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충북 생물다양성 전략 수립 : 충북 자연환경보전 실천계획 : 충북야생생물보호 세부계획. [1-2] / 충청북도 [편] 인기도
발행사항
청주 : 충청북도, 2017
청구기호
333.95 -17-1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책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43726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주)터알
연구책임자: 이현우
1권 부록: 1. 2011-2020년 생물다양성 전략계획과 아이치 타겟(세부목표) ; 2. 일반인 생물다양성 인식조사 설문지 ; 3. 충북 생물다양성 관리 현황 조사 외
참고문헌 수록
내용: [1]. 최종보고서 -- [2]. 요약보고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참여연구진

목차

제1장 서론 14

1. 연구 배경 및 목적 16

가. 연구 배경 16

나. 연구 목적 17

2. 연구 방법 18

가. 생물다양성 현황조사 및 분석 18

나. 해외 지방생물다양성전략 수립 사례 벤치마킹 18

다. 도민의 생물다양성 인식조사 18

라. 전문가 자문회의(작업반) 개최 18

제2장 생물다양성 현황 20

1. 자연환경 22

가. 일반현황 22

나. 자연현황 28

2. 생물다양성 현황 40

가. 조사 범위 40

나. 충청북도의 생물다양성 43

다. 시군, 읍면별 생물다양성 44

라. 서식처별 생물다양성 57

마. 관리대상종 현황 59

바. 주요 서식지별 생물자원 72

사.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생물상 분석 76

3. 생물다양성 보전 및 복원 현황 87

가. 생물다양성 관련 보호지역 현황 87

나. 생물다양성 관련 기관 98

다. 생물서식처 및 종 복원 현황 100

제3장 생물다양성 관련 계획 동향 106

1. 생물다양성 관련 계획 비교 108

가. 개요 108

나. 부문별 비교 결과 109

다. 시사점 121

제4장 생물다양성 도민 인식 124

1. 인식조사의 배경 126

가.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 126

나.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 현황 126

2. 인식조사의 설문항목 구성 128

가. 기존 인식조사 항목 분석 128

나. 충북 인식조사 항목 구성 130

3. 인식조사 방법 131

4. 인식조사 결과 133

가.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지도 133

나. 생물다양성에 대한 지식 136

다.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 및 태도 141

라. 생물다양성 관련 정책에 대한 인식 150

마. 생물다양성 교육기관의 필요성 154

제5장 충북 생물다양성 평가(CBI) 158

1. 생물다양성 평가지표 160

가. 연구의 배경 160

나. 도시생태계와 지표 160

2. 도시생물다양성지표(City Biodiversity Index, CBI) 162

가. 수립배경 162

나. 내용 및 특성 165

다. 지표의 의의 166

라. 적용과 결과보고 169

마. 국외 연구 및 적용사례 169

바. 국내 연구 및 적용사례 171

3. 충북 도시생물다양성지표 적용 176

가. CBI의 충북 시범적용 176

나. CBI 유형화 192

다. 시사점 193

제6장 충북 생물다양성 전략 196

1. 비전과 전략 198

가. 비전 198

나. 전략의 구성 198

다. 전략의 내용 198

2. 충북 생물다양성 전략 핵심 추진과제 200

가. 생물다양성 전략 추진을 위한 조직 및 네트워크 확립 200

나. 생물다양성 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체계 확립 200

다. 수요자 중심의 생물다양성 종합정보 구축 및 활용기반 확립 200

라. 충북 고유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노력 강화 201

마. 충북의 생물자원을 활용한 지역산업 육성 201

3. 전략별 실천과제 202

참고문헌 248

부록 254

[부록 1] 2011-2020년 생물다양성 전략계획과 아이치 타겟(세부목표) 256

[부록 2] 일반인 생물다양성 인식조사 설문지 258

[부록 3] 충북 생물다양성 관리 현황 조사 265

[부록 4] 충북 생물다양성 교육현황 조사 설문지 267

[부록 5] 시민단체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 현황 조사지 269

〈표 2-1〉 토지이용별(지목 재분류) 면적 23

〈표 2-2〉 토지피복 분류별 면적 25

〈표 2-3〉 시군별 인구 27

〈표 2-4〉 고도 통계 30

〈표 2-5〉 경사 통계 30

〈표 2-6〉 주요 산 33

〈표 2-7〉 주요 산맥 34

〈표 2-8〉 주요 분지 35

〈표 2-9〉 주요 하천 36

〈표 2-10〉 연도별 기온 및 강수량 38

〈표 2-11〉 주요 지역 기후 변화 (1971~2010) 39

〈표 2-12〉 생물다양성 현황 분석 자료 41

〈표 2-13〉 생물다양성 현황 DB 필드 목록 43

〈표 2-14〉 충청북도 생물종수 43

〈표 2-15〉 광역지자체 생물종수 비교 44

〈표 2-16〉 시군별 생물종수 45

〈표 2-17〉 읍면별 생물종수 46

〈표 2-18〉 분류군별 서식처로 설정한 토지피복 58

〈표 2-19〉 국내 관리대상종 목록 60

〈표 2-20〉 충청북도 보호야생동·식물 61

〈표 2-21〉 멸종위기 야생생물 62

〈표 2-22〉 시군별 멸종위기 야생생물 종수 63

〈표 2-23〉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종수 63

〈표 2-24〉 시군별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종수 64

〈표 2-25〉 생태계교란생물 64

〈표 2-26〉 시군별 생태계교란생물 종수 65

〈표 2-27〉 한국고유종수 65

〈표 2-28〉 시군별 한국고유종수 66

〈표 2-29〉 국가기후변화생물종 66

〈표 2-30〉 시군별 국가기후변화생물종 종수 67

〈표 2-31〉 지역적색목록의 범주와 평가기준 68

〈표 2-32〉 국가적색목록 위급(CR), 위기(EN), 취약(VU) 범주 69

〈표 2-33〉 시군별 국가적색목록(위급(CR), 위기(EN), 취약(VU) 범주) 종수 70

〈표 2-34〉 천연기념물 71

〈표 2-35〉 시군별 천연기념물 종수 71

〈표 2-36〉 충청북도 국립공원 생물종 72

〈표 2-37〉 충청북도 주요습지 생물종 74

〈표 2-38〉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어류상 분석 대상 자료 76

〈표 2-39〉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어류상 조사결과 77

〈표 2-40〉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수서곤충상 분석 대상 자료 79

〈표 2-41〉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수서곤충상 조사결과 80

〈표 2-42〉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조류상 분석 대상 자료 82

〈표 2-43〉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조류상 조사결과 83

〈표 2-44〉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양서파충류상 분석 대상 자료 85

〈표 2-45〉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양서파충류상 조사결과 86

〈표 2-46〉 국내 생물다양성 관련 보호지역 현황 87

〈표 2-47〉 백두대간보호지역 현황 88

〈표 2-48〉 국립공원 현황 89

〈표 2-49〉 시군별 국립공원 면적 89

〈표 2-50〉 충청북도 야생생물보호구역 현황 (2016.6 기준) 91

〈표 2-51〉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2015년 기준) 92

〈표 2-52〉 충청북도의 천연기념물 94

〈표 2-53〉 충청북도 명승 목록 95

〈표 2-54〉 충북 생물다양성 관련 보호지역 지정현황 종합 95

〈표 2-55〉 시군별 생물다양성 관련 보호지역 지정현황 종합 96

〈표 2-56〉 충청북도 상수원보호구역 지정현황 96

〈표 2-57〉 충청북도 수변구역 지정현황 97

〈표 2-58〉 충청북도 특별대책지역 지정현황 97

〈표 2-59〉 충청북도 서식지 외 보전기관 현황 99

〈표 2-60〉 국립공원 내 동식물 복원장기계획 동식물 100

〈표 2-61〉 월악산 산양 복원 연구성과 101

〈표 2-62〉 생태통로 현황 101

〈표 3-1〉 생물다양성 관련 계획 비교를 위한 부문 구분 108

〈표 3-2〉 국가 및 지역의 생물다양성 관련 계획 비교 116

〈표 4-1〉 지자체별 인식조사 항목 비교 129

〈표 4-2〉 조사 개요 131

〈표 4-3〉 응답자 특성 132

〈표 4-4〉 생물다양성의 의미 134

〈표 4-5〉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얻는 자원과 생물다양성의 연관성 136

〈표 4-6〉 생물다양성의 무한함 137

〈표 4-7〉 생물다양성 보전의 목적 138

〈표 4-8〉 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한 모기, 파리 등의 생물 박멸의 필요성 139

〈표 4-9〉 주변 생물의 개체 수 감소/멸종에 대한 고민 141

〈표 4-10〉 생물자원 이용과 생물다양성 보전의 양립 가능성 142

〈표 4-11〉 환경이나 생물종에 대한 다큐멘터리에 대한 관심 144

〈표 4-12〉 주변 사람들에게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해 홍보 148

〈표 4-13〉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활동 참여 의향 149

〈표 4-14〉 충북의 생물다양성 전략 수립의 필요성 151

〈표 4-15〉 생물다양성 교육전담기관의 필요성 155

〈표 4-16〉 생물다양성 교육기관의 설립 주체 156

〈표 5-1〉 국제지표체계의 비교(CBI, URBIO Index, EPI) 161

〈표 5-2〉 Decision X/22. Plan of Action on Subnational Governments, Cities and... 163

〈표 5-3〉 CBI 적용 도시 리스트 164

〈표 5-4〉 CBI 지표 및 계산방법 165

〈표 5-5〉 생물다양성협약 의제와 아이치 생물다양성목표 연계성 167

〈표 5-6〉 일본 주요 도시들의 CBI 평가결과 170

〈표 5-7〉 지표 선정기준(SI-JV 연구내용 재구성) 171

〈표 5-8〉 SI-JV 지표 및 계산방법 171

〈표 5-9〉 광역시 및 대표도시 평가 결과 172

〈표 5-10〉 CBI의 국내도시 적용 방안 173

〈표 5-11〉 안산형 CBI 평가기준 174

〈표 5-12〉 자연지역 비율 176

〈표 5-13〉 생태네트워크 연결성 177

〈표 5-14〉 시가화 지역 조류 종수 178

〈표 5-15〉 생물종수(관속식물, 조류, 나비, 양서류, 어류) 179

〈표 5-16〉 보호지역 비율 180

〈표 5-17〉 외래유해종 181

〈표 5-18〉 투수지역 비율 181

〈표 5-19〉 수관면적 비율 182

〈표 5-20〉 인구당 공원과 보호지역 183

〈표 5-21〉 청소년의 자연지역 방문 횟수 184

〈표 5-22〉 생물다양성 관련 지출액비율 185

〈표 5-23〉 생물다양성 관련 프로젝트 186

〈표 5-24〉 생물다양성 기능 및 협력기구 188

〈표 5-25〉 청풍명월21 사업 내역 189

〈표 5-26〉 충북지역 CBI 평가 결과 190

〈표 5-27〉 아이치 목표와 현황 파악 194

〈그림 2-1〉 충청북도 위치 22

〈그림 2-2〉 토지이용별(지목 재분류) 면적비율 24

〈그림 2-3〉 토지피복 면적비율 24

〈그림 2-4〉 토지피복도 26

〈그림 2-5〉 시군별 인구 28

〈그림 2-6〉 지형 개관 29

〈그림 2-7〉 고도 31

〈그림 2-8〉 경사도 32

〈그림 2-9〉 주요 산과 산맥 34

〈그림 2-10〉 주요 하천과 유역 37

〈그림 2-11〉 연도별 평균기온과 강수량 38

〈그림 2-12〉 생물다양성 현황 DB 공간자료 예시 42

〈그림 2-13〉 시군별 식물 종수 49

〈그림 2-14〉 읍면별 식물 종수 49

〈그림 2-15〉 시군별 포유류 종수 50

〈그림 2-16〉 읍면별 포유류 종수 50

〈그림 2-17〉 시군별 조류 종수 51

〈그림 2-18〉 읍면별 조류 종수 51

〈그림 2-19〉 시군별 양서파충류 종수 53

〈그림 2-20〉 읍면별 양서파충류 종수 53

〈그림 2-21〉 시군별 담수어류 종수 54

〈그림 2-22〉 읍면별 담수어류 종수 54

〈그림 2-23〉 시군별 기타무척추동물 종수 55

〈그림 2-24〉 읍면별 기타무척추동물 종수 55

〈그림 2-25〉 시군별 곤충 종수 56

〈그림 2-26〉 읍면별 곤충 종수 56

〈그림 2-27〉 서식처단위 작성과정 57

〈그림 2-28〉 포유류 서식처별 생물다양성 58

〈그림 2-29〉 포유류 서식처별 생물다양성(부분) 59

〈그림 2-30〉 주요습지 75

〈그림 2-31〉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어류상 조사지점 77

〈그림 2-32〉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수서곤충상 조사지점 79

〈그림 2-33〉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조류상 조사지점 82

〈그림 2-34〉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양서파충류상 조사지점 85

〈그림 2-35〉 백두대간보호구역과 국립공원 90

〈그림 2-36〉 충청북도 보호지역 종합 98

〈그림 2-37〉 충북 야생동물센터 99

〈그림 2-38〉 이화령 생태통로 설치 전후 103

〈그림 2-39〉 원흥이 두꺼비 생태공원 104

〈그림 4-1〉 세계 16개국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 127

〈그림 4-2〉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의 추세 127

〈그림 4-3〉 생물다양성 인지도 133

〈그림 4-4〉 생물다양성 세부 인지도 134

〈그림 4-5〉 생물다양성을 접하게 된 경로 135

〈그림 4-6〉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얻는 자원과 생물다양성 연관성 136

〈그림 4-7〉 생물다양성의 무한함 137

〈그림 4-8〉 생물다양성 보전의 목적 138

〈그림 4-9〉 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한 모기, 파리 등의 생물 박멸의 필요성 139

〈그림 4-10〉 가정의 에너지 절약과 생물다양성 보전의 관계 140

〈그림 4-11〉 가정의 에너지 절약과 생물다양성 보전의 관계 140

〈그림 4-12〉 주변 생물의 개체 수 감소/멸종에 대한 고민 141

〈그림 4-13〉 생물자원 이용과 생물다양성 보전의 양립 가능성 142

〈그림 4-14〉 아이들과 미래 세대를 위한 유산으로써의 생물다양성 143

〈그림 4-15〉 환경이나 생물종에 대한 다큐멘터리에 대한 관심 143

〈그림 4-16〉 생물종 보존과 비교한 경제 개발의 중요성 145

〈그림 4-17〉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향후 노력의 필요성 145

〈그림 4-18〉 생물다양성을 위한 주거, 공장, 도로용 토지 사용 축소 146

〈그림 4-19〉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감 146

〈그림 4-20〉 야외 활동 시 자연보호지역 출입 자제 147

〈그림 4-21〉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과 식물로 가공한 상품 비구매 147

〈그림 4-22〉 주변 사람들에게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해 홍보 148

〈그림 4-23〉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활동 참여 의향 149

〈그림 4-24〉 국가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사업 추진에 대한 인지 150

〈그림 4-25〉 국가의 정책이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하는 정도 150

〈그림 4-26〉 충북의 생물다양성 전략 수립의 필요성 151

〈그림 4-27〉 소득 증대와 생물다양성 보전 정책의 비중(1/2) 152

〈그림 4-28〉 소득 증대와 생물다양성 보전 정책의 비중(2/2) 152

〈그림 4-29〉 충북을 대표할 수 있는 생물종 153

〈그림 4-30〉 충북을 대표할 수 있는 생물종의 지역별 순위 154

〈그림 4-31〉 생물다양성 교육전담기관의 필요성 154

〈그림 4-32〉 생물다양성 교육기관이 담당해야할 주요 기능 155

〈그림 4-33〉 생물다양성 교육기관의 설립 주체 156

〈그림 5-1〉 세계 주요도시들의 CBI 적용 현황 162

〈그림 5-2〉 생물다양성협약 내 의제 및 작업프로그램 흐름도 168

〈그림 5-3〉 자연지역 176

〈그림 5-4〉 생태네트워크 연결성 예시 177

〈그림 5-5〉 시가화지역 178

〈그림 5-6〉 보호지역 180

〈그림 5-7〉 투수지역 182

〈그림 5-8〉 수관면적 183

〈그림 5-9〉 공원과 보호지역 184

〈그림 5-10〉 생물다양성 관련 예산비율 186

〈그림 5-11〉 생물다양성 관련 프로젝트 187

〈그림 5-12〉 충북지역 CBI 평가 결과 191

〈그림 5-13〉 CBI 평가결과 유형분류 192

〈그림 5-14〉 충북지역 CBI 평가결과 유형 분류 193

〈그림 6-1〉 충북 생물다양성 전략의 비전과 전략 구성 199

〈그림 6-2〉 충북 생물다양성전략 핵심 추진과제 201

표제지

제출문

참여연구진

목차

제1장 서론 282

1. 연구 배경 및 목적 282

가. 연구 배경 282

나. 연구 목적 283

2. 연구 방법 284

가. 생물다양성 현황조사 및 분석 284

나. 해외 지방생물다양성전략 수립 사례 벤치마킹 284

다. 도민의 생물다양성 인식조사 284

라. 전문가 자문회의(작업반) 개최 284

제2장 생물다양성 현황 285

1. 자연환경 285

가. 일반현황 285

나. 자연현황 285

2. 생물다양성 현황 286

가. 조사 범위 286

나. 충청북도의 생물다양성 287

다. 시군, 읍면별 생물다양성 287

라. 서식처별 생물다양성 289

마. 관리대상종 현황 290

바. 주요 서식지별 생물자원 292

사.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생물상 분석 293

3. 생물다양성 보전 및 복원 현황 296

가. 생물다양성 관련 보호지역 현황 296

나. 생물다양성 관련 기관 300

다. 생물서식처 및 종 복원 현황 301

제3장 생물다양성 관련 계획 동향 302

1. 생물다양성 관련 계획 비교 302

가. 개요 302

나. 부문별 비교 결과 303

다. 시사점 308

제4장 생물다양성 도민 인식 310

1. 인식조사의 배경 310

2. 인식조사의 설문항목 구성 311

3. 인식조사 방법 312

4. 인식조사 결과 313

가.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지도 313

나. 생물다양성에 대한 지식 314

다.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 및 태도 315

라. 생물다양성 관련 정책에 대한 인식 318

마. 생물다양성 교육기관의 필요성 320

제5장 충북 생물다양성 평가(CBI) 321

1. 생물다양성 평가지표 321

2. 도시생물다양성지표(City Biodiversity Index, CBI) 321

가. 수립배경 321

나. 내용 및 특성 321

다. 국내 연구 및 적용사례 323

3. 충북 도시생물다양성지표 적용 323

가. CBI의 충북 시범적용 323

나. CBI 유형화 332

다. 시사점 333

제6장 충북 생물다양성 전략 335

1. 비전과 전략 335

가. 비전 335

나. 전략 335

2. 충북 생물다양성 전략 핵심 추진과제 336

가. 생물다양성 전략 추진을 위한 조직 및 네트워크 확립 336

나. 생물다양성 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체계 확립 336

다. 수요자 중심의 생물다양성 종합정보 구축 및 활용기반 확립 336

라. 충북 고유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노력 강화 337

마. 충북의 생물자원을 활용한 지역산업 육성 337

3. 전략별 실천과제 338

〈표 2-1〉 충청북도 생물종수 287

〈표 2-2〉 광역지자체 생물종수 비교 287

〈표 2-3〉 시군별 생물종수 288

〈표 2-4〉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어류상 분석 대상 자료 293

〈표 2-5〉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수서곤충상 분석 대상 자료 294

〈표 2-6〉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조류상 분석 대상 자료 295

〈표 2-7〉 문장대 온천개발 영향범위 내 양서파충류상 분석 대상 자료 295

〈표 2-8〉 백두대간보호지역 현황 296

〈표 2-9〉 시군별 국립공원 면적 297

〈표 2-10〉 충청북도 야생생물보호구역 현황 (2016.6 기준) 297

〈표 2-11〉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2015년 기준) 298

〈표 2-12〉 충청북도의 천연기념물 298

〈표 2-13〉 충청북도 명승 299

〈표 2-14〉 충북 생물다양성 관련 보호지역 지정현황 종합 299

〈표 2-15〉 시군별 생물다양성 관련 보호지역 지정현황 종합 300

〈표 2-16〉 기타 보호지역 현황 300

〈표 2-17〉 생태통로 현황 301

〈표 3-1〉 생물다양성 관련 계획 비교를 위한 부문 구분 302

〈표 3-2〉 국가 및 지역의 생물다양성 관련 계획 비교 303

〈표 4-1〉 조사 개요 312

〈표 4-2〉 응답자 특성 312

〈표 5-1〉 CBI 지표 및 계산방법 322

〈표 5-2〉 자연지역 비율 323

〈표 5-3〉 생태네트워크 연결성 324

〈표 5-4〉 시가화 지역 조류 종수 324

〈표 5-5〉 생물종수(관속식물, 조류, 나비, 양서류, 어류) 325

〈표 5-6〉 보호지역 비율 325

〈표 5-7〉 외래유해종 326

〈표 5-8〉 투수지역 비율 326

〈표 5-9〉 수관면적 비율 327

〈표 5-10〉 인구당 공원과 보호지역 327

〈표 5-11〉 청소년의 자연지역 방문 횟수 328

〈표 5-12〉 생물다양성 관련 지출액비율 328

〈표 5-13〉 생물다양성 관련 프로젝트 329

〈표 5-14〉 생물다양성 기능 및 협력기구 330

〈표 5-15〉 충북지역 CBI 평가 결과 331

〈표 5-16〉 아이치 목표와 현황 파악 334

〈그림 4-1〉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의 추세 310

〈그림 4-2〉 생물다양성 인지도 313

〈그림 4-3〉 생물다양성 세부 인지도 313

〈그림 4-4〉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얻는 자원과 생물다양성 연관성 314

〈그림 4-5〉 생물다양성 보전의 목적 314

〈그림 4-6〉 주변 생물의 개체 수 감소/멸종에 대한 고민 315

〈그림 4-7〉 생물자원 이용과 생물다양성 보전의 양립 가능성 315

〈그림 4-8〉 아이들과 미래 세대를 위한 유산으로써의 생물다양성 316

〈그림 4-9〉 생물종 보존과 비교한 경제 개발의 중요성 316

〈그림 4-10〉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향후 노력의 필요성 317

〈그림 4-11〉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활동 참여 의향 317

〈그림 4-12〉 국가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사업 추진에 대한 인지 318

〈그림 4-13〉 국가의 정책이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하는 정도 318

〈그림 4-14〉 충북의 생물다양성 전략 수립의 필요성 319

〈그림 4-15〉 충북을 대표할 수 있는 생물종 319

〈그림 4-16〉 충북을 대표할 수 있는 생물종의 지역별 순위 320

〈그림 4-17〉 생물다양성 교육전담기관의 필요성 320

〈그림 5-1〉 충북지역 CBI 평가 결과 332

〈그림 5-2〉 CBI 평가결과 유형분류 332

〈그림 5-3〉 충북지역 CBI 평가결과... 333

〈그림 6-1〉 충북 생물다양성 전략의 비전과 전략 구성 335

〈그림 6-2〉 충북 생물다양성전략 핵심 추진과제 33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03061 333.95 -17-17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03062 333.95 -17-17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03063 333.95 -17-17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03064 333.95 -17-17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