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격자기반 국토지표를 활용한 국토조사 방안 연구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수원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17
청구기호
526.6 -17-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470 p.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37505
주기사항
[연구기관]: 국토연구원
부록: 1.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 후보군 세부사항 ; 2.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 및 관련 데이터 수집 결과 명세서 ; 3. 컴팩트시티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국토이용 현황 모니터링 방안 연구 외
참고문헌: p. 223-225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1. 연구 개요 19

1. 연구배경 및 목적 21

1) 연구배경 21

2) 연구목적 25

2. 연구의 범위 26

3. 연구수행 전략 및 방법 27

1) 연구수행 전략 27

4. 연구의 기대효과 33

2. 격자기반 국토지표를 활용한 국토정책 지원방안: 국토모니터링을 중심으로 35

1. 개요 37

1) 배경 37

2) 목적 37

2.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의 개념 및 내용 38

1) 국토모니터링의 개념과 필요성 38

2) 국토지표 기반의 모니터링체계 구상 38

3) 국토모니터링을 위한 국토지표체계의 정립 39

4)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의 개념과 선정방법 42

5)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의 선정 결과 44

3.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의 구축 46

1) 구축 범위 설정 46

2) 국토정보플랫폼 등 관련자료 조사 및 수집 47

3)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 구축 방법론 정립 52

4)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 구축 결과 61

4.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의 분석 및 활용 70

1) 분석주제 산정 70

2) 분석 방법론 및 결과 70

3) 분석의 한계 및 활용관련 시사점 95

3.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산 및 신뢰성 향상 방안 연구 97

1. 격자기반 국토지표의 생성기준 정립 99

1) 격자기반 국토지표의 개념 및 필요성 99

2) 격자기반 국토지표의 생성기준 정립방안 도출 100

3)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기준 요소항목별 방법론적 접근법 조사 111

4)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기준(안) 마련 117

5)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기준(안)에 관한 의견 수렴 135

2.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기준 검증 136

1)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기준을 적용한 시범DB 구축 136

2) 시범DB를 이용한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기준(안) 검증 150

3.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기준의 현행 격자통계 서비스 적용방안 도출 197

1)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기준과 현행 격자통계 서비스 연계 방안 197

2) 현행 격자통계 서비스 문제점 진단 및 개선사항 203

4. 국토조사연감 제작 211

1. 국토조사연감 제작 기획 213

1) 기획방향 213

2) 연감의 구성 214

2. 국토관리의 지속가능성 지표 및 기존 국토지표 구축 216

1) 국토관리의 지속가능성 지표 216

2) 기존 국토지표 업데이트 216

3. 국토조사연감 제작 217

1) 제1장 국토조사 개요 217

2) 제2장 국토관리의 지속가능성 지표 218

3) 제3장 주요 국토지표 219

4) 제4장 주요 통계자료 요약 221

5) 제5장 격자기반(1km) 국토통계지도 222

6) 국토조사연감 별권: 국토모니터링 보고서 시범제작안 222

4. 국토모니터링 보고서의 작성 223

1) 목적 223

2) 해외사례 벤치마킹 224

3) 보고서의 내용구성(안) 도출 225

4) 시범제작안 작성 227

V. 결론 및 향후과제 231

1.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성과 233

1) 연구의 주요 결과 233

2) 연구의 주요 성과 234

2. 향후 추진과제 237

1) 국토조사의 정체성 구체화 237

2) 국토모니터링 시범 운용 238

3)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기준 및 적용방안의 플랫폼 적용 239

4) 현행 격자통계 서비스 등 국토지표 제공 및 공유방법 개편 239

5) 현행 180여개 국토지표 개편 240

참고문헌 241

부록 245

부록1.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 후보군 세부사항 247

부록2.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 및 관련 데이터 수집 결과 명세서 269

부록3. 컴팩트시티(Compact City)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국토이용 현황 모니터링 방안 연구 325

부록4. 모니터링 보고서 시범제작 안 357

부록5. 격자체계 사양 기관 표준 387

부록6. 격자기반 국토지표 제품사양 기관표준 413

부록7. 현행 격자기반 국토지표 구촉방법 검토결과 461

부록8. 개인정보 재식별 방지처리 방법 및 도출 근거 469

부록9. 업무협의 및 자문회의 목록, 주요결과 473

〈표 2-1〉 미래국토발전 전략과 정책과제 41

〈표 2-2〉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 구축범위 설정 결과 46

〈표 2-3〉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 별 산식 및 필요자료 목록 47

〈표 2-4〉 원천자료별 보유기관 및 특성 48

〈표 2-5〉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 구축을 위해 수집된 원천자료 49

〈표 2-6〉 참고자료 구축을 위해 수집된 원천자료 49

〈표 2-7〉 건축물 주용도코드의 9대 시설군의 재분류 58

〈표 2-8〉 국토면적 대비 인구과소지역 비율의 변화(2011년, 2015년) 62

〈표 2-9〉 토지복합이용도에 따른 국토면적비율(2015년) 67

〈표 2-10〉 행정구역유형별 집약적 토지이용 수준 및 총 신축 연면적 69

〈표 2-11〉 행정구역유형별 집약적 토지이용 수준 관리목표(안) 69

〈표 2-12〉 인구 고령화 단계별 지역비율(2015년) 72

〈표 2-13〉 20~39세 여성인구 비율에 따른 지역비율(2015년) 73

〈표 2-14〉 인구소멸지수에 따른 지역비율(2015년) 74

〈표 2-15〉 지역의 인구고령화 단계별 인구소멸위험 74

〈표 2-16〉 국토면적 대비 인구과소지역의 비율(2015년) 75

〈표 2-17〉 인구고령화 단계 및 인구소멸위험에 따른 과소화 수준 75

〈표 2-18〉 인구소멸위험에 따른 과소화 수준(2015년) 76

〈표 2-19〉 지진구역계수에 따른 국토면적 비율 79

〈표 2-20〉 지진구역계수에 따른 인구 비율 80

〈표 2-21〉 인구의 지진취약도에 따른 지역 비율 81

〈표 2-22〉 지진구역계수에 따른 노후건축물 비율 81

〈표 2-23〉 건축물의 지진취약도에 따른 지역 비율 82

〈표 2-24〉 토지이용 집약도에 따른 지역 비율 86

〈표 2-25〉 토지이용 집약도와 복합도 상관관계 87

〈표 2-26〉 시도별 도시지역 대비 도시공원 면적 비율 90

〈표 2-27〉 2015년 시도별 1인당 도시공원 조성면적 91

〈표 3-1〉 「국토조사를 위한 격자체계 및 데이터 모델 표준안」에 관한 NGIS 표준화그룹 검토의견 102

〈표 3-2〉 기존 표준안 및 생성기준안의 주요 한계점 105

〈표 3-3〉 공간-통계 융합모델의 단계별 상세내용 106

〈표 3-4〉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단계별 상세사항 107

〈표 3-5〉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항목의 상세내용 108

〈표 3-6〉 요소항목별 채택가능한 방법론적 접근법 및 상세내용 111

〈표 3-7〉 국내 기존 격자체계의 구성요소 비교 114

〈표 3-8〉 주요 사례별 공간정보화(지오코딩) 방법 116

〈표 3-9〉 격자체계 사양 정의(안) 117

〈표 3-10〉 「격자체계 사양」국토지리정보원 기관표준(안)의 주요 내용 118

〈표 3-11〉 생성기준 마련대상 지표의 검토기준 120

〈표 3-12〉 66여종 기존 격자기반 국토지표 대상 생성기준 마련 필요성 검토 결과 122

〈표 3-13〉 기존 격자기반 국토지표 중 변경 필요 대상 125

〈표 3-14〉 「격자기반 국토지표 제품사양」 국토지리정보원 기관표준(안)의 주요 내용 134

〈표 3-15〉 전문가 의견 중 기관표준 미반영 내용 135

〈표 3-16〉 시범DB 구축결과(본 연구의 생성기준 적용결과) 예시 141

〈표 3-17〉 지오코딩 성공률(대구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144

〈표 3-18〉 주세 상세도 수준별 지오코딩 성공률 145

〈표 3-19〉 국내외 공간오차 평가 방법론 153

〈표 3-20〉 국토지표 생성기준 검증을 위한 분석절차 157

〈표 3-21〉 분석절차1에 필요한 자료 158

〈표 3-22〉 분석절차2에 필요한 자료 159

〈표 3-23〉 분석절차2 진행을 위한 단계별 내용 159

〈표 3-24〉 분석절차3에 필요한 자료 160

〈표 3-25〉 분석절차3 진행을 위한 단계별 내용 160

〈표 3-26〉 면적 할당법 추정결과 집계(세종시/도시지역/건물전체) 168

〈표 3-27〉 대표점 이용법 추정결과 집계(세종시/도시지역/건물전체) 168

〈표 3-28〉 면적 할당법 추정결과 집계(세종시/농촌지역/건물전체) 169

〈표 3-29〉 대표점 이용법 추정결과 집계(세종시/농촌지역/건물전체) 169

〈표 3-30〉 면적 할당법 추정결과 집계(대구시/도시지역/건물전체) 169

〈표 3-31〉 대표점 이용법 추정결과 집계(대구시/도시지역/건물전체) 169

〈표 3-32〉 면적 할당법 추정결과 집계(대구시/농촌지역/건물전체) 170

〈표 3-33〉 대표점 이용법 추정결과 집계(대구시/농촌지역/건물전체) 170

〈표 3-34〉 면적 할당법 추정결과 집계(세종시/도시지역/주거용) 170

〈표 3-35〉 대표점 이용법 추정결과 집계(세종시/도시지역/주거용) 170

〈표 3-36〉 면적 할당법 추정결과 집계(세종시/농촌지역/주거용) 171

〈표 3-37〉 대표점 이용법 추정결과 집계(세종시/농촌지역/주거용) 171

〈표 3-38〉 면적 할당법 추정결과 집계(대구시/도시지역/주거용) 171

〈표 3-39〉 대표점 이용법 추정결과 집계(대구시/도시지역/주거용) 171

〈표 3-40〉 면적 할당법 추정결과 집계(대구시/농촌지역/주거용) 172

〈표 3-41〉 대표점 이용법 추정결과 집계(대구시/농촌지역/주거용) 172

〈표 3-42〉 건물-인구 공간적 일치도 P(=G11/전체*100) : 세종시 도시/농촌/전체유형 173

〈표 3-43〉 건물-인구 공간적 일치도 P(=G11/전체*100) : 대구시 도시/농촌/전체유형 173

〈표 3-44〉 건물-인구 공간적 일치도 P(=G11/전체*100) : 세종시 도시/농촌/전체유형 173

〈표 3-45〉 건물-인구 공간적 일치도 P(=G11/전체*100) : 대구시 도시/농촌/전체유형 173

〈표 3-46〉 세종특별자치시 도시지역 전역적 분석결과 요약정보 178

〈표 3-47〉 세종특별자치시 농촌지역 전역적 분석결과 요약정보 183

〈표 3-48〉 대구광역시 도시지역 전역적 분석결과 요약정보 189

〈표 3-49〉 대구광역시 농촌지역 전역적 분석결과 요약정보 193

〈표 4-1〉 국토관리의 지속가능성 지표목록 214

〈표 4-2〉 주제별 주요 국토지표 목록 215

〈표 4-3〉 업데이트 불가한 국토 지표 216

〈표 4-4〉 업데이트 불가한 국토 지표 216

〈표 4-5〉 해외 국토모니터링 보고서의 예시 223

〈표 5-1〉 국토조사에 관한 규정 개정안 235

〈그림 1-1〉 증거기반 국토 및 지역정책 수행의 국내외 사례 21

〈그림 1-2〉 국토조사의 법적 위상, 운영 방식 및 관련 플랫폼 22

〈그림 1-3〉 국토조사의 발전방향 23

〈그림 1-4〉 격자통계 생성기준의 해외사례 24

〈그림 1-5〉 연구 목적 25

〈그림 1-6〉 연구의 범위 26

〈그림 1-7〉 연구의 이슈와 전략 27

〈그림 1-8〉 국토 계획 및 정책 부문의 제도개선 방향에 입각한 실용화 전략 28

〈그림 1-9〉 연구수행 과정에 프로슈머가 적극 참여하는 협력 전략 29

〈그림 1-10〉 연구수행 방법 30

〈그림 1-11〉 전문가 자문 및 워크숍을 통한 의견수렴 과정 31

〈그림 1-12〉 연구수행 추진체계 32

〈그림 1-13〉 연구수행 조직체계 32

〈그림 1-14〉 연구의 기대효과 33

〈그림 2-1〉 국토지표 기반의 국토모니터링체계 구상(안) 39

〈그림 2-2〉 국토기본법의 이념 및 정책 목표 40

〈그림 2-3〉 국토지표체계(안) 42

〈그림 2-4〉 국토모니터링 핵심지표의 선정 절차 43

〈그림 2-5〉 건축물 기반DB의 건축물 주용도코드 속성 오류 51

〈그림 2-6〉 인구과소지역 관련 지표 구축방법 52

〈그림 2-7〉 2015년 100m 격자인구를 500m 격자로 재집계한 결과 예시 53

〈그림 2-8〉 노후건축물 비율 지표 구축방법 54

〈그림 2-9〉 2010년 노후건축물 비율 산출결과 예시 54

〈그림 2-10〉 2015년 노후건축물 비율 산출결과 예시 54

〈그림 2-11〉 2010년 내진설계 미적용 건축물 비율 산출결과 예시 55

〈그림 2-12〉 2015년 내진설계 미적용 건축물 비율 산출결과 예시 55

〈그림 2-13〉 종합병원/응급의료시설 접근성 지표 구축방법 55

〈그림 2-14〉 전국 500m×500m 격자 중심점에서 최근린 응급의료시설까지의 차량이동거리 할당 예시 56

〈그림 2-15〉 응급의료시설에서 60분 서비스권 내 포함지역 도출 예시 56

〈그림 2-16〉 도시공원 도보접근성 지표 구축방법 57

〈그림 2-17〉 토지복합이용도 지표 구축방법 58

〈그림 2-18〉 500m×500m 격자의 단위격자별, 건축물 시설군별 집계 예시 59

〈그림 2-19〉 집약적 토지이용 수준 지표 구축방법 59

〈그림 2-20〉 대구·경북 인근 시가화지역 추출 예시 60

〈그림 2-21〉 전국 시가화지역 면적 산출 예시 60

〈그림 2-22〉 시군구별 신축건축물 연면적 산출 예시 61

〈그림 2-23〉 시군구별 시가화지역 내 신축건축물 연면적 산출 예시 61

〈그림 2-24〉 2011년 인구과소지역 분포 62

〈그림 2-25〉 2011년 인구과소지역 분포 62

〈그림 2-26〉 노후건축물 비율의 분포 63

〈그림 2-27〉 내진설계 법제화(1988년) 이전에 건립된 건축물 비율 분포 64

〈그림 2-28〉 종합병원 및 응급의료시설 서비스권(2015년) 65

〈그림 2-29〉 2015년 시도별 도시공원 도보접근가능 인구 비율 66

〈그림 2-30〉 2015년 700m내 도시공원접근가능 인구비율 67

〈그림 2-31〉 2015년 1km내 도시공원접근가능 인구비율 67

〈그림 2-32〉 2015년 토지복합이용도 분포 68

〈그림 2-33〉 2015년 집약적 토지이용 수준 68

〈그림 2-34〉 행정구역 유형별 집약적 토지이용 수준 69

〈그림 2-35〉 연구진 및 원내 전문가 워크숍 70

〈그림 2-36〉 고령인구 비율의 분포(2015년) 72

〈그림 2-37〉 20~39세 여성인구 비율의 분포(2015년) 73

〈그림 2-38〉 인구소멸지수의 분포(2015년) 73

〈그림 2-39〉 지역의 인구고령화 단계와 인구소멸위험 74

〈그림 2-40〉 인구과소지역의 분포(2015년) 75

〈그림 2-41〉 지진위험지도 79

〈그림 2-42〉 지진구역계수에 따른 총인구(2015년) 80

〈그림 2-43〉 인구의 지진취약도(2015년) 80

〈그림 2-44〉 지진구역계수에 따른 노후건축물 수('10년,'15년) 81

〈그림 2-45〉 지진구역계수에 따른 노후건축물 수 증감(10-15년) 81

〈그림 2-46〉 건축물의 지진취약도(2010년) 82

〈그림 2-47〉 건축물의 지진취약도(2015년) 82

〈그림 2-48〉 지진 옥외대피소의 위치 83

〈그림 2-49〉 지진 옥외대피소의 1km 도보권 83

〈그림 2-50〉 2015년 신축건축물 연면적 86

〈그림 2-51〉 2015년 시가화지역 내 신축건축물 연면적 86

〈그림 2-52〉 도시공원 공급량의 변화패턴 89

〈그림 2-53〉 2015년 시도별 도시공원 수와 조성면적 89

〈그림 2-54〉 2015년 도시지역 대비 도시공원 조성면적 비율 90

〈그림 2-53〉 1인당 도시공원 조성면적의 변화 91

〈그림 2-56〉 2015년 시도별 1인당 도시공원 조성면적 91

〈그림 2-57〉 2015년 시군구별 1인당 도시공원 조성면적 92

〈그림 2-58〉 2015년 시도별 도시공원 도보접근가능 고령인구 비율 93

〈그림 2-59〉 2015년 500m내 도시공원접근가능 고령인구 비율 94

〈그림 3-1〉 격자기반 국토지표의 개념 99

〈그림 3-2〉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기준의 필요성 101

〈그림 3-3〉 공간-통계 융합모델 106

〈그림 3-4〉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절차 107

〈그림 3-5〉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항목 108

〈그림 3-6〉 격자기반 국토지표 생성관련 요소항목별 표준화 방향 110

〈그림 3-7〉 국내 기존 격자체계 비교 114

〈그림 3-8〉 격자체계의 개념적 모델 118

〈그림 3-9〉 격자ID 부여방법 119

〈그림 3-10〉 현재 생산 중인 격자기반 국토지표 120

〈그림 3-11〉 OLAP 집계함수의 종류 121

〈그림 3-12〉 인구 수 지표 생성기준(안): 1~4단계 126

〈그림 3-13〉 인구 수 지표 생성기준(안): 4~6단계 127

〈그림 3-14〉 인구 수 지표 생성기준(안): 7~10단계 128

〈그림 3-15〉 건축물 면적 지표 생성기준(안): 1~4단계 129

〈그림 3-16〉 건축물 면적 지표 생성기준(안): 5단계 130

〈그림 3-17〉 건축물 면적 지표 생성기준(안): 6-9단계 131

〈그림 3-18〉 필지 면적 및 총 가격 지표 생성기준(안): 1-4단계 132

〈그림 3-19〉 필지 면적 및 총 가격 지표 생성기준(안): 5-7단계 133

〈그림 3-20〉 「격자기반 국토지표 제품사양」 작성과정 134

〈그림 3-21〉 세종특별자치시 호 라인을 이용하여 산출한 격자기반 인구수 138

〈그림 3-22〉 세종시 건축면적 격자통계 139

〈그림 3-23〉 세종시 건물 개수 격자통계 139

〈그림 3-24〉 대구광역시 격자별 공시지가 총계 140

〈그림 3-25〉 필지 경계 등 위치기준 원천자료 내 도형 및 속성정보 누락 사례 142

〈그림 3-26〉 2015년 이후 신축 건축물이 없는 지역(경기도 수원시) 142

〈그림 3-27〉 연속지적도 상 중복된 필지경계 (울산광역시 남구 야음장생포동 일대) 143

〈그림 3-28〉 연속지적도 상 중복된 필지 제거 결과 (울산광역시 남구 야음장생포동 일대) 143

〈그림 3-29〉 건축물대장 상 부정확한 주소의 예시 144

〈그림 3-30〉 호 식별이 되지 않는 건축물 경계(대구광역시) 145

〈그림 3-31〉 호라인으로 분리된 건축물 경계(세종특별자치시) 145

〈그림 3-32〉 건축물대장의 건축면적(좌)과 건물경계 도형면적(우)의 차이 146

〈그림 3-33〉 토지특성상 필지면적(좌)과 필지경계 도형면적(우)의 차이 146

〈그림 3-34〉 건축면적 및 연면적 값이 0인 건축물대장 147

〈그림 3-35〉 건축물대장의 잘못된 속성값 예시 147

〈그림 3-36〉 거리조락효과를 적용한 공간단위 내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 값 조정과정의 개념 156

〈그림 3-37〉 분석절차3의 준거자료 설정 논거 개념적 예시 161

〈그림 3-38〉 읍면동 단위 정확성 평가 프로그램(분석절차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162

〈그림 3-39〉 분석결과 : 세종특별자치시 준거자료 163

〈그림 3-40〉 분석결과 : 세종특별자치시 검증 대상 자료 163

〈그림 3-41〉 분석결과 : 세종특별자치시 오차제곱평균(RMSE) 164

〈그림 3-42〉 분석결과 : 세종특별자치시 설명계수(R-SQR) 165

〈그림 3-43〉 분석결과 : 대구광역시 준거자료 166

〈그림 3-44〉 분석결과 : 대구광역시 검증 대상 자료(인구 추정치) 166

〈그림 3-45〉 분석결과 : 대구광역시 오차제곱평균(RMSE) 167

〈그림 3-46〉 분석결과 : 대구광역시 설명계수(R-SQR) 167

〈그림 3-47〉 세종특별자치시 도시지역 준거값의 공간적 분포 174

〈그림 3-48〉 세종특별자치시 도시지역 인구추정치(추정값)의 공간적 분포: 대표점 이용법 175

〈그림 3-49〉 세종특별자치시 도시지역 인구추정치(추정값)의 공간적 분포: 면적 할당법 175

〈그림 3-50〉 세종시 도시지역 국지적 오차제곱평균(Spatial RMSE)의 공간적 분포: 대표점 이용법 176

〈그림 3-51〉 세종시 도시지역 국지적 오차제곱평균(Spatial RMSE)의 공간적 분포: 면적 할당법 176

〈그림 3-52〉 세종시 도시지역 국지적 설명계수(Spatial R-SQR)의 공간적 분포: 대표점 이용법 177

〈그림 3-53〉 세종시 도시지역 국지적 설명계수(Spatial R-SQR)의 공간적 분포: 면적 할당법 178

〈그림 3-54〉 세종시 농촌지역 준거값의 공간적 분포 179

〈그림 3-55〉 세종시 농촌지역 인구추정치(추정값)의 공간적 분포: 대표점 이용법 180

〈그림 3-56〉 세종시 농촌지역 인구추정치(추정값)의 공간적 분포: 면적 할당법 180

〈그림 3-57〉 세종시 농촌지역 국지적 오차제곱평균(Spatial RMSE)의 공간적 분포: 대표점 이용법 181

〈그림 3-58〉 세종시 농촌지역 국지적 오차제곱평균(Spatial RMSE)의 공간적 분포: 면적 할당법 181

〈그림 3-59〉 세종시 능촌지역 국지적 설명계수(Spatial R-SQR)의 공간적 분포: 대표점 이용법 182

〈그림 3-60〉 세종시 농촌지역 국지적 설명계수(Spatial R-SQR)의 공간적 분포: 면적 할당법 182

〈그림 3-61〉 세종시 도시지역 국지적... 183

〈그림 3-62〉 세종시 농촌지역 국지적... 183

〈그림 3-63〉 세종시 도시지역 국지적... 184

〈그림 3-64〉 세종시 농촌지역 국지적... 184

〈그림 3-65〉 대구시 도시지역 준거값의 공간적 분포 185

〈그림 3-66〉 대구시 도시지역 인구추정치(추정값)의 공간적 분포: 대표점 이용법 185

〈그림 3-67〉 대구시 도시지역 인구추정치(추정값)의 공간적 분포: 면적 할당법 186

〈그림 3-68〉 대구시 도시지역 국지적 오차제곱평균(Spatial RMSE)의 공간적 분포: 대표점 이용법 186

〈그림 3-69〉 대구시 도시지역 국지적 오차제곱평균(Spatial RMSE)의 공간적 분포: 면적 할당법 187

〈그림 3-70〉 대구시 도시지역 국지적 설명계수(Spatial R-SQR)의 공간적 분포: 대표점 이용법 187

〈그림 3-71〉 대구시 도시지역 국지적 설명계수(Spatial R-SQR)의 공간적 분포: 면적 할당법 188

〈그림 3-72〉 대구시 농촌지역 준거값의 공간적 분포 189

〈그림 3-73〉 대구시 농촌지역 인구추정치(추정값)의 공간적 분포: 대표점 이용법 190

〈그림 3-74〉 대구시 농촌지역 인구추정치(추정값)의 공간적 분포: 면적 할당법 190

〈그림 3-75〉 대구시 농촌지역 국지적 오차제곱평균(Spatial RMSE)의 공간적 분포: 대표점 이용법 191

〈그림 3-76〉 대구시 농촌지역 국지적 오차제곱평균(Spatial RMSE)의 공간적 분포: 면적 할당법 191

〈그림 3-77〉 대구시 농촌지역 국지적 설명계수(Spatial R-SQR)의 공간적 분포: 대표점 이용법 192

〈그림 3-78〉 대구시 농촌지역 국지적 설명계수(Spatial R-SQR)의 공간적 분포: 면적 할당법 192

〈그림 3-79〉 대구시 도시지역 국지적... 194

〈그림 3-80〉 대구시 농촌지역 국지적... 194

〈그림 3-81〉 대구시 도시지역 국지적... 195

〈그림 3-82〉 대구시 농촌지역 국지적... 195

〈그림 3-83〉 격자기반 국토지표의 정확성 평가절차(안) 196

〈그림 3-84〉 국토정보 플랫폼 서비스의 격자 통계지도 서비스 197

〈그림 3-85〉 국토조사 플랫폼의 개념도 198

〈그림 3-86〉 현 격자통계서비스의 데이터 가공 및 관리체계 199

〈그림 3-87〉 원천자료 연계체계 및 기반 DB 변경 방안 200

〈그림 3-88〉 기준/구역 DB 구축 및 관리체계 변경 방안 201

〈그림 3-89〉 스웨덴의 위치기준도 DB 202

〈그림 3-90〉 통계지도 DB구축 및 관리체계 변경 방안 203

〈그림 3-91〉 현행 격자통계 서비스의 Front-end 203

〈그림 3-92〉 자문 주안점 및 자문회의 사진 204

〈그림 3-93〉 통계청 KOSIS 메타데이터 제공 예시 206

〈그림 3-94〉 사용자 선택형 단계구분도 작성도구 예시 208

〈그림 3-95〉 Colorbrewer: 단계구분도 색상선정 지원도구 209

〈그림 4-1〉 2016년 국토조사연감 213

〈그림 4-2〉 국토조사연감 : 제1장 국토조사개요(예시) 217

〈그림 4-3〉 국토조사연감 : 제2장 국토관리의 지속가능성 지표(예시) 218

〈그림 4-4〉 국토조사연감 : 제3장 주요 국토지표(예시) 219

〈그림 4-5〉 국토조사연감 : 제4장 주요 통계자료(예시) 221

〈그림 4-6〉 국토조사연감 : 제5장 격자기반 국토통계지도(예시) 222

〈그림 4-7〉 국토모니터링 보고서 해외사례 벤치마킹 결과 224

〈그림 4-8〉 정책성과 평가용 국토모니터링 보고서 작성 양식 225

〈그림 4-9〉 현안진단용 국토모니터링 보고서 작성 양식 226

〈그림 4-10〉 국토모니터링 보고서 시범제작안 예시 227

〈그림 5-1〉 국토조사 개편의 필요성 233

〈그림 5-2〉 국토조사 기반 국토모니터링 운영을 위한 소통·협업 네트워크 강화 238

〈그림 5-3〉 격자기반 국토지표 품질제고를 위한 전문기관과 협업체계 구축(안) 239

〈그림 5-4〉 현행 180여개 국토지표 개편을 위한 의견수렴 체계(안) 24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97685 526.6 -17-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97686 526.6 -17-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