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숭례문 복구 및 성곽 복원공사 종합분석 연구 / 문화재청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문화재청 문화재보존국 수리기술과, 2016
청구기호
951.509 -17-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50, 396 p. : 삽화, 도표, 설계도 ; 31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9908591
제어번호
MONO1201730529
주기사항
조사기관: 사단법인 우리문화유산연구원
부록: 자문회의 결과
참고문헌: p. 387-389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문화유산헌장

목차

원색화보 32

제1장 서론 54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56

2. 연구개요 58

1) 연구 범위 58

2) 연구 기간 : 2015.04.07.~2016.06.10. 58

3) 연구 내용 및 방법 58

4) 연구 조직 60

3. 용어 사용 및 연월일 표기 원칙 62

1) 용어 사용 원칙 62

2) 연월일 표기 원칙 63

제2장 숭례문(崇禮門)의 어제와 오늘 64

제1절 창건에서 조선말까지 66

1. 한양도성(漢陽都城)의 창건(創建) 66

2. 숭례문의 창건(創建)과 수리(修理) 70

제2절 대한제국(大韓帝國)에서 광복(光復)까지 83

1. 숭례문 좌우 성벽의 훼철(毁撤) 84

2. 숭례문 둘레석축 86

3. 숭례문 전기철도의 부설(敷設) 및 이설(移設) 88

4. 박람회 전시장이 된 숭례문 89

5. 숭례문 통행금지 91

제3절 광복 이후의 숭례문 93

1. 광복 후 첫 숭례문 수리 93

2. 한국전쟁으로 인한 숭례문 피해와 수리 93

3. 1960년대의 숭례문 해체·수리 95

4. 1970년대 이후 숭례문 수리와 단청 103

5. 숭례문의 개방과 화재의 발생 109

6. 숭례문의 문화재 지정명칭 변경 경위 111

7. 숭례문 관리자(단체)의 변경 경위 115

8. 숭례문 주요 연표 117

제3장 숭례문 화재와 대응 120

제1절 화재의 발생과 진화 122

1. 화재발생 개요 122

2. 화재의 확산과 진화 123

3. 화재에서 진화까지 시간대별 조치사항 125

제2절 화재의 피해 128

1. 화재피해 조사 128

2. 화재피해 부재의 수습 141

3. 숭례문 현판 수습과 복원 144

제3절 화재예방과 진화 실패 원인 147

1. 화재 전 숭례문 소방시설 및 관리 현황 147

2. 방화원인 149

3. 진화 실패 원인 150

제4절 복구 후 숭례문 방재시설 152

제4장 숭례문 복구 및 성곽 복원 공사 154

제1절 숭례문 복구 및 성곽 복원공사 추진개요 156

1. 복구의 기본원칙 156

2. 숭례문의 국보지위에 관한 논의 157

3. 숭례문 복구 추진단계 및 범위 157

제2절 통합적 복구 체제의 구축 159

1. 추진체계 구축 159

2. 분과별 자문회의 개최 162

제3절 복구추진을 위한 고증 및 발굴작업 167

1. 복구 추진을 위한 각종 연구용역 시행 167

2. 복구 추진을 위한 각종 고증 자료 200

3. 발굴조사 205

제4절 숭례문 복구 및 성곽 복원공사 개요 207

1. 공사개요 207

2. 소요예산 210

3. 설계변경 213

4. 시공 관계자 선정 215

5. 공정표 217

제5절 숭례문 복구 및 성곽 복원 공종별 내용 218

1. 복구 및 복원 설계지침 218

2. 가설공사 220

3. 문루공사 223

4. 육축공사 253

5. 성곽공사 269

6. 부대공사 281

7. 기타공사 288

제5장 숭례문 복구 이후의 현상과 분석 304

제1절 숭례문 복구 이후 현상에 대한 개요 308

제2절 국정감사 313

1. 국정감사 개요 313

2. 시사점 318

제3절 감사원 감사 321

1. 감사 개요 321

2. 감사 내용 322

3. 감사 결과 323

4. 시사점 337

제4절 숭례문 종합점검 및 복구 보완 계획 345

1. 숭례문 종합점검단의 개요 345

2. 숭례문 종합점검단의 활동 347

3. 숭례문 복구 보완 추진 356

4. 시사점 363

제5절 숭례문 복구와 언론 보도 분석 365

1. 숭례문 복구와 언론 보도 365

2. 숭례문 복구 이후 언론보도와 대응 371

3. 시사점 383

제6장 성과와 개선과제 386

제1절 문화재 수리체계 혁신대책의 수립과 추진 391

1. 수리체계 혁신대책의 배경 및 목적 391

2. 문화재 수리체계 혁신대책의 추진 392

제2절 문화재 수리 관련 연구의 성과 400

1. 분야별 연구 성과 404

2. 시사점 410

제3절 문화재 방재대책의 수립과 추진 412

1. 문화재 방재의 날 제정 412

2. 문화재 방재대책 수립 및 추진 413

3. 관계기관 상호 업무협약 417

4. 문화재 재난안전관리사업의 추진 418

5. 시사점 422

제4절 대국민 문화재 홍보 및 이해 활동 424

1. 숭례문 복구 관련 행사 424

2. 대국민 정책소통 426

3. 시사점 428

제5절 향후 개선과제 430

1. 문화재 원형보존의 개념 정의 확립 430

2. 문화재 원형유지를 위한 수리체계 개선(수리기간 확보) 431

3. 문화재 수리 특성에 대한 이론적 정립과 국민적 합의 433

4. 문화재 수리업무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434

5. 문화재 수리업무 추진 체계의 보완 435

6. 국가차원의 지속가능한 전통 수리 기법의 전수 체계 마련 436

참고문헌, 부록 438

참고문헌 440

부록 - 자문회의 결과 443

1. 착수보고회 443

2. 제2차 자문회의 445

3. 제3차 자문회의 446

4. 제4차 자문회의 및 중간보고회 447

5. 제5차 자문회의 448

6. 제6차 자문회의 및 최종보고회 449

판권기 450

표1-1. 연구진 구성표 61

표1-2. 숭례문 복구 및 성곽 복원공사 종합 분석 연구 자문위원 명부 61

표1-3. 연구조직 체계 및 업무 분담표 62

표2-1. 태조 창건 추정 부재 71

표2-2. 숭례문 세종때 추정 교체 부재 78

표2-3. 시기별 숭례문 상량문 103

표2-4. 1970 ~ 2008년 화재전까지 숭례문 소규모 수리내용 108

표2-5. 숭례문 문화재 지정 명칭 변경 경위 115

표2-6. 숭례문 관리자(단체)의 변경현황 116

표2-7. 숭례문 주요 연표 117

표3-1. 숭례문 방화사건 시간대별 조치사항 125

표3-2. 수습부재 분류 및 처리과정 142

표3-3. 숭례문 현판복원과정 146

표3-4. 숭례문 무인경비업체 변동 현황(2005 ~ 2008) 150

표4-1. 복구의 기본계획 156

표4-2. 단계별 추진사항 157

표4-3. 연도별 추진사항 및 예산 158

표4-4. 복구범위 158

표4-5. 숭례문 추진체계(숭례문 복구기본계획, 문화재청 자료) 159

표4-6. 숭례문 복구단 구성 160

표4-7. 기술분과 : 7명 161

표4-8. 고증분과 : 9명 161

표4-9. 방재분과 : 6명 162

표4-10. 기술분과 자문회의 개요 163

표4-11. 합동분과 자문회의 164

표4-12. 기술분과 소위원회 자문회의 164

표4-13. 방재분과 자문회의 165

표4-14. 경관조명 자문회의 165

표4-15. 기타 자문회의 166

표4-16. 고증조사 및 연구 용역 목록 167

표4-17. 문루 목공사 전 연구 및 검토 168

표4-18. 지붕공사 전 연구 및 검토 174

표4-19. 숭례문 복구용 기와 특기시방서 176

표4-20. 숭례문 지붕공사 특기시방서상의 보토 혼합비율 비교 178

표4-21. 상층 지붕 양성마루의 형태 변화 비교표 179

표4-22. 단청공사 특기시방서 182

표4-23. 안료 채색횟수 184

표4-24. 숭례문 단청공사 개요 184

표4-25. 2012년 숭례문 복구공사 시 단청 안료 사용량 184

표4-26. 단청공사 전 연구 및 검토 185

표4-27. 육축공사 전 연구 및 검토 188

표4-28. 육축지반에 대한 주요 문헌자료 요약 189

표4-29. 여장공사 전 연구 및 검토 190

표4-30. 등성석축과 계단공사 전 연구 및 검토 191

표4-31. 성곽공사 전 연구 및 검토 192

표4-32. 방재설비공사 전 연구 및 검토 196

표4-33. 전통철물과 현대철물 비교 198

표4-34. 숭례문 복구 및 복원 보고서 고증자료 목록 201

표4-35. 숭례문 복구 및 성곽 복원 도면 고증자료 목록 202

표4-36. 문헌, 회화, 사진 고증자료 목록 1 204

표4-37. 발굴조사 205

표4-38. 공사개요 207

표4-39. 숭례문 복구 및 성곽 복원공사 구조 및 규모 208

표4-40. 숭례문 복구 및 성곽 복원 기타공사 209

표4-41. 최종사업비 210

표4-42. 건축공사 내역 및 설계변경 총괄 210

표4-43. 건축공사 차수별 추진 실적 211

표4-44. 숭례문 문루공사 주요자재 소요량 211

표4-45. 성곽공사 주요자재 소요량 212

표4-46. 설계변경 개요 1 213

표4-47. 설계변경 개요 2 214

표4-48. 숭례문 복구 및 성곽 복원공사에 참여한 장인 216

표4-49. 공정표 217

표4-50. 과업지시서 설계지침 218

표4-51. 숭례문 공통가설공사 개요 220

표4-52. 가설시설물 221

표4-53. 국민기증 소나무 228

표4-54. 목재 수급 비교표 229

표4-55. 숭례문 지붕공사 개요 244

표4-56. 단청 문양 검토 및 비교표 248

표4-57. 숭례문 육축공사 개요 257

표4-58. 육축공사 259

표4-59. 여장공사 262

표4-60. 협문공사 263

표4-61. 등성석축공사 265

표4-62. 성곽공사 자재 271

표4-63. 성곽공사 석재가공 273

표4-64. 동측 성곽 쌓기 274

표4-65. 서측 성곽 쌓기 278

표4-66. 숭례문 훼손 목부재 보존처리 수량 281

표4-67. 숭례문 훼손 석부재 보존처리 수량 281

표4-68. 석부재 보존처리 282

표4-69. 목부재 보존처리 284

표4-70. 숭례문 방염재도포공사 개요 285

표4-71. 숭례문 토목공사 개요 295

표4-72. 숭례문 방재관리시설 설치공사 개요 302

표4-73. 숭례문관리소 건립공사 설계용역, 감리용역, 공사일정 및 용역비, 공사비 302

표5-1. 부실복구 보도 이후 일자별 단청 박락 현황 309

표5-2. 숭례문 복구 이후 보도의 주요 내용 311

표5-3. 숭례문 복구 사업의 준공이전 국정감사 주요 내용 314

표5-4. 숭례문 복구 이전 문화재 수리 및 관리 분야 국정감사 내용 314

표5-5. 2013년 국정감사 주요 정책 제언 316

표5-6. 2014년 국정감사 주요 정책 제언 318

표5-7. 숭례문 복구사업 감사의 추진체계 및 운영방식 검토내용 323

표5-8. 1961년 단청과 2013년 단청의 비교 327

표5-9. 숭례문 기와의 변화 330

표5-10. 숭례문 복구용 전통철물 제작사업 개요 332

표5-11. 숭례문 복구사업에 사용된 철물의 종류와 수량 332

표5-12. 숭례문 부실 복구 원인과 개선방향 343

표5-13. 숭례문 종합점검단 구성 목적 345

표5-14. 숭례문 종합점검단 구성 345

표5-15. 숭례문 종합점검단 명단 346

표5-16. 숭례문 종합점검단의 회의 일정 및 내용 347

표5-17. 숭례문 목재 갈램 현황 350

표5-18. 단청박락 원인분석과 의견 353

표5-19. 숭례문 단청안료 성분 분석 결과 354

표5-20. 숭례문 단청 교착제 규명 실험 결과 355

표5-21. 숭례문 종합점검단의 원인분석과 복구 보완 대책 356

표5-22. 종합점검단의 의견과 문화재위원회 검토 사항 357

표5-23. 숭례문 지반복구 보완 공사개요 360

표5-24. 지반복구 보완 관련 관계전문가 검토 360

표5-25. 지반복구 보완 관련 건축문화재분과 회의 361

표5-26. 언론사별 2차 키워드 검색 건수 368

표5-27. 숭례문 복구공사 착공 이후 언론보도에 대한 문화재청 해명자료 373

표5-28. 숭례문 복구공사 착공 이후 문화재청 보도자료 374

표6-1. 수리체계 문제점 및 부작용 391

표6-2. 문화재 수리체계 혁신대책의 개요 및 추진 전략 392

표6-3. 감독기능 강화 추진 실적 393

표6-4. 수리제도 개선 추진 현황 395

표6-5. 정보공개 추진 현황 397

표6-6. 예산편성 합리화 추진 현황 398

표6-7. 시험·교육제도 개선 추진 현황 398

표6-8. 전통기법·재료연구 추진 현황 399

표6-9. 숭례문관련 조사 및 연구 성과 400

표6-10. 숭례문관련 연구용역 목록 400

표6-11. 고증관련 연구 404

표6-12. 문화재 종합 방재대책 개요 414

표6-13. 문화재 방재 관련 법령 정비 414

표6-14. 문화재 재난안전대책본부 구성 416

표6-15. 문화재 안전관리사업의 목적과 내용 418

표6-16. 2013~2014년 문화재 방재설비 안전점검 실시 현황 419

표6-17. 2013년 문화재 방재설비 안전점검 지적 현황 419

표6-18. 2013~2014년 문화재 안전관리교육 결과 419

표6-19. 숭례문 복구관련 행사 425

표6-20. 문화유산국민신탁 지정기탁금 426

표6-21. 「문화재 사랑」 국민 참여 프로그램 428

그림1-1. 연구 흐름도 60

그림2-1. 1398년(태조 7년) 초창 당시 상량문1 70

그림2-2. 1398년(태조 7년) 초창 당시 상량문2 70

그림2-3. 이기룡필남지기로회도 부분 73

그림2-4. 1899년 이전의 남지(南池) 73

그림2-5. 청동용두의 귀(거북) 73

그림2-6. 의궤에 나타난 현무 [장릉봉릉도감의궤(1698)] 73

그림2-7. 유물 안에서 수습된 지류 73

그림2-8. 대동전도(大東全圖)에 나타난 숭례문과 남지 74

그림2-9. 1900년경 제작된 엽서 74

그림2-10. 남대문5가 1번지 위치 74

그림2-11. 연지 추정위치와 현 표석설치 위치(좌), 현 표석(우) 75

그림2-12. 1448년(세종30년) 입주 상량문 75

그림2-13. 발굴조사 결과 나타난 시대별 지층 77

그림2-14. 1479년(성종10년) 입주 상량문 79

그림2-15. 1888~1891년 사이에 촬영한 숭례문 전면 82

그림2-16. 1892년 숭례문 전면 82

그림2-17. 1895년 숭례문 전면1 82

그림2-18. 1895년 숭례문 전면2 82

그림2-19. 일제강점기 숭례문 84

그림2-20. 1908년 소인 사진엽서 84

그림2-21. 대한매일신보 1907년 4월 3일자 기사 84

그림2-22. 1907년 숭례문 앞(좌측), 뒤(우측) 86

그림2-23. 남대문 개착 도로공사 준공 평면도 87

그림2-24. 1909년 소인 사진엽서 87

그림2-25. 1910년 소인 사진엽서 87

그림2-26. 1910년 숭례문 전경 88

그림2-27. 1930년 이후 숭례문 엽서 88

그림2-28. 1936년 소인 사진엽서 89

그림2-29. 조선일보 1936년 10월 9일자 기사 89

그림2-30. 1942년경 숭례문 주변현황 89

그림2-31. 조선박람회 경성협찬회 보고서 표지(좌)와 뒷면(우측) 90

그림2-32. 조선박람회 포스터 90

그림2-33. 1929년 9월 조선박람회 개최 기념사진 90

그림2-34. 1929년 조선박람회 당시 야간 조명중인 숭례문 90

그림2-35. 1929년 조선박람회 당시 숭례문 91

그림2-36. 동아일보 1937년 12월 5일자 "골동품 된 남대문" 기사 사진 92

그림2-37. 한국전쟁 시 피해를 입은 숭례문과 응급조치시설 93

그림2-38. 한국전쟁 당시 숭례문 피해부분에 대한 응급조치 구조물 94

그림2-39. 1953년 긴급보수 후 숭례문 전경 94

그림2-40. 1961년 이전 숭례문 전경 96

그림2-41. 1963년 숭례문 해체·수리 후 준공식 사진 96

그림2-42. 적심부에서 발견된 고재(古材) 99

그림2-43. 적심부에서 발견된 고재(古材) 사래 99

그림2-44. 1396년(태조 5년) 초창 당시 상량문 101

그림2-45. 1448년(세종 30년) 입주 상량문 101

그림2-46. 1479년(성종 10년) 입주 상량문 102

그림2-47. 상량문 발견 위치도 102

그림2-48. 1970년 단청 103

그림2-49. 조선일보 1973년 2월 28일 제6면 104

그림2-50. 1973년 단청 104

그림2-51. 1988년 단청 105

그림2-52. 숭례문 남동측 전경(좌측), 숭례문 남서측 전경(우측) 107

그림2-53. 숭례문 북측 전경(좌측), 숭례문 북서측 전경(우측) 107

그림2-54. 숭례문 광장 개장 전(좌), 개장 후(중), 숭례문광장 개장식(우) 109

그림2-55. 숭례문 개문의식(좌), 개문식 후 몰려드는 시민들(우측) 110

그림2-56. 화재 전 숭례문 정면(좌), 후면(우) 111

그림2-57. 조선총독부관보, 제2290호 중 고시 제430호 111

그림3-1. 상층누각 발화 지점(좌), 화재범 침입 및 탈출 경로 123

그림3-2. 연소진행 경로도 124

그림3-3. 지붕 구조도 124

그림3-4. 진화 직후 건물전경 130

그림3-5. 화재후 숭례문, 북측면(좌), 남측면(우) 132

그림3-6. 문루 상층 서측협칸~동측퇴칸(좌), 남서협칸(우) 피해 현황 132

그림3-7. 상층 남서협칸 피해(좌), 남서협칸 공포 피해(우) 132

그림3-8. 하층 북서퇴칸(좌), 북동협칸 계단(우) 134

그림3-9. 현판 현장수습(좌), 수습 후 고궁박물관 보관(중), 국립문화재연구소 이동 준비(우) 135

그림3-10. 잔존 구조물 하층 평면도 137

그림3-11. 잔존 구조물 남측면도 138

그림3-12. 잔존 구조물 서측면도 138

그림3-13. 잔존 구조물 동측면도 139

그림3-14. 잔존 구조물 북측면도 139

그림3-15. 잔존 구조물 종단면도 140

그림3-16. 잔존 구조물 횡단면도 140

그림3-17. 잔존 구조물 상층 내부전경 141

그림3-18. 잔존 구조물 상층 외부전경 141

그림3-19. 잔존 구조물 내부전경 141

그림3-20. 서협칸 종단면도(동-서) 3D실측도 141

그림3-21. 부재 수습 후 야적상태(좌), 수습부재 조사(우) 143

그림3-22. RFID인식표 부착 143

그림3-23. 응급보존처리 전(좌), 후(우) 143

그림3-24. 살 박스 포장(좌), 팔레트 포장(중), 상차(우) 143

그림3-25. 경복궁 부재 보관고 외부 전경(좌), 내부 전경(우) 144

그림3-26. 부재 보관고 숭례문 화재 수습부재 보관현황 144

그림3-27. 복원된 숭례문 현판 145

그림3-28. 문루 하층 자동화재탐지설비 평면도 153

그림3-29. 스프링클러 설치 계획(횡단면도) 153

그림4-1. 제2차 기술분과 자문회의 162

그림4-2. 합동분과 자문회의 162

그림4-3. 제1차 방재분과 자문회의 164

그림4-4. 제2차 방재분과 자문회의 164

그림4-5. 석재가공 자문회의 166

그림4-6. 단청 관련 자문회의 166

그림4-7. 상층 탄화 대보(전시 보관용) 172

그림4-8. 상층 선자연 결구체(전시 보관용) 172

그림4-9. 상층부재 연대별 부재 표시도 172

그림4-10. 하층부재 연대별 부재 표시도 173

그림4-11. 문루 하층 마루 173

그림4-12. 숭례문 하층 마루 평면도 173

그림4-13. 복구 전·후 주심도리 설치 단면 비교 174

그림4-14. 강회배합비 샘플 시공 177

그림4-15. 강회배합비 샘플 시공 후 진새층 수분배출 177

그림4-16. 1900년대 초 완만한 용마루곡과 사다리꼴 추녀마루 양성 형태 179

그림4-17. 19세기 후반 숭례문 내부 단청 180

그림4-18. 1954년 숭례문 단청 180

그림4-19. 1963년 숭례문 단청 181

그림4-20. 1973년 숭례문 단청 181

그림4-21. 1988년 숭례문 단청 181

그림4-22. 안료별 시험 채색 중 186

그림4-23. 단청 시편 매월 색변화 점검 186

그림4-24. 단청 시험시공한 북측면 동협칸 창방과 평방 187

그림4-25. 시험시공한 단청면의 물얼룩 조사 187

그림4-26. (주)홍익바이오텍 석채 시험칠과 들기름칠 187

그림4-27. 마감제(백반수, 들기름칠, 아크릴에멀젼)와 (주) 홍익바이오텍 석채 시험칠 후 외부 환경 노출 187

그림4-28. 프랑스산 안료 색상별 시험칠 187

그림4-29. 프랑스산 안료 단청칠 위 문양내기 시험 187

그림4-30. 1960년대 수리 후 여장(남서) 190

그림4-31. 1960년대 수리 후 여장(남동) 190

그림4-32. 서측 성곽 출토 전돌과 1960년대 전돌 평면 190

그림4-33. 서측 성곽 출토 전돌과 1960년대 전돌 측면 190

그림4-34. 동측 등성석축 상부 191

그림4-35. 동측 등성석축 전경 191

그림4-36. 동북측 석축 장대석 추정 유구 191

그림4-37. 동북측 석축 하부 유구 191

그림4-38. 투시도법에 의한 성곽 선형 계획 195

그림4-39. 숭례문 광장 정비계획 설계안 199

그림4-40. 이기룡필남지기로회도 203

그림4-41. 남지기로회도(동아대박물관) 203

그림4-42. 남지기로회도(고려대박물관) 203

그림4-43. 1888~1891년 사이에 촬영한 숭례문 전면 203

그림4-44. 1904~1906년 사이에 촬영한 숭례문 전면 203

그림4-45. 연도별 숭례문 주변 발굴조사 대상지역 205

그림4-46. 2008년 숭례문 외면 발굴조사 206

그림4-47. 2009년 숭례문 동측 성곽지 발굴조사 206

그림4-48. 2010년 숭례문 피트 조사 현황도 206

그림4-49. 2010년 숭례문 북측 육축 인접부 발굴현황 206

그림4-50. 경복궁 부재보관소 전경 221

그림4-51. 경복궁 부재보관소 내부 221

그림4-52. 숭례문 현장 내 석공사 치석장 222

그림4-53. 경복궁 부재보관소 내 목공사 치목장 222

그림4-54. 가설덧집 전경 222

그림4-55. 가설덧집 근경 222

그림4-56. 가설울타리 해체 및 이전 도면 222

그림4-57. 문루 목공사 전경 223

그림4-58. 착공식 중 남측면 어칸 평방 해체모습(2010.2.10.) 225

그림4-59. 해체 전 상층 판문과 문선 전경(남서 방향) 225

그림4-60. 상층 창방 해체 전 전경(평방 일부 해체) 225

그림4-61. 하층 덧서까래 등 지붕 해체 후 처마 전경 225

그림4-62. 덧서까래 위 적심 해체 226

그림4-63. 덧서까래 해체 중 226

그림4-64. 상층 내부 전경 226

그림4-65. 상층 기둥 전경 226

그림4-66. 준경묘 및 국민기증목 227

그림4-67. 준경묘 및 국민기증목 사용처 분류 227

그림4-68. 추녀 부재 선별 227

그림4-69. 사용처 분류 후 단면에 목재 이력 기재 227

그림4-70. 재사용부재, 신재구입, 준경묘 및 기증목 부재 주요 사용처(문루 하층) 230

그림4-71. 재사용부재, 신재구입, 준경묘 및 기증목 부재 주요 사용처(문루 상층) 230

그림4-72. 재사용부재, 신재구입, 준경묘 및 기증목 부재 주요 사용처(문루 하층 천장) 231

그림4-73. 재사용부재, 신재구입, 준경묘 및 기증목 부재 주요 사용처(문루 상층 천장) 231

그림4-74. 기둥 밑둥의 8각 먹선 232

그림4-75. 기둥 대자귀로 8각 바심질 중 232

그림4-76. 4각으로 보 다듬기 232

그림4-77. 16각으로 모접기 232

그림4-78. 고주 동바리 설치(티타늄봉 삽입) 233

그림4-79. 촉있는 나비장 설치 233

그림4-80. 귀고주 파손부 고형수지 면처리 233

그림4-81. 홍예천장목 방충방부제 도포 후 고형수지 바름 233

그림4-82. 홍예천장목 설치 후 235

그림4-83. 남서 우주 설치후 235

그림4-84. 남동 우주 위 창방 결구 235

그림4-85. 하층 평방 설치 235

그림4-86. 하층 공포와 귀고주 설치 236

그림4-87. 하층 보 조립 완료 후 전경 236

그림4-88. 기둥하부 쪽매 꽂기 237

그림4-89. 서측면 장화반과 내목도리장여, 내목도리 설치 237

그림4-90. 북측면 서협칸, 서퇴간 중인방 신재 교체부분 237

그림4-91. 상층 평방 나비장 이음 후 철판설치 237

그림4-92. 상층 공포 중 초제공과 이제공 조립 완료 237

그림4-93. 상층 공포 중 삼제공과 주심도리 조립 238

그림4-94. 상층 대보 조립 238

그림4-95. 어칸 서측 덧보 조립 전경 238

그림4-96. 귓보 결구 전경 239

그림4-97. 어칸 종보 조립 239

그림4-98. 협칸 종보 조립 239

그림4-99. 상층 외목주심, 내목중도리 조립 239

그림4-100. 상층 장연과 단연 조립 240

그림4-101. 재래식 암기와 시험 제작 241

그림4-102. 재래식 수키와 시험 제작 241

그림4-103. 건조 중인 기와 241

그림4-104. 전통 기왓가마에서 소성된 특수 기와 241

그림4-105. 부여 전통 기왓가마 전경 242

그림4-106. 부여 전통 기왓가마 정면 242

그림4-107. 상·하층 지붕공사 완료 후 지붕 전경 243

그림4-108. 지붕 도리칸 앙곡 상세도 243

그림4-109. 해체부재 탄화부 제거 244

그림4-110. 화재 이전 상층 문루의 추녀를 적심으로 설치 244

그림4-111. 상층 적심채우기 245

그림4-112. 상층 마루정 설치 후 전경 245

그림4-113. 상층 보토깔기 완료 후 전경 246

그림4-114. 상층 지붕 기와잇기의 물림 상세도 246

그림4-115. 상층 추녀마루 측면 기와잇기 247

그림4-116. 상층 수막새를 동(銅)선으로 묶어 고정 247

그림4-117. 하층 북측면 수키와 잇기 완료 후 전경 247

그림4-118. 단청 완료 후 상층 어칸 248

그림4-119. 할렬부 인공수지로 충진 보강 251

그림4-120. 상층 신재 연마지 면닦기 251

그림4-121. 창방(구재) 면닦기 후 아교 포수 251

그림4-122. 뇌록가칠 2회 완료 후 251

그림4-123. 중도리 뜬창방 타분 완료 252

그림4-124. 조채 중 252

그림4-125. 삼청 도채 중 252

그림4-126. 하층 보 먹긋기 중 252

그림4-127. 숭례문에 사용된 동유와 테레빈유 252

그림4-128. 부연에 동유칠 252

그림4-129. 육축 해체 범위 평면도와 입면도 253

그림4-130. 숭례문 복구공사 완료 후 육축 남측면 254

그림4-131. 육축 해체범위 단면도 255

그림4-132. 조선 전기, 중기 지반계획(입면) 256

그림4-133. 조선 전기, 중기 지반계획(단면) 256

그림4-134. 신재 치석1 258

그림4-135. 신재 치석2 258

그림4-136. 적심석 쌓기 258

그림4-137. 남동 육축부 신재 교체 258

그림4-138. 북동 육축 쌓기 완료 후 전경 258

그림4-139. 남동 육축 교체 부재 260

그림4-140. 북동 육축 교체 부재 260

그림4-141. 남서 육축 교체 부재 260

그림4-142. 북서 육축 교체 부재 260

그림4-143. 복구공사 완료 후 육축 남측 여장 261

그림4-144. 복구공사 완료 후 육축 동측 여장 261

그림4-145. 복구공사 완료 후 육축 서측 여장 261

그림4-146. 복구공사 완료 후 육축 북측 여장 261

그림4-147. 북측면 여장 단면 262

그림4-148. 북측면 여장 단부 평면 262

그림4-149. 남측면 동측 여장 지대석과 여장쌓기 262

그림4-150. 북동측 모서리돌 옆 전돌쌓기 262

그림4-151. 협문 도리와 연목 해체 263

그림4-152. 서측 협문 지붕가구 해체 후 263

그림4-153. 서측 협문 신방목과 기둥조립 263

그림4-154. 서측 협문보뺄목 위 교체 연목 263

그림4-155. 협문 지붕 기와잇기 완료 264

그림4-156. 공사 완료 후 서측 협문 264

그림4-157. 동측 계단 및 등성석축 전경 264

그림4-158. 동축 등성석축 기초 잡석다짐 266

그림4-159. 동측 등성석축 기초 생석회 잡석다짐 266

그림4-160. 최하단 석축쌓기와 석축 내부 잡석다짐 266

그림4-161. 최하단과 2단 석축쌓기 266

그림4-162. 등성석축 쌓기와 내부 잡석다짐 266

그림4-163. 서측 등성석축 최하단 판축다짐 위 장대석 잡석설치 266

그림4-164. 엄지기둥 해체 후 진흙다짐층 267

그림4-165. 엄지기둥 진흙다짐층 하부 잡석다짐층 267

그림4-166. 기초 잡석 놓기 267

그림4-167. 잡석과 강회몰탈 267

그림4-168. 서측 계단석 설치 267

그림4-169. 서측 계단과 등성석축 267

그림4-170. 2010년 수리 전 육축과 성곽 및 계단 현황 268

그림4-171. 2012년 수리 후 육축과 성곽 및 계단 현황 268

그림4-172. 숭례문 성곽 배치도 269

그림4-173. 숭례문 성곽 입면도 270

그림4-174. 성곽 복원 완료 후 전경 270

그림4-175. 포천 석산 272

그림4-176. 포천석 원석 반입 272

그림4-177. 청진동 발굴지 장대석 활용 뒤채움석 272

그림4-178. 숭례문 주변 석축 재활용 뒤채움석 272

그림4-179. 야 꽂기 272

그림4-180. 야를 메로 내려치기 272

그림4-181. 장대석 할석 273

그림4-182. 2방향 할석 273

그림4-183. 치석 먹매김 273

그림4-184. 1면 정다듬 완료 후 273

그림4-185. 동측 성곽 복원 완료 275

그림4-186. 동측 성곽 단부 석축 해체 275

그림4-187. 터파기 275

그림4-188. 관로 주변 장대석 보강 275

그림4-189. 기초다짐 위 성곽 면석 설치 275

그림4-190. 면석 설치 276

그림4-191. 성곽 면석 쌓기 단면 276

그림4-192. 육축과 연결부 성곽 쌓기 276

그림4-193. 뒤채움석 단면 276

그림4-194. 미석과 여장석 설치 276

그림4-195. 여장 총안 이맛돌 설치 276

그림4-196. 동측 성곽 쌓기 완료 후 전경1 276

그림4-197. 동측 성곽 쌓기 완료 후 전경2 276

그림4-198. 동측 성곽 쌓기 단면 277

그림4-199. 서측 성곽 쌓기 단면 277

그림4-200. 지면에 묻혀 있던 성벽 입면 279

그림4-201. 파일 설치 279

그림4-202. 파일 위 철근콘크리트 매트 기초 배근 279

그림4-203. 매트 기초 보양 279

그림4-204. 기존 면석과 신재 쌓기 279

그림4-205. 서측 성곽 상부쌓기 - 육축연결부 279

그림4-206. 상부 판축다짐 280

그림4-207. 서측 성곽 뒤채움석 쌓기 280

그림4-208. 여장석 쌓기 280

그림4-209. 서측 성곽 여장 미석 설치 280

그림4-210. 서측 성곽과 단부 전경 280

그림4-211. 석부재 표면 이물질 제거 283

그림4-212. 수지 처리부 습식세척 283

그림4-213. 목부재 면닦이 285

그림4-214. 숭례문 복구현장에 설치된 대장간 287

그림4-215. 숭례문 전통 철물 제작 협약 287

그림4-216. 전통 철물 제작 - 제철공정 287

그림4-217. 전통 철물 제작 - 철염 287

그림4-218. 하층 스프링클러 배관 288

그림4-219. 방수총 288

그림4-220. 감시카메라 289

그림4-221. CCTV 설치 배치도 290

그림4-222. 지붕마루에 설치된 피뢰도선 291

그림4-223. 성곽여장에 설치된 쌍극자피뢰침 291

그림4-224. 피뢰설비 입면 및 단면도 291

그림4-225. 경관조명 배치도 292

그림4-226. 성곽 투광기 293

그림4-227. 성곽 매립등 293

그림4-228. 숭례문 야간조명1 293

그림4-229. 숭례문 야간조명2 293

그림4-230. 복구공사 착공전 294

그림4-231. 토석 채취장 복구 완료 후 전경 294

그림4-232. 숭례문 토공 계획도 294

그림4-233. 숭례문 지반정리 전경 296

그림4-234. 숭례문 전면부 지반정리 296

그림4-235. 발굴지 마사다짐1 296

그림4-236. 발굴지 마사다짐2 296

그림4-237. 발굴지 마사다짐 평면도 297

그림4-238. 집수정 297

그림4-239. 침투형 배수로 297

그림4-240. 화강석 배수로 298

그림4-241. 무소음 트렌치 298

그림4-242. 숭례문 우·오수 배치도 298

그림4-243. 포장공사 배치도 299

그림4-244. 숭례문 전면 마사토 포장 299

그림4-245. 숭례문 전면 출입로 화강석 판석 보수 299

그림4-246. 박석포장 배치도 300

그림4-247. 육축 전면 박석포장1 300

그림4-248. 육축 전면 박석포장2 300

그림4-249. 숭례문 조경 계획도 301

그림4-250. 숭례문 관리소 전경 302

그림4-251. 숭례문관리소 1층 평면도 303

그림5-1. 숭례문 화재(좌)와 복구 후(우) 306

그림5-2. 숭례문 단청 박락현상 308

그림5-3. 숭례문 기와 변색 309

그림5-4. 숭례문 종합점검단 1차 점검 309

그림5-5. 숭례문 단청박락 위치 310

그림5-6. 2층 문루 기둥 갈라짐 현상 311

그림5-7. 숭례문 복구 및 성곽 복원공사 타임라인 312

그림5-8. 감사 일정 321

그림5-9. 숭례문 복구사업 관련 감사원 감사의 초점 322

그림5-10. 숭례문 단청의 부실시공 유형 326

그림5-11. 화재 전과 복원 후(2013년) 남측 홍예 주변 지반비교 328

그림5-12. 숭례문 지반복구 전·후 높이 비교 329

그림5-13. 규격 변경 전·후 기와 비교 330

그림5-14. 숭례문 상량문 봉안 위치 333

그림5-15. 숭례문 복구 전·후 지반 비교 359

그림5-16. 숭례문 지반복구 보완 공사 완료 후(2015) 지반 현황 362

그림5-17. 지반복구 보완 공사 준공 전·후 비교 363

그림5-18. 2차 키워드별 보도량의 비율 369

그림5-19. 시기별 보도양의 비율 369

그림5-20. 숭례문 관련 보도, 해명 건수 375

그림6-1. 숭례문 복구현장 공개관람 인원 425

그림6-2. 대국민 정책 소통 흐름도 42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88671 951.509 -17-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8672 951.509 -17-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77742 951.509 -17-6 전자자료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