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산림청 고시 「임산물 표준규격」 등급규격 개선방안 연구 [전자자료] / 산림청, 농식품가치연구소 [편]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산림청,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289
제어번호
MONO1201729242
주기사항
판권기표제: 산림청 고시 임산물「표준규격」등급규격 개선방안
[제출처]: 산림청
수행기관: 농식품가치연구소
연구책임자: 장인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6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7

제2절 연구의 목적 18

제3절 연구의 내용 18

제4절 연구의 방법 19

제2장 임산물 표준규격 제도의 이해 20

제1절 임산물 표준규격제도 운영현황 21

1. 임산물 표준화 및 등급화 여건 21

2. 임산물 표준규격제도 운영현황 26

3. 임산물 표준규격 중 등급규격제도 운영현황 30

제2절 국내외 표준규격 및 등급규격 운영현황 36

1. 국내 농산물 표준규격 및 등급규격 운영현황 36

2. 해외 임산물 등급규격제도 운영현황 46

제3장 임산물 생산ㆍ 유통 및 등급규격 운영실태 조사 58

제1절 임산물 생산ㆍ유통현황 59

1. 주요 임산물 생산액 추이 59

2. 품목군별 생산량 및 생산액 추이 60

제2절 임산물 등급규격 운영실태 조사 65

1. 등급규격 운영실태 설문조사 65

2. 등급규격 운영실태 설문조사 결과 66

3. 품목별 등급규격 운영실태 조사결과 및 시사점 70

제4장 임산물 등급규격 개선방안 152

제1절 임산물 등급규격 개선방향 153

1. 국내외 농산물 등급규격 개선방향 153

2. 임산물 등급규격 개선방향 155

제2절 품목별 등급규격 개선방안 157

1. 수실류 157

2. 버섯류 196

제5장 임산물 등급규격 현장지침서 제작계획 258

제1절 임산물 등급규격 현장지침서 개요 259

1. 임산물 등급규격 현장지침서 제작 개요 및 필요성 259

2. 농림수산물 식재료 등 현장지침서 발간 사례 260

제2절 임산물 등급규격 현장지침서 시안(예) 265

1. 주요 내용 265

2. 제작 일정 265

3. 현장 지침서 시안(예) 266

제6장 중장기 임산물 등급규격 개선방향 272

제1절 분야별 중장기 개선방안 273

1. 등급규격 중장기 개선 및 활성화 방향 설정 273

2. 관련 법률 및 제도의 체계화 276

3. 임산업 경쟁력 제고와 등급규격간 연계강화 278

4. 등급규격 세부내용의 체계화 281

5. 현장중심 교육ㆍ홍보 강화 283

제2절 연구한계 및 후속과제 284

1. 연구의 한계 284

2. 후속과제 및 연구 284

참고문헌 287

〈표 2-1〉 임산물 생산액 추이 21

〈표 2-2〉 단기소득임산물 품목별 최다 생산지역 22

〈표 2-3〉 임산물 전업임가 vs 겸업인가 현황 22

〈표 2-4〉 대형유통업체 산지평가 기준(H유통업체 예) 24

〈표 2-5〉 임산물 표준출하 관련 지원사업 내용 26

〈표 2-6〉 임산물 표준규격 개정 변천사 28

〈표 2-7〉 등급기준 설정 및 현장적용상의 등급화 저해요인 35

〈표 2-8〉 연도별 농산물 표준규격 출하율 및 포장화율 현황 36

〈표 2-9〉 농산물 품목 부류별/연도별 표준규격포장 출하율 37

〈표 2-10〉 농산물 품목 부류별/연도별 포장화율 37

〈표 2-11〉 농산물(과실류) 표준거래 단위 41

〈표 2-12〉 농산물 표준거래 표시사항 중 품종을 표시해야하는 품목 및 표시방법 42

〈표 2-13〉 농산물 표준거래 표시사항 중 무게 또는 개수를 표시해야하는 품목 및 표시방법 42

〈표 2-14〉 농산물 표준거래 표시사항 중 당도를 표시해야하는 품목 및 등급별 당도규격 43

〈표 2-15〉 농산물 표준거래 표시사항 중 영양성분표시 품목 및 성분 44

〈표 2-16〉 농산물 표준거래 표준규격품 표시양식(예시) 44

〈표 2-17〉 일본의 국정 표준규격 현황 47

〈표 2-18〉 일본의 "과일 전국 표준출하규격" 대상품목 51

〈표 2-19〉 중국 자체 밤의 등급규격 운영(예) 53

〈표 2-20〉 중국 밤 검품과정 54

〈표 2-21〉 중국 밤 선별 및 보관과정 55

〈표 3-1〉 년도별 임산물 생산액 추이 60

〈표 3-2〉 년도별 수실류 품목별 생산량 추이 61

〈표 3-3〉 년도별 수실류 품목별 생산액 추이 61

〈표 3-4〉 년도별 버섯류 품목별 생산량 추이 62

〈표 3-5〉 년도별 버섯류 품목별 생산액 추이 62

〈표 3-6〉 년도별 산나물류 품목별 생산량 추이 63

〈표 3-7〉 년도별 산나물류 품목별 생산액 추이 63

〈표 3-8〉 년도별 약용류 품목별 생산량 추이 64

〈표 3-9〉 년도별 약용류 품목별 생산액 추이 64

〈표 3-10〉 조사대상 모집단 정의 65

〈표 3-11〉 산림청 고시 등급규격 인지도 66

〈표 3-12〉 산림청 고시 등급규격 활용여부 67

〈표 3-13〉 자체 등급규격 혹은 등급기준 보유여부 67

〈표 3-14〉 자체 등급규격 혹은 등급기준과 산림청 고시 등급규격간 차이여부 68

〈표 3-15〉 산림청 고시 등급규격 활용도 제고방안 69

〈표 3-16〉 밤의 지역별 판매처 비중 71

〈표 3-17〉 밤 가공식품 종류 72

〈표 3-18〉 생대추 및 건대추 지역별 판매처 비중 77

〈표 3-19〉 대추 가공식품 종류 79

〈표 3-20〉 지역별 등급규격 운영실태 80

〈표 3-21〉 떫은감 지역별 판매처 비중 83

〈표 3-22〉 떫은감의 지역별 주요 가공식품 종류 85

〈표 3-23〉 깐잣 가공식품 종류 90

〈표 3-24〉 호두 가공식품 종류 93

〈표 3-25〉 은행 가공식품 종류 95

〈표 3-26〉 다래 가공식품 종류 98

〈표 3-27〉 복분자 가공식품 종류 101

〈표 3-28〉 산딸기 가공식품 종류 104

〈표 3-29〉 석류 가공식품 종류 107

〈표 3-30〉 표고버섯 가공식품 종류 114

〈표 3-31〉 송이 가공식품 종류 117

〈표 3-32〉 꽃송이 가공식품 종류 119

〈표 3-33〉 취나물 가공식품 종류 123

〈표 3-34〉 더덕 가공식품 종류 129

〈표 3-35〉 도라지 가공식품 종류 132

〈표 3-36〉 두릅 가공식품 종류 134

〈표 3-37〉 죽순 가공식품 종류 137

〈표 3-38〉 곤드레 가공식품 종류 140

〈표 3-39〉 오미자 가공식품 종류 144

〈표 3-40〉 산수유 가공식품 종류 146

〈표 3-41〉 구기자 가공식품 종류 149

〈표 4-1〉 밤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57

〈표 4-2〉 밤 등급규격 개선방안 157

〈표 4-3〉 건대추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60

〈표 4-4〉 건대추 등급규격 개선방안 160

〈표 4-5〉 생대추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63

〈표 4-6〉 생대추 등급규격 개선방안 163

〈표 4-7〉 떫은감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66

〈표 4-8〉 떫은감 등급규격 개선방안 166

〈표 4-9〉 홍시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69

〈표 4-10〉 홍시 등급규격 개선방안 169

〈표 4-11〉 곶감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72

〈표 4-12〉 곶감 등급규격 개선방안 172

〈표 4-13〉 깐잣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75

〈표 4-14〉 깐잣 등급규격 개선방안 175

〈표 4-15〉 호두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78

〈표 4-16〉 호두 등급규격 개선방안 178

〈표 4-17〉 은행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81

〈표 4-18〉 은행 등급규격 개선방안 181

〈표 4-19〉 다래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84

〈표 4-20〉 다래 등급규격 개선방안 184

〈표 4-21〉 복분자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87

〈표 4-22〉 복분자 등급규격 개선방안 187

〈표 4-23〉 산딸기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90

〈표 4-24〉 산딸기 등급규격 개선방안 190

〈표 4-25〉 석류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93

〈표 4-26〉 석류 등급규격 개선방안 193

〈표 4-27〉 건표고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196

〈표 4-28〉 건표고 등급규격 개선방안 196

〈표 4-29〉 생표고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03

〈표 4-30〉 생표고 등급규격 개선방안 203

〈표 4-31〉 송이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06

〈표 4-32〉 송이 등급규격 개선방안 206

〈표 4-33〉 건꽃송이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08

〈표 4-34〉 건꽃송이 등급규격 개선방안 208

〈표 4-35〉 생꽃송이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11

〈표 4-36〉 생꽃송이 등급규격 개선방안 211

〈표 4-37〉 건취나물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14

〈표 4-38〉 건취나물 등급규격 개선방안 214

〈표 4-39〉 생나물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17

〈표 4-40〉 생취나물 등급규격 개선방안 217

〈표 4-41〉 건고사리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20

〈표 4-42〉 건고사리 등급규격 개선방안 220

〈표 4-43〉 생고사리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23

〈표 4-44〉 생고사리 등급규격 개선방안 223

〈표 4-45〉 더덕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26

〈표 4-46〉 더덕 등급규격 개선방안 226

〈표 4-47〉 생도라지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29

〈표 4-48〉 생도라지 등급규격 개선방안 229

〈표 4-49〉 두릅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32

〈표 4-50〉 두릅 등급규격 개선방안 232

〈표 4-51〉 죽순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37

〈표 4-52〉 죽순 등급규격 개선방안 237

〈표 4-53〉 건고려엉겅퀴(곤드레)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40

〈표 4-54〉 건고려엉겅퀴(곤드레)등급규격 개선방안 240

〈표 4-55〉 생고려엉겅퀴(곤드레)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43

〈표 4-56〉 생고려엉겅퀴(곤드레)등급규격 개선방안 243

〈표 4-57〉 건오미자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46

〈표 4-58〉 건오미자 등급규격 개선방안 246

〈표 4-59〉 생오미자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49

〈표 4-60〉 생오미자 등급규격 개선방안 249

〈표 4-61〉 건산수유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52

〈표 4-62〉 건산수유 등급규격 개선방안 252

〈표 4-63〉 건구기자 등급규격 운영현황 및 시사점 255

〈표 4-64〉 건구기자 등급규격 개선방안 255

〈표 6-1〉 각 단계 및 주체별 등급규격 운영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277

〈표 6-2〉 농산물 물류의 발전추세와 전망 278

〈그림 1-1〉 연구방법 및 체계도 19

〈그림 2-1〉 정부정책에 따른 농협의 산지유통대응 25

〈그림 2-2〉 산림청 고시 "임산물 표준규격" 체계 및 구성 29

〈그림 2-3〉 등급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2

〈그림 3-1〉 밤 판매처별 비중 70

〈그림 3-2〉 밤 수매, 선별, 정선 등 상품화 공정 74

〈그림 3-3〉 생대추 판매처별 비중 76

〈그림 3-4〉 건대추 판매처별 비중 76

〈그림 3-5〉 대추 선별, 정선 등 상품화 공정 80

〈그림 3-6〉 떫은감 판매처별 비중 83

〈그림 3-7〉 감 선별, 정선 등 상품화 공정 86

〈그림 3-8〉 잣 탈각, 분리, 선별, 정선 등 상품화 공정 89

〈그림 3-9〉 호두 출하, 선별, 탈피 등 상품화 공정 92

〈그림 3-10〉 은행 출하, 선별, 탈피 등 상품화 공정 95

〈그림 3-11〉 다래 채취, 선별, 정선 등 상품화 공정 97

〈그림 3-12〉 복분자 수확, 출하 등 상품화 공정 100

〈그림 3-13〉 산딸기 수확, 선별, 출하 등 상품화 공정 103

〈그림 3-14〉 석류 수확, 출하, 선별 등 상품화 공정 106

〈그림 3-15〉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고시 건표고 종류 및 이미지 110

〈그림 3-16〉 건표고 등급규격 운영사례 111

〈그림 3-17〉 생표고 등급운영 사례(상, 중, 하품) 및 포장형태 113

〈그림 3-18〉 생표고 수확, 출하, 선별 등 상품화 공정 114

〈그림 3-19〉 송이 채취교육, 채취, 출하 및 선별과정 116

〈그림 3-20〉 송이 등급규격 현장 규격기준 운영사례 116

〈그림 3-21〉 양양송이 등급규격별 분류 및 유통사례 117

〈그림 3-22〉 꽃송이 재배, 건조 등 상품화 공정 119

〈그림 3-23〉 건꽃송이 유통사례 120

〈그림 3-24〉 취나물 재배, 채취 등 상품화 공정 122

〈그림 3-25〉 취나물 유통사례 123

〈그림 3-26〉 고사리 재배, 수확, 출하 등 상품화 공정 125

〈그림 3-27〉 고사리 재배, 데치기, 건조 등 상품화 공정 126

〈그림 3-28〉 건고사리 유통사례 126

〈그림 3-29〉 더덕 등급규격 운영사례 128

〈그림 3-30〉 더덕 채취, 선별, 등급구분 등 상품화 공정 128

〈그림 3-31〉 더덕 유통사례 129

〈그림 3-32〉 도라지 수확, 선별, 포장 등 상품화 공정 131

〈그림 3-33〉 도라지 유통사례 131

〈그림 3-34〉 두릅 수확, 선별, 포장 등 상품화 공정 134

〈그림 3-35〉 죽순 수매, 등급구분, 가공 등 상품화 공정 137

〈그림 3-36〉 건곤드레 재배, 수확, 선별, 건조 등 상품화 공정 139

〈그림 3-37〉 생곤드레 냉동제품 생산 사례 139

〈그림 3-38〉 오미자 채취, 세척, 건조, 선별 등 상품화 공정 143

〈그림 3-39〉 건산수유 수매현장 및 유통 사례 146

〈그림 3-40〉 건구기자 수매현장 및 유통사례 148

〈그림 5-1〉 농림수산물 식재료 현장지침서 발간사례 261

〈그림 5-2〉 식재료 품질규격 가이드(한국식품연구원 발행) 262

〈그림 5-3〉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검수안내서(경기도 발행) 263

〈그림 5-4〉 농산물 표준규격 도감(농산물 품질관리원) 264

〈그림 6-1〉 표준화 및 물류관련 기술 체계도 273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