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彌勒寺址石塔 : 解體調査報告書. 5 / 國立文化財硏究所, 全羅北道 [編]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국립문화재연구소 ; 익산 :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단, 2017
청구기호
EF 951.09 -17-2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59 p. : 삽화, 도표, 설계도, 지도 ; 37 cm
총서사항
미륵사지석탑 보수정비 조사연구보고서 ; 제8호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9910396
제어번호
MONO1201730728
주기사항
부록: 사업 자문회의 ; 구조 및 설계 소위원회 ; 구조보강방안 워크숍 외
참고문헌: p. 358-359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원색화보 5

Ⅰ. 진행경과 49

1. 추진경과 50

2. 해체현황 65

3. 관계인원 68

1) 자문위원 68

2) 미륵사지석탑보수정비사업단(현재) 68

3) 조사 및 보고서 작성 68

4) 기타 관계자 69

Ⅱ. 건축조사연구 70

1. 해체 전 현황 71

1) 1층 해체 전 현황 72

2) 기단부 해체 전 현황 76

3) 계단 해체 전 현황 79

2. 해체 및 실측조사 81

1) 십자형 통로 공간 81

2) 1층 해체조사 98

3) 기단부 해체조사 106

4) 계단석 해체조사 115

5) 석인상 120

3. 사리장엄구 수습조사 123

1) 사리장엄구의 발견 123

2) 사리장엄구 수습 124

3) 사리장엄의 의의 136

4. 축기부 토층 보강방안 연구 139

1) 연구 배경 및 목적 139

2) 축기부 토층 현황조사 139

3) 1차 보강방안 연구(2011년) 140

4) 2차 보강방안 연구(2013년) 143

5) 축기부 토층 보강방안 연구 결론 148

Ⅲ. 기단부 발굴조사 149

1. 조사개요 150

1) 발굴 전 현황 150

2) 발굴 경위 및 경과 151

2. 조사내용 152

1) 초석 및 초반석 153

2) 심주 및 심초석 156

3) 기단 156

4) 탐색갱 160

5) 계단 164

3. 출토유물 166

1) 진단구 유물의 출토 현황 167

2) 유물수습 168

3) 유물조사 171

4. 조사의의 184

Ⅳ. 보존과학조사연구 188

1. 부재상태조사 189

1) 해체 현황 및 개요 189

2) 단위부재 훼손조사 190

3) 부재 중량조사 217

2. 훼손부재 보존처리 경과 221

1) 보존처리 개요 221

3. 축기부 토층 성분분석 연구 238

1) 서론 238

2) 시료선정 및 연구방법 238

3) 지질분포 239

4) 분석결과 및 해석 240

5) 고찰 256

6) 결론 259

4. 신석재 공급지 암석학적 조사연구 261

1) 서론 261

2) 현황 및 연구방법 261

3) 암석학적 동질성 해석 263

4) 결론 270

5. 출토유물 분석 및 보존처리 271

1) 석회 분석 271

2) 목탄 분석 273

3) 연화문 수막새 채색성분 분석 274

Ⅴ. 부재 보강처리 기준 연구 275

1. 연구 목적 및 방법 276

1) 연구개요 276

2) 선행연구 276

2. 실험 및 분석 281

1) 실험 프로그램 281

2) 실험결과 284

3. 결론 315

Ⅵ. 해체조사 결과 종합 318

1. 해체 전 석탑 319

1) 석탑 현황 319

2) 석탑 연혁 319

2. 해체조사 결과 322

1) 조사 내용 322

2) 성과 및 의의 328

Ⅶ. 부록(회의) 333

1. 사업 자문회의 334

1) 2009년 제 4차 자문회의(17차) 334

2) 2010년 제 1차 자문회의(18차) 335

3) 2011년 제 1차 자문회의(19회) 337

4) 2011년 제 2차 자문회의(20회) 339

2. 구조 및 설계 소위원회 340

1) 2010년 제 1차 구조분야소위원회(1회) 340

2) 2010년 제 1차 건축설계소위원회(2회) 342

3) 2011년 제 2차 구조분야소위원회(3회) 343

3. 구조보강방안 워크숍 345

4. 미륵사 국제학술심포지엄(2010) 346

5.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 국제포럼(2011) 349

참고문헌 352

판권기 354

표 2-1. 1층 초석의 위치 및 높이 비교 73

표 2-2. 초석 및 초반석 높이 비교 75

표 2-3. 통로천장석 각부 치수 83

표 2-4. 상귀천장받침석 각부 치수 85

표 2-5. 상천장받침석 각부 치수 86

표 2-6. 하귀천장받침석 각부 치수 88

표 2-7. 하천장받침석 각부 치수 88

표 2-8. 상귀통로면석 각부 치수 90

표 2-9. 상통로면석 각부 치수 91

표 2-10. 중통로면석 각부 치수 92

표 2-11. 하귀통로면석 각부 치수 94

표 2-12. 하통로면석 각부 치수 94

표 2-13. 통로바닥석 각부 치수 96

표 2-14. 심주석 각부 치수 97

표 2-15. 심초석 각부 치수 98

표 2-16. 하인방석 각부 치수 100

표 2-17. 고막이석 각부 치수 101

표 2-18. 주초석 각부 치수 103

표 2-19. 초반석 각부 치수 105

표 2-20. 상층기단면석 각부 치수 107

표 2-21. 상층기단귀지대석 각부 치수 110

표 2-22. 상층기단지대석 각부 치수 110

표 2-23. 하층기단갑석 각부 치수 112

표 2-24. 하층기단지대석(귀) 각부 치수 114

표 2-25. 하층기단지대석 각부 치수 114

표 2-26. 계단지대석 각부 치수 116

표 2-27. 계단디딤석 각부 치수 117

표 2-28. 계단지복석 각부 치수 118

표 2-29. 계단면석 각부 치수 118

표 2-30. 소매석 각부 치수 119

표 2-31. 탑구석 각부 치수 120

표 2-32. 석인상 각부 치수 121

표 2-33. 석인상받침석 각부 치수 122

표 2-34. 유물 수습 과정 125

표 2-35. 사리장엄 발견 유물 현황 137

표 2-36. 기단 내부 적심토층 평판재하시험 결과 140

표 2-37. 1차 보강방안 연구 시험체 제작도 141

표 2-38. 1차 보강방안 연구 추진과정(2011. 3~2011.5) 142

표 2-39. 1차연구 시험체 제작 및 허용 지지력 비교(2011년) 143

표 2-40. 2차 보강방안 연구 시험체A 제작과정(2013. 5~2013. 7) 145

표 2-41. 2차 보강방안 연구 시험체B 제작과정(2013. 5~2013. 6) 146

표 2-42. 2차연구 시험체 제작 및 허용지지력 비교(2013년) 146

표 2-43. 1차연구와 2차연구 비교(기존 토층 재현) 147

표 2-44. 함수율 변화에 따른 장기허용지지력 비교 147

표 2-45. 1ㆍ2차연구 비교(무기질재료 보강) 148

표 2-46. 축기부 토층 보강방안의 허용지지력 비교 148

표 3-1. 진단구 출토유물 현황 170

표 3-2. 유리구슬 현황 173

표 3-3. 미륵사지 출토 청동뒤꽂이 현황 175

표 4-1. 석탑 해체부재 현황 189

표 4-2. 연도별 석탑 해체수량 190

표 4-3. 하인방석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191

표 4-4. 고막이석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192

표 4-5. 주초석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193

표 4-6. 초반석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194

표 4-7. 상층기단면석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196

표 4-8. 상층기단지대석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197

표 4-9. 하층기단갑석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199

표 4-10. 하층기단지대석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200

표 4-11. 계단부재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202

표 4-12. 석인상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203

표 4-13. 통로천장석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205

표 4-14. 천장받침석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208

표 4-15. 통로면석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211

표 4-16. 통로바닥석 유형별 훼손 현황조사 214

표 4-17. 1층부 적심석(일부) 216

표 4-18. 석탑 부재 중량조사 217

표 4-19. 1층 및 기단부, 계단 외부부재 중량조사 219

표 4-20. 십자통로 및 적심부재 중량조사 220

표 4-21. 풍화도에 따른 금속보강재 설계기준 227

표 4-22. 파괴유형에 따른 금속보강재 위치 선정 228

표 4-23. 충전제 및 활용 방법 228

표 4-24. 화강암과 충전제의 압축강도 228

표 4-25. 접합용도에 따른 배합비 229

표 4-26. 보존처리 현황 231

표 4-27. 2009년 보존처리 현황 232

표 4-28. 2010년 보존처리 현황 233

표 4-29. 2011년 보존처리 현황 235

표 4-30. 미륵사지 조성층, 석탑 축기부, 기단 조성층 및 주변 지역 토양의 색도 평균값 241

표 4-31. 미륵사지 석탑 사지 조성층 및 석탑 축기부 토양의 색도값 242

표 4-32. 미륵사지 석탑 기단 조성층 및 주변 지역 토양의 색도값 242

표 4-33. 입경에 의한 흙의 분류 248

표 4-34. 미륵사지 조성층, 석탑 축기부, 기단 조성층 및 주변 지역 토양의 입도분석 결과 248

표 4-35. 미륵사지 조성층, 석탑 축기부, 기단 조성층 및 주변 지역 토양의 주성분원소 함량(wt.) 253

표 4-36. 미륵사지 조성층, 석탑 축기부, 기단 조성층 및 주변 지역 토양의 미량원소 함량(ppm) 254

표 4-37. 미륵사지 조성층, 석탑 축기부, 기단 조성층 및 주변 지역 토양의 희토류원소 함량(ppm) 255

표 4-38. 미륵사지 석탑 판축 토양의 분석 결과 요약 259

표 4-39. 미륵사지 석탑 암석과 주변 채석장 암석의 주성분 원소(wt.) 함량 265

표 4-40. 미륵사지 석탑 암석과 주변 채석장 암석의 미량원소(ppm) 함량 267

표 5-1. 실험체 제작 규격 276

표 5-2. 실험체 일람표 및 실험결과 277

표 5-3. 실험체 제작 규격 278

표 5-4. 실험체 일람표 278

표 5-5. 실험결과 278

표 5-6. 스테인리스와 티타늄 재료물성치 비교 281

표 5-7. 실험체 일람표 가력방법 282

표 5-8. 실험체 가력 조건보강재 삽입 위치 282

표 5-9. 최대 강도 및 변위 303

표 5-10. 실험체 조건 및 실험결과 303

표 5-11. 실험체 조건 및 실험결과 304

표 5-12. 실험체 조건 305

표 5-13. 실험 결과 305

표 5-14. 실험체 조건 및 실험결과 306

표 5-15. 실험체 조건 및 실험결과 307

표 5-16. 실험체 조건 308

표 5-17. 실험 결과 308

표 5-18. 금속봉 최대하중 일 때 위치별 변위 314

표 5-19. 휨 실험체의 파괴계수 314

표 5-20. 화강암 파괴시 금속봉의 부담능력 315

표 6-1. 미륵사지 석탑 관련 주요 기록 및 자료 321

표 6-2.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사업 관련 주요 성과(1998년~2015년) 329

그림 2-1. 동탑지 기단 발굴 평면도 73

그림 2-2. 초반석 설치 단면 현황도 75

그림 2-3. 미륵사지 석탑 심주 단면도 75

그림 2-4. 미륵사지 석탑 기단 단면도(상층기단갑석 유실) 77

그림 2-5. 상층기단 부재의 기울기 현황 78

그림 2-6. 금동제사리외호 도면 128

그림 2-7. 금제사리내호 도면 129

그림 2-8. 금제사리봉영기 원문(뒤/앞) 130

그림 2-9. 시험체A 제작도(2차연구) 144

그림 2-10. 시험체B 제작도(2차연구) 144

그림 3-1. 해체 전 석탑 1층 및 기단 평면도 151

그림 3-2. 1차 발굴조사 후 평면 및 단면 152

그림 3-3. 초석 발굴 평면 및 단면 153

그림 3-4. 초반석 발굴 평면도 154

그림 3-5. 발굴조사 완료 후 평면도 및 단면도 157

그림 3-6. 동-서(A-A') 토층도 161

그림 3-7. 서측 탐색갱 평면 및 단면 161

그림 3-8. 서측 탐색갱 토층도 161

그림 3-9. 동측 탐색갱 평면 및 단면 163

그림 3-10. 동측 탐색갱 토층도 163

그림 3-11. 남서측 석인상 주변 탐색 토층도 164

그림 3-12. 서측 계단부 탐색갱 토층도 166

그림 3-13. 진단구 유물 출토 위치 167

그림 3-14. 1차 유물수습 위치 168

그림 3-15. 유물 수습 위치 169

그림 3-16. 토제나발 도면 171

그림 3-17. 관옥 도면(좌:갈색, 우:청색) 171

그림 3-18. 홍옥 도면 172

그림 3-19. 곡옥 도면 172

그림 3-20. 청동뒤꽂이 도면 174

그림 3-21. 청동고리 도면 175

그림 3-22. 청동경첩 도면 176

그림 3-23. 청동요대장식 도면 176

그림 3-24. 족집게형 장식 도면 177

그림 3-25. 청동투각 편 도면 178

그림 3-26. 청동못 도면 178

그림 3-27. 청동반구형 장식 도면 179

그림 3-28. 청동제 구슬 도면 179

그림 3-29. 금동제구슬 도면 180

그림 3-30. 인동문과 바람잎형 금동장식편 도면 180

그림 3-31. 은제장식 도면 181

그림 3-32. 방추차 도면 182

그림 3-33. 출토된 탄화미 계측비교 183

그림 3-34. 미륵사지 동탑지 기단 내ㆍ외부 토층 단면도(서→동), 동탑지 발굴조사보고서, 1992 185

그림 3-35. 미륵사지 서원 석탑의 기단토 굴광범위 및 토층 현황도 186

그림 4-1. 십자통로 내부 입면도 204

그림 4-2. 통로바닥석 위치별 부재명 213

그림 4-3. 미륵사지 석탑 내ㆍ외부 온ㆍ습도(2003~2006) 221

그림 4-4. 미륵사지 풍향ㆍ풍속(2003~2005) 222

그림 4-5. 미륵사지 강수량(2004~2006) 222

그림 4-6. 물리학적 훼손지도 222

그림 4-7. 화학적 훼손지도 222

그림 4-8. 생물학적 풍화 훼손지도 222

그림 4-9. 단위부재별 상태조사카드 작성(예시) 223

그림 4-10. 보존처리기록카드(예시) 224

그림 4-11. 구조보강 방법 실험 227

그림 4-12. 오염물질 저감 관리방안 231

그림 4-13. 미륵사지 조성층 및 석탑 축기부 토양시료 수습지점 238

그림 4-14. 익산 미륵사지 일대 심토의 토성분포도 240

그림 4-15. 익산 미륵사지 일대 표토의 토성분포도 240

그림 4-16/사진 4-16. 석탑 축기부, 사지 조성층 및 주변 지역 토양의 색도측정 결과 241

그림 4-17. 사지 조성층 토양의 전암대자율 값 243

그림 4-18. 석탑 축기부 토양의 전암대자율 값 243

그림 4-19. 석탑 축기부 토양의 전암대자율 값 244

그림 4-20. 사지 주변 지역 토양의 전암대자율 값 244

그림 4-21. 사지 조성층 및 석탑 축기부 토양 관찰 244

그림 4-22. 석탑 축기부 및 기단 조성층, 주변토양 관찰 244

그림 4-23. 미륵사지 조성층 토양의 편광현미경 관찰 245

그림 4-24. 석탑축기부, 기단 조성층 및 주변 지역 토양의 편광현미경 관찰 245

그림 4-25. 미륵사지 조성층, 석탑 축기부, 기단 조성층 및 주변 지역의 토양 시료에 대하여 X-선 회절분석 결과 246

그림 4-26. 일부 토양 시료의 SEM-EDS분석 결과 246

그림 4-27. 사지 조성층 토양의 X-선 회절분석 결과 246

그림 4-28. 석탑 축기부 및 기단 조성층 그리고 주변 지역 토양의 X-선 회절분석 결과 247

그림 4-29. 모래-미사-점토의 삼각도표.(A) 사지 조성층 토양,(B) 석탑 축기부 토양 250

그림 4-30. 모래-미사-점토의 삼각도표.(A) 기단 조성층 토양,(B) 미륵사지 주변 지역 토양 250

그림 4-31. 자갈-모래-미사 및 점토의 삼각도표.(A) 사지 조성층 토양,(B) 석탑 축기부 토양 250

그림 4-32. 자갈-모래-미사 및 점토의 삼각도표.(A) 기단 조성층 토양,(B) 미륵사지 주변 지역 토양 250

그림 4-33. 토양의 입도분포곡선(A) 사지 조성층,(B) 석탑 축기부 251

그림 4-34. 토양의 입도분포곡선(A) 기단 조성층,(B) 주변 지역 251

그림 4-35. 미륵사지 석탑 충기부 토양성분 분석 및 조사연구 256

그림 4-36. 미륵사지 석탑 축기부 토양의 A-CN-K(A), A-CNK-FM(B) 삼각도 257

그림 4-37. 미륵사지 석탑 축기부 토양의(Al₂O₃/SiO₂)-(Fe₂O₃/SiO₂) 관계도(A)와 RO₂-(RO+R₂O) 관계도 258

그림 4-38. 미륵사지 석탑 복원을 위한 신석재 공급지 현황 262

그림 4-39. 미륵사지 석탑의 구성암석과 주변 채석장의 전암대자율 값 263

그림 4-40. 구성암석의 산출상태 및 편광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264

그림 4-41. 미륵사지 주변 채석장 암석과 석탑 암석의 X-선 회절분석 결과 265

그림 4-42. 미륵사지 석탑 암석과 주변 채석장 암석의 주성분원소 비교도 266

그림 4-43. 미륵사지 석탑 암석과 주변 채석장 암석의 SiO₂-(CaO+MgO)-Al₂O₃ 조성에 도시한 삼각도 266

그림 4-44. 미륵사지 석탑 암석과 주변 채석장 암석 조성의 Si₂O-Fe₂O₃와 SiO₂-Al₂O₃ 관계도 266

그림 4-45. 미륵사지 석탑 암석과 주변 채석장 암석 조성의 A-CN-K와 A-CNK-FM 삼각도 267

그림 4-46. 미륵사지 석탑 암석과 주변 채석장 암석의 미량원소 비교도 268

그림 4-47. 미륵사지 석탑 암석과 주변 채석장 암석의 희토류 원소 비교도 268

그림 4-48. 미륵사지 석탑 암석과 주변 채석장 암석의 호정 불호정 원소 비교도 268

그림 4-49. 미륵사지 석탑 주변 채석장 암석의 물성평가 비교도 269

그림 4-50. 석회 및 목탄 출토 위치 271

그림 4-51. 채색된 연화문 수막새 출토 위치 271

그림 4-52. 통로바닥석 형태 272

그림 4-53. 십자통로 하부 토층에서 출토된 석회의 X-선회절분석 결과 272

그림 4-54. 십자통로 하부 토층에서 출토된 석회의 SEM-EDX 분석 결과 273

그림 4-55. 방사선연대측정 결과 273

그림 4-56. 연판 분석 지첨(채색된 부분) 및 검출 그래프 274

그림 4-57. 주연 분석 지점(채색되지 않은 부분) 및 검출 그래프 274

그림 5-1. 실험 거동 형태 279

그림 5-2. 금속보강비에 대한 P-δ 그래프 280

그림 5-3. 휨강도와 작용 모멘트 다이어그램1 280

그림 5-4. 휨강도와 작용 모멘트 다이어그램2 280

그림 5-5. 실험방법 281

그림 5-6. 휨 실험체 가력방법 283

그림 5-7. 금속 보강재 위치 283

그림 5-8. 휨실험체 보강 방법 283

그림 5-9. B5 실험체의 하중-변위 관계 및 파괴 양상 284

그림 5-10. B6 실험체의 하중-변위 관계 및 파괴 양상 285

그림 5-11. B7 실험체의 하중-변위 관계 및 파괴 양상 285

그림 5-12. B8 실험체의 하중-변위 관계 및 파괴 양상 286

그림 5-13. B8 실험체의 하중-변위 관계 및 파괴 양상 286

그림 5-14. B1 실험 결과 287

그림 5-15. B2 실험 결과 288

그림 5-16. B3 실험 결과 289

그림 5-17. B4 실험 결과 290

그림 5-18. B9 실험 결과 291

그림 5-19. B10 실험 결과 292

그림 5-20. B11 실험 결과 293

그림 5-21. B12 실험 결과 294

그림 5-22. B13 실험 결과 295

그림 5-23. B14 실험 결과 296

그림 5-24. B15 실험 결과 297

그림 5-25. B16 실험 결과 298

그림 5-26. B17 실험 결과 299

그림 5-27. B18 실험 결과 300

그림 5-28. B19 실험 결과 301

그림 5-29. B20 실험 결과 302

그림 5-30. B20 실험 결과 304

그림 5-31. 실험체 하중-변위 비교 그래프 304

그림 5-32. 실험체 하중-변위 비교 그래프 305

그림 5-33. 보강재 종류에 따른 하중-변위 비교 그래프 305

그림 5-34. 실험체 하중-변위 비교 그래프(B3, B9) 306

그림 5-35. 실험체 하중-변위 비교 그래프 306

그림 5-36. 보강재 종류에 따른 하중-변위 비교 그래프 307

그림 5-37. 실험체 하중-변위 비교 그래프(B12, B19) 307

그림 5-38. 실험체 하중-변위 비교 그래프(B3, B20) 308

그림 5-39. 보강재 종류에 따른 하중-변위 비교 그래프 308

그림 5-40. 보강재 종류에 따른 하중-변위 비교 그래프 308

그림 5-41. 휨실험체 보강 효과 309

그림 5-42. 휨실험체 금속보강물의 변형능력(1~8) 310

그림 5-42. 휨실험체 금속보강물의 변형능력(9~16) 311

그림 5-42. 휨실험체 금속보강물의 변형능력(17~24) 312

그림 5-42. 휨실험체 금속보강물의 변형능력(25~32) 313

그림 5-43. 금속봉 위치별 게이지 명 314

그림 5-44. 휨강도와 작용 모멘트 다이어그램(가력방법) 316

그림 5-45. 금속보강비에 대한 P-δ 그래프 316

그림 5-46. 실험 결과 그래프 316

그림 5-47. 휨강도와 작용 모멘트 다이어그램 2 317

그림 6-1. 1915년 공사 전 실측도 및 설계도 322

사진 1-1. 석축 해체 중 남서측 전경 50

사진 1-2. 사리장엄구 발견 당시 모습 50

사진 1-3. 사리봉영기(앞면) 50

사진 1-4. 석탑 해체 완료 후 전체평면 51

사진 1-5. 제14차 자문회의 53

사진 1-6. 사리장엄구 발견 및 수습 53

사진 1-7. 사리장엄구 기자설명회 53

사진 1-8. 제15차 자문회의 53

사진 1-9. 현장공개설명 54

사진 1-10. 1층 십자통로면석 해체조사 54

사진 1-11. 1층 적심석 해체조사 54

사진 1-12. 심주석 사리공 3D스캔 54

사진 1-13. 석인상 3D스캔 55

사진 1-14. 파손부재 보강 및 접합 55

사진 1-15. 해체부재 상태조사(광학현미경) 55

사진 1-16. 제16차 자문회의 55

사진 1-17. 고막이석 해체조사 56

사진 1-18. 기단부 발굴조사 개토제 56

사진 1-19. 십자통로 바닥석 해체조사 56

사진 1-20. 석탑 하부 지반 GPR탐사 56

사진 1-21. 기단부 발굴조사(북측 상층기단) 57

사진 1-22. 기단부 3D스캔 57

사진 1-23. 초석 해체조사 57

사진 1-24. 기단부 발굴조사(서측 트렌치) 57

사진 1-25. 트렌치 내부 3D스캔 58

사진 1-26. 평판재하시험 58

사진 1-27. 석인상 해체조사 58

사진 1-28. 국제학술심포지엄 58

사진 1-29. 파손된 초석 고정작업 59

사진 1-30. 부재 보강처리연구 실험체 제작 59

사진 1-31. 부재표면 상태조사(광학현미경) 59

사진 1-32. 건축설계 소위원회 자문회의 59

사진 1-33. 기초토층 전사작업 60

사진 1-34. 해체부재 적재장 전경 60

사진 1-35. 해체부재 3D스캔 60

사진 1-36. 파손부재 보형처리 후 표면가공 60

사진 1-37. 부재표면 오염물 세척 61

사진 1-38. 제19차 자문회의 61

사진 1-39. 구조분야 소위원회 자문회의 61

사진 1-40. 재사용 수습부재 3D스캔 61

사진 1-41. 사리장엄구 유물 3D스캔 정밀조사 62

사진 1-42. 축기부 토층 보강방안연구 시험체 제작(손달고) 62

사진 1-43. 축기부 토층 보강방안연구 시험체 제작(기계다짐) 62

사진 1-44. 시험체 평판재하시험 62

사진 1-45. 훼손부재 수지보형 후 표면가공 63

사진 1-46. 훼손부재 균열부 충전 63

사진 1-47.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 국제포럼 63

사진 1-48. 석탑 정밀모형 보완제작 63

사진 2-1. 기둥석 해체 후 전체 평면 71

사진 2-2. 해체 전 미륵사지 석탑 71

사진 2-3. 하인방석 해체 전 현황(동측) 72

사진 2-4. 고막이석 해체 전 현황(동측) 72

사진 2-5. 기단부 적심의 돌출된 부정형 석재 72

사진 2-6. 초석 해체 전 현황(남측) 73

사진 2-7. 초반석 발견 당시 현황 74

사진 2-8. 초반석 해체 전 현황 74

사진 2-9. 초석과 초반석 74

사진 2-10. 초반석 해체 전(남동측) 74

사진 2-11. 찰주받침으로 추정되는 4층 심주석(IN14-LEV옥받15) 76

사진 2-12. 두 번째 심주석(IN1-LEV초석33) 해체 전 현황 76

사진 2-13. 첫 번째 심주석(IN1-LEV초석21) 해체 전 현황 76

사진 2-14. 해체 전 초석 및 기단부 전경 76

사진 2-15. 해체 전 기단부 현황 77

사진 2-16. 남측 하층기단부 전경 77

사진 2-17. 상층기단면석 뒷채움 상태 78

사진 2-18. 상층기단우주(남동측 모서리) 78

사진 2-19. 해체 전 상층기단 전경 79

사진 2-20. 남측 계단디딤석 79

사진 2-21. 남측 계단소매석 79

사진 2-22. 계단 해체 전 현황 80

사진 2-23. 미륵사지 내 계단 현황 80

사진 2-24. 통로천장석 해체 전 평면 81

사진 2-25. 통로천장석 해체 전 평면 81

사진 2-26. 상천장받침석 해체 전 평면 84

사진 2-27. 'I'자형 보강철물흔적 85

사진 2-28. 하천장받침석 해체 전 평면 87

사진 2-29. 하천장받침석 해체 후 현황 87

사진 2-30. 상통로면석 해체 전 평면 89

사진 2-31. 중통로면석 해체 전 평면 91

사진 2-32. 하통로면석 해체 전 평면 92

사진 2-33. 통로바닥석 해체 전 평면 95

사진 2-34. 심주 및 심초석 해체 전 평면 96

사진 2-35. IN1-LEV초석21(심주석) 97

사진 2-36. IN1-LEV초석22(심초석) 97

사진 2-37. 해체 전 하인방석 평면 98

사진 2-38. 미륵사지 석탑 문인방석 부재 98

사진 2-39. 해체 전 고막이석 평면 100

사진 2-40. 해체 전 초석 평면 102

사진 2-41. 기둥자리 흔적(SE1-귀주초석) 102

사진 2-42. 철편 흔적(N1-주초석2) 102

사진 2-43. 해체 후 초반석 104

사진 2-44. 해체 전 초반석 평면 104

사진 2-45. 상층기단면석 해체 전 평면 106

사진 2-46. 상층기단지대석 해체 전 평면 108

사진 2-47. 하층기단갑석 해체 전 평면 111

사진 2-48. 하층기단지대석 해체 전 평면 113

사진 2-49. 계단지대석 해체 전 평면 115

사진 2-50. 계단디딤석 해체 전 평면2 116

사진 2-51. 계단지복석 해체 전 평면 117

사진 2-52. 계단면석 해체 전 평면 118

사진 2-53. 계단소매석 해체 전 평면 119

사진 2-54. 탑구석 해체 전 평면 119

사진 2-55. 남서 석인상 발견 현황 120

사진 2-56. 석인상 해체 전 평면 120

사진 2-57. 석인상 121

사진 2-58. 1층 해체 중 전경 123

사진 2-59/그림 2-59. 사리장엄구 발견당시 모습 123

사진 2-60. 사리장엄구 최초 노출 상태 124

사진 2-61. 유물 수습 전 사리공 내부 모습 124

사진 2-62. 유물 수습 전 현황조사(3D스캔) 125

사진 2-63. 금동제사리외호 수습 126

사진 2-64. 금제사리봉영기 수습 126

사진 2-65. 2차 수습 전 상태 126

사진 2-66. 은제관식 수습 127

사진 2-67. 직물 및 청동합 수습 127

사진 2-68. 도자 수습 127

사진 2-69. 3차 수습 전 상태 127

사진 2-70. 4차 수습 전 상태 127

사진 2-71. 5차 수습 전 상태 128

사진 2-72. 금동제사리외호 뚜껑 개봉 128

사진 2-73. 사리외호 내부 X-r ay 조사 128

사진 2-74. 금제사리봉영기 임시경화처리 128

사진 2-75. 금동제사리외호 128

사진 2-76. 금동제사리외호 상ㆍ하 및 뚜껑 분리 후 129

사진 2-77. 금동제사리외호 문양 상세 129

사진 2-78. 금제사리내호 129

사진 2-79. 금제사리내호 상하 분리 129

사진 2-80. 사리 13과 129

사진 2-81. 사리병 구연부와 뚜껑 130

사진 2-82. 금제사리봉영기(뒤/앞) 130

사진 2-83. 금판 명문 상세 132

사진 2-84. 금판 132

사진 2-85. 금제족집게 132

사진 2-86. 청동합 133

사진 2-87. 청동합-1 명문 133

사진 2-88. 곡옥(청동합-4) 133

사진 2-89. 청동합-4 내부유물 133

사진 2-90. 청동합-5 내부유물 133

사진 2-91. 은제과대장식(띠드리개장식/과판) 133

사진 2-92. 은제관식 134

사진 2-93. 유리판 134

사진 2-94. 유리구슬(사리공 내) 135

사진 2-95. 금제구슬(외호 내) 135

사진 2-96. 진주구슬 135

사진 2-97. 광물(자수정) 135

사진 2-98. 마노(청동합-4) 135

사진 2-99. 도자 135

사진 2-100. 직물류 136

사진 2-101. 평판재하시험 139

사진 2-102. 평판재하시험 과정 141

사진 2-103. 1차 연구 흙다짐 현황 144

사진 2-104. 기존 토층 재현과 보강안 비교(좌-2011, 우-2013) 147

사진 2-105. 무기질재료 보강안 비교(좌-2011, 우-2013) 147

사진 3-1. 석축 및 1층 해체 중 전경 150

사진 3-2. 발굴조사 전 기단 및 1층 전체평면 150

사진 3-3. 초석 및 적심석 노출 상태 153

사진 3-4. 기단토 제거 후 전경(북서에서) 153

사진 3-5. 초반석 발굴 전경(서에서) 155

사진 3-6. 초반석 및 지대석 해체 전 155

사진 3-7. 남동측 구역 초반석 노출상태 155

사진 3-8. 북서측 구역 초반석 노출 상태 155

사진 3-9. 남동측 초반석 해체 후 바닥상태 155

사진 3-10/그림 3-10. 남측 초반석 해체 후 바닥상태 155

사진 3-11. 심주 및 심초석(서남측) 156

사진 3-12. 심초석 해체 후 바닥 상태 156

사진 3-13. 초반석 해체 후 전체평면 156

사진 3-14. 남동측 구역 발굴 현황 158

사진 3-15. 북동측 구역 발굴 현황 158

사진 3-16. 북서측 구역 발굴 현황 158

사진 3-17. 남서측 구역 발굴 현황 158

사진 3-18. 달구질 흔적 158

사진 3-19. 서측 둑 상세 159

사진 3-20. 남측 둑 상세 159

사진 3-21. 북측 둑 상세 159

사진 3-22. 서측 탐색갱 내부 160

사진 3-23. 서측 다침층 굴광선 160

사진 3-24. 서측 성토층 상세(동-서) 160

사진 3-25. 동측 탐색갱 내부 162

사진 3-26. 동측 다짐층 굴광선 162

사진 3-27. 동측 성토층 상세(서-동) 162

사진 3-28. 남서측 석인상 164

사진 3-29. 남서측 석인상 하부 164

사진 3-30. 동측 계단 165

사진 3-31. 북측 계단 165

사진 3-32. 서측 계단 165

사진 3-33. 남측 계단 165

사진 3-34. 서측 계단 발굴 현황 166

사진 3-35. 북축 계단 발굴 현황 166

사진 3-36. 수습된 토제나발 171

사진 3-37. 갈색과 청색 관옥 171

사진 3-38. 홍옥 172

사진 3-39. 곡옥 172

사진 3-40. 수습된 유리구슬류 173

사진 3-41. 수습된 유리장식 편 173

사진 3-42. 미륵사지 출토 원추형 유리유물 173

사진 3-43. 수습된 유리 편 173

사진 3-44. 수습된 청동뒤꽂이 174

사진 3-45. 미륵사지 출토 뒤꽂이 174

사진 3-46. 십자통로 바닥 하부 토층에서 수습된 청동고리 175

사진 3-47. 수습된 청동경첩 176

사진 3-48. 수습된 청동요대장식 176

사진 3-49. 미륵사지 출토 청동요대장식 177

사진 3-50. 수습된 족집게형 장식 177

사진 3-51. 석탑 사리공 내 금제족집게 177

사진 3-52. 수습된 청동투각 편 178

사진 3-53. 수습된 청동못 178

사진 3-54. 수습된 청동반구형 장식 179

사진 3-55. 수습된 청동제 구슬 179

사진 3-56. 여러 형태의 청동제 편 179

사진 3-57. 금동제구슬 180

사진 3-58. 인동문과 바람잎형 금동장식편 180

사진 3-59. 수습된 금박토제품 편 180

사진 3-60. 금박 편 181

사진 3-61. 수습된 은제장식 181

사진 3-62. 김포 운양동(좌)과 중국 길림성(우)에서 출토된 금제이식 181

사진 3-63. 다양한 형태의 철제품 182

사진 3-64. 수습된 수정 182

사진 3-65. 수습된 방추차(추정) 182

사진 3-66. 수습된 바둑돌 183

사진 3-67. 미륵사지 출토 바둑돌 183

사진 3-68. 수습된 탄화미 183

사진 3-69. 사리장엄구 심주석의 석회 산출상태 184

사진 3-70. 수습된 석회편 184

사진 3-71. 수습된 목탄 184

사진 3-72. 초석 및 초반석 185

사진 3-73. 미륵사지 금당지(서원) 185

사진 3-74. 심초석(해체 전) 185

사진 3-75. 심초석(해체 후) 185

사진 4-1. E1-하인방석3(절단 및 부재편 판상박리) 191

사진 4-2. N1-하인방석2(절단 및 페인트) 191

사진 4-3. S1-하인방석1(절단 및 결실부 몰탈 보형) 191

사진 4-4. W1-하인방석3(절단 및 석편) 191

사진 4-5. E1-고막이석3(흑화 및 황변) 192

사진 4-6. N1-고막이석1(하중에 의한 부재 절단) 192

사진 4-7. N1-고막이석3(하단부 중첩균열 발달) 192

사진 4-8. S1-고막이석3(노출부 침식과 변색) 192

사진 4-9. E-주초석1(흑색오염물과 쐐기자국) 193

사진 4-10. N-주초석2(흑색오염물과 철편 산화) 193

사진 4-11. S-주초석1(하단부 페그마타이트 세맥) 193

사진 4-12. W-주초석2(절단 및 철편 산화) 193

사진 4-13. N1-초반석1(절단) 194

사진 4-14. W1-초반석2(절리면 균열 및 판상박리) 194

사진 4-15. NW1-초반석(절단) 194

사진 4-16. SE1-초반석 석재(쐐기자국) 194

사진 4-17. E-상층기단면석1(표면풍화 및 오염) 195

사진 4-18. N-상층기단면석1(측면 절리면 균열 발달) 195

사진 4-19. S-상층기단면석1(모서리 파손분리 및 생물서식) 195

사진 4-20. W-상층기단면석4(표면 결실 및 박리박락) 195

사진 4-21. E-상층기단지대석1(절단) 197

사진 4-22. N-상층기단지대석5(부분 결실) 197

사진 4-23. S-상층기단지대석1(쐐기자국) 197

사진 4-24. W-상층기단지대석2(절단) 197

사진 4-25. E-하층기단갑석3(절단 및 결실) 198

사진 4-26. S-하층기단갑석2(절단 및 결실, 세맥) 198

사진 4-27. S-하층기단갑석6(결실 및 절단, 입상분해) 198

사진 4-28. SE-하층기단귀갑석(결실 및 박리박락, 흑색오염물) 198

사진 4-29. E-하층기단지대석1(쐐기자국) 200

사진 4-30. N-하층기단지대석2(쐐기자국) 200

사진 4-31. S-하층기단지대석2(하중에 의한 절단) 200

사진 4-32. W-하층기단지대석3(노출면과 비노출면의 경계 균열) 200

사진 4-33. S-소매석1(절단) 201

사진 4-34. N-계단지대석1(절단) 201

사진 4-35. S-계단디딤석1(후면 쐐기자국) 201

사진 4-36. E-탑구석1(절리면 균열 및 모서리 마모) 201

사진 4-37. NE-석인상(흑색피각 및 삭박) 203

사진 4-38. NW-석인상(머리 부분 일부 결실 및 삭박) 203

사진 4-39. SE-석인상(생물서식 및 흑색오염물) 203

사진 4-40. SW-석인상(선명한 도상 및 흑색오염물) 203

사진 4-41. E1-통로천장석3(절단 및 보강철물 흔적 205

사진 4-42. N1-통로천장석3(절단 및 흑색오염물) 205

사진 4-43. S1-통로천장석2(모서리 결실) 205

사진 4-44. W1-통로천장석1(흑색 및 백화오염물) 205

사진 4-45. EL1-상천장받침석2(철물 고정 홈 및 다양한 오염물(흑화, 황변, 석회잔류물, 적화)) 206

사진 4-46. ER1-상천장받침석1(절단 및 철물 고정 홈 그리고 다양한 오염물(흑화, 백화, 페인트, 생물식생)) 206

사진 4-47. NL1-상천장받침석2(절단 및 철물 보강 홈 등의 다양한 변색물) 206

사진 4-48. NR1-상천장받침석2(양면에 2단 내밀기, 철물 보강 홈 및 다양한 오염물) 206

사진 4-49. SL1-상천장받침석2(수직균열, 박리박락, 흑색오염물 피각) 207

사진 4-50. SR1-상천장받침석1(결실 및 박리박락, 흑색오염물 피각) 207

사진 4-51. WL1-상천장받침석3(하중에 의한 균열과 박리박락, 흑색오염물 변색) 207

사진 4-52. WR1-상천장받침석1(흑색오염물 변색) 207

사진 4-53. NE1-상귀천장받침석(절단 및 광물산화, 흑색오염물 변색) 208

사진 4-54. NW1-귀천장받침석(흑색오염물 변색 및 수직균열 발달) 208

사진 4-55. EL1-상통로면석1(절단 및 결실, 흑색오염물 피각, 시멘트, 생물식생) 209

사진 4-56. NL1-상통로면석2(수직균열, 흑화 및 백화, 묵서) 209

사진 4-57. NR1-상통로면석3(절단 및 박리박락) 209

사진 4-58. SL1-상통로면석1(박리박락, 음각 낙서, 철문 고정홈과 시멘트 몰탈) 209

사진 4-59. NL1-중통로면석1('L'형 가공부재, 중첩 균열 및 석회잔유물) 210

사진 4-60. EL1-중통로면석1(절단 및 흑색오염물) 210

사진 4-61. EL1-하통로면석3(절단 및 유상반점) 211

사진 4-62. NR1-하통로면석1(석편 및 유상반점) 211

사진 4-63. SL1-하통로면석1(절단 및 균열) 211

사진 4-64. SR1-하통로면석3(절단 및 입자상 분해) 211

사진 4-65. E1-통로바닥석2(표면 거친 다듬) 213

사진 4-66. N1-통로바닥석1(모서리 결실) 213

사진 4-67. S1-통로바닥석4(산화 및 페인트 흔적) 213

사진 4-68. W1-통로바닥석2(부재 절단 및 석편, 부재 일부 결실) 213

사진 4-69. IN1-LEV탑신석33(바닥면 회 바름, 묵흔, 흑색오염물 변색) 215

사진 4-70. IN-LEV초석21(상면 회 바름, 묵흔, 흑색 및 백색 오염물 변색) 215

사진 4-71. IN1-LEV탑신석24(쐐기자국과 절단) 215

사진 4-72. IN-LEV초석30(절단 및 산화변색) 215

사진 4-73. IN-LEV초석2(절단 및 부분 결실) 215

사진 4-74. N-LEV초석2(절단 및 박리박락) 215

사진 4-75. 석재보형 보존처리 225

사진 4-76. 수지보형 보존처리 226

사진 4-77. 균열부 충전방법 226

사진 4-78. 금속보강재 삽입 227

사진 4-79. 석탑 외부부재 가공도 현황 229

사진 4-80. 석재 및 수지 보형 가공방법 230

사진 4-81. 조사 전 건식 세정 231

사진 4-82. 조사 전 습식 세정 231

사진 4-83. 사지 조성층 및 석탑 축기부 토양시료 수습지점 239

사진 4-84. 기단 조성층 토양시료 수습지점 239

사진 4-85. 사리장엄 주변 석회 상태 271

사진 4-86. 석회편 271

사진 4-87. 출토된 목탄 273

사진 4-88. 서탑 동트렌치 출토 연화문수막새 274

사진 5-1. 가력을 위한 지그 284

사진 6-1. 익산 미륵사지 젼경(1990년대) 319

사진 6-2. 석탑 동ㆍ서측면(1910년대) 320

사진 6-3. 석탑 동ㆍ서측면(1990년대) 320

사진 6-4. 6층 귀옥개석 해체 시연(2001. 10) 322

사진 6-5. 5층 상옥개받침석 평면 323

사진 6-6. 4층 하옥개받침석 평면 323

사진 6-7. 3층 하옥개받침석 평면 323

사진 6-8. 2층 탑신 평면 324

사진 6-9. 1층 해체 전 전경(동북측) 324

사진 6-10. 1층 옥개석 평면 324

사진 6-11. 1층 탑신 및 통로천장석 평면 325

사진 6-12. 서측 출입구 노출 모습 325

사진 6-13. 십자형 통로공간 전경 325

사진 6-14. 사리장엄 발견 당시(2009. 1) 325

사진 6-15. 해체 전 석축부 전경 326

사진 6-16. 석축 해체 중 서측 전경 326

사진 6-17. 1층 기둥석 주변 장대석 보강 326

사진 6-18. 석축 내부에서 추가로 발견된 석인상 327

사진 6-19. 초석 및 기단부 평면 327

사진 6-20. 서측 트렌치 내부 현황 327

사진 6-21. 해체 및 발굴 완료 후 평면 32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88793 EF 951.09 -17-21 v.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8794 EF 951.09 -17-21 v.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