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통계-역학 융합방식의 미세먼지 예보기법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PM10 episode forecast technique in statistics-dynamics hybrid system : 최종보고서. 3 [전자자료] / 국립환경과학원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환경과학원,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NIER-SP ; 2016-245
면수
151
제어번호
MONO1201753543
주기사항
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연구책임자: 허창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출문 3

요약문 4

Ⅰ. 서론 20

1. 연구의 배경 20

2. 연구의 목적 22

Ⅱ. 연구내용 및 방법 24

1. 과업의 범위 24

2. 연구추진체계 25

3. 자료 조사 및 분석 방법 26

가. 대표 기상패턴을 고려한 통계-역학 하이브리드 예측 시스템 개선 26

나. 예보권역별 고농도 군집분석 및 예보기법 확대 적용 28

다. 권역별 웹 기반 미세먼지 예보확정 지원 모듈개발 30

라. 연구성과 활용 31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33

1. 대표 기상패턴을 고려한 통계-역학 하이브리드 예측 시스템 개선 33

가. 4개 등급을 2개 등급(나쁨 미만과 이상)으로 구분하는 등 정확도 향상 방안 모색 33

나. 자료생산기간별 계절별 특성 고려 방안 모색 49

다. 지역규모의 예측인자 적용 방안 모색 64

2. 예보권역별 고농도 군집분석 및 예보기법 확대 적용 91

가. 전국단위로 예측범위를 확장 91

나. 권역별 특성 분석을 위한 기상장 등 관측 자료 추가 분석 93

다. 권역별 고농도 사례에 대한 군집 분석 108

라. 권역별 고농도 및 지속기간에 대한 예측성 평가 132

3. 권역별 웹 기반 미세먼지 예보확정 지원 모듈개발 139

가. 권역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139

나. 예보관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예측 및 분석 결과 제공 140

Ⅳ. 결론 및 세부수행계획상 목표 달성 141

1. 결론 141

가. 대표 기상패턴을 고려한 통계-역학 하이브리드 예측 시스템 개선 141

나. 예보권역별 고농도 군집분석 및 예보기법 확대 적용 143

다. 권역별 웹 기반 미세먼지 예보확정 지원 모듈개발 145

2. 세부수행계획상 목표 달성 146

Ⅴ. 기대성과 및 향후 계획 147

1.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147

2. 향후 계획 148

Ⅵ. 참고문헌 149

Table 1-1. 이틀 전, 하루 전, 당일의 500 hPa 지오퍼텐셜 고도, 850 hPa 온도, 1000 hPa 지오퍼텐셜 고도의 아노말리 패턴들에 해당하는 각 코사인 유사도들과 하루 전... 35

Table 1-2. Table 1-1과 같되 예측 기간 동안 관측한 PM10 농도를 70 μg/㎥ 이하, 70초과 80 μg/㎥ 이하, 80 초과 90 μg/㎥ 이하, 90 μg/㎥ 초과로 나누어 해당 사례들에... 36

Table 1-3. 신경망 모델의 훈련 자료에서 L1 타입 저농도 사례를 제외한 결과 51

Table 1-4. 신경망 모델의 훈련 자료에서 고농도 사례 시작일을 제외한 결과 51

Table 1-5. 신경망 모델의 훈련 자료에서 L1 타입 저농도 사례와 고농도 사례 시작일을 제외한 결과 52

Table 1-6. 중국 지역별 평균 PM10 농도와 서울 PM10 농도 사이의 계절별 상관 계수 55

Table 1-7. 신경망 모델에 입력 자료로 중국 PM10 농도 아노말리 패턴의 코사인 유사도 대신 R5 지역 PM10 농도를 넣었을 때의 겨울 예측 결과 55

Table 1-8. 이틀 전, 하루 전, 당일의 500 hPa 지오퍼텐셜 고도, 850 hPa 온도, 1000 hPa 지오퍼텐셜 고도의 아노말리 패턴들에 해당하는 각 코사인 유사도들과 하루 전... 57

Table 1-9. 저농도 사례 중에 500 hPa 지오퍼텐셜 코사인 유사도가 양의 값인 경우와 고농도 사례 중에 해당 코사인 유사도가 음의 값인 경우를 훈련자료에서 제외하고 훈련한... 61

Table 1-10. 예측인자 구성에 따른 봄 신경망 모델의 예측성 비교 결과 61

Table 1-11. 이틀 전, 하루 전, 당일의 500 hPa 지오퍼텐셜 고도, 850 hPa 온도, 1000 hPa 지오퍼텐셜 고도의 아노말리 패턴들에 해당하는 각 코사인 유사도들과 하루 전... 62

Table 1-12. 저농도 사례 중에 500 hPa 지오퍼텐셜 코사인 유사도가 양의 값인 경우와 고농도 사례 중에 해당 코사인 유사도가 음의 값인 경우를 훈련자료에서 제외하고 훈련한... 63

Table 1-13. 이틀 전, 하루 전, 당일의 500 hPa 지오퍼텐셜 고도, 850 hPa 온도, 1000 hPa 지오퍼텐셜 고도의 아노말리 패턴들에 해당하는 각 코사인 유사도들과 하루 전... 64

Table 1-14. 저농도 사례 중에 500 hPa 지오퍼텐셜 코사인 유사도가 양의 값인 경우와 고농도 사례 중에 해당 코사인 유사도가 음의 값인 경우를 훈련자료에서 제외하고 훈련한... 64

Table 1-15. Figure 1-20의 의사 결정 모델을 통해 신경망 모델의 예측 결과와 서울의 지역 규모 예측 인자를 변수로 사용하여 예측한 결과 67

Table 1-16. Figure 1-22의 의사 결정 모델을 사용하여 2004년부터 2014년 여름 동안에 대해 예측한 결과 72

Table 1-17. Figure 1-23과 같이 신경망 모델과 의사 결정 모델을 함께 사용하여 2004년부터 2014년 여름 동안에 대해 예측한 결과 73

Table 1-18. Figure 1-24에 나타난 의사 결정 모델을 사용하여 2004년부터 2014년 가을 동안에 대해 예측한 결과 74

Table 1-19. Figure 1-25에 나타난 의사 결정 모델을 사용하여 2004년부터 2014년 겨을 동안에 대해 예측한 결과 76

Table 1-20. Figure 1-26과 같이 신경망 모델과 의사 결정 모델을 함께 사용하여 2004년부터 2014년 겨울 동안에 대해 예측한 결과 79

Table 1-21. 계절별로 전체 기간 동안의 훈련 자료를 사용해 훈련한 신경망 모델만을 사용하여 2004년부터 2014년에 대해 예측한 결과 81

Table 1-22. 신경망 모델과 의사 결정 모델로 구성된 계절별 예측 모델을 사용하여 2004년부터 2014년에 대해 예측한 결과 82

Table 1-23. Table 1-21에 나타낸 신경망 모델과 Table 1-22에 나타낸 신경망 모델과 의사결정 모델을 함께 사용한 모델의 예측성 82

Table 1-24. 2004년부터 2014년 사이의 봄 동안 발생한 고농도 사례의 신경망 모델만을 사용하였을 때와 신경망모델과 의사결정모델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 예측 여부에 따른... 84

Table 1-25. 훈련 자료 기간에 따른 2004년부터 2014년까지의 재예측 결과 86

Table 1-26. 훈련 자료 기간에 따른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재예측 결과 87

Table 1-27. 당일 GFS 예측 자료를 사용하여 2015년 9월 1일부터 2016년 11월 8일까지에 대해 계절별로 예측한 결과 90

Table 1-28. 2015년 9월 1일부터 2016년 11월 8일까지에 대한 예측에 사용한 실시간 GFS 예측 자료의 예측 시간에 따른 모델의 예측성 90

Table 2-1. 지역별 PM10 농도와 상관성이 가장 높은 중국 지역의 PM10 농도 사이의 상관 계수(검은색: 중국 북동부 R5 지역, 빨간색: 중국 동남부 R6 지역) 92

Table 2-2. 일평균 PM10 농도의 지역 간 상관계수 93

Table 2-3. 서울, 경기ㆍ충청, 강원, 전라, 경상 권역의 세 가지 군집에 해당하는 일수 및 전체 일수에 대한 비율 111

Table 2-4. 서울, 경기ㆍ충청, 강원, 전라, 경상 권역의 세 가지 군집에 대한 고농도 사례 비율 112

Table 2-5. 서울과 안동, 춘천, 대구 간의 일평균 PM10 농도의 상관계수 116

Table 2-6. 서울과 속초, 울산 간의 일평균 PM10 농도의 상관계수 116

Table 2-7. 안동, 춘천, 대구, 속초, 울산의 세 가지 군집에 해당하는 일수 및 전체 일수에 대한 비율 118

Table 2-8. 안동, 춘천, 대구, 속초, 울산의 세 가지 군집에 대한 고농도 사례 비율 119

Table 2-9. 서울, 원주, 속초의 PM10 농도가 80 μg/㎥ 이상인 날의 지속일별 횟수 129

Table 2-10. 권역별 봄 PM10 에 대한 모델별 고농도 사례 적중률(모델 중 가장 높은 적중률은 붉은색으로 표시) 133

Table 2-11. 권역별 여름 PM10 에 대한 모델별 고농도 사례 적중률(모델 중 가장 높은 적중률은 붉은색으로 표시) 134

Table 2-12. 권역별 가을 PM10 에 대한 모델별 고농도 사례 적중률(모델 중 가장 높은 적중률은 붉은색으로 표시) 135

Table 2-13. 권역별 겨울 PM10 에 대한 모델별 고농도 사례 적중률(모델 중 가장 높은 적중률은 붉은색으로 표시) 136

Table 2-14. 통계-역학 하이브리드 예측 시스템을 사용하여 예측한 권역별 4일 미만의 짧은 고농도 사례와 4일 이상의 긴 고농도 사례의 적중률 138

Figure 1-1. 2001년부터 2014년 사이의 겨울 동안 발생한 (a-c) 저농도 사례와 (d-e) 고농도 사례에 대해 평균한 CFSR 자료의 500 hPa 지오퍼텐셜 고도(m),... 34

Figure 1-2. Table 1-2에서 PM10 농도가 70 μg/㎥ 이하인 저농도 사례에 대해 (a-c) 틀린 예측을 한 날과 (d-e) 맞힌 예측을 한 날에 대해 평균한 500 hPa 지오퍼텐셜 고도,... 38

Figure 1-3. Figure 1-2와 같되 PM10 농도가 70 초과 80 μg/㎥ 이하인 저농도 사례에 대한 기상장 패턴 39

Figure 1-4. Table 1-1에 나타난 저농도 사례의 예측 결과별로 평균한 사례 당일, 하루 전, 이틀 전 기상장 패턴의 코사인 유사도 (에러 바는 평균 오차) 40

Figure 1-5. 저농도 사례 당일의 850 hPa 온도 아노말리의 코사인 유사도를 사용한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 나타난 군집 스테이지별 유클리디안 거리 41

Figure 1-6. (a-c) L1 타입과 (d-f) L2 타입의 저농도 사례의 평균 기상장 패턴 43

Figure 1-7. L1 타입과 L2 타입의 저농도 사례의 평균 서울 일강수량(에러 바는 평균 오차) 44

Figure 1-8. Figure 1-2와 같되 PM10 농도가 80 초과 90 μg/㎥ 이하인 고농도 사례에 대한 기상장 패턴 45

Figure 1-9. Figure 1-2와 같되 PM10 농도가 90 μg/㎥ 초과인 고농도 사례에 대한 기상장 패턴 47

Figure 1-10. Figure 1-4와 같되 고농도 사례에 대한 코사인 유사도 48

Figure 1-11. Table 1-1에 나타난 고농도 사례의 예측 결과별로 평균한 사례 하루 전과 당일의 서울 PM10 농도 48

Figure 1-12. L1 타입과 L2 타입 저농도 사례의 연별 발생 빈도수 49

Figure 1-13. 고농도 사례 시작일과 연속일의 연별 발생 빈도수 50

Figure 1-14. (a) 2004년부터 2007년까지, (b) 2008년부터 2011년까지, (c)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겨울에 발생한 고농도 사례에 대해 각각 평균한 중국 스테이션에서의 PM10 농도 아노말리 패턴 53

Figure 1-15. 2001년부터 2014년까지의 (a) 봄, (b) 여름, (c), 가을, (d) 겨울 동안의 서울 PM10 농도와 각 중국 스테이션에서의 PM10 농도 사이의 상관 계수 54

Figure 1-16. 2001년부터 2014년 사이의 겨울 동안 발생한 (a-c) 저농도 사례와 (d-e) 고농도 사례에 대해 평균한 CFSR 자료의 500 hPa 지오퍼텐셜 고도(m), 850 hPa 온도(K), 1000 hPa 지오퍼텐셜 고도(m)의 아노말리 패턴 56

Figure 1-17. 전체 훈련 자료를 사용한 봄 신경망 모델에서 (a) 올바르게 예측한 저농도 사례, (b) 저농도 사례를 고농도 사례로 잘못 예측한 사례, (c) 고농도 사례를 저농도 사례로 잘못 예측한 사례,... 58

Figure 1-18. 전체 훈련 자료를 사용한 봄 신경망 모델에서 (a) 올바르게 예측한 저농도 사례, (b) 저농도 사례를 고농도 사례로 잘못 예측한 사례, (c) 고농도 사례를 저농도 사례로 잘못 예측한 사례,... 59

Figure 1-19. 전체 훈련 자료를 사용한 봄 신경망 모델에서 (a) 올바르게 예측한 저농도 사례, (b) 저농도 사례를 고농도 사례로 잘못 예측한 사례, (c) 고농도 사례를 저농도 사례로 잘못 예측한 사례,... 60

Figure 1-20. 봄에 대한 의사 결정 모델의 순서도 65

Figure 1-21. 봄 의사 결정 모델의 (a) 첫 번째 분기와 (b) 두 번째 분기의 기준값에 대한 민감도 테스트(원문불량) 68

Figure 1-22. 여름에 대한 의사 결정 모델의 순서도 71

Figure 1-23. 여름에 대한 신경망 모델(파란선)을 1차적으로 사용한 뒤 의사 결정모델(검은선)을 2차적으로 사용하는 모델의 순서도 72

Figure 1-24. 가을에 대한 의사 결정 모델의 순서도 74

Figure 1-25. 겨울에 대한 의사 결정 모델의 순서도 76

Figure 1-26. 겨울에 대한 신경망 모델(파란선)을 1차적으로 사용한 뒤 의사 결정 모델(검은선)을 2차적으로 사용하는 모델의 순서도 78

Figure 1-27. 2004년부터 2014년 사이의 봄 동안 발생한 고농도 사례 중 (a-c) 신경망 모델만을 사용하였을 때와 신경망모델과 의사결정모델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 모두 예측 하지 못한 사례,... 83

Figure 1-28. 2004년부터 2014년의 겨울 동안 발생한 고농도 사례 중 신경망 모델 및 의사 결정 모델을 함께 사용하여 올바르게 예측한 사례(회색 막대)와 잘못 예측한 사례(흰색 막대) 85

Figure 2-1. 권역별 (a) 연평균 PM10 농도(μg/㎥), (b) 연도별 PM10 고농도(〉 80 μg/㎥) 일수 94

Figure 2-2. 권역별 고농도일에 대한 300 hPa, 1000 hPa의 지오퍼텐셜 고도 아노말리 97

Figure 2-3. 권역별 고농도일 하루 전과 당일에 대한 300 hPa 지오퍼텐셜 고도 아노말리 98

Figure 2-4. 권역별 고농도일 하루 전과 당일에 대한 1000 hPa 지오퍼텐셜 고도 아노말리 99

Figure 2-5. 권역별 고농도일 하루 전과 당일에 대한 1000 hPa 바람 아노말리 101

Figure 2-6. 권역별 (a) 계절평균 PM10 농도(μg/㎥), (b) 계절별 PM10 고농도(〉 80 μg/㎥) 일수 103

Figure 2-7. 권역별 cold season(10월~3월)의 고농도일에 대한 300 hPa, 1000 hPa 지오퍼텐셜 고도 아노말리 105

Figure 2-8. 권역별 warm season(4월~9월)의 고농도일에 대한 300 hPa, 1000 hPa 지오퍼텐셜 고도 아노말리 106

Figure 2-9. 권역별 cold season(10월~3월)과 warm season(4월~9월)의 고농도일에 대한 1000 hPa 바람 아노말리 107

Figure 2-10. 2006−2014년의 서울, 경기ㆍ충청, 강원, 전라, 경상 권역의 전체 역궤적 및 세 가지 군집에 대한 역궤적 109

Figure 2-11. 서울, 경기ㆍ충청, 강원, 전라, 경상 권역 역궤적의 군집화 계통도 111

Figure 2-12. 서울, 경기ㆍ충청, 강원, 전라, 경상 권역 각 군집의 계절별 고농도 사례 일수 113

Figure 2-13. 서울, 경기ㆍ충청, 강원, 전라, 경상 권역의 역궤적으로 산출한 CWT 및 세 가지 군집에 대한 CWT 115

Figure 2-14. 2007−2014년의 안동, 춘천, 대구, 속초, 울산의 전체 역궤적 및 세 가지 군집에 대한 역궤적 117

Figure 2-15. 안동, 춘천, 대구, 속초, 울산 각 군집의 계절별 고농도 사례 일수 119

Figure 2-16. 서울, 안동, 춘천, 대구, 속초, 울산의 전체 역궤적 및 세 가지 군집에 대한 역궤적의 경도-고도 단면도 120

Figure 2-17. 안동, 춘천, 대구, 속초, 울산의 역궤적으로 산출한 CWT 및 세 가지 군집에 대한 CWT 121

Figure 2-18. 고농도일 하루 전과 당일에 대한 300 hPa 지오퍼텐셜 고도 아노말리 123

Figure 2-19. 고농도일 하루 전과 당일에 대한 1000 hPa 지오퍼텐셜 고도 아노말리 124

Figure 2-20. 고농도일 하루 전과 당일에 대한 1000 hPa 바람 아노말리 125

Figure 2-21. 고농도 현상이 서울에서 해소되고 안동, 춘천, 대구, 속초, 울산에서 해소되지 않은 경우, 서울과 타 지역에서 모두 해소된 경우의 기압, 풍속 127

Figure 2-22. 고농도 현상이 서울에서 해소되고 안동, 춘천, 대구, 속초, 울산에서 해소되지 않은 경우, 서울과 타 지역에서 모두 해소된 경우의 역궤적 128

Figure 2-23. 서울, 원주, 속초 PM10의 (a) 연평균 농도, (b) 계절평균 농도 130

Figure 2-24. 고농도 현상이 서울에서 해소되고 원주, 속초에서 해소되지 않은 경우, 서울과 타 지역에서 모두 해소된 경우의 기압, 풍속 131

Figure 2-25. 서울에서 발생한 4일 미만의 짧은 고농도 사례와 4일 이상의 긴 고농도 사례의 연도별 겨울 동안 관측된 사례일 수 및 올바르게 예측한 사례일 수 137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