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16년) 조선왕릉 역사문화경관림 자원조사 연구 / 문화재청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문화재청 조선왕릉관리소, 2016
청구기호
353.77 -17-18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715 p. : 삽화, 지도 ; 30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9910129
제어번호
MONO1201740297
주기사항
판권기표제: ('16년) 조선왕릉 역사문화경관림 자원조사 연구 보고서
표제관련정보: 태릉·강릉, 정릉, 선릉·정릉, 의릉, 영휘원·숭인원, 연산군묘, 안빈묘
용역수행: (사)한국전통조경학회
책임연구원: 이창환
부록: 1. 고문헌 ; 2. 식생조사표 ; 3. 전수조사 외
참고문헌: p. 707-713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문화유산헌장(CULTURAL HERITAGE CHARTER)

제출문

목차

I. 연구개요 17

1. 연구목적 19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9

2. 연구범위 19

1) 공간적 범위 19

2) 시간적 범위 20

3) 내용적 범위 20

II. 자연환경분석 21

1. 기상과 기후 23

1) 서울시 23

2) 남양주시 24

2. 지형 25

1) 조사지역 위치 접근체계 25

2) GIS 지형분석 결과 26

3) 능역 내부 경사도 분석 34

4) 능역 주변 경사면 훼손 35

3. 수계 40

1) 태릉·강릉 40

2) 정릉 40

3) 연산군묘 40

4) 선릉·정릉 42

5) 의릉 43

6) 영휘원과 숭인원 44

7) 안빈묘 45

4. 토양 46

1) 태릉·강릉 47

2) 정릉 49

3) 선릉·정릉 51

4) 의릉 52

5) 영휘원과 숭인원 54

6) 토양 단면구조 56

5. 식생과 식물 62

1) 조사 방법 62

2) 조사 일정 64

태강릉 64

3) 태릉·강릉 조사 결과 64

4) 태릉·강릉 중점관리지역 수목 92

정릉 97

3) 정릉 조사 결과 97

4) 정릉 중점관리지역 수목 118

선정릉 120

3) 선릉·정릉 조사 결과 120

4) 선릉·정릉 중점관리지역 수목 140

의릉 144

3) 의릉 조사 결과 144

4) 의릉 중점관리지역 수목 166

영휘원 숭인원 168

3) 영휘원·숭인원 조사 결과 168

4) 영휘원·숭인원 중점관리지역 수목 187

연산군묘 189

3) 연산군묘 조사 결과 189

안빈묘 202

3) 안빈묘 조사 결과 202

6. 동물 211

1) 조선왕릉의 생태 개요 211

2) 조선왕릉의 연구내용 213

3) 조선왕릉의 연구결과 216

7. 육상곤충 237

1) 서론 237

2) 조사내용 및 방법 237

3) 결과 및 고찰 238

III. 인문환경분석 255

1. 태릉 강릉 현황 257

1) 조사지역의 개황 257

2) 역사문화환경 259

3) 능제복원 및 관람시설 정비 현황 269

4) 역사문화 자원조사 270

5) 탐방객 조사분석 271

2. 서울 정릉 현황 273

1) 조사지역의 개황 273

2) 역사문화환경 275

3) 능제복원 및 관람시설 정비 현황 282

4) 탐방객 조사분석 283

3. 선릉 정릉 현황 285

1) 조사지역의 개황 285

2) 역사문화환경 287

3) 능제복원 및 관람시설 정비 현황 298

4) 탐방객 조사분석 300

4. 서울 의릉 현황 302

1) 조사지역의 개황 302

2) 역사문화환경 304

3) 능제복원 및 관람시설 정비 현황 311

4) 탐방객 조사분석 313

5. 영휘원 숭인원 현황 315

1) 조사지역의 개황 315

2) 역사문화환경 317

6. 연산군묘 안빈묘 현황 326

1) 조사지역의 개황 326

2) 역사문화환경 329

IV. 종합분석 331

1. 무기환경 333

1) 태릉·강릉 333

2) 정릉 335

3) 선릉·정릉 337

4) 의릉 338

5) 영휘원·숭인원 340

6) 연산군묘 341

7) 안빈묘 342

8) 종합 343

2. 식생과 식물 344

1) 태릉·강릉 344

2) 정릉 345

3) 선릉·정릉 347

4) 의릉 349

5) 영휘원·숭인원 351

6) 연산군묘 352

7) 안빈묘 352

3. 동물 353

4. 곤충 355

V. 기본구상 357

1. 기본방향 359

1) 기본개념 359

2) 자연생태 자원조사의 기본원칙 360

3) 자연생태 자원조사의 기본지침 365

2. 기본구상 366

1) 적극적 보호지역 경관림 조성 및 관리 366

2) 생태관리지역 보전방안 368

VI. 기본계획 371

1. 태릉·강릉 373

1) 무기환경 373

2) 식생 정비 및 관리 375

3) 동물 383

4) 곤충 388

2. 정릉 389

1) 무기환경 389

2) 식생 정비 및 관리 391

3) 동물 399

4) 곤충 402

3. 선릉·정릉 402

1) 무기환경 402

2) 식생 정비 및 관리 404

3) 동물 411

4) 곤충 412

4. 의릉 413

1) 무기환경 413

2) 식생 정비 및 관리 415

3) 동물 421

4) 곤충 421

5. 영휘원·숭인원 422

1) 무기환경 422

2) 식생 정비 및 관리 424

3) 동물 431

4) 곤충 431

VII. 부록 433

1. 고문헌 435

2. 식생조사표 445

3. 전수조사 497

4. 주요군락의 계층별 평균식피율과 상대기여도 547

5. 흉고직경 측정자료 559

6. 중요수목관리대장 585

7. 곤충목록 637

8. 자문회의 683

9. 세계문화헌장 687

참고문헌 707

참여기술자명단 714

판권기 716

표 1-1. 조선왕릉 지역 코드 및 지리좌표 20

표 2-1. 1981~2010년 서울기상청 평년값(30년)자료 23

표 2-2. 2000-2015년 남양주시 온도 변화 24

표 2-3. 태릉과 강릉 지형분석 결과 26

표 2-4. 정릉 지형분석 결과 28

표 2-5. 연산군묘 지형분석 결과 29

표 2-6. 선릉과 정릉 지형분석 결과 30

표 2-7. 의릉 지형분석 결과 31

표 2-8. 영휘원과 숭인원 지형분석 결과 32

표 2-9. 안빈묘 지형분석 결과 33

표 2-10. 능 및 원의 수직 및 수평구조 34

표 2-11. 태릉과 강릉 토양조사지 및 분석결과 48

표 2-12. 정릉 토양조사지 및 분석결과 50

표 2-13. 선릉과 정릉 토양조사지 및 분석결과 52

표 2-14. 의릉 토양조사지 및 분석결과 54

표 2-15. 영휘원 토양조사지 및 분석결과 56

표 2-16. 연산군묘와 안빈묘 토양조사지 및 분석결과 56

표 2-17. 태릉과 강릉 토양층 구조 57

표 2-18. 정릉 토양층 구조 58

표 2-19. 선릉과 정릉 토양층 구조 59

표 2-20. 의릉의 토양층 구조 59

표 2-21. 영휘원과 숭인원의 토양층 구조 60

표 2-22. 안빈묘 토양층 구조 61

표 2-23. 우점도계급의 판정 기준과 평균피도 백분율 63

표 2-24. 혼효림에서 상관에 의한 군락명 판정기준 64

표 2-25. 조사 일정 64

표 2-26. 태릉·강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65

표 2-27. 조사지역과 타 지역의 생활형 스펙트럼 비교 65

표 2-28. 태릉·강릉에 분포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 67

표 2-29. 태릉·강릉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68

표 2-30. 태릉·강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목록 69

표 2-31. 태릉·강릉 식물군락의 종조성표 87

표 2-32. 태릉·강릉의 현존식생 현황 90

표 2-33. 태릉·강릉 자연림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DBH) 분포 91

표 2-34. 정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98

표 2-35. 조사지역과 타 지역의 생활형 스펙트럼 비교 98

표 2-36. 정릉에 분포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 100

표 2-37. 정릉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101

표 2-38. 정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목록 102

표 2-39. 정릉 식물군락의 종조성표 115

표 2-40. 정릉의 현존식생 현황 117

표 2-41. 정릉 자연림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DBH) 분포 118

표 2-42. 선릉·정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120

표 2-43. 조사지역과 타 지역의 생활형 스펙트럼 비교 120

표 2-44. 선릉·정릉에 분포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 122

표 2-45. 선릉·정릉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123

표 2-46. 선릉·정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목록 124

표 2-47. 선릉·정릉 식물군락의 종조성표 136

표 2-48. 선릉·정릉의 현존식생 현황 138

표 2-49. 선릉·정릉 자연림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DBH) 분포 139

표 2-50. 의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144

표 2-51. 조사지역과 타 지역의 생활형 스펙트럼 비교 144

표 2-52. 의릉에 분포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 146

표 2-53. 의릉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147

표 2-54. 의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목록 149

표 2-55. 의릉 식물군락의 종조성표 163

표 2-56. 의릉의 현존식생 현황 164

표 2-57. 의릉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DBH) 분포 165

표 2-58. 영휘원·숭인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169

표 2-59. 조사지역과 타 지역의 생활형 스펙트럼 비교 169

표 2-60. 영휘원·숭인원에 분포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 170

표 2-61. 영휘원·숭인원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172

표 2-62. 영휘원·숭인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목록 173

표 2-63. 영휘원·숭인원 식물군락의 종조성표 184

표 2-64. 영휘원·숭인원의 현존식생 현황 185

표 2-65. 영휘원·숭인원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DBH) 분포 186

표 2-66. 연산군묘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189

표 2-67. 조사지역과 타 지역의 생활형 스펙트럼 비교 189

표 2-68. 연산군묘에 분포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 190

표 2-69. 연산군묘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191

표 2-70. 연산군묘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목록 192

표 2-71. 연산군묘 식물군락의 종조성표 199

표 2-72. 연산군묘의 현존식생 현황 200

표 2-73. 연산군묘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DBH) 분포 201

표 2-74. 안빈묘와 주변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202

표 2-75. 조사지역과 타 지역의 생활형 스펙트럼 비교 202

표 2-76. 안빈묘에 분포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 204

표 2-77. 안빈묘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204

표 2-78. 안빈묘와 주변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목록 205

표 2-79. 안빈묘와 주변지역의 현존식생 현황 210

표 2-80. 조선왕릉 생태 분기별 조사시기 213

표 2-81. 조선왕릉의 천연기념물 현황(2016) 218

표 2-82. 전체 조류상(2016)-1 218

표 2-83. 전체 조류상(2016)-2 219

표 2-84. 조선왕릉의 포유류상(2016) 220

표 2-85. 조선왕릉의 양서·파충류상(2016) 220

표 2-86. 조선왕릉의 양서·파충류 기존 문헌 221

표 2-87. 태릉과 강릉의 조류상(2016) 222

표 2-88. 태릉과 강릉의 포유류상(2016) 224

표 2-89. 태릉과 강릉의 양서·파충류상(2016) 225

표 2-90. 정릉의 조류상(2016) 226

표 2-91. 정릉과 연산군묘의 포유류상(2016) 227

표 2-92. 정릉의 양서·파충류상(2016) 227

표 2-93. 선릉·정릉의 조류상(2016) 229

표 2-94. 선릉·정릉의 포유류상(2016) 229

표 2-95. 선릉·정릉의 양서·파충류상(2016) 230

표 2-96. 의릉의 조류상(2016) 231

표 2-97. 의릉의 포유류상(2016) 231

표 2-98. 의릉의 양서·파충류상(2016) 231

표 2-99. 사릉(안빈묘)의 조류상(2016) 233

표 2-100. 사릉(안빈묘)의 포유류상(2016) 234

표 2-101. 사릉(안빈묘)의 양서·파충류상(2014) 234

표 2-102. 영휘원·숭인원의 조류상(2016) 235

표 2-103. 영휘원·숭인원의 포유류상(2016) 236

표 2-104. 영휘원·숭인원 양서·파충류상(2016) 236

표 2-105. 조선왕릉의 육상곤충상 및 상대적 점유율 239

표 2-106. 각 조사 왕릉별 육상곤충상 241

표 2-107. 현지 확인된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곤충)의 출현 현황 및 특성 250

표 2-108. 현지 확인된 한국고유생물종(곤충)의 출현 현황 및 특성 252

표 2-109. 현지 확인된 한국 적색목록(곤충)의 출현 현황 및 특성 253

표 3-1. 태릉 조영연혁 259

표 3-2. 강릉 조영연혁 260

표 3-3. 태릉의 능침공간 봉분 및 석물 현황 261

표 3-4. 강릉의 능침공간 봉분 및 석물 현황 262

표 3-5. 태릉의 시설물 현황 264

표 3-6. 강릉 시설물 현황 266

표 3-7. 태릉 강릉 기타시설물 현황 267

표 3-8. 능제시설 북원(태릉 강릉) 269

표 3-9. 역사경관림 및 관리시설 정비(태릉 강릉) 270

표 3-10. 태릉 강릉 관람시간 271

표 3-11. 태릉 강릉 연도별 관람 현황(문화재청) 272

표 3-12. 조성연혁 276

표 3-13. 능침공간 봉분 및 석물 현황 279

표 3-14. 정릉의 능제시설 위치와 규모 280

표 3-15. 정릉 기타시설물 현황 280

표 3-16. 능제시설 북원(정릉) 282

표 3-17. 능제시설 북원(정릉) 283

표 3-18. 정릉 관람시간 284

표 3-19. 정릉 연도별 관람 현황(문화재청) 284

표 3-20. 선릉 조영연혁 287

표 3-21. 정릉 조영연혁 288

표 3-22. 선릉(성종) 능침공간 봉분 및 석물 현황 291

표 3-23. 선릉(정현왕후) 능침공간 봉분 및 석물 현황 292

표 3-24. 정릉 능침공간 봉분 및 석물 현황 293

표 3-25. 강릉의 능침공간 봉분 및 석물 현황 294

표 3-26. 선릉의 능제시설 위치와 규모 295

표 3-27. 정릉의 능제시설 위치와 규모 296

표 3-28. 선릉 장릉 기타시설물 현황 297

표 3-29. 능제시설 북원(선릉 정릉) 299

표 3-30. 역사경관림 및 관리시설 정비(선릉 정릉) 299

표 3-31. 선릉 정릉 관람시간 300

표 3-32. 선릉 정릉 관람요금 현황 300

표 3-33. 선릉 정릉 연도별 관람 현황(문화재청) 301

표 3-34. 조성연혁 304

표 3-35. 경종대왕 능침공간 봉분 및 석물 현황 307

표 3-36. 선의왕후 능침공간 봉분 및 석물 현황 308

표 3-37. 의릉의 능제시설 위치와 규모 309

표 3-38. 의릉 기타시설물 현황 310

표 3-39. 역사경관림 및 관리시설 정비(의릉) 312

표 3-40. 능제시설 북원(의릉) 312

표 3-41. 의릉 관람시간 313

표 3-42. 의릉 관람요금 현황 313

표 3-43. 의릉 연도별 관람 현황(문화재청) 314

표 3-44. 봉분 및 석물 현황(영휘원) 321

표 3-45. 봉분 및 석물 현황(숭인원) 324

표 3-46. 영휘원 숭인원 기타시설물 현황 324

그림 2-1. 서울지역 평균기온 23

그림 2-2. 서울지역 평균강수량 24

그림 2-3. 남양주시 월별 평균기온 및 강수량(2014년) 24

그림 2-4. 조사대상지 위치 26

그림 2-5. 태릉과 강릉 수치지도 27

그림 2-6. 태릉과 강릉 표고분석도 27

그림 2-7. 태릉과 강릉 경사도분석도 27

그림 2-8. 태릉과 강릉 향분석도 27

그림 2-9. 정릉 수치지도 28

그림 2-10. 정릉 표고분석도 28

그림 2-11. 정릉 경사도분석도 28

그림 2-12. 정릉 향분석도 28

그림 2-13. 연산군묘 수치지도 29

그림 2-14. 연산군묘 표고분석도 29

그림 2-15. 연산군묘 경사도분석도 29

그림 2-16. 연산군묘 향분석도 29

그림 2-17. 선릉과 정릉 수치지도 30

그림 2-18. 선릉과 정릉 표고분석도 30

그림 2-19. 선릉과 정릉 경사도분석도 30

그림 2-20. 선릉과 정릉 향분석도 30

그림 2-21. 의릉 수치지도 31

그림 2-22. 의릉 표고분석도 31

그림 2-23. 의릉 경사도분석도 31

그림 2-24. 의릉 향분석도 31

그림 2-25. 영휘원·숭인원 수치지도 32

그림 2-26. 영휘원·숭인원 표고분석도 32

그림 2-27. 영휘원·숭인원 경사도분석도 32

그림 2-28. 영휘원·숭인원 향분석도 32

그림 2-29. 안빈묘 수치지도 33

그림 2-30. 안빈묘 표고분석도 33

그림 2-31. 안빈묘 경사도분석도 33

그림 2-32. 안빈묘 향분석도 33

그림 2-33. 태릉 강릉 세류에 의한 침식 35

그림 2-34. 태릉 강릉 배수로 및 자연배수로 35

그림 2-35. 정릉의 강우에 의한 세류침식 36

그림 2-36. 정릉 잔디 훼손 및 자연배수로 36

그림 2-37. 선릉 정릉 세류에 의한 침식과 우곡침식으로 진행 37

그림 2-38. 선릉 정릉 답압에 의한 뿌리노출 및 강우에 의한 침식 37

그림 2-39. 의릉 세류에 의한 침식 37

그림 2-40. 의릉 식물 타감작용에 의한 잔디생육 부진과 능 인접 배수로 38

그림 2-41. 영휘원과 숭인원의 면상침식 및 구곡침식 38

그림 2-42. 영휘원과 숭인원의 세굴 및 자연석에 의한 배수시설 38

그림 2-43. 안빈묘 급경사 및 강우에 의한 침식 39

그림 2-44. 안빈묘 식물 타감작용에 의한 잔디생육 부진 39

그림 2-45. 태릉·강릉 수계 및 유역 41

그림 2-46. 태릉·강릉 수계 방향 41

그림 2-47. 정릉 수계 및 유역 41

그림 2-48. 정릉 수계 방향 41

그림 2-49. 연산군묘 수계 및 유역 42

그림 2-50. 연산군묘 수계 방향 42

그림 2-51. 선릉과 정릉 수계 및 유역 43

그림 2-52. 선릉과 정릉 수계 방향 43

그림 2-53. 의릉 수계 및 유역 44

그림 2-54. 의릉 수계 방향 44

그림 2-55. 영휘원과 숭인원 수계 및 유역 45

그림 2-56. 영휘원과 숭인원 수계 및 유역 45

그림 2-57. 안빈묘 수계 및 유역 46

그림 2-58. 안빈묘 수계 방향 46

그림 2-59. 태릉과 강릉 토양조사 지역 47

그림 2-60. 정릉 토양조사 지역 49

그림 2-61. 선릉과 정릉 토양조사 지역 51

그림 2-62. 의릉 토양조사 지역 53

그림 2-63. 영휘원과 숭인원 토양조사 지역 55

그림 2-64. 태릉의 토양층 사진 57

그림 2-65. 정릉의 토양층 사진 58

그림 2-66. 선릉의 토양층 사진 59

그림 2-67. 의릉의 토양층 사진 60

그림 2-68. 영휘원의 토양층 사진 60

그림 2-69. 숭인원의 토양층 사진 61

그림 2-70. 안빈묘의 토양층 사진 61

그림 2-71. 태릉·강릉 조삼범위 및 방형구 조사지점 80

그림 2-72. 태릉·강릉의 현존식생도 90

그림 2-73. 태릉·강릉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DBH) 91

그림 2-74. 2008년 태릉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92

그림 2-75. 2010년 태릉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92

그림 2-76. 2016년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93

그림 2-77. 태릉 주변 소나무 식재림 현황도 94

그림 2-78. 태릉 밀식된 소나무 식재림 94

그림 2-79. 태릉 사초지 주변의 소나무 94

그림 2-80. 2008년 강릉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95

그림 2-81. 2010년 강릉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95

그림 2-82. 2016년 강릉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95

그림 2-83. 강릉 주변 소나무 식재림 현황도 96

그림 2-84. 강릉 곡장으로 기울어진 소나무 97

그림 2-85. 강릉 밀식되어 있는 소나무 식재림 97

그림 2-86. 강릉 제향공간의 수험수목 97

그림 2-87. 강릉 제향공간의 기울어진 소나무 97

그림 2-88. 정릉 조사범위 및 방형구조사지점 111

그림 2-89. 정릉의 현존식생도 117

그림 2-90. 정릉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DBH) 118

그림 2-91. 2008년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119

그림 2-92. 2013년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119

그림 2-93. 정릉 주변 소나무 식재림 현황도 119

그림 2-94. 선릉·정릉 조사범위 및 방형구조사지점 132

그림 2-95. 선릉·정릉의 현존식생도 138

그림 2-96. 선릉·정릉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DBH) 139

그림 2-97. 2009년 선릉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140

그림 2-98. 2016년 선릉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140

그림 2-99. 선릉 주변 소나무 식재림 현황도 141

그림 2-100. 선릉 오리나무 군락 전경 141

그림 2-101. 선릉 경계부 전경 141

그림 2-102. 2009년 정릉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142

그림 2-103. 2015년 정릉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142

그림 2-104. 정릉 주변 소나무 식재림 현황도 142

그림 2-105. 정릉 곡장에 붙어 자라는 소나무 143

그림 2-106. 능침에서 본 좌, 우 높이차이 나는 소나무 전경 143

그림 2-107. 홍살문 주변 소나무 143

그림 2-108. 정릉 우측 소나무식재지 143

그림 2-109. 의릉 조사범위 및 방형구조사지점 159

그림 2-110. 의릉의 현존식생도 165

그림 2-111. 의릉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DBH) 166

그림 2-112. 2009년 의릉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166

그림 2-113. 2011년 의릉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166

그림 2-114. 2016년 의릉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167

그림 2-115. 의릉 주변 소나무 식재림 현황도 168

그림 2-116. 기울어져 가는 소나무 168

그림 2-117. 능침주변 재식한 소나무림 168

그림 2-118. 영휘원·숭인원 조사범위 및 방형구조사지점 180

그림 2-119. 영휘원·숭인원의 현존식생도 185

그림 2-120. 영휘원·숭인원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DBH) 186

그림 2-121. 2009년 영휘원 숭인원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187

그림 2-122. 2016년 영휘원 숭인원 능침주변 소나무 분포현황 187

그림 2-123. 영휘원 주변 소나무 식재림 현황도 188

그림 2-124. 숭인원 주변 소나무 식재림 현황도 188

그림 2-125. 연산군묘 조사범위 및 방형구조사지점 197

그림 2-126. 연산군묘의 현존식생도 201

그림 2-127. 주요 수종의 흉고직경(DBH) 201

그림 2-128. 안빈묘와 주변지역 조사범위 209

그림 2-129. 안빈묘와 주변지역의 현존식생도 210

그림 2-130. 조류 조사방법(태릉과 강릉) 214

그림 2-131. 포유류의 조사방법(트랩과 흔적) 215

그림 2-132. 양서·파충류의 조사방법 215

그림 2-133. 조선왕릉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의 주요 우점종 현황(2016) 216

그림 2-134. 조류의 시기별 종과 개체수 현황(2016) 217

그림 2-135. 조류의 지역별 종과 개체수 현황(2016) 217

그림 2-136. 조선왕릉의 천연기념물(2016) 218

그림 2-137. 태릉과 강릉의 조류상 현황(2016) 222

그림 2-138. 태릉과 강릉의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종 222

그림 2-139. 태릉과 강릉에서 관찰한 포유류(고양이, 청설모) 224

그림 2-140. 태릉과 강릉에서 관찰한 멧돼지 흔적과 복구 흔적 224

그림 2-141. 정릉의 조류상 현황(2016) 225

그림 2-142. 정릉과 연산군묘의 천연기념물(솔부엉이) 225

그림 2-143. 정릉과 연산군묘에서 관찰한 포유류(청설모, 다람쥐) 227

그림 2-144. 선릉·정릉의 조류상 현황(2016) 228

그림 2-145. 선릉·정릉에서 관찰한 조류(상모솔새, 큰부리까마귀) 228

그림 2-146. 선릉·정릉에서 관찰한 포유류(다람쥐, 두더쥐굴) 229

그림 2-147. 의릉의 조류 현황(2016) 230

그림 2-148. 의릉의 천연기념물 230

그림 2-149. 사릉(안빈묘)의 조류상 현황(2016) 232

그림 2-150. 사릉(안빈묘)의 조류1 232

그림 2-151. 사릉(안빈묘)에서 관찰한 포유류(멧돼지 위치) 234

그림 2-152. 영휘원·숭인원의 조류상 현황(2016) 235

그림 2-153. 영휘원·숭인원의 주요 산림성 조류(오색딱다구리와 굴뚝새) 235

그림 2-154. 조선왕릉 일대의 곤충류 군집구조(현지조사) 239

그림 2-155. 조선왕릉별 출현종 다양성 비교(현지조사) 240

그림 2-156. 긴알락꽃하늘소(태릉·강릉, 2015.5.9) 242

그림 2-157. 꼬마노랑뒷날개나방(태릉·강릉, 2016.9.28) 242

그림 2-158. 먹바퀴(정릉, 2016.8.3) 243

그림 2-159. 흰띠풀잠자리(정릉, 2016.9.18) 243

그림 2-160. 수중다리꽃등에(연산군묘, 2016.4.29) 244

그림 2-161. 혹명나방 244

그림 2-162. 새맵시장님노린재(서울 선릉, 2016.5.5) 245

그림 2-163. 작은검은꼬리박각시(서울 선릉, 2016.9.27) 245

그림 2-164. 미국선녀벌레(서울 의릉, 2016.9.28) 246

그림 2-165. 변색장님노린재(서울 의릉, 2016.9.28) 246

그림 2-166. 남방부전나비(서울 영휘원, 2016.8.3) 248

그림 2-167. 참매미(서울 영휘원, 2016.8.3) 248

그림 2-168. 팔점박이잎벌레(안빈묘, 2016.5.5) 249

그림 2-169. 풀색꽃무지(안빈묘, 2016.5.5) 249

그림 2-17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곤충)의 주요 관찰지 및 출현종 251

그림 2-171.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곤충)의 주요 관찰지 및 출현종(계속) 252

그림 2-172. 한국고유생물종(곤충) 주요 관찰지 및 출현종 253

그림 3-1. 태릉·강릉 위치도(네이버 지도) 257

그림 3-2. 토지이용현황도(태릉 강릉) 258

그림 3-3. 태강릉 조선왕릉 전시관 267

그림 3-4. 태릉 매표소 267

그림 3-5. 태릉 화장실 268

그림 3-6. 강릉 화장실 268

그림 3-7. 태릉 앞 휴게시설 268

그림 3-8. 태릉 휴지통 268

그림 3-9. 강릉 앞 휴게시설 268

그림 3-10. 태릉·강릉 종합안내판 268

그림 3-11. 강릉 안내시설 268

그림 3-12. 태강릉 탐방로 안내시설 268

그림 3-13. 태릉 주차장 269

그림 3-14. 태릉 휠체어 보관소 269

그림 3-15. 강릉 감시초소 269

그림 3-16. 서울시 주요문화재 271

그림 3-17. 서울 정릉 위치도 273

그림 3-18. 토지이용현황도(정릉) 274

그림 3-19. 정릉 관리사무소 281

그림 3-20. 정릉 진입부 주차장 281

그림 3-21. 정릉 매표소 281

그림 3-22. 정릉 화장실 281

그림 3-23. 정릉 휴게시설 281

그림 3-24. 정릉 음수전 281

그림 3-25. 정릉 약수터 281

그림 3-26. 정릉 종합안내판 282

그림 3-27. 정릉 안내시설 282

그림 3-28. 정릉 재실 안내시설 282

그림 3-29. 정릉 야외도서관 282

그림 3-30. 정릉 먼지 털이기 282

그림 3-31. 정릉 휠체어 보관소 282

그림 3-32. 선릉·정릉 위치도 285

그림 3-33. 토지이용 현황도(선릉·정릉) 286

그림 3-34. 선릉 성종능침상설도 290

그림 3-35. 선릉 정현왕후능침상설도 290

그림 3-36. 선릉·정릉 역사문화관 및 관리사무실 297

그림 3-37. 선릉 재실 297

그림 3-38. 선릉·정릉 지하주차장 입구 297

그림 3-39. 관리사무소 우측 화장실 297

그림 3-40. 선릉·정릉 수표소 297

그림 3-41. 정릉 산책로 화장실 297

그림 3-42. 선릉·정릉 산책로 휴게시설 298

그림 3-43. 선릉 앞 음수전 298

그림 3-44. 선릉 오리나무 숲 휴게시설 298

그림 3-45. 정릉 안내시설 298

그림 3-46. 선릉앞 세계유산 안내판 298

그림 3-47. 선릉·정릉 방향안내판 298

그림 3-48. 서울 의릉 위치도 302

그림 3-49. 토지이용현황도(의릉) 303

그림 3-50. 의릉관리사무소 310

그림 3-51. 의릉 주차장 310

그림 3-52. 의릉 화장실 310

그림 3-53. 의릉 매표소 310

그림 3-54. 의릉 휴게시설-1 311

그림 3-55. 의릉 휴게시설-2 311

그림 3-56. 의릉 휴게시설-3 311

그림 3-57. 의릉 종합안내판 311

그림 3-58. 의릉 상설안내판 311

그림 3-59. 의릉 안내게시판 311

그림 3-60. 영휘원 숭인원 위치도 315

그림 3-61. 토지이용현황도(영휘원, 숭인원) 316

그림 3-62. 영휘원 석양 우측면 317

그림 3-63. 영휘원 석양 좌측면 317

그림 3-64. 영휘원 석호 좌측면 318

그림 3-65. 영휘원 석호 우측 귀 훼손 318

그림 3-66. 망주석(영휘원) 318

그림 3-67. 망주석(숭인원) 318

그림 3-68. 혼유석(영휘원) 319

그림 3-69. 혼유석(숭인원) 319

그림 3-70. 영휘원 고석 정면 319

그림 3-71. 영휘원 고석 측면 319

그림 3-72. 영휘원 장명등 정면 320

그림 3-73. 영휘원 장명등 측면 320

그림 3-74. 영휘원 문인석 정면 320

그림 3-75. 영휘원 문인석 후면 320

그림 3-76. 영휘원 석마 측면 321

그림 3-77. 영휘원 석마 귀 부분 파손 321

그림 3-78. 숭인원 석호 322

그림 3-79. 숭인원 망주석 322

그림 3-80. 숭인원 혼유석 323

그림 3-81. 숭인원 장명등 323

그림 3-82. 숭인원 문석인 323

그림 3-83. 숭인원 석마 323

그림 3-84. 영휘원 매수표소 325

그림 3-85. 영휘원 화장실 325

그림 3-86. 영휘원 휴게시설-1 325

그림 3-87. 영휘원 휴게시설-2 325

그림 3-88. 영휘원 휴게시설-3 325

그림 3-89. 영휘원 종합안내판 325

그림 3-90. 영휘원 안내판 325

그림 3-91. 숭인원 안내판 325

그림 3-92. 연산군묘 위치도 326

그림 3-93. 안빈묘 위치도 327

그림 3-94. 토지이용현황도(연산군묘) 328

그림 3-95. 토지이용현황도(안빈묘) 329

그림 3-96. 연산군묘 석호 좌측면 330

그림 3-97. 연산군묘 석호 우측 귀 훼손 330

그림 3-98. 연산군묘 문석인 330

그림 3-99. 연산군묘 곡장과 망주석 330

그림 3-100. 안빈묘 장명등과 혼유석 330

그림 3-101. 안변묘 문석인 330

그림 4-1. 태릉과 강릉 종합분석도 334

그림 4-2. 정릉 계곡 수계 335

그림 4-3. 정릉 측구수로 335

그림 4-4. 정릉 종합분석도 336

그림 4-5. 정릉 목재수로 337

그림 4-6. 선릉 집수정 337

그림 4-7. 정릉 잔디수로 338

그림 4-8. 선릉 우곡침지 338

그림 4-9. 선릉과 정릉 종합분석도 338

그림 4-10. 의릉 계곡수계-1 339

그림 4-11. 의릉 계곡수계-2 339

그림 4-12. 의릉 종합분석도 340

그림 4-13. 영휘원과 숭인원의 종합분석도 341

그림 5-1. 역사경관림 조성(안) 367

그림 5-2. 능침 주변의 소나무림(변경 전) 368

그림 5-3. 능침 주변의 소나무림(변경 후) 368

그림 6-1. 태릉과 강릉의 기본계획도 374

그림 6-2. 외래수목 제거 정비계획(안) 377

그림 6-3. 태릉 재식 정비(안) 380

그림 6-4. 강릉 재식 정비(안) 381

그림 6-5. 소나무군락 식재구조 예시도 381

그림 6-6. 소나무 식재밀도 변경전의 모습에서 소나무의 제 수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 382

그림 6-7. 자연자원보존지역의 다층구조식생 예시도 383

그림 6-8. 소나무 식재밀도 변경전의 모습에서 소나무의 제 수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 383

그림 6-9. 왕릉 생태관의 전시물 384

그림 6-10. 왕릉생태계의 지표종(수동을 만드는 딱다구리와 수동에서 사는 소쩍새) 385

그림 6-11. 왕릉(동구릉, 2014)의 멧돼지 주의 안내 385

그림 6-12. 멧돼지의 활동(파주 장단반도) 385

그림 6-13. 도심출몰 멧돼지 대책 모식도 386

그림 6-14. 멧돼지 대피 홍보용 부채 387

그림 6-15. 멧돼지 국민행동요령 홍보물 387

그림 6-16. 두더지 기피제 388

그림 6-17. 서울 태릉·강릉의 정수지역 확충지 388

그림 6-18. 서울 태릉·강릉의 배수로 설치 필요지역 389

그림 6-19. 정릉 기본계획도 391

그림 6-20. 정릉 외래수목 제거 정비계획(안) 394

그림 6-21. 정릉 재식 정비(안) 396

그림 6-22. 소나무군락 식재구조 예시도 397

그림 6-23. 소나무 식재밀도 변경전의 모습에서 소나무의 제 수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 397

그림 6-24. 자연자원보존지역의 다층구조식생 예시도 398

그림 6-25. 소나무 식재밀도 변경전의 모습에서 소나무의 제 수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 398

그림 6-26. 왕릉(동구릉, 2014)의 멧돼지 주의 안내 399

그림 6-27. 멧돼지의 활동(파주 장단반도) 399

그림 6-28. 도심출몰 멧돼지 대책 모식도 400

그림 6-29. 멧돼지 대피 홍보용 부채 401

그림 6-30. 멧돼지 국민행동요령 홍보물 401

그림 6-31. 두더지 기피제 401

그림 6-32. 서울 정릉의 끈끈이 롤 트랩 설치 필요지역 402

그림 6-33. 선릉과 정릉 기본계획도 404

그림 6-34. 선릉 재식 정비(안) 408

그림 6-35. 정릉 재식 정비(안) 409

그림 6-36. 소나무군락 식재구조 예시도 409

그림 6-37. 소나무 식재밀도 변경전의 모습에서 소나무의 제 수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 410

그림 6-38. 자연자원보존지역의 다층구조식생 예시도 411

그림 6-39. 다층구조 식재밀도 변경전 변경후 상층목과 중층목, 하층목이 분포할 수 있도록 계획 411

그림 6-40. 두더지 기피제 412

그림 6-41. 서울 선릉·정릉의 위치와 관내 배수로 412

그림 6-42. 의릉 기본계획도 414

그림 6-43. 의릉 재식 정비(안) 418

그림 6-44. 소나무군락 식재구조 예시도 419

그림 6-45. 소나무 식재밀도 변경전의 모습에서 소나무의 제 수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 419

그림 6-46. 자연자원보존지역의 다층구조식생 예시도 420

그림 6-47. 다층구조 식재밀도 변경전과 변경후 상층, 중층, 하층목이 함께 유지될 수 있도록 계획 420

그림 6-48. 두더지 기피제 421

그림 6-49. 서울 의릉의 초지 보호지역과 끈끈이 롤 트랩 422

그림 6-50. 영휘원과 숭인원 기본계획도 423

그림 6-51. 영휘원 숭인원 외래수목 제거 정비계획(안) 426

그림 6-52. 영휘원·숭인원 재식 정비(안) 428

그림 6-53. 소나무군락 식재구조 예시도 429

그림 6-54. 소나무 식재밀도 변경전의 모습에서 소나무의 제 수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 429

그림 6-55. 자연자원보존지역의 다층구조식생 예시도 430

그림 6-56. 다층구조 식재밀도 변경전과 변경후 상층, 중층, 하층목이 함께 유지될 수 있도록 계획 430

그림 6-57. 두더지 기피제 431

그림 6-58. 서울 영휘원·숭인원의 정수지역 확충 대상지 43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01587 353.77 -17-1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01588 353.77 -17-1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84988 353.77 -17-18 전자자료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