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6년) 해양생태계 서식처 기능 개선 및 복원사업 : 보호대상해양생물종 증식·복원 등 : 최종보고서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 2016[실은 2017]
청구기호
577.7 -17-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97 p.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40014
주기사항
판권기표제: (2016년) 해양생태계 서식처 기능개선 및 복원
주관연구기관: 해양환경관리공단
주관연구책임자: 고병설
부록: 보호대상 해양생물 실내증식 매뉴얼
참고문헌: p. 347-350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참여 연구진

목차

제1장 서론 19

제1절 사업배경 21

제2절 사업범위 및 내용 23

제2장 점박이물범 보전·관리 25

제1절 연구 개요 27

제2절 점박이물범 서식현황 조사 29

1. 점박이물범 개요 29

2. 백령도 점박이물범 서식현황 조사 37

3. 백령도 점박이물범 개체군 위협요인 실태 파악 41

4.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연구 44

5. 개체별 출현율 및 선호 서식지 규명 59

6. 과거 개체 식별된 개체의 재발견을 통한 생활사 추적 68

7. 결론 75

제3절 점박이물범 야생적응훈련 및 방류 76

1. 배경 76

2. 대상개체 이력 76

3. 방류훈련 과정 77

4. 위성추적장치를 이용한 복돌이 방류 이후 모니터링 87

5. 야생적응훈련 및 방류결과에 대한 고찰 90

제4절 기각류 혼획·좌초 현황 및 혼획 저감 연구 사례 91

1. 좌초 및 혼획의 정의와 자료 수집 91

2. 기각류 좌초·혼획 현황 92

3. 해양포유류 혼획 저감 어구 개발 사례 96

제5절 기각류 유전체 분석 105

1. 목적 및 필요성 105

2. 결과 106

제6절 결론 및 제언 135

제3장 붉은발말똥게 서식현황 및 인공증식 139

제1절 연구 개요 141

1. 연구 배경 141

2. 연구 목적 141

3. 연구 내용 141

제2절 선행 조사 사례 연구(DB) 142

1. 기존 연구 사례 조사 142

제3절 붉은발말똥게 서식현황 조사 147

1. 현장조사 147

2. 결과 및 고찰 152

제4절 서식지환경 및 위협요인 171

1. 재료 및 방법 171

2. 결과 및 고찰 172

제5절 유전자 다양성 연구 176

1. 재료 및 방법 176

2. 결과 및 고찰 177

제6절 시범증식 및 매뉴얼 제작 182

1. 어미게 사육관리 182

2. 부유유생 사육관리 186

3. 어린게 사육관리 202

제7절 제언 207

1. 보호종 서식실태 조사 207

2. 붉은발말똥게의 사육 및 증식 208

3. 붉은발말똥게의 방류 209

4. GIS 기반 위치정보 시스템 구축 210

제4장 독도 해양생물 서식처 개선 211

제1절 사업 개요 213

1. 과업배경 및 목적 213

2. 과업내용 213

제2절 재료 및 방법 214

1. 조식동물 구제 214

2. 성게 이상증식 규명 기초연구 216

3. 천연해조군락 및 조식동물 분포 조사 216

제3절 결과 218

1. 조식동물 구제 218

2. 성게 이상증식 규명 기초연구 223

3. 천연해조군락 및 조식동물 분포 조사 224

4. 종합결론 및 정책제언 237

제5장 백령도 점박이물범 인공휴식지 조성 기반 연구 241

제1절 기각류 인공휴식처 이용 현황 243

1. 점박이물범의 인공구조물 휴식처 이용 가능성 파악 방법 243

2. 인터넷을 활용한 문헌 조사 244

3. 연구논문 및 보고서를 활용한 문헌 조사 259

제2절 하늬바다 서식환경 분석 262

1. 기상 환경 262

2. 해양 환경 276

3. 지질 환경 285

4. 지형학적 특성 299

제6장 해양생물 서식지외보전 및 구조·치료 활동 315

제1절 개요 317

제2절 해양생물 서식지외보전 지원사업 결과 319

1. 지원 현황 319

2. 아쿠아플라넷 제주(나팔고둥 증식) 320

3. 아쿠아플라넷 일산(거머리말 증식) 336

4.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밤수지맨드라미 증식) 348

제3절 해양동물 전문구조·치료 활동 지원 350

1. 지원 현황 350

2. 2016년 해양동물전문구조·치료기관 지원사업 351

3. 2016년 해양동물 구조·치료 교육·훈련 프로그램 352

제7장 백령도 점박이물범 인식증진 353

제1절 사업 개요 355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355

2. 사업의 범위 및 구성 355

제2절 청소년 점박이물범 모니터링 356

1. 개요 356

2. 주요 내용 356

3. 진행 내용 및 일정 356

제3절 청소년 점박이물범 모니터링 활동 발표회 359

1. 개요 359

2. 주요 발표내용 359

제4절 평가 및 활용계획 361

제8장 참고문헌 363

부록_보호대상 해양생물 실내증식 매뉴얼 369

[부록 1] 붉은발말똥게 증식 매뉴얼 371

[부록 2] 선행연구자료 DB 404

[부록 3] 독도 해양생물 서식처 개선 407

판권기 416

〈표 1-1-1〉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중 보호대상해양생물 관리 수단 22

〈표 1-2-1〉 연도별 사업추진현황 23

〈표 2-2-1〉 기각류의 분류 30

〈표 2-2-2〉 점박이물범과 참물범 비교 36

〈표 2-2-3〉 백령도 내 주요 서식지별 점박이물범 관찰 개체수 40

〈표 2-2-4〉 월별 식별된 개체수 46

〈표 2-2-5〉 개체별 출현율 및 선호 서식지 분석(2016. 5; 총 73마리; DM: 두무진, MB: 물범바위, YB: 연봉바위) 60

〈표 2-2-6〉 개체별 출현율 및 선호 서식지 분석 (2016. 8; 총 73마리) 60

〈표 2-2-7〉 개체별 출현율 및 선호 서식지 분석(2016. 9; 총 72마리) 61

〈표 2-2-8〉 개체별 출현율 및 선호 서식지 분석(2016. 10; 총 56마리) 61

〈표 2-2-9〉 개체별 출현율 및 선호 서식지 분석(조사 전체; 총 246마리) 62

〈표 2-2-10〉 식별된 개체의 개체별 재발견율 62

〈표 2-2-11〉 식별된 개체의 재발견율 및 발견된 위치(조사 전체; 개체식별번호 1-70) 63

〈표 2-2-12〉 식별된 개체의 재발견율 및 발견된 위치(조사 전체; 개체식별번호 71-140) 64

〈표 2-2-13〉 식별된 개체의 재발견율 및 발견된 위치(조사 전체; 개체식별번호 141-210) 65

〈표 2-2-14〉 식별된 개체의 재발견율 및 발견된 위치(조사 전체; 개체식별번호 211-246) 66

〈표 2-2-15〉 개체별 출현율 및 선호 서식지 분석 (2회 이상 출현 개체; 총 33마리) 67

〈표 2-2-16〉 과거 개체식별된 개체의 재발견 현황(2008년과 2016년 조사 자료 비교) 68

〈표 2-2-17〉 과거 개체식별된 개체의 재발견(2008년과 2016년 조사 자료 비교; 일련 번호 1-70) 69

〈표 2-2-18〉 과거 개체식별된 개체의 재발견(2008년과 2016년 조사 자료 비교; 일련 번호 71-140) 70

〈표 2-2-19〉 과거 개체식별된 개체의 재발견(2008년과 2016년 조사 자료 비교; 일련 번호 141-210) 71

〈표 2-2-20〉 과거 개체식별된 개체의 재발견(2008년과 2016년 조사 자료 비교; 일련 번호 211-248) 72

〈표 2-3-1〉 점박이물범 야생적응 훈련 계획 일정 79

〈표 2-3-2〉 복돌이 혈액 검사 수치 85

〈표 2-3-3〉 점박이물범 야생적응 훈련 진행 상황 86

〈표 2-4-1〉 점박이물범의 좌초 및 혼획 현황 94

〈표 2-4-2〉 MMED 설치여부에 따른 종별 어획량 및 크기 자료 97

〈표 2-4-3〉 혼획 저감 장치 유무에 따른 혼획 비율 103

〈표 2-4-4〉 부검자료에 사용된 SLED의 설치 여부에 따른 혼획된 수 103

〈표 2-4-5〉 AHD의 유무에 따른 어획량 105

〈표 2-5-1〉 Whole Genome Re-sequencing 을 위한 QC 통과 기준 106

〈표 2-5-2〉 1차 샘플 List 및 DNA QC Result 106

〈표 2-5-3〉 2차 추가 샘플 List 및 DNA QC Result 108

〈표 2-5-4〉 물개 샘플 QC 109

〈표 2-5-5〉 Covaris를 이용한 DNA shearing 조건 110

〈표 2-5-6〉 Paired-end Library 구축 결과 111

〈표 2-5-7〉 RNA-seq을 위한 샘플 구성 구축 결과 119

〈표 2-5-8〉 RNA-seq 샘플 추출 및 QC 결과 120

〈표 2-5-9〉 RNA-seq 추가 샘플 추출 및 QC 결과 121

〈표 2-5-10〉 생산된 Paired-end Library 데이터 정보 123

〈표 2-5-11〉 큰바다사자 Mate-pair Library 데이터 생산 결과 124

〈표 2-5-12〉 40kb long mate pair library 생산 데이터 124

〈표 2-5-13〉 Trimmomatic을 이용한 QC 후 데이터 정보 125

〈표 2-5-14〉 큰바다사자의 유전체 초안 결과 130

〈표 2-5-15〉 물개의 유전체 초안 결과 131

〈표 2-5-16〉 점박이물범의 유전체 초안 결과 131

〈표 2-5-17〉 큰바다사자 Read Remapping 결과 132

〈표 2-5-18〉 큰바다사자의 반복 서열 분석 결과 133

〈표 2-5-19〉 예측된 기각류 유전자 정보 133

〈표 3-4-1〉 붉은발말똥게 서식지 토양의 입도분석 정점 171

〈표 3-4-2〉 붉은발말똥게 서식지 토양 입도분석 측정법 171

〈표 3-4-3〉 붉은발말똥게 서식지 토양 입도 분석 결과 173

〈표 3-4-4〉 붉은발말똥게 서식지 위협요인 유형별 분석 175

〈표 3-5-1〉 유전자분석을 위한 붉은발말똥게 채집지역 176

〈표 3-5-2〉 Gradient PCR 반응조건 177

〈표 3-5-3〉 붉은발말똥게 미토콘드리아 CO1 haplotype의 염기변이 178

〈표 3-5-4〉 개체군 단위별 획득된 haplotype 빈도 179

〈표 3-5-5〉 유전자분석을 위한 붉은발말똥게 채집지역 180

〈표 3-5-6〉 개체군 간 유전적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한 유전자 분화도 (FST) 181

〈표 3-6-1〉 사육수조 설계를 위한 붉은발말똥게의 생태학적 특성 182

〈표 3-6-2〉 어미게의 크기 및 사육조건 183

〈표 3-6-3〉 수중식 사육시스템의 구성장치별 기능 및 역할 184

〈표 3-6-4〉 수중식 사육시스템의 구성장치별 기능 및 역할 185

〈표 3-6-5〉 어미게 사육시스템의 비교 185

〈표 3-6-6〉 어미게의 포란 간격 191

〈표 3-6-7〉 부화유생의 발달단계별 크기 및 소요일수 194

〈표 3-6-8〉 어린게 사육시설의 장단점 비교 205

〈표 4-2-1〉 독도(서도) 천연해조군락 및 조식동물 분포 조사 정점 좌표 214

〈표 4-3-1〉 작업일자별 조식동물 구제량 218

〈표 4-3-2〉 구제해역에 출현한 둥근성게의 생식소중량지수(GSI) 224

〈표 4-3-3〉 독도(서도)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정점별 출현종 수 및 구성비 225

〈표 4-3-4〉 독도(서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정점별 생물량(g WWt/㎡) 및 구성비 226

〈표 4-3-5〉 갯녹음 판정기준 237

〈표 5-2-1〉 월별 주요 기상 현황 263

〈표 5-2-2〉 관측년도 평균기온 통계분석 결과 265

〈표 5-2-3〉 관측년도별 상대습도 통계분석 결과 266

〈표 5-2-4〉 관측년도별 풍속 통계 분석 결과 267

〈표 5-2-5〉 관측년도별 일조량 통계 분석 결과 270

〈표 5-2-6〉 관측년도별 강수량 통계 분석 결과 271

〈표 5-2-7〉 2012년도 태풍(기상청 연보) 272

〈표 5-2-8〉 2013년도 태풍(기상청 연보) 273

〈표 5-2-9〉 2014년 태풍(기상청 연보) 274

〈표 5-2-10〉 2015년 태풍(기상청 연보) 275

〈표 5-2-11〉 문헌 조사 항목 및 위치 276

〈표 5-2-12〉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의 월별 대조차, 소조차 278

〈표 5-2-12〉 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유의파고의 월별 통계분석 결과 279

〈표 5-2-13〉 소청초 해양과학기지 표층유속의 월별 통계분석 결과 281

〈표 5-2-14〉 백령도 표층 수온의 월별 통계분석 결과 283

〈표 5-2-15〉 대청도 조위관측소 조위자료에 대한 조화분해 결과(국립해양조사원) 284

〈표 5-2-16〉 시료채취 위치상세표 289

〈표 5-2-17〉 XRF 분석결과 292

〈표 5-2-18〉 XRF 분석결과 292

〈표 5-2-19〉 대표 광물 암석의 비중 294

〈표 5-2-20〉 조사지역 암반의 물리적 특성 295

〈표 5-2-21〉 조사지역 암반의 벽면강도 특성 297

〈표 5-2-22〉 조사지역 암반의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 298

〈표 5-2-23〉 암종별 탄성파 속도 및 내압강도 298

〈표 5-2-24〉 암분류 기준 : A, B 그룹의 비교 298

〈표 5-2-25〉 방향성 조사 결과 300

〈표 5-2-26〉 방향성 조사 결과 301

〈표 5-2-27〉 거칠기 측정 결과 302

〈표 5-2-28〉 거칠기 측정 결과 303

〈표 5-2-29〉 RTK GPS 제원 304

〈표 5-2-30〉 퇴적물 입도등급 309

〈표 5-2-31〉 하늬바다 해빈 표층 퇴적물 입도분석 결과 311

〈표 6-1-1〉 해양생물 서식지외보전기관 지정 현황 318

〈표 6-1-2〉 해양동물전문구조·치료기관 지정 현황 318

〈표 6-2-1〉 보호대상해양생물 관련 지원사업 분야 세부내용 319

〈표 6-2-2〉 기관별 지원사업 내용 319

〈표 6-2-3〉 나팔고둥의 일반 특징 320

〈표 6-2-4〉 나팔고둥 개체별 먹이 섭이량 321

〈표 6-2-5〉 나팔고둥 개체별 번식 행동 324

〈표 6-2-6〉 나팔고둥 산란 현황 325

〈표 6-2-7〉 나팔고둥 유생 공급 먹이 종류 328

〈표 6-2-8〉 시험조 별 먹이 공급 및 배양 환경 328

〈표 6-2-9〉 나팔고둥 유생의 먹이종류에 따른 섭이 329

〈표 6-2-10〉 시험조 별 나팔고둥 먹이 공급 및 배양 환경 333

〈표 6-2-11〉 시험조 별 나팔고둥 유생 사육 현황 334

〈표 6-2-12〉 거머리말의 일반 특징 336

〈표 6-2-13〉 거머리말 채취 내역 337

〈표 6-2-14〉 거머리말 1번 사육수조 현황 341

〈표 6-2-15〉 거머리말 2번 사육수조 현황 342

〈표 6-2-16〉 거머리말 사육수조 환경 343

〈표 6-2-17〉 식재한 거머리말의 초기 상태 변화(9/1~9/30) 344

〈표 6-2-18〉 1번 수조 내 식재한 거머리말의 상태 변화(9/27~11/3) 345

〈표 6-2-19〉 서귀포시 표선면 해역 분포 조사 348

〈표 6-2-20〉 산호 수조 기본 구성 350

〈표 6-3-1〉 해양동물 구조·치료·방류 경비 지원 현황 351

[그림 1-2-1] 2016년 사업추진체계 24

[그림 2-1-1] 서해에 서식하는 점박이물범 27

[그림 2-2-1] 휴식 중인 수컷 캘리포니아바다사자의 지느러미 발 29

[그림 2-2-2] 물범과 기각류의 일러스트 31

[그림 2-2-3] 바다사자과 및 바다코끼리과 기각류의 일러스트 32

[그림 2-2-4] 육상 위 점박이물범(좌)과 캘리포니아바다사자(우)의 자세 비교 33

[그림 2-2-5] 점박이물범(좌)과 물개(우)의 귓바퀴 비교 34

[그림 2-2-6] 바다코끼리(좌)와 코끼리물범(우) 외형 비교 34

[그림 2-2-7] 백령도에서 점박이물범의 서식지역 37

[그림 2-2-8] 하늬바다 근처의 점박이물범 무리 39

[그림 2-2-9] 등 뒤편에 외상 자국이 뚜렷한 개체 39

[그림 2-2-10] 오른쪽 눈이 실명된 개체 40

[그림 2-2-11] 2006~2016년 점박이물범의 월별 최대 발견 개체수 41

[그림 2-2-12] 백령도 점박이물범 개체군의 생존에 위협이 되는 위협요인(홍합 채취와 같은 어업활동)... 41

[그림 2-2-13] 10월 18일 물범바위에서 해조류를 채취하고 있는 어민 42

[그림 2-2-14] 물범바위에서 어민활동이 없던 10월 19일 물범바위 전경 42

[그림 2-2-15] 백령도 점박이물범 개체군의 생존에 위협이 되는 위협요인(낚시와 같은 어업활동)... 43

[그림 2-2-16] 어업활동과 같은 인간 간섭에 대한 백령도 점박이물범의 행동 반응 특성... 44

[그림 2-2-17] 백령도 점박이물범 개체식별 과정 45

[그림 2-2-18] 개체식별을 위한 백령도 점박이물범의 왼쪽 뺨 촬영 사진 및 개체식별번호 45

[그림 2-2-19] 백령도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카탈로그(개체식별번호 1-20) 47

[그림 2-2-20] 백령도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카탈로그(개체식별번호 21-40) 48

[그림 2-2-21] 백령도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카탈로그(개체식별번호 41-60) 49

[그림 2-2-22] 백령도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카탈로그(개체식별번호 61-80) 50

[그림 2-2-23] 백령도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카탈로그(개체식별번호 81-100) 51

[그림 2-2-24] 백령도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카탈로그(개체식별번호 101-120) 52

[그림 2-2-25] 백령도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카탈로그(개체식별번호 121-140) 53

[그림 2-2-26] 백령도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카탈로그(개체식별번호 141-160) 54

[그림 2-2-27] 백령도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카탈로그(개체식별번호 161-180) 55

[그림 2-2-28] 백령도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카탈로그(개체식별번호 181-200) 56

[그림 2-2-29] 백령도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카탈로그(개체식별번호 201-220) 57

[그림 2-2-30] 백령도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카탈로그(개체식별번호 221-240) 58

[그림 2-2-31] 백령도 점박이물범 사진식별 카탈로그(개체식별번호 241-246) 59

[그림 2-2-32] 백령도 점박이물범의 주요 서식지 59

[그림 2-2-33] 식별된 개체의 개체별 선호 서식지 및 선호도(조사 전체; 총 246마리) 66

[그림 2-2-34] 개체 식별된 개체의 재발견 사진(개체식별번호 001) 67

[그림 2-2-35] 식별된 개체의 개체별 선호 서식지 및 선호도(2회 이상 출현 개체; 총 33마리) 67

[그림 2-2-36] 과거 개체 식별된 개체의 재발견을 통한 생활사 추적 과정 68

[그림 2-2-37] 과거 개체 식별된 개체의 재발견 사진 73

[그림 2-2-38] 과거 개체식별된 개체의 선호 서식지 분석(총 4마리) 75

[그림 2-3-1] 방류대상 점박이물범(일명 복돌이) 77

[그림 2-3-2] 국립수산과학원 친환경양식연구센터 내 훈련장(가운데 붉은색 표시 부분) 78

[그림 2-3-3] 살아있는 먹이 사냥에 성공한 복돌이 81

[그림 2-3-4] 복돌이의 휴식처로 이용된 나무상자 82

[그림 2-3-5] 방류 후 모니터링을 위한 위성추적장치 부착 83

[그림 2-3-6] 백령도 물범바위 인근에서 방류되는 복돌이 84

[그림 2-3-7] 방류 직후 선박 주위를 유영 중인 복돌이 84

[그림 2-3-8] 방류 후 복돌이 이동 경로 89

[그림 2-4-1] 강원 연안 정치망에 의한 물개 혼획량의 연간 변동 92

[그림 2-4-2] 강원 연안 정치망에 의한 물개 혼획량의 월간 변동(2001~2015) 93

[그림 2-4-3] 오호츠크해 결빙 면적의 연간 변화 94

[그림 2-4-4] TED의 부착 형태 및 부착된 TED에 의해 거북이가 탈출하는 모습 96

[그림 2-4-5] MMED 형태 및 해양 포유류 혼획 저감 장치(MMED)를 부착한 로프 트롤의 형태 97

[그림 2-4-6] Acoustic Transponder release gate를 부착한 실제 모습 99

[그림 2-4-7] Acoustic Transponder release gate의 적용 모습 99

[그림 2-4-8] Hydrostatic net release 100

[그림 2-4-9] 뉴질랜드바다사자의 주 서식지(2012) 101

[그림 2-4-10] 1988년 이후 관측된 뉴질랜드바다사자의 혼획률 102

[그림 2-4-11] Sea Lion Exclusion Device의 형태 102

[그림 2-4-12] 어구 모식도와 AHD의 설치 위치 104

[그림 2-4-13] (a) 태양열전지판을 이용한 충전 뗏목 (b) AHD의 형태와 충전 모습 104

[그림 2-5-1] 1차 DNA 샘플 Gel Image 107

[그림 2-5-2] 2차 추가샘플 DNA추출 Gel Image 108

[그림 2-5-3] 물개 샘플 DNA 추출 Gel Image 109

[그림 2-5-4] Cluster 합성 과정 111

[그림 2-5-5] Bioanalyzer를 이용한 Paired-end Library QC 112

[그림 2-5-6] 1차 점박이물범, 큰 바다사자에 대한 Mate-pair Library QC 113

[그림 2-5-7] 큰바다사자 2차 Mate-pair Library QC결과 114

[그림 2-5-8] Fosmid Library를 이용한 40kb long mate pair 라이브러리 제작과정 115

[그림 2-5-9] 일반 DNA 추출과 Fosmid Library용 DNA 전기영동 비교 115

[그림 2-5-10] Partial Digestion-Restriction enzyme test 결과 116

[그림 2-5-11] Enzyme Test 및 Size Selection 117

[그림 2-5-12] 선발된 DNA fragment에 대한 Fosmid Library 구축 117

[그림 2-5-13] 구축된 Fosmid Library에 대한 Insert Size 검정 118

[그림 2-5-14] 추가 RNA-seq 샘플에 대한 Bioanalyzer 결과 122

[그림 2-5-15] 필터링 이후 GC Contents 및 Adapter Contamination 예시 125

[그림 2-5-16] K-mer distribution of wheat stripe rust fungus. 126

[그림 2-5-17] K-mer Distribution에서의 Peak 해석 126

[그림 2-5-18] K-mer distribution using Simulated Data 127

[그림 2-5-19] 큰바다사자의 19-mer distribution 127

[그림 2-5-20] 물개의 19-mer distribution 128

[그림 2-5-21] 점박이 물범의 19-mer distribution 128

[그림 2-5-22] 유전체 어셈블리 프로세스 129

[그림 2-5-23] IDBA_UD Homepage 130

[그림 2-5-24] MT genome을 이용한 계통도(NJ, Bootstrap 1000) 134

[그림 3-2-1] 붉은발말똥게의 연구조사 보고 지역 143

[그림 3-2-2] 갯게의 연구조사 보고 지역 144

[그림 3-2-3] 남방방게의 연구조사 보고 지역 145

[그림 3-2-4] 흰발농게의 연구조사 보고 지역 146

[그림 3-3-1] 붉은발말똥게의 형태적 특징 148

[그림 3-3-2] 붉은발말똥게의 전세계 및 국내 분포 현황 149

[그림 3-3-3] 지방환경유역청 포획 허가 신청서 150

[그림 3-3-4] 붉은발말똥게 서식지 조사후보지역(40개소, 103개 지점〉 150

[그림 3-3-5] 붉은발말똥게 서식지 분포 현황 조사 151

[그림 3-3-6] 붉은발말똥게 서식지 분포 152

[그림 3-3-7] 붉은발말똥게 상위 5위 서식지 153

[그림 3-3-8] 붉은발말똥게 서식지 토양 온도 153

[그림 3-3-9] 붉은발말똥게 서식지 토양 염분 154

[그림 3-3-10]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공릉천 하류) 155

[그림 3-3-11]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삼남습지) 156

[그림 3-3-12]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덕진진) 156

[그림 3-3-13]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 157

[그림 3-3-14]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금강하구) 158

[그림 3-3-15]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조류생태전시관 앞) 158

[그림 3-3-16]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탐진강과 파산천) 159

[그림 3-3-17]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탐진강) 160

[그림 3-3-18]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거문도 서도) 160

[그림 3-3-19]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순천만 자연생태공원) 161

[그림 3-3-20]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동천과 이사천 합류지점) 162

[그림 3-3-21]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 162

[그림 3-3-22]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 163

[그림 3-3-23]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 163

[그림 3-3-24]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수월봉 일대) 164

[그림 3-3-25]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강정유원지, 강정천) 164

[그림 3-3-26]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외돌게) 165

[그림 3-3-27]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천지연폭포) 166

[그림 3-3-28]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섬진강) 166

[그림 3-3-29]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섬진강) 167

[그림 3-3-30]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섬진강) 167

[그림 3-3-31]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곤양천) 168

[그림 3-3-32]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가화천) 169

[그림 3-3-33]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소매물도) 169

[그림 3-3-34] 붉은발말똥게 서식 개체수 및 기초 환경(거제도) 170

[그림 3-3-35] 붉은발말똥게와 시석지를 공유하는 보호대상해양생물(갯게, 흰발농게) 170

[그림 3-4-1] 위협요인 분석을 위한 현장 조사 172

[그림 3-4-2] 붉은발말똥게 서식지 입도분석 결과 173

[그림 3-4-3] 붉은발말똥게 서식지현황 174

[그림 3-5-1] 붉은발말똥게 미토콘드리아 CO1 haplotype network 모식도 178

[그림 3-5-2] 유전자구조 분석에 따른 지역별 계군 181

[그림 3-6-1] 어미게 사육을 위한 수중식 사육시스템 183

[그림 3-6-2] 어미게 사육을 위한 건조식 사육시스템 184

[그림 3-6-3] 수중식(좌)과 건조식(우) 사육시스템에서 어미게의 탈피 185

[그림 3-6-4] 배양에 사용된 식물먹이생물 Isochrysis galbana (상)와 Nannochloropsis gaditana (하) 186

[그림 3-6-5] 동물 먹이생물인 윤충류(좌)와 Artemia 내구란의 부화 187

[그림 3-6-6] 조에아 유생의 발달단계(상)와 발달단계별 갑장 측정(하) 188

[그림 3-6-7] 조에아 밀도별 실험(좌)과 실험구의 조에아 유생 189

[그림 3-6-8] 부유유생의 수온 및 염분 실험 189

[그림 3-6-9] 부유유생의 윤충류와 Artemia nauplii 섭식 실험 190

[그림 3-6-10] 메갈로파기의 공식억제 실험(좌) 및 실험재료(우) 190

[그림 3-6-11] 가온사육 중인 어미게(좌)와 포란한 어미게(우) 191

[그림 3-6-12] 어미게의 공기 중 휴식(좌)과 수정란 관리(우, 화살표) 192

[그림 3-6-13] 수정란의 발달과정 192

[그림 3-6-14] 부유유생 사육과정 중 수온(좌) 및 염분(우) 193

[그림 3-6-15] 부유유생 사육과정 중 용존산소(좌) 및 수소이온농도(우) 194

[그림 3-6-16] 부유유생의 발달단계별 크기 변화 195

[그림 3-6-17] 조에아 유생의 사육밀도별 생존율 195

[그림 3-6-18] 조에아 I유생의 수온 및 염분별 생존율 196

[그림 3-6-19] 메갈로파 유생의 수온 및 염분별 생존율 197

[그림 3-6-20] 조에아 유생 발달단계에 따른 윤충류 밀도별 섭식량 198

[그림 3-6-21] 조에아 유생 발달단계에 따른 Artemia nauplii 밀도별 섭식량 199

[그림 3-6-22] 조에아 유생 단계에 따른 윤충류와 Artemia nauplii 혼합공급시 밀도별 섭식량 200

[그림 3-6-23] 조에아 유생 단계에 따른 윤충류와 Artemia nauplii 섭식량 상관관계 201

[그림 3-6-24] 메갈로파 유생의 은신처 종류에 따른 생존율 202

[그림 3-6-25] 어린게 성장효과 분석을 위한 먹이종류(좌)와 실험용기(우) 203

[그림 3-6-26] 개별사육용 정사각형 수조(좌)와 직사각형 수조(우) 203

[그림 3-6-27] 집단사육 수조의 뻘 바닥재(좌)와 오염된 바닥재(우) 204

[그림 3-6-28] 집단사육 수조의 모래 바닥재 운용 204

[그림 3-6-29] 어린게의 수온 및 염분별 생존율 206

[그림 3-6-30] 어린게의 먹이종류별 갑장(좌) 및 전중량(우)의 성장 비교 207

[그림 4-2-1] 2016년 독도 구제 사업대상 지역도 214

[그림 4-2-2] 갈고리와 대형SMB를 이용하여 구제하는 모습 215

[그림 4-2-3] 구제한 조식동물을 파손하여 폐기하는 모습 215

[그림 4-2-4] 구제한 조식동물의 생식소의 무게를 측정하는 모습 216

[그림 4-2-5] 천연해조군락을 조사하는 연구원의 모습 216

[그림 4-2-6] 영상분석 및 종 분류를 하는 연구원의 모습 217

[그림 4-2-7] 방형구를 이용하여 조식동물 분포 조사 217

[그림 4-3-1] 지네바위 구제 전·후의 모습 218

[그림 4-3-2] 코끼리바위 구제 전·후의 모습 219

[그림 4-3-3] 큰가제바위 구제 전·후의 모습 219

[그림 4-3-4] 가제바위 주변 구제 전·후의 모습 220

[그림 4-3-5] 탕건봉 앞 구제 전·후의 모습 220

[그림 4-3-6] 삼형제굴바위 주변 구제 전·후의 모습 221

[그림 4-3-7] 2016년 9월 24일 조식동물 측정 모습 221

[그림 4-3-8] 2016년 9월 25일 조식동물 측정 모습 222

[그림 4-3-9] 2016년 9월 26일 조식동물 측정 모습 222

[그림 4-3-10] 2016년 9월 26일 조식동물 측정 모습 222

[그림 4-3-11] 성게류의 배면, 복면, 조상차극 및 관족의 골편 사진 223

[그림 4-3-12] 구제지역에 시설한 장기 계류형 수온계 224

[그림 4-3-13] 독도(서도)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종 수 구성비 225

[그림 4-3-14] 독도(서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생물량 구성비 226

[그림 4-3-15] 독도(서도) 정점 1에서의 해조류 현황 227

[그림 4-3-16] 독도(서도) 정점 2에서의 해조류 현황 228

[그림 4-3-17] 독도(서도) 정점 3에서의 해조류 현황 229

[그림 4-3-18] 독도(서도) 정점 4에서의 해조류 현황 230

[그림 4-3-19] 독도(서도) 정점 5에서의 해조류 현황 231

[그림 4-3-20] 독도(서도) 정점 6에서의 해조류 현황 232

[그림 4-3-21] 독도(서도) 정점 7에서의 해조류 현황 233

[그림 4-3-22] 2015년 구제지역 주변 조식동물 분포 현황 234

[그림 4-3-23] 삼형제굴바위 주변 조식동물 분포 현황 234

[그림 4-3-24] 코끼리바위 주변 조식동물 분포 현황 235

[그림 4-3-25] 큰가제바위 주변 조식동물 분포 현황 235

[그림 4-3-26] 가제바위 주변 조식동물 분포 현황 236

[그림 4-3-27] 탕건봉 앞 조식동물 분포 현황 236

[그림 4-3-28] 지네바위 주변 조식동물 분포 현황 237

[그림 4-3-29] 구제지역 내 성게 집중분포 지역도 238

[그림 5-1-1] 백령도 점박이물범의 휴식처 내 영역 다툼 행동(관찰 일시: 2016. 9. 18, 관찰 장소: 물범바위) 243

[그림 5-2-1] 백령도 기상대 위치도 (구글 위성지도 변형) 264

[그림 5-2-2] 월 평균 기온 변화 양상 265

[그림 5-2-3] 월 평균 상대 습도 변화 양상 266

[그림 5-2-4] 월 평균 풍속 변화 양상 267

[그림 5-2-5] 관측년도별 바람장미도(기상청 연보) 268

[그림 5-2-6] 2016년 월별 바람장미도(기상청 월보) 269

[그림 5-2-7] 월 평균 일조량의 변화 양상 270

[그림 5-2-8] 월 평균 강수량의 변화 양상 271

[그림 5-2-9] 해양 물리 관측 위치도 277

[그림 5-2-10]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조위 279

[그림 5-2-11]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유의파고 279

[그림 5-2-12]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파향 280

[그림 5-2-13]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의 분기별 표층유향·유속 분포 281

[그림 5-2-14]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표층유속 282

[그림 5-2-15] 백령도 관측소 표층 수온 변화 283

[그림 5-2-16] 백령도의 지질도 286

[그림 5-2-17] 직교니콜(좌)과 개방니콜(우) 하에서 촬영된 박편사진 287

[그림 5-2-18] 개방니콜(좌)과 직교니콜(우) 하에서 촬영된 박편사진 288

[그림 5-2-19] 시료채취 위치도; 시료채취 정점(위), STA-1 상세위치도(아래) 289

[그림 5-2-20] Weathering profile of the intact rock and rock mass 290

[그림 5-2-21] 파동전송법 시험장치 296

[그림 5-2-22] 슈미트 해머 원리 297

[그림 5-2-23] 일축압축강도시험 원리 297

[그림 5-2-24] 사면의 방향성 측정개요도 301

[그림 5-2-25] Barton and Choubey의 JRC 계수 표 303

[그림 5-2-26] 백령도 통합기준점 조서 305

[그림 5-2-27] 하늬바다 해빈 측량 이동경로 및 과업지역 위치도 306

[그림 5-2-28] 하늬바다 일대 등고 및 등수심도 307

[그림 5-2-29] 하늬바다 일대 3D 지형도 307

[그림 5-2-30] 해빈 등고선도 308

[그림 5-2-31] 해빈 3D 지형도 308

[그림 5-2-32] 해빈퇴적물 채취 정점 위치도 310

[그림 5-2-33] 자갈-모래-펄 혼합퇴적물의 삼각분류도 310

[그림 5-2-34] 해빈 퇴적물 통계지수 312

[그림 5-2-35] 하늬바다 표층퇴적물 삼각분류도 313

[그림 6-2-1] 나팔고둥 격리수용을 통한 먹이 섭이량 파악 321

[그림 6-2-2] 나팔고둥 개체 체중별 섭이률 322

[그림 6-2-3] 나팔고둥 교미행동 323

[그림 6-2-4] 나팔고둥 산란 324

[그림 6-2-5] 나팔고둥 산란유도 및 개체별 산란 난낭수 324

[그림 6-2-6] 나팔고둥 개체별 산란특성 비교 325

[그림 6-2-7] 나팔고둥 산란 개체별 난낭 길이 및 두께 326

[그림 6-2-8] 나팔고둥 유생 사육조 현황 327

[그림 6-2-9] 나팔고둥 유생의 입식 327

[그림 6-2-10] 나팔고둥 유생의 입식 331

[그림 6-2-11] 나팔고둥 유생 2차 배양수조 및 현황 332

[그림 6-2-12] 나팔고둥 유생의 입식 332

[그림 6-2-13] 클로맥스를 섭이한 나팔고둥 유생의 성장 335

[그림 6-2-14] Shellfish diet-1800을 섭이한 나팔고둥 유생의 성장 335

[그림 6-2-15] 먹이별 나팔고둥 유생의 성장 비교 335

[그림 6-2-16] 거머리말 채취 장소(인천 옹진 영흥면 내리어촌계) 및 채취 모습 337

[그림 6-2-17] 영흥면 내리어촌계 거머리말 서식현황 338

[그림 6-2-18] 거머리말 채집장소에서 식재된 토심 측정 339

[그림 6-2-19] 거머리말 채집장소에서 수심 측정 339

[그림 6-2-20] 거머리말 채집장소에서 수질 및 저질 조사 340

[그림 6-2-21] 거머리말 사육수조 도면 및 설치 현황 340

[그림 6-2-22] 거머리말 사육수조 관리 현황 344

[그림 6-2-23] 1번 수조 MH 400W 6,000K에서 식재된 거머리말의 성장 측정 346

[그림 6-2-24] 1번 수조 LED 135W 14,000K, 20,000K에 식재된 거머리말의 성장 측정 347

[그림 6-2-25] 조명에 따른 거머리말의 성장률 비교 347

[그림 6-2-26] 현장조사 현황 348

[그림 6-2-27] 제주도 서귀포시 형제섬 해역 (밤수지맨드라미 서식) 349

[그림 6-3-1] 해양동물 구조·치료 교육·훈련 현황 352

[그림 7-3-1] 점박이물범 청소년 생태학교 활동결과 발표회 36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99056 577.7 -17-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99057 577.7 -17-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84987 577.7 -17-7 전자자료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