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기후변화에 따른 풍수해 대응 지역별 방재역량 강화연구개발 = A study on enhancing the community capacity for hazard mitigation in climate change / 국민안전처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국민안전처, 2017
청구기호
363.3492 -17-10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liii, 1119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MPSS-자연 ; 2013-63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
재난안전기술개발사업단
제어번호
MONO1201743724
주기사항
핵심주관기관: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핵심연구책임자: 정주철
참고문헌: p. 1073-1088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58

1.1. 연구개발의 필요성 59

1.1.1. 연구개발의 과학기술, 사회경제적 중요성 59

1.2. 국내·외 연구동향 및 기존 연구 검토 70

1.2.1. 국내·외 연구동향 및 기존 연구 검토 70

1.2.2. 현 기술상태의 취약성 75

1.3. 연구 목표 및 내용 79

1.3.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79

1.3.2.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81

제2장 기후변화 및 지역별 복원탄력성을 고려한 지역별 방재역량 강화방안 제시 91

2.1. 사회적 취약성 요인분석 및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복원탄력성 개념의 접근 방법론 설정 93

2.1.1.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한 사회·경제적 취약성 요인 분석 및 정리 93

2.1.2. 사회·경제적 요인별 영향의 원인 및 정도 분석 94

2.1.3. 국내·외 사회·경제적 취약성 분석 사례 조사 97

2.1.4. 복원탄력성의 개념에 대한 특성 및 정의 99

2.1.5. 복원탄력성 연구 관련 국내·외 사례조사 및 국내 수준 평가 101

2.1.6. 기존 취약성 평가와의 비교를 통한 복원탄력성 지수의 필요성 제기 103

2.1.7. 기후변화에 의한 재해저감 연구로서 복원탄력성 개념의 국내 적용방법 설정 109

2.1.8. 연구개발내용 시사점 118

2.2. 지역별 과거 재해이력조사와 풍수해 대응 지역별 방재역량 검토 및 분석 119

2.2.1. 지역별 과거 재해이력조사 및 데이터 정리 119

2.2.2. 풍수해 대응 지역별 안전도 및 방재역량 검토 및 분석 126

2.2.3. 연구개발내용 시사점 156

2.3. 복원탄력성(레질리언스) 지수개발 및 시범사업지역 선정 157

2.3.1. 국내 복원탄력성(레질리언스) 평가를 위한 주요 평가 요소 도출 157

2.3.2. 복원탄력성 지수 주요 평가요소에 대한 특성 파악 및 국내의 적용가능성 검토 183

2.3.3. 주요 평가요소를 통합하여 복원탄력성 지수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 설정 187

2.3.4. 국내 자료 특성 및 재해관리 특성에 맞는 복원탄력성 지수 개발 190

2.3.5. 기후시나리오, 과거재해이력과 지역·지형적 특성을 기준으로 한 시범사업지역 선정 192

2.3.6. 연구개발내용 시사점 197

2.4. 복원탄력성 지수 적용 및 기후변화 및 복원탄력성을 고려한 지역별 방재역량 강화방안 제시 198

2.4.1. 시범사업지역을 대상으로 복원탄력성(레질리언스)지수 적용 및 검토 198

2.4.2. 복원탄력성(레질리언스)개념 도입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및 지역별 방재역량 강화 방안 도출 252

2.4.3. 재해특성 및 지역특성의 범주화를 통한 다양한 방재 대책 수립방안 제시 275

2.4.4. 미래 목표기간별 및 지역별 복합재해 위험도를 바탕으로 한 방재대책 수립 328

2.4.5. 연구개발내용 시사점 379

2.5. 복원탄력성 평가툴 개발 382

2.5.1. 국내·외 복원탄력성(레질리언스) 시스템 및 평가툴 관련 선행 사례 조사 및 분석 382

2.5.2. 복원탄력성(레질리언스) 평가툴 개발 방법론 검토 및 선정 428

2.5.3. 평가툴 내 입력 데이터 구축 및 분석 450

2.5.4. 복원탄력성(레질리언스) 평가툴 개발 472

제3장 기후변화 시나리오 수집, 검토 및 분석 프로그램 개발 481

3.1.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관련 자료 수집 483

3.1.1. 강우, 강풍, 강설 등 기후변화 및 이를 고려한 국내외 주요 풍수해 영향 평가 연구결과 분석 483

3.1.2. 국외의 주요 기후변화 연구소의 기후자료 수집 533

3.1.3. 호우-강풍, 강풍-폭설 등 복합재해 정의 및 특성 조사 분석 546

3.1.4. 복합재해 영향 시나리오의 선행연구 검토 569

3.1.5. 연구개발내용 시사점 575

3.2. 방법론 575

3.2.1. 기후변화 시나리오 검토 및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575

3.2.2. 태풍동반 강수평가 및 폭풍설의 영향평가방안 도출 590

3.2.3. 연구개발내용 시사점 607

3.3. 분석 결과 608

3.3.1. 최신 기후변화 시나리오 수집 및 분석 수행 608

3.3.2. 연구개발내용 시사점 660

3.4.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 자연재해 피해 분석 660

3.4.1. 선행연구 검토 660

3.4.2. 자연재해 피해 분석 데이터 수집 674

3.4.3. 단일 및 복합재해 분석을 위한 통계학적 방법 개발 685

3.4.4. 단일 및 복합재해 피해 예측 분석 결과 691

3.4.5. 시범사업지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를 고려한 단일 및 복합재해영향 시나리오 분석 707

3.4.6. 연구개발내용 시사점 716

제4장 기후변화와 복합재해 영향을 고려한 지역별 시설물 방재기준 개선방안 717

4.1. 시설물 방재기준 관련 국내외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위한 문제점 도출 719

4.1.1. 방재관련 기준검토 719

4.1.2. 방재시설물의 종류 및 중요도 검토 729

4.1.3. 기후변화대응 국내·외 사례 조사 732

4.1.4. 시설물 방재기준 관련 개선방안 연구 시사점 739

4.2. 방재역량 검토기준 설정 및 복합재해 분석을 위한 방법론 개발 741

4.2.1. 시설별 지역별 방재기준 개선안 제시 741

4.2.2. 다변량 기반 복합재해 하중도 개발 753

4.2.3. 복합재해 분석을 위한 방법론 연구개발내용 시사점 782

4.3. 기본 및 복합재해 분석을 위한 통계기법 개발 783

4.3.1. 미래 목표기간별 기본 하중도 개발 783

4.3.2. 미래 목표기간별 복합재해 하중도 개발 819

4.3.3. 미래 목표기간별 지수화 산정 843

4.3.4. 기본 및 복합재해 분석을 위한 통계기법 개발 시사점 911

4.4. 시범지역 대상 복합재해 하중도 평가 및 시설물 방재기준 개선안 도출 913

4.4.1. 시범지역 대상 복합재해 하중도 적용 및 평가 913

4.4.2. 시설별 지역별 방재기준 개선안 제시 936

4.4.3. 시범지역 대상 하중도 평가 및 시설물 방재기준 개선안 도출 시사점 945

제5장 기후변화 및 복합재해 영향을 고려한 지역별 건축물 방재기준 개선방안 연구 947

5.1. 건축물 방재기준 재설정을 위한 기초적 검토 수립 949

5.1.1. EU, 미국, 일본 등 각국의 보고서 및 법령 지침 검토 949

5.1.2. 우리나라 건축물 설계 및 관리기준에 대한 문제점 분석 및 기후변화 영향인자 도출 952

5.1.3. 연구개발내용 시사점 970

5.2. 건축물 방재기준 재설정을 위한 기초적 검토 수립 및 건축물 유형분류·중요도 분석 971

5.2.1. 건축물 유형조사 973

5.2.2. 재해에 따른 피해규모 등을 고려한 중요도 분석 990

5.2.3. 연구개발내용 시사점 1003

5.3. 지역별 건축물 방재역량 검토 및 방재기준 분석 1004

5.3.1. 지역별 건축물 방재역량 검토 1004

5.3.2. 지역별 건축물 방재기준 분석 1027

5.4. 미래목표기간별 건축물 방재기준 개선방안 도출 1034

5.4.1. 연구의 개요 1034

5.4.2. 지역별 건축물 방재기준 분석 1036

5.4.3. 건축물에 대한 기본 및 복합재해 하중도의 정확성 검토 및 수정 1068

5.4.4. 미래 목표기간별 기본 및 복합재해 하중도를 이용한 건축물 방재기준 개선방안 도출 1116

5.4.5. 연구개발내용 시사점 1128

참고문헌 1129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서 1145

표 1.1. 연구개발성과의 활용현황 70

표 1.2. 복원탄력성 개념의 선행연구 71

표 1.3. 복합재해 하중도 연구개발 내용 73

표 1.4. 건축물 방재기준 개선에 관한 선행 연구 74

표 1.5.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 수준 76

표 1.6. 연차별 연구개발 내용 85

표 2.1. 사회적 취약성의 개념 및 특성 93

표 2.2. 사회·경제적 지표의 개념과 변수(Cutter et al., 2003) 94

표 2.3. 사회·경제적 지표(Wood et al., 2010) 96

표 2.4. 사회·경제적 지표의 변수(Peacock et al., 2011) 97

표 2.5. 사회취약성 평가 위험지역 비교를 위한 지표선정 98

표 2.6. 사회취약성 평가 위험지역 비교 99

표 2.7. 복원탄력성의 특징(국외연구) 100

표 2.8. 복원탄력성의 특징(국내연구) 100

표 2.9. 국내·외 복원탄력성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101

표 2.10. 연안지역 사례조사 인터뷰 결과 105

표 2.11. 낙동강 지역 자연재해피해액 106

표 2.12. 하천지역 사례조사 인터뷰 결과 106

표 2.13. 복원탄력성(레질리언스)중 위험과 관련된 중요 요소 111

표 2.14. 복원탄력성 중 역량과 관련된 중요 요소 112

표 2.15. 태풍 매미를 통해서 본 복원탄력성(레질리언스) 115

표 2.16. 경주시 사례를 통해서 본 복원탄력성 평가 및 강화 방안 115

표 2.17. 자연재해대책법상의 풍수해 유형 127

표 2.18. 하천재해의 자연현상별 피해양상 128

표 2.19. 내수재해의 자연현상별 피해양상 128

표 2.20. 사면재해의 자연현상별 피해양상 129

표 2.21. 토사재해의 자연현상별 피해양상 129

표 2.22. 바람재해의 자연현상별 피해양상 130

표 2.23. 해안재해의 자연현상별 피해양상 130

표 2.24. 저감대책의 세부저감전략 분류기준 132

표 2.25. 지역별 재해별 저감대책 133

표 2.26. 전지역단위의 저감대책 유형 빈도분석 134

표 2.27. 수계단위의 저감대책 유형 빈도분석 134

표 2.28. 하천재해의 저감대책 유형 빈도분석 135

표 2.29. 내수재해의 저감대책 유형 빈도분석 135

표 2.30. 사면재해의 저감대책 유형 빈도분석 136

표 2.31. 토사재해의 저감대책 유형 빈도분석 136

표 2.32. 바람재해의 저감대책 유형 빈도분석 137

표 2.33. 해안재해의 저감대책 유형 빈도분석 137

표 2.34. 기타재해의 저감대책 유형 빈도분석 138

표 2.35. 사례지역의 저감대책의 재해유형별 분류 138

표 2.36. 사례지역(미국)의 재해유형별 저감대책 기초통계 139

표 2.37. 사례지역(미국)의 저감대책 유형별 기초통계 140

표 2.38. 사례지역(미국)의 풍수해유형 및 저감대책 유형에 따른 비교분석 141

표 2.39. 사례지역의 전 재해 세부저감전략의 내용 142

표 2.40. 사례지역의 홍수 재해 세부저감전략의 내용 144

표 2.41. 사례지역의 집중강우 재해 세부저감전략의 내용 145

표 2.42. 사례지역의 댐 및 제방붕괴 재해 세부저감전략의 내용 146

표 2.43. 사례지역의 토네이도 재해 세부저감전략의 내용 146

표 2.44. 사례지역의 바람 재해 세부저감전략의 내용 147

표 2.45. 사례지역의 태풍 재해 세부저감전략의 내용 147

표 2.46. 사례지역의 산사태 재해 세부저감전략의 내용 148

표 2.47. 사례지역의 해안침식 재해 세부저감전략의 내용 148

표 2.48. 사례지역의 설해 세부저감전략의 내용 148

표 2.49. 지역안전도 분야별 진단방법 및 진단항목(국민안전처, 2013) 151

표 2.50. 변수설정 152

표 2.51. 호우피해액과 지역안전도간의 상관분석 152

표 2.52. 호우피해액과 지역안전도간의 회귀분석 153

표 2.53. 문헌연구에 따른 지표의 재분류 160

표 2.54. 문헌연구 및 설문조사를 활용한 지표 선정 과정 160

표 2.55. 본 설문문항의 기술통계 163

표 2.56. 본 설문문항 분석 모형 164

표 2.57. 본 설문조사 통계분석-3 165

표 2.58. 공무원 인식 분석유형에 따른 요인별 지표 166

표 2.59. 분석방법(PCA-Varimax)에 따른 요인별 지표 173

표 2.60. 분석방법(PCA-Oblimin)에 따른 요인별 지표 174

표 2.61. 분석방법(CFA-Varimax)에 따른 요인별 지표 174

표 2.62. 분석방법(CFA-Oblimin)에 따른 요인별 지표 175

표 2.63. 인구지표에 대한 패널분석 176

표 2.64. 인구지표에 대한 패널분석 177

표 2.65. Social 복원탄력성 평가 요소 179

표 2.66. Economic 복원탄력성 평가 요소 179

표 2.67. Infrastructure 복원탄력성 평가 요소 180

표 2.68. Institutional 복원탄력성 평가 요소 180

표 2.69. 복원탄력성 평가를 위한 주요 평가 요소 182

표 2.70.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역안전도 개발 방법론-1 188

표 2.71.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역안전도 개발 방법론-2 188

표 2.72. 2011년 지역안전도 기준 Case별 상관분석결과 190

표 2.73. 2012년 지역안전도 기준 Case별 상관분석결과 191

표 2.74. 지역유형화 I : 과거피해액 + 미래 빈도 192

표 2.75. 지역유형화 II : 재해취약지역(과거&미래-강풍) 193

표 2.76. 지역유형화 II : 재해취약지역(과거&미래-강설) 194

표 2.77. 지역유형화 II : 재해취약지역(과거&미래-폭풍우) 194

표 2.78. 시범사업지역 후보지 특성 비교 195

표 2.79. 시범사업지역 선정 196

표 2.80. 질문내용 201

표 2.81. 공통성 검토(1차) 202

표 2.82. 공통성 검토(2차) 202

표 2.83. 패턴행렬(1차) 203

표 2.84. 신뢰성 분석 203

표 2.85. 공통성 검토(3차) 204

표 2.86. 공통성 검토(4차) 204

표 2.87. 패턴행렬(2차) 205

표 2.88. CFA(Oblimin) 수행 후 요인별 지표 206

표 2.89. 시설물 취약성 평가를 위한 대상 206

표 2.90. 건축물 취약성 평가 요인 및 점수 209

표 2.91. 건축물 취약성 평가 대상 209

표 2.92. 방재역량 평가 요인 재분류 210

표 2.93. 시설물 취약성 지수 산정 방법 사례 212

표 2.94. 시설물 및 건축물 취약성 지수 산정식 213

표 2.95. 요인 및 지표별 수집 가능 범위 215

표 2.96. 시·군·구 단위 사회적 취약성 지수 도출 방식 215

표 2.97. 요인분석에 따른 사회적 취약성의 대리변수 216

표 2.98. 지표별 기초통계량 217

표 2.99. 사회적 취약성 지수에 대한 Spearman 순위 상관 분석 218

표 2.100. 조정된 사회적 취약성 지수에 대한 시범지역 순위 219

표 2.101. 본 연구에서 활용한 행정동 219

표 2.102. 행정동별 세부지표 산출방법 220

표 2.103. 사례지역 행정동별 등급 분포(노후) 222

표 2.104. 사례지역 행정동별 등급 분포(직업) 222

표 2.105. 사례지역 행정동별 등급 분포(농업) 222

표 2.106. 사례지역 행정동별 등급 분포(가족구조) 222

표 2.107. 본 연구에서 활용한 집계구 223

표 2.108. 집계구별 세부지표 산출방법 223

표 2.109. 기장군 집계구별 등급 분포(노후) 225

표 2.110. 포천시 집계구별 등급 분포(노후) 225

표 2.111. 삼척시 집계구별 등급 분포(노후) 226

표 2.112. 해남군 집계구별 등급 분포(노후) 226

표 2.113. 기장군 집계구별 등급 분포(직업) 227

표 2.114. 포천시 집계구별 등급 분포(직업) 227

표 2.115. 삼척시 집계구별 등급 분포(직업) 228

표 2.116. 해남군 집계구별 등급 분포(직업) 228

표 2.117. 기장군 집계구별 등급 분포(농업) 229

표 2.118. 포천시 집계구별 등급 분포(농업) 229

표 2.119. 삼척시 집계구별 등급 분포(농업) 230

표 2.120. 해남군 집계구별 등급 분포(농업) 230

표 2.121. 기장군 집계구별 등급 분포(가족구조) 231

표 2.122. 포천시 집계구별 등급 분포(가족구조) 231

표 2.123. 삼척시 집계구별 등급 분포(가족구조) 232

표 2.124. 해남군 집계구별 등급 분포(가족구조) 232

표 2.125. 시범대상지 방재역량 수준(위험관리능력) 234

표 2.126. 시범대상지 방재역량 수준(위험관리능력) 234

표 2.127. 시범대상지 방재역량 수준(방재성능) 234

표 2.128. 복원탄력성 지수화 방안 사례 235

표 2.129. 복원탄력성 지수 산정식 236

표 2.130. 복원탄력성 평가툴 입력 데이터 수집 및 가공방법 239

표 2.131.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역안전도 개발 방법론 241

표 2.132. 2013년 지역안전도 기준 Case별 상관분석결과 242

표 2.133. 2014년 지역안전도 기준 Case별 상관분석결과 242

표 2.134. 기장군 복원탄력성 지수(2) : 강우부문 245

표 2.135. 기장군 복원탄력성 지수(2) : 강풍부문 245

표 2.136. 기장군 복원탄력성 지수(2) : 적설부문 245

표 2.137. 기장군 복원탄력성 지수(2) : 강우+강풍 부문 245

표 2.138. 삼척시 복원탄력성 지수(2) : 강우부문 246

표 2.139. 삼척시 복원탄력성 지수(2) : 강풍부문 246

표 2.140. 삼척시 복원탄력성 지수(2) : 적설부문 246

표 2.141. 삼척시 복원탄력성 지수(2) : 강우+강풍부문 247

표 2.142. 해남군 복원탄력성 지수(2) : 강우부문 247

표 2.143. 해남군 복원탄력성 지수(2) : 강풍부문 248

표 2.144. 해남군 복원탄력성 지수(2) : 적설부문 248

표 2.145. 해남군 복원탄력성 지수(2) : 강우+강풍부문 248

표 2.146. 포천시 복원탄력성 지수(2) : 강우부문 249

표 2.147. 포천시 복원탄력성 지수(2) : 강풍부문 249

표 2.148. 포천시 복원탄력성 지수(2) : 적설부문 250

표 2.149. 포천시 복원탄력성 지수(2) : 강우+강풍부문 250

표 2.150. 복원탄력성 개념을 도입한 방재역량 강화 방안 국내 선행연구 253

표 2.151. AR / VR의 비교 270

표 2.152. 방재대책 수립 방법론과 관련한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세부수립기준 항목... 278

표 2.153.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 나타난 대책 분류 및 정리(비구조적) 280

표 2.154.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 나타난 대책 분류 및 정리(구조적) 280

표 2.155. 강우에 대한 세부저감대책-구조적 282

표 2.156. 강우에 대한 세부저감대책-비구조적 283

표 2.157. 강풍에 대한 세부저감대책-비구조적 284

표 2.158. 적설에 대한 세부저감대책-비구조적 / 구조적 284

표 2.159. 전남 해남군 강풍 피해현황 285

표 2.160. 전남 해남군 저감대책 요약 286

표 2.161. 충북 보은군 대설 피해현황 286

표 2.162. 충북 보은군 저감대책 요약 287

표 2.163. 전남 고흥군 집중호우 피해현황 288

표 2.164. 전남 고흥군의 비구조적 대책 비교 288

표 2.165. 저감대책 분석(사회취약성 상, 역량 상) 292

표 2.166. 저감대책 분석(사회취약성 하, 역량 상) 294

표 2.167. 저감대책 분석(사회취약성 하, 역량 하) 295

표 2.168. 저감대책 분석(사회취약성 상, 역량 하)-1 297

표 2.169. 저감대책 분석(사회취약성 상, 역량 하)-2 298

표 2.170. FEMA MAT 자료에서 나타난 Flood 저감대책 300

표 2.171. FEMA MAT 자료에서 나타난 Hurricane 저감대책 301

표 2.172. FEMA MAT 자료에서 나타난 Severe Winter 저감대책 301

표 2.173. FEMA MAT 자료에서 나타난 Landslide 저감대책 302

표 2.174. FEMA MAT 자료에서 나타난 Wind 저감대책 302

표 2.175. FEMA MAT 자료에서 나타난 Winterstorm 저감대책 303

표 2.176. FEMA MAT 자료에서 나타난 Multiple 저감대책 303

표 2.177. 미국 사례지역의 풍수해 유형 304

표 2.178. 강우에 대한 세부저감대책-비구조적(미국) 305

표 2.179. 강우에 대한 세부저감대책-구조적(미국) 307

표 2.180. 강풍에 대한 세부저감대책-구조적(미국) 307

표 2.181. Morgan County의 Severe Weather에 대한 저감대책 308

표 2.182. Delaware County 세부 저감대책 - 강풍 및 태풍 308

표 2.183. Delaware County 세부 저감대책 - 적설 309

표 2.184. Kimberley 시의 우선순위에 따른 구간 310

표 2.185. Banff 마을의 우선순위에 따른 구간설정 및 제설작업 311

표 2.186. 국내 저감대책의 재해유형별 정리 316

표 2.187. 해외 저감대책의 재해유형별 정리 317

표 2.188. 해외 저감대책의 재해유형별 종합 319

표 2.189. 미국의 저감대책 평가항목 323

표 2.190. 한국과 미국의 저감대책 평가항목 비교 323

표 2.191. 미국 기준 중 한국 사례에 포함되지 않은 기준 324

표 2.192.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방재기준 작성 기본 원칙 326

표 2.193. 계획의 지위와 관련한 수립기준 개선(안) 326

표 2.194. 풍수해 저감대책 수립 기본방향 관련한 수립기준 개선(안) 326

표 2.195. 저감대책 시행계획과 관련한 수립기준 개선(안) 326

표 2.196. 저감대책 수립 시 검토해야 하는 항목(종합) 327

표 2.197. 시범사업대상지의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상의 대책 기본방향 330

표 2.198. 부산광역시 자연재난 저감 목표 334

표 2.199. 삼척시 자연재난 저감표 334

표 2.200. 시범사례지역 방재성능목표 336

표 2.201. 방재대책 수립방법론 및 절차 연구방향 344

표 2.202. 사례지역 내 연구대상(위험지구) 선정 344

표 2.203. 사례지역 내 연구대상(위험지구) 위험요인 345

표 2.204. 사례지역 내 연구대상(위험지구)별 저감대책 345

표 2.205. 사례지역 내 좌의1지구(강우, 하천) 저감대책 346

표 2.206. 사례지역 내 신읍3지구(강우, 내수) 저감대책 347

표 2.207. 사례지역 내 정교지구(강우, 사면) 저감대책 348

표 2.208. 사례지역 내 삼율2지구(강우, 토사) 저감대책 349

표 2.209. 사례지역 내 백야지구(강풍, 바람) 저감대책 350

표 2.210. 사례지역 내 이천좌2지구(강우강풍, 하천) 저감대책 351

표 2.211. 사례지역 내 칠암지구(강우강풍, 내수) 저감대책 352

표 2.212. 사례지역 내 구칠1지구(강우강풍, 사면) 저감대책 353

표 2.213. 사례지역 내 웅천3지구(강우강풍, 토사) 저감대책 354

표 2.214. 사례지역 내 길천지구(강우강풍, 해안) 저감대책 355

표 2.215. 좌의1지구 저감대책 제안 360

표 2.216. 신읍3지구 저감대책 제안 361

표 2.217. 정교지구 저감대책 제안 362

표 2.218. 삼율2지구 저감대책 제안 363

표 2.219. 백야지구 저감대책 제안 363

표 2.220. 이천좌2지구 저감대책 제안 364

표 2.221. 칠암지구 저감대책 제안 365

표 2.222. 구칠1지구 저감대책 제안 366

표 2.223. 웅천3지구 저감대책 제안 367

표 2.224. 길천지구 저감대책 제안 368

표 2.225. 기장읍 지구(강우강풍, 내수) 저감대책 372

표 2.226. 기장읍지구 저감대책 373

표 2.227. 저감대책 목록 378

표 2.228. 중요시설물과 관련된 취약성 지표 385

표 2.229. 경제와 관련된 취약성 지표 385

표 2.230. 기상과 관련된 취약성 지표 386

표 2.231. 위험성과 관련된 취약성 지표 386

표 2.232. 사회와 관련된 취약성 지표 386

표 2.233. 환경과 관련된 취약성 지표 387

표 2.234. 이상홍수 취약성 지표(EFVI)의 선정 및 가중치 389

표 2.235. 등급별 홍수 대안 제시 392

표 2.236. SPI에 따른 가뭄분류(Mckee et al., 1993) 393

표 2.237. 시설선정 로직의 항목분류 396

표 2.238. 개선 시스템 토지이용구분 및 토지이용별 적용가능 시설 397

표 2.239. TOPSIS 계산로직 398

표 2.240. 비점제품 의사결정을 위한 항목별 표준점수 적용표 399

표 2.241. 비점오염저감시설 시설별 저감 효율, 기타항목에 대한 기본값 400

표 2.242. 비점오염저감시설 저감 효율 400

표 2.243. 발생부하원단위 401

표 2.244. 테스트베드 지점별 LID 선정을 위한 입력자료 상세 402

표 2.245.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의한 LID 선정결과 403

표 2.246. 사회환경 차원의 복원탄력성 지표 404

표 2.247. 경제환경 차원의 복원탄력성 지표 405

표 2.248. 생활환경 차원의 복원탄력성 지표 405

표 2.249. NWIS 시스템 구성요소별 주요 내용 407

표 2.250. NWIS의 제공 정보 408

표 2.251. 방재기상정보시스템의 제공 정보 413

표 2.252. 방재기상정보시스템의 웹포탈, 웹서비스별 제공정보 413

표 2.253. 지상관측자료의 제공정보 및 제공형태 414

표 2.254. K-water 국가가뭄정보분석센터 주요역할 및 임무 415

표 2.255. K-water 국가 가뭄정보 분석시스템 주요기능 418

표 2.256. K-water 국가 가뭄정보 분석시스템 주요기능(계속) 418

표 2.257. FRICS의 제공 정보 420

표 2.258. 물정보국토데이터관리시스템의 제공 정보 421

표 2.259. European Drought Observatory의 가뭄지수 427

표 2.260. European Drought Observatory System의 기능 설명 427

표 2.261. 시설물 취약성 지수 산정을 위한 재해유형별 입력 자료 450

표 2.262. 시설물별 행정구역 매칭 및 적합 여부 판단 (예시) 451

표 2.263. 읍면동별 시설물 취약성 지수 산정 (예시) 452

표 2.264. 건축물별 행정구역 매칭 및 고려변수별 충족여부 판단 (예시) 454

표 2.265. 읍면동별 건축물 취약성 지수 산정 (예시) 454

표 2.266. 읍면동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건축물 취약 정보 (예시) 455

표 2.267. 읍면동별 사회경제적 취약성 지수 (기장, 삼척) 456

표 2.268. 읍면동별 사회경제적 취약성 지수 (포천, 해남) 456

표 2.269. 기장군 읍면동별 강우 복원탄력성 지수 458

표 2.270. 기장군 읍면동별 강풍 복원탄력성 지수 458

표 2.271. 기장군 읍면동별 적설 복원탄력성 지수 459

표 2.272. 기장군 읍면동별 강우+강풍 복원탄력성 지수 459

표 2.273. 삼척시 읍면동별 강우 복원탄력성 지수 460

표 2.274. 삼척시 읍면동별 강풍 복원탄력성 지수 461

표 2.275. 삼척시 읍면동별 적설 복원탄력성 지수 462

표 2.276. 삼척시 읍면동별 강우+강풍 복원탄력성 지수 463

표 2.277. 해남군 읍면동별 강우 복원탄력성 지수 464

표 2.278. 해남군 읍면동별 강풍 복원탄력성 지수 465

표 2.279. 해남군 읍면동별 적설 복원탄력성 지수 466

표 2.280. 해남군 읍면동별 강우+강풍 복원탄력성 지수 467

표 2.281. 포천시 읍면동별 강우 복원탄력성 지수 468

표 2.282. 포천시 읍면동별 강풍 복원탄력성 지수 469

표 2.283. 포천시 읍면동별 적설 복원탄력성 지수 470

표 2.284. 포천시 읍면동별 강우+강풍 복원탄력성 지수 471

표 3.1. 2100년 기준 SRES 시나리오와 RCP 시나리오의 CO₂ 농도 485

표 3.2. RCP 시나리오와 SRES 시나리오의 특징 비교 485

표 3.3. 5차보고서 SPM 검토 내용 요약 490

표 3.4. 동아시아 기후변화 예측 요약 498

표 3.5. IPCC 4차 기후변화 보고서 시나리오를 이용한 국내 방재연구 505

표 3.6. IPCC 4차 기후변화 보고서 시나리오를 이용한 국내... 507

표 3.7. 방법별 증가율 산정 515

표 3.8. IPCC 5차 기후변화 보고서 시나리오를 이용한 국내 방재연구 517

표 3.9. 강남지점에서의 강우자료에 대한 빈도해석 결과 (손아롱 등, 2013) 518

표 3.10. 기후변화를 고려한 빗물펌프장 용량의 변화 (강나래 등, 2013) 520

표 3.11. 극한지수의 리스트 (정세진 등, 2013) 521

표 3.12. IPCC 4차 기후변화 보고서 시나리오를 이용한 국외 방재연구 521

표 3.13. IPCC 4차 보고서에 참여한 전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527

표 3.14. 5차 기후변화 보고서에 참여한 전구 기후모델 529

표 3.15. 현재와 미래 20년 평균 강우량과 연평균 집중호우 발생 일수... 534

표 3.16. CORDEX 동아시아 실험에 참여한 전구 기후모델 540

표 3.17. 5개 지역기후모델이 산출한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현재... 541

표 3.18. 강우-강풍 지속시간별 분석 결과 Scenario1 : 전기간 강우,... 548

표 3.19. 강우-강풍 지역별 통계 분석 결과 557

표 3.20. 폭설-강풍 지속시간별 분석 결과. Scenario1 : 전기간 적설,... 559

표 3.21. 폭설-강풍 지역별 통계 분석 결과 568

표 3.22. 지속시간별 최대치 비교(강우) 569

표 3.23. 복합재해(강우·강풍) Modeling 관련 국내·외 연구 571

표 3.24. 복합재해(호우·강풍) 기후변화 시나리오 관련 국내·외 연구 572

표 3.25. 복합재해(강풍·강설) Modeling 관련 국내·외 연구 573

표 3.26. 복합재해(강풍·강설) 기후변화 시나리오 관련 국내·외 연구 574

표 3.27.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격자체계와 지도투영법 576

표 3.28. 230개 시군구 현재 기간 25년 일 강수량 580

표 3.29. 230개 시군구 현재 기간 25년 일 지상 평균 기온 580

표 3.30. 230개 시군구 현재 기간 25년 지면 풍속 580

표 3.31. 최종으로 생산된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 데이터 584

표 3.32. 최종적으로 산출된 단일 재해 지수 586

표 3.33. 태풍이 존재하지 않는 시범사업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587

표 3.34. 최종적으로 산출된 복합 재해 지수 588

표 3.35. 선행연구에서 정의된 한반도 영향 태풍 기준과 영역 594

표 3.36. 지역 구분 기준과 scale factor 602

표 3.37. 현재 25년(1981~2005)동안 230개 시군구 지역에서 발생한 폭풍설... 606

표 3.38. 5차 기후변화 보고서에 참여한 전구 기후모델 609

표 3.39. 강수 관련 시범사업지역 단일 재해 지수에서 가장 큰 미래... 652

표 3.40. 강수 관련 시범사업지역 단일 재해 지수에서 가장 큰 미래... 653

표 3.41. 신적설 관련 단일 재해 지수에서 가장 큰 미래 변화율과 해당... 654

표 3.42. 지면 풍속 관련 단일 재해 지수에서 가장 큰 미래 변화율과 해당... 654

표 3.43. 1시간 최대강우량에 따른 전국 시군구별 피해액 (박동혁 외, 2011) 661

표 3.44. 1일 최대강우량에 따른 전국 시군구별 피해액 (박동혁 외, 2011) 661

표 3.45. 누적강우량에 따른 전국의 피해액(박동혁 외, 2011) 661

표 3.46. 재해 피해액과 강우량의 비선형 회귀 결과(장옥재, 2009) 662

표 3.47. 폭설에 따른 직접적 경제 피해 추정 (정준호 외, 2014) 668

표 3.48. 피해액과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권순호 외, 2017) 669

표 3.49. 기후변화를 고려한 기상재해 피해예측 선행연구 (Bouwer, 2013) 671

표 3.50. 재해연보에 제시된 자연재해 종류 및 설명 674

표 3.51. 호우 피해액으로 합산한 재해종류 및 건수 677

표 3.52. 자연재해 피해 분석을 위한 기상관측변수 684

표 3.53. 호우 피해 예측 모형 기초통계량 690

표 3.54. 태풍 피해 예측 모형 기초통계량 690

표 3.55. 호우 피해예측 모형 회귀분석 결과 비교 691

표 3.56. 태풍 피해예측 모형 회귀분석 결과 비교 692

표 3.57. 미래 피해액 추정에 사용될 원단위 692

표 4.1. 계획홍수량과 하폭 719

표 4.2. 주요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 720

표 4.3. 하천의 중요도와 계획규모 720

표 4.4. 제방의 여유고 및 둑마루폭 721

표 4.5. 도로 배수시설물의 설계빈도 722

표 4.6. 도로 배수시설물의 설계빈도 722

표 4.7. 미국 수공구조물의 일반적인 설계 기준 723

표 4.8. 일본의 유출계수 724

표 4.9. 일본의 하천중요도에 따른 설계 빈도 724

표 4.10. 우리나라와 국외 설계기준 비교 725

표 4.11. 우리나라와 국외 설계기준 비교 726

표 4.12. 지역별 기본풍속 727

표 4.13. 지상적설하중의 비교 727

표 4.14. 시설물 유형 분류 728

표 4.15. 방재시설물의 분류 729

표 4.16. 공공시설물의 분류 730

표 4.17. 재해원인별 피해발생 순위 730

표 4.18. 지역별 피해발생 순위 731

표 4.19. 하수도 시설기준의 개정 733

표 4.20. 하천의 중요도와 계획규모의 개선 733

표 4.21. 도로 배수구조물 통수능력 향상을 위한 강우강도 발생빈도 상향조정 734

표 4.22. 기후변화를 고려한 목표기간별 방재기준안 735

표 4.23. 기상요소 평가항목별 설계기준 현황 740

표 4.24. 위험도 분석을 위한 기상관련 인자 선정 국내사례 742

표 4.25. 방재역량 검토기준 선정 744

표 4.26. 관측소 현황 746

표 4.27. 확률강우량의 Z점수 적용(지속시간 24시간) 748

표 4.27. 확률강우량의 Z점수 적용(지속시간 24시간)(계속) 749

표 4.28. 확률강설량의 Z점수 적용(지속시간 24시간) 750

표 4.28. 확률강설량의 Z점수 적용(지속시간 24시간)(계속) 751

표 4.29. 강우-강풍 지역별 통계 분석 결과 755

표 4.30. 적설-강풍 지역별 통계 분석 결과 757

표 4.31. Copula 모형 758

표 4.32. 강우-강풍에 대한 최적 주변분포 선정결과(강우) 761

표 4.33. 강우-강풍에 대한 최적 주변분포 선정결과(강풍) 762

표 4.34. 지속시간별 Copula 매개변수(부산, 강우-풍속) 763

표 4.35. 지속시간별 Copula 적합성 검토(부산, 강우-풍속) 763

표 4.36. 강우-강풍에 대한 최적 Copula 분포 선정결과 763

표 4.37. 확률강우량 산정결과(서울) 765

표 4.38. 확률강우량 산정결과(부산) 765

표 4.39. 확률강우량 편차 766

표 4.40. 확률강우량 편차 767

표 4.41. 확률강우량 변화율 768

표 4.42. 확률강우량 변화율 769

표 4.43. 확률적설량 산정결과(서울) 773

표 4.44. 확률적설량 산정결과(부산) 773

표 4.45. 확률적설량 편차 775

표 4.46. 확률적설량 편차 776

표 4.47. 확률적설량 변화율 777

표 4.48. 확률적설량 변화율 778

표 4.49. 모집단의 매개변수와 표본 통계량 786

표 4.50. 확률분포형의 확률밀도함수 또는 누가분포함수 787

표 4.51. 기상관측소 현황 791

표 4.52.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24HR) 793

표 4.52.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24HR)(계속) 794

표 4.53.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24HR) 795

표 4.53.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24HR)(계속) 796

표 4.54.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24HR) 797

표 4.54.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24HR)(계속) 798

표 4.55.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24HR) 799

표 4.55.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24HR)(계속) 800

표 4.56.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24HR) 802

표 4.56.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24HR)(계속) 803

표 4.57.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24HR) 804

표 4.57.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24HR)(계속) 805

표 4.58.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24HR) 806

표 4.58.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24HR)(계속) 807

표 4.59.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24HR) 808

표 4.59.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24HR)(계속) 809

표 4.60.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24HR) 811

표 4.60.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24HR)(계속) 812

표 4.61.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24HR) 813

표 4.61.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24HR)(계속) 814

표 4.62.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24HR) 815

표 4.62.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24HR)(계속) 816

표 4.63.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24HR) 817

표 4.63.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24HR)(계속) 818

표 4.64. 강우-강풍에 대한 최적 주변분포 선정결과(강우) 821

표 4.65. 강우-강풍에 대한 최적 주변분포 선정결과(강풍) 821

표 4.66. 지속시간별 Copula 매개변수(부산, 강우-풍속) 822

표 4.67. 지속시간별 Copula 적합성 검토(부산, 강우-풍속) 823

표 4.68. 지속시간별 Copula 매개변수(부산, 적설-풍속) 823

표 4.69. 지속시간별 Copula 적합성 검토(부산, 적설-풍속) 824

표 4.70. 강우-강풍에 대한 최적 Copula 분포 선정결과 824

표 4.71. 적설-강풍에 대한 최적 Copula 분포 선정결과 824

표 4.72.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24HR) 826

표 4.72.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24HR)(계속) 827

표 4.73.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24HR) 828

표 4.73.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24HR)(계속) 829

표 4.74.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24HR) 830

표 4.74.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24HR)(계속) 831

표 4.75.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24HR) 832

표 4.75.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24HR)(계속) 833

표 4.76.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24HR) 835

표 4.76.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24HR)(계속) 836

표 4.77.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24HR) 837

표 4.77.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24HR)(계속) 838

표 4.78.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24HR) 839

표 4.78.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24HR)(계속) 840

표 4.79.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24HR) 841

표 4.79.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24HR)(계속) 842

표 4.80. 행정구역별 평균 기본확률강우량 Zscore(ESB, 24HR) 843

표 4.81.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 Zscore(24HR) 847

표 4.81.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 Zscore(24HR)(계속) 848

표 4.82.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 Zscore(24HR) 849

표 4.82.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 Zscore(24HR)(계속) 850

표 4.83.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 Zscore(24HR) 851

표 4.83.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 Zscore(24HR)(계속) 852

표 4.84.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 Zscore(24HR) 853

표 4.84.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강우량 Zscore(24HR)(계속) 854

표 4.85. 행정구역별 평균 확률적설량(24HR) Zscore(ESB, 24HR) 857

표 4.86.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 Zscore(24HR) 861

표 4.86.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 Zscore(24HR)(계속) 862

표 4.87.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 Zscore(24HR) 863

표 4.87.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 Zscore(24HR)(계속) 864

표 4.88.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 Zscore(24HR) 865

표 4.88.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 Zscore(24HR)(계속) 866

표 4.89.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 Zscore(24HR) 867

표 4.89.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적설량 Zscore(24HR)(계속) 868

표 4.90. 행정구역별 평균 확률풍속량 Zscore(ESB, 24HR) 871

표 4.91.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 Zscore(24HR) 875

표 4.91.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 Zscore(24HR)(계속) 876

표 4.92.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 Zscore(24HR) 877

표 4.92.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 Zscore(24HR)(계속) 878

표 4.93.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 Zscore(24HR) 879

표 4.93.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 Zscore(24HR)(계속) 880

표 4.94.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 Zscore(24HR) 881

표 4.94.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확률풍속량 Zscore(24HR)(계속) 882

표 4.95. 행정구역별 평균 복합확률강우량 Zscore(ESB, 24HR) 885

표 4.96.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 Zscore(24HR) 889

표 4.97.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 Zscore(24HR) 891

표 4.97. RCP 4.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 Zscore(24HR)(계속) 892

표 4.98.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 Zscore(24HR) 893

표 4.98.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 Zscore(24HR)(계속) 894

표 4.99.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 Zscore(24HR) 895

표 4.99.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강우량 Zscore(24HR)(계속) 896

표 4.100. 행정구역별 평균 복합확률적설량 Zscore(ESB, 24HR) 899

표 4.101.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 Zscore(24HR) 903

표 4.101. RCP 2.6-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 Zscore(24HR)(계속) 904

표 4.102.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 Zscore(24HR) 905

표 4.102. RCP 6.0-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 Zscore(24HR)(계속) 906

표 4.103.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 Zscore(24HR) 907

표 4.103. RCP 8.5-ESB- 관측소 빈도별 복합확률적설량 Zscore(24HR)(계속) 908

표 4.104. 침수분석 결과 923

표 4.105. 침수분석 결과 923

표 4.106. 침수분석 결과 924

표 4.107. 침수분석 결과 925

표 4.108. 침수분석 결과 926

표 4.109. 침수분석 결과 927

표 4.110. 침수분석 결과 928

표 4.111. 침수분석 결과 929

표 4.112. 침수분석 결과 930

표 4.113. 침수분석 결과 931

표 4.114. 침수분석 결과 932

표 4.115. 침수분석 결과 933

표 4.116. 철마천 시나리오별 평균수위 및 수위변동 935

표 4.117. 국토교통부 하천설계기준 936

표 4.118. 환경부와 관련된 설계 빈도 기준 937

표 4.119. 도로 배수시설물의 설계빈도 937

표 4.120.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확률강우량 전국 평균증가율 938

표 4.121.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복합확률강우량(강우+강풍) 전국 평균증가율 938

표 4.122. 주요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 보정 939

표 4.123. 환경부와 관련된 설계 빈도 기준 940

표 4.124. 도로 배수시설물의 설계빈도 940

표 5.1. 재해위험지구 현황(지자체별) 953

표 5.2. 지역별 건축물 피해 현황 954

표 5.3. 지역별 기본지상적설하중 956

표 5.4. 지역별 기본풍속 958

표 5.5. 재해유형별 중요도 964

표 5.6. 자연재해 요소별 중요도 964

표 5.7. 건축물 피해현황 DB 구축시 필요 정보 965

표 5.8. 건축물 설계지침의 개선항목별 중요도 966

표 5.9. 건축물 설계지침의 개선항목별 중요도 966

표 5.10. 재해요인별 건축계획요소 중요도 967

표 5.11. 건축계획 요소별 세부항목 중요도 968

표 5.12. 용도별 건축물 종류 973

표 5.13. 건축물 용도분류 관련 법령 비교 974

표 5.14. 특정소방대상물에서의 건축물 용도분류 975

표 5.15. 특정관리대상시설등 - 건축물 분야 976

표 5.16. 1종시설물 및 2종시설물의 분류 (건축물) 978

표 5.17. 지자체별 1, 2종시설물(건축물) 분포 현황 979

표 5.18. 지자체별 건축물 등급 분포 현황 980

표 5.19. 건축물 종류별 1, 2종 시설물(건축물) 분포 현황 981

표 5.20.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 기준에서의 건축물... 982

표 5.21.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에서의 건축물 용도분류 982

표 5.22. 피난안전구역의 면적 산정기준에서의 건축물 용도분류 982

표 5.23. IBC 건축물 용도분류 범례 983

표 5.24. Regulation 6 : Classification of Buildings by purpose 984

표 5.24. Regulation 6 : Classification of Buildings by purpose (계속) 985

표 5.25. 일본의 용도지역 분류 986

표 5.26. 지진구역(제56조제2항 관련) 988

표 5.27. 중요도(제56조제2항 관련) 988

표 5.28. 건축물 설계기준에 대한 종류 및 내용 989

표 5.29. 건축물 유형별 피해빈도 991

표 5.30. AHP 분석의 상대적 중요도 기준 994

표 5.31. 설문조사 내용 998

표 5.32. 설문조사 결과 999

표 5.33. 재해에 따른 주요 건축물 유형별 중요도 1000

표 5.34. 재해유형에 따른 건축물 피해저감 대책별 중요도 1001

표 5.35. 영향변수 지표평가 1006

표 5.36. 자연재해 영향변수 1009

표 5.37. 상관분석을 이용한 자연재난 피해건축물 유형분석 1011

표 5.38.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결과 1012

표 5.39. 군집별 지역구분 1014

표 5.40. 군집별 지역구분 1015

표 5.41. 법정동단위 건축물변수와 재해이력의 상관분석 결과 1017

표 5.42. 법정동단위 환경변수와 재해이력의 상관분석 결과 1019

표 5.43. 상관정도에 따른 자연재해 영향변수 선정 1020

표 5.44. 지역별 건축물 재해위험도 평가 1021

표 5.45. 지역별 건축물 재해위험지역 및 취약건축물 분포 1022

표 5.46. 제4차 국토종합계획 내 주요방재계획(건축물부문) 1028

표 5.47. 광역도시계획 내 주요방재계획(건축물부문) 1028

표 5.48. 도시군기본계획 내 주요방재계획(건축물부문) 1030

표 5.49. 제4차 도시군관리계획 내 주요방재계획(건축물부문) 1032

표 5.50. 건축물 풍수해 방재기준 포함 법령 1037

표 5.5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내 건축물 방재기준 1038

표 5.52.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내 건축물 방재기준 1039

표 5.53. '도시개발법' 내 건축물 방재기준 1040

표 5.54. '건축법' 내 건축물 방재기준 1041

표 5.55. '자연재해대책법' 내 건축물 방재기준 1043

표 5.56.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내 건축물 방재기준 1045

표 5.57.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 내... 1046

표 5.58.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관광업 진흥에 관한 법률' 내... 1047

표 5.59. 자치입법의 법적 근거 및 성격 1048

표 5.60. 건축물 방재기준 관련 자치법규 현황 1050

표 5.61. 도시계획조례 내 건축물 방재기준에 대한 법적근거 1051

표 5.62. 도시계획조례 (예 : 경주시) 1052

표 5.63. 지하공공보도시설 설치기준 등에 관한 조례 (서울시) 1053

표 5.64.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조례 법적 근거 1053

표 5.65. '노후불량건축물'의 지역별 차이 1054

표 5.66. 건축조례 (서울시) 1055

표 5.67. 건축물관리자의 제설 및 제빙책임에 관한 조례 법적... 1056

표 5.68. 건축물관리자의 제설 및 제빙책임에 관한 조례(서울시) 1056

표 5.69.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내 건축, 형질 변경 등의 행위... 1057

표 5.70.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내 건축, 형질 변경 등의 행위 제한에... 1058

표 5.71. 강우 재해 건축물 방재기준 목록 1063

표 5.72. 강풍 재해 건축물 방재기준 목록 1064

표 5.73. 적설 재해 건축물 방재기준 목록 1065

표 5.74. 강우-강풍 재해 건축물 방재기준 목록 1066

표 5.75. 기후요인별 건축물재해 관련변수 선정 1071

표 5.76. 강원도지역 1074

표 5.77. 서울 / 경기 / 인천 1075

표 5.78. 충북 / 충남 / 세종 / 대전 1076

표 5.79. 전북 / 전남 / 광주 1077

표 5.80. 부산 / 울산 / 경남 1078

표 5.81. 대구 / 경북 1079

표 5.82. 제주도 1080

표 5.83. 시도별 건축물 피해누적 개수(2005-2014년) 1083

표 5.84. 의사결정트리모델 입·출력변수 1084

표 5.85. 기후요인별 건축물재해 관련변수 선정 1085

표 5.86. 의사결정트리모형 입력코드 1087

표 5.87. 재해 위험도 평가를 위한 의사결정나무 1088

표 5.88. 피해한계치 1089

표 5.89. 강우피해 관련변수 가중치 1091

표 5.90. 강풍피해 관련변수 가중치 1092

표 5.91. 적설피해 관련변수 가중치 1093

표 5.92. 강우-강풍피해 관련변수 가중치 1094

표 5.93. 건축물 재해위험도 점수환산 방법 1095

표 5.94. 건축물 재해위험도 분류 정의 1096

표 5.95. 환산점수에 따른 건축물재해 위험도 분류 1097

표 5.96. 분류기법에 따른 건축물 재해위험점수 분류 결과 1098

표 5.97. 분류기법에 따른 지역별 재해위험점수 1099

표 5.98. 건축물재해 위험도점수 환산방법 1100

표 5.99. 시도단위 현재기간 건축물재해 위험등급(지역별 평균) 1102

표 5.100. 미래기간 지역별 건축물재해 위험등급 증감률 1105

표 5.101. 미래기간 지역별 건축물재해 위험등급(RCP2.6) 1107

표 5.102. 미래기간 지역별 건축물재해 위험등급(RCP4.5) 1108

표 5.103. 미래기간 지역별 건축물재해 위험등급(RCP6.0) 1109

표 5.104. 미래기간 지역별 건축물재해 위험등급(RCP8.5) 1110

표 5.105. 건물 단위 재해위험도 평가 환산점수 1111

표 5.106. 시범사업지역 건축물단위 재해위험점수... 1113

표 5.107. 시범사업지역 건물 단위 건축물 재해위험 등급(계속) 1114

표 5.108. 시범사업지역 건물 단위 건축물 재해위험 등급 1115

표 5.109. 강우 재해 건축물 방재기준 목록 1117

표 5.110. 강풍 재해 건축물 방재기준 목록 1119

표 5.111. 적설 재해 건축물 방재기준 목록 1120

표 5.112. 강우-강풍 재해 건축물 방재기준 목록 1121

표 5.113. 건축물 강우 재해 위험도 평가표(예) 1124

표 5.114. 건축물 강풍 재해 위험도 평가표(예) 1125

표 5.115. 건축물 적설 재해 위험도 평가표(예) 1126

표 5.116. 건축물 강우-강풍 재해 위험도 평가표(예) 1127

그림 1.1. 연구개발의 필요성 59

그림 1.2.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한 역학적 다운스케일링 방법 62

그림 1.3. 1990년대 대비 2000년대 시간당 강수량의 변화 64

그림 1.4. 연구개발의 목표 79

그림 1.5. 연구개발의 세부별 목표 80

그림 1.6. 연구개발 목표 81

그림 1.7. 연구방법 및 흐름 82

그림 2.1. 지역안전도 개념도 98

그림 2.2. 2012 지역안전도 등급 현황 103

그림 2.3. 연안지역 지역별 연간침수면적에 따른 취약성의 공간적 분포 104

그림 2.4. 복원탄력성... 108

그림 2.5. 복원탄력성+기후변화... 108

그림 2.6. 복원탄력성 구성요소 개념도 110

그림 2.7. 기후변화를 고려한 복원탄력성(레질리언스)의 적용방법 114

그림 2.8. 지역안전도와 복원탄력성(레질리언스)의 차이 117

그림 2.9. 인구구조부문 공간적자기상관성 123

그림 2.10. 교육부문 공간적자기상관성 123

그림 2.11. 주거서비스 부문 공간적자기상관성 124

그림 2.12. 도시부문 공간적자기상관성 124

그림 2.13. 교통부문 공간적자기상관성 125

그림 2.14. 사회취약성 공간적자기상관성 125

그림 2.15. 본 연구와 자연재해대책법 상의 풍수해 유형 분류 126

그림 2.16. 지역안전도 진단체계(국민안전처, 2013) 150

그림 2.17. 연구 시사점 156

그림 2.18. 위험인식 분석 모형 161

그림 2.19. 자연재해와 사회적 취약성간 관계 검증 모형 162

그림 2.20. 사회적 취약성 분포(PCA-Varimax-Z - score) 167

그림 2.21. 사회적 취약성 분포(PCA-Oblimin-Z - score) 169

그림 2.22. 사회적 취약성 분포(CFA-Varimax-Z - score) 170

그림 2.23. 사회적 취약성 분포(CFA-Oblimin-Z - score) 171

그림 2.24. 기후변화를 반영한 지역안전도 개념도 184

그림 2.2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한 복원탄력성 지수 개발 개념도 186

그림 2.26. Hazus 모델의 기본 알고리즘 189

그림 2.21. 지역유형화 I : 통계적 분석방법과정도 192

그림 2.28. 지역유형화II : 재해취약지역과 사회적 역량·취약성 반영방법도 193

그림 2.29. 사회적 취약성 평가를 위한 요인도출 방법론 개선방향 199

그림 2.30. 시설물 취약성 평가 알고리즘(강우, 강풍, 적설) 207

그림 2.31. 시설물 취약성 평가 알고리즘(강우+강풍, 적설+강풍) 207

그림 2.32. 지수화 방법 채택 가능 범위 결정을 위한 모식도 214

그림 2.33. 개선된 사회적 취약성 지수의 부문별 분포(Z-score) 217

그림 2.34. 종합지수의 분포 218

그림 2.35. 복원탄력성 평가툴 개발 과정 237

그림 2.36. 미래 기후변화를 반영한 복원탄력성 지수 지도 244

그림 2.37. 기후정보 예시(1단계) 257

그림 2.38. 기후정보 예시(2단계) 258

그림 2.39. 기후정보 예시(3단계) 259

그림 2.40. 기후정보 예시(4단계) 259

그림 2.41. 시설물 취약성 분석결과 예시 261

그림 2.42. 건축물 취약성 분석결과 예시 262

그림 2.43. 사회적 취약성 분석결과 예시 263

그림 2.44. 방재역량 정보(물리적역량) 분석결과 예시 264

그림 2.45. 취약성 지수 분석결과 예시 265

그림 2.46. 방재역량 지수 분석결과 예시 266

그림 2.47. 복원탄력성 지수 분석 결과예시 267

그림 2.48. AR기반의 복원 탄력성 평가 시스템 예시 268

그림 2.49. AR을 이용한... 273

그림 2.50. 지역특성을 고려한 방재대책 수립기준(안) 제시를 위한 연구과정 275

그림 2.51. 재해 유형 분류 281

그림 2.52. 89개 시·군 대책 정리(중분류) 290

그림 2.53. FEMA Mitigation Action Tracker에서 수집하는 저감대책 현황 299

그림 2.54. Kimberley와 Banff의 정책 비교 311

그림 2.55. Snow Management Map 예시 312

그림 2.56. MAT에서의 권역 구분 및 자료 제시방법 313

그림 2.57. NRC 저감대책 선택 도구 314

그림 2.58. 시·도 안전관리계획 수립체계도 334

그림 2.59. Humboldt County의 Mitigation Objectives 338

그림 2.60. 사회적 취약성에 따른 시설물 취약성 저감 목표(안) 342

그림 2.61. 사회적 취약성에 따른 건축물 취약성 저감 목표(안) 343

그림 2.62. 좌의1지구 저감대책 검토과정 356

그림 2.63. 신읍3지구 저감대책 검토과정 357

그림 2.64. 정교지구 저감대책 검토과정 357

그림 2.65. 삼율2지구 저감대책 검토과정 357

그림 2.66. 백야지구 저감대책 검토과정 358

그림 2.67. 이천좌2지구 저감대책 검토과정 358

그림 2.68. 칠암지구 저감대책 검토과정 358

그림 2.69. 구칠지구 저감대책 검토과정 359

그림 2.70. 웅천3지구 저감대책 검토과정 359

그림 2.71. 길천지구 저감대책 검토과정 359

그림 2.72. 3세부과제에서 제공받은 침수심 자료 369

그림 2.73. 기장군 사례지역 답사-1 370

그림 2.74. 기장군 사례지역 답사-2 371

그림 2.75. 기장군 기장읍지구 저감대책 검토결과 373

그림 2.76. 이상홍수 취약성 평가 방안 383

그림 2.77. 이상홍수 취약성 지표 선정시 고려 요소 384

그림 2.78. 이상홍수 취약성 지표의 요소화 387

그림 2.79. 이상홍수 취약성 산정식 388

그림 2.80. 홍수방어 취약성 산정식 388

그림 2.81. 이상홍수 취약성 지표(EFVI)의 중첩 389

그림 2.82. 이상홍수 취약성 지표(EFVI)의 산정 모식도 390

그림 2.83. 취약성 요소별 결과 도출 그래프 391

그림 2.84. 기후변화 대응 취약성 분석 시스템의 취약성 화면 394

그림 2.85. 시설 선정 모식도 398

그림 2.86. LID 시설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적용 위치도 402

그림 2.87. 미국의 수자원정보화 조직도 406

그림 2.88. HWRP 세부 프로그램 구성 현황 410

그림 2.89. 방재기상정보시스템 개념 구성도 412

그림 2.90. 기상전망을 활용한 1.3개월 댐 저수량, 하천유량 등의... 416

그림 2.91. 가뭄정보분석시스템 화면 417

그림 2.92. FRICS 운영체계 420

그림 2.93. 일본 지역 하천정보시스템 422

그림 2.94. 미국 기상청 조직도 (수정) 423

그림 2.95. CPC의 강수예측정보 제공현황 424

그림 2.96. HPC의 강수·기상 예측정보 제공현황 425

그림 2.97. RFC의 수문정보 예보현황 (수정) 426

그림 2.98. 실시간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 개발 모식도 435

그림 2.99. 대국민 페이지 437

그림 2.100. 돌발홍수 예경보 현황판 화면 438

그림 2.101. 돌발홍수 정보화면 (유역별) 439

그림 2.102. 돌발홍수 정보화면 (행정구역별) 440

그림 2.103. 상세 돌발홍수 정보 화면 441

그림 2.104. 강우 정확도 평가 화면 442

그림 2.105. 미래 극한강우 예측정보시스템 개발진행 방안 443

그림 2.106. 메인화면 444

그림 2.107. 집계구 현황 화면 445

그림 2.108. 권역별 현황 화면 446

그림 2.109. 빈도별 / 지속시간별 비교그래프 화면 447

그림 2.110. 관측정보 제공 화면 448

그림 2.111. 예측정보 제공 화면 449

그림 2.112. 구글맵의 SAMPLE 코드 및 적용 결과 화면 472

그림 2.113. Fusion Chart 제공 컨텐츠 473

그림 2.114. 데이터를 XML형식으로 재구성 474

그림 2.115. Fusion Charts에서 호출 474

그림 2.116. 사용자가 지정한 그래프로 표현 474

그림 2.117. 스프링 아키텍쳐 요식도 476

그림 2.118. Mybatis 모식도 477

그림 2.119. Mysql Storage Engines 비교 477

그림 2.120. 단위 및 통합 테스트 수행절차 모식도 480

그림 3.1. SRES 시나리오(위)와 RCP... 484

그림 3.2. SREX 보고서 486

그림 3.3. 1979-2010 GPCP 데이터 기반 연평균 강우량의 전... 498

그림 3.4. 1961-2006년 동안의 여름 총 강우량(a)과 R92 (여름... 500

그림 3.5. 1986-2005년 평균값에 대한 동아시아 여름 몬순... 500

그림 3.6. 미래 기간(S1, S2, S3)의 홍수 취약성 평가 (이문환 등, 2010) 508

그림 3.7. 낙동강 유역 취약성 지도 (김환석 등, 2012) 510

그림 3.8. 강원도 기후변화에 의한 산불의 취약성평가... 511

그림 3.9. 분석 절차 (손태석 등, 2011) 512

그림 3.10.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위 증가로... 513

그림 3.11. EVI의 50년에서 500년 빈도 공간 분포... 516

그림 3.12. SRES A1시나리오 따른... 522

그림 3.13. SRES B1시나리오 따른... 522

그림 3.14. 2002년과 미래 시나리오에 따른 연간 예상 경제적... 524

그림 3.15. RCP 4.5 기반 연간 평균 수문학적... 525

그림 3.16. RCP 8.5 기반 연간 평균 수문학적... 525

그림 3.17. 홍수빈도의 변화에 대한 예측 (100year flood에 해당하는... 526

그림 3.18. 20세기 100-year flood에 대한 글로벌 홍수노출의 변화 526

그림 3.19.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표 배포 센터... 528

그림 3.20. 수집한 전구 시나리오의 동아시아 미래 강수 변화 528

그림 3.21. 5차 보고서에 참여한 전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수집할 수... 529

그림 3.22. 5차 보고서에 참여한 전구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현재... 532

그림 3.23. 모델 모의영역. 60km 해상도의 동아시아... 534

그림 3.24. 현재와 미래의 구간별 강수일수... 535

그림 3.25. (a) 현재와 미래의 태풍의 풍속 변화와 (b) 월별 태풍... 536

그림 3.26. (a) 현재와 (b) 미래의 적설량 537

그림 3.27. CORDEX 동아시아 실험 웹페이지... 539

그림 3.28. CORDEX 동아시아 모의 영역 540

그림 3.29. 관측과 5개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현재... 542

그림 3.30. 5개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연평균 강우량과... 543

그림 3.30. 5개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연평균 강우량과... 544

그림 3.31. 복합재해 통계기법 개발 개요 547

그림 3.32. 우리나라 자연재해 피해액 비율(1986년-2005년) 570

그림 3.33.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576

그림 3.34. Power tranformation 오차 보정 식(Teutschbein and... 578

그림 3.35. Bisection Method 비선형 방정식 해 풀이 579

그림 3.36. Variance scaling 오차 보정 식(Teutschbein and Seibert,... 579

그림 3.37. 종관기상관측 73개소 581

그림 3.38. Barnes objective analysis scheme(Barnes, 1964), r은... 582

그림 3.39. 73개 종관기상 관측자료(a)와 임의로 생산한 230개 시군구... 583

그림 3.40. 3시간 신적설 자료 산출 식(Byun et al., 2008) 584

그림 3.41. 모델 성능을 고려한 앙상블 기법... 589

그림 3.42. 앙상블 방법에 따른 Mean Square Skill Score... 589

그림 3.43. 해상도에 따른 적절한 풍속 탐지기준 (Walsh et al., 2007) 592

그림 3.44. 열대저기압(좌)과 중위도저기압(우)의 수평 및 연직 구조... 593

그림 3.45. 전구모델에서 탐지된 태풍 중 지역모델 내의 한반도 영향... 595

그림 3.46. 한반도 영향 태풍 및 동반 강수 추출 과정 596

그림 3.47. 한반도 영향 태풍 발생과 진로(좌측), 태풍동반 강수(우측) 597

그림 3.48. 관측 자료에서 한반도 영향 태풍 추출 과정 598

그림 3.49.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자료의 일부 599

그림 3.50. 2000년 7월 22일 호우 당시 일 강수(a), 일 최대 지면... 601

그림 3.51. RegCM historical 1982년 6월 3일 0시의 강수(왼쪽),... 602

그림 3.52. 현재 25년(1981~2005)동안 230개 시군구 지역에서 발생한... 605

그림 3.53. 2.5km 해상도(위쪽)와 50km 해상도(중간)의 25년... 610

그림 3.54. 2.5km 해상도 앙상블(위쪽), 50km 해상도 앙상블(중간),... 611

그림 3.55. 강우량 강도 확률 분포 함수 611

그림 3.56. 모델 앙상블 일 강수의 미래 변화율 613

그림 3.57. 모델 앙상블 일 신적설의 미래 변화율 614

그림 3.58. 모델 앙상블 일 지상 평균 기온의 미래 변화율 615

그림 3.59. 모델 앙상블 일 지상 최대 기온의 미래 변화율 616

그림 3.60. 모델 앙상블 일 지상 최저 기온의 미래 변화율 617

그림 3.61. 모델 앙상블 일 지면 평균 풍속의 미래 변화율 618

그림 3.62. 모델 앙상블 일 지면 최대 풍속의 미래 변화율 619

그림 3.63. 모델 앙상블 일 80mm 이상 강수일수(days_gt_80)의 미래... 623

그림 3.64. 모델 앙상블 연 누적 강수량(sum_pr)의 미래... 624

그림 3.65. 모델 앙상블 일 1mm 이상 평균 강수(pint)의 미래... 625

그림 3.66. 모델 앙상블 일 평균 신적설량(ave_nsnd)의 미래... 626

그림 3.67. 모델 앙상블 일 최대 신적설량(max_nsnd)의 미래... 627

그림 3.68. 모델 앙상블 연 누적 신적설량(sum_nsnd)의 미래... 628

그림 3.69. 모델 앙상블 5~7월 일 지면 평균 풍속(ave_wind_567)의... 629

그림 3.70. 모델 앙상블 14m / s 이상 일 지면 최대 풍속... 630

그림 3.71. 모델 앙상블 일 최대 풍속(max_wind)의 미래... 631

그림 3.72. 모델 앙상블 태풍 기간 강수일수(days_wetday)의 미래... 634

그림 3.73. 모델 앙상블 태풍 기간 일 1mm 이상 평균 강수(pint)의... 635

그림 3.74. 모델 앙상블 태풍 기간 일 최대강수량(max_pr)의 미래... 636

그림 3.75. 모델 앙상블 태풍 기간 연 누적 강수량(sum_pr)의 미래... 637

그림 3.76. 모델 앙상블 태풍 기간 14m / s 이상 일 지면 최대 풍속... 638

그림 3.77. 모델 앙상블 태풍 기간 일 평균 풍속(ave_wind)의 미래... 639

그림 3.78. 모델 앙상블 태풍 기간 일 최고 풍속(ave_wiiKi)의 미래... 640

그림 3.79. 모델 앙상블의 시범사업지역 강수량 기간 평균의 미래 변화율 643

그림 3.80. 모델 앙상블의 시범사업지역 신적설 기간 평균의 미래 변화율 644

그림 3.81. 모델 앙상블의 시범사업지역 지상 평균 기온 기간 평균의 미래 변화율 645

그림 3.82. 모델 앙상블의 시범사업지역 지상 최고 기온 기간 평균의 미래 변화율 646

그림 3.83. 모델 앙상블의 시범사업지역 지상 최저 기온 기간 평균의 미래 변화율 647

그림 3.84. 모델 앙상블의 시범사업지역 지면 평균 풍속 기간 평균의 미래 변화율 648

그림 3.85. 모델 앙상블의 시범사업지역 지면 최고 풍속 기간 평균의 미래 변화율 649

그림 3.86. 모델 앙상블의 시범사업지역 태풍 기간의... 657

그림 3.87. 모델 앙상블의 시범사업지역 태풍 기간의 일 1mm 이상... 657

그림 3.88. 모델 앙상블의 시범사업지역 태풍 기간의 최대... 658

그림 3.89. 모델 앙상블의 시범사업지역 태풍 기간의 누적... 658

그림 3.90. 모델 앙상블의 시범사업지역 태풍 기간의 지면 평균... 659

그림 3.91. 모델 앙상블의 시범사업지역 태풍 기간의 지면 최고... 659

그림 3.92. 홍수 피해금액과 강우량의 Growth Function (장옥재 외, 2009) 662

그림 3.93. 연도별(2005~2009), 지속시간별(1, 3, 6, 12시간)... 664

그림 3.94. 풍수해 재난에 대한 강우량(24시간 최대강우량)과... 664

그림 3.95. 피해액과 최대강우량의 관계식 665

그림 3.96. 풍속과 피해액의 상관관계 666

그림 3.97. 태풍 내습 유형별 우리나라 시군(149개)의 극한기후현상과... 667

그림 3.98. GE (Globla Economy)와 RC (Regional Community)... 672

그림 3.99. 2014년 재해연보에 나타난 기간별 피해원인 및 피해발생 시도 675

그림 3.100. 기간별-시군구별 피해현황 자료 예시(2014년 재해연보) 676

그림 3.101. 230개 시군구별 호우피해(1985년-2014년) 678

그림 3.102. 230개 시군구별 강풍피해(2005년-2014년) 679

그림 3.103. 기간별 폭설 피해 구성 비율 680

그림 3.104. 230개 시군구별 폭설(대설)피해(1985년-2014년) 681

그림 3.105. 230개 시군구별 호우-강풍(태풍) 피해(1985년-2014년) 682

그림 3.106. 230개 시군구별 폭설-강풍(폭풍설)... 683

그림 3.107. 단일 / 복합재해 미래 피해액 예측을 위한 분석 프로세스 685

그림 3.108. 1인당 호우피해액 히스토그램 688

그림 3.109. 1인당 태풍피해액 히스토그램 689

그림 3.110. 전반기 RCP 변화에 따른 인구 1인당 호우 피해증감율 695

그림 3.111. 중반기 RCP 변화에 따른 인구 1인당 호우 피해증감율 696

그림 3.112. 후반기 RCP 변화에 따른 인구 1인당 호우 피해증감율 697

그림 3.113. 전반기 RCP 변화에 따른 인구 1인당 호우 피해액증감 698

그림 3.114. 중반기 RCP 변화에 따른 인구 1인당 호우 피해액증감 699

그림 3.115. 후반기 RCP 변화에 따른 인구 1인당 호우 피해액증감 700

그림 3.116. 전반기 RCP 변화에 따른 인구 1인당 태풍 피해증감율 701

그림 3.117. 중반기 RCP 변화에 따른 인구 1인당 태풍 피해증감율 702

그림 3.118. 후반기 RCP 변화에 따른 인구 1인당 태풍 피해증감율 703

그림 3.119. 전반기 RCP 변화에 따른 인구 1인당 태풍 피해액 증감 704

그림 3.120. 중반기 RCP 변화에 따른 인구 1인당 태풍 피해액 증감 705

그림 3.121. 후반기 RCP 변화에 따른 인구 1인당 태풍 피해액 증감 706

그림 3.122. 시범사업지역의 30년(1985년-2014년)간 자연재해 총 피해액 707

그림 3.123. 시범사업지역의 재해유형별 피해 분포 708

그림 3.124. 호우로 인한 시범사업지역의 재산피해액(1985년-2014년) 709

그림 3.125. 강풍으로 인한 시범사업지역의 재산피해액(2005~2014년) 710

그림 3.126. 폭설로 인한 시범사업지역의 재산피해액(1985-2014년) 711

그림 3.127. 태풍으로 인한 시범사업지역의 재산피해액(1985-2014년) 712

그림 3.128. 폭풍설로 인한 시범사업지역의 재산피해액(1985-2004년) 713

그림 3.129. RCP 시나리오별 미래(2021-2100) 1인당 피해액 예측 결과(맨 왼쪽부터 기장군, 삼척시, 포천시, 해남군) 715

그림 4.1. 시사점 도출 740

그림 4.2. 방재역량 검토 기준선정 개요 741

그림 4.3. 방재역량지수 개념도 743

그림 4.4. 관측소 현황 746

그림 4.5. Z점수 편차(24시간) 752

그림 4.6. 복합재해 통계기법 개발 개요 754

그림 4.7. 복합재해 분석 기법 적용 절차 760

그림 4.8. 재현기간별·관측소별 분석(강우-강풍) 770

그림 4.9. 관측소별 재현기간별 편차 771

그림 4.10. 관측소별 재현기간별 변화율 772

그림 4.11. 재현기간별·관측소별 분석(적설-강풍) 779

그림 4.12. 관측소별 재현기간별 편차 780

그림 4.13. 관측소별 재현기간별 변화율 781

그림 4.14. 시사점 도출 782

그림 4.15.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하중도 산정 방법 784

그림 4.16. 빈도해석의 일반적 절차 785

그림 4.17. 기상관측소 위치 790

그림 4.18. 복합재해 분석 방법 및 절차 820

그림 4.19. 기본확률강우량의 행정구역별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44

그림 4.19. 기본확률강우량의 행정구역별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45

그림 4.20. 미래 목표기간별 확률강우량의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55

그림 4.20. 미래 목표기간별 확률강우량의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56

그림 4.21. 기본확률적설량의 행정구역별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58

그림 4.21. 기본확률적설량의 행정구역별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59

그림 4.22. 미래 목표기간별 확률적설량의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69

그림 4.22. 미래 목표기간별 확률적설량의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70

그림 4.23. 기본확률풍속량의 행정구역별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72

그림 4.23. 기본확률풍속량의 행정구역별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73

그림 4.24. 미래 목표기간별 확률풍속량의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83

그림 4.24. 미래 목표기간별 기본풍속량의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84

그림 4.25. 기본확률강우량의 행정구역별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86

그림 4.25. 기본확률강우량의 행정구역별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887

그림 4.26. 미래 목표기간별 복합확률강우량의 Zscore(지속시간 24시간... 897

그림 4.26. 미래 목표기간별 복합확률강우량의 Zscore(지속시간 24시간... 898

그림 4.27. 복합확률적설량의 행정구역별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901

그림 4.27. 복합확률적설량의 행정구역별 Zscore(지속시간 24시간 100년... 902

그림 4.28. 미래 목표기간별 복합확률적설량의 Zscore(지속시간 24시간... 909

그림 4.28. 미래 목표기간별 복합확률적설량의 Zscore(지속시간 24시간... 910

그림 4.29. 시범지역 대상지현황 913

그림 4.30. 죽성천 토양도 및 토지피복도 914

그림 4.31. EXECUTIVE 블록 916

그림 4.32. 도시유역 SWMM모형 구축방안 920

그림 4.33. 죽성천유역 위치 및 관로현황 921

그림 4.34. 죽성천유역 2차원 지형 구축현황 921

그림 4.35. 침수분석 결과(강우 RCP4.5, 전기) 922

그림 4.36. 침수분석 결과(강우 RCP4.5, 중기) 923

그림 4.37. 침수분석 결과(강우 RCP4.5, 장기) 924

그림 4.38. 침수분석 결과(강우 RCP8.5, 전기) 925

그림 4.39. 침수분석 결과(강우 RCP8.5, 중기) 926

그림 4.40. 침수분석 결과(강우 RCP8.5, 장기) 927

그림 4.41. 침수분석 결과(강풍우 RCP4.5, 전기) 928

그림 4.42. 침수분석 결과(강풍우 RCP4.5, 중기) 929

그림 4.43. 침수분석 결과(강풍우 RCP4.5, 장기 930

그림 4.44. 침수분석 결과(강풍우 RCP8.5, 전기) 931

그림 4.45. 침수분석 결과(강풍우 RCP8.5, 중기) 932

그림 4.46. 침수분석 결과(강풍우 RCP8.5, 장기) 933

그림 4.47. 철마천 HEC-RAS 모형구축 934

그림 4.48. 철마천 시나리오에 따른 수위변동 935

그림 4.49. 시설물 관리기준 개선 수립방안 941

그림 4.50. 강우 방재대책 방안 942

그림 4.51. 강풍 방재대책 방안 943

그림 4.52. 적설 방재대책 방안 944

그림 5.1. 국내 건축물 방재관련 법령 및 계획 950

그림 5.2. 일본 건축물 방재관련 법령 및 계획 951

그림 5.3. 미국 건축물 자연재해 방재관련 법령 및 계획 951

그림 5.4. 영국 건축물에 해당하는 기후변화 적응전략 952

그림 5.5. 건축물 유형별 피해 현황 954

그림 5.6. 재해유형별 건축물 피해율 955

그림 5.7. 적설하중 산정 플로어 차트 957

그림 5.8. 풍하중 산정 플로어 차트 - 주골조설계용 960

그림 5.9. 풍하중 산정 플로어 차트 - 외장재설계용 961

그림 5.10. 설문조사 항목 및 내용 963

그림 5.11. 연구의 흐름 972

그림 5.12. 특정관리대상시설등 관리체계도 977

그림 5.13. 지자체별 1, 2종 시설물(건축물) 분포 현황 979

그림 5.14. 지자체별 건축물 등급 분포 현황 980

그림 5.15. 건축물 종류별 1, 2종 시설물(건축물) 분포 현황 981

그림 5.16. 한국·미국·영국의 용도분류 비교 987

그림 5.17. 건축물 유형별 취약재해 991

그림 5.18. 건축물 유형분류(안) 992

그림 5.19. AHP를 통한 의사결정 절차 993

그림 5.20. 재해유형에 따른 주요 건축물별 중요도 계층구조 997

그림 5.21. 재해유형에 따른 건축물 피해저감 대책별 중요도 계층구조 997

그림 5.22. 재해유형별 중요도 999

그림 5.23. 연구의 흐름 1005

그림 5.24. 34개 상습재해지역 군집 1014

그림 5.25. 지역별 방재기준안 분석을 위한 절차 1027

그림 5.26. 연구 절차 1036

그림 5.27. 건축물 재해위험도 예측모델 개발 방법 1068

그림 5.28. 의사결정나무 형성과정 1069

그림 5.29. 재해연보 내 건축물 재해이력 1081

그림 5.30. 230개 시군구 지역 현황 1086

그림 5.31. 강우위험등급 1103

그림 5.32. 강풍위험등급 1103

그림 5.33. 적설위험등급 1103

그림 5.34. 강우-강풍위험등급 1103

그림 5.35. 건축물 방재기준 개선방안 도출 1116

그림 5.36. 건축물 방재기준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112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04328 363.3492 -17-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04329 363.3492 -17-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