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 개요 4
제1장 서론 45
제1절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문화영향평가 배경 및 필요성 46
1. 평가배경 46
2. 평가 필요성 48
제2절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문화영향평가 범위 및 방법 50
1/2. 문화영향평가 범위 50
2. 문화영향평가 방법 51
1) 문화영향평가 지표 51
2) 문화영향평가 방법 64
제2장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추진현황 및 선행연구의 검토 76
제1절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사업 개요 및 추진 현황 77
1. 사업 개요 77
2. 사업추진현황 78
제2절 선행연구 검토 및 사례분석 89
1.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 89
2. 국내외 사례분석 95
3. 소결 및 시사점 110
제3절 안동웅부 현황 분석 112
1. 현황 분석 112
2. 쇠퇴 분석 116
3. 안동웅부 종합분석 120
제3장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문화영향평가 125
제1절 문화기본권에 미치는 영향 126
1. 문화기본권에 대한 정량분석 126
2. 문화기본권에 대한 정성분석 149
3. 문화기본권에 대한 초기 갭(Gap) 분석 151
제2절 문화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152
1. 문화정체성에 대한 정량분석 152
2. 문화정체성에 대한 정성분석 167
3. 문화정체성에 대한 초기 갭(Gap) 분석 169
제3절 문화발전에 미치는 영향 170
1. 문화발전에 대한 정량분석 170
2. 문화발전에 대한 정성분석 179
3. 문화발전에 대한 초기 갭(Gap) 분석 180
제4절 특성화지표 182
1. 특성화지표에 대한 정량분석 182
2. 특성화지표에 대한 초기 갭(Gap) 분석 184
제5절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인지도 및 공감도 186
1.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인지도 186
2.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공감도 188
3.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의 세부사업에 바라는 점 193
4. 세부사업에 대한 추진 우선순위 평가 196
제4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199
제1절 평가결과 종합 200
1.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문화영향평가 초기 갭(Gap) 분석 200
2.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에 대한 기본 인식 203
3.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문화영향평가를 위한 정량분석 205
4.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문화영향평가를 위한 정성분석 213
5. 세부사업에 대한 추진 우선순위 평가 218
6.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문화영향평가 결과 시사점 219
제2절 정책적 제언 221
1. 평가항목별 정책적 제언 221
2.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사업별 제언 224
제3절 안동시 중구동 도시재생활성화계획 개별평가의 성과와 과제 228
1. 개별평가의 성과 228
2. 개별평가의 한계와 향후과제 228
참고문헌 230
[부록] 236
1. 평가진행보고 서식 237
서식 1 : 이슈 도출 및 영향의 식별 237
서식 2 : 평가지표 개발 240
서식 3 : 평가방법론 243
서식 4 : 문화영향평가 결과 245
서식 5 : 정책제언 도출 268
2. 설문지 271
첨부 1. 안동시민/전문가 대상 조사 설문지 271
첨부 2. 전문가 대상 조사 설문지(초기 갭(Gap) 분석) 292
첨부 3. 전문가 F.G.I 가이드라인 307
첨부 4. 전문가 델파이조사 설문지 317
3. 문화영향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총괄 325
자료 1 : 일반시민 및 전문가의 문화영향 평가지표 325
자료 2 : 일반시민의 거주지역별 문화영향 평가지표 327
자료 3 : 세부 사업별 문화영향 평가지표 329
판권기 351
[그림 1-1] 연구 컨소시엄 소개 47
[그림 1-2] 문화영향평가 평가지표 및 방법론 개발연구 순서 66
[그림 1-3] 연구수행 절차 74
[그림 1-4] 전체 연구 흐름도 75
[그림 2-1] 태사로 특화거리 사업운용모델 79
[그림 2-2] 창업인큐베이팅 사업 운용 모델 81
[그림 2-3] 음식ㆍ문화의 거리활성화 사업운용모델 83
[그림 2-4] 한옥 젊음숙박촌 조성 사업운용모델 84
[그림 2-5] 성진골 벽화마을 활성화 사업운용모델 86
[그림 2-6] 도시재생역량 강화 사업운영모델 87
[그림 2-7] 전체 사업 추진현황 88
[그림 2-8] 런던계획에 나타난 5개 권역과 권역에 포함된 자치구, 정책실행과 관련된 이해 당사자들 98
[그림 2-9] 런던계획을 보조하는 전략문서, 부가계획지침서, 베스트실행 지침서 등의 문서 98
[그림 2-10] 스마트 런던계획(Smart London Plan) 테크놀로지맵 99
[그림 2-11] 안산 내 다문화특구로 지정 된 '국경 없는 마을' 100
[그림 2-12] 안산시 지구촌 합창단-안산 예술의전당 공연 101
[그림 2-13] 가나자와 나가마치 무사 가옥터(長町武家屋敷跡) 103
[그림 2-14] 가나자와 히가시 전통차 거리 야경(東茶屋街 103
[그림 2-15] 우스키시(臼杵市) 상점가 철거 이전 현대적인 모습과 철거 이후 전통 마을 풍경을 살린 모습 비교 104
[그림 2-16] 대구 청춘장 청춘정미소의 모습 105
[그림 2-17] 광주 동구 '아시아 음식문화의 거리'의 모습 106
[그림 2-18] David Bowie가 그려진 10 Brixton Pound와 Vincent Van Gogh가 그려진 20 Brixton Pound 107
[그림 2-19] 상업화 되어 전주만의 특색이 결여된 길거리 음식과 커피 등을 판매하고 영어로 된 간판을 사용하는 전주 한옥마을의 모습 108
[그림 2-20] 동피랑 벽화마을 1회~4회 공모전 결과물인 벽화의 모습 109
[그림 2-21] 중구동 일원 현황도 112
[그림 2-22] 도심교통망 현황 113
[그림 2-23] 주요 공공ㆍ집객시설 외부 이전현황 및 이적지 활용계획 현황도 116
[그림 2-24] 전체 동지역 및 중구동 일원 인구변화 117
[그림 2-25] 인구변화추이 118
[그림 2-26] 지역쇠퇴 종합분석도 123
[그림 2-27] 지역잠재력 종합분석도 124
[그림 3-1] 세부 사업별 인지도 및 추진목적 공감도 bi-plot : 일반시민 192
[그림 3-2] 세부 사업별 인지도 및 추진목적 공감도 bi-plot : 전문가 193
[그림 4-1] 세부사업별 인지도 및 추진목적 공감도 bi-plot 204
[그림 4-2] 전체 문화영향 지수 206
[그림 4-3] 문화영향평가 척도 해석 206
[그림 4-4] 일반시민 문화영향 지수 207
[그림 4-5] 전문가 문화영향 지수 207
[그림 4-6] 태사로 특화거리 조성 문화영향 지수 209
[그림 4-7] 창업 인큐베이팅 문화영향 지수 210
[그림 4-8] 음식ㆍ문화의 거리 활성화 문화영향 지수 210
[그림 4-9] 한옥 젊음숙박촌 조성 문화영향 지수 211
[그림 4-10] 성진골 벽화마을 활성화 문화영향 지수 212
[그림 4-11] 도시재생 역량강화 문화영향 지수 212
[그림 4-12] 문화적 영향 기준 사업 추진 우선순위 : 전문가 21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291240 | 711.40951992 -17-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291241 | 711.40951992 -17-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