위치 355

〈표 4-8〉 신규 지하수 수위 관측정 위치 356

〈표 4-9〉 신규 자동 수위 관측망 제원 및 관측 개시일 357

〈표 4-10〉 지하수 수위 기본 관측망 위치 358

〈표 4-11〉 지하수 수위 기본 관측망 제원 및 관측 개시일 359

〈표 4-12〉 유역별 지하수 수질 관측망 현황 361

〈표 4-13〉 지하수 수질 조사 현황 362

〈표 4-14〉 시험유역 설정 및 유량/수위 측정 현황 363

〈표 4-15〉 시험유역별 유량 측정 결과 367

〈표 4-16〉 유량측정 지점의 수질측정 결과 374

〈표 4-17〉 영동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요약 383

〈표 4-18〉 시험 시추공 위치 및 제원 401

〈표 4-19〉 대수성 시험정 위치 및 제원 401

〈표 4-20〉 간이 관측공 위치 및 제원 402

〈표 4-21〉 시험 시추공 및 간이 관측정, 대수성 시험공 설치 결과 403

〈표 4-22〉 물리검층 시추공 위치 및 제원 412

〈표 4-23〉 암반지 하수 간이 양수시험정 위치 및 제원 423

〈표 4-24〉 충적층/풍화대지하수 간이 양수시험정 위치 및 제원 425

〈표 4-25〉 암반지하수 간이 양수시험 결과 429

〈표 4-26〉 충적층/풍화대지하수 간이 양수시험 결과 431

〈표 4-27〉 영동지역 수리시험 위치 및 제원과 수리시험 종류 432

〈표 4-28〉 영동지역 장기양수시험 분석결과 요약 432

〈표 4-29〉 영동지역 단계양수시험으로 추정한 지속가능 개발가능량 439

〈표 5-1〉 영동지역의 수문지질단위 분류 447

〈표 5-2〉 유역별 수문지질단위 분포 현황 450

〈표 5-3〉 유역별 충적층/풍화대지하수 산출성 453

〈표 5-4〉 수문지질단위별 암반지하수 산출성 456

〈표 5-5〉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암반지하수)의 측정시기별 지하수 심도 분포 461

〈표 5-6〉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암반지하수)의 지하수 심도 통계분석 결과 463

〈표 5-7〉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측정시기별 지하수 심도 분포 467

〈표 5-8〉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지하수 심도 통계분석 결과 468

〈표 5-9〉 국가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 통계분석 결과 478

〈표 5-10〉 보조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 통계분석 결과 480

〈표 5-11〉 신규 자동 수위 관측정 지하수 섬도 통계분석 결과 487

〈표 5-12〉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통계분석 결과 497

〈표 5-13〉 지하수 수위의 자기상관분석 결과 512

〈표 5-14〉 지하수 수위 및 지하수 심도의 자기상관분석 결과 535

〈표 5-15〉 유역별 평수위기 지하수 수위 통계분석 결과 550

〈표 5-16〉 유역별 평수위기 지하수 수리경사 통계분석 결과 552

〈표 5-17〉 지하수 함양·중간·배출지역의 일반적인 구분 및 특징 555

〈표 5-18〉 유역별 지하수 함양·중간·배출지역 분포 현황 556

〈표 5-19〉 심천 유량관측소 기저유출 분석 결과 560

〈표 5-20〉 기저유출 분석(심천 유량관측소)에 따른 지하수함양량 산정결과 561

〈표 5-21〉 기상관측소 제원 562

〈표 5-22〉 유역별 티센면적비와 면적강우량(30년 평균) 564

〈표 5-23〉 유역별 티센계수에 따른 증발산량(30년 평균) 566

〈표 5-24〉 선행토양함수조건에 따른 고려사항 569

〈표 5-25〉 우리나라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 기준(AMC-Ⅱ 조건) 571

〈표 5-26〉 토지이용과 수문학적 토양형에 따른 적용 유출곡선지수 572

〈표 5-27〉 지하수 물수지 분석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NRCS-CN 모델 573

〈표 5-28〉 기상관측소 제원 576

〈표 5-29〉 건기/우기별 기상자료 분석 결과(15년 평균) 577

〈표 5-30〉 지하수 물수지 분석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WetSpass 모델 578

〈표 5-31〉 지하수위 관측지점별 함양률 및 유효충전공극률 586

〈표 5-32〉 hybrid-WTF 분석지점별 토양군, 토지피복 및 수문지질단위 특성 591

〈표 5-33〉 수문학적 토양군, 토지피복 및 수문지질단위 특성에 따른 함양계수 593

〈표 5-34〉 hybrid-WTF를 이용한 유역별 지하수 함양률 594

〈표 5-35〉 hybrid-WTF 모델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및 함양률 594

〈표 5-36〉 10년에 1회 발생빈도를 갖는 가뭄시 지하수 함양량 596

〈표 5-37〉 영동지역 유역별 지하수 개발가능량 597

〈표 5-38〉 영동지역 행정구역별 지하수 개발가능량 597

〈표 6-1〉 암반지하수 간이수질 측정 결과 599

〈표 6-2〉 충적층/풍화대지하수 간이수질 측정 결과 602

〈표 6-3〉 암반지하수 화학분석 결과 604

〈표 6-4〉 충적층/풍화대지하수 화학분석 결과 605

〈표 6-5〉 암반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수질유형 현황 608

〈표 6-6〉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수질유형 현황 609

〈표 6-7〉 암반 및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경도 SAR 분석 결과 615

〈표 6-8〉 암반 및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경도 통계 분석 결과 616

〈표 6-9〉 암반 및 충적충/풍화대지하수의 경도 수준 현황 616

〈표 6-10〉 Cl의 수질기준 초과 현황 619

〈표 6-11〉 NO₃의 용도별 수질기준 초과 현황 622

〈표 6-12〉 불소(F)의 먹는물 수질기준 초과 현황 625

〈표 6-13〉 라돈(Rn)의 EPA 제안 기준 초과 현황 628

〈표 6-14〉 수질검사 분석 항목 632

〈표 6-15〉 먹는물 수질기준 부적합 및 항목별 초과 현황 633

〈표 6-16〉 영동군 잠재오염원 현황 639

〈표 6-17〉 영동군 잠재오염원 현장조사 결과 640

〈표 6-18〉 DRASTIC 모델의 평가 방법 648

〈표 6-19〉 지하수 심도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49

〈표 6-20〉 지하수 함양량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50

〈표 6-21〉 대수층 매질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50

〈표 6-22〉 토양 매질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51

〈표 6-23〉 지형경사율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52

〈표 6-24〉 비포화대 매질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52

〈표 6-25〉 수리전도도 범위별 등급, 가중치, 오염지수 및 분포 면적비 653

〈표 6-26〉 유역별 지하수 오염취약성 지수 분포 현황 655

〈표 6-27〉 M-DRASTIC 요소별 범위 및 질산염 이온 평균농도와 수정된 등급 658

〈표 6-28〉 DRASTICL 요소별 범위 및 등급과 수정된 등급 661

〈표 7-1〉 지하수 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률 670

〈그림 1-1〉 조사지역 위치도 290

〈그림 2-1〉 영동군 표준유역과 해당 수계 및 행정구역 296

〈그림 2-2〉 영동지역 음영기복도 308

〈그림 2-3〉 영동지역 지형고도 분포 309

〈그림 2-4〉 영동지역 지형경사 분포 310

〈그림 2-5〉 영동지역 경사방향 분포 311

〈그림 2-6〉 영동지역 지질분포 현황 313

〈그림 2-7〉 영동지역 선형 구조 분포 323

〈그림 2-8〉 선형구조의 방향별 개수, 총 길이 및 평균 길이 그래프 324

〈그림 2-9〉 영동지역의 선형구조 및 길이 밀도 분포도 325

〈그림 2-10〉 영동지역 수문학적 토양군 분포 현황 334

〈그림 2-11〉 영동지역 토양피복 분포 현황 335

〈그림 2-12〉 영동지역 임상분포도 337

〈그림 3-1〉 지하수 시설 및 이용량의 연도별 변화 추세 345

〈그림 4-1〉 지하수 수위/수질 기본 관측망 351

〈그림 4-2〉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 현황 352

〈그림 4-3〉 지하수 수위 자동 관측망 현황 354

〈그림 4-4〉 지하수 수질 관측망 현황 361

〈그림 4-5〉 시험유역 및 유량/수질 측정 위치도 364

〈그림 4-6〉 각 하천별 월별 유량 변화 369

〈그림 4-7〉 영동지역 자동관측 수위 변화 370

〈그림 4-8〉 시험유역 하천 수위 변동 그래프 371

〈그림 4-9〉 하천 유량과 현장수질의 시기별 변화 377

〈그림 4-10〉 탐사에 적용된 쌍극자배열법의 전극배열 381

〈그림 4-11〉 겉보기 비저항 가단면도 작성법 381

〈그림 4-12〉 영동지역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 현황 382

〈그림 4-13〉 심천면 약목리 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385

〈그림 4-14〉 심천면 약목리 Line-1의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385

〈그림 4-15〉 심천면 초강리 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386

〈그림 4-16〉 심천면 초강리 Line-2의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386

〈그림 4-17〉 심천면 단전리 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387

〈그림 4-18〉 심천면 단전리 Line-3의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388

〈그림 4-19〉 양산면 봉곡리 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389

〈그림 4-20〉 양산면 봉독리 Line-4의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389

〈그림 4-21〉 양산면 송호리 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390

〈그림 4-22〉 양산면 송호리 지역의 탐사 측선 Line-5의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390

〈그림 4-23〉 양산면 송호리 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391

〈그림 4-24〉 양산면 송호리 Line-6의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391

〈그림 4-25〉 학산면 아암리 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392

〈그림 4-26〉 학산면 아암리 Line-7의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392

〈그림 4-27〉 양강면 가동리 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393

〈그림 4-28〉 양강면 가동리 Line-8의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394

〈그림 4-29〉 상촌면 하도대리 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394

〈그림 4-30〉 상촌면 하도대리 Line-9의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395

〈그림 4-31〉 매곡면 유전리 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396

〈그림 4-32〉 매곡면 유전리 Line-10의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396

〈그림 4-33〉 매곡면 공수리 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397

〈그림 4-34〉 매곡면 공수리 Line-11의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397

〈그림 4-35〉 매곡면 장척리 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398

〈그림 4-36〉 매곡면 장척리 Line-12의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398

〈그림 4-37〉 황간면 용암리 지역 전기비저항 탐사 위치도 399

〈그림 4-38〉 황간면 용암리 Line-13의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399

〈그림 4-39〉 시험 시추공, 대수성 시험공 및 간이관측공의 위치 현황 400

〈그림 4-40〉 자연감마선의 범위 409

〈그림 4-41〉 시추공 KYDM-1(b)의 물리검층 결과 414

〈그림 4-42〉 시추공 KYDM-2(b) 물리검층 결과 416

〈그림 4-43〉 대수성 시험정 KYDE-1 이미지검층 결과 417

〈그림 4-44〉 대수성 시험정 KYDE-1 물리검층 결과 418

〈그림 4-45〉 대수성 시험정 KYDE-2 이미지검층 결과 419

〈그림 4-46〉 대수성 시험정 KYDE-2 물리검충 결과 421

〈그림 4-47〉 간이 양수시험 현황 422

〈그림 4-48〉 대수성 시험정 KYDE-2 장기양수시험 중 수위변화 및 분석 결과 433

〈그림 4-49〉 대수성 시험정 KYDE-2 양수 중 현장수질 특성 변화 434

〈그림 4-50〉 시험시추공 KYDM-1(b) 장기양수시험 중 수위변화 및 분석 결과 435

〈그림 4-51〉 시험시추공 KYDM-1(b) 양수 중 현장수질 특성 변화 435

〈그림 4-52〉 시험시추공 KYDM-2(b) 양수 중 수위변화 자료 및 분석 결과 436

〈그림 4-53〉 시험시추공 KYDM-2(b) 양수 중 현장수질 특성 변화 437

〈그림 4-54〉 대수성 시험정 KYDE-2 단계양수시험 수위변화 및 분석 결과 440

〈그림 4-55〉 대수성 시험정 KYDE-2 단계양수시험 분석 결과 441

〈그림 4-56〉 시험시추공 KYDM-1(a) 단계양수시험 수위변화 곡선 및 분석 결과 442

〈그림 4-57〉 시험시추공 KYDM-1(a) 단계양수시험 분석 결과 442

〈그림 4-58〉 시험시추공 KYDM-1(b) 단계 양수시험에 따른 수위 변화 443

〈그림 4-59〉 시험시추공 KYDM-1(b) 단계양수시험 분석 결과 443

〈그림 4-60〉 시험시추공 KYDM-2(b) 단계양수시험 중 수위변화 및 분석 결과 444

〈그림 4-61〉 시험시추공 KYDM-2(b) 단계양수시험 분석 결과 444

〈그림 5-1〉 영동지역 수문지질단위 분포 449

〈그림 5-2〉 충적층/풍화대지하수 산출성 분포도 454

〈그림 5-3〉 수문지질단위별 암반지하수 산출성 Box-Plot 457

〈그림 5-4〉 암반지하수 산출성 분포도 458

〈그림 5-5〉 지하수 수위특성 관측지점 위치도 460

〈그림 5-6〉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암반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465

〈그림 5-7〉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암반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466

〈그림 5-8〉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충적층/풍화대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470

〈그림 5-9〉 장주기 지하수 수위 관측망(충적층/풍화대지하수) 지하수 심도 분포... 471

〈그림 5-10〉 암반지하수 심도 분포도 473

〈그림 5-11〉 충적층/풍화대지하수 심도 분포도 475

〈그림 5-12〉 강우관측 티센(tkissen)망 구축 현황 477

〈그림 5-13〉 국가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 변동 그래프 479

〈그림 5-14〉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01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1

〈그림 5-15〉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02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1

〈그림 5-16〉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07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2

〈그림 5-17〉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08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2

〈그림 5-18〉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16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3

〈그림 5-19〉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18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3

〈그림 5-20〉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20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4

〈그림 5-21〉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21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4

〈그림 5-22〉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23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5

〈그림 5-23〉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25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5

〈그림 5-24〉 보조 지하수 관측망 영동27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6

〈그림 5-25〉 시험 시추공 KYDM-1(b, a)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8

〈그림 5-26〉 시험 시추공 KYDM-2(b, a)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8

〈그림 5-27〉 간이관측공 KYDW-14, 15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89

〈그림 5-28〉 간이관측공 KYDW-01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90

〈그림 5-29〉 간이관측공 KYDW-02, 03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91

〈그림 5-30〉 간이관측공 KYDW-04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91

〈그림 5-31〉 간이관측공 KYDW-05, 06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92

〈그림 5-32〉 간이관측공 KYDW-07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93

〈그림 5-33〉 간이관측공 KYDW-08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93

〈그림 5-34〉 간이관측공 KYDW-09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94

〈그림 5-35〉 간이관측공 KYDW-10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95

〈그림 5-36〉 간이관측공 KYDW-11, 12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96

〈그림 5-37〉 간이관측공 KYDW-13의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 496

〈그림 5-38〉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호탄수위표, 암반) 498

〈그림 5-39〉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호탄수위표, 충적층/풍화대) 499

〈그림 5-40〉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초강합류점, 충적층/풍화대) 500

〈그림 5-41〉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영동천, 암반) 501

〈그림 5-42〉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영동천, 충적층/풍화대) 502

〈그림 5-43〉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초강상류, 암반) 504

〈그림 5-44〉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초강상류, 충적층/풍화대) 506

〈그림 5-45〉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석천, 충적층/풍화대) 506

〈그림 5-46〉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초강하류, 함반) 507

〈그림 5-47〉 기본 관측망 지하수 심도 변동 그래프(초강하류, 충적층/풍화대) 509

〈그림 5-48〉 영동군 누적강수량(2015년 1월~2016년 10월) 510

〈그림 5-49〉 강수량의 자기상관도 511

〈그림 5-50〉 국가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의 자기상관도 514

〈그림 5-51〉 보조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의 자기상관도 514

〈그림 5-52〉 신규 자동 수위 관측망 지하수 수위의 자기상관도 516

〈그림 5-53〉 지하수 수위 기본 관측망 지하수 수위의 자기상관도 519

〈그림 5-54〉 국가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와 강수량의 상관관계도 524

〈그림 5-55〉 보조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와 강수량의 상관관계도 525

〈그림 5-56〉 신규 자동 수위 관측망 지하수 수위와 강우량의 상관관계도 527

〈그림 5-57〉 강수량과 지하수 수위 기본 관측망 지하수 수위의 상관관계도 530

〈그림 5-58〉 국가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와 강수량의 교차상관도 537

〈그림 5-59〉 보조 지하수 관측망 지하수 수위와 강수량의 교차상관도 538

〈그림 5-60〉 신규관측공 지하수 수위와 강우량의 교차상관도 541

〈그림 5-61〉 강수량과 지하수 수위 기본 관측망 지하수 수위의 교차상관도 544

〈그림 5-62〉 평수기 지하수 수위와 지형고도의 상관관계 549

〈그림 5-63〉 영동지역 평수위기 지하수 수위 분포도 551

〈그림 5-64〉 영동지역 평수위기 지하수 수리경사 분포 553

〈그림 5-65〉 영동지역 평수위기 지하수 유동방향 554

〈그림 5-66〉 영동지역 지하수 함양·중간·배출지역 분포 현황 556

〈그림 5-67〉 시험유역의 수위-유량 관계 558

〈그림 5-68〉 USGS PART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저유출 분리 559

〈그림 5-69〉 기저유출 분석(심천 유량관측소)에 따른 강수량 및 지하수함양률 561

〈그림 5-70〉 기상관측소의 강우량 변동 563

〈그림 5-71〉 강우 티센망도와 유역현황 564

〈그림 5-72〉 기상관측소별 강우자료를 이용한 CN별 유출량, 유출률 570

〈그림 5-73〉 NRCS-CN 중첩에 의한 셀별 CN 산정 570

〈그림 5-74〉 WetSpass의 물수지 계산 흐름도 575

〈그림 5-75〉 기상관측 티센망도 및 유역현황 577

〈그림 5-76〉 WetSpass-지표유출량 분포 현황 578

〈그림 5-77〉 WetSpass-증발산량 분포 현황 579

〈그림 5-78〉 WetSpass-함양량 분포 현황 579

〈그림 5-79〉 지하수 함양과 지하수 수위변동간의 비선형적 관계에 대한 모식도 581

〈그림 5-80〉 비포화 함수곡선의 시간에 따른 변화 및 충전공극률의 부정류 특성 583

〈그림 5-81〉 토양별 시간에 따른 유효함수비 변화 모사 584

〈그림 5-82〉 비포화 수리모델과 지하수위 변동모델을 이용한 함양량 산정 절차 584

〈그림 5-83〉 hybrid-WTF 분석 시 적용한 지하수 수위 관측지점별 강우관측소 585

〈그림 5-84〉 관측지점별 지하수 함양계수 산정 모델 결과 588

〈그림 6-1〉 암반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간이수질 변화 600

〈그림 6-2〉 지하수 수질 관측망 시기별 EC 분포-암반지하수 601

〈그림 6-3〉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조사 시기별 간이수질 변화 602

〈그림 6-4〉 지하수 수질 관측망 시기별 EC 분포 충적충/풍화대지하수 603

〈그림 6-5〉 지하수의 pH와 EC 상관관계도 606

〈그림 6-6〉 지하수의 Piper diagram 607

〈그림 6-7〉 암반지하수의 수질유형 분포 현황 608

〈그림 6-8〉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수질유형 분포 현황 610

〈그림 6-9〉 암반지하수의 토지이용별 Piper diagram 612

〈그림 6-10〉 충적층/풍화대 지하수의 토지이용별 Piper diagram 613

〈그림 6-11〉 암반지하수의 농업용수 분류 614

〈그림 6-12〉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농업용수 분류 615

〈그림 6-13〉 암반지하수의 경도[Hardness] 분포 현황 617

〈그림 6-14〉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경도[Hardness] 분포 현황 618

〈그림 6-15〉 암반지하수의 Cl 농도 분포 현황 620

〈그림 6-16〉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Cl 농도 분포 현황 621

〈그림 6-17〉 암반지하수의 NO₃ 농도 분포 현황 623

〈그림 6-18〉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NO₃ 농도 분포 현황 624

〈그림 6-19〉 암반지하수의 불소(F) 농도 분포 현황 626

〈그림 6-20〉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불소(F) 농도 분포 현황 627

〈그림 6-21〉 지하수의 간이수질과 라돈(Rn) 농도와의 상관관계도(1차) 629

〈그림 6-22〉 지하수의 간이수질과 라돈(Rn) 농도와의 상관관계도(3차) 629

〈그림 6-23〉 암반지하수의 라돈(Rn) 농도 분포 현황 630

〈그림 6-24〉 충적층/풍화대지하수의 라돈(Rn) 농도 분포 현황 631

〈그림 6-25〉 수질기준 초과 항목 분포 현황 636

〈그림 6-26〉 먹는물 수질기준 초과지점 분포 현황 637

〈그림 6-27〉 미생물 분석시료 채취 위치 현황 642

〈그림 6-28〉 미생물 군집 구조 645

〈그림 6-29〉 DRASTIC 요소별 오염취약성지수 분포도 653

〈그림 6-30〉 영동지역의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도(DRASTIC) 655

〈그림 6-31〉 영동지역의 등급을 수정한 M-DRASTIC 오염취약성 평가도 659

〈그림 6-32〉 DRASTICL 등급 수정 요소별 오염취약성지수 분포도 662

〈그림 6-33〉 DRASTICL 모델을 이용한 영동지역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도 663

〈그림 7-1〉 영동지역 충적층/풍화대지하수 이용신고시설 분포 현황 665

〈그림 7-2〉 공극성 대수충 개발 유망지역 선정 666

〈그림 7-3〉 영동지역 암반지하수 이용신고시설 분포 현황 667

〈그림 7-4〉 단열성 대수층 개발 유망지역 선정 668

표제지

영동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는

목차

1. 지하수 관측조사 682

1.1. 지하수 수위/수질 기본 관측망 현황 684

1.2. 기본 관측망 지하수 수위 694

1.3. 자동 관측망 지하수 수위 702

1.4. 기본 관측망 지하수 간이 수질 768

2. 지표수 관측조사 778

2.1. 관측 지점 현황 780

2.2. 유량 및 간이 수질 784

2.3. 자동 관측 하천 수위 814

3. 전기비저항 탐사 830

4. 시추 및 착정 조사 846

5. 대수성 시험 875

5.1. 양수시험 현황 877

5.2. 간이 양수시험 기록 881

5.3. 간이 양수시험 해석 곡선 969

5.4. 대수성 시험정 양수시험 기록 1057

6. 수질분석 1078

6.1. 수질분석 현황 1080

6.2. 화학분석 1086

6.3. 수질검사 1094

6.4. 수질대장 1132

7. 잠재오염원 1214

8. 대수층 수리상수 수집 자료 1222

서지사항 1229

판권기 123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83469 628.114 -17-36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3470 628.114 -17-36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3471 628.114 -17-36 v.2p.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3472 628.114 -17-36 v.2p.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3473 628.114 -17-36 v.2p.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3474 628.114 -17-36 v.2p.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