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일러두기

발간사 / 김양호

머리말 / 전제훈

목차

제1장 총론 : 17세기 카오스와 코스모그래피 탄생 11

17세기 카오스와 코스모그래피 - 대혼돈기 큰 그림을 그리다 12

코스모그래피와 삼척한국 중심사상 탄생 - 대혼돈기 새로운 틀을 찾다 13

삼척한국사유체계와 코스모그래피 - 동아시아 변방에서 중심사상을 찾다 15

허목의 실용창신학과 4차 산업혁명 - 과거와 현재 연결로 미래를 창조하다 17

제2장 기후변화와 문명 대전환 21

제1절 생명체 탄생 22

최초 생명체 어떻게 만들어 졌나 22

지구생명체 시작 언제부터 인가 23

제2절 대륙 탄생 25

전기고생대 하나의 대륙 나누어지다 25

중기고생대 대륙 점차 모이기 시작하다 27

후기고생대 대륙 한쪽으로 집중되다 29

제3절 대양 탄생 32

중생대 쥐라기 초 대서양 탄생되다 32

제4절 생명체 탄생 37

신생대 오늘날 대륙모습 만들어지다 37

제5절 인류 탄생 39

인류 출현하다 39

제6절 생명체 대순환 41

지구생명체 대탄생·대멸종 반복하다 41

제7절 외계충격과 인류공존 45

소행성 「토타티스」 지구충돌설 비켜가 45

외계충격설과 새로운 역사해석 48

재난기 견뎌낸 조선시대 지식인과 민중들 지혜 주목 50

역사 속에 나타난 외계충격현상 51

외계충격현상 어떻게 밝혀졌나 53

제8절 기후변화와 새로운 사유체계 56

17세기 기후변화로 대기근·전염병 대유행 56

삼척에선 6 - 7년마다 가뭄·홍수 발생 59

앞날 길흉화복 예견하고 아이들 마마 걸리게 해 세상 어지럽히는 마구할미 백회에 쑥뜸 떠 죽여 62

17세기 거대지구에 자연재해·전염병 창궐하다동아시아 무녀사냥 서양 마녀사냥 동시 일어나 62

허목 「척주지」 에도 효자 최진후 이야기 등장조선 정치이념 성리학 충·효 로 민중마음 안정 희생물 불교 습합 토착신앙 무녀사냥 대삼아 63

효종·현종 때 삼척 자연재해 집중발생 현종 2년 8월4일 삼척현에 눈이 내렸다 64

중년여자 왼손에 불 오른손에 칼 갑산에 내려와 갑산 유배온 학사 허봉 「축려문」 지어 물리쳐 66

허목 전염병 막으려고 여단 정비 나서 「무주고혼 역질 퍼트린다」 생각 가져 67

허목 상고주의 세계관 형성 문학관 상고시대 주술 자녀 71

허목 고육경 바탕 귀신관 긍정적 표현 송시열 등 성리학 귀신관 정반대 입장 72

시설(詩說) 73

허목 시에 사회개혁 의지 담아 75

허목 시 통해 사회병리현상 치유 모색 76

제3장 기후변화와 새로운 사유의식 79

제1절 17세기 기후변화와 사유체제 대전환 80

한강 학맥이어 퇴계근기학파 형성 80

허목 퇴계근기학파로 실학 태동시켜 81

허목 사회현상 자기극복 통한 실용전개 성리학 사회병리학 치유책 제시 못해 82

허목 사상체제 북인계 남인 사상적 원류 17세기 북인계 남인 구주권위 공론 강조 83

도가중심 취향 서경덕·조식사상과 접목 실용중심 새로운 정치·경제사상 큰 영향 84

제2절 실용창신학 탄생 86

기언 편집과 미수 창신(創神)정신 86

허목 당파는 북인계 남인 개혁사상은 청남 90

남인 중 개혁·강경파는 청남으로 불려 93

서인 정권 참여한 남인 탁남으로 분류 95

새로운 사유의식과 허목의 「실용창신학」 97

신화 속 제왕 초인 실재자로 해석해야 고학 세계관 무위자연과 소통 길 열어 99

「고학(古學)」 새롭게 해 사회개혁사상으로 활용 「실용창신학」 의 새로운 사유체제로 발전 시켜 100

허목 「고학」 원시유학 본래 모습 찾으려 노력 고예·고자·고경서 정주학과 다른 세계 추구 101

「기언(記言)」 「경설(經說)」 103

「경설」·「동사」 는 허목의 대표작 제왕학적 교훈서 왕(숙종)참고 기대 105

경설을 올리는 서(進經說序) 107

허목 고육경서 사회 개혁사상 찾아 107

역설(易說)-역통(易統) 108

춘추설(春秋說) 114

시설(詩說) 120

홍범설(洪範說) 122

예설(禮說) - 예통(禮統) 128

예설(禮說) - 예지(禮志) 130

악설(樂說) - 원악(原樂) 135

형설(形說) 141

정설(政說)-정술(政術) 148

제3절 기후변화와 몸과 마음의 새로운 인식 155

학문적 경향 고학·도가적 성향 노자숭상하고 도가적 사상 칭송 155

양웅「태현」·「법언」 끝으로 고문 끊어져 「태현」 노자 자연우주·인생관 기초로 저술 156

공자도 노자로부터 예(禮) 배운 바 많음 강조 태고서 예악 이원 찾아 순수 유교정신 이해 순수성 사이(四夷)의 문화와도 연결되는 시각 157

상고시대 순수 자연주의적 질서 우주관 허모 사마천보다 깊이 도가에 기울어져 158

「해동전도록」 도가 유·선·불 삼교회통 인물 이들 행적 뒷받침한 인생·우주관은 노장사상 161

「청사열전(淸士列傳)」 162

김시습(金時習) 163

정북창(鄭北窓) 165

정고옥(鄭古玉) 169

동산옹(東山翁) 169

제4절 허목의 도가중심 사유의식 172

허목 도가적 경향 가풍과 관련 깊어 부친 허교 서경덕 제자 박지화 문인 172

허목 어미니 유명문인 백호 임제의 딸 임제 반주자학·민중적 문학작품 남겨 사대질서 옹호하는 주자학명분론 반발 173

허목 조부 허강 스스로 「강호처사」 불러 허강 부친 허자 피화에 충격 벼슬길 단념 174

허목은 정구와 장현광 문인 종형 허후에게 학문법 배워 175

명산대천 유람하고 제자백가어 주로 읽어 30년간 관직생활 처사적 몸가짐으로 일관 176

허목 어려서 고문전(古文篆) 배워 30세에 체격완성 종형 허후 고전(古篆)잘해 아마 그로부터 배운 듯 근기지방 학풍 기호남인 고학(古學) 종장위치 점해 177

제5절 허목의 대혼돈기 시국관 180

모든 권위·질서 군주 정점으로 차등 있게 안배돼야 군주 정치목표는 안민, 안민은 풍속에 순응하는 정치 180

북벌명분 군비확장정책 백성 부담커지고 신분·관료정치 무너져 북벌은 국력 차이로 실현 불가능한 일, 중요한 것은 국방강화책 군사통수권·군비수취권 등 6조로 환원 군주 실권권위 강화해야 산업구조 무질서한 상업 확장 막고 농민 의지하는 농민중심정책 허목 시국관 그의 학풍을 대변하는 고학·고예 학문체계 뒷받침 181

북벌정책 반대일관 허목 정치사상·시국관 가장 현실적 대변 고학(古學)추구·예송(禮訟) 시국관 이론적 뒷받침하는 학문체계 182

북벌론 반세기 국론처럼 사림층 감정 사로잡아 과도한 군비지출 국민부담 가중 민심이탈 현상 183

청에 볼모로 갔던 효종의 분노 진정에 노력 흔적 예송논쟁 순수 학리적으로 시비 가려지기 어려워 숨은 정치적 의도 살피는 것이 예송 논쟁의 본질 185

제6절 허목의 대전환기 정치사상 187

윤휴·허적 집권 후 군비확장정책 강행 허목 비판입장 고수 군문둔전·호포제·축성·병차제조·만인설과·지패법 반대 187

허목 북벌 반대 이유 국력 약하고 자연조건 방어유리 공격불리 국가기강 무너뜨리고 백성 괴롭히며 집권층 치부수단으로 이용 허목 당시 급무는 인심수습과 안민 그리고 방어력 강화로 판단 188

「병(兵)이 나라를 강하게 할 수 있고 망하게 할 수 있다」 경계 아병(牙兵)혁파 군정(軍丁) 병부 귀속시켜 국가재정 풍족히 해야 190

아문둔전(衙門屯田) 종실과 귀척의 사전으로 둔갑 나라가 나라노릇 못하는 처지에 이들만 부자 돼 191

병(兵) 주둔 위한 땅 둔전(屯田) 폐단으로 나라 날로 쇠약 세금 포탈 자 모여드는 소굴 아문 전제도 둔전이 원인 192

허목 병권 문란 시키는 호포제실시 누차 반대상소 죽은 군인·어린이 군적 넣어 호포 받아 백성원망 195

군주에게 권력 집중하고 엄한 예 갖추게 해 광권강화 주장 허목 왕권강화·계급질서옹호론으로 무너진 위계질서 확립 197

허목 붕당정치 사사로움 유도하 임금 죽이고 나라망처 반대 국초 성립된 군주정점으로 재상·6조 소임의 관료정치 희구 199

제4장 기후변화와 새로운 형태미학 201

제1절 기존 틀을 깨다 202

허목, 칡을 먹삼아 과두문자를 쓰다 207

제2절 새로운 틀을 찾다 211

형산 신우비 발(衝山神禹碑跋) 213

고문(古文) 220

고문운률 서(古文韻律序) 229

제3절 새로운 틀을 세우다 232

목은 화상 기(救隱畵像記) 238

화상자찬(寫影自贊) 240

또 자찬하다 우자찬(又自贊) 241

서화(書畵) 왕손 낭선군의 금석첩 서(王孫朗善君金石帖序) 243

조 문정공의 난죽시화첩 발(趙文正蘭竹詩畵帖跋) 244

낭선공자의 화첩서(朗善公子畵帖序) 246

주 태사의 12화첩도를 모사한 서 모주태사십이첩도서(模朱太史十二帖圖序) 249

포도첩기(葡萄貼記) 252

목우도기(牧牛圖記) 253

제5장 기후변화와 새로운 역사인식 255

제1절 허목의 「동사」 편찬과 역사적 위치 256

제2절 새로운 한국사 인식과 「동사」 편찬 261

제3절 새로운 한국사 틀과 「동사」 체계 265

제4절 새로운 한국문화인식과 「동사」 구성 276

단군조선의 풍속문화 276

단군세가(檀君世家) 279

부여의 풍속문화 286

숙신(읍루)의 풍속문화 287

기자조선의 풍속문화 287

기자세가(箕子世家) 291

위만조선의 풍속문화 300

위만세가(衛滿世家) 301

사군·이부의 풍속문화 303

사군이부(四郡二府) 304

삼한(三韓)의 풍속문화 304

마한(馬韓) 306

진한(辰韓) 307

변한(弁韓) 307

신라의 풍속문화 309

신라세가(新羅世家) 상(上) 310

신라세가(新羅世家) 중(中) 319

신라세가(新羅世家) 하(下) 326

가락의 풍속문화 340

가락(鴐洛) 342

대가야(大伽倻) 347

고구려의 풍속문화 347

고구려세가(高句麗世家) 상(上) 348

고구려세가(高句麗世家) 하(下) 359

백제의 풍속문화 367

백제세가(百濟世家) 368

예맥의 풍속문화 379

예맥(獩貊) 379

말갈(발해)의 풍속문화 381

말갈(靺鞨) 382

탁라[탐라]의 풍속문화 384

탁라(乇羅) 385

새로운 국토인식과 풍토문화 386

지승(地乘) 390

새로운 세계관과 일본에 대한 인식 405

흑치열전(黑齒列傳) 407

제6장 기후변화와 실용창신 실현 415

제1절 허목의 풍토·풍속정치와 「척주지」 편찬 416

제2절 허목이 살펴본 17세기 삼척풍토·풍속 424

「척주지(陟州誌)」 의 구성과 내용 424

「척주지(陟州誌)」 상(上)의 구성과 내용 425

「척주지(陟州誌)」 하(下)의 구성과 내용 437

척주지(陟州誌) 하(下) 440

매곡리(適谷里)의 풍토와 풍속 457

부내(府內)의 풍토와 풍속 465

덕번상(德審上)의 풍토와 풍속 474

덕번하(德審下)의 풍토와 풍속 478

노곡(盧谷)의 풍토와 풍속 481

소달리(所達里)의 풍토와 풍속 482

장생리(長生里)의 풍토와 풍속 483

미로리(眉老里)의 풍토와 풍속 486

견박곡(見朴谷)의 풍토와 풍속 493

북평리(北坪里)의 풍토와 풍속 494

부(附) - 울릉도의 풍속과 문화 500

허균과 삼척과 죽서루(竹西樓) 502

죽서부(竹西賦) [허균이 지은 것 같다] 503

제7장 기후변화와 삼척한국 미래 507

제1절 기후변화와 코스모그래피 탄생 508

천하도·척주동해비문 구조 닮은꼴 하늘·땅·사람 삼신일체 사유체계 508

제2절 코스모그래피와 척주동해비문 구조 516

「척주동해비」 글씨 허목 전서체 가운데 가장 대표작 웅혼한 아름다움, 한국서예사에 가장 개성 있는 서체 심한 폭풍우 조수 물리쳤다는 뜻 「퇴조비」 라고 불러 516

제3절 척주동해비문 해석과 천하도 체계 520

동해송 내용과 체계 천하도와 닮은꼴 520

동해송(東海頌) 520

동해송의 번역과 체계 523

「동해송」 해외 여러 나라 고증 530

척주동해비에 등장하는 전설 속 동물 535

「산해경」 전설상 동물 이야기, 상상 속 동물이야기만은 아닌 듯 536

키르기즈스탄 유목민놀이 콕보루 「산해경」 천산 제강신과 닮아 537

동해송과 산해경 그리고 천하도 538

제4절 동해송·산해경·천하도·일월오봉도 541

천하도와 신선사상 541

동해송과 신선사상 555

동해송의 역학상(易學上) 해석 속에 일월오봉도 태양의집 요소 담겨 555

빈우지궁(牝牛之宮), 인방(寅方)에 「태양의 집이 있다」는 의미 555

일본무동(日本無東)은 인방(寅方), 즉 동북방(東北方)인 우리나라에 태양의 뿌리가 있다는 뜻이다 557

사해무조석(沙海無朝汐), 우리나라 동·서해 극단적 조수 차이 또 다른 문제 해명해야할 숙제로 부ㄷ과 559

제5절 척주동해송과 대한평수토찬 사유체계 568

척주동해비문 내용은 퇴조인가 동해송인가 568

「척주동해비」 퇴조비를 넘어 대한 평수토사상 담은 「동해송」 572

제8장 기후변화와 새로운 마음수련 585

제1절 「하늘과 사람은 하나」 사유체계 586

자연재해 인류향한 하늘의 경고 586

학(學)-천지변화 1 (天地變化 一) 588

학(學)-천지변화 2 (天地變化 二) 590

학(學)-천지변화 3 (天地變化 三) 591

학(學)-마음을 아는 것(심지지각心之知覺) 592

이기를 논함(논이기(論理氣)) 55쪽 학(學) - 0|기를 논함 (논이기(論理氣)) 593

제2절 수양·반성 강조하는 심학 발달 596

하늘과 사람은 하나의 기운 600

허목 마음에 지대한 관심, 마음 움직임 곧으면 명통, 마음 움직임 곧으면 공평 602

심학도(心學圖)를 바치다 602

제3절 허목의 새로운 마음공부 606

마음공부 단계도 607

마음사용 단계도 608

심학도(心學圖) 608

마음공부 효과와 그 지키는 방법 609

요순우전수심법도(堯舜禹傅授心去圓) 611

공부하는 순서 612

제4절 허목이 추구한 목표 614

기언(記言) 서(序) 614

제9장 카오스와 코스모그래피 탄생 가설 619

카오스와 코스모그래피 가설 제기 620

삼척, 실용창신의 실현지 621

「4차 산업혁명」 대전환기 왜 미수 허목인가 「4차 산업혁명」 의 대전환기 623

대전환기 왜 미수 허목인가 옛것으로부터 새로움을 찾다 - 허목의 실용창신학 625

참고문헌 627

찾아보기 629

판권기 640

이용현황보기

기후변화와 삼척한국 미래 : 17세기 카오스와 코스모그래피 탄생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86485 951.96 -17-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6486 951.96 -17-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