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대기질 재분석 자료 생산을 위한 재현 모델링 기법 연구 = A hindcast study to produce chemical reanalysis data : 최종보고서. 2 [전자자료] / 국립환경과학원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환경과학원,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NIER-SP ; 2016-236
면수
123
제어번호
MONO1201753544
주기사항
연구기관: 광주과학기술원, 연세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
연구책임자: 송철한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5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5

2.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15

제2절 연구 목적 17

제2장 연구범위 및 내용 18

제1절 연구범위 및 내용 18

1. 각 실험별(위성, 지상 등) 대상기간/대상지역/실험 내용 18

2. WRF/CMAQ 및 WRF-Chem 구성 19

3. 위성 자료 처리 방법에 대한 설명 및 분석방법 34

4. 자료동화 기법에 대한 설명 및 수행/분석방법 34

제2절 연구 추진체계 41

제3장 연구결과 및 고찰 43

제1절 위성을 활용한 에어로솔 광학 두께 자료동화 성능 평가 43

1. 정지궤도 인공위성 센서인 GOCI 및 MI에서 산출된 AOD 자료 간 비교 평가 43

2. 대기질 모델(CMAQ & WRF-Chem)의 최적 AOD 산출모듈 개발 및 모델 간 비교 평가 64

3. 다양한 자료동화를 통한 AOD의 재현 모델링 성능평가 70

제2절 지상관측을 활용한 기준성 대기오염물질(Criteria Air Pollutants) 자료동화 성능 평가 84

1. 중국 및 우리나라 지상 대기질 관측 자료와 대기질 모델(CMAQ & WRF-Chem) 자료 간 자료동화 모듈 개발 84

2. 다양한 자료동화를 통한 기준성 대기오염물질의 재현 모델링 성능 평가 84

제3절 관측과 모델오차를 고려한 3차원 변분 자료동화(3D-VAR) 기법 연구 104

1. GSI 3D-VAR 이용을 위한 배경 및 측정 공분산(co-variance) 매트릭스 구성 및 계산 104

2. DRAGON-Asia Sunphotometer 및 AERONET AOD 자료를 활용한 인공위성 자료 간의 자료동화 결과 비교 및 검증 106

3. WRF-Chem 및 WRF/CMAQ 결과를 이용한 모델 간 자료동화 시스템 비교 평가 110

제4장 결론 112

1. 자료의 특징 분석 112

2. CMAQ, WRF-Chem의 AOD 모의 112

3. 자료동화 결과 113

제5장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115

1. 기대성과 115

2. 활용방안 115

제6장 참고문헌 116

〈Table 1-1.1〉 국외 재분석(reanalysis) 자료 현황 17

〈Table 2-1.1〉 WRF 모델 구동을 위한 물리 옵션 20

〈Table 2-1.2〉 CMAQ 모델 구동을 위한 정보 21

〈Table 2-1.3〉 CMAQ 에어로솔 변수 목록 22

〈Table 2-1.4〉 CMAQ 에어로솔 변수 구분과 CMAQ PM2.5 및 PM10 정의 23

〈Table 2-1.5〉 CMAQ 구동에 적용한 모듈 종류 및 설명 24

〈Table 2-1.6〉 본 연구에 선택된 WRF-Chem 물리모수화 및 화학모수화 설정 27

〈Table 2-1.7〉 MODIS-BUFR의 파일 형식 34

〈Table 2-1.8〉 자료동화 기법의 장점 및 단점 비교 35

〈Table 2-1.9〉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free parameter 38

〈Table 3-1.1〉 AERONET site 별 MI AOD 검증지수 49

〈Table 3-1.2〉 AERONET site 별 GOCI AOD 검증지수 62

〈Table 3-1.3〉 CMAQ, GOCI, Cressman 자료동화 결과, OI 자료동화 결과, Kriging 자료동화 결과와 AERONET AOD를 비교한 통계 분석(분석 기간: 2012년 3월 1일~5월 31일) 83

〈Table 3-2.1〉 기준성 대기오염물질의 재현 모델링 성능 평가 통계 분석. N은 총 자료 수를 의미하며, R은 correlation coefficient, RMSE는 Root mean square error, MB는 Mean bias를 나타냄 103

〈Fig. 2-1.1〉 CMAQ(초록색), GOCI(파란색), MI(주황색)의 영역. AEROENT site는 빨간색으로 표시 18

〈Fig. 2-1.2〉 중국 지상 관측 자료(CAWNET, 초록색)와 한국 지상 관측 자료(NAMIS, 빨간색) 관측소 분포도 19

〈Fig. 2-1.3〉/〈Fig. 2-1.2〉 WRF-Chem의 영역 설정 및 지형, 그리고 시간 그래프를 보기 위한 공간 평균 영역 28

〈Fig. 2-1.4〉/〈Fig. 2-1.3〉 EDGAR-HTAP, SMOKE 기반 배출량 인벤토리의 에어로솔 배출량 분포 및 그 차이 29

〈Fig. 2-1.5〉/〈Fig. 2-1.4〉 모델 배경오차 통계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NMC 기법의 모식도 30

〈Fig. 2-1.6〉/〈Fig. 2-1.5〉 MERRAero 재분석 자료에서 나타난 봄철의 총 AOD 및 먼지, 해염, 황산염, 유기 탄소 및 블랙 카본의 AOD 32

〈Fig. 2-1.7〉/〈Fig. 2-1.6〉 MERRA2 재분석 자료에서 나타난 봄철의 총 AOD 및 먼지, 해염, 황산염, 유기 탄소 및 블랙 카본의 AOD 33

〈Fig. 2-1.8〉/〈Fig. 2-1.7〉 Cressman 기법을 설명하기 그림. 검은색 점은 관측값, 빨간색 표시는 자료동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목표격자를 나타냄. Rn은 유효 반경, r은 목표격자와 관측값과의 거리 36

〈Fig. 2-1.9〉/〈Fig. 2-1.8〉 세미배리오그램(semivariogram) 예시(Biswas and Cheng, 2013) . 세미배리오그램 값이 증가하다가 일정해지는 lag distance를 range, 그 때의 세미배리오그램 크기를 sill이라 지칭함 39

〈Fig. 2-1.10〉/〈Fig. 2-1.9〉 비용함수(cost function) 개념 모식도. J(x)는 비용함수, x는 state vector, y는 observation vector를 의미함. 아래첨자 b는 background, 아래첨자 o는 observation을 나타냄 40

〈Fig. 2-2.1〉 연구 추진 체계 구성도 42

〈Fig. 3-1.1〉 MI AOD 산출 알고리즘 흐름도(I: TOA reflectance, I0: Rayleigh scattering, T: Transmittance, Sb: Spherical albedo, R: Surface reflectance) 43

〈Fig. 3-1.2〉 2012년 4월 27일 산출된 MI AOD와 GOCI RGB 이미지, MODIS AOD(Terra, Aqua) 46

〈Fig. 3-1.3〉 2011년 5월 1일~2015년 10월 20일 동안 관측된 AERONET AOD와 MI AOD 의 비교검증 47

〈Fig. 3-1.4〉 지표 유형별 MI AOD와 AERONET 비교 결과 48

〈Fig. 3-1.5〉 (위) 백령도와 (아래) 연세대학교 AERONET 사이트에서 산출된(그림 윗 부분) MI AOD의 장기간 시계열 및 (그림 아랫 부분) AERONET AOD와의 차이 값 시계열 50

〈Fig. 3-1.6〉 Cloud contamination, 지표면 반사도, Ångström Exponent 에 따른 AOD 산출 오차 분석 51

〈Fig. 3-1.7〉 GOCI 장기간 검증을 위해 선택된 동아시아의 29개의 AERONET site 52

〈Fig. 3-1.8〉 AERONET과 GOCI AOD(550nm) 비교 분석 결과(left: linear scale, right: logarithmic scale) 53

〈Fig. 3-1.9〉 550nm에서의 AERONET AOD에 대한 GOCI 및 AERONET AOD 차이(상단 그림: linear scale, 하단 그림: logarithmic scale) 54

〈Fig. 3-1.10〉 AERONET AE에 대한 GOCI와 AERONET AOD 차이 55

〈Fig. 3-1.11〉 GOCI FMF와 SSA에 대한 GOCI와 AERONET AOD 차이(상단 그림: FMF에 따른 GOCI AOD 오차 분석, 하단 그림: SSA에 따른 GOCI AOD 오차 분석) 56

〈Fig. 3-1.12〉 412nm 지면반사도에 대한 GOCI와 AERONET AOD 차이(상단 그림: whole AOD case, 하단 그림: only AERONET AOD 〈0.3) 58

〈Fig. 3-1.13〉 NDVI에 대한 GOCI와 AERONET AOD 차이 59

〈Fig. 3-1.14〉 scattering angle에 대한 GOCI와 AERONET AOD 차이 59

〈Fig. 3-1.15〉 관측 시간에 대한 GOCI와 AERONET AOD 차이 60

〈Fig. 3-1.16〉 AERONET 지점별 GOCI AOD 정확도 비교: 비교숫자, correlation coefficient, mean bias, the percent of within expected error, and root-mean square error 61

〈Fig. 3-1.17〉 MODIS AOD와 GOCI AOD의 동아시아 월 평균 AOD 시계열(2011년 3월-2016년 2월) 63

〈Fig. 3-1.18〉 550nm에서의 Relative Humidity(RH)에 따른 Mass Extinction Efficiency(MEE) 값(Lee et al., 2016) 65

〈Fig. 3-1.19〉 2012년 3월~5월 AOD 상관도 분포. 가로축은 AERONET AOD, 세로축은 CMAQ AOD를 나타냄 66

〈Fig. 3-1.20〉 PM10 관측자료(검정색 점) vs. PM10 예측자료(회색 막대). 일평균 PM10 예측자료는 다섯군데의 AERONET의 관측 사이트에서 자료동화된 AOD로부터 전환된 값임 66

〈Fig. 3-1.21〉 WRF-Chem-GOCART, MOZCART, CMAQ, MODIS, 그리고 MERRA2에서 나타낸 시간에 따른 2012년 3월 공간 평균 에어로솔 광학두께 68

〈Fig. 3-1.22〉 WRF-Chem-GOCART, MOZCART, CMAQ, MODIS, 그리고 MERRA2에서 나타낸 2012년 3월 평균 에어로솔 광학두께의 공간 패턴 69

〈Fig. 3-1.23〉 NCEP FNL(좌)과 WRF-Chem(우)의 850hPa 고도의 2012년 3월 평균 바람장 70

〈Fig. 3-1.24〉 동북아시아의 (a) Terra 및 Aqua/MODIS AOD, (b) GOCI AOD. 4월 10일과 4월 12일 그림이며, Terra/MODIS는 10:00(Korean Standard Time; KST), Aqua/MODIS는 13:00 KST 자료임 71

〈Fig. 3-1.25〉 2012년 3월~5월 AOD 상관도 분포. 가로축은 AERONET AOD, 세로축은 GOCI AOD를 나타냄 72

〈Fig. 3-1.26〉 GOCI AOD와 MI AOD의 비교 73

〈Fig. 3-1.27〉 2012년 3월~5월 AOD 상관도 분포. 가로축은 AERONET AOD, 세로축은 MI AOD를 나타냄 74

〈Fig. 3-1.28〉 2012년 4월 27일 16:00(Korean Standard Time; KST) 자료. GOCI AOD 또는 MI AOD를 CMAQ AOD와 Cressman 방법으로 자료동화한 결과 75

〈Fig. 3-1.29〉 2012년 4월 27일 16:00(Korean Standard Time; KST) 자료. GOCI AOD와 MI AOD를 모두 활용하여 CMAQ AOD와 Cressman 방법으로 자료동화한 결과 76

〈Fig. 3-1.30〉 2012년 3월~5월 AOD 상관도 분포. 가로축은 AERONET AOD, 세로축은 왼쪽 그림부터 GOCI AOD와 CMAQ AOD를 자료동화한 값 76

〈Fig. 3-1.31〉 (a) CMAQ AOD(Chin et al. (2002) convers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 (b) GOCI AOD(Lee et al. (2010)의 연세 에어로솔 retrieva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 78

〈Fig. 3-1.32〉 2012년 5월 9일 9:30(Korean Standard Time; KST) 자료. (a) CMAQ으로 모의된 AOD, (b) GOCI AOD, (c) GOCI와 CMAQ AOD 자료를 OI 방법으로 자료동화한 79

〈Fig. 3-1.33〉 2012년 3월~5월 AOD 상관도 분포. 가로축은 AERONET AOD, 세로축은 GOCI AOD와 CMAQ AOD를 OI 기법으로 자료동화 한 값을 나타냄. 총 자료 수(N)은 9071개 이며,... 79

〈Fig. 3-1.34〉 GOCI AOD(1:30~4:30 UTC) 공간 분포((a)~(d))와 Spatial-temporalKriging(STK) 기법을 적용하여 자료동화를 수행한 3:00 UTC AOD (e). 본 그림은 2012년4월 7일 자료임 81

〈Fig. 3-1.35〉 Spatio-temporal Kriging(STK) 기법을 적용한 예시. GOCI AOD를 활용하여 2012년 5월 5일 AOD를 생산함 82

〈Fig. 3-1.36〉 2012년 3월 9일 12시~3월 18일 18시까지 Spatial-temporal Kriging(STK) 기법을 적용하여 자료동화 한 AOD 시계열 자료(빨간색 및 파란색 선)... 82

〈Fig. 3-2.1〉 CO 관측값(검정색)과 자료동화를 수행하지 않은 CMAQ 모의 결과값(Base run, 파란색) 및 Cressman 기법을 적용하여 초기조건을 개선한 재분석 자료값(빨간색)의 비교 85

〈Fig. 3-2.2〉 SO₂ 관측값(검정색)과 자료동화를 수행하지 않은 CMAQ 모의 결과값(Base run, 파란색) 및 Cressman 기법을 적용하여 초기조건을 개선한 재분석 자료값(빨간색)의 비교 86

〈Fig. 3-2.3〉 O₃ 관측값(검정색)과 자료동화를 수행하지 않은 CMAQ 모의 결과값(Base run, 파란색) 및 Cressman 기법을 적용하여 초기조건을 개선한 재분석 자료값(빨간색)의 비교 87

〈Fig. 3-2.4〉 PM10 관측값(검정색)과 자료동화를 수행하지 않은 CMAQ 모의 결과값(Base run, 파란색) 및 Cressman 기법을 적용하여 초기조건을 개선한 재분석 자료값(빨간색)의 비교 88

〈Fig. 3-2.5〉 CO 관측값(검정색)과 자료동화를 수행하지 않은 CMAQ 모의 결과값(Base run, 파란색) 및 OI 기법을 적용하여 초기조건을 개선한 재분석 자료값(빨간색)의 비교 89

〈Fig. 3-2.6〉 SO₂ 관측값(검정색)과 자료동화를 수행하지 않은 CMAQ 모의 결과값(Base run, 파란색) 및 OI 기법을 적용하여 초기조건을 개선한 재분석 자료값(빨간색)의 비교 90

〈Fig. 3-2.7〉 (a) Base run, (b) 지상 관측값(NAMIS, CAWNET), (c) Cressman 및 (d) OI에 대한 CO 농도의 공간 분포도 예시(2015년 2월 22일 9:00 KST) 91

〈Fig. 3-2.8〉 (a) Base run, (b) 지상 관측값(NAMIS, CAWNET), (c) Cressman 및 (d) OI에 대한 SO₂ 농도의 공간 분포도 예시(2015년 2월 22일 9:00 KST) 92

〈Fig. 3-2.9〉 (a) Base run, (b) 지상 관측값(NAMIS, CAWNET), (c) Cressman에 대한 O₃ 농도의 공간 분포도 예시(2015년 2월 22일 9:00 KST) 93

〈Fig. 3-2.10〉 (a) Base run, (b) 지상 관측값(NAMIS, CAWNET), (c) Cressman에 대한 PM10 농도의 공간 분포도 예시(2015년 2월 22일 9:00 KST) 94

〈Fig. 3-2.11〉 자료동화를 적용하지 않은 CMAQ 모의결과(파란색) 및 Cressman 또는 OI 기법을 적용한 (빨간색) CO 재분석 자료 결과의 통계 분석 95

〈Fig. 3-2.12〉 자료동화를 적용하지 않은 CMAQ 모의결과(파란색) 및 Cressman 또는 OI 기법을 적용한 (빨간색) SO₂ 재분석 자료 결과의 통계 분석 96

〈Fig. 3-2.13〉 자료동화를 적용하지 않은 CMAQ 모의결과(파란색) 및 Cressman 적용한 (빨간색) O₃ 재분석 자료 결과의 통계 분석 97

〈Fig. 3-2.14〉 자료동화를 적용하지 않은 CMAQ 모의결과(파란색) 및 Cressman 적용한 (빨간색) PM10 재분석 자료 결과의 통계 분석 98

〈Fig. 3-2.15〉 왼쪽열부터 CMAQ, 지상 관측값(NAMIS, CAWNET), Cressman 기법을 적용한 자료동화 결과에 대한 CO 농도의 공간 분포도(2015년 3월~12월 15일 9:00 KST) 99

〈Fig. 3-2.16〉 왼쪽열부터 CMAQ, 지상 관측값(NAMIS, CAWNET), Cressman 기법을 적용한 자료동화 결과에 대한 SO₂ 농도의 공간 분포도(2015년 3월~12월 15일 9:00 KST) 100

〈Fig. 3-2.17〉 왼쪽열부터 CMAQ, 지상 관측값(NAMIS, CAWNET), Cressman 기법을 적용한 자료동화 결과에 대한 O₃ 농도의 공간 분포도(2015년 3월~12월 15일 9:00 KST) 101

〈Fig. 3-2.18〉 왼쪽열부터 CMAQ, 지상 관측값(NAMIS, CAWNET), Cressman 기법을 적용한 자료동화 결과에 대한 PM10 농도의 공간 분포도(2015년 3월~12월 15일 9:00 KST) 102

〈Fig. 3-3.1〉 NMC 방법으로 생성된 배경오차 통계 자료에서 GOCART 모델의 각 에어로솔에 대한 표준편차 및 수평거리규모의 연직분포 105

〈Fig. 3-3.2〉 BUFR 파일의 내부 구조(Development Testbed Center, 2011) 106

〈Fig. 3-3.3〉 동북아시아 지역의 2012년 3월 10일, UTC1200에 동화된 기상 변수. 위에서부터 각각 퍼텐셜온도, 바람, 물 혼합비이며 좌측부터 배경장, 분석장, 증감율을 나타냄 107

〈Fig. 3-3.4〉 2012년 3월 10일 00UTC 때의 배경농도, 관측, MERRA2, 그리고 자료 동화된 AOD 분포. Background가 배경농도, Obs는 관측이며 Obs 아래의 Analysis는 각각 MODIS, GOCI, MI AOD로 자료 동화한 결과 108

〈Fig. 3-3.5〉 2012년 3월 1일~31일 00UTC의 평균 배경농도, 관측, MERRA2, 그리고 자료 동화된 AOD 분포. 그림의 배치는 좌측 위부터 배경농도, MODIS, GOCI, MI 관측 자료, 좌측 아래부터 MERRA2,... 109

〈Fig. 3-3.6〉 WRF-Chem 3D-VAR의 자료동화 결과 비교에 사용한 AERONET 데이터의 측정소 41개소의 위치 110

〈Fig. 3-3.7〉 2012년 3월 1일~31일 00UTC의 AERONET에서 관측된 AOD와 그 지점에서 추출한 배경농도 및 각 자료동화 데이터의 AOD를 비교한 산포도. 왼쪽 그림부터 MODIS, GOCI,... 110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