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6) 문화예술교육 ODA사업 성과평가 연구 [전자자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KECES ; 1651-R001
면수
239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7481971
제어번호
MONO1201739171
주기사항
연구책임자: 이태주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13

Ⅰ. 연구개요 19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0

1.1. 문화와 발전에 대한 논의 흐름 20

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설립과 역할 21

1.3. 문화예술교육 ODA 추진 및 한계 21

2. 연구목적 및 범위 23

2.1. 연구목적 23

2.2. 연구범위 23

3. 연구 방법 25

3.1. 문헌조사 26

3.2. 이해관계자 면담 26

3.3. 수혜자 면담 28

3.4. 전문가 자문 29

3.5. 설문조사 30

4. 연구 한계 33

4.1. 개발된 지표 풀(Pool)의 타당성 및 활용가능성 점검의 한계 33

4.2. 기초선 자료 부재로 인한 성과 측정의 한계 34

4.3. 비수혜자 대조군에 대한 엄격한 기준 적용의 한계 35

Ⅱ. 문화예술교육 ODA 효과성 선행연구 검토 36

1. 문화예술교육의 정의 및 범위 37

2. 국제개발협력과 문화예술교육 42

2.1. 지속가능발전과 문화(200년 이후, MDGs, 이후) 42

2.2. 지속가능발전 문화예술교육 49

3.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선행연구 52

3.1. 문화예술교육 장기성과 평가모형 구축 연구(김용주 외, 2009) 52

3.2. 평가지표에 의한 정책평가의 인과성 제고 연구: 학교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성과평가를 기초로(이윤식, 2010) 60

3.3. CIPP 모델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교육효과 연구: 〈2011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을 중심으로〉 (백령, 2012) 61

3.4.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 예술꽃 씨앗학교를 중심으로(정문성 외, 2011) 62

3.5. 2014 예술강사 지원사업 효과분석 연구(박소연 외, 2014) 68

Ⅲ. 문화예술교육 ODA 성과평가체계 75

1. 문화예술교육 ODA의 목적과 범위 78

1.1. 문화예술교육 ODA의 목적 78

1.2. 문화예술교육 ODA의 범위 80

2. 문화예술교육 ODA 성과모형 및 지표 풀(Pool) 83

2.1. 문화예술교육 ODA 성과모형 83

2.2/2.1. 문화예술교육 ODA 지표 풀(Pool) 86

Ⅳ. 베트남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시범평가 91

1. 시범평가 대상 개요 92

2. 시범평가 범위 및 항목 98

2.1. 시범평가 범위 98

2.2. 평가항목 100

3. 사업 과정평가 결과 119

3.1. 투입 요소 119

3.2. 활동 요소 123

4. 사업 성과평가 경과 142

4.1. 산출물 142

4.2. 단기성과 149

4.3. 중기성과 155

Ⅴ.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확대를 위한 제언 164

1.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발굴을 위한 제언 166

1.1. 우리나라 ODA 사업 발굴의 절차적 타당성 확보 166

1.2. 한국 문화예술교육 발전경험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 ODA 모델 개발 169

1.3. 한국정부 및 파트너국가 정책과의 연계성 고려 170

2.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기획을 위한 제언 175

2.1. 사업 기획을 위한 사업지역 상황분석 실시 176

2.2. 상황분석에 입각한 사업 논리모형 구축 183

2.3. 논리모형에 따른 사업수행계획 수립 191

3.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모니터링 및 평가를 위한 제언 194

3.1. 모니터링 계획 수립 195

3.2. 사업 평가 계획 수립 198

참고문헌 202

[부록] 207

1. 이해관계자 면담요청서 208

2. 현지조사 면담 질문지 214

3. 수혜자(학생/매개자) 설문조사 228

판권기 3

〈표 Ⅰ-1〉 연구방법 개요 25

〈표 Ⅰ-2〉 면담 대상 국내 이해관계자 목록 27

〈표 Ⅰ-3〉 면담 대상 현지 이해관계자 목록 28

〈표 Ⅰ-4〉 면담 대상 현지 직ㆍ간접 수혜자 목록 29

〈표 Ⅰ-5〉 전문가 구성 및 자문 주안점(요약) 30

〈표 Ⅰ-6〉 설문조사 개요 31

〈표 Ⅰ-7〉 응답자(학생) 특성 요약표 32

〈표 Ⅰ-8〉 응답자(교사) 특성 요약표 33

〈표 Ⅱ-1〉 문화예술교육의 정의 39

〈표 Ⅱ-2〉 학습주체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구분 39

〈표 Ⅱ-3〉 교육지원 대상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구분 40

〈표 Ⅱ-4〉 교육제공 주체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구분 40

〈표 Ⅱ-5〉 공간적 영역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구분 41

〈표 Ⅱ-6〉 수준별 영역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구분 41

〈표 Ⅱ-7〉 Culture for Development Indicators 44

〈표 Ⅱ-8〉 SDGs 목표, 세부목표, 지표 47

〈표 Ⅱ-9〉 SMARTER 기준 53

〈표 Ⅱ-10〉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 평가 지표 54

〈표 Ⅱ-11〉 사회문화예술교육사업 평가 지표 57

〈표 Ⅱ-12〉 예술강사 지원사업 성과평가모형 60

〈표 Ⅱ-13〉 산출단계 지표 61

〈표 Ⅱ-14〉 오케스트라 교육의 영역별 요소 62

〈표 Ⅱ-15〉 학생의 인성에 대한 효과성 지표 64

〈표 Ⅱ-16〉 학생의 문화예술성에 대한 효과성 지표 65

〈표 Ⅱ-17〉 학생의 인성에 대한 효과성 지표 67

〈표 Ⅱ-18〉 지역사회에 대한 효과성 평가 모형 67

〈표 Ⅱ-19〉 학생효과 최종 측정문항 69

〈표 Ⅱ-20〉 학교효과 최종 측정문항 71

〈표 Ⅱ-21〉 예술강사효과 최종 측정문항 72

〈표 Ⅱ-22〉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지표 조사 결과 73

〈표 Ⅲ-1〉 문화예술교육 ODA 범위별 가능 사업 예시 82

〈표 Ⅲ-2〉 문화예술교육 ODA 개인(직접 수혜자) 관련 성과 지표 풀 86

〈표 Ⅲ-3〉 문화예술교육 ODA 매개자 관련 성과 지표 풀 87

〈표 Ⅲ-4〉 문화예술교육 ODA 학교/사회 문화예술교육 지원 관련 성과 지표 풀 88

〈표 Ⅲ-5〉 문화예술교육 ODA 문화예술교육 거버넌스 구축 관련 성과 지표 풀 89

〈표 Ⅳ-1〉 시범평가 대상 사업 요약 92

〈표 Ⅳ-2〉 라오까이성 인구분포(2004년 기준) 94

〈표 Ⅳ-3〉 사업 추진 현황 96

〈표 Ⅳ-4〉 세부 사업 내용 96

〈표 Ⅳ-5〉 과정평가 및 성과평가의 특징과 내용 98

〈표 Ⅳ-6〉 평가기준 98

〈표 Ⅳ-7〉 베트남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시범평가 성과지표 103

〈표 Ⅳ-8〉 베트남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시범평가 설문조사 문항(초안) 105

〈표 Ⅳ-9〉 베트남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시범평가 설문조사 문항 조정결과 107

〈표 Ⅳ-10〉 학생 및 청소년 대상 설문조사 문항 Cronbach α 조사 결과 109

〈표 Ⅳ-11〉 매개자 대상 설문조사 문항 Cronbach α 조사 결과 110

〈표 Ⅳ-12〉 투입요소 평가항목 및 지표 110

〈표 Ⅳ-13〉 투입요소 평가항목 및 지표 111

〈표 Ⅳ-14〉 베트남 문화예술교육 ODA 시범평가 매트릭스 113

〈표 Ⅳ-15〉 사업 투입요서의 관련 평가항목: 조직 및 인력투입의 적절성 119

〈표 Ⅳ-16〉 투입 인력 평균 경력(학력 미포함) 120

〈표 Ⅳ-17〉 사업 투입요소의 관련 평가항목: 교육 기자재 투입의 적절성 121

〈표 Ⅳ-18〉 사업 기획 과정에 대한 평가항목 및 평가질문 123

〈표 Ⅳ-19〉 사업 수행 과정에 대한 평가항목 및 평가질문 128

〈표 Ⅳ-20〉 학교 문화예술교육 대상자 만족 특성(2013-2015) 129

〈표 Ⅳ-21〉 사업목표 및 교육과정별 목표(2013-2015) 130

〈표 Ⅳ-22〉 연도별/대상별 교육 커리큘럼(2013-2015) 132

〈표 Ⅳ-23〉 사업 모니터링 및 평가과정에 대한 평가항목 및 평가질문 135

〈표 Ⅳ-24〉 사업 전/후 설문조사 문항 136

〈표 Ⅳ-25〉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설문조사 문항 137

〈표 Ⅳ-26〉 사업 활동요소의 효율성에 대한 평가항목 및 평가질문 138

〈표 Ⅳ-27〉 사업 활동요소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평가항목 및 평가질문 140

〈표 Ⅳ-28〉 산출물 평가 항목 및 지표 142

〈표 Ⅳ-29〉 단기성과 평가 항목 및 지표 149

〈표 Ⅳ-30〉 아동 및 청소년 교육 수혜자-비수혜자 간 개인적, 사회자 성장 비교 분석 결과 151

〈표 Ⅳ-31〉 아동 및 청소년 교육 수혜자-비수혜자 간 문화예술적 효과(사진) 비교 분석 결과 153

〈표 Ⅳ-32〉 중기성과 평가 항목 및 지표 155

〈표 Ⅳ-33〉 수혜자-비수혜자 간 문화예술 활동(향유 및 창작) 비교 분석 결과 158

〈표 Ⅴ-1〉 동남아시아 국가별 CPS 전략목표 및 중점분야 172

〈표 Ⅴ-2〉 동남아시아 4개 국가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예시) 174

〈표 Ⅴ-3〉 이해관계자 분석 관련 주요 용어 정리 177

〈표 Ⅴ-4〉 베트남 문화예술교육 ODA 이해관계자 예시 178

〈표 Ⅴ-5〉 이해관계자 분석 매트릭스 예시 179

〈표 Ⅴ-6〉 프로젝트 타깃 그룹(직접 수혜자와 최종수혜자) 구분 180

〈표 Ⅴ-7〉 핵심문제-핵심문제의 원인-핵심문제의 결과 181

〈표 Ⅴ-8〉 산업 전략 선택을 위한 기준(예시) 183

〈표 Ⅴ-9〉 성과 지표별 사업 기준치 데이터 조사 보고 양식(가나사업 예시) 188

〈표 Ⅴ-10〉 사업 실행계획의 4가지 세부 구성 191

〈표 Ⅴ-11〉 '베트남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의 업무분업체계(예시) 192

〈표 Ⅴ-12〉 한국 및 수원국 정부 책임 체계('베트남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예시) 192

〈표 Ⅴ-13〉 '베트남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갠트차트 활용 예시 193

〈표 Ⅴ-14〉 모니터링과 평가의 차이 194

〈표 Ⅴ-15〉 모니터링 프레임워크에 따른 모니터링 계획 양식 196

〈표 Ⅴ-16〉 성과 모니터링 계획 양식 196

〈표 Ⅴ-17〉 모니터링 역할 분장 및 보고 체계 수립 시 고려사항 197

〈표 Ⅴ-18〉 모니터링 역할 분장 및 보고 체계 197

〈표 Ⅴ-19〉 평가의 목적 199

〈표 Ⅴ-20〉 평가의 목적에 따른 주안점과 평가 핵심 질문 200

〈표 Ⅴ-21〉 평가 기능 조건 및 평가 접근법 200

〈표 Ⅴ-22〉 평가 접근법과 방법 201

〈그림 Ⅰ-1〉 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연구의 범위 24

〈그림 Ⅱ-1〉 국제사회의 문화와 발전에 대한 논의 흐름도 49

〈그림 Ⅲ-1〉 문화예술교육 ODA의 목적 80

〈그림 Ⅲ-2〉 문화예술교육 ODA의 범위 81

〈그림 Ⅲ-3〉 문화예술교육 ODA 성과모형 84

〈그림 Ⅳ-1〉 라오까이성 행정지도 93

〈그림 Ⅳ-2〉 베트남 라오까이성의 소수민족 구성 94

〈그림 Ⅳ-3〉 베트남 라오까이성의 소수민족 구성 95

〈그림 Ⅳ-4〉 본 시범평가의 범위 99

〈그림 Ⅳ-5〉 베트남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성과모형 101

〈그림 Ⅳ-6〉 베트남 사회경제개발전력 비전 2011-2020 124

〈그림 Ⅳ-7〉 한국정부의 베트남 중접협력전략(2011-2015) 126

〈그림 Ⅳ-8〉 베트남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중장기 로드맵 127

〈그림 Ⅳ-9〉 연도별 학생 및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시 수 143

〈그림 Ⅳ-10〉 연도별 학생 및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참여자 수 144

〈그림 Ⅳ-11〉 연도별 학생 및 청소년 1인당 창작물 건 수 145

〈그림 Ⅳ-12〉 연도별 매개자 교육 시수 146

〈그림 Ⅳ-13〉 연도별 학생 및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참여자 수 147

〈그림 Ⅳ-14〉 연도별 학생 및 청소년 1인당 창작 작품 건 수 148

〈그림 Ⅳ-15〉 참여 아동 및 청소년의 개인적, 사회적 성장 150

〈그림 Ⅳ-16〉 참여 아동 및 청소년의 문화예술적 효과(사진) 152

〈그림 Ⅳ-17〉 매개자 교육 지식 향상 정도 154

〈그림 Ⅳ-18〉 사업 참여 학생의 학교 밖 문화예술 활동 정도 평가 결과 156

〈그림 Ⅳ-19〉 사업 참여 학생의 가족과의 문화예술 활동 정도 평가 결과 157

〈그림 Ⅳ-20〉 문화예술교육 관련 기술 및 지식 활용 평가 결과 159

〈그림 Ⅳ-21〉 매개자의 문화예술교육 현업적용에 대한 현업적용요인 분석 결과 160

〈그림 Ⅳ-22〉 현업적용요인 중 개인요인의 세부항목 조사 결과 161

〈그림 Ⅳ-23〉 현업적용요인 중 교육요인의 세부항목 조사 결과 162

〈그림 Ⅳ-24〉 현업적용요인 중 조직요인의 세부항목 조사 결과 163

〈그림 Ⅴ-1〉 우리나라 ODA 사업 조정 절차 166

〈그림 Ⅴ-2〉 KOICA 무상원조 사업조정 절차 167

〈그림 Ⅴ-3〉 진흥원 문화예술교육 ODA 모델 개발 169

〈그림 Ⅴ-4〉 OECD/DAC 원조효과성 파리선언 5원칙 170

〈그림 Ⅴ-5〉 프로젝트 사이클 기획 단계 요약 176

〈그림 Ⅴ-6〉 목표나무와 논리체계 184

〈그림 Ⅴ-7〉 기준치와 목표치 189

〈그림 Ⅴ-8〉 모니터링 프레임워크(예시) 196

〈그림 Ⅴ-9〉 평가의 설계 199

글상자목차

〈글상자 Ⅴ-1〉 성과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내의 사업 책임자의 역할 198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