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6년)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문화영향평가 연구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청구기호
951.09 -17-2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 227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Cultural impact assessment ; 2016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8208826
제어번호
MONO1201732757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
연구책임: 채경진
부록: 1. 평가진행보고 서식 ; 2. 설문지 ; 3. 면담 주요 내용
참고문헌: p. 181-182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 개요 4

제1장 서론 24

제1절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문화영향평가의 배경 및 목적 25

1. 평가배경 25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5

2. 평가의 필요성 27

1) 평가의 필요성 27

2) 평가목적 28

제2절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문화영향평가 범위와 방법 29

1. 문화영향평가 범위 29

1) 평가범위 29

2. 문화영향평가 방법 31

1) 문화영향평가 지표 31

2) 문화영향평가 방법 31

제2장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추진 현황 및 선행연구의 검토 35

제1절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개요 및 추진 현황 36

1.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개요 36

1) 문화재 활용의 의의 36

2)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의 개요 37

2. 사업 추진 현황 39

1) 생생문화재 활용사업 41

2) 향교ㆍ서원문화재 활용사업 45

3) 문화재야행사업 50

4) 조사대상 프로그램 운영현황 53

제2절 유사 정책의 문화적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및 사례분석 65

1. 선행연구 검토 65

1) 생생문화재 관련 선행연구 65

2) 향교ㆍ서원 활용관련 선행연구 65

2. 국내 사례 분석 69

1) 국내 유사 평가사례 개요 69

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사업 성과평가 연구사례(2014) 71

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토요문화학교 사회적 효과 연구사례(2013) 76

3. 국외 사례 분석 81

1) 유사 사례 개요 81

2) 영국 타인 앤 웨어 아카이브 앤 뮤지엄 (Tyne and Wear Archives and Museums) 영향평가사례 (2015) 82

3) 미국 국립 유산 지역 (National Heritage Area) 경제효과 평가사례 (2013) 84

4)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축제 (Edinburgh Festival) 영향평가사례 (2015) 86

5) 영국 런던 예술/문화 클러스터 (Arts and Culture Cluster) 영향평가사례 (2013) 88

제3절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대상지 현황 분석 92

1.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대상지①] 서울 중구 현황 분석 92

1) 서울 중구 개요 92

2) 서울 중구의 문화적 여건 93

2.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대상지②] 부산 서구 현황 분석 98

1) 부산 서구 개요 98

2) 부산 서구의 문화적 여건 99

3.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대상지③] 광주 광산구 현황 분석 104

1) 광주 광산구 개요 104

2) 광주 광산구의 문화적 여건 105

4.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대상지④] 전남 나주시 현황 분석 110

1) 전남 나주시 개요 110

2) 전남 나주시의 문화적 여건 111

5.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대상지⑤] 경남 고성군 현황 분석 116

1) 경남 고성군 개요 116

2) 경남 고성군의 문화적 여건 117

제3장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문화영향평가 122

제1절 문화기본권에 미치는 영향 123

1. 문화향유에 미치는 영향 123

1) 문화접근성 123

2) 문화향유수준 128

2. 표현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138

1) 표현 및 참여 기회 138

2) 생활문화예술참여 141

제2절 문화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144

1. 문화유산 및 문화경관에 미치는 영향 144

1) 문화유산 및 문화경관의 보호 144

2) 문화유산 및 문화경관의 활용 148

2.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151

1) 사회적 자본 151

2) 문화공동체 154

제3절 문화발전에 미치는 영향 157

1. 문화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157

1) 문화적 종 다양성 157

2) 소수집단의 문화적 표현 160

2. 창조성에 미치는 영향 163

1) 창조자본 163

2) 창조기반 166

제4절 문화영향평가 지수 도출 169

1. 평가지표 가중치 산정 169

1) AHP를 이용한 가중치 설정 169

2) 최종 가중치 결정 170

3) 평가지표별 영향지수 점수도출 방법 171

2. 평가지표별 지수 결과 172

1) 문화향유 172

2) 표현 및 참여 173

3) 문화유산 및 문화경관 174

4) 공동체 175

5) 문화다양성 176

6) 창조성 177

3. 문화영향평가 지수 종합결과 178

1) 생생문화재 활용사업 178

2) 살아 숨쉬는 향교ㆍ서원만들기 179

3) 문화재 야행 프로그램 180

4)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의 문화영향평가 지수 181

제4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182

제1절 평가결과 종합 183

1. 분석결과의 시사점 183

제2절 정책적 제언 186

1. 영향평가대상사업의 구조적 특성 186

2.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의 개선 방안 187

1) 지속성 측면에서의 공모사업 방식의 개선 187

2) 문화재 커뮤니티의 소통과 협업 기반의 파트너십 강화 188

3)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의 법령 보강 필요 189

4) 고객 개발의 활성화 지속 190

5) 홍보 활성화를 통한 인식 개선 필요 191

6) 지역공동체 형성을 통한 소통 활성화 191

7) 안전 및 훼손 예방 체계 구축 191

8) 지역사회와의 상생 관계 구축 강화 192

제3절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개별평가의 성과와 과제 193

1. 개별평가의 성과 193

1) 문화재 활용의 긍정적 가치 발견 193

2) 설문조사의 표준화 가능성 탐색 193

2. 개별평가의 한계 및 과제 196

1) 우수 사례를 통한 사업 전체 평가방식의 한계 196

2) 사례별 평가단 구성으로 인한 평가의 일관성 확보 한계 196

참고문헌 197

[부록] 200

1. 평가진행보고 서식 201

1) 서식 1 : 이슈 도출 및 영향의 식별 201

2) 서식 2 : 평가지표 개발 204

3) 서식 3 : 평가 방법론 205

4) 서식 4 : 문화영향평가 결과 206

5) 서식 5 : 정책제언 도출 209

2. 설문지 210

1)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참여자 대상 설문지 (고성오광대 샘플) 210

2)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지역주민 대상 설문지 (고성오광대 샘플) 214

3. 면담 주요 내용 218

1) 면접조사 개요 218

2) 생생 문화재 사업 219

3) 살아 숨 쉬는 향교ㆍ서원 만들기 사업 226

4) 문화재 야행 프로그램 사업 235

판권기 245

〈표 1-1〉 내용적 범위 29

〈표 1-2〉 시간적 범위 30

〈표 1-3〉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사례의 선정 30

〈표 1-4〉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문화영향평가 평가지표 31

〈표 1-5〉 연구방법 개요 32

〈표 1-6〉 평가단 및 자문단 현황 32

〈표 1-7〉 설문조사 개요 33

〈표 1-8〉 인구통계학적 특성(지역주민) 33

〈표 1-9〉 인구통계학적 특성(수혜자) 34

〈표 2-1〉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의 현황 39

〈표 2-2〉 생생문화재 활용사업 지원 실적 43

〈표 2-3〉 생생문화재 활용사업 경제적 파급효과 43

〈표 2-4〉 생생문화재 활용사업 연도별 파급효과 44

〈표 2-5〉 향교ㆍ서원문화재 활용사업 추진대상(향교문화재) 46

〈표 2-6〉 향교ㆍ서원 문화재 활용사업 추진대상(서원문화재) 47

〈표 2-7〉 향교ㆍ서원 문화재 활용사업 추진실적 48

〈표 2-8〉 향교ㆍ서원 문화재 활용사업 프로그램 진행횟수 및 문화재 향유 참관객 48

〈표 2-9〉 향교ㆍ서원 문화재 활용사업 수혜자별 편익추정액 48

〈표 2-10〉 향교ㆍ서원 문화재 활용사업 경제적 파급효과 49

〈표 2-11〉 향교ㆍ서원 문화재 활용사업 부문별 파급효과 49

〈표 2-12〉 문화재 야행프그램 전국 현황(2016년) 51

〈표 2-13〉 석당박물관 주요협력기관 54

〈표 2-14〉 석당박물관 최근 3년간 실적(2014~2016년) 54

〈표 2-15〉 석당박물관 생생문화재 활용사업 주요 프로그램 54

〈표 2-16〉 고성오광대보존회 생생문화재 주요 프로그램 55

〈표 2-17〉 고성오광대보존회 사업계획 대비 실행횟수 56

〈표 2-18〉 고성오광대보존회 홍보 실적 56

〈표 2-19〉 고성오광대보존회 수혜자 현황 56

〈표 2-20〉 고성오광대보존회 운영조직 56

〈표 2-21〉 월봉서원 운영성과 57

〈표 2-22〉 월봉서원 향교ㆍ서원 활용사업 현황 58

〈표 2-23〉 월봉서원 주요 프로그램 내용 59

〈표 2-24〉 월봉서원 상표등록 현황 59

〈표 2-25〉 월봉서원 프로그램 수혜자 현황 59

〈표 2-26〉 나주향교 주요프로그램 60

〈표 2-27〉 나주향교 추진 조직 및 프로그램 현황 60

〈표 2-28〉 나주향교 방문객 현황 60

〈표 2-29〉 나주향교 기관교류 현황(MOU) 61

〈표 2-30〉 정동야행 행사개요 62

〈표 2-31〉 정동야행 행사프로그램 전담팀 주요 임무 63

〈표 2-32〉 정동야행 투입인력 64

〈표 2-3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년 문화예술부문 지원사업 70

〈표 2-34〉 2014년 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 대상 사업 72

〈표 2-35〉 6단계 지표체계의 구성 요소 74

〈표 2-36〉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연도별, 대상별 지원결과 75

〈표 2-37〉 국공립 문화예술기관 연계 프로그램 추진 실적 77

〈표 2-38〉 사회적 효과의 최종문항 79

〈표 2-39〉 서울 중구 신규 지정 문화재(2014년) 94

〈표 2-40〉 서울 중구 문화기반시설 현황 94

〈표 2-41〉 서울 중구 생활문화시설 현황 95

〈표 2-42〉 서울 중구 개최 축제 현황 95

〈표 2-43〉 서울 중구 지역문화예술법인ㆍ단체 활동 현황 96

〈표 2-44〉 부산 서구 신규 지정 문화재(2014년) 100

〈표 2-45〉 부산 서구 문화기반시설 현황 100

〈표 2-46〉 부산 서구 개최 축제 현황 101

〈표 2-47〉 부산 서구 지역문화예술법인ㆍ단체 운영 현황 102

〈표 2-48〉 광주 광산구 문화기반시설 현황 106

〈표 2-49〉 광주 광산구 생활문화시설 현황 106

〈표 2-50〉 광주 광산구 개최 축제 현황 107

〈표 2-51〉 광주 광산구 지역문화예술법인ㆍ단체 활동 현황 107

〈표 2-52〉 광주 광산구 다문화가족 지원운영예산 현황 109

〈표 2-53〉 나주시 예산 현황 111

〈표 2-54〉 나주시 문화기반시설 현황 112

〈표 2-55〉 나주시 생활문화시설 현황 112

〈표 2-56〉 나주시 개최 축제 현황 113

〈표 2-57〉 나주시 지역문화예술법인ㆍ단체 운영 현황 113

〈표 2-58〉 경남 고성 예산 현황 117

〈표 2-59〉 경남 고성 신규 지정 문화재(2014년) 118

〈표 2-60〉 경남 고성 문화기반시설 현황 118

〈표 2-61〉 경남 고성 개최 축제 현황 119

〈표 2-62〉 경남 고성 지역문화예술법인ㆍ단체 운영 현황 120

〈표 3-1〉 문화접근성에 대한 전문가(평가단) 평가 123

〈표 3-2〉 문화향유수준에 대한 전문가(평가단) 평가 128

〈표 3-3〉 표현 및 참여기회에 대한 전문가(평가단) 평가 138

〈표 3-4〉 생활문화예술참여에 대한 전문가(평가단) 평가 141

〈표 3-5〉 문화유산 및 문화경관의 보호에 대한 전문가(평가단) 평가 144

〈표 3-6〉 문화유산 및 문화경관에 대한 전문가(평가단) 평가 148

〈표 3-7〉 사회적 자본에 대한 전문가(평가단) 평가 151

〈표 3-8〉 문화공동체에 대한 전문가(평가단) 평가 154

〈표 3-9〉 문화적 종 다양성에 대한 전문가(평가단) 평가 157

〈표 3-10〉 소수집단의 문화적 표현에 대한 전문가(평가단) 평가 160

〈표 3-11〉 창조자본에 대한 전문가(평가단) 평가 163

〈표 3-12〉 창조기반에 대한 전문가(평가단) 평가 166

〈표 3-13〉 AHP 가중치 설정 169

〈표 3-14〉 최종 가중치 설정 170

〈표 3-15〉 조사결과를 합산한 가중치 170

〈표 3-16〉 지수 산출 예시 171

〈표 3-17〉 문화향유 지수 172

〈표 3-18〉 표현 및 참여 지수 173

〈표 3-19〉 문화유산 및 문화경관 지수 174

〈표 3-20〉 공동체 지수 175

〈표 3-21〉 문화다양성 지수 176

〈표 3-22〉 창조성 지수 177

〈표 4-1〉 지표별 이슈 184

〈표 4-2〉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94

〈표 4-3〉 상관관계 분석 결과 195

[그림 1-1] 문화재 보호, 보존, 활용의 연도별 트렌드 26

[그림 1-2]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의 연도별 예산 27

[그림 2-1] 문화재 활용의 개념도 37

[그림 2-2] 지역문화재 활용 프로그램의 유형 37

[그림 2-3]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추진과정 38

[그림 2-4] 2014~2016년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지역별 선정 건수 40

[그림 2-5] 2015년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세부 프로그램 유형별 운영현황 40

[그림 2-6] 생생문화재 활용사업의 추진목적 41

[그림 2-7]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관광열차 연계 프로그램 42

[그림 2-8] 향교ㆍ서원 문화재의 향후 역할 46

[그림 2-9] 월봉서원 문화재 활용 프로그램 총괄 58

[그림 2-10] 정동야행 프로그램 구성(6야) 62

[그림 2-11] 정동야행 운영조직도 63

[그림 2-12] 2014년 성과평가사업 수행 과정 73

[그림 2-13] 6단계 지표와 19개 지표 카테고리 74

[그림 2-14] 문화예술교육 성가평가 세부지표 체계 74

[그림 2-15] 연구내용별 연구방법 78

[그림 2-16] 서울 중구문화재단의 주요사업 93

[그림 2-17] 서울 중구 총 예산대비 문화 관련 예산 비율 표 94

[그림 2-18] 일인당 문화기반시설 평균 이용횟수(상위 10개 기초자치단체) 97

[그림 2-19] 서울 중구 및 지자체 평균 문화기반시설 이용 현황 97

[그림 2-20] 부산 서구 총 예산대비 문화 관련 예산 비율 표 99

[그림 2-21] 부산 서구 보유 생활문화시설 및 지자체 평균 현황 101

[그림 2-22] 부산 서구 및 지자체 평균 문화기반시설 이용 현황 102

[그림 2-23] 천 명당 문화예술교육강좌 예산 규모(상위 10개 지자체) 103

[그림 2-24] 전국 '문화가 있는 날' 지자체 기획사업 추진 건수(상위 10개 기초자치단체) 103

[그림 2-25] 광주 광산구 총 예산대비 문화 관련 예산 비율 표 105

[그림 2-26] 시도별 문화예술교육사 평균 현황 108

[그림 2-27] 광주 광산구 및 지자체 평균 문화기반시설 이용 현황 108

[그림 2-28] 전남 나주 총 예산대비 문화 관련 예산 비율 표 111

[그림 2-29] 시도별 문화관광해설사 평균 현황 114

[그림 2-30] 전남 나주시 및 지자체 평균 문화기반시설 이용 현황 114

[그림 2-31] 경남 고성 보유 문화기반시설 및 전국 단위 평균 비교 119

[그림 2-32] 경남 고성군 및 지자체 평균 문화기반시설 이용 현황 120

[그림 3-1] 문화공간의 충분성 124

[그림 3-2] 교통편의성 125

[그림 3-3] 편의시설 충분성 126

[그림 3-4] 문화재 프로그램으로 인한 문화에 대한 친근성 127

[그림 3-5]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의 인지 정도 129

[그림 3-6]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참여 경험 129

[그림 3-7] 참여 경험이 없는 이유 130

[그림 3-8] 사업 수행단체나 장소의 인지 정도 131

[그림 3-9] 사업 장소의 방문 경험(지역주민) 131

[그림 3-10] 지난 1년 동안 문화프로그램 관람 횟수(지역주민) 132

[그림 3-11] 지난 1년 동안 문화프로그램 관람 횟수(수혜자) 132

[그림 3-12]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을 통해 제공된 문화프로그램 관람 횟수(지역주민) 133

[그림 3-13]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을 통해 제공된 문화프로그램 관람 횟수(수혜자) 133

[그림 3-14] 문화예술관람 횟수의 증가 134

[그림 3-15] 지역 문화재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만족도 135

[그림 3-16] 지역 문화재 프로그램의 기대 충족 정도 136

[그림 3-17] 지역 문화재 프로그램으로 인한 다른 문화프로그램 참여 137

[그림 3-18] 문화재 정책 계획수립 과정에서 정책대상의 참여기회 보장 139

[그림 3-19] 정부의 문화재 사업의 계획수립 과정에 참여한 경험 140

[그림 3-20] 생활문화동호회에 가입 혹은 희망 142

[그림 3-21] 주민이나 동호회의 창작ㆍ발표ㆍ연습 기회 확대 143

[그림 3-22] 지역 문화재의 보호ㆍ훼손과 관련된 교육 받은 경험 145

[그림 3-23] 지역 문화재 보호 마음가짐 146

[그림 3-24] 지역 문화재에 대한 애정 147

[그림 3-25] 문화재와 주변 경관을 조화롭게 보호ㆍ활용 149

[그림 3-26] 지역 문화재의 널리 알리기 원함 150

[그림 3-27] 지역사회의 일원이라는 인식 152

[그림 3-28] 지역 주민에 대한 신뢰 정도 153

[그림 3-29] 지역 주민과의 소통과 교류 정도 155

[그림 3-30] 지역 문화공동체의 형성 및 발전 156

[그림 3-31] 문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폭 158

[그림 3-32] 지역 정체성이나 가치 보호 159

[그림 3-33] 다양한 계층의 참여 유도 161

[그림 3-34] 소수집단의 문화에 대한 이해도 162

[그림 3-35] 새로운 사고 경험의 기회 정도 164

[그림 3-36] 문화프로그램의 창조적 인재 양성에 기여 정도 165

[그림 3-37] 문화재 활용사업을 통한 문화재 보존에 기여 167

[그림 3-38] 문화재 프로그램의 전통과 현대를 융합한 새로운 모델로 개발 168

[그림 3-39] 생생문화재 활용사업의 문화영향평가 지수 178

[그림 3-40] 살아 숨쉬는 향교ㆍ서원만들기의 문화영향평가 지수 179

[그림 3-41] 문화재 야행 프로그램의 문화영향평가 지수 180

[그림 3-42]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의 문화영향평가 지수 181

[그림 4-1]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의 문화영향평가 지수 183

〈표-부록1〉 문화영향평가 대상사업 정성연구 면접조사 참여자 21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91258 951.09 -17-2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91259 951.09 -17-2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