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도당천 하천기본계획. [1-2(1-2)] / 충청남도 [편] 인기도
발행사항
홍성군 : 충청남도, 2016
청구기호
627.12 -17-6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책(일부접지)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총서사항
충청남도고시 ; 제2016-473호
도보 ; 제2361호
제어번호
MONO1201732315
주기사항
v.2p.1-2는 부록임
[용역기관]: (주)삼안, (주)계림엔지니어링
부록/보유자료:도당천 하천기본계획 및 하천시설관리대장 [전자자료]  바로보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개요 15

1.1. 계획의 목적 16

1.1.1. 하천기본계획 16

1.1.2. 하천시설관리대장 16

1.2. 계획의 범위 16

1.3. 기본원칙 17

1.3.1. 수립주체 17

1.3.2. 수립방향 17

1.4. 유역현황도 18

제2장 유역 및 하천 현황 19

2.1. 유역현황 20

2.1.1. 유역의 개황 20

2.1.2. 수계의 구성 21

2.1.3. 유역의 특성 26

2.2. 하천특성 41

2.2.1. 하천사업의 연혁 41

2.2.2. 치수부문 41

2.2.3. 이수부분 62

2.2.4. 하천환경 부문 71

2.2.5. 하천이용 부문 93

2.3. 관련계획 검토 및 조정 96

2.3.1. 관련계획 검토 96

2.3.2. 관련계획 조정 116

제3장 종합분석 117

3.1. 치수특성 분석 118

3.1.1.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118

3.1.2. 하상변동 분석 154

3.1.3. 시설물 능력검토 164

3.2. 이수특성 분석 169

3.2.1. 수자원 부존량 산정 169

3.2.2. 하천관리유량 산정 170

3.2.3. 하천수 사용시설물 수요·공급량 추정 173

3.3. 하천환경특성 분석 181

3.3.1. 하천의 물리특성 181

3.3.2. 생물서식성 182

3.3.3. 수환경성 182

제4장 하천정비 및 관리계획 183

4.1. 치수 종합계획 184

4.1.1. 기본방향 설정 184

4.1.2. 치수 정비 및 관리계획 187

4.2. 이수 종합계획 202

4.2.1. 기본방향 설정 202

4.2.2. 이수 정비 및 관리 계획 203

4.3. 하천환경 종합계획 210

4.3.1 기본방향 설정 210

4.3.2. 하천환경 정비 및 관리계획 211

4.4. 하천공간 관리계획 218

제5장 투자계획 및 기대효과 219

5.1. 경제성 분석 220

5.1.1. 경제성분석 대상지구 220

5.1.2. 피해액 조사 222

5.1.3. 경제성 분석 224

5.2. 소요재원 산정 227

5.3. 투자우선순위 검토 228

5.3.1. 기본방향 228

5.3.2. 투자운선 순위 228

5.3.3. 단기 및 중장기 투자 계획 230

5.4. 결론 및 기대효과 231

5.4.1. 하천기본계획 고시에 관한 사항 231

5.4.2. 주요 사업내용 및 효과 233

5.4.3. 제안사항 235

부도 240

평면도 241

종단면도 289

횡단면도 316

과업참여자명단[개인신상정보삭제] 384

〈표 1.2-1〉 계획의 범위 16

〈표 1.3-1〉 하천기본계획 수립 주요 내용 17

〈표 2.1-1〉 도당천 유역내 주요하천(지방하천)현황 21

〈표 2.1-2〉 도당천 유역 수계구성 현황 25

〈표 2.1-3〉 도당천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역평균폭 및 형상계수 26

〈표 2.1-4〉 도당천 유역의 표고별 면적 및 구성비 27

〈표 2.1-5〉 유역의 경사별 면적 및 구성비 27

〈표 2.1-6〉 도당천 유역의 지질형별 면적구성비 31

〈표 2.1-7〉 도당천 수문학적 토양군 구성비 31

〈표 2.1-8〉 도당천 유역의 토지이용현황 32

〈표 2.1-9〉 서산시, 음암면, 운산면, 해미면 인구현황 34

〈표 2.1-10〉 도당천 유역 인구현황 34

〈표 2.1-11〉 문화재 총괄 35

〈표 2.1-12〉 유역내 문화재 현황 35

〈표 2.1-13〉 기상관측소 현황 36

〈표 2.1-14〉 우량관측소 현황 36

〈표 2.1-15〉 수위관측소 현황 36

〈표 2.1-16〉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 38

〈표 2.1-17〉 지점별 흔적수위 조사 38

〈표 2.1-18〉 도당천 유역의 유황 39

〈표 2.1-19〉 기상특성분석 40

〈표 2.2-1〉 하천기본계획 및 하천정비현황 41

〈표 2.2-2〉 도당천 제방현황 및 제방보강 여부 검토 42

〈표 2.2-3〉 도당천 제방시설물 현황 42

〈표 2.2-4〉 도당천 유역내 농업용저수지 현황 43

〈표 2.2-5〉 배수시설 현황 44

〈표 2.2-6〉 대표입경, 입도분포, 단위중량 45

〈표 2.2-7〉 유량규모에 따른 경험공식별 유사량 46

〈표 2.2-8〉 주요구간 만곡부 현황 48

〈표 2.2-9〉 도당천 구간별 횡단형 49

〈표 2.2-10〉 도당천 구간별 하도특성인자 52

〈표 2.2-11〉 도당천 구간별 하도특성인자 52

〈표 2.2-12〉 서산시 자연재해 피해현황 58

〈표 2.2-13〉 2010년 태풍 곤파스 특정 및 피해현황 59

〈표 2.2-14〉 도당천 內 취수보 현황 62

〈표 2.2-15〉 도당천 內 양수장 현황 62

〈표 2.2-16〉 도당천 유역 內 지하수 이용시설 집계 63

〈표 2.2-17〉 도당천 유역 內 저수지 현황 63

〈표 2.2-18〉 도당천 內 이수시설 현황 65

〈표 2.2-19〉 도당천 유역 內 지하수 이용량 현황 67

〈표 2.2-20〉 2012년 서산시 가뭄진행과정 68

〈표 2.2-21〉 대전·세종·충남지방 누적강수량 현황 69

〈표 2.2-22〉 표준강수지수(SPI6) 현황 69

〈표 2.2-23〉 파머 가뭄지수(PDSI) 현황 70

〈표 2.2-24〉 다목적댐 평균 저수율 및 수위현황(2015년 12월 31일 기준) 70

〈표 2.2-25〉 대전·세종·충남지방 농업용저수지 평균 저수율 현황(2015년 12월 31일기준) 70

〈표 2.2-26〉 환경시설물 현황 71

〈표 2.2-27〉 전략환경영향평가(안) 주요 내용 72

〈표 2.2-28〉 도당천 유역 인구 현황 76

〈표 2.2-29〉 도당천 유역 축산 현황 76

〈표 2.2-30〉 도당천 유역 산업폐수 배출 현황 77

〈표 2.2-31〉 도당천 유역 토지이용 현황 77

〈표 2.2-32〉 하천수질 분석결과 79

〈표 2.2-33〉 수질측정망 조사결과(최근 5년) 80

〈표 2.2-34〉 지하수질 분석결과 80

〈표 2.2-35〉 하천저질 분석결과 81

〈표 2.2-36〉 발생부하량 82

〈표 2.2-37〉 배출부하량 83

〈표 2.2-38〉 유달부하량 84

〈표 2.2-39〉 도당천 유역의 주요 동·식물상 85

〈표 2.2-40〉 도당천 유역 주요 환경오염원 89

〈표 2.2-41〉 도당천 유역 공공하수처리시설 장래 계획 91

〈표 2.2-42〉 폐천부지 이용현황 93

〈표 2.2-43〉 유역내 문화체험(축제)행사 94

〈표 2.3-1〉 기본 및 계획홍수량 96

〈표 2.3-2〉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97

〈표 2.3-4〉 기본 및 계획홍수량 98

〈표 2.3-5〉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98

〈표 2.3-6〉 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99

〈표 2.3-7〉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99

〈표 2.3-8〉 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100

〈표 2.3-9〉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101

〈표 2.3-10〉 시·종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101

〈표 2.7-11〉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102

〈표 2.3-12〉 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102

〈표 2.3-13〉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103

〈표 2.3-14〉 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103

〈표 2.3-15〉 대교천 계획지구 총괄 103

〈표 2.3-16〉 반계1천 계획지구 104

〈표 2.3-17〉 하천재해 위험지구 105

〈표 2.3-18〉 내수재해 위험지구(귀밀지구) 105

〈표 2.3-19〉 하천재해 위험지구 저감대책 106

〈표 2.3-20〉 내수재해 위험지구 저감대책 106

〈표 2.3-21〉 서산시 침수실적 현황 108

〈표 2.3-22〉 빈도별 홍수량 110

〈표 2.3-23〉 서산A 100년 빈도(대조) 홍수위 산정결과 110

〈표 2.3-24〉 사업내용 112

〈표 2.3-25〉 방조제 보수보강 112

〈표 2.3-26〉 성암저수지 현황 113

〈표 2.3-27〉 일반현황 113

〈표 2.3-28〉 진단 실시결과 113

〈표 2.3-29〉 성암저수지 수위별 물넘이 방류량 114

〈표 2.3-30〉 성암저수지 수문학적 안정성 평가 결과 114

〈표 2.3-31〉 성암저수지 내진성능평가 결과 115

〈표 2.3-32〉 PMF 유입시 붕괴에 의한 홍수파 해석 결과 115

〈표 2.3-33〉 지진 붕괴에 의한 홍수파 해석 결과 115

〈표 3.1-1〉 도당천의 홍수량 산정지점 118

〈표 3.1-2〉 우량관측소 현황 120

〈표 3.1-3〉 시강우자료 보유현황 121

〈표 3.1-4〉 확률강우량(Gumbel 분포형) 123

〈표 3.1-5〉 확률강우량 비교(50년, 80년) 123

〈표 3.1-6〉 도당천 유역 홍수량 산정지점별 CN값 124

〈표 3.1-7〉 도당천 유역 산정공식별 홍수도달시간 및 평균유속 125

〈표 3.1-8〉 홍수량산정방법별 홍수량 산정인자 126

〈표 3.1-9〉 재현기간 및 산정방법별 홍수량 비교 126

〈표 3.1-11〉 지점별 흔적수위 조사 128

〈표 3.1-12〉 흔적수위를 평균유출량 산정 128

〈표 3.1-13〉 흔적수위의 평균유출량과 산정방법별 모의 유출량 비교 129

〈표 3.1-14〉 경험공식에 의해 산정된 홍수량 비교(100년 빈도) 130

〈표 3.1-15〉 기본 홍수량(Clark 유역추적법) 131

〈표 3.1-16〉 기수립 홍수량 비교 131

〈표 3.1-17〉 기수립 및 금회 홍수량 산정과정 비교 132

〈표 3.1-18〉 적정설계빈도 평가표 133

〈표 3.1-19〉 계획홍수량 134

〈표 3.2-20〉 구간별 조도계수 135

〈표 3.2-21〉 빈도별 기점홍수위 135

〈표 3.1-22〉 빈도별 홍수위 136

〈표 3.1-23〉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빙고 145

〈표 3.1-24〉 도당천 주요구간별 계획 하폭 154

〈표 3.1-25〉 장래하상변동 155

〈표 3.1-26〉 도당천 기설 제방 수리특성 164

〈표 3.1-27〉 도당천 검토대상지구 제방능력검토 결과 165

〈표 3.1-28〉 배수시설 현황 166

〈표 3.1-29〉 취입보 및 낙차공 개선계획 총괄표 167

〈표 3.1-30〉 도당천 보 및 낙차공 현황 167

〈표 3.1-31〉 도당천 교량능력검토 168

〈표 3.2-1〉 서산관측소 연평균 강우량 및 유출량 169

〈표 3.2-2〉 수자원 부존량 170

〈표 3.2-3〉 평균갈수량 및 기준갈수량 171

〈표 3.2-4〉 하천관리유량 172

〈표 3.2-5〉 용수지구별 장래인구 174

〈표 3.2-6〉 급수보급율 및 단위급수량 174

〈표 3.2-7〉 용수지구별 생활용수 수요량 175

〈표 3.2-8〉 업종별 부지면적 176

〈표 3.2-9〉 장래 공업용수 수요량 176

〈표 3.2-10〉 용수지구별 관개면적 현황 177

〈표 3.2-11〉 용수지구별 장래 관개면적 추정 178

〈표 3.2-12〉 용수지구별 농업용수 수요량 현황 및 전망 179

〈표 3.3-1〉 하천환경특성 분석 대상구간 181

〈표 3.3-2〉 하천의 물리 특성 181

〈표 3.3-3〉 하천의 생물서식성 182

〈표 3.3-4〉 하천의 수환경성 182

〈표 4.1-1〉 적정설계빈도 평가표 184

〈표 4.1-2〉 기본 및 계획홍수량 185

〈표 4.1-3〉 도당천 주요구간별 계획하폭 및 계획홍수위 186

〈표 4.1-4〉 하도계획 수립과 관련된 검토항목 187

〈표 4.1-5〉 도당천 제방보강계획 190

〈표 4.1-6〉 제방표준단면도 191

〈표 4.1-7〉 도당천 배수문 및 암거계획 192

〈표 4.1-8〉 취업보 및 낙차공 개선계획 총괄표 193

〈표 4.1-9〉 도당천 內 횡단시설물 계획 194

〈표 4.1-10〉 도당천 교량개수계획 195

〈표 4.1-11〉 도당3낙차풍(No.14+500) 하도정비 계획 196

〈표 4.1-12〉 하천시설물의 유지관리 절차 197

〈표 4.2-1〉 도당천 이수목표 설정 202

〈표 4.2-2〉 도당천 內 이수시설 및 관개면적 현황 204

〈표 4.2-3〉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단위용수수요량을 고려한 물수지 분석 205

〈표 4.3-1〉 도당천 물리적 특성 목표등급 210

〈표 4.3-2〉 어도 및 여울계획 212

〈표 4.3-3〉 도당천 유역 공공하수처리시설 장래 계획 213

〈표 4.3-4〉 장래 수질예측 결과 비교 215

〈표 4.3-5〉 공간환경 개선계획 216

〈표 4.3-6〉 고수부지 관리계획 217

〈표 4.3-7〉 폐천부지 활용계획 217

〈표 4.4-1〉 도당천 구간별 현황 218

〈표 4.4-2〉 구간별 구역 구분 설정 218

〈표 5.1-1〉 도당천 하천정비계획 220

〈표 5.1-2〉 계획빈도 홍수범람구역 222

〈표 5.1-3〉 치수경제성분석 대상지구의 홍수규모별 예상피해액 223

〈표 5.1-4〉 홍수규모별 경제성 분석결과 225

〈표 5.2-1〉 계획빈도 지구별 총사업비 227

〈표 5.3-1〉 투자우선순위 평가항목 및 산정방법 228

〈표 5.3-2〉 지구별 투자우선순위 평가결과 229

〈표 5.4-1〉 계획시설물 및 효과 234

〈표 5.4-2〉 도당천 구간 조정(안) 235

〈그림 1.4-1〉 유역현황도 18

〈그림 2.1-1〉 도당천 유역 하천(지방하천)망도 22

〈그림 2.1-2〉 도당천 주요지점 및 합류부 전경 23

〈그림 2.1-3〉 수계 모식도 24

〈그림 2.1-4〉 도당천 유역 표고분포도 28

〈그림 2.1-5〉 도당천 유역 경사분포도 29

〈그림 2.1-6〉 도당천 유역 지질도 30

〈그림 2.1-7〉 도당천 유역 토양형별 토양분포도(좌), 수문학적 토양군(우) 31

〈그림 2.1-8〉 유역의 토지이용 변화 32

〈그림 2.1-9〉 행정구역현황 33

〈그림 2.1-10〉 수문관측소 위치도 37

〈그림 2.1-11〉 주민탐문 및 흔적수위 조사 39

〈그림 2.1-12〉 서산관측소 강수량 경년변화 40

〈그림 2.2-1〉 도당천 유역내 주요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43

〈그림 2.2-2〉 도당천 주요 만곡부 위치도 47

〈그림 2.2-3〉 하도 평면형 비교 53

〈그림 2.2-4〉 하폭변화도 54

〈그림 2.2-5〉 성암저수지 상류구간 최심하상고 변동고 55

〈그림 2.2-6〉 성암저수지 하류구간 최심하상고 변동고 55

〈그림 2.2-7〉 유형별 하도 횡단 변동양상 56

〈그림 2.2-8〉 태풍 곤파스(KOMPASU) 피해현황 59

〈그림 2.2-9〉 태풍 곤파스(KOMPASU) 진로도 60

〈그림 2.2-10〉 도당천 재해취약구간 61

〈그림 2.2-11〉 도당천 유역 內 주요이수시설 현황도 64

〈그림 2.2-12〉 도당천 하천수 관개면적 66

〈그림 2.2-14〉 성암저수지 농업용수 수질개선시설현황(좌), 고효율 인공습지 전경(우) 72

〈그림 2.2-15〉 측정지점 위치도 78

〈그림 2.2-16〉 식물상 현황 86

〈그림 2.2-17〉 귀화식물 현황 86

〈그림 2.2-18〉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및 특산식물 현황 86

〈그림 2.2-19〉 동물분포도 87

〈그림 2.2-20〉 육상동물 현황 87

〈그림 2.2-21〉 육수생물상 현황사진 88

〈그림 2.2-22〉 도당천 유역 오염현황도 90

〈그림 2.2-23〉 고수부지 경작현황 93

〈그림 2.2-24〉 해미읍성 전통문화공연 및 해미읍성역사체험축제 94

〈그림 2.2-25〉 경관조사구간 94

〈그림 2.2-26〉 도당천 문화재 보호구역 95

〈그림 2.3-1〉 도당천 합류부 경계설정 현황 99

〈그림 2.3-2〉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현황 100

〈그림 2.3-3〉 도당천 합류부 경계설정 현황 100

〈그림 2.3-4〉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현황 101

〈그림 2.3-5〉 도당천 합류부 경계설정 현황 101

〈그림 2.3-6〉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현황 102

〈그림 2.3-7〉 도당천 합류부 경계설정 현황 102

〈그림 2.3-8〉 도당천 합류지점 경계설정 현황 103

〈그림 2.3-9〉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현황 104

〈그림 2.3-10〉 서산A지구 소유역 구분도 109

〈그림 2.3-11〉 간월호 하천모식도 111

〈그림 2.3-12〉 성암저수지 내용적 곡선도 114

〈그림 2.3-13〉 성암저수지 경보 및 비상단계에서의 보고체계 116

〈그림 3.1-1〉 도당천 홍수량 산정지정도 119

〈그림 3.1-2〉 우량관측소 위치도 120

〈그림 3.1-3〉 도당천 Thiessen Network(상) 및 유역횡단면도(하) 122

〈그림 3.1-4〉 주민탐문 및 흔적수위 조사 127

〈그림 3.1-5〉 홍수량 산정방법별 유출량 모의 결과 비교 129

〈그림 3.1-6〉 하천별 단위면당 홍수량 곡선 130

〈그림 3.2-1〉 서산관측소 년강우량 및 유출률 169

〈그림 3.2-2〉 수자원 부존량 170

〈그림 3.2-3〉 하천관리유량과 하천수 사용량 관계 172

〈그림 3.2-4〉 도당천 용수수요량 산정지점도 173

〈그림 4.1-1〉 제방단면의 결정과정 188

〈그림 4.1-2〉 계획지구 결정 절차 189

〈그림 4.1-3〉 도당3낙차공 전경(좌), 도당3낙차공 상류전경(퇴적) 196

〈그림 4.1-4〉 하도 평면형 비교 196

〈그림 4.1-5〉 원격제어 시스템(예시) 200

〈그림 4.2-1〉 물수지 모식도(현재 기준) 206

〈그림 4.3-1〉 고수부지내 경작 현황 211

〈그림 4.3-2〉 서산A지구 수질개선대책 위치도 214

〈그림 4.3-3〉 하천수질개선 방안 215

〈그림 5.1-1〉 하천정비계획 위치도 221

〈그림 5.3-1〉 투자우선순위 선정 모식도 229

〈그림 5.4-1〉 도당천 문화재 보호구역 236

〈그림 5.4-2〉 시기별 저수지 운영 236

〈그림 5.4-3〉 저수지 연계운영 개념도 237

〈그림 5.4-4〉 농업용 저수지 운영(안) 237

〈그림 5.4-5〉 저수지 방류구조물 개선 사례 239

〈그림 5.4-6〉 좌:성암저수지 EAP, 우:홍수예·경보 시스템 개념도 239

표제지

목차

제1장 개요 408

1.1. 계획의 목적 409

1.2. 계획의 범위 409

1.3. 하천기본계획 수립 연혁 409

제2장 유역 및 하천 현황 411

2.1 유역현황 412

2.1.1. 수계의 구성 412

2.1.2. 유역의 특성 418

2.2. 하천특성 452

2.2.1. 하천사업의 연혁 452

2.2.2. 치수부문 453

2.2.3. 이수부문 497

2.2.4. 하천환경 부문 514

2.2.5. 하천이용 부문 595

2.3. 관련계획 검토 및 조정 599

2.3.1. 수자원장기종합계획 2006~2020(2006, 건설교통부) 599

2.3.2. 도당천 하천정비기본계획(1991, 충청남도) 601

2.3.3. 도당천 하천정비기본계획(2001, 서산시) 603

2.3.4. 서산시 풍수해저감종합계획(2013. 10, 서산시) 605

2.3.5. 지류하천 기본계획 (지방하천 및 소하천) 608

2.3.6. 기타 관련계획 614

2.3.7. 금회 하천기본계획과의 연계 626

제3장 종합분석 627

3.1. 치수특성 분석 628

3.1.1.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628

3.1.2. 하상변동 분석 759

3.1.3. 시설물 능력검토 774

3.2. 이수특성 분석 796

3.2.1. 수자원부존량 산정 796

3.2.2. 하천관리유량 산정 805

3.2.3. 하천수 사용시설물 수요·공급량 추정 808

3.3. 하천환경특성 분석 831

3.3.1. 하천의 물리특성 831

3.3.2. 생물서식성 833

3.3.3. 수환경성 836

제4장 하천정비 및 관리계획 837

4.1. 치수종합계획 838

4.1.1. 기본방향 설정 838

4.1.2. 치수 정비 및 관리 계획 840

4.2. 이수종합계획 900

4.2.1. 기본방향 설정 900

4.2.2 이수 정비 및 관리 계획 900

4.3. 하천환경 종합계획 913

4.3.1. 기본방향 설정 913

4.3.2. 하천환경 정비 및 관리계획 914

4.4. 하천공간 관리계획 948

4.4.1. 하천공간관리의 기본방향 948

4.4.2. 정비목표 949

4.4.3. 하천의 구역 구분 950

4.4.4. 지구관리 방안 963

제5장 투자계획 및 기대효과 975

5.1. 경제성 분석 976

5.1.1. 치수사업의 편익산정 978

5.1.2. 치수경제성 분석 995

5.2. 소요재원 산정 및 투자우선수위 검토 1001

5.2.1. 소요재원 산정 1001

5.2.2. 투자우선 순위 1002

5.2.3. 단기 및 중장기 투자 계획 1006

5.3. 결론 및 기대효과 1007

5.3.1. 하천기본계획 고시에 관한 사항 1007

5.3.2. 주요 사업내용 및 효과 1009

5.3.3. 제안사항 1010

지도위원 자문 1016

1차자문 1018

현장자문 1071

2차자문 1090

관련자료 1098

주민의견 수렴 및 주민설명회 1099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 1130

관계기관 협의 1172

충청남도 지방하천관리위원회 심의 1198

기타 참고자료[내용없음] 391

〈표 1.2-1〉 계획의 범위 409

〈표 1.2-1〉 계획의 위치 409

〈표 2.1-1〉 도당천 유역내 주요하천(지방하천)현황 414

〈표 2.1-2〉 도당천 유역 수계구성 현황 416

〈표 2.1-3〉 도당천 유역특성표 418

〈표 2.1-4〉 도당천 유역의 표고별 면적 및 구성비 419

〈표 2.1-5〉 유역의 경사별 면적 및 구성비 421

〈표 2.1-6〉 도당천 유역의 방향성분석 423

〈표 2.1-7〉 도당천 유역의 지질형별 면적구성비 426

〈표 2.1-8〉 한국토양특성에 따른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기준 426

〈표 2.1-9〉 정밀토양도 토양형의 수문학적 분류 427

〈표 2.1-10〉 도당천 유역의 토양형별 구성현황 428

〈표 2.1-11〉 도당천 수문학적 토양군 구성비 429

〈표 2.1-12〉 도당천 유역의 토지이용현황 432

〈표 2.1-13〉 서산시, 음암면, 운산면, 해미면 인구현황 434

〈표 2.1-14〉 도당천 유역 인구현황 434

〈표 2.1-15〉 문화재 분류 436

〈표 2.1-16〉 문화재 총괄 437

〈표 2.1-17〉 문화재 현황 437

〈표 2.1-18〉 국가, 시·도지정 주요문화재 438

〈표 2.1-19〉 유역내 보존가치 문화재(비지정 문화재) 440

〈표 2.1-20〉 기상관측소 현황 441

〈표 2.1-21〉 우량관측소 현황 441

〈표 2.1-22〉 수위관측소 현황 442

〈표 2.1-23〉 기상특성분석 444

〈표 2.1-24〉 서산관측소 월별 강우량 447

〈표 2.1-25〉 연평균 강우량(서산관측소) 449

〈표 2.1-26〉 수위-유량관계곡선식 450

〈표 2.1-27〉 도당천 유역의 유황 451

〈표 2.2-1〉 지방하천 하천정비(제방) 현황 452

〈표 2.2-2〉 하천기본계획 및 하천정비현황 453

〈표 2.2-3〉 도당천 제방 현황 453

〈표 2.2-4〉 도당천 제방 현황 및 제방보강 여부 검토 454

〈표 2.2-5〉 배수시설 현황 454

〈표 2.2-6〉 배수시설 제원 455

〈표 2.2-7〉 도당천 유역내 농업용저수지 현황 459

〈표 2.2-8〉 통일분류법에 사용되는 문자 466

〈표 2.2-9〉 통일분류법에 의한 분류방법 467

〈표 2.2-10〉 하상구성재료 입도분포 성과표 468

〈표 2.2-11〉 대표입경, 입도분포, 단위중량 469

〈표 2.2-12〉 각 유사량 공식의 특징 471

〈표 2.2-13〉 Ackers-White 공식의 개수 472

〈표 2.2-14〉 유량규모에 따른 경험공식별 유사량 474

〈표 2.2-15〉 주요구간 만곡부 현황 477

〈표 2.2-16〉 주요구간별 하상경사 478

〈표 2.2-17〉 도당천 구간별 횡단형 480

〈표 2.2-18〉 대표입경, 입도분포 484

〈표 2.2-19〉 구간별 하도 수리특성인자 485

〈표 2.2-20〉 도당천 주요구간별 최심하상고 변동 현황 487

〈표 2.2-21〉 수해 원인별 피해액(전국) 491

〈표 2.2-22〉 최근 10년간 풍수해 현황(2005~2014) 492

〈표 2.2-23〉 서산시 자연재해 피해현황 493

〈표 2.2-24〉 2010년 태풍 곤파스 특징 및 피해현황 494

〈표 2.2-25〉 도당천 취수보 현황 497

〈표 2.2-26〉 도당천 양수장 현황 498

〈표 2.2-27〉 도당천 유역 내 지하수 이용시설 집계 498

〈표 2.2-28〉 도당천 유역 내 저수지 현황 499

〈표 2.2-29〉 하천수 사용 현황 501

〈표 2.2-30〉 도당천 유역 內 지하수 이용량 현황 503

〈표 2.2-31〉 도당천 유역내 지하수 현황(50m³/일 이상) 503

〈표 2.2-32〉 2012년 서산시 가뭄진행과정 509

〈표 2.2-33〉 대전·세종·충남지방 누적강수량 현황 510

〈표 2.2-34〉 표준강수지수(SPI6) 현황 511

〈표 2.2-35〉 파머가뭄지수(PDSI) 현황 511

〈표 2.2-36〉 다목적댐 평균 저수율 및 수위현황(2015년 12월 31일 기준) 512

〈표 2.2-37〉 대전·세종·충남지방 농업용저수지 평균 저수율 현황(2015년 12월 31일기준) 512

〈표 2.2-38〉 공공하수처리시설 현황 514

〈표 2.2-39〉 분뇨처리시설 현황 514

〈표 2.2-40〉 폐기물처리시설 현황 514

〈표 2.2-41〉 전략환경영향평가 주요 내용 515

〈표 2.2-42〉 도당천 유역 인구 현황 519

〈표 2.2-43〉 도당천 유역 축산 현황 520

〈표 2.2-44〉 도당천 유역 산업폐수 배출 현황 520

〈표 2.2-45〉 도당천 유역 토지이용 현황 521

〈표 2.2-46〉 수질 조사항목 521

〈표 2.2-47〉 지표수질 측정 지점 522

〈표 2.2-48〉 지하수질 측정지점 522

〈표 2.2-49〉 하천저질 측정지점 522

〈표 2.2-50〉 지표수질 측정방법 523

〈표 2,2-51〉 지표수질 분석결과 527

〈표 2.2-52〉 하천수질 환경기준 529

〈표 2.2-53〉 지하수질 분석결과 530

〈표 2.2-54〉 먹는물 수질기준 531

〈표 2.2-55〉 하천저질 분석결과 532

〈표 2.2-56〉 하천저질 분석결과 534

〈표 2.2-57〉 수질 측정망 조사결과 및 환경질측정 조사결과(W4~5) 535

〈표 2.2-58〉 발생부하량(BOD) 535

〈표 2.2-59〉 발생부하량(T-N) 536

〈표 2.2-60〉 발생부하량(T-P) 536

〈표 2.2-61〉 배출부하량(BOD) 537

〈표 2.2-62〉 배출부하량(T-N) 537

〈표 2.2-63〉 배출부하량(T-P) 538

〈표 2.2-64〉 소유역별 부하량 총괄 538

〈표 2.2-65〉 조사지역 식물상 분포현황 542

〈표 2.2-66〉 생활형 분석 543

〈표 2.2-67〉 조사지역의 귀화식물 544

〈표 2.2-68〉 조사지역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545

〈표 2.2-69〉 조사지역의 특산식물 545

〈표 2.2-70〉 조사지역의 주요식생 면적분포 현황 549

〈표 2.2-71〉 포유류 목록 552

〈표 2.2-72〉 조류 목록 555

〈표 2.2-73〉 양서·파충류 목록 561

〈표 2.2-74〉 육상곤충류 분류군별 현황 562

〈표 2.2-75〉 육상곤충류 목록 562

〈표 2.2-76〉 육수생물 조사지점 하천개황 585

〈표 2.2-77〉 어류 목록 586

〈표 2.2-7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류 분류군별 종조성비 587

〈표 2.2-79〉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류 목록 587

〈표 2.2-80〉 도당천 유역 주요 환경오염원 591

〈표 2.2-81〉 도당천 유역 공공하수처리시설 장래 계획 593

〈표 2.2-82〉 폐천부지 이용현황 595

〈표 2.2-83〉 도당천 현황 분석 596

〈표 2.5-84〉 도당천 유역내 문화체험(축제)행사 597

〈표 2.3-1〉 수자원계획의 부문별 추진계획 600

〈표 2.3-2〉 기본 및 계획홍수량 602

〈표 2.3-3〉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602

〈표 2.3-4〉 과업의 범위 603

〈표 2.3-5〉 기본 및 계획홍수량 604

〈표 2.3-6〉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604

〈표 2.3-7〉 하천재해 위험지구 605

〈표 2.3-8〉 하천재해 위험지구 저감대책 607

〈표 2.3-9〉 내수재해 위험지구 저감대책 607

〈표 2.3-10〉 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608

〈표 2.3-11〉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608

〈표 2.3-12〉 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609

〈표 2.3-13〉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610

〈표 2.3-14〉 시·종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610

〈표 2.3-15〉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611

〈표 2.3-16〉 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611

〈표 2.3-17〉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612

〈표 2.3-18〉 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612

〈표 2.3-19〉 대교천 계획지구 총괄 612

〈표 2.3-20〉 대교천 계획지구 총괄 613

〈표 2.3-21〉 서산시 침수실적 현황 616

〈표 2.3-22〉 빈도별 홍수량 618

〈표 2.3-23〉 서산A 100년 빈도(대조) 홍수위 산정결과 618

〈표 2.3-24〉 사업내용 620

〈표 2.3-25〉 방조제 보수보강 621

〈표 2.3-26〉 성암저수지 현황 622

〈표 2.3-27〉 일반현황 622

〈표 2.3-28〉 진단 실시결과 622

〈표 2.3-29〉 성암저수지 수위별 물넘이 방류량 623

〈표 23-30〉 성암저수지 수문학적 안정성 평가 결과 624

〈표 2.3-31〉 성암저수지 내진성능평가 결과 624

〈표 2.3-32〉 PMF 유입시 붕괴에 의한 홍수파 해석 결과 624

〈표 2.3-33〉 지진 붕괴에 의한 홍수파 해석 결과 625

〈표 3.1-1〉 도당천의 홍수량 산정지점 629

〈표 3.1-2〉 우량관측소 현황 633

〈표 3.1-3〉 시강우자료 보유현황 633

〈표 3.1-4〉 지속기간별 관측년 최대강우량의 평균 비교 634

〈표 3.1-5〉 지속기간별 관측년 최대강우량의 표준편차 비교 634

〈표 3.1-6〉 서산관측소 지점 지속기간별 고정시간 연최대강우량 638

〈표 3.1-7〉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표 640

〈표 3.1-8〉 서산관측소 지점 지속기간별 임의시간 연최대강우량 641

〈표 3.1-9〉 확률분포형 매개변수 산정방법별 적합성 검정 결과 648

〈표 3.1-10〉 각 확률분포형의 확률밀도함수 또는 누가분포함수 652

〈표 3.1-11〉 각 확률분포형의 확률변수 범위 및 매개변수적합성 조건 652

〈표 3.1-12〉 확률분포형별 적합도 검정결과 653

〈표 3.1-13〉 확률분포형별 확률강우량 산정결과 656

〈표 3.1-14〉 확률강우량(Gumbel 분포형) 658

〈표 3.1-15〉 확률강우량 비교(50년, 80년) 659

〈표 3.1-16〉 강우강도식 상관계수 661

〈표 3.1-17〉 서산관측소 강우강도식(전대수다항식) 회귀상수 661

〈표 3.1-18〉 금강권역 면적우량환산계수 회귀식의 회귀상수 663

〈표 3.1-19〉 홍수량 산정지점별 면적우량 환산계수 665

〈표 3.1-20〉 홍수량 산정지점별 면적확률강우량 666

〈표 3.1-21〉 서산관측소 각 분위별 호우 사상수 668

〈표 3.1-22〉 서산관측소 분위별 누가우량주상도(초과확률 50%) 670

〈표 3.1-23〉 서산관측소 지점의 무차원 누가우량곡선의 회귀상수(3분위 채택) 670

〈표 3.1-24〉 유효우량 산정방법별 특징 671

〈표 3.1-25〉 우리나라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AMC-Ⅱ조건) 675

〈표 3.1-26〉 도당천 홍수량 산정지점별 유출콕선지수 산정 676

〈표 3.1-27〉 선행토양 함수조건의 분류 681

〈표 3.1-28〉 5일 선행강수량 조사결과 682

〈표 3.1-29〉 5일 선행강수량 682

〈표 3.1-30〉 도당천 유역 홍수량 산정지점별 CN값 682

〈표 3.1-31〉 도당천 유역 산정공식별 홍수도달시간 및 평균유속 687

〈표 3.1-32〉 산정공식별 저류상수 692

〈표 3.1-33〉 유역추적법(Clark) 홍수량 산정인자 692

〈표 3.1-34〉 NRCS 무차원단위도의 시간별 종거 694

〈표 3.1-35〉 NRCS 무차원단위도법 홍수량 산정인자 695

〈표 3.1-36〉 Snyder 합성단위도법 홍수량 산정인자 697

〈표 3.1-37〉 홍수량 산정지점별 임계지속기간 698

〈표 3.1-38〉 재현기간 및 산정방법별 홍수량 비교 702

〈표 3.1-39〉 Manning의 하상조도계수(n) 705

〈표 3.1-40〉 지점별 흔적수위 조사 706

〈표 3.1-41〉 흔적수위 조사지점별 특성조사 707

〈표 3.1-42〉 흔적수위 유출량 추정을 위한 계산 과정(예) 708

〈표 3.1-43〉 흔적수위를 평균유출량 산정 709

〈표 3.1-44〉 흔적수위의 평균유출량과 산정방법별 모의 유출량 비교 710

〈표 3.1-45〉 유역별 홍수량 경험식(100년 빈도) 712

〈표 3.1-46〉 경험공식에 의해 산정된 홍수량 비교(100년 빈도) 712

〈표 3.1-47〉 도당천 및 인접 하천(지방) 단위면적당 홍수량(80년빈도) 713

〈표 3.1-48〉 기본 홍수량(Clark 유역추적법) 715

〈표 3.1-49〉 기수립 홍수량 산정 비교 716

〈표 3.1-50〉 기수립 및 금회 홍수량 산정과정 비교 717

〈표 3.1-51〉 하천의 중요도와 계획규모 718

〈표 3.1-52〉 적정설계빈도 평가표 719

〈표 3.1-53〉 적정설계빈도 평가에 따른 설계빈도(예) 720

〈표 3.1-54〉 성암저수지 상·하류 현황특성 분석 720

〈표 3.1-55〉 적정설계빈도 평가표 720

〈표 3.1-56〉 도당천 유역내 농업용저수지 현황 722

〈표 3.1-57〉 성암저수지 현황 722

〈표 3.1-58〉 성암저수지 내용적 723

〈표 3.1-59〉 저수율별 홍수저감량(80년 빈도) 724

〈표 3.1-60〉 기본 및 계획홍수량 727

〈표 3.1-61〉 조도계수 산정 방법 비교 732

〈표 3.1-62〉 하천 및 수로의 조도계수 734

〈표 3.1-63〉 입도분석 결과 및 조도계수 추정결과 736

〈표 3.1-64〉 구간별 조도계수 737

〈표 3.1-65〉 빈도별 기점홍수위 738

〈표 3.1-66〉 빈도별 홍수위 739

〈표 3.1-67〉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748

〈표 3.1-68〉 계획홍수량 크기에 따른 계획하폭 757

〈표 3.1-69〉 하상경사에 따른 α 값 758

〈표 3.1-70〉 도당천 주요구간별 계획하폭 759

〈표 3.1-71〉 평형하상고 산정 방법 760

〈표 3.1-72〉 장래하상변동 765

〈표 3.1-73〉 기성제 현황 774

〈표 3.1-74〉 기성 제방 여유고 검토 775

〈표 3.1-75〉 도당천 검토대상지구 제방능력검토 결과 782

〈표 3.1-76〉 배수시설물 능력검토 결과 783

〈표 3.1-17〉 기타 배수시설 능력 검토 784

〈표 3.1-78〉 취입보 및 낙차공 개선계획 총괄표 789

〈표 3.1-79〉 도당천 보 및 낙차공 현황 789

〈표 3.1-80〉 계획홍수량에 따른 교량 여유고 792

〈표 3.1-81〉 도당천 교량능력검토 793

〈표 3.2-1〉 서산관측소 월별 강우량 797

〈표 3.2-2〉 연평균 강우량(서산관측소) 799

〈표 3.2-3〉 유출량 산정모형 비교 800

〈표 3.2-4〉 도당천 유역의 월평균 유출고, 유출율, 유출량 803

〈표 3.2-5〉 수자원 부존량 804

〈표 3.2-6〉 용수지구별 유황 현황 805

〈표 3.2-7〉 평균갈수량 및 기준갈수량 805

〈표 3.2-8〉 하천관리유량 806

〈표 3.2-9〉 용수 수요량 산정 지점 809

〈표 3.2-10〉 행정구역별 상수도 현황 810

〈표 3.2-11〉 최근 10년간 인구현황 811

〈표 3.2-12〉 수학적인 장래인구 추정방법 812

〈표 3.2-13〉 장래 인구추정 812

〈표 3.2-14〉 행정구역별 장래 인구예측 813

〈표 3.2-15〉 행정구역 및 도당천 유역 장래 인구(인구밀도) 추정 814

〈표 3.2-16〉 용수지구별 장래인구 815

〈표 3.2-17〉 급수보급율 및 단위급수량 816

〈표 3.2-18〉 용수지구별 목표년도 급수 및 미급수 인구 816

〈표 3.2-19〉 용수지구별 생활용수 수요량 817

〈표 3.2-20〉 업종별 공업 용수 원단위 818

〈표 3.2-21〉 도당천 유역내 산업체 현황 820

〈표 3.2-22〉 업종별 부지 면적 822

〈표 3.2-23〉 장래 공업용수 수요량 822

〈표 3.2-24〉 용수지구별 경지면적 현황 824

〈표 3.2-25〉 용수지구별 관개면적 현황 824

〈표 3.2-26〉 용수지구별 장래 관개면적 추정 825

〈표 3.2-27〉 용수지구별 가축사육 현황 및 전망 826

〈표 3.2-28〉 농업용수 단위 용수량 827

〈표 3.2-29〉 축산용수 단위용수량 827

〈표 3.2-30〉 용수지구별 농업용수 수요량 현황 및 전망 828

〈표 3.2-31〉 수원별 장래 농업용수 수요량 829

〈표 3.3-1〉 하천환경특성 분석 대상구간 831

〈표 3.3-2〉 하천의 물리특성 평가항목 832

〈표 3.3-3〉 하천의 물리적 특성 평가 결과 833

〈표 3.3-4〉 하천의 생물서식성 평가항목 834

〈표 3.3-5〉 생물서식성 평가점수 835

〈표 3.3-6〉 하천의 생물서식성 835

〈표 3.3-1〉 하천의 수환경성 836

〈표 4.1-1〉 적정설계빈도 평가표 838

〈표 4.1-2〉 기본 및 계획홍수량 839

〈표 4.1-3〉 도당천 주요구간별 계획하폭 및 계획홍수위 840

〈표 4.1-4〉 하도계획 수립과 관련된 검토항목 841

〈표 4.1-5〉 기존 시설물 현황표 849

〈표 4.1-6〉 계획홍수량에 따른 둑마루 폭 852

〈표 4.1-7〉 제방 둑마루 폭 852

〈표 4.1-8〉 제방 여유고 853

〈표 4.1-9〉 계획홍수량에 따른 여유고 853

〈표 4.1-10〉 하도분류별 수리특성 856

〈표 4.1-11〉 수면경사(에너지경사)에 따른 비탈덮기 높이 기준 856

〈표 4.1-12〉 비탈경사의 표준 858

〈표 4.1-13〉 홍수시 호안기초의 세굴깊이 861

〈표 4.1-14〉 밑다짐의 폭 862

〈표 4.1-15〉 돌붓기공의 유속별 석재 직경 863

〈표 4.1-16〉 자연석 놓기 공법의 유속별 석재 직경(Dm) 864

〈표 4.1-17〉 도당천 계획지구 총괄현황 866

〈표 4.1-18〉 도당천 계획지구별 소류력 및 유속 검토 867

〈표 4.1-19〉 도당천 제방보강계획 868

〈표 4.1-20〉 제방표준단면도 869

〈표 4.1-21〉 비탈덮기 공법별 기준항력 870

〈표 4.1-22〉 지구별 정비계획 871

〈표 4.1-23〉 토지이용별 내수배제시간 884

〈표 4.1-24〉 도당천 배수문 및 암거계획 885

〈표 4.1-25〉 지구별 배수시설물 계획 886

〈표 4.1-26〉 취입보 및 낙차공 개선계획 총괄표 890

〈표 4.1-27〉 횡단시설물 계획 890

〈표 4.1-28〉 도당천 교량개수계획 891

〈표 4.1-29〉 도당3낙차공(No.14+500) 하도정비 계획 894

〈표 4.1-30〉 하천시설물의 유지관리 절차 894

〈표 4.2-1〉 도당천 이수목표 설정 900

〈표 4.2-2〉 도당천 용수수요지구별 물수지 분석 902

〈표 4.3-1〉 도당천 물리적 특성 목표등급 913

〈표 4.3-2〉 어도 및 여울계획 915

〈표 4.3-3〉 어도의 설치목적별 분류 916

〈표 4.3-4〉 어도의 구조적 형식별 분류 917

〈표 4.3-5〉 어도형식별 장·단점 917

〈표 4.3-6〉 상황별 어도선택 기준표 920

〈표 4.3-7〉 기존 어도현황 및 설치계획 921

〈표 4.3-8〉 도당천 유역 공공하수처리시설 장래 계획 923

〈표 4.3-4〉 수질모델의 종류 및 특성 925

〈표 4.3-10〉 국내에 적용된 바 있는 수질모델의 비교 926

〈표 4.3-11〉 Q2K모델의 수질항목과 상태변수 928

〈표 4.3-12〉 수질모의를 위한 입력수질 자료 931

〈표 4.3-13〉 도당천 유역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량 및 수질 931

〈표 4.3-14〉 사업시행 전 소구간별 수리학적 계수 933

〈표 4.3-15〉 Q2K 모델에 적용된 수질반응 계수 933

〈표 4.3-16〉 유황분석 935

〈표 4.3-17〉 사업시행 후 소구간별 수리학적 계수 935

〈표 4.3-18〉 모의 시나리오 구성 936

〈표 4.3-19〉 장래수질 예측결과 비교(저수기) 936

〈표 4.3-20〉 장래수질 예측결과 비교(평수기) 937

〈표 4.3-21〉 거리별 장래수질 예측결과(BOD) 937

〈표 4.3-22〉 거리별 장래수질 예측결과(T-N) 938

〈표 4.3-23〉 거리별 장래수질 예측결과(T-P) 938

〈표 4.3-24〉 오탁방지막 설치계획 942

〈표 4.3-25〉 오탁방지막 교환 및 세척계획 942

〈표 4.3-26〉 오탁방지막 운영계획 943

〈표 4.3-27〉 하천 목표기준 및 달성기간 944

〈표 4.3-28〉 목표수질 설정 944

〈표 4.3-29〉 공간환경 개선계획 945

〈표 4.3-30〉 고수부지 관리계획 946

〈표 4.3-31〉 폐천부지 활용계획 946

〈표 4.3-32〉 폐천현황 및 관리계획 947

〈표 4.4-1〉 하천공간 관리방향 949

〈표 4.4-2〉 지구지정의 기본방향 952

〈표 4.4-3〉 하천의 물리특성 평가항목 953

〈표 4.4-4〉 하천의 물리적 특성 평가 결과 954

〈표 4.4-5〉 환경 부의 하천자연도 등급구분(안) 954

〈표 4.4-6〉 하천자연도 평가서 955

〈표 4.4-7〉 하천자연도 등급별 하천관리방향 956

〈표 4.4-8〉 하천자연도 평가 결과 957

〈표 4.4-9〉 도당천 현황 분석 958

〈표 4.4-10〉 지구 구분기준 및 정비방향 959

〈표 4.4-11〉 도당천 지구 구분 및 현황 960

〈표 4.4-12〉 하천 공간 구간별 유지관리방향 963

〈표 4.4-13〉 보전 및 복원지구 기본시설(예) 964

〈표 4.4-14〉 친수지구 도입시설(예) 964

〈표 5.1-1〉 도당천 하천정비계획 976

〈표 5.1-2〉 다차원법의 편익항목 978

〈표 5.1-3〉 지역특성에 따른 대상자산 979

〈표 5.1-4〉 직접 피해대상자산과 피해액 산정방법 981

〈표 5.1-5〉 전국 평균건축연면적별 가구수비 982

〈표 5.1-6〉 건축형태별 평균면적 982

〈표 5.1-7〉 건축형태별 건축단가 983

〈표 5.1-8〉 연도별 건설업 Deflator 보정지수 984

〈표 5.1-9〉 도시분류별 가정용품 평가액 984

〈표 5.1-10〉 년도별 소비자물가지수 985

〈표 5.1-11〉 농작물별 생산비 986

〈표 5.1-12〉 사업체별 항목 및 사업체 1인당 자산 987

〈표 5.1-13〉 침수심별 건물피해율 989

〈표 5.1-14〉 침수심별 건물내용물 피해율 990

〈표 5.1-15〉 침수심별 농경지 피해율 990

〈표 5.1-16〉 침수심별 농작물 피해율 991

〈표 5.1-17〉 침수심별 유형자산·재고자산 피해율 991

〈표 5.1-18〉 단위침수면적당 손실인명수 992

〈표 5.1-19〉 단위침수면적당 발생 이재민수 993

〈표 5.1-20〉 치수경제성분석 대상지구의 홍수규모별 예상피해액 994

〈표 5.1-21〉 경제성 분석기법의 특징 998

〈표 5.1-22〉 홍수규모별 경제성 분석결과 999

〈표 5.2-1〉 계획빈도 지구별 총사업비 1001

〈표 5.2-2〉 투자우선순위 평가항목 및 산정방법 1002

〈표 5.2-3〉 투자우선수위 평가항목 및 산정방법 1004

〈표 5.2-4〉 지구별 투자우선순위 평가결과 1006

〈표 5.3-1〉 계획시설물 및 효과 1009

〈표 5.3-2〉 도당천 구간 조정(안) 1010

〈그림 1.3-1〉 위치도 410

〈그림 2.1-1〉 도당천 유역 하천(지방하천)망도 415

〈그림 2.1-2〉 수계 모식도 417

〈그림 2.1-3〉 도당천 유역 표고분포도 420

〈그림 2.1-4〉 경사 분포도 422

〈그림 2.1-5〉 방향성 분포도 424

〈그림 2.1-6〉 도당천 유역 지질도 425

〈그림 2.1-7〉 도당천 유역 토양형별 토양분포도 430

〈그림 2.1-8〉 도당천 유역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431

〈그림 2.1-9〉 도당천 유역 토지이용현황 433

〈그림 2.1-10〉 행정구역 현황 435

〈그림 2.1-11〉 수문관측소 위치도 443

〈그림 2.1-12〉 서산관측소 월별 기상요소 분석 445

〈그림 2.1-13〉 서산관측소 강수량 경년변화 446

〈그림 2.1-14〉 우리나라 연평균강수량('74~03)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6) 449

〈그림 2.1-15〉 도당천(하구기준) 유황곡선 451

〈그림 2.2-1〉 도당천 유역내 주요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459

〈그림 2.2-3〉 하상재료 채취지점 위치도 462

〈그림 2.2-4〉 하상재료 채취지점 현황 463

〈그림 2.2-5〉 통일분류법의 소성도표 466

〈그림 2.2-6〉 도당천 주요 만곡부 위치도 476

〈그림 2.2-7〉 종단면도 479

〈그림 2.2-8〉 하도 평면형 비교 486

〈그림 2.2-9〉 성암저수지 상류구간 최심하상고 변동고 488

〈그림 2.2-10〉 성암저수지 하류구간 최심하상고 변동고 488

〈그림 2.2-11〉 유형별 하도 횡단 변동양상 489

〈그림 2.2-12〉 제7호 태풍 곤파스(KOMPASU) 피해현황 494

〈그림 2.2-13〉 제7호 태풍 곤파스(KOMPASU) 진로도 495

〈그림 2.2-14〉 도당천 재해취약구간 496

〈그림 2'2-15〉 도당천 유역 내 주요이수시설 현황도 500

〈그림 2.2-16〉 도당천 하천수 관개면적 502

〈그림 2.2-17〉 2015년 누적 강수량 현황 분포도 510

〈그림 2.2-18〉 수질 측정지점도 525

〈그림 2.2-19〉 지표수·하천저질 조사사진 526

〈그림 2.2-20〉 지하수 조사사진 526

〈그림 2.2-21〉 오염부하량 총괄 539

〈그림 2.2-22〉 오염원별 오염부하량 540

〈그림 2.2-23〉 조사경로도(1/2) 541

〈그림 2.2-24〉 조사경로도(2/2) 541

〈그림 2.2-25〉 조사지역의 식물상 현황 543

〈그림 2.2-26〉 조사지역의 귀화식물 현황 544

〈그림 2.2-27〉 조사지역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및 특산식물 현황 545

〈그림 2.2-28〉 현황사진 촬영 지점 546

〈그림 2.2-29〉 현황사진 547

〈그림 2.2-30〉 조사지역의 현존식생도(1/5) 550

〈그림 2.2-31〉 조사지역의 현존식생도(2/5) 550

〈그림 2.2-32〉 조사지역의 현존식생도(3/5) 551

〈그림 2.2-33〉 조사지역의 현존식생도(4/5) 551

〈그림 2.2-34〉 조사지역의 현존식생도(5/5) 552

〈그림 2.2-35〉 조류의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 554

〈그림 2.2-36〉 동물분포도 583

〈그림 2.2-37〉 육상동물 현황 584

〈그림 2.2-38〉 육수생물상 현황사진 590

〈그림 2.2-39〉 도당천 유역 오염현황도 592

〈그림 2.2-40〉 서산A지구 수질개선대책 위치도 594

〈그림 2.2-41〉 고수부지 경작현황 595

〈그림 2.2-42〉 해미읍성 전통문화공연 및 해미읍성역사체험축제 597

〈그림 2.2-43〉 경관조사구간 597

〈그림 2.2-44〉 도당천 주변 문화재보호구역 598

〈그림 2.3-1〉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비전 599

〈그림 2.3-2〉 도당천 합류부 경계설정 현황 608

〈그림 2.3-3〉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현황 609

〈그림 2.3-4〉 도당천 합류부 경계설정 현황 609

〈그림 2.3-5〉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현황 610

〈그림 2.3-6〉 도당천 합류부 경계설정 현황 610

〈그림 2.3-7〉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현황 611

〈그림 2.3-8〉 도당천 합류부 경계설정 현황 611

〈그림 2.3-9〉 도당천 합류지점 경계설정 현황 612

〈그림 2.3-10〉 도당천 합류부 개수계획 현황 613

〈그림 2.3-11〉 도시공간구조 구상도 615

〈그림 2.3-12〉 서산A지구 소유역 구분도 617

〈그림 2.3-13〉 간월호 하천모식도 619

〈그림 2.3-14〉 농업기반시설 빈도별 홍수수문곡선 620

〈그림 2.3-15〉 배수갑문 확장에 따른 홍수위 검토결과 621

〈그림 2.3-16〉 성암저수지 내용적 곡선도 623

〈그림 2.3-17〉 성암저수지 경보 및 비상단계에서의 보고체계 625

〈그림 3.1-1〉 도당천 홍수량 산정지점도 630

〈그림 3.1-2〉 지점 빈도해석 절차 631

〈그림 3.1-3〉 우량관측소 위치도 632

〈그림 3.1-4〉 지속기간별 관측년 최대 평균강우량 634

〈그림 3.1-5〉 지속기간별 관측년 최대 표준편차 635

〈그림 3.1-6〉 서산관측소, 덕산관측소 최근 호우사상 비교 635

〈그림 3.1-7〉 도당천 Thiessen Network(상) 및 유역횡단면도(하) 637

〈그림 3.1-8〉 고정지속시간임의지속시간 환산계수 회귀곡선 640

〈그림 3.1-9〉 I-D-F 곡선 662

〈그림 3.1-10〉 서산관측소 지점의 분위별 무차원 누가우량곡선 669

〈그림 3.1-11〉 GIS를 이용한 CN값 산정 모식도 674

〈그림 3.1-12〉 수문학적 토양군 683

〈그림 3.1-13〉 토지이용도 684

〈그림 3.1-14〉 유출곡선지수(CN) 685

〈그림 3.1-15〉 Clark 단위도의 개념 689

〈그림 3.1-16〉 NRCS 무차원단위도 694

〈그림 3.1-17〉 Snyder 단위도 696

〈그림 3.1-18〉 빈도별 첨두홍수량과 임계지속기간 699

〈그림 3.1-19〉 부등류의 에너지 관계 704

〈그림 3.1-20〉 주민탐문 및 흔적수위 조사 706

〈그림 3.1-21〉 도당천 유역 농업용저수지 저수율(2012년 8월 12일) 709

〈그림 3.1-22〉 홍수량 산정방법별 유출량 모의 결과 비교 711

〈그림 3.1-23〉 비홍수량 곡선 714

〈그림 3.1-24〉 성암저수지 상·하류 하도 및 제내지 현황(전경) 721

〈그림 3.1-25〉 성암저수지 내용적 곡선 723

〈그림 3.1-26〉 성암저수지 일(day) 단위 최대저수율(2015년) 724

〈그림 3.1-27〉 성암저수지 저수율에 따른 주요지점 수문곡선(80년빈도) 725

〈그림 3.1-28〉 도당천 유역내 주요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726

〈그림 3.1-29〉 홍수량 배분도(계획빈도 50~80년) 728

〈그림 3.1-30〉 에너지 방정식의 도해 729

〈그림 3.1-31〉 계획홍수량과 하폭과의 관계 757

〈그림 3.1-32〉 HEC-RAS 4.0 모형에서의 지형자료 입력화면의 예 760

〈그림 3.1-33〉 HEC-RAS 4.0 모형에서의 하상토 자료 입력화면의 예 761

〈그림 3.1-34〉 HEC-RAS 4.0 모형에서의 유량자료 및 수온자료 입력화면의 예 761

〈그림 3.1-35〉 HEC-RAS 4.0 모형 흐름도 763

〈그림 3.1-36〉 낙차공 및 암석 노출지 764

〈그림 3.1-37〉 취입보 및 낙차공현황 790

〈그림 3.1-38〉 교량현황 794

〈그림 3.2-4〉 서산관측소 강수량 경년변화 796

〈그림 3.2-2〉 우리나라 연평균강수량('74~'03)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6) 799

〈그림 3.2-3〉 Tank 모형의 구조 802

〈그림 3.2-4〉 수자원 부존량 804

〈그림 3.2-5〉 하천관리유량과 하천수 사용량 관계(모식도) 807

〈그림 3.2-6〉 도당천 용수수요량 산정지점도 808

〈그림 3.2-7〉 최근 10년간 인구현황 811

〈그림 4.1-1〉 하도계획 수립 흐름도 843

〈그림 4.1-2〉 제방단면의 구조와 명칭 849

〈그림 4.1-3〉 제방단면의 결정과정 850

〈그림 4.1-4〉 제방단면의 설치 예 854

〈그림 4.1-5〉 계획지구 결정 절차 865

〈그림 4.1-6〉 도로 흐름 방향을 고려한 교량계획 892

〈그림 4.1-7〉 도당3낙차공 전경 (좌), 도당3낙차공 상류전경 (퇴적) 893

〈그림 4.1-8〉 하도 평면형 비교 893

〈그림 4.1-9〉 도당천 재해취약구간 898

〈그림 4.2-1〉 물수지 모식도(현재 기준) 903

〈그림 4.2-2〉 도당천 상류 물수지 모식도(현재, 2015년) 904

〈그림 4.2-3〉 도당천 상류 물수지 모식도(2025년, 2030년) 905

〈그림 4.2-4〉 도당천 하류 물수지 모식도(현재) 906

〈그림 4.2-5〉 도당천 하류 물수지 모식도(2020년) 907

〈그림 4.2-6〉 도당천 하류 물수지 모식도(2025년) 908

〈그림 4.2-7〉 도당천 하류 물수지 모식도(2030년) 909

〈그림 4.3-1〉 고수부지내 경작 현황 914

〈그림 4.3-2〉 어도형식별 일반도(예시) 918

〈그림 4.3-3〉 어도의 입구가 적정한 예(좌), 부적정한 예(우) 919

〈그림 4.3-4〉 자연형 하상보호공 시공사례 922

〈그림 4.3-5〉 자연형 하상보호공(여울낙차공) 예시도 922

〈그림 4.3-4〉 서산A지구 수질개선대책 위치도 924

〈그림 4.3-7〉 Q2K 모델의 동역학 및 질량이동 927

〈그림 4.3-8〉 도당천(국가하천) 모식도 930

〈그림 4.3-4〉 수질모의 보정결과 934

〈그림 4.3-10〉 장래수질 모의결과(저수기) 939

〈그림 4.3-11〉 장래수질 모의결과(평수기) 940

〈그림 4.4-1〉 하천공간 정비계획 흐름도 950

〈그림 4.4-2〉 지구지정 수립 절차 952

〈그림 4.4-3〉 도당천 지구 구분도 962

〈그림 4.4-4〉 하천관리 구역 구분도 966

〈그림 5.1-1〉 하천정비계획 위치도 977

〈그림 5.1-2〉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방법(MD-FDA)의 개념도 979

〈그림 5.1-3〉 침수편입율 산정을 위한 공간정보의 중첩 988

〈그림 5.1-4〉 하천개수사업에 대한 연평균피해경감기대액 산정 996

〈그림 5.1-5〉 치수시설의 비용 996

〈그림 5.2-1〉 투자우선순위 선정 모식도 1003

〈그림 5.3-1〉 도당천 문화재 보호구역 1011

〈그림 5.3-2〉 시기별 저수지 운영 1012

〈그림 5.4-3〉 저수지 연계운영 개념도 1012

〈그림 5.3-4〉 농업용 저수지 운영(안) 1013

〈그림 5.4-5〉 저수지 방류구조물 개선 사례 1014

〈그림 5.3-6〉 좌:성암저수지 EAP, 우:홍수예·경보 시스템 개념도 1015

표제지

목차

기타 참고자료 1336

측량성과 1337

공간정보산업협회 1338

지상현황측량 성과심사 결과보고서 1347

도당천 하천기본계획 재수립 및 실시설계 조사측량용역 측량성과표 1352

강우분석 1517

1〉 지속시간별 년최대 강우량 현황 1518

2〉 크기 순위별 현황 1519

홍수량 산정 1579

홍수위 산정 2123

도당천 횡단 DATA 2124

HEC-RAS 2161

배수구조물 능력 검토 2212

치수경제성 분석 222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88691 627.12 -17-63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8692 627.12 -17-63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8693 627.12 -17-63 v.2p.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8694 627.12 -17-63 v.2p.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8695 627.12 -17-63 v.2p.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88696 627.12 -17-63 v.2p.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