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발간사 / 김시운
1. 지역학 7
예산학의 이해 / 한기범 8
1. 지역학의 동향과 예산학 8
2. 예산학의 개념과 목적 17
3. 예산학의 내용과 연구 방법 22
4. 예산학의 과제와 비전 42
참고문헌 49
2. 지리와 역사 51
예산의 지리와 지명 / 권선정 52
1. 예산의 위치와 자연환경 52
2. 행정구역 변화를 통해 본 예산 56
3. 예산 지역의 전통도시 읍치(邑治) 58
4. 역사문화적 의미체로서의 진산과 주산 64
5. 지명 69
참고문헌 73
내포가 보이는 예산 역사 / 윤용혁 74
1. 백제의 서방성, 부흥운동의 거점 74
2. 태조 왕건, 예산에 행차하다 77
3. 가야산은 내포의 중심 79
4. 예산의 지역 구조 - 예산, 덕산, 대흥 81
5. 조선시대 예산의 학문과 예술 83
6. 동학의 봉기와 민족운동 85
7. 상공업과 농업의 거점이 되다 87
8. 충남 도청시대의 개막하다 88
참고문헌 90
3. 선비의 고장, 예산 91
예산의 유교적 학맥과 학풍 / 황의동 92
1. 예산의 유교학맥 92
1)도학파(의리학파) 92
2) 한산이씨 출신 유학자들 98
3) 율곡학파 103
4) 우계학파 105
2. 예산의 유교학풍 119
참고문헌 123
예산의 충효예와 선비정신 / 김문준 124
1. 충효예의 고장 예산 124
2. 예산의 충의 지사와 충의정신 126
3. 효행으로 이름난 인물들 131
4. 예산의 유학자와 유학정신 137
참고문헌 139
묵향·문향으로서의 예산 / 이향배 140
1. 예산과 인연을 맺은 조선의 서예가 141
1) 조선 전기 4대 명필가, 김구 141
2) 6세 맹펼, 이산해 142
3) 동국진체의 창시자, 이서 143
4) 추사체의 창시자, 김정희 145
2. 예산을 빛낸 문장가 146
1) 일기문학의 대가, 조극선 146
2) 여주이씨의 예산 정착과 문학 활동 149
3) 한말 고문 창작의 거벽(巨擘), 이남규 154
참고문헌 156
예산 지역 독립운동과 독립운동가 / 김상기 157
1. 독립운동이란? 157
2. 한말 예산 지역 국권회복운동 158
3. 일제강점기 예산 지역 독립운동 161
1) 1910년대 독립운동 161
2) 3.1운동의 전개 163
3) 1920년대 이후 독립운동 165
4. 예산인의 해외 독립운동 167
5. 예산 독립운동의 특징 170
참고문헌 173
4. 공동체 사회와 민풍 175
조선시대 읍치마을, 동서·상중리 / 이연숙 176
1. 마을 공동체의 과거와 현재 176
2. 조선시대 읍치의 구성과 신분별 거주지 178
3. 일제 강점기~해방 이후 대흥의 변화 185
4. 동서·상중리의 문화유산 193
참고문헌 195
예산의 민간 설화 / 박종익 196
1. 의좋은 형제 197
2. 관음사 사적기 201
3. 흑치상지와 대흥산성(임존성) 206
4. 최영 장군과 닭재산 산신령 208
참고문헌 212
예산의 축제문화 / 유기준 213
1. 예산군 축제 현황 213
2. 예산군 축제의 유형 214
1) 역사 인물 활용 축제 214
2) 전통 민속 축제 220
3) 자연 특산물 축제 222
참고문헌 224
5. 돋보이는 문화유산 225
추사(秋史)의 학문과 예술 / 최완수 226
1. 서언 226
2. 시대와 환경 227
3. 학문의 세계 232
4. 예술의 경지 238
5. 결어 243
참고문헌 245
예산의 고택 / 이왕기 246
1. 풍토환경과 가옥의 지역성 247
2. 예산의 고택 248
3. 예산지역 가옥의 특징 271
예산 사면석불과 수덕사 대웅전 / 정은우 274
1. 예산 사면석불 274
1) 사면석불의 정의와 시원 275
2) 예산 사면석불의 현상과 특징 277
3) 제작연대 280
4) 중요성과 의미 283
2. 수덕사 대웅전(修德寺 大雄殿) 284
1) 수덕사 대웅전 285
2) 목조아미타삼불죄상과 수미단 및 연화대좌 287
참고문헌 288
6. 실학풍과 여성문학 289
실학을 이끈 사람들 / 송현강 290
1. 실학을 이끈 사람들 290
1) 여주이씨 성호가의 실학 전통 290
2) 추사 김정희의 북학 전통 296
2. 서학의 수용 299
1) 여주이씨 이가환 299
2) 내포의 사도 이존창 301
참고문헌 305
예산의 여성 문인과 여성 문학 / 문희순 306
1. 충남과 예산의 여성 문인 306
2. 남정일헌의 생애와 문학 307
3. 예산 여성문학의 특징과 의의 333
참고문헌 335
7. 내포의 뿌리, 예산의 비전 337
내포의 뿌리, 예산의 과거와 미래 / 곽호제 338
1. 내포의 지명 유래와 지역 범위 338
2. 예산 지역의 역사적 성격 345
1) 문화 수용의 창구 - 진취적인 개방성 345
2) 역동적(力動的) 경제 활동 348
3. 예산의 미래 비전 359
참고문헌 361
판권기 36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302130 | 951.973 -17-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