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한국 과학기술 연구체제의 진화 / 문만용 지음 인기도
발행사항
파주 : 들녘, 2017
청구기호
609.51 -17-9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470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한국의 과학과 문명 ; 009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252136
ISBN: 9791159251139(세트)
제어번호
MONO1201737376
주기사항
대등표제: Evol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systems in South Korea
참고문헌(p. 421-441)과 색인 수록
2010년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진흥사업단)을 통해 한국학 특정분야 기획연구(한국과학문명사)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목차보기더보기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1장 머리말
2장 과학기술자의 공간, ‘연구소’의 탄생
1절 해방 직후 과학기술자들의 과학기술 진흥 요구
2절 국내 유일의 공업기술 시험연구기관, 중앙공업연구소
3절 우장춘과 중앙원예기술원
4절 과학기술자의 군대생활, 국방부과학연구소
1. 한 육군 대위의 과학자 되기
2. 육군병기공창과 과학기술연구소
3. 국방부과학연구소

5절 원자력 유학생과 원자력연구소
6절 국립연구소의 역할과 한계

3장 KIST의 등장과 ‘역두뇌유출’
1절 연구소 개편 방안과 한미정상회담
1. 기술관리국의 연구소 개편 노력
2. 미국의 연구소 설립 제안

2절 첫 번째 정부출연연구소의 탄생
1. “동양 최대의 연구소”
2. 안정성과 자율성의 줄타기

3절 KIST의 ‘두뇌유치’
1. 한국의 ‘두뇌유출’
2. KIST의 연구인력
3. 정부의 해외유학 정책 변화

4절 KIST의 연구활동
1. “연구를 팝니다”
2. 과학기술 분야 ‘싱크탱크’

5절 현대적 과학기술체제의 형성
1. 과학기술처의 설립
2. 한국의 ‘과학기술 붐’

6절 정부출연연구소 등장의 의미

4장 연구단지 건설과 공공연구체제 구축
1절 서울연구개발단지의 형성
1. 연구단지의 꿈
2. ‘두뇌단지’와 정부출연연구소 체제의 정착

2절 “한국 과학의 메카”, 대덕연구단지
1. 제2연구단지 구상
2. 20년의 대역사: 대덕연구단지 조성

3절 정부출연연구소의 시대
1. 국립연구소의 전환
2. KIST 조직의 독립
3. 새로운 분야의 연구소 설립

4절 정부출연연구소 확산의 의의와 문제점

5장 민간주도 연구체제의 형성
1절 기업연구소의 시대
1. 기업연구소의 등장
2. 기업연구소의 부상
3. 기업연구소 생태계

2절 1980년 정부출연연구소 통폐합
3절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등장
4절 전환기의 정부출연연구소
1. 1980년대 정부출연연구소의 다양화
2. 민주화 시대의 정부출연연구소
3. 정부출연연구소 합동평가와 기능재정립

5절 기술드라이브 시대의 연구체제

6장 한국 연구체제의 재정립
1절 대학연구소의 뒤늦은 부상
1. 대학연구소의 등장
2. 대학연구소의 확대
3. 우수연구센터와 대학연구능력 구축
4. 대학연구소의 과제

2절 기업연구소의 현황과 특성
3절 국공립연구소의 정중동
1. 국공립연구소의 공공연구
2. 새로운 국공립연구소의 등장

4절 정부출연연구소의 새로운 길 찾기
1. 연장된 구조조정
2. 연구회 체제의 도입
3. 정부출연연구소의 다양한 역할

5절 “따로 또 같이” 가는 한국 연구체제

7장 맺음말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95183 609.51 -17-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95184 609.51 -17-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한국 과학기술의 놀라운 발전을 견인해온
    한국적 연구체제의 특성이란 무엇인가


    한국의 연구체제는 어떠한 역사적 궤적을 그렸으며, 그러한 진화를 이끈 요인은 무엇이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무엇인가? 한국 역사 속에서 형성된 고유한 ‘한국적 연구체제’가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언제, 어떠한 계기를 통해 어떻게 탄생했나? 이 책은 이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 노력의 산물이다

    연구소를 비롯한 모든 과학 제도들은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변화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관련 정책의 변화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 그 정책에 대응하는 행위자로서 정책 자체에도 영향을 주었다. 즉, 특정한 제도나 기관은 그를 둘러싼 환경과 정책의 변화에 맞추어나가려 노력하지만 동시에 그 조직에 맞는 합리적인 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도나 기관의 진화가 이루어지며, 한국 연구체제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 책은 한국 연구체제의 다양성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형태의 연구소들이 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되었고, 어떠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했으며, 그 과정을 추동한 힘은 무엇이었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각 연구소들이 등장하고 진화해온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오늘날 한국 연구체제가 보여주는 특성들과 함께 장래 한국 연구소들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에 대한 시사점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여러 형태의 연구소가 왜 등장했고, 어떻게 확대 재생산되었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새로운 형태의 연구소 체제가 부상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각 시기마다 연구체제를 둘러싼 정책과 인물, 그리고 여러 연구체제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규명해보고자 한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