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2017 상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안내 3

장애인 교육대상의 이해 : 장애유형별 특성과 지원방법 11

1. 장애의 개념 12

2. 한국의 장애인 12

가. 한국의 장애인 수 12

나. 한국의 장애유형 15가지 13

다. 장애유형별 장애판정 급수 13

참고문헌 25

[발표자료] 26

장애인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사례 공유 : 차이를 횡단하는 문화예술교육 42

장애는 극복의 대상이 아니다 43

그 누구도 장애인이 아니다 44

문화예술교육은 새로운 문화공동체를 창조한다 44

관계망에서 자발과 협업, 상생이 발생한다. 45

수업은 관계와 합의와 협업과 성찰로 진화한다 47

다시 설계하는 수업 48

문화예술교육자의 입장에서 본 복지시설 현장의 이해 51

1. 외쳐본다. "난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 52

2. 장애문화예술교육 어디? 어디! 53

3. 문화예술교육 복지관의 현장 55

4. 연간수업 운영을 위한 준비사항 56

5. 참여자 특성파악 및 담당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의 필요성 56

6. 정리 57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연간 교육 계획ㆍ수업 계획 작성, 발표, 공유 58

국악 59

음악 61

들어가는 말 62

1. 음악을 좋아하게 만드는 교육 63

2. 무엇이 문제인가? 63

3.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63

나가는 말 68

영화 70

관점과 방향 공유하기 72

계획? 72

계획! 73

계획+α 73

계획의 과정 74

'계획'에 앞서 나누고 싶은 질문들 74

교육자로서 필요한 '질문' 75

질문의 방법 혹은 태도 75

답은? 76

다섯 가지의 '질문' 76

답은 '나는'으로 시작하는 완결된 한 문장으로 77

당신은 왜 문화예술교육을 하고 싶으신가요?(혹은 하고 있으신가요) 77

당신은 왜 아동/장애인을 만나고 싶으신가요?(만나고 계신가요) 78

당신은 어떤 교육자가 되고 싶나요? 78

당신은 왜 영화를 가지고 교육을 하고 싶나요?(하고 있으신가요) 79

그러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80

질문도 연습이 필요! 81

구성요소와 방법 알아보기 81

교육에서 계획이 필요할까? 82

교육활동의 과정과 교육계획의 관계 82

교육을 계획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 83

교육계획의 방법 83

분석과 토론 85

경험으로부터 배운다 : 사례와 분석 85

경험으로부터 배운다 : 질문과 토론 87

교육계획의 실제 : 실습과 발표, 피드백 88

연간 교육계획서(양식과 항목) 88

차시별 교육 계획안(양식과 항목) 89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91

판권기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