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해양공간계획체제 구축 2016년 시범 연구사업. [1-2]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2016
청구기호
551.46 -17-30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책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41617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올포랜드
연구책임자: 최희정
1권 참고문헌: p. 341-350
내용: [1]. 최종보고서 -- [2]. 부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연구사업 개요 19

1. 연구사업 배경 및 목적 21

2. 연구사업 범위 24

3. 연구사업 추진체계 25

제2장 해양공간 진단 및 평가 27

제1절 시범해역 특성 및 진단 29

1. 기본현황 29

2. 해양환경·해양생태 33

3. 해양자원 45

4. 해양이용 48

제2절 시범해역 이용·개발·보전 수요 및 주요 현안 74

1. 이용·개발 수요 74

2. 보전 수요 87

3. 주요 현안 89

제3절 시범해역 해양공간관리제도 현황 및 문제점 121

1. 공간관리수단 121

2. 행위관리수단 139

제3장 시범해역 핵심가치 163

제1절 핵심가치 개념 및 정의 165

1. 핵심가치 개념 165

2. 국토이용계획 167

3. 해외 해양공간계획 171

제2절 시범해역 핵심가치 도출 방향 193

1. 시범해역 핵심가치 도출 방법 193

2. 시범해역 핵심가치(안) 199

제3절 시범해역 핵심가치별 공간 범위 설정 210

1. 핵심가치 공간 도출 방법 210

2. 핵심가치별 공간설정 평가기준(안) 211

3. 핵심가치별 공간 설정(안) 214

제4장 시범해역 파일럿 GIS 시스템 구축 215

제1절 해양공간계획을 위한 자료 및 정보 분류 217

1. 개요 217

2. 자료와 정보의 분류 217

3. 국외사례 분석 221

제2절 시범해역 정보 수집 및 GIS DB 구축 232

1. 개요 232

2. 해양공간정보 수집 234

3. 조사자료 수집 결과 235

4. 수집자료의 GIS DB 구축 235

5. 해양공간정보 처리 및 분석 239

제3절 GIS기반 해양공간정보 파일럿시스템 구축 248

1. 개요 248

2. 출처별 해양공간정보 레이어 250

3. MSP 시범해역 공간정보 레이어 256

4. 핵심가치 공간레이어 259

5. 핵심가치 공간도출 결과 레이어 261

제4절 해양공간계획 지원을 위한 해양환경·생태 조사체계 267

1. 해양환경·생태 정보격차분석 267

2. 해양공간계획을 위한 조사체계 제안 274

제5장 소해역 해양공간계획 수립 모델(안) 개발 279

제1절 소해역 해양공간계획 수립 모델(안) 281

1. 개요 281

2. 모델 적용의 범위 282

3. 해양공간계획 수립 모델 적용 방법 283

제2절 소해역 선정 288

1. 소해역 선정 목적 288

2. 소해역 설정을 위한 일반 기준 288

3. 소해역 선정 방법 288

4. 소해역 선정 결과 290

제3절 시범해역 해양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292

1. 시범해역 해양생태계 서비스 목록(안) 293

2. 시범해역 해양생태계 가치평가 기반 구축 302

3. 소해역 해양생태계 가치 평가 317

제4절 해양공간계획 시나리오 플래닝 328

1. 시나리오 1 : 해양보호구역 지정(강화남단 갯벌) 328

2. 시나리오 2 : 해상풍력과 수산자원 상충(무의도 주변) 334

3. 시나리오 3 : 해상풍력 최적 공간 도출 340

제6장 결론 347

제1절 요약 및 결론 349

제2절 정책제언 353

참고문헌 359

〈표 1-1〉 연구기관 업무내용 26

〈표 2-1〉 경기만 주변 해역의 해안선 길이(2014년) 29

〈표 2-2〉 경기만 주변 해역 자연·인공 해안선 길이 현황(2014년) 29

〈표 2-3〉 경기만 주변 해역 시·군·구별 해안선 길이 현황 30

〈표 2-4〉 경기만 주변 해역 유·무인도서 분포현황(2015.1월) 30

〈표 2-5〉 경기만 주변 해역 무인도서 관리유형 지정 현황(개소수) 31

〈표 2-6〉 경기만 주변 해역 무인도서 관리유형 지정 현황(면적) 31

〈표 2-7〉 경기만 주변 해역 습지 면적 변화(2008, 2013년) 32

〈표 2-8〉 경기만 주변 해역 연안·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32

〈표 2-9〉 시범해역의 현행 해양생태계 법정조사 자료 현황 41

〈표 2-10〉 경기만 내 광업권 현황 및 분포 46

〈표 2-11〉 옹진군 연도별 바다골재 채취 허가 현황 47

〈표 2-12〉 옹진군 연도별 광구별 바다골재 채취 허가 현황 47

〈표 2-13〉 시범해역 연도별 총 어획량 49

〈표 2-14〉 시범해역 연도별 주요 어종별 어획량 50

〈표 2-15〉 시범해역 면허어업현황(건수) 50

〈표 2-16〉 시범해역 면허어업현황(면적) 51

〈표 2-17〉 경기 및 인천 인공어초시설 면적 및 사업비 52

〈표 2-18〉 인천광역시 연안어업 및 구획어업 허가현황 54

〈표 2-19〉 경기도 연안어업 및 구획어업 허가현황 55

〈표 2-20〉 인천·경기 어업자 현황 55

〈표 2-21〉 전국 연안어업 및 구획어업 어획현황 57

〈표 2-22〉 인천광역시 연안어업 및 구획어업 업종별 어획현황 59

〈표 2-23〉 경기도 연안어업 및 구획어업 업종별 어획현황 59

〈표 2-24〉 인천광역시 근해어업 허가건수 60

〈표 2-25〉 인천광역시 근해어업 업종별 어획현황 61

〈표 2-26〉 경기도 근해어업 허가건수 61

〈표 2-27〉 시범해역 주요 마리나 계획(2015년) 62

〈표 2-28〉 시범해역 어촌체험마을 현황(2016년) 62

〈표 2-29〉 경기·인천권 어촌체험마을 운영실적(2011년~2015년) 63

〈표 2-30〉 경기만 주변 해역 유어장 지정 및 이용객 현황(2016 기준) 64

〈표 2-31〉 경기만 주변 해역 유어장 시·군·구별 현황(2015년) 64

〈표 2-32〉 경기만 주변 해역 유어장 지정·운영현황(2015년) 65

〈표 2-33〉 경기만 주변 해역 체험어장 및 유어장 1인당 이용료(2015년) 66

〈표 2-34〉 인천광역시 주요 관광지점 내·외국인 입장객 현황(2010~2016년) 67

〈표 2-35〉 인천광역시 주요 관광지점 입장객(2010~2015년) 68

〈표 2-36〉 경기만 주변 해역 무역항·연안항의 구역과 주요 항만시설 현황(2014년) 69

〈표 2-37〉 경기만 주변 해역 어항 현황(2015년) 71

〈표 2-38〉 경기만 주변 해역 국가어항 어업현황(2014년) 72

〈표 2-39〉 경기만 주변 해역 국가어항 시설현황(2014년) 73

〈표 2-40〉 경기만 주변 해역 지방어항 현황 73

〈표 2-41〉 경기만 주변 해역 어촌정주어항 및 소규모 어항 현황 73

〈표 2-42〉 제3차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반영 예정지구 74

〈표 2-43〉 공유수면 매립목적별 매립계획 현황 75

〈표 2-44〉 인천항 개발 계획 75

〈표 2-45〉 인천내항 재개발 개요 77

〈표 2-46〉 월곶항 정비계획 개요 79

〈표 2-47〉 국가어항 신규 개발 80

〈표 2-48〉 어장 기반시설 정비 80

〈표 2-49〉 마리나항만 개발 대상항만 81

〈표 2-50〉 대규모 해양관광단지 개발 계획 81

〈표 2-51〉 도서특화사업 82

〈표 2-52〉 기타 관광개발사업 83

〈표 2-53〉 인천·경기연안 설정 광업권 현황 84

〈표 2-54〉 바닷모래 채취 계획 84

〈표 2-55〉 골재채취예정지 85

〈표 2-56〉 연륙교, 연도교 등 건설계획 85

〈표 2-57〉 섬지역 교통 인프라 개선 계획 86

〈표 2-58〉 신재생에너지 개발 계획 86

〈표 2-59〉 에너지자립섬 추진 계획 87

〈표 2-60〉 해양오염 개선 사업 87

〈표 2-61〉 생태가치 보전 및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연자원 보전 사업 88

〈표 2-62〉 기타 어장환경개선 사업 등 89

〈표 2-63〉 시범해역의 주요 현안 분석(종합) 106

〈표 2-64〉 내용분석의 절차 110

〈표 2-65〉 분석 항목 및 유목 111

〈표 2-66〉 연도별 보도 건수 114

〈표 2-67〉 기사 유형 115

〈표 2-68〉 기사 복합성 115

〈표 2-69〉 전문가 인용 수 116

〈표 2-70〉 기사의 주요 내용 116

〈표 2-71〉 기사에 언급된 핵심가치 117

〈표 2-72〉 제목의 행위주체 118

〈표 2-73〉 이해관계자 119

〈표 2-74〉 기사의 갈등구도 119

〈표 2-75〉 「연안관리법」상 연안용도해역과 연안해역기능구 122

〈표 2-76〉 연안용도해역의 지정 및 관리 123

〈표 2-77〉 경기만 주변 해역 연안용도해역 현황 124

〈표 2-78〉 인천광역시 권역별 해역도(I) 125

〈표 2-79〉 인천광역시 권역별 해역도(II) 125

〈표 2-80〉 안산시 권역별 해역도 127

〈표 2-81〉 시흥시 연안용도해역 및 연안기능구 관련 해역도 128

〈표 2-82〉 옹진군 권역별 해역도(I) 129

〈표 2-83〉 옹진군 권역별 해역도(II) 130

〈표 2-84〉 연안습지보호지역과 해양보호구역의 개념 131

〈표 2-85〉 연안습지보호지역의 지정 및 관리 132

〈표 2-86〉 해양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 134

〈표 2-87〉 경기만 주변 해역 연안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135

〈표 2-88〉 대이작도 주변 해역 해양보호구역 135

〈표 2-89〉 장봉도갯벌 습지보호지역 지정구역 135

〈표 2-90〉 송도갯벌 습지보호지역 지정구역 136

〈표 2-91〉 대이작도 관리기본계획상 관리사업계획 및 2015년 관리사업 137

〈표 2-92〉 장봉도 관리기본계획상 관리사업계획 및 2015년 관리사업 138

〈표 2-93〉 송도갯벌 관리기본계획상 관리사업계획 및 2015년 관리사업 139

〈표 2-94〉 공유수면의 개념 및 공유수면 관리의 목표 및 수단 140

〈표 2-95〉 공유수면 관리청 141

〈표 2-96〉 공유수면 점용·사용 허가 대상 141

〈표 2-97〉 공유수면 점용·사용 허가 절차 142

〈표 2-98〉 공유수면 점용·사용 행위유형별 개수 전체현황 143

〈표 2-99〉 공유수면 점용·사용 행위유형별 규모 전체현황 144

〈표 2-100〉 공유수면 점용·사용 연도별 행위 개수 현황 145

〈표 2-101〉 공유수면 점용·사용 연도별 행위 규모 현황 146

〈표 2-102〉 해역이용협의와 해역이용영향평가의 개념 147

〈표 2-103〉 해역이용협의 절차 148

〈표 2-104〉 해역이용영향평가 절차 149

〈표 2-105〉 해역이용협의 행위 유형 150

〈표 2-106〉 시범해역 해역이용협의 전체 현황(2011~2014) 150

〈표 2-107〉 전국 해역이용협의 전체 현황(2011~2014) 151

〈표 2-108〉 시범해역 해역이용협의 연도별 현황(2011~2014) 153

〈표 2-109〉 전국 해역이용협의 연도별 현황(2011~2014) 154

〈표 2-110〉 시범해역 해역이용협의 종류별 현황 155

〈표 2-111〉 시범해역 해역이용협의 종류별 현황 : 연도별, 전체 현황 155

〈표 2-112〉 전국 해역이용협의 종류별 현황 155

〈표 2-113〉 전국 해역이용협의 종류별 현황 : 연도별, 전체 현황 156

〈표 2-114〉 시범해역 해역이용영향평가 대상 사업 현황 156

〈표 2-115〉 시범해역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 사업 현황 157

〈표 2-116〉 면허어업의 절차 159

〈표 2-117〉 면허어업의 제한 160

〈표 2-118〉 광업권에 의한 채굴 절차 161

〈표 2-119〉 골재채취 절차 162

〈표 3-1〉 해양관리 조치 사례 165

〈표 3-2〉 용도지역, 지구, 구역 개요 168

〈표 3-3〉 토지이용계획의 실현수단 169

〈표 3-4〉 토지이용규제 방식 170

〈표 3-5〉 토지이용규제 유형 170

〈표 3-6〉 벨기에 해양공간계획 핵심행위 176

〈표 3-7〉 중국 8대 해역기능구 177

〈표 3-8〉 해양주체기능구계획과 해양기능구계획 비교 178

〈표 3-9〉 노르웨이 해양공간계획 개요 179

〈표 3-10〉 노르웨이 해양공간계획의 특징 181

〈표 3-11〉 Canada Pacific Coast 해당 계획별 용도구역 지정 현황 189

〈표 3-12〉 미국 메사추세츠주 용도구역 191

〈표 3-13〉 해양공간계획에서 다루고 있는 대상 행위 191

〈표 3-14〉 각 국의 해양공간계획 내 용도분류체계 192

〈표 3-15〉 해양산업 종사자 현황 및 특화계수 197

〈표 3-16〉 갯벌·무인도서·어업활동 특화 계수 198

〈표 3-17〉 시범해역 면허어업현황 201

〈표 3-18〉 전국·시범해역 바다모래 허가실적 202

〈표 3-19〉 전국·시범해역 바다골재 채취 실적 202

〈표 3-20〉 골재채취예정지의 위치 및 면적 203

〈표 3-21〉 연도별 채취예정물량 203

〈표 3-22〉 인천항 컨테이너 처리실적 205

〈표 3-23〉 인천항 화물량 205

〈표 3-24〉 선박입출항 추이 205

〈표 3-25〉 한국연안 해상사격 해군 훈련구역 206

〈표 3-26〉 핵심가치 공간 설정 시 고려 사항 210

〈표 3-27〉 핵심가치별 평가항목 및 평가기준(안) 212

〈표 4-1〉 시범해역 해양정보 분류체계 220

〈표 4-2〉 MMO 주요 후원 부서 221

〈표 4-3〉 MMO 증거 개요 222

〈표 4-4〉 MMO 생산 증거 및 증거 제공 생산 기관 226

〈표 4-5〉 해양계획을 위한 데이터 목록(미국 사례) 230

〈표 4-6〉 해양공간정보 수집 출처에 따른 분류표 235

〈표 4-7〉 시범해역 공간정보 분류체계에 따른 레이어 및 피쳐 수 238

〈표 4-8〉 핵심가치별 공간레이어 목록 260

〈표 4-9〉 해양공간계획(해양보호구역 지정)에 필요한 생태자료 268

〈표 4-10〉 해양공간계획(보호대상해양생물 보호)에 필요한 생태자료 268

〈표 4-11〉 해양공간계획에 필요한 생태자료 및 시범해역 자료축적 현황 268

〈표 4-12〉 환경모니터링을 위한 법정조사(국가해양환경측정망) 현황 273

〈표 4-13〉 생태모니터링을 위한 법정조사(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 현황 273

〈표 4-14〉 해양공간계획 지원을 위한 폴리곤형 조사체계 276

〈표 4-15〉 일차생산력 조사체계 제안 278

〈표 5-1〉 소해역 선정을 위한 정보 목록 289

〈표 5-2〉 경기만 해역의 해양생태계서비스 목록 294

〈표 5-3〉 에머지 평가표의 기본 형태 306

〈표 5-4〉 공급서비스의 에머지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 309

〈표 5-5〉 조절서비스의 에머지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 310

〈표 5-6〉 문화서비스의 에머지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 312

〈표 5-7〉 지원서비스의 에머지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 314

〈표 5-8〉 공급서비스의 에머지량 계산에 필요한 평가 자료 형태 및 계산식 315

〈표 5-9〉 조절서비스의 에머지량 계산에 필요한 평가 자료의 형태 및 계산식 315

〈표 5-10〉 문화서비스의 에머지량 계산에 필요한 평가 자료의 형태 및 계산식 316

〈표 5-11〉 지원서비스의 에머지량 계산에 필요한 평가 자료 형태 및 계산식 316

〈표 5-12〉 경기만 소해역 에머지 평가표 319

〈표 5-13〉 해양보호구역의 지정 효과 평가 사례 330

〈표 5-14〉 풍력발전 에머지 평가 사례 비교 338

〈표 6-1〉 구역 설정을 위한 평가기준 및 활용 정보(안) 354

〈그림 1-1〉 우리나라 해양공간의 현안 및 관리 문제점 21

〈그림 1-2〉 해양공간계획체제 구상(안) 23

〈그림 1-3〉 시범해역 범위 24

〈그림 1-4〉 2016년 연구사업 추진체계 25

〈그림 1-5〉 2016년 연구사업 PERT(Project Evaluation Review Technique) 26

〈그림 2-1〉 경기만 해역의 생태환경 자료수집 대상해역 33

〈그림 2-2〉 경기만 해역의 생태환경 자료수집 격자분포 33

〈그림 2-3〉 Taxonomic distinctness index(Δ+)의 기본 개념 35

〈그림 2-4〉 경기만 시범해역 2개 격자의 종수와 Δ+의 비교 36

〈그림 2-5〉 경기만 시범해역 격자 Δ+ 분석 결과를 나타낸 funnel graph 36

〈그림 2-6〉 우리나라 6개 해역에서 14개 생태지수의 생물다양성 평가 결과를 비교한 그림 37

〈그림 2-7〉 시범해역 현행 해양환경 및 생태계 법정조사 정점 37

〈그림 2-8〉 시범해역 현행 해양환경 법정조사 정점 38

〈그림 2-9〉 시범해역 현행 기상환경 법정조사 정점 39

〈그림 2-10〉 시범해역 현행 해양생태계 법정조사 정점 40

〈그림 2-11〉 시범해역 조간대 저서생태계 Taxonomic distinctness index(Δ+) 현황(법정자료) 43

〈그림 2-12〉 시범해역 조하대 저서생태계 Taxonomic distinctness index(Δ+) 현황(법정자료) 43

〈그림 2-13〉 시범해역 해양환경(표층수온, 표층 부유퇴적물, 표층 엽록소-a) 현황 44

〈그림 2-14〉 시범해역 해양환경(표층수온, 표층 부유퇴적물, 표층 엽록소-a) 분석 결과 45

〈그림 2-15〉 광물을 생산하기 위한 절차 45

〈그림 2-16〉 전국 광업권 등록 현황 46

〈그림 2-17〉 소해구도별 어획량 군집 48

〈그림 2-18〉 시범해역 연도별 어획량 분포 49

〈그림 2-19〉 시범해역 내 면허어장 51

〈그림 2-20〉 연안어업 허가 추이 53

〈그림 2-21〉 구획어업 허가 추이 54

〈그림 2-22〉 연안어업 업종별 어업자 분포 56

〈그림 2-23〉 구획어업 업종별 어업자 분포 56

〈그림 2-24〉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 어구 형태 및 조업 모식도 58

〈그림 2-25〉 인천항 현황도 70

〈그림 2-26〉 인천항 계획평면도 76

〈그림 2-27〉 인천내항 재개발 토지이용계획 구상도 77

〈그림 2-28〉 인천항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 재개발사업 토지이용구상 78

〈그림 2-29〉 월곶항 정비계획(안) 79

〈그림 2-30〉 안산시 연안해역 권역 구분 126

〈그림 2-31〉 옹진군 연안해역 권역구분 129

〈그림 2-32〉 시범해역 연안관리지역계획 수립 현황 130

〈그림 2-33〉 시범해역 해역이용협의 전체 현황(2011~2014) 151

〈그림 2-34〉 전국 해역이용협의 전체 현황(2011~2014) 152

〈그림 2-35〉 시범해역 해역이용협의 연도별 현황(2011~2014) 153

〈그림 2-36〉 전국 해역이용협의 연도별 현황(2011~2014) 154

〈그림 3-1〉 국토이용계획 체계 167

〈그림 3-2〉 골재채취 행위 관련 정책지도 예시 173

〈그림 3-3〉 양식 행위 관련 정책지도 예시 173

〈그림 3-4〉 어업활동 행위 관련 유도지도 예시 174

〈그림 3-5〉 벨기에 해양공간계획과 해양공간관리범위 175

〈그림 3-6〉 MAREANO 해저 지도 182

〈그림 3-7〉 바렌트해 해양공간계획 183

〈그림 3-8〉 바렌트 해(왼쪽), 노르웨이 해(오른쪽) 생태적으로 중요하고 취약한 지역 184

〈그림 3-9〉 Beaufort Sea 해양관리지역(LOMA)과 EBSAs 185

〈그림 3-10〉 인간이용 지도(An Atlas of human Activities) 186

〈그림 3-11〉 MaPP 4개 계획수립 대상 해역 187

〈그림 3-12〉 로드아일랜드 해양공간계획 190

〈그림 3-13〉 시범해역의 핵심가치과 핵심가치 공간 개념 193

〈그림 3-14〉 시범해역 핵심가치 도출 절차 및 방법 194

〈그림 3-15〉 시범해역 주요 현안 및 핵심가치 196

〈그림 3-16〉 사회·경제활동 부문 특화계수 197

〈그림 3-17〉 해양환경·생태 부문 특화계수 198

〈그림 3-18〉 전국·시범해역 연근해어업 생산량 추이 200

〈그림 3-19〉 전국·시범해역 천해양식어업 생산량 변화 201

〈그림 3-20〉 인천항 현황도 및 계획평면도 204

〈그림 3-21〉 해양에너지메카 조성사업 계획 조감도 208

〈그림 3-22〉 시범해역 핵심가치 209

〈그림 3-23〉 핵심가치 공간 도출 및 정보 가공 방법 213

〈그림 3-24〉 핵심가치별 핵심공간 설정(안) 214

〈그림 4-1〉 육상 생태계서비스 정보네트워크 구축 방법 219

〈그림 4-2〉 해양계획을 위한 데이터 시스템 229

〈그림 4-3〉 해양공간계획에 있어서 GIS의 역할 233

〈그림 4-4〉 GIS 업무추진 절차 233

〈그림 4-5〉 해양공간정보 생산기관 및 구축 현황 234

〈그림 4-6〉 해양조사자료의 공간정보화 및 GIS DB 구축 단계 236

〈그림 4-7〉 문서(Excel)파일과 KML 패키지 파일의 GIS 데이터 변환 사례 236

〈그림 4-8〉 시범해역 공간정보 분류체계 237

〈그림 4-9〉 MSP를 위한 해양공간정보 메타데이터 구성요소 237

〈그림 4-10〉 MSP를 위한 해양공간정보 처리 요소 기술 개요 239

〈그림 4-11〉 티센폴리곤 생성 개념도 240

〈그림 4-12〉 역거리가중치법(IDW)을 이용한 관측값 추정 예시 241

〈그림 4-13〉 인터섹트에 의한 공간객체 추출 개념도 241

〈그림 4-14〉 공간결합에 의한 속성 전달 개념도 242

〈그림 4-15〉 디졸브에 의한 공간객체 일반화 개념도 242

〈그림 4-16〉 MSP를 위한 3'×3' 단위의 정규격자 및 코드 243

〈그림 4-17〉 포인트형 자료의 MSP 격자형 자료 변환(적용 예: WQI) 244

〈그림 4-18〉 규모가 다른 격자데이터의 MSP 격자형 데이터 변환 과정 예 245

〈그림 4-19〉 퇴적상 속성 분포지도 제작 과정 246

〈그림 4-20〉 선박운항위치정보의 빅데이터 분석방법 및 공간화 절차 247

〈그림 4-21〉 GIS기반 공간정보 파일럿 시스템 구축 개요 248

〈그림 4-22〉 GIS기반 해양공간정보 파일럿 시스템 화면설계 249

〈그림 4-23〉 해양수산부 제공 해양공간정보 250

〈그림 4-24〉 국립해양조사원 제공 해양공간정보 251

〈그림 4-25〉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해양공간정보 252

〈그림 4-26〉 해양환경관리공단 제공 해양공간정보 252

〈그림 4-27〉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제공 해양공간정보 253

〈그림 4-28〉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제공 해양공간정보 254

〈그림 4-2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공 해양공간정보 255

〈그림 4-30〉 안양대학교 제공 해양공간정보 255

〈그림 4-31〉 시범해역 기본공간정보 레이어 256

〈그림 4-32〉 시범해역 환경생태계 레이어 257

〈그림 4-33〉 시범해역 해양이용 레이어 258

〈그림 4-34〉 시범해역 해양관리 레이어 259

〈그림 4-35〉 핵심가치 공간도출 개념도 259

〈그림 4-36〉 핵심가치별 공간레이어 구축 화면 261

〈그림 4-37〉 핵심가치별 공간도출 방법 262

〈그림 4-38〉 해양생태계 보호 핵심가치 공간도출 결과 263

〈그림 4-39〉 어획 핵심가치 공간도출 결과 264

〈그림 4-40〉 양식장 핵심가치 공간도출 결과 264

〈그림 4-41〉 골재채취 및 광업 핵심가치 공간도출 결과 265

〈그림 4-42〉 해양관광 핵심가치 공간도출 결과 265

〈그림 4-43〉 항만 및 항행 핵심가치 공간도출 결과 266

〈그림 4-44〉 군사활동 핵심가치 공간도출 결과 266

〈그림 4-45〉 시범해역 조하대 동식물플랑크톤, 난자치어, 저서동물 조사현황 269

〈그림 4-46〉 시범해역 조간대 저서생물 조사현황 269

〈그림 4-47〉 시범해역 조간대 저서생물 조사현황 270

〈그림 4-48〉 시범해역 조간대 저서미세조류 조사현황 270

〈그림 4-49〉 시범해역 조간대 어류 조사현황 271

〈그림 4-50〉 시범해역 조하대 저서동물 조사현황 271

〈그림 4-51〉 시범해역 조하대 저서동물 조사현황 272

〈그림 4-52〉 시범해역 현행 해양환경 및 생태계 법정조사 정점 종합 272

〈그림 4-53〉 시범해역 해양공간계획을 위한 조사정점 제시 274

〈그림 4-54〉 신규 조사체계를 운영할 경우 획득가능한 시범해역 대형저서동물 생물다양성... 275

〈그림 4-55〉 도심갯골, 풍성사구, 염생식물군락을 나타내는 주제도 예시 276

〈그림 4-56〉 산호초, 해송, 수중암초를 나타내는 주제도 예시 276

〈그림 4-57〉 잔점박이물범/저어새 서식지 및 산란지 주제도 예시 277

〈그림 4-58〉 서식지다양성을 나타내는 주제도 예시, 홍해연안 277

〈그림 4-59〉 해역 일차생산을 나타내는 주제도... 278

〈그림 5-1〉 해양공간계획 수립 모델 적용을 위한 소해역 범위 282

〈그림 5-2〉 소해역 해양공간계획 수립 모델-ACTOR 284

〈그림 5-3〉 시나리오 플래닝의 정의 및 기능 285

〈그림 5-4〉 소해역 공간수요 상충 관계 분석 286

〈그림 5-5〉 소해역 해양공간계획 수립을 위한 시나리오 287

〈그림 5-6〉 시나리오 분석 결과의 활용방향 287

〈그림 5-7〉 이슈 집중구역(안) 289

〈그림 5-8〉 법정조사 정점도 및 해양환경·생태 현황 290

〈그림 5-9〉 소해역 범위 290

〈그림 5-10〉 자연자본과 생태계서비스 사이의 관계 292

〈그림 5-11〉 경기만 해역의 해양생태계서비스 분류체계 295

〈그림 5-12〉 에머지 평가법과 선호도 기반 평가법의 비교 302

〈그림 5-13〉 에머지 평가의 일반적 절차 305

〈그림 5-14〉 에머지 가치 지도 작성 및 활용의 기본 개념 307

〈그림 5-15〉 에머지 가치 지도 제작 절차 308

〈그림 5-16〉 경기만 해양생태계 에머지 평가 모델 318

〈그림 5-17〉 소해역 해양생태계서비스 평가 결과 320

〈그림 5-18〉 소해역 가치 지도 작성 절차 321

〈그림 5-19〉 소해역 조석의 에머지 가치 지도 322

〈그림 5-20〉 유입 담수의 에머지 가치 지도 323

〈그림 5-21〉 소해역 유입 자연환경 요소의 에머지 가치 지도 324

〈그림 5-22〉 소해역 어선어업의 수산물 생산 가치 지도 325

〈그림 5-23〉 소해역 갯벌어업의 수산물 생산 가치 지도 325

〈그림 5-24〉 소해역 영양염류 제거의 에머지 가치 지도 326

〈그림 5-25〉 소해역 여가·관광의 에머지 가치 지도 327

〈그림 5-26〉 강화남단 갯벌 주변 현황 329

〈그림 5-27〉 해양보호구역 지정의 효과 분석 사례 330

〈그림 5-28〉 시나리오 1 평가 결과 요약 333

〈그림 5-29〉 해양생태계보전 용도해역 지정 절차(안) 333

〈그림 5-30〉 무의도 주변 해역 해양이용 및 상태 334

〈그림 5-31〉 강원풍력발전단지의 에머지 평가표 337

〈그림 5-32〉 시나리오 2 평가 결과 요약 339

〈그림 5-33〉 해상풍력단지 입지 선정 과정 341

〈그림 5-34〉 경기만 소해역 풍력밀도 및 순현재가치 분포 342

〈그림 5-35〉 양식·어획 핵심 분야와 NPV의 비교 결과 343

〈그림 5-36〉 시나리오 3 평가 결과 요약 344

〈그림 5-37〉 해양이용 상충 예상 공간의 구역 지정 절차(안) 345

〈그림 6-1〉 핵심가치 구역 설정을 위한 정보(안) 350

〈그림 6-2〉 시범해역 해양공간계획을 위한 해양정보 분류체계 351

〈그림 6-3〉 시범해역 해양공간계획을 위한 해양정보 수준 351

〈그림 6-4〉 해양공간계획 단계 353

〈그림 6-5〉 해양공간계획 수립 절차(안) 355

〈그림 6-6〉 시범해역 해양활동 상충 메트릭스 356

〈그림 6-7〉 해역분류체계(안) 358

표제지

제출문

목차

부록 1. 시범해역 내 무인도서 지정 현황 377

부록 2. 해양계획을 위한 데이터 카테고리(Data categories for Marine Planning) 388

부록 3. 해양공간계획체제 홍보동영상 제작 396

부록 4. 해양생태계서비스 분류 및 가치평가 국내외 사례 분석 398

1. 해양생태계서비스 정의 398

2. 해양생태계서비스 목록 404

3. 해양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사례 424

[참고 1] 에너지시스템언어에서 사용하는 기호의 예 455

[참고 2] 경기만 소해역 에머지 평가 계산 과정 456

부록 : 참고문헌 459

〈부록 표 1〉 자연자본의 정의 국외 사례 399

〈부록 표 2〉 생태계서비스의 정의 사례 401

〈부록 표 3〉 Cognetti and Maltagliati(2010)의 해양생태계서비스 분류체계 가운데 자연... 407

〈부록 표 4〉 Cognetti and Maltagliati(2010)의 해양생태계서비스 분류체계 가운데 교란된... 407

〈부록 표 5〉 Cognetti and Maltagliati(2010)의 해양생태계서비스 분류체계 가운데 인위적... 408

〈부록 표 6〉 Costanza et al.(1997)이 평가한 생태계서비스 목록 409

〈부록 표 7〉 de Groot et al.(2002)의 생태계 기능 분류 410

〈부록 표 8〉 MEA(2003)의 생태계서비스 분류 411

〈부록 표 9〉 TEEB(2010)의 생태계서비스 분류 412

〈부록 표 10〉 CICES의 생태계서비스 분류 413

〈부록 표 11〉 Holmlund and Hammer(1999)가 제안한 어류 개체군의 생태계서비스 목록 414

〈부록 표 12〉 해양생물다양성이 제공하는 해양생태계서비스 분류 415

〈부록 표 13〉 Barbier et al.(2011)이 제시한 서식지 유형별 해양생태계서비스 목록 416

〈부록 표 14〉 심해생태계의 생태계서비스 분류 416

〈부록 표 15〉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태평양 연안생태계 서비스 분류 417

〈부록 표 16〉 뉴질랜드 연안·해양생태계서비스 분류 417

〈부록 표 17〉 멕시코만 생태계서비스의 단계별 구분 418

〈부록 표 18〉 멕시코만 생태계의 서식지 유형별 생태계서비스 목록 및 중요도 순서 설정... 418

〈부록 표 19〉 플로리다 남부지역 연안·해양생태계서비스 분류 419

〈부록 표 20〉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생태계서비스 목록 421

〈부록 표 21〉 새만금 외해역의 해양생태계서비스 목록 422

〈부록 표 22〉 남해 강진만 해양생태계 생태계서비스 목록 423

〈부록 표 23〉 Costanza et al.(1997)의 생태계 유형별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항목 425

〈부록 표 24〉 Costanza et al.(1997)이 평가한 생태계서비스 항목 및 설명 426

〈부록 표 25〉 Costanza et al.(1997)이 해양생태계서비스 평가에 이용한 자료의 형태 427

〈부록 표 26〉 Costanza et al.(1997)의 전 세계 해양생태계 유형별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428

〈부록 표 27〉 Costanza et al.(2014)의 전 세계 해양생태계 유형별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430

〈부록 표 28〉 해양생태계의 조절서비스 가치 평가 국외 사례 431

〈부록 표 29〉 해양생태계의 문화서비스 가치 평가 사례 435

〈부록 표 30〉 새만금 갯벌의 경제적 가치 438

〈부록 표 31〉 우리나라 갯벌의 해양생태계서비스 가치 439

〈부록 표 32〉 하구 생태계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한 사례 440

〈부록 표 33〉 국립공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사례 441

〈부록 표 34〉 엑슨발데즈호 유류유출 사고의 에머지 평가 자료 443

〈부록 표 35〉 엑슨발데즈호 유류유출 사고의 에머지 평가 443

〈부록 표 36〉 홍콩 마이포 습지의 생태계서비스 에머지 평가 자료 444

〈부록 표 37〉 홍콩 마이포 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사례 445

〈부록 표 38〉 미시시피강 하구습지 복원계획의 에머지 평가에 포함된 생태계서비스 평가... 445

〈부록 표 39〉 미시시피강 하구습지 복원계획의 에머지 평가 446

〈부록 표 40〉 해초생태계의 생태계서비스 평가 자료 447

〈부록 표 41〉 갯벌의 해양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자료 448

〈부록 표 42〉 갯벌의 해양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결과 449

〈부록 표 43〉 하구생태계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자료 450

〈부록 표 44〉 하구생태계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결과 450

〈부록 표 45〉 국립공원 해양생태계의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자료 451

〈부록 표 46〉 국립공원 해양생태계의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결과 451

〈부록 표 47〉 남해 강진만 해양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자료 452

〈부록 표 48〉 남해 강진만 해양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 결과 453

〈부록 그림 1〉 자연자본과 생태계서비스 사이의 관계 398

〈부록 그림 2〉 새천년생태계평가에서 사용한 생태계서비스 분류체계 405

〈부록 그림 3〉 어류개체군이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 406

〈부록 그림 4〉 CICES 분류체계 구조의 예 408

〈부록 그림 5〉 에너지시스템 언어에서 사용하는 기호 45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00539 551.46 -17-30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00540 551.46 -17-30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00541 551.46 -17-30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00542 551.46 -17-30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