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한국 근현대 공예사료 연구 [전자자료]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전통문화학교 부설 산학협력단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kcdf), 2010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191
제어번호
MONO1201743816
주기사항
책임연구원: 최종호, 연구원: 천진기, 박성연, 양정윤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Ⅰ. 개요 13

1. 연구목적 13

2. 연구의 기본 방향 13

3. 근현대 공예사료의 연구과제 14

Ⅱ. 과제별 연구성과 16

1. 한국공예유산의 아카이브 추진을 위한 점검과 정보화의 추세 16

가. 한국공예유산 16

(1) 공예품 16

(2) 산업공예품과 수공예품 16

나. 한국 근현대 공예사료 17

(1) 한성미술품제작소(1908~1910)와 이왕직 미술품 제작소(1911~1922) 17

(2) 선전 공예부 18

(3) 광복기의 공예 18

(4) 1960년대의 공예 18

(5) 한국공예의 위상 19

다. 한국 근현대 공예의 개념과 범위 19

(1) 전통공예의 개념과 범위 19

(2) 전통공예의 정의 19

(3) 문화원형으로서 전통공예 20

(4) 산업화 대상으로서 전통공예 20

(5) 전통공예의 구성요소 20

(6) 전통공예 관련 무형문화재 현황 22

(7) 대한민국 명장 등재 현황 24

라. 공예유산의 정보화와 국제적 동향 25

(1) 무형문화유산의 정의와 동 협약의 목적 25

(2) 무형문화유산의 범위와 보호 25

(3) 무형문화유산의 정보화 25

(4) 지역 무형문화유산의 수집과 보존, 정리, 활용을 위한 DB 분류항목 26

(5) 박물관정보관리협회(MDA)의 데이터 스탠다드 (Data Standard) 27

(6) 데이터 스탠다드가 포함된 박물관자료 기록 목록 카드 29

(7) 박물관자료의 분류와 정리 30

(8) 박물관자료의 정보관리 방안 31

(9) 지역의 무형문화유산 정보관리 방안 31

(10)『아프리카 수장품을 정보관리하는 데이터 스탠더드 핸드북』 32

(11) 물품 아이디를 활용한 공예품 아이디 38

(12) 무형문화유산 네트워킹 방안 41

(13) 무형문화유산의 지적재산권과 저작권 보호 42

2. 한국 근현대 공예사료 고문헌과 공예유산의 콘텐츠 분류 46

가. 공예사료 고문헌 수집분류 46

(1) 『경국대전』의 『공전(工典)』 46

(2) 『경국대전』에 나타난 공장의 현황 46

나. 전통공예품의 유통과 관련산업 49

(1) 전통공예품의 유통 49

(2) 생산물의 유형과 관련 산업분류 52

3. 한국공예유산의 아카이브를 위한 문화통계 기본틀 56

가. UNESCO의 문화통계 기본틀: FCS 56

(1) 문화통계의 접근 방식 56

(2) 문화통계 목적의 정의 56

(3) 문화통계 기본틀: FCS는 통계적 목적을 위해 경제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 56

나. 공예문화의 주기 57

(1) 창조(Creation) 57

(2) 생산(Production) 57

(3) 유통(Dissemination) 57

(4) 전시/반응/계승(Exhibition/Reception/Transmission) 57

(5) 소비/참가(Consumption/Participation) 57

다. 캐나다 문화통계 기본틀 59

(1) 캐나다 문화통계 기본틀: CFCS 59

(2) 공예품 생산과 소비의 연관관계 60

(3) 문화통계와 정책 간의 연관관계 61

(4) 공예산업 연관관계의 기본틀 62

라. 문화통계 기본들의 문화영역과 관련영역들 63

4. 한국공예유산의 아카이브 구축과 운영을 위한 사례연구 64

가. 국립중앙박물관 표준유물관리시스템 64

(1) 표준유물관리시스템의 개발과 분류체계 64

(2) 표준유물관리시스템의 항목 64

나. 문화재청 일반동산문화재의 분류와 범위 66

(1) 일반동산문화재의 분류체계 (문화재보호법 제82조 관련) 66

(2) 일반동산문화재의 범위 (문화재보호법 제82조 관련) 67

다. 국립민속박물관의 민속아카이브 시스템 73

(1) 민속아카이브 시스템 개발 73

(2) 민속아카이브 서비스 홈페이지 73

(3) 민속아카이브 관리자 홈페이지 75

(4) 민속아카이브 관리자 홈페이지의 민속아카이브 항목 75

라. 국립민속박물관의 살림살이 조사 개요 81

(1) 살림살이 조사의 개념 81

(2) 살림살이 조사의 목적 82

(3) 살림살이 조사의 현황 82

(4) 살림살이 조사 항목 83

(5) 살림살이 조사 방법 87

5. 한국공예유산의 아카이브구축과 아카이빙 시스템의 기본틀 89

가. 한국공예유산 아카이브의 데이터 표준화와 카테고리 특성화 89

(1) 한국공예유산 아카이브의 데이터 표준화 방안 89

(2) 한국공예유산 아카이브의 데이터 카테고리 특성화 방안 90

나. 한국공예유산의 분야별 아카이빙 시스템의 기본틀 90

(1) 염색 90

(2) 한지(잿물한지) 91

(3) 옻칠 92

(4) 나전칠기 93

(5) 화각 94

(6) 화살 95

(7) 놋그릇(유기) 95

(8) 대장간 96

(9) 장도 97

(10) 옹기 97

(11) 기와 98

(12) 북과 장구(가죽다루기) 99

(13) 붓 100

(14) 벼루 101

(15) 수레 102

(16) 한지발 103

(17) 청동종 104

(18) 가마솥 106

(19) 자물쇠 107

(20) 금속상감 108

(21) 나무상감 109

(22) 가야금과 거문고 110

(23) 배무이(조선) 111

(24) 갓 111

(25) 마미체 112

6. 한국공예유산의 아카이브 구축과 정보관리 매뉴얼 개발 115

가. 한국공예유산 아카이브를 위한 접근 방법 115

(1) 장인론 115

(2) 공구ㆍ기술론 115

(3) 재료론 116

(4) 작품론 116

(5) 인증론 116

(6) 조사방법론 116

(7) 공예사료 116

나. 한국공예유산 아카이브를 위한 조사방법론 117

(1) 공예작가 및 관련 제보자 선정 117

(2) 조사기간 및 조사일시의 선정 117

(3) 공예 작가 및 제보자 인터뷰 117

(4) 조사자의 자세 117

(5) 사진 및 동영상 촬영 117

(6) 실측 118

다. 한국공예유산 아카이브의 정보관리 매뉴얼 개발 118

(1) 공예작가 118

(2) 공구ㆍ기술 121

(3) 공예재료 125

(4) 공예작품 129

(5) 인증 134

(6) 사진ㆍ동영상ㆍ음원 135

(7) 고문헌 140

(8) 신문ㆍ잡지ㆍ보고서 등 143

(9) 조사기록카드의 예시 147

Ⅲ. 향후 추진해야 할 과제 156

1. 공예유산의 원형콘텐츠와 글로컬 디자인 활용 모색 156

가. 한국공예유산의 원형콘텐츠 발굴과 데이터 베이스 구축 156

나. 한국공예유산의 글로컬 디자인 활용방안 156

2. 한국 근현대 공예사료 고문헌 연구와 정보화 추진사업 156

가. 한국 근현대 공예사료 고문헌 연구 동향 156

나. 한국 근현대 공예사료의 정보화 추진방안 157

(1) 한국 근현대 공예유산 정보화 복합센터의 정보화 사업 추진 158

(2) 기록화 사업의 진행단계는 업무추진별로 크게 3단계로 구분 159

Ⅳ. 참고문헌ㆍ웹사이트 163

1. 참고문헌 163

2. 웹사이트 166

Ⅴ. 부록 168

1. 중소기업청의 민속공예품 제도 168

가. 민속공예품 품질인증제도 운영 168

나. 전국공예품대전 개최 169

2. 문화재청 중요무형문화재 제도 170

가. 중요무형문화재 보전전승제도 개선 170

나. 무형문화재의 관광상품화 추진 170

다. 중요무형문화재 전시ㆍ공연 확대 170

라.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 분야 현황(2009.4.1현재) 170

마. 시ㆍ도 지정 무형문화재 공예기술 보유자 현황 (2009.3.31 현재) 181

판권기 191

표 Ⅱ-1. 공예품과 민예품의 품목 비교표 17

표 Ⅱ-2.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 종목별 세부현황 (2009.12.31 기준) 22

표 Ⅱ-3.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 보유자 및 전수교육조교 연령분포 (2009.12.31 기준) 23

표 Ⅱ-4. 시ㆍ도지정 무형문화재 지역별 공예기술 현황 (2009.12.31 기준) 23

표 Ⅱ-5.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 지정 현황 23

표 Ⅱ-6. 대한민국 명장 등재 전통공예 산업인력 현황 24

표 Ⅱ-7. 박물관정보관리협회(MDA)의 데이터 스탠다드 (Data Standard) 28

표 Ⅱ-8. 박물관자료 기록 목록 카드 30

표 Ⅱ-9. 아프리콤의 '인문학 분야의 최소 데이터 리스트' 32

표 Ⅱ-10. 아프리콤의 '인문학 분야 데이터 스탠더드' 예시 37

표 Ⅱ-11. Object ID Checklist/물품 아이디 체크리스트 40

표 Ⅱ-12. 공예품 아이디 체크리스트/Craft ID Checklist 41

표 Ⅱ-13. 경국대전의 경공장과 외공장 유형 47

표 Ⅱ-14. 중요무형문화재 중 전통산업 관련 문화재 48

표 Ⅱ-15. 19세기 시전 및 포사 유형 및 취급 물품 49

표 Ⅱ-16/표 Ⅱ-17. 일반동산문화재의 분류 67

표 Ⅱ-17. 공예가 조사항목과 조사표 121

표 Ⅱ-18. 공예 공구ㆍ기술 조사항목과 조사표 125

표 Ⅱ-19. 공예 재료와 조사항목과 조사표 128

표 Ⅱ-20. 공예품 조사항목과 조사표 133

표 Ⅱ-21. 공예인증을 위한 조사항목과 조사표 135

표 Ⅱ-22. 사진ㆍ동영상ㆍ음원 조사항목과 조사표 140

표 Ⅱ-23. 공예관련 고문헌의 조사항목과 조사표 143

표 Ⅱ-24. 신문ㆍ잡지ㆍ보고서 공예정보 조사항목과 조사표 146

표 Ⅱ-25. 공예가 조사기록카드 항목과 조사표 147

표 Ⅱ-26. 공예공구ㆍ기술 조사기록카드 항목과 조사표 148

표 Ⅱ-27. 공예재료정보 조사기록카드 항목과 조사표 149

표 Ⅱ-28. 공예작품정보 조사기록카드 항목과 조사표 150

표 Ⅱ-29. 공예 인증서 151

표 Ⅱ-30. 신문ㆍ잡지ㆍ보고서 공예정보 조사기록카드 항목과 조사표 152

표 Ⅱ-31. 공예분야 고문헌정보 조사기록카드 항목과 조사표 153

표 Ⅱ-32. 신문ㆍ잡지ㆍ보고서 공예정보 조사기록카드 항목과 조사표 154

표 Ⅲ-1. 공예산업 활성화와 관련된 연구서 157

표 Ⅴ-1. 민속공예품 품질인증대상 품목 169

그림 Ⅱ-1. 공예품의 속성에 따른 분류 21

그림 Ⅱ-2. 공예문화의 주기 58

그림 Ⅱ-3. 캐나다 문화통계 기본틀 59

그림 Ⅱ-4. 공예품 생산과 소비의 연관관계 60

그림 Ⅱ-5. 문화통계 기본틀과 공예정책 61

그림 Ⅱ-6. 공예산업에 적용된 연관관계의 기본틀 62

그림 Ⅱ-7. 문화통계 기본틀의 문화영역과 관련영역들 63

그림 Ⅱ-8.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아카이브 홈페이지 74

그림 Ⅱ-9. 국립민속박물관 살림살이 조사 세부공간별 목록 83

그림 Ⅱ-10. 국립민속박물관 살림살이 조사 최종정보 페이지 84

그림 Ⅱ-11. 공예학 삼론 115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